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9 23:20:07

BIGBANG

빅뱅(아이돌)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0px; padding: 10px 0px"
파일:BIGBANG 워드마크.svg



{{{#!folding [ 전 멤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8%; min-height: 2em"
{{{#!folding [ 유닛 목록 ]
{{{#!wiki style="margin: -5px 0"
<tablebgcolor=#fff,#1c1d1f> 파일:GD X TAEYANG 로고.svg파일:GD X TAEYANG 로고 화이트.svg 파일:GD&TOP 로고.svg파일:GD&TOP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8%; min-height: 2em"
{{{#!folding [ 국내 음반 ]
{{{#!wiki style="margin: -5px 0"
<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000,#fff>파일:1st Single - BIGBANG.jpg파일:BIGBANG Is VIP.png파일:BIGBANG 03.jpg파일:BIGBANG Vol. 1.jpg
[[BIGBANG(음반)|
BIGBANG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86832"
[[BIGBANG IS V.I.P.|
BIGBANG IS V.I.P.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60a355"
[[BIGBANG 03|
BIGBANG 03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e52181"
[[BIGBANG Vol. 1|
BIGBANG Vol. 1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e2e323"
파일:ALWAYS.jpg파일:HOT ISSUE.jpg파일:mimi.3.png파일:full.2.png
[[ALWAYS(BIGBANG)|
ALWAYS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7ae3f3"
[[HOT ISSUE(BIGBANG)|
HOT ISSUE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ea2c43"
[[Stand Up(BIGBANG)|
STAND UP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333b52"
[[REMEMBER(BIGBANG)|
REMEMBER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73130a"
파일:BIGBANG MINI 4.jpg파일:BIGBANG SPECIAL EDITION.jpg파일:ALIVE.jpg파일:STILL ALIVE.jpg
[[BIGBANG MINI 4|
BIGBANG MINI 4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a9a9a9"
[[BIGBANG SPECIAL EDITION|
BIGBANG SPECIAL EDITION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00ff00"
[[ALIVE(BIGBANG)|
ALIVE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0000cd"
[[STILL ALIVE(BIGBANG 음반)|
STILL ALIVE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000"
파일:M_.jpg파일:A_.jpg파일:D_.jpg파일:E_.jpg
MADE Series
[[M(BIGBANG)|
M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c9151e"
[[A(BIGBANG)|
A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052c7f"
[[D(BIGBANG)|
D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014f3e"
[[E(BIGBANG)|
E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6cb13"
파일:cover3rd.jpg파일:81041934_1520923360049_1_600x600.jpg파일:봄여름가을겨울 (Still Life).jpg
MADE Series
[[봄여름가을겨울 (Still Life)|
봄여름가을겨울 (Still Life)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e9e9e9"
[[MADE(음반)|
MADE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424142"
[[꽃 길|
꽃 길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d284a5"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8%; min-height: 2em"
{{{#!folding [ 해외 음반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dirtycash.jpg파일:BIGBANG_For The World.jpg파일:withu.jpg파일:BIGBANG_NUMBER 1.jpg
BIGBANG Vol.1 : Dirty Cash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white"
For The World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white"
WITH U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white"
NUMBER 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파일:alwaysthai.jpg파일:hotissuethai.jpg파일:standupthai.jpg파일:number1thai.jpg
Always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white"
Hot Issu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white"
Stand Up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white"
NUMBER 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파일:rememberthai.jpg파일:BIGBANG_MY HEAVEN.jpg파일:BIGBANG_GARAGARA GO!!.jpg파일:bigbang1.jpg
REMEMBE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white"
MY HEAVEN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white"
ガラガラGO!!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white"
BIGBANG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파일:koewo.jpg파일:tellmeg.jpg파일:beautifulh.jpg파일:BIGBANG_4th MINI ALBUM -Japan Edition-.jpg
声をきかせて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white"
Tell Me Goodby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white"
Beautiful Hangove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white"
4th Mini Album -Japan Edition-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파일:BIGBANG 2.webp파일:bigbangbestt.jpg파일:alivejp.jpg파일:alivem.jpg
[[BIGBANG 2|
BIGBANG 2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white"
The Best of BIGBANG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white"
ALIV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white"
ALIVE -MONSTER EDITION-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파일:finalindome.jpg파일:bigbangbest2.jpg파일:madeseries.jpg파일:madejp.png
Special Final In Dome Memorial Collection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whit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white"
MADE SERIES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white"
MAD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8%; min-height: 2em"
{{{#!folding [ 기타 음반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thegreat2.jpg파일:thegreat.jpg파일:stylish.jpg파일:sofresh.jpg
The Rea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white"
The Great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white"
Stylish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white"
So Fresh, So Coo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파일:lollip.jpg파일:big9.jpg파일:friendbb.jpg파일:asiabest.jpg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white"
BIGSHOW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white"
친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white"
Asia Best 2006-2009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파일:iris.jpg파일:lollip2.jpg파일:bigbangplus.jpg파일:shoutsof.jpg
할렐루야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white"
Lollipop 2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white"
BIGBANG + Live Tracks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white"
승리의 함성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파일:big10.jpg파일:ulti.jpg파일:big11.jpg파일:northf.jpg
BIGSHOW 201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white"
The Ultimate International Best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white"
BIGSHOW 201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white"
The North Fac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파일:lovehope.jpg파일:nonstopmix.jpg파일:neverstopd.jpg파일:bestselection.jpg
Love & Hope Tou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white"
BIGBANG The Non Stop MI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white"
Never Stop Dreaming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white"
BIGBANG Best Selection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파일:alive1.jpg파일:alive3.jpg파일:alive2.jpg파일:nonstopmega.jpg
ALIVE TOUR IN SEOU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white"
ALIVE TOUR IN JAPAN SPECIAL FINAL IN DOM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white"
ALIVE GALAXY TOUR THE FINAL IN SEOU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white"
BIGBANG The Non Stop MEGAMI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파일:dome13.jpg파일:plusalpha.jpg파일:dome14.jpg파일:made1.jpg
BIGBANG JAPAN DOME TOUR 2013-201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white"
BIGBANG +α in Seou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white"
BIGBANG JAPAN DOME TOUR 2014-2015 [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white"
2015 BIGBANG WORLD TOUR [MADE] IN SEOU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파일:made2.jpg파일:made3.jpg파일:made4.jpg파일:bigbang10.jpg
BIGBANG WORLD TOUR 2015-2016 [MADE] IN JAPAN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white"
BIGBANG WORLD TOUR [MADE] FINAL IN SEOU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white"
BIGBANG WORLD TOUR 2015-2016 [MADE] IN JAPAN : THE FINA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white"
BIGBANG1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파일:01002.jpg파일:01001.jpg파일:01004.jpg파일:01003.jpg
BIGBANG10 THE CONCERT : 0.TO.10 IN JAPAN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white"
BIGBANG10 THE CONCERT 0.TO.10 IN SEOU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white"
BIGBANG10 THE CONCERT : 0.TO.10 IN JAPAN -THE FINA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white"
BIGBANG10 THE CONCERT 0.TO.10 FINAL IN SEOU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파일:special2017.jpg파일:lastjp.jpg파일:lastfinal.jpg
BIGBANG SPECIAL EVENT 2017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white"
BIGBANG JAPAN DOME TOUR 2017 -LAST DANC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white"
BIGBANG JAPAN DOME TOUR 2017 -LAST DANCE- : THE FINA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whit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
[ 관련 문서 ]
||<tablewidth=100%><width=100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fde100><colcolor=#000><|4>
활동
||<|2><width=22%> 음반 ||<|2><width=22%> 직캠 ||<|2><width=22%> 활동 ||<width=22%> 공연 및 행사 ||
<nopad> 콘서트
방송 콘텐츠
<nopad> 커버곡
팬덤
VIP 응원법 굿즈 갤러리
기타
10주년 다큐멘터리 수상 경력 노래방 사건 사고
}}}}}} ||
파일:봄여름가을겨울 워드마크.png
파일:BIGBANG 봄여름가을겨울.png
<colbgcolor=#fde100>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de100> 파일:BIGBANG 로고.svgBIGBANG
빅뱅
}}}
데뷔일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2006년 8월 19일[1]
(데뷔일로부터 [dday(2006-08-19)]일, [age(2006-08-19)]주년)

