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5 21:14:05

선의의 경쟁(드라마)

<colbgcolor=#000><colcolor=#fff> U+모바일tv 오리지널
선의의 경쟁 (2025)
Friendly Rivalry
파일:선의의 경쟁(드라마) 메인 포스터.jpg
언어별 제목
[ 펼치기 · 접기 ]
[[한국어|
한국어
]] 선의의 경쟁
[[영어|
영어
]] Friendly Rivalry
[[일본어|
일본어
]] 善意の競争
[[중국어|
중국어
]] 善意的竞争
장르 학원, 미스터리, 스릴러[1]
공개 기간
공개 예정
2025년 2월 10일 ~ 2025년 3월 6일[2]
공개 회차 16부작[3]
러닝 타임 약 480분 (예정)
기획 STUDIO X+U
제작사 STUDIO X+U, 와이랩 플렉스


<colbgcolor=#000><colcolor=#fff> 연출 김태희[A]
극본 김태희[A], 민예지[6]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 CP
촬영
미술 김시호
음악 }}} }}} }}}
원작 송채윤, 심재영 作 《선의의 경쟁
출연 이혜리, 정수빈, 강혜원, 오우리
촬영 기간 2024년 6월 말 ~ 2024년 11월 2일 (사전제작)
스트리밍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일본|]][[틀:국기|]][[틀:국기|]]: AMEBA [동시방영] [동시방영] [일본]
파일:세계 지도.svg:
시청 등급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

1. 개요2. 공개 전 정보
2.1. 예고편2.2. 포스터2.3. 메이킹2.4. 콘텐츠
3. 등장인물
3.1. 주요 인물3.2. 주변 인물
4. 음악5. 에피소드 목록6. 평가7. 원작과의 차이점8. 촬영지9. 기타
9.1. 인물 관련9.2. 드라마 관련
10.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살벌한 입시 경쟁이 벌어지는 대한민국 상위 1% 채화여고에 전학온 '슬기'에게 각자의 욕망을 드러내는 친구들 그리고 수능 출제 위원이었던 아버지의 의문사를 둘러싼 미스터리 걸스릴러
동명의 76부작 웹툰 원작을 각색한 U+모바일tv 오리지널 드라마.

2. 공개 전 정보



2.1. 예고편

▲ 티저 예고편 ▲ 메인 예고편

2.2. 포스터

파일:선의의 경쟁(드라마) 티저 포스터.jpg파일:선의의 경쟁(드라마) 런칭 포스터.jpg파일:선의의 경쟁(드라마) 메인 포스터.jpg
▲ 티저 포스터 ▲ 런칭 포스터 ▲ 메인 포스터

2.3. 메이킹

메이킹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회차 제목 링크
<colbgcolor=#f5f5f5,#2d2f34> - [대본리딩 비하인드] 몰입도 10000% 채화여고 소녀들의 첫 만남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포스터 촬영 비하인드] 채화즈의 완벽 변신! 반전 매력까지♥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 }}} ||

2.4. 콘텐츠

콘텐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공식 콘텐츠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fff> 분류 제목 링크
<colbgcolor=#f5f5f5,#2d2f34> -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기타 콘텐츠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fff> 매체 제목 출연 링크
<colbgcolor=#f5f5f5,#2d2f34> 싱글즈 드라마 <선의의 경쟁>을 떠난, 배우 이혜리와 정수빈의 학교 밖 사적인 시간. 이혜리, 정수빈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 }}} ||

3. 등장인물

3.1. 주요 인물

3.2. 주변 인물

4. 음악

5. 에피소드 목록

에피소드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회차 제목 공개일 러닝 타임
1화 <colbgcolor=#f5f5f5,#2d2f34> 제목 월 일
줄거리
2화
}}} }}} }}} ||

