2025년에 개최하는 대회에 대한 내용은 제26회 맥심커피배 입신최강전 문서 참고하십시오.
한국의 주요 바둑 기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0> 종합 기전 | GS칼텍스배 · 명인전 · 최고 기사 결정전 · 한국기원 선수권전 · 백암배 | |
제한 기전 | 맥심커피배 · 지지옥션배 · 대주배 · 국수산맥배 · 하나은행배 | ||
신인 기전 | 미래의 별 · 하찬석국수배 · 크라운해태배 · 이붕배 | ||
여자 기전 | 여자기성전 · 여자국수전 · IBK기업은행배 · 여자 최고 기사 결정전 · 난설헌배 | ||
리그전 | 바둑리그 · 챌린지리그 · 여자바둑리그 · 레전드리그 · 시니어 vs 여자 | ||
다른 카테고리의 바둑 기전은 아래 문서 참고 국제 기전 · 일본 기전 · 중국 기전 · 대만 기전 · 폐지 기전 |
맥심커피배 입신최강전 | |
<colbgcolor=#7e4b24> 주최, 주관 | 한국기원 |
후원 | 동서식품 |
주관방송사 | 바둑TV |
홈페이지 | 홈페이지 링크 |
대국규정 | 각자 10분 + 착수시 30초 추가 피셔방식(25회부터) 제한시간 각자 10분, 40초 초읽기 5회(24회까지) |
계가 | 한국룰 덤 6집반 |
참가자격 | 九단 기사 |
참가인원 | 카누포인트 적립순 24인[1](2014년 ~ 2017년) 카누포인트 적립순 32인 (2018년 ~ 2021년) 시드권자 + 랭킹 상위자 초청 총 32인[2](2022년 ~ ) |
상금 | 우승 5,000만원, 준우승 2,000만원, 총 상금 1억 8,000만원 |
대회 방식 | 32강 토너먼트(4강까지 단판), 결승 3번기 |
최근 우승자 | 신진서 九단 (제25회 맥심커피배 입신최강전) |
최다 우승자 | 이세돌 (5회 / 6~8회, 15회, 17회)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한국기원 주관 바둑 기전. 동서식품이 후원하며 입신(入神), 즉 九단 기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바둑 기전이다.2. 상세
2000년에 九단 대상으로 한 대회를 처음 만든 것이 시작이다. 2012년 대회까지는 자체예선과 시드를 통해 본선 출전자를 정하였으나, 2013년 대회부터는 직전 2개년도 성적을 분류한 카누포인트를 만들어서 카누포인트 상위 24위를 컷해서 초청 형식으로 출전시키고 있다. 2022년 대회부터는 카누포인트를 폐지하고 시드권자를 제외한 나머지 선수들은 한국기원에서 발표하는 랭킹을 기준[3]으로 하여 랭킹 순으로 컷해서 초청하는 것으로 바뀌게 됐다.참가자가 가장 많았던 대회는 2012-13년[4]의 제14회 대회(참가자 62명)이고, 가장 적었던 대회는 2001-02년의 제3회, 2002-03년의 제4회 대회(참가자 17명).
대회명은 두번 바뀌었다. 1~2회 대회 때는 '맥심배 입신연승 바둑최강전'이었으나, 3~4회 대회 때는 '맥심커피배 입신연승 바둑최강전', 5회 대회부터 '지금의 명칭'이 되었다.
이창호 九단과 조훈현 九단이 한번도 우승한 적이 없고, 장주주 九단 - 루이나이웨이 九단 간 부부 결승전 등 의외로 화제거리가 많은 대회이다. 그리고 신진서 九단이 우승 두 번을 제외하면 이상하리만큼 성적이 안나오는 기전 중의 하나다.[5]
맥심커피배는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실력이 있더라도 대회에 참가할 수 없다는 제한이 있으므로 분류상으로는 제한기전이다. 다만 그 조건이라는 게 九단이다보니 대회의 격이나 우승자에 대한 대우는 종합기전과 비슷하게 인정된다. 입단한 지 오래되지 않아 한창 승단 중인 신규 강자들이 참가할 수 없기에 완전히 동급이라고 보기엔 조금 미묘하지만 대체로 종합기전 우승과 동등한 대접을 받는다.[6] 대회는 매년 새해를 시작하는 시점에 시작을 하여 바둑계의 한 해를 여는 기전이기도 하다.