[[일본|]][[틀:국기|]][[틀:국기|]]
2009년 6월 24일
(데뷔일로부터 [dday(2009-06-24)]일, [age(2009-06-24)]주년)
데뷔 음반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86832"
리더 G-DRAGON
장르 /힙합, 댄스, 발라드, R&B/Soul, /메탈, 포크/블루스
유닛 GD X TAEYANGGD&TOP
소속사 YG엔터테인먼트
(2006. 08. 19.~2022. 12. 30.)
레이블
[[일본|]][[틀:국기|]][[틀:국기|]]
Polydor Records
유통사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YG PLUS

[[일본|]][[틀:국기|]][[틀:국기|]]
YGEX
팬덤 [[VIP(BIGBANG)|
VIP (브이아이피)
]][[VIP(BIGBANG)#|
VIP (브이아이피)
]][[VIP(BIGBANG)#s-|
VIP (브이아이피)
]]
공식 색
유니버스 블루 (Universe Blue)
응원봉 뱅봉
링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YG엔터테인먼트 아이콘.svg파일:YG엔터테인먼트 아이콘 화이트.svg
파일:YG엔터테인먼트 아이콘.svg파일:YG엔터테인먼트 아이콘 화이트.svg
파일:YGEX 아이콘.svg파일:YGEX 아이콘 화이트.svg파일:V LIVE 아이콘.svg파일:Weverse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파일:유튜브 아이콘.svg파일:스포티파이 아이콘.svg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

1. 개요2. 멤버3. 특징
3.1. 그룹명3.2. 로고3.3. 위상 및 인기3.4. 음악성
3.4.1. 음악 장르
3.5. 대중성3.6. 해외 인기3.7. 실력
4. 기록5. 수상 경력6. 활동7. 공연 및 행사8. 광고 및 홍보대사
8.1. 광고8.2. 홍보대사
9. 단체 화보10. 평가11. 팬덤12. 논란 및 사건 사고13. 역대 음반 타이틀 포스터14. 여담1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nopad> 파일:BIGBANG_MAMA.gif
안녕하세요, BIG! BANG!
2006년 8월 19일에 데뷔한 YG엔터테인먼트 소속 3인조[2] 보이그룹이다.

2. 멤버

파일:BIGBANG 워드마크.svg
파일:태양_봄여름가을겨울.jpg 파일:지드래곤_봄여름가을겨울.jpg 파일:대성_봄여름가을겨울.jpg
태양 G-DRAGON 대성
1988. 05. 18. ([age(1988-05-18)]세)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메인보컬
메인댄서
1988. 08. 18. ([age(1988-08-18)]세)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리더
메인래퍼
1989. 04. 26. ([age(1989-04-26)]세)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리드보컬

===# 전 멤버 #===
<rowcolor=#000> 이름 생년월일 국적 포지션 탈퇴일
승리
1990. 12. 12. ([age(1990-12-12)]세)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리드댄서, 서브보컬 2019년 3월 11일
T.O.P
1987. 11. 04. ([age(1987-11-04)]세)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리드래퍼 2023년 6월 1일
===# 멤버 변천사 #===


3. 특징

3.1. 그룹명

3.2. 로고

파일:BIGBANG 구 로고.svg파일:BIGBANG 구 로고 화이트.svg 파일:BIGBANG 워드마크.svg파일:BIGBANG 워드마크 화이트.svg
<rowcolor=#000> 구 로고
(2006년[7] ~ 2014년)
현재 로고
(2015년 ~ )

3.3. 위상 및 인기

국내에서 가장 큰 성공과 시련을 겪은 그룹, 빅뱅
"지난 10년 간 K-POP을 통틀어 가장 성공한 밴드인 BIGBANG은 힙합, 알앤비 발라드, 강력한 일렉트로닉 댄스 뮤직으로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는 밴드이며, 아델, 비욘세, 테일러 스위프트와 같은 월드 팝스타의 인기에 버금가는 티켓파워와 인기를 얻고 있는 밴드이자 K-POP의 르네상스를 주도한 한국 대중문화의 대표 브랜드이다."
2015년 10월 5일, 美 <LA 타임즈>
"BIGBANG은 2000년대 초반 불법 음원 파일 공유 서비스의 유행으로 국내 음악 시장이 초토화되었을 당시, 음반에서 디지털 싱글로의 산업구조 변화의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선도하여 한국에서 아이돌 산업, 더 나아가 대중 가수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했고 '거짓말'의 범국민적 히트는 당시 아이돌 시장에 대한 대중의 회의와 의심을 잠식시킬 뿐 아니라 가요계 역사상 유례없는 아이돌 전성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케이팝 역사의 가장 위대한 신호탄이자 주제가였다."
2022년 4월, <써클차트> BIGBANG SPECIAL 中 #
대한민국 대중문화 역사의 판도를 바꾼 그룹
tvN 선정 레전드 아이돌 1위 소개 中
"2007년 8월, '거짓말'의 발매는 당시 시대와 시장을 이끌고 선도할 국내 대중 음악 역사의 흐름 중에 어떤 메시아적 컨텐츠의 출현이었다. 대중에게도 음원 차트 관계자 에게도."
2022년 4월, <한국음악컨텐츠협회>
"데뷔 10주년을 맞이한 BIGBANG의 파급력은 극에 이르렀다. 단순히 음악 차원을 넘어서 한류 문화의 아이콘으로 자리잡은 이 K-POP 아이돌은 아시아를 점령한 것을 시작으로 유럽, 남미 대륙까지 그 영향력을 뻗어나가면서 그들의 존재가치가 전 세계인의 기호에 유효타로 작용함을 증명하였다."
국내 유명 음악 평론 사이트 <이즘(izm)>의 BIGBANG 평가 中
파일:BIGBANG_CONCERT.gif
▲ 2016년 BIGBANG 10주년 콘서트[22]

3.4. 음악성

뛰어난 프로듀싱 능력으로 완성도 높은 힙합과 댄스 음악을 선보이는 보이밴드.
Apple Music
특히나 G-DRAGON은 타이틀 곡을 포함한 모든 BIGBANG 음반의 작사, 작곡, 편곡을 하며 전반적인 프로듀싱을 도맡으며 BIGBANG과 본인의 솔로곡 뿐만 아니라 멤버들의 솔로곡에도 다수 참여하며 리더다운 면모를 보여준다. 음악성은 10년 동안의 음반 발매로 확인이 되었고 음반 발매 이후 타이틀 곡(Title Track)부터 수록곡까지 모든 음악을 음악 순위에 진입시키는 몇안되는 가수 중 하나이다.

음악에 있어서 BIGBANG은 멤버들의 실력적인 균형, 조화가 매우 뛰어나다. BIGBANG 멤버의 창법은 R&B 성향이다. 그리고 독특한 소리를 만들어내기도 한다. 블랙 뮤직을 바탕으로 한 R&B, 소울 음악 창법을 사용하는 태양이 음악의 중심을 잡고 록 음악 창법을 사용하는 대성이 노래를 부른다. G-DRAGON은 매우 독특한 목소리로 랩을 한다. 이러한 것들이 모여서 BIGBANG 음악은 주로 G-DRAGON, 태양을 중심으로 힙합 음악, 팝 음악에 맞춰져 있지만 느린 템포의 음악은 대성, 태양의 상반되는 음색을 강조하는 것으로 가사 분배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3.4.1. 음악 장르

FANTASTIC BABY〉의 일렉트로 팝(Electropop), 〈LOSER〉의 얼터너티브 R&B(Alternative R&B), 〈뱅뱅뱅〉의 댄스 팝(Dance Pop), 〈IF YOU〉의 포크 음악/블루스(Folk Music/Blues), 〈에라 모르겠다〉의 퓨처 베이스(Future Bass), 〈봄여름가을겨울 (Still Life)〉의 팝 록(Pop Rock)/소프트 록(Soft Rock) 등 다양한 음악 장르의 음반을 발매했다.