6. 평가

7. 원작과의 차이점

8. 촬영지

9. 기타

9.1. 인물 관련

9.2. 드라마 관련

10. 둘러보기

파일:U+모바일tv 로고 화이트.svg 오리지널 드라마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2023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제목 주연 회차
<colbgcolor=#f5f5f5,#2d2f34> 하이쿠키 남지현, 최현욱, 김무열 20부작
밤이 되었습니다 이재인, 최예빈, 김우석, 차우민, 안지호, 정소리 12부작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2024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제목 주연 회차
<colbgcolor=#f5f5f5,#2d2f34> 브랜딩 인 성수동 김지은, 로몬, 양혜지, 김호영 24부작
타로: 일곱 장의 이야기 조여정, 박하선, 김진영(덱스), 고규필, 서지훈, 이주빈, 김성태, 함은정, 오유진 7부작
노 웨이 아웃 : 더 룰렛 조진웅, 유재명, 염정아, 김무열, 이광수, 김성철, 허광한, 성유빈 8부작
프래자일 김소희, 김어진, 공주한, 권희송, 문지원, 정윤서, 김예림, 차지혁, 차세진, 채하진 8부작
실버벨이 울리면 송옥숙, 박상원, 예수정, 안석환 4부작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2025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제목 주연 회차
<colbgcolor=#f5f5f5,#2d2f34> 선의의 경쟁 혜리, 정수빈, 강혜원, 오우리 16부작
퍼스트 러브 은찬, 정지수, 차준호, 황지아, 이효제, 천예주, 임성준, 박상훈, 한세진, 제인, 봉재현, 이채은 12부작
메스를 든 사냥꾼 강훈, 박주현 16부작
트웰브 마동석, 박형식, 서인국, 성동일, 이주빈, 고규필 8부작
월간남친 서인국, 지수 10부작 }}}}}}}}}

파일:와이랩 플렉스 로고.png 제작 작품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드라마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연도 방송사 제목 공동 제작사
2022년 파일:TVING 로고.svg파일:TVING 로고 화이트.svg 아일랜드 스튜디오드래곤
2023년 썸머, 러브머신 블루스
2025년 스터디그룹
파일:U+모바일tv 로고.svg파일:U+모바일tv 로고 화이트.svg 선의의 경쟁 STUDIO X+U
미정 미정 참교육 지티스트
심연의 하늘
호러전파상
}}}}}}}}}||