3. 대회 진행
주 : 연도는 결승전 기준이다.- 2018년 : 제19회 맥심커피배 입신최강전(참가자 32명) - 이동훈 九단 첫 출전
- 2019년[7] : 제20회 맥심커피배 입신최강전(참가자 32명) - 신진서, 나현, 최정 九단 첫 출전
- 2020년[8] : 제21회 맥심커피배 입신최강전(참가자 32명) - 박진솔, 김혜민 九단 첫 출전. (신민준의 경우는 사실은 이전에도 참가하였다)[9]
- 2021년[10] : 제22회 맥심커피배 입신최강전(참가자 32명) - 이현욱 九단 첫 출전
- 2022년[11] : 제23회 맥심커피배 입신최강전(참가자 32명) - 김형우, 박승화, 강유택, 안국현, 윤찬희, 한상훈 九단 첫 출전
- 2023년[12] : 제24회 맥심커피배 입신최강전(참가자 32명) - 김명훈, 박하민, 한승주, 이원영, 김승재, 진시영, 오유진 九단 첫 출전
- 2024년[13] : 제25회 맥심커피배 입신최강전(참가자 32명) - 김정현, 이창석, 한우진, 한웅규 九단 첫 출전
- 2025년[14] : 제26회 맥심커피배 입신최강전(참가자 32명)
4. 역대 우승자
역대 결승 기록 | ||||||||
회차 | 연도 | 정원 | 우승 | 전적 | 준우승 | 비고 | ||
1회 | 2000년 | 18명 | 최규병 | 2:1 | 유창혁 | |||
2회 | 2001년 | 20명 | 유창혁 | 2:1 | 양재호 | |||
3회 | 2002년 | 17명 | 유창혁 | 2:0 | 김일환 | |||
4회 | 2003년 | 17명 | 장주주 | 2:0 | 루이나이웨이 | 세계 바둑 최초의 부부 결승전 한국 바둑 사상 첫 중국인 결승전 | ||
5회 | 2004년 | 21명 | 루이나이웨이 | 2:1 | 유창혁 | 루이나이웨이 2번째 혼성 기전 우승[15] | ||
6회 | 2005년 | 24명 | 이세돌 | 2:1 | 양재호 | 연승전 형식 폐지 | ||
7회 | 2006년 | 30명 | 이세돌 | 2:1 | 최철한 | |||
8회 | 2007년 | 38명 | 이세돌 | 2:1 | 박정상 | 이세돌 대회 3연패 | ||
9회 | 2008년 | 41명 | 박영훈 | 2:1 | 목진석 | 박영훈 첫 우승 | ||
10회 | 2009년 | 48명 | 최철한 | 2:0 | 박영훈 | |||
11회 | 2010년 | 49명 | 최철한 | 2:1 | 강동윤 | 최철한 대회 2연패 | ||
12회 | 2011년 | 51명 | 박영훈 | 2:0 | 이창호 | 박영훈 2번째 우승 | ||
13회 | 2012년 | 54명 | 박정환 | 2:0 | 최철한 | |||
14회 | 2013년 | 62명 | 박정환 | 2:0 | 이세돌 | 박정환 2연패 | ||
15회 | 2014년 | 24명[16] | 이세돌 | 2:0 | 박정환 | 이세돌 7년 만에 우승 | ||
16회 | 2015년 | 24명 | 최철한 | 2:1 | 홍성지 | 최철한 3번째 우승 | ||
17회 | 2016년 | 24명 | 이세돌 | 2:0 | 원성진 | 이세돌 5번째 우승(대회 최다 우승) | ||
18회 | 2017년 | 24명 | 박정환 | 2:1 | 윤준상 | 박정환 3번째 우승 | ||
19회 | 2018년 | 32명[17] | 조한승 | 2:1 | 박영훈 | 조한승 첫 우승 | ||
20회 | 2019년 | 32명 | 신진서 | 2:1 | 이동훈 | 신진서 첫 출전+첫 우승+최연소 우승(19세 1개월 10일[18]) | ||
21회 | 2020년 | 32명 | 이지현 | 2:0 | 신민준 | 이지현 첫 우승 | ||
22회 | 2021년 | 32명 | 김지석 | 2:0 | 이지현 | 김지석 첫 우승 | ||
23회 | 2022년 | 32명 | 박정환 | 2:0 | 이동훈 | 박정환 5년 만에 우승(네 번째 우승) | ||
24회 | 2023년 | 32명 | 신진서 | 2:0 | 이원영 | 신진서 4년 만에 우승(두 번째 우승) | ||
25회 | 2024년 | 32명 | 신진서 | 2:0 | 김명훈 | 신진서 대회 2연패(세 번째 우승[19]) |
5. 기타
- 2003년 4회 대회에서는 장주주 九단과 루이나이웨이 九단이 결승에서 만나서 세계 최초의 부부 결승전이라는 진기록이 나왔다. 이 경기에서는 장주주 九단이 승리하였다.