멤버의 개인 음반에서 멤버들이 원하는 음악 장르를 알 수 있다. G-DRAGON은 힙합 음악(Hip-Hop Music)과 팝 음악(Pop Music)을 하고, 태양은 R&B/Soul을 한다. 대성은 록 음악(Rock Music)을 바탕으로 한 발라드(Ballad)를 하는데 이것은 대성이 일본에서 발매한 음반에서 알 수 있다.

BIGBANG은 블랙 뮤직을 바탕으로 한 힙합 음악, 팝 음악을 하는 음악 그룹이다. 음악성으로 따지면 탈 아이돌 급 실력을 지녔다는 평을 받고 있으며, 멤버들도 아이돌 외의 뮤지션 혹은 아티스트로서 본인들을 인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3.5. 대중성

파일:한국갤럽 CI_White.svg
한국인이 좋아하는 가수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2004년 한국갤럽이 창립 30주년을 맞이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인이 좋아하는 것들에 대해 알아보는 한국인이 좋아하는 조사 시리즈를 기획해 2004년부터 5년 주기로 발표하고 있다.
2004년
※ 2004년 한국갤럽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가수'를 선정.
1위 공동 2위 4위 5위
이미자 나훈아 조용필 현철
6위 7위 8위 9위 10위
태진아 신승훈 송대관 김건모 설운도
2009년
※ 2009년 한국갤럽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가수'를 선정.
1위 2위 3위 4위 5위
장윤정 BIGBANG 태진아 이미자 소녀시대
{{{#!wiki style="margin: -16px -11px" 6위 7위 공동 8위 공동 10위
나훈아 조용필 현철 손담비 이승철 송대관 }}}
2014년
※ 2014년 한국갤럽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가수'를 선정.
1위 2위 3위 4위 5위
조용필 이선희 장윤정 아이유 태진아
6위 공동 7위 9위 10위
EXO 이승철 이미자 나훈아 소녀시대
2019년
※ 2019년 한국갤럽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가수'를 선정.
1위 2위 3위 4위 5위
방탄소년단 장윤정 나훈아 아이유 조용필
6위 공동 7위 9위 공동 10위
이선희 태진아 이미자 이승철 김연자
공동 10위 15위
이문세 홍진영 TWICE 박효신 남진
16위 17위 공동 18위
임창정 송가인 김건모 설운도 진성
21위 공동 22위
성시경 거미 BLACKPINK 잔나비
2024년
※ 2024년 한국갤럽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가수'를 선정.
1위 2위 3위 4위 5위
임영웅 아이유 방탄소년단 나훈아 NewJeans
6위 7위 8위 9위 10위
장윤정 진성 영탁 송가인 BLACKPINK
11위 12위 13위 공동 14위
이찬원 성시경 김연자 김호중 조용필
16위 17위 공동 18위 공동 20위
이효리 전유진 IVE 이문세
공동 20위
이미자 이승철 장민호
같이 보기: 한국인이 존경하는 인물, 좋아하는 스포츠선수, 좋아하는 소설가, 좋아하는 탤런트, 좋아하는 영화배우, 좋아하는 가수, 좋아하는 노래, 좋아하는 예능인, 좋아하는 유튜버, 애창곡
}}}}}}}}} ||

파일:한국갤럽 CI_White.svg
올해를 빛낸 가수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2007년부터 매년 한국갤럽에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면접조사에서 "올 한 해 활동한 가수 중 가장 좋아하는 가수를 세 명까지" 묻는 선호도 조사 결과, '올해를 빛낸 가수'를 선정한다.
※ 본 틀에는 3위까지만 기재하나, 각 연도를 클릭하면 한국갤럽 홈페이지에서 10위까지의 목록과 순위별 응답률을 확인할 수 있다.
※ 2020년부터 여론조사 대상 연령층이 13~59세에서 60대 이상까지로 확대되었고, 결과 집계는 30대 이하 / 40대 이상으로 이원화되었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07년~2009년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colbgcolor=#009FF4><colcolor=#fff> 2007 2008 2009
1위 원더걸스 소녀시대
2위 BIGBANG
3위 장윤정 2PM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10년~2014년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colbgcolor=#009FF4><colcolor=#fff> 2010 2011 2012 2013 2014
1위 소녀시대 싸이 조용필 아이유
2위 2PM BIGBANG 소녀시대 싸이 소녀시대
3위 장윤정 BIGBANG 장윤정 씨스타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15년~2019년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colbgcolor=#009FF4><colcolor=#fff> 2015 2016 2017 2018 2019
1위 BIGBANG 임창정 아이유 방탄소년단
2위 아이유 TWICE 송가인
3위 소녀시대 장윤정 아이유 장윤정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20년~2024년 / 30대 이하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colbgcolor=#009FF4><colcolor=#fff> 2020 2021 2022 2023 2024
1위 방탄소년단 NewJeans
2위 아이유 방탄소년단 아이유
3위 BLACKPINK IVE aespa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20년~2024년 / 40대 이상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colbgcolor=#009FF4><colcolor=#fff> 2020 2021 2022 2023 2024
1위 임영웅
2위 영탁 장윤정 이찬원
3위 나훈아 장윤정 영탁 장윤정
}}}}}}}}} ||}}}}}}}}} ||