<rowcolor=#ffffff,#dddddd> 블루스트링의 미디어 믹스
드라마 스터디그룹 | 선의의 경쟁 | 참교육
영상화 세상은 돈과 권력
게임 일진이 사나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6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6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출처는 제작사 공식 페이지가 표방하는 장르인 "하이틴 미스터리 스릴러". 좀더 캐치프레이즈에 가까운 장르 표방으로는 "미스터리 걸스릴러"를 내세우기도 한다.#[2] 매주 월, 화, 수, 목요일 오전 0시 공개.[3] 회당 약 30분 분량을 매주 4회씩 공개.[A] 2008년 영화 《동거, 동락》으로 데뷔한 이후 웹드라마 《미생 프리퀄》, 《모모살롱》 등을 연출한 이력이 있다.[A] [6] 김태희 감독과 함께 웹드라마 《미생 프리퀄》, 《모모살롱》 등의 작업을 함께 했으며, 《만추》, 《리틀 포레스트》 등 다수의 한국 영화에 각색으로 참여하거나 《원더랜드》 등에 공동 각본으로 참여한 이력이 있다.[동시방영] [동시방영] [일본] 2025년 2월 10일부터 대한민국과 동시방영(스트리밍).[10] STUDIO X+U 제작 드라마의 편성 사례는 다양해서 추측은 어렵다. U+모바일tv 편성만 독점으로 된 사례도 있고, U+모바일tv 이외에 다른 OTT 1곳 혹은 그 이상 동시 스트리밍한 사례도 있다.[11] 드라마 오리지널 캐릭터. 남병진 역을 맡은 최영재는 자신의 팬미팅 행사를 통해 "평소 자신의 모습과는 너무 다른, 상상할 수 없는 일을 많이 하니 충격받지 말아 달라"고 당부한 바가 있다.[12] 배우 유정래로 활동하다가 2023년에 활동명을 서은오로 변경했다.[13] 원작 웹툰은 기본적으로 학원액션물들과 같은 세계관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현실 기반이라기 보다는 (직접적인 폭력도 해결책으로 고려되는) '학원액션'이 존재하는 세계관이었고, 원작 웹툰 역시 실제로 무력직접적 형태 혹은 간접적 형태로 다양하게 행사해 갈등을 해결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전개 방식이었다.
특히 유제이는 나머지 3명(우슬기, 주예리, 최경)과 달리 '블루스트링 세계관의 주역 캐릭터'로서 고유의 격투 스타일이 있고 (정식 대결은 아니라고는 하지만) 건장한 남성 여럿을 때려 눕히는게 가능한 정도의 액션 설정이 붙은 캐릭터이기도 했다. 즉 단순히 톰보이 분위기를 내기위한 단발 설정이 아니라, 격투 캐릭터로서의 정체성도 염두에 둔 단발 설정이었다.
[14] 우연인지 아니면 교육자 설정을 따온 흔적인지 원작에서 채화여고 4인방에게 직접 특수 제작한 우스운 공부 전용복까지 입혀가며 VIP 회원제 쪽집게 과외를 하는 김수혁의 이름과 비슷해졌다. 원작의 우슬기 부친도 교사 설정이기는 했지만 전개 상 특별한 의미는 없었다.[15] 원작의 캐릭터를 다룬 우슬기 문서 서술을 보면 알겠지만(해당 문서의 강력 스포일러 주의), '아버지가 사망한 원인' 자체가 원작 웹툰과는 180도 달라지면서, 아버지에 대한 우슬기의 태도 자체도 180도 달라지게 되었다. 즉 원작의 우슬기(A)나 드라마의 우슬기(B)나 '아버지의 부재'라는 설정은 동일하지만, 드라마의 우슬기(B)가 (원작의 우슬기(A)가 행한) '어떤 범죄 행위'만큼은 하지 않도록 원작 설정을 고치게 되면 자연스럽게 '아버지의 부재'와 관련한 설명도 달라질 수밖에 없다.[16] 관련한 출처는 배우 최영재 본인의 팬미팅 행사 발언. 참고로 최영재는 악역을 한 적이 없다.[17] 공개에 임박하거나 공개 기간 중 캐스팅이 발표되는 경우도 있지만 주요 인물만큼은 공개 전 제작 단계에서부터 발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18] 1983년생 감독으로, 널리 알려져 혼동의 여지가 없는 배우 김태희는 제외하더라도 동종업계 동명이인이 많다.