- 2004년 5회 대회에서는 루이나이웨이 九단이 결승에서 승리하며, 여류 기사로써 유일하게 이 대회 타이틀을 획득하였다. 또한, 부부가 모두 우승 타이틀을 가지게 되었다.
- 2021년 22회 대회에 출전한 이지현 九단[20]은 해군 바둑병으로 군 복무중이었는데 코로나19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 방역 수칙에 따라 군인의 외출과 휴가가 제한된 시기여서 대국자들에게 양해를 구해 8강까지 온라인 대국을 치렀다. 이는 코로나19 사태 후 국내 기전 본선 최초의 온라인 대국으로 기록됐다.
- 이세돌이 이 대회를 5번 우승하면서, 최다 우승자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다.
[1] 전기 우승 및 준우승 기사+후원사 시드=4명. 나머지 카누포인트[2] 2022년은 전기 우승 및 준우승 기사 + 후원사 시드 4명 = 6명, 나머지는 랭킹 순으로 26명을 초청, 2023년 열린 24회는 전기 준우승자 이동훈의 불참으로 인해 전기시드 1명과 후원사 시드 5명으로 시드를 배정했다. 2024년 열린 25회는 후원사 시드를 선발하지 않았고 전기 시드를 제외한 나머지 30명의 기사를 모두 랭킹으로 초청했다.[3] 초청 기준 랭킹은 해당 대회 개최 직전 년도의 11월 랭킹이다.[4] 결승이 다음해 초에 있다. 멀리 갈 것 없이 세계대회 일정을 보자.. 대부분 해를 넘긴다.[5] 2대회 연속 16강 탈락이다. 어지간한 대회는 항상 결승에 가는걸 보면 커피배와는 이상하리만큼 성적이 나오지 않는다. 물론 우승 한번은 했지만 신진서라는 이름값을 보자면 아쉬운것도 사실. 하지만 2023년 열린 24회 대회에서 4년 만에 우승 차지했고, 2024년 25회 대회에서 연속 우승에 성공하며 맥심커피배에서도 서서히 이름값을 하고 있다.[6] 사실 제한기전이긴 해도 용성전이나 KBS 바둑왕전같은 통합기전도 결승 이상을 보면 9단들이 이름을 차지하고 있다. 신진서, 박정환은 항상 결승 단골손님 수준. 세계기전도 9단들 잔치다. 2023년 10월 랭킹 기준, 10위권 이내 기사들 모두 九단이다.[7] 2018. 12. 6 개막식[8] 2019. 12. 15 개막식[9] 바로 20회 대회인데 21회 대회를 기입하면서 착오가 생겼다.[10] 2020. 12. 15 개막식[11] 2021. 12. 16 개막식[12] 2022. 12. 16 개막식[13] 2023. 12. 20 개막식, 이 대회부터 대국 규정이 '각자 10분+30초 피셔룰'로 진행된다.[14] 2024. 12. 12 개막식.[15] 첫 번째는 2000년 국수전[16] 이 때부터 카누 포인트로 초청하는 현재의 방식으로 바뀌었다. 참가자가 너무 많아서 후원사가 요청한 듯[17] 카누 포인트로 초청하는 형식은 맞지만, 32명으로 정원이 늘었다.[18] 종전 기록은 박정환의 19세 1개월 23일이다.[19] 11년 만에 연속 우승자 탄생[20] 2020년 21회 대회 우승자 자격으로 시드를 받아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