파일:한국갤럽 CI_White.svg
올해를 빛낸 가요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한국갤럽은 2007년부터 매년 말 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올해를 빛낸 가요'를 선정하고 있다. 2007년에는 온라인 조사, 2008년~2009년에는 가구 방문을 통한 1:1 개별 면접 조사, 2010년~2019년에는 개별 면접 조사(조사원이 직접 대면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갤럽 공식 입장 조사 기간은 보통 7월, 9월, 11월로 3번 조사하기 때문에 간혹 상반기 곡들이 조사에 불리한 점이 있으며, 특이사항으로 2014년에는 10월~11월에만 2번의 면접 조사를 하였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00년대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2007년
※ 조사기간: 2007년 10월 23일~30일, 12월 12일~21일
1위 2위 3위 4위 5위
Tell Me 거짓말 소녀시대 (Girls' Generation) 사랑은 맛있다♡ 사랑 하나면 돼
6위 7위 8위 9위 10위
단발머리 거위의 꿈 한 여름날의 꿈 사랑.. 그게 뭔데 사랑앓이
2008년
※ 조사기간: 2008년 6월 12일~7월 3일, 9월 19일~10월 13일
1위 2위 3위 4위 5위
Nobody 하루하루 So Hot U-Go-Girl 라라라
6위 7위 8위 9위 10위
서커스 붉은 노을 샤방샤방 주문-MIROTIC One More Time
2009년
※ 조사기간: 2009년 5월 20일~6월 10일, 11월 12일~30일
1위 2위 3위 4위 5위
Gee 소원을 말해봐 (Genie) 토요일 밤에 Again & Again Sorry, Sorry
6위 7위 8위 9위 10위
미스터 사랑비 잊지 말아요 I Don't Care Fire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10년대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2010년
※ 조사기간: 2010년 6월 15일~7월 6일, 11월 17일~12월 7일
1위 2위 3위 4위 5위
훗 (Hoot) Oh! 죽어도 못 보내 Chitty Chitty Bang Bang 언제나
6위 7위 8위 9위 10위
올래 루팡 (Lupin) 널 붙잡을 노래 (Love Song) Love 외톨이야
2011년
※ 조사기간: 2011년 4월 19일~5월 13일, 9월 1일~27일, 11월 18일~12월 9일
1위 2위 3위 4위 5위
좋은 날 Roly-Poly The Boys 직감 So Cool (쏘쿨)
6위 7위 8위 9위 10위
Tonight 내꺼하자 Be My Baby Mr. Simple 제발
2012년
※ 조사기간: 2012년 5월 2일~16일, 9월 12일~26일, 11월 15일~30일
1위 2위 3위 4위 5위
강남스타일 나혼자 (Alone) 벚꽃 엔딩 Twinkle 아름다운 밤이야
{{{#!wiki style="margin: -16px -11px" 공동 6위 공동 8위 공동 10위
FANTASTIC BABY 1,2,3,4 (원,투,쓰리,포) BLUE Loving U (러빙유) Sherlock.셜록 (Clue+Note) 여수 밤바다 }}}
2013년
※ 조사기간: 2013년 7월 18일~8월 5일 (1차), 9월 25일~10월 15일 (2차), 11월 1일~18일 (3차)
1위 2위 3위 4위 5위
Bounce GENTLEMAN 빠빠빠 으르렁 (Growl) 분홍신
6위 7위 8위 9위 10위
NoNoNo 봄봄봄 나란놈이란 이름이 뭐예요? My Love
2014년
※ 조사기간: 2014년 10월 2일~29일 (1차), 10월 29일~11월 25일 (2차)
1위 2위 3위 4위 5위
너의 의미 그 중에 그대를 만나 소격동 손대지마
6위 7위 8위 9위 10위
으르렁 (Growl) 중독 (Overdose) Bounce 그게 나야 Darling
2015년
※ 조사기간: 2015년 7월 9일~27일 (1차), 9월 23일~10월 16일 (2차), 10월 29일~11월 21일 (3차)
1위 2위 3위 4위 5위
뱅뱅뱅 (BANG BANG BANG) 내 나이가 어때서 또 다시 사랑 마음 위아래
6위 7위 8위 9위 10위
바램 심쿵해 (Heart Attack) 산다는 건 SHAKE IT 양화대교
2016년
※ 조사기간: 2016년 7월 8일~29일 (1차), 9월 8일~10월 7일 (2차), 11월 4일~25일 (3차)
{{{#!wiki style="margin: -16px -11px" 1위 2위 3위 4위 공동 5위
내가 저지른 사랑 CHEER UP TT 또 다시 사랑 초혼 안동역에서 }}}
7위 공동 8위 공동 10위
인연 You Are My Everything 소주 한 잔 구르미 그린 달빛 너 그리고 나 (NAVILLERA)
2017년
※ 조사기간: 2017년 7월 6일~26일 (1차), 9월 1일~29일 (2차), 11월 8일~28일 (3차)
1위 2위 3위 4위 5위
좋니 밤편지 가을 아침 초혼 빨간 맛 (Red Flavor)
공동 6위 공동 8위 10위
DNA 안동역에서 TT 나야 나 (PICK ME) New Face
2018년
※ 조사기간: 2018년 7월 4일~22일 (1차), 9월 7일~27일 (2차), 11월 7일~30일 (3차)
1위 2위 3위 4위 5위
뚜두뚜두 (DDU-DU DDU-DU) IDOL FAKE LOVE 잘가라 안동역에서
공동 6위 8위 공동 9위
DNA 좋니 아모르 파티 빨간 맛 (Red Flavor) 밤편지
2019년
※ 조사기간: 2019년 7월 5일~24일 (1차), 9월 24일~10월 15일 (2차), 11월 8일~28일 (3차)
1위 2위 3위 4위 5위
작은 것들을 위한 시 (Boy With Luv) 아모르 파티 오늘 밤에 안녕 무명배우
공동 6위 9위 10위
봄날 한 많은 대동강 초혼 사랑 참 IDOL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20년대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2020년부터 여론조사 대상 연령층이 13~59세에서 60대 이상까지로 확대되었고, 결과 집계는 30대 이하 / 40대 이상으로 이원화되었다.
2020년
<colbgcolor=#f5f5f5,#2d2f34> 1위 2위 3위 4위 5위
30대 이하 Dynamite 에잇 마리아 (Maria) 아무노래 Lovesick Girls
40대 이상 막걸리 한잔 이제 나만 믿어요 찐이야 테스형! 안동역에서
2021년
1위 2위 3위 4위 5위
30대 이하 Butter Dynamite 라일락 신호등 낙하
40대 이상 이제 나만 믿어요 막걸리 한잔 테스형! 별빛 같은 나의 사랑아 찐이야
2022년
1위 2위 3위 4위 5위
30대 이하 Dynamite LOVE DIVE Shut Down Butter 새삥
40대 이상 사랑은 늘 도망가 막걸리 한잔 / 초혼 이제 나만 믿어요 안동역에서
2023년
1위 2위 3위 4위 5위
30대 이하 Super Shy Seven 퀸카 (Queencard) I AM Hype Boy
40대 이상 사랑은 늘 도망가 모래 알갱이 이제 나만 믿어요 / 초혼 막걸리 한잔
2024년
1위 2위 3위 4위 5위
30대 이하 APT. Supernova How Sweet 해야 (HEYA) HAPPY
40대 이상 사랑은 늘 도망가 온기 안동역에서 이제 나만 믿어요 / 막걸리 한잔
}}}}}}}}} ||}}}}}}}}} ||

파일:빅뱅연간.jpg
▲ 2007-2018년 멜론 연간 차트 중 빅뱅 음원 모음[24]
파일:24시간 이용자수.png
▲ 역대 K-POP 그룹 멜론 24시간 이용자 수 순위

3.6. 해외 인기

2011년 한국 가수 최초로 EMA '최우수 월드와이드 아티스트 상'과 '최우수 아시아 태평양 아티스트 상'을 받으며 한국을 해외에 알렸고 한국어 음반 최초 빌보드 메인차트 진입[25] 등 여러 기록들을 가지고 있다.

BIGBANG의 유튜브 뮤직비디오 조회수는 K-POP 가수들 전체를 놓고 봐도 다섯 손가락안에 든다. 유튜브 조회수 1억뷰를 넘긴 영상이 20개, 5억뷰6억뷰를 넘긴 뮤직비디오를 보유한 최초의 2세대 아이돌 그룹이자 데뷔한 지 17년이 넘었지만 유튜브 공식 계정 구독자 수 1500만 명으로 K-POP 보이 그룹 중 방탄소년단, Stray Kids 다음으로 높다.

일본에서 해외 가수 최초로 2013년 ~ 2017년까지 5년 연속 돔 콘서트 투어를 진행했다. 2014년 2위, 2015년 8위, 2016년에 일본에서 일본 가수를 포함하여 전체 콘서트 관객 1위를 하였으며 2017년에 2위를 기록했었다. 멤버들의 개인 콘서트 투어를 진행할 정도로 일본에서 인기가 매우 높은 편이다. 또한 2010년대 일본 가수를 포함한 콘서트 관객 순위에서 4위를 기록하며 외국 가수 1위를 했었다.

중국 청두시 청두 스포츠 센터를 대한민국 가수 최초로 콘서트 입장권을 매진시켰고 중국에서 해외 가수 역대 최다 관객을 기록했다. 2016년에 중국 QQ 뮤직 어워드에서 최우수 뮤직비디오상, 매우 높은 인기가 있는 외국 가수상, 베스트 유명인 외국 음반상, 매우 큰 영항력이 있는 예술가상(G-DRAGON)을 수상하였으며 2017년에 중국 최대의 온라인 음악 서비스 QQ 뮤직 차트에서 연간 차트 순위 1위를 기록했었다. 참고로 BIGBANG은 중국에서 데뷔를 한 적이 없다.