[19] 영화 작업 외 드라마 작업은 웹드라마만 하다가 처음으로 방송국 드라마를 연출해본 《슴슴한 그대》 촬영 당시 제작 환경이 전반적으로 열악했다는 소감을 말한적이 있는 것으로 볼 때 의도적으로 잠시 드라마 작업에서 멀어져 있었던듯 하다.[20] 참고로 민예지 작가는 단순히 각본가 생활만 한 작가가 아니라 2006년 단편영화를 연출하기도 하고 이후 연출부, 제작부 등 스태프 생활도 거치는 등의 이력이 있는 현장형 작가다. 단편영화 연출 경력 때문에 종종 데이터베이스에 감독 겸 작가로 표시되기도 한다.[21] 연기 자체를 쉰 것은 아니며 2023년에는 영화 《빅토리》 촬영을 했고, 이 드라마를 촬영하기 직전인 2024년 상반기에는 영화 《열대야》 촬영을 했다.[22] 기사에는 "3년 만에"라고 되어 있는데 이 작품이 공개될 2025년을 기준으로 하면 4년만이다. 다만 《러브 앤 위시》의 경우 플랫폼이던 카카오TV가 없어지면서 2022년 공개된 재편집 영화판 《러브 앤 위시》만 OTT 플랫폼에 남아있는데 이를 기준으로 카운트 했을 가능성도 있다.[23] 밤이 되었습니다의 경우 웹소설판이 있어 오해할 수 있으나, 드라마를 토대로 나중에 나온 작품이다.[24] 2024년 7월 5일 보도된 바에 따르면 2025년 7월 31일까지가 기한이다.[25] 그동안 와이랩 플렉스의 웹툰 드라마화 작품들은 스튜디오 드래곤과 공동 제작을 해왔었기 때문에, 이 작품의 경우 LG U+와 계약을 맺고 STUDIO X+U와 공동 제작하리라는 예측을 미리 한 사람은 거의 없었다.[26] 참고로 보도에 나온 75억 규모는 한국 드라마 한 편을 제작하는 기준으로도 많지 않은 제작비이기 때문에, 이 작품 외에 남은 다른 한 편의 드라마 역시 이 작품과 마찬가지로 의상비·로케이션 비용 등을 아낄 수 있어 예산이 상대적으로 적게드는 학원물로 추정된다.[27] 해당 기사는 동명이인 각본가와 이 작품의 연출자를 착각하는 동시에 플랫폼 역시 기존 와이랩 공동제작 드라마와 착각해 TVING 오리지널이라고 보도하는 실수를 했었다.[28] 원작 독자들이 추천글 등에서 언급할 때도 'GL 요소'나 무슨무슨 요소가 있다며 서브컬쳐적 요소를 은근히 어필해 영업하는 수준의 언급을 할 뿐이지, 원작 웹툰 창작자 측은 물론 다수의 독자들도 직접적으로 'GL 장르'로 못 박지는 않았다.[29] 에컨데 드라마로도 유명한 만화 《꽃보다 남자》 시리즈에는 '학원폭력'과 '일진'의 요소가 풍부하지만, '로맨스'가 중심인 해당 만화나 그걸 원작으로 만든 드라마들을 "학원폭력물"이나 "일진물"로 소개하는 보도 및 평론 타이틀을 뽑는 건 틀린 이야기가 된다.[30] 의도적으로 "19금 레즈비언 드라마"라는 아예 원작 웹툰과도 상관 없는 선정적 타이틀을 단 군소매체의 기사가 나오기도 했었다.[31] 원작의 마지막에서 《스터디그룹》 주인공인 윤가민쿠키에서 나온다.[32] 물론 U+모바일tv 오리지널 드라마의 경우 다른 OTT 플랫폼들과 달리 자사 드라마를 다른 OTT 플랫폼에 동시 스트리밍 서비스 하는 독특한 방식을 취하고 있기는 하지만, 이 작품 제작 시기를 기준으로는 아직까지 TVING만은 그 대상에서 빠져있다. 기본적으로 그동안 동시 스트리밍을 함께 해온 다른 OTT 플랫폼과 달리 TVING은 직접적으로 드라마 제작 플랫폼로서 경쟁사이기 때문인듯 하다.[33] 제작사/방송사가 달라도 크로스오버가 된 케이스는 다른 나라의 경우도 드물다. 미국 드라마 애로우버스 같은 사례가 있긴하나 희귀한 케이스다. 이미 원작사의 다른 세계관의 드라마 《아일랜드》가 원작의 카메오 전략을 없애고 독립 작품으로 나온 같은 제작사의 선례가 있거니와, 무엇보다 《스터디그룹》 실사 드라마에서 윤가민 역을 맡은 배우 황민현은, 이 작품 촬영 기간에 병역이행 복무 중이기 때문에 촬영이 불가능하다.[34] 2023년 봄부터 이미 공개적으로 배우 모집을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