2011년에 대한민국 가수 최초로 iTunes 종합 차트 10위 안에 진입하였고 2011년 11월 7일에 MTV 유럽 뮤직 어워드에서 MTV Europe Music Award For Best Worldwide Act 상을 수상했다. 미국 포브스는 전 세계 30세 이하 유명인 TOP 30에 BIGBANG을 선정하기도 했다.

이러한 인기를 증명하듯이 해외의 콘서트 관객이 매우 많은 편이다. 2015년 4월 25일 ~ 2016년 3월 6일 MADE WORLD TOUR는 아시아,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오세아니아 등에서 총 66회 공연에 150만 명 관객을 기록했던 시절이 있었다. 과거 2017년 LAST DANCE TOUR를 통해 국내 가수 최초 콘서트 1000만 관객 동원을 달성했다.

2018년까지 아이돌 그룹 유튜브 구독자 수 1위, 유튜브 조회수 1위, 인스타그램 팔로워 수 1위로 독보적인 해외 영향력을 보여주었던 시절이 있었고 4년 만에 컴백한 〈봄여름가을겨울 (Still Life)〉는 공개 직후 2022년 중국 싱글 판매량 1위와 함께 최단 기간 다이아몬드 인증을 받아 중국 내에서 독보적인 인기를 과시했다.

2022년 〈봄여름가을겨울 (Still Life)〉는 공개 후 스포티파이에서 총 300만회가 넘는 재생 횟수를 기록하며 무 활동, 한국어 노래임에도 국내에서 단 세 아이돌 그룹만이 해낸 글로벌 스포티파이 차트에 21위[26]에 올랐다. 빌보드 글로벌 200 차트 7위, 미국 제외 시 3위를 기록했고 아이튠즈 33개국 1위, 일본 최대 음원 사이트인 라인 뮤직 1위를 기록하였고 발매 후 유튜브 구독자 수가 50만이 넘게 오르며 재기에 성공했다.

2022년 〈봄여름가을겨울 (Still Life)〉이 중국에서 외국 가수 최초로 연간 싱글 판매량 1위를 달성했다.

2023년 태양의 싱글 〈VIBE〉가 미국 빌보드 핫 100(Billboard Hot 100) 차트 76위, 영국 오피셜 차트(Official Singles Chart Top 100) 96위를 하면서 2세대 보이 그룹 최초, 2세대 아이돌 최고 순위를 갱신했다.

3.7. 실력

BIGBANG을 아이돌이 아닌 아티스트로 보는 시각이 대부분인 만큼 아이돌에게 일반적으로 따라 붙는 실력논란이 없다. 특히나 BIGBANG의 주축이 되는 G-DRAGON태양은 13살때부터 연습생을 시작히여 긴 연습기간을 가지고 있는 만큼 보컬, 랩, 춤등 모든 방면에서 매우 출중한 실력을 보이고 있다. 리드보컬인 대성 또한 메인보컬인 태양에게 결코 뒤지지 않는 뛰어난 보컬 실력을 가지고 있다.

특히나 태양이 R&B에 최적화된 기교적인 목소리를 갖고 있다면, 대성은 록이나 재즈풍에 어울리는 허스키하고 단단한 느낌의 음색을 가지고 있다. 멤버 개개인의 특성이 명확하게 나뉘어 음색 합이 매우 조화로우며 이는 BIGBANG의 음원이 더 풍부하게 느껴지는 이유이다.

4. 기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BIGBANG/기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수상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BIGBANG/수상 경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BIGBANG 워드마크.svg
주요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닛케이 로고.svg
일본 콘서트 관객 1위
Mr.Children
(2015년)
BIGBANG
(2016년)
J Soul Brothers
(2017년)

파일:KMAlogoblack1.jpg
올해의 노래
소유X정기고
<>
(2015년)
{{{#fff BIGBANG}}}
<BAE BAE>
(2016년)
볼빨간사춘기
<우주를 줄게>
(2017년)

파일:골든디스크 시상식_로고.png
디지털 음원 대상
태양(BIGBANG)
<눈, 코, 입>
(2015년)
<colbgcolor=#ffffa1,#5d5e00> {{{#fff BIGBANG}}}
<LOSER>
(2016년)
TWICE
<CHEER UP>
(2017년)

파일:seoulmusicawards2.png
서울가요대상 대상
동방신기
<"O"-正.反.合.>
(2006년)
<colbgcolor=#ffffa1,#5d5e00> {{{#fff BIGBANG}}}
<마지막 인사>
(2007년)
원더걸스
<Nobody>
(2008년)

파일: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 로고 화이트.svg
올해의 가수상
슈퍼주니어
(2007년)
{{{#fff BIGBANG}}}
(2008년)
2PM
(2009년)
소녀시대
(2011년)
{{{#fff BIGBANG}}}
(2012년)
G-DRAGON
(2013년)
EXO
(2014년)
{{{#fff BIGBANG}}}
(2015년)
방탄소년단
(2016년)

파일: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 로고 화이트.svg
올해의 노래상
SG워너비
<내 사람>
(2006년)
<colbgcolor=#ffffa1,#5d5e00> {{{#fff BIGBANG}}}
<거짓말>
(2007년)
원더걸스
<Nobody>
(2008년)
태양
<눈, 코, 입>
(2014년)
{{{#fff BIGBANG}}}
<뱅뱅뱅>
(2015년)
TWICE
<CHEER UP>
(2016년)

파일:mma_logo_white.png
올해의 아티스트상
아이유
(2014년)
{{{#fff BIGBANG}}}
(2015년)
EXO
(2016년)

파일:mma_logo_white.png
올해의 베스트송상
태양
<눈, 코, 입>
(2014년)
{{{#fff BIGBANG}}}
<뱅뱅뱅>
(2015년)
TWICE
<CHEER UP>
(2016년)


파일:한국갤럽 CI.svg파일:한국갤럽 CI_White.svg
올해의 가요 1위
아이유
<너의 의미>
(2014년)
BIGBANG
<뱅뱅뱅>
(2015년)
임창정
<내가 저지른 사랑>
(2016년)

파일:한국갤럽 CI.svg파일:한국갤럽 CI_White.svg
올해를 빛낸 가수 1위
아이유
(2014년)
BIGBANG
(2015년)
임창정
(2016년)


}}} ||

6. 활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BIGBANG/활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rowcolor=#000>
파일:BIGBANG 워드마크.svg
역대 공식 축전
<nopad> 파일:BIGBANG Debut 7th Anniversary.jpg <nopad> 파일:BIGBANG Debut 8th Anniversary.jpg 파일:BIGBANG Debut 9th Anniversary.jpg
7주년 기념
2013.08.19.
8주년 기념
2014.08.19
9주년 기념
2015.08.19.
파일:BIGBANG Debut 10th Anniversary.jpg <nopad> 파일:BIGBANG Debut 12th Anniversary.jp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10주년 기념
2016.08.19.
12주년 기념
2018.08.19.
20주년 기념
2026.08.19.

6.1. 음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BIGBANG/음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BIGBANG 워드마크.svg
DISCOGRAPHY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2px -15px"
파일:1st Single - BIGBANG.jpg 파일:BIGBANG Is VIP.png 파일:BIGBANG 03.jpg 파일:BIGBANG Vol. 1.jpg
싱글
BIGBANG
2006.08.29
싱글
BIGBANG IS V.I.P.
2006.09.28
싱글
BIGBANG 03
2006.11.22
정규
BIGBANG Vol. 1
2006.12.22
파일:ALWAYS.jpg 파일:HOT ISSUE.jpg 파일:BIGBANG STAND UP.jpg 파일:REMEMBER - new artwork.jpg
EP
ALWAYS
2007.08.16
EP
HOT ISSUE
2007.11.22
EP
STAND UP
2008.08.08
정규
REMEMBER
2008.11.05
파일:BIGBANG MINI 4.jpg 파일:BIGBANG SPECIAL EDITION.jpg 파일:ALIVE.jpg 파일:STILL ALIVE.jpg
EP
BIGBANG MINI 4
2011.02.24
EP 리패키지
BIGBANG SPECIAL
EDITION

2011.04.28
EP
ALIVE
2012.02.29
EP 리패키지
STILL ALIVE
2012.06.03
MADE Series
파일:M_.jpg 파일:A_.jpg 파일:D_.jpg 파일:E_.jpg
싱글
M
2015.05.01
싱글
A
2015.06.01
싱글
D
2015.07.01
싱글
E
2015.08.05
MADE Series
<nopad> 파일:봄여름가을겨울 (Still Life).jpg <nopad> 파일:BIGBANG 로고.svg파일:BIGBANG 로고 화이트.svg
파일:MADE Album.jpg 파일:꽃 길.jpg
정규
MADE
2016.12.13
디지털 싱글
꽃 길
2018.03.13
디지털 싱글
봄여름가을겨울
(Still Life)

2022.04.05
LIVE ALBUM
파일:thegreat2.jpg 파일:thegreat.jpg 파일:big9.jpg 파일:big10.jpg
BIGBANG VOL.1 THE REAL
FIRST LIVE CONCERT

2007.02.08
BIGBANG VOL.2 THE GREAT
SECOND LIVE CONCERT

2008.02.29
2009 BIG SHOW
2009.04.22
2010 BIG SHOW
2010.08.19
파일:big11.jpg 파일:alive1.jpg 파일:alive2.jpg 파일:plusalpha.jpg
2011 BIG SHOW
2011.06.17
2012 BIGBANG ALIVE TOUR
IN SEOUL

2013.01.10
2013 BIGBANG
ALIVE GALAXY TOUR
: THE FINAL IN SEOUL

2013.05.30
2014 BIGBANG +α
IN SEOUL

2014.05.28
파일:made1.jpg 파일:made3.jpg 파일:01001.jpg 파일:01003.jpg
2015 BIGBANG WORLD TOUR
[MADE] IN SEOUL
2016.02.03
2016 BIGBANG WORLD TOUR
[MADE] FINAL IN SEOUL
2016.06.01
BIGBANG10 THE CONCERT
0.TO.10 IN SEOUL
2017.02.08
BIGBANG10 THE CONCERT
0.TO.10 IN SEOUL
2017.05.25
}}}}}}}}} ||

6.2. 방송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BIGBANG/방송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3. 콘텐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BIGBANG/콘텐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3.1. 커버곡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BIGBANG/커버곡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4. 유닛 활동

6.4.1. GD X TAEYA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GD X TAEYANG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GD X TAEYANG 심볼 화이트.svg
태양
G-DRAGON

[ 음반 목록 ]
||<tablebgcolor=#FFFFFF,#191919><width=25%>
파일:GOOD BOY Single.jpg
||<width=25%> ||<width=25%>||<width=25%>||
디지털 싱글

GOOD BOY
2014.11.21

6.4.2. GD&TOP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GD&TOP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text-align: center; max-width: 700px; margin: 0px auto; padding: 5px 10px; border-radius: 8px; background: #000"
파일:GD&TOP 로고 화이트.svg

G-DRAGON
{{{#gray {{{#!folding [ 전 멤버 ]
[ 음반 목록 ]
||<tablebgcolor=#FFFFFF,#191919><width=25%>
파일:highhigh.jpg
||<width=25%>
파일:gdtop고화질.jpg}}} ||<width=25%>
파일:ohyeah.jpg
||<width=25%>
파일:E_.jpg
||
디지털싱글

HIGH HIGH
2010.12.15
정규 1집

GD&TOP
2010.12.24
싱글

OH YEAH
2012.01.07
싱글

쩔어
2015.08.05

7. 공연 및 행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BIGBANG/공연 및 행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 콘서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BIGBANG/콘서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BIGBANG 워드마크.svg
콘서트 포스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2px -15px"
<bgcolor=#fff> 파일:1st Live Concert - The R.E.A.L.png <nopad> 파일:Want You Tour.jpg <nopad> 파일:BIGBANG The G.R.E.A.T.jpg 파일:Global Warning Tour.jpg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태국|
파일:태국 국기.svg
]]
2006년

1st Live Concert - The R.E.A.L
2007년

Want You Tour
2007년

The G.R.E.A.T
2008년

Global Warning Tour
파일:BIGBANG Stand Up Tour.jpg <bgcolor=#111310> 파일:BIG SHOW 2009.jpg 파일:BIG SHOW 2010.jpg <nopad> 파일:ELECTRIC LOVE TOUR.jpg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2008년

Stand Up Tour
2009년

BIG SHOW 2009
2010년

BIG SHOW 2010
2010년

ELECTRIC LOVE TOUR
<bgcolor=#000> 파일:BIG SHOW 2011.webp <bgcolor=#ae2614> 파일:BIGBANG Love & Hope Tour.webp 파일:BIGBANG ALIVE GALAXY TOUR_FINAL.jpg <bgcolor=#fff> 파일:BIGBANG JAPAN DOME TOUR 2013~2014.webp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싱가포르|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 [[태국|
파일:태국 국기.svg
]] [[인도네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 [[필리핀|
파일:필리핀 국기.svg
]] [[말레이시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페루|
파일:페루 국기.svg
]]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2011년

BIG SHOW 2011
2011년

BIGBANG Love & Hope Tour
2012년 ~ 2013년

BIGBANG ALIVE
GALAXY TOUR 2012
2013 ~ 2014년

BIGBANG JAPAN DOME TOUR
2013~2014
<nopad> 파일:BIGBANG JAPAN DOME TOUR 2014~2015 X.jpg <nopad> 파일:BIGBANG WORLD TOUR MADE.jpg 파일:BIGBANG10 THE CONCERT 0.TO.10.jpg <nopad> 파일:Last Dance Tour Poster 1.jpg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태국|
파일:태국 국기.svg
]] [[싱가포르|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 [[말레이시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 [[필리핀|
파일:필리핀 국기.svg
]] [[인도네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멕시코|
파일:멕시코 국기.svg
]]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 [[호주|
파일:호주 국기.svg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홍콩|
파일:홍콩 국기.svg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2014년 ~ 2015년

BIGBANG JAPAN DOME TOUR
2014~2015 X
2015 ~ 2016년

MADE WORLD TOUR
2016 ~ 2017년

BIGBANG10 THE CONCERT
: 0.TO.10
2017년

LAST DANCE TOUR
}}}}}}}}} ||

8. 광고 및 홍보대사

8.1. 광고

2인 이상 촬영한 광고만 기록한 문단입니다. 멤버 개인별 광고는 각 멤버 문서 참조.
<rowcolor=#000> 기업 및 기관 브랜드 분류 출연 멤버 비고
<nopad> 2007년
SK텔레콤 Ting 통신사 전원 -
(주)미즈온 비비 버드 화장품 2007~2008
스쿨룩스 교복 2007~2009
<nopad> 2008년
아이스테이션 전자기기 전원 -
LG전자 LG 싸이언 엣지
SPC그룹 배스킨라빈스 식품 2008~2009
세정 NII 의류 2008~2009
휠라홀딩스 휠라 2008~2010
<nopad> 2009년
LG전자 아이스크림폰 전자기기 전원 [27]
롤리팝 [28]
아레나폰 [29]
롯데칠성음료 2% 부족할 때 음료 -
넥슨 서든어택 게임 캐릭터 출시
에버센스 화장품 2009~2010[30]
하이트진로 하이트맥주 주류 태양, G-DRAGON, 대성, T.O.P 2009~2010
매일유업 마이 카페라떼 커피 전원 2009~2010
호텔롯데 롯데면세점 쇼핑몰 2009~2012
<nopad> 2010년
LG전자 옵티머스 원 전자기기 G-DRAGON, T.O.P
롤리팝2 전원 [31]
현대자동차 2010 FIFA 월드컵 '샤우팅 코리아' 기업광고 [32]
CJ CJ : 세상을 바꾸는 딴 생각 [33]
이베이코리아 G마켓 쇼핑몰 -
지오다노 BSX 의류
<nopad> 2011년
해태htb 써니텐 음료 전원 -
니콘 니콘 D7000 / 니콘 P300 카메라 [34]
LG전자 옵티머스 빅 전자기기 -
CJ CJ : Lifestyle 기업광고 [35]
노스페이스 의류 2011~2012
소울앤미디어그룹 소울 바이 루다크리스 음향기기 2011~2012
<nopad> 2012년
NHN 네이버 뮤직 어플리케이션 전원 -
현대카드 YG X Hyundai Card RE-MONSTER 프로젝트 신용카드 -
야마하 모터 모터사이클 [36]
문화체육관광부 한국 방문의 해 : 우리가 먼저 인사해요 공익광고 -
애경그룹 제주항공 정기 항공 운송업 -
<nopad> 2013년
넥슨 서든어택 게임 전원 캐릭터 출시
카카오 카카오톡 어플리케이션 [37]
<nopad> 2014년
한국관광공사 한국관광 브랜드 "Imagine Your Korea" 공익광고 전원 -
<nopad> 2015년
텐센트 전민초신 어플리케이션 전원 2015~2016[38]

8.2. 홍보대사

<rowcolor=#000> 기간 기업 및 기관 직함 비고
2009 법무부 홍보대사 법질서
2014 롯데호텔 부산 -
한국관광공사 2014 한국관광
명예 홍보대사
2016 문화체육관광부 크리에이티브 코리아
홍보대사

9. 단체 화보

2인 이상 촬영한 화보 및 잡지만 기록한 문단입니다. 멤버 개인별 화보는 각 멤버 문서 참조.
<rowcolor=#000> 발행 잡지명 전문 출현멤버 비고
<nopad> 2009년
6월호 파일:아레나 옴므 플러스 로고.png파일:아레나 옴므 플러스 로고 화이트.png - 전원 표지 모델
9월호
[[일본|]][[틀:국기|]][[틀:국기|]]
- -
<nopad> 2010년
4월호
파일:GQ 코리아 로고.svg파일:GQ 코리아 로고 화이트.svg
전문 전원 -
7월호 파일:데이즈드 코리아 로고.svg파일:데이즈드 코리아 로고 화이트.svg - 표지 모델
<nopad> 2013년
3월호 파일:보그 코리아 로고.svg파일:보그 코리아 로고 화이트.svg - 태양, G-DRAGON -
<nopad> 2014년
3월호
파일:하퍼스 바자 로고.svg파일:하퍼스 바자 로고 화이트.svg
- 태양, G-DRAGON 화보집
6월호 G-DRAGON X TAEYANG IN PARIS 2014 - 티저
<nopad> 2015년
8월호
파일:GQ 코리아 로고.svg파일:GQ 코리아 로고 화이트.svg
전문 전원 표지 모델
<nopad> 2016년
4월호
[[일본|]][[틀:국기|]][[틀:국기|]]
- 전원 표지 모델
인터뷰
100호 파일:데이즈드 코리아 로고.svg파일:데이즈드 코리아 로고 화이트.svg - 화보집

10. 평가

K-POP의 세계화를 주도하고 15년이 넘게 한국 대중음악 시장에 최정상을 유지한 음악 그룹으로서 그에 맞는 위상과 기록을 가지고 있다. 젊은 연령층의 패션과 각종 트렌드에 매우 큰 영향력을 행사한 트렌드 세터로 평가를 받는다. 특히 G-DRAGON은 그저 하나의 트렌드 세터를 넘어 아시아 대중 문화 역사에 한 시대를 대표하는 아이콘이 되었다고 평가받고 있다.
대중, 대중음악 전문가들이 선정한 '대한민국 역대 최고의 보이 그룹 1위'
동아일보 주관 조사 (2016년 8월)
영화, 방송, 음악 관계자 100명이 선정한 '10년간 최고의 보이 그룹'
아시아투데이 주관 조사 (2015년 11월)
'역사 상 가장 위대한 K POP 보이 그룹'
더 가디언(2018년 12월)
대중들이 선정한 "역대 최고의 보이 그룹 히트곡 1위 '거짓말'
동아일보 주관 조사 (2016년 8월)
2007년부터 2022년까지 15년 간 '단 한 번도 빠짐없이 음원 차트 1위를 달성한 최초의 가수'
관련기사1, 2, 3
'가장 성공한 K-POP 보이 그룹'
미국 LA 타임즈 (2015년 10월)
대한민국 최초로 포브스 유명인 100에 선정된 대한민국 유명인
관련기사
'K-POP 역대 레전드 아이돌 1위'
tvN 명단공개 (2018년 2월)
"G-DRAGON, 시청자가 뽑은 대한민국이 사랑하는 톱스타 7위, 가수 1위"
tvN 조사
2015년 올해를 빛낸 가수와 가요 1위
(2015년 11월)
2016년까지 K-POP의 세계화를 주도한 가수
(2016년 8월)

11. 팬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VIP(BIGBANG)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1. 응원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BIGBANG/응원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2. 굿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BIGBANG/굿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논란 및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BIGBANG/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역대 음반 타이틀 포스터

<rowcolor=#000>
파일:BIGBANG 워드마크.svg
역대 음반 타이틀 포스터
파일:LOSER_POSTER.jpg파일:BEABEA_POSTER.jpg파일:A_POSTER.jpg
LOSER BAE BAE 뱅뱅뱅 (BANG BANG BANG)
파일:위랔파포스터.jpg파일:이퓨포스터.jpg파일:D_POSTER.jpg
WE LIKE 2 PARTY IF YOU 맨정신
파일:쩔어포스터.jpg파일:E_POSTER.jpg<nopad>파일:에몰포스터.jpg
쩔어 우리 사랑하지 말아요 에라 모르겠다
파일:라댄포스터.jpg<nopad>파일:꽃길_포스터.jpg<nopad>파일:봄여갈겨_포스터.jpg
LAST DANCE 꽃 길 봄여름가을겨울 (Still Life)

14. 여담

15. 둘러보기

{{{#!wiki style="text-align: 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word-break: keep-all"
파일:YG엔터테인먼트 심볼.svg파일:YG엔터테인먼트 심볼 화이트.svg

출신 아티스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0 8px; min-width: 33.3%"
{{{#!folding [ 그룹 ]
{{{#!wiki style="margin: 2px -1px -10px"
<tablebgcolor=#fff,#1c1d1f><rowcolor=#000> 연도 아티스트 리더 비고
현기획 (1996)
1996 킵식스 이새영 3인조 보이그룹
MF기획 (1996)
1996 지누션 지누 남성 듀오
양군기획 (1998 ~ 2001)
1998 원타임 테디 4인조 보이그룹
1999 YG FAMILY 양현석
YG엔터테인먼트 (2001 ~ 현재)
2002 SWi.T 안내영 3인조 걸그룹
2003 빅마마 신연아 4인조 여성 그룹
2004 XO - 남성 듀오
2005 소울스타 이창근 3인조 남성 그룹
2006 무가당 송백경 4인조 혼성 그룹
BIGBANG G-DRAGON 5인조 보이그룹
2008 YMGA 마스타 우 남성 듀오
2009 2NE1 CL 4인조 걸그룹
2010 GD&TOP - 유닛 그룹
2013 BOM&HI - 유닛 그룹
2014 AKMU - 혼성 듀오
WINNER 강승윤 5인조 보이그룹
HI SUHYUN - 유닛 그룹
GD X TAEYANG - 유닛 그룹
2015 iKON B.I 7인조 보이그룹
2016 BLACKPINK - 4인조 걸그룹
MOBB - 유닛 그룹
2020 TREASURE 최현석, 지훈 12인조 보이그룹
2023 T5 - 유닛 그룹
BABYMONSTER - 7인조 걸그룹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0 8px; min-width: 33.3%"
{{{#!folding [ 솔로 ]
{{{#!wiki style="margin: 2px -1px -10px"
<rowcolor=#000> 연도 아티스트 성별 소속 그룹
양군기획 (1998 ~ 2001)
1998 양현석 -
YG엔터테인먼트 (2001 ~ 현재)
2001 페리 -
2002 휘성 -
2003 거미 -
SE7EN -
렉시 -
마스타 우 -
2004 태빈 원타임
2007 지은 -
Red Roc -
2008 태양 BIGBANG
대성 BIGBANG
2009 G-DRAGON BIGBANG
산다라박 2NE1
박봄 2NE1
2010 T.O.P BIGBANG
2011 승리 BIGBANG
강승윤 -
타블로 에픽하이
2012 이하이 -
2013 CL 2NE1
2017 BOBBY iKON
ONE -
2018 제니 BLACKPINK
송민호 WINNER
2019 김진우 WINNER
2020 방예담 TREASURE
이수현 AKMU
2021 로제 BLACKPINK
리사 BLACKPINK
2022 이찬혁 AKMU
2023 지수 BLACKPINK
2024 이승훈 WINNE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0 8px; min-width: 33.3%"
{{{#!folding [ 영입 ]
{{{#!wiki style="margin: 2px -1px -10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color: #000"
{{{#!folding [ 그룹 ]
{{{#!wiki style="margin: 2px -1px -10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rowcolor=#000> 연도 아티스트 리더 비고
2005 45RPM 이현배 3인조 남성 그룹
스토니스컹크 스컬 남성 듀오
2012 에픽하이 타블로 3인조 남성 그룹
2016 젝스키스 은지원 5인조 보이그룹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color: #000"
{{{#!folding [ 솔로 ]
{{{#!wiki style="margin: 2px -1px -10px"
<rowcolor=#000> 연도 아티스트 성별 소속 그룹
2010 싸이 -
2019 은지원 젝스키스 }}}}}}}}}
}}}}}}}}}}}} ||
[1] YG FAMILY 10주년 콘서트가 열린 날이며, 2006년 9월 23일 쇼! 음악중심에서 'La La La'로 데뷔 무대를 선보였다.[2] 본래 5인조로 데뷔하였으나 승리T.O.P의 탈퇴로 3인조가 되었다.[3] 〈리얼다큐 빅뱅〉 기준.[4] 2019년 3월 11일 탈퇴.[5] 2023년 6월 1일 탈퇴.[6] 〈리얼다큐 빅뱅〉에서 떨어진 장현승2009년 비스트 하이라이트로 데뷔하게 된다.[7] 데뷔 직전에는 다른 로고를 사용하였으며 데뷔직후 2006년에는 BIGBANG의 G부분에 총모양이 있는 로고를 사용하다가 정규 1집부터는 이 로고로 변경되었다[8] 마이클 잭슨의 별명인 'KING OF POP'에서 유래된 별명이다.[9] 박재범은 본인 트위터에서 BIGBANG을 한국 최고의 보이 그룹이라고 극찬했을 뿐만이 아니라, 재능과 역경 모두 다 갖춘 그룹이라는 추가적 평가도 했을 정도였다.[10] 한국인 최고 순위이다. 여담으로 1위가 마이클 잭슨[11] 정확히는 거의.[12] 최초는 서태지와 아이들이다.[13] 멤버들 스스로도 방탄소년단과 방탄소년단의 음악은 BIGBANG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이야기하기도 한다.[14] MCM은 G-DRAGON이 본사에 방문하자 회사의 회장이 직접 응대하였고 톰브라운은 BIGBANG의 쇼핑을 위해 뉴욕 본점 문을 닫았다.[15] 물론 YG엔터테인먼트에는 1TYMJinusean 등도 있었다. 하지만 그들은 2007년 〈거짓말〉처럼 한국 전체에 거대한 센세이션을 불러일으키지는 못했다. 즉 Jinusean, 1TYM은 그냥 인기 있고 히트곡이 어느 정도 있는 그룹이였을 뿐이라는 점이다.[16] 셀러브리티 100이란 전 세계 모든 연예인들의 순익을 100등까지 나타낸 것으로, 현재 국내 가수로는 BIGBANG방탄소년단 뿐이다.[17] YG엔터테인먼트에서는 BIGBANG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자 콘서트 인원이나 매출 등을 실제보다 낮게 발표했다가 몰매를 맞은 전적이 있다.[18] 일본 가수와 해외 가수를 모두 포함하며, 해외 가수 중 최고 기록.[19] 2세대로는 유일하며 BIGBANG은 4년간 아무런 활동도 하지 않았다.[20] 그 전에는 보통 아이돌을 상징하는 색깔의 풍선을 흔드는 것이었다.[21] 싱글 《E》는 8월 5일에 발매되었다.[22] 대한민국 역사 상 일일 최다 유료관객 동원 기록(약 72,000명)[23] G-DRAGON은 그룹과 솔로 모두 달성에 성공했다.[24] 2022년 봄여름가을겨울이 연간 7위를 달성하면서 1위부터 10위까지 모두 달성하게 되었다.[25] EP 5집 《ALIVE[26] 방탄소년단, BLACKPINK에 이은 기록이다.[27] with 김태희[28] with 2NE1[29] with 신세경[30] 태국 지역[31] with 김지원[32] with 김연아[33] with 싸이, 2NE1,슈퍼스타K2 TOP 4[34] with YG패밀리[35] with YG패밀리[36] 태국 지역[37] 태국, 인도네시아 지역[38] 중국 지역[39] 맨 먼저 2008년에는 태양대성이, 2009년에는 G-DRAGON이, 2010년에는 전 멤버였던 T.O.P이, 마지막으로 2011년에는 전 멤버였던 승리가 솔로 데뷔를 했다.[40] 그 이후로 같은 소속사에서 솔로 데뷔 프로젝트에서 성공한 두 번째 아티스트는 남매 혼성 그룹 AKMU가 있으며, 세 번째는 걸 그룹 BLACKPINK가 달성했다.[41] 종파가 알려진 태양대성은 각각 이단으로 간주되는 생명의말씀선교회, 평강제일교회에 출석한다.[42] G-DRAGON대성은 누나를, 태양은 형 동현배를 두었다. 마침 동현배와 G-DRAGON의 누나가 1983년생으로 동갑이다.[43] 걸그룹까지 포함하면 aespa, NewJeans가 현재까지 한 명도 코로나에 감염되지 않았다.[44] 이는 YG엔터테인먼트의 사전 상의없는 일방적인 등록 때문으로 추정된다.[45] 2023년 12월 기준, 사업 보고서 내 전속계약 아티스트 목록에서 그룹이 제외된 지 1년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46] T.O.P (2022. 02. 07.) / 태양 · 대성 (2022. 12. 26.) / G-DRAGON (2023. 12. 20.)[47] 도메인 #은 기존에는 YG엔터테인먼트 공식 홈페이지 내 BIGBANG의 프로필로 리다이렉트가 됐었으나, 현재 YG엔터테인먼트 공식 홈페이지의 메인 페이지로 리다이렉트가 되도록 변경되었다.[48] 이는 언제든 아티스트 목록에 공개로 복구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지누션2NE1, iKON 등의 프로필은 서버에서 완전히 삭제되어 접속이 불가능한 상태이다.[49] MAMA 출연은 9년 만이다.[50] 풀버전을 비롯해서 곡별로 4개로 나뉘어 업로드 되었다. 풀버전 기준 한달 조회수는 대략 4천만회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