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22 23:04:32

소년시대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요루시카 보컬 suis의 디지털 싱글에 대한 내용은 소년시대(노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000000><colcolor=#fad910> coupang play 오리지널
소년시대 (2023)
Boyhood
파일:소년시대_2차 포스터 01.jpg
언어별 제목
[ 펼치기 · 접기 ]
[[한국어|
한국어
]] 소년시대
[[영어|
영어
]] Boyhood
[[일본어|
일본어
]] 少年時代
[[중국어|
중국어
]] 少年時代
장르 청춘, 코미디, 학원, 액션, 시대극, 성장, 드라마
공개일 2023년 11월 24일 ~ 2023년 12월 22일
공개 시간 매주 금요일 오후 8시[1]
공개 회차 10부작
제작사 더스튜디오엠[2][3]


<colbgcolor=#000000><colcolor=#fad910> 기획 김성한[4]
연출 이명우
극본 김재환[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000><colcolor=#fad910> 제작 유진오[6]
보조작가
안지선
촬영 윤대영, 신기창[B팀]
미술 신승준
음악 개미 }}} }}} }}}
출연 임시완, 이선빈, 이시우, 강혜원[8]
촬영 기간 2023년 6월 3일 ~ 2023년 9월 12일[9]
스트리밍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파일:대만 국기.svg : friDayVideo |
[[LINE TV|
LINE TV
]] | LiTV
시청 등급 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 청소년 관람불가
링크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
1.1. 예고편1.2. 포스터1.3. 메이킹
2. 등장인물3. 음악4. 에피소드 목록5. 평가6. 흥행7. 촬영지8. 기타
8.1. 드라마 관련8.2. 배우 관련8.3. 후속작 논의
9.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1989년 충청남도, 안 맞고 사는 게 일생 일대의 목표인 온양 찌질이 병태가 하루아침에 부여 짱으로 둔갑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
2023년 11월 24일부터 12월 22일까지 공개된 쿠팡플레이 오리지널 드라마.
==# 공개 정보 #==

1.1. 예고편

▲ 1차 예고 ▲ 2차 예고

1.2. 포스터

파일:소년시대_1차 포스터.jpg
파일:소년시대_2차 포스터 01.jpg
파일:소년시대 2차 포스터(2).jpg
▲ 1차 포스터 ▲ 2차 포스터
파일:소년시대 캐릭터 포스터 01_병태.jpg
파일:소년시대_캐릭터 포스터 02_지영.jpg
파일:소년시대_캐릭터 포스터 03_경태.jpg
파일:소년시대_캐릭터 포스터 04_선화.jpg
▲ 캐릭터 포스터

1.3. 메이킹

※ 회차 구분은 해당 회차 공개 이후 해당 회차 스포일러를 포함한 메이킹이라는 의미로 일부 이전 회차 메이킹도 포함됨.
파일:소년시대 로고.png 메이킹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ad910> 회차 제목 링크
- 소년시대 | 쿠플에서 만나요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소년시대 | 오프닝 시퀀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2화 소년시대 | 위클리 비하인드 EP.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소년시대 | 위클리 비하인드 EP.2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소년시대 | 왓츠 인 부여즈 백팩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소년시대 | 스텝 지대루 밟아볼텨~? | #ㄱㄴ챌린지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소년시대 | 부여의 땐쓰킹 왔슈~| #ㄱㄴ챌린지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소년시대 | 다같이 추면 을매나 재밌게유~? | #ㄱㄴ챌린지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소년시대 | 같이 춰볼텨~? | #ㄱㄴ챌린지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4화 소년시대 | 위클리 비하인드 EP.3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소년시대 | 위클리 비하인드 EP.4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소년시대 | 밸런스 게임 1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소년시대 | 충청도 사투리 능력 고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소년시대 | 코멘터리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소년시대 | 뽀삐뽀 챌린지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6화 소년시대 | 위클리 비하인드 EP.5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소년시대 | 위클리 비하인드 EP.6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소년시대 | 밸런스 게임 2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소년시대 | 병태의 슬릭백 챌린지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소년시대 | 충청도 사투리 클래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8화 소년시대 | 위클리 비하인드 EP.7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소년시대 | 위클리 비하인드 EP.8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소년시대 | 플레이박스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9-10화 소년시대 | 위클리 비하인드 EP.9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소년시대 | 위클리 비하인드 EP.10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소년시대 | 미공개 애드리브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소년시대 | 미공개 NG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소년시대 | 웃음 가득한 촬영 현장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소년시대 | 흑거미네 오픈 하우스 (feat. 병태)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소년시대 | 하드털이 조각 모음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 }}} ||

2.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소년시대/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음악

※ Original Sound Track 가창곡은 모두 공개기간 중 디지털 음원 발매 되었음.
<rowcolor=#fad910> 파일:소년시대 로고.png Original Sound Track
트랙 아티스트 Part 제목 작사 작곡 링크
1 노라조 OST Part.1 이판사판 이명우 채태식
오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 Munan OST Part.2 When I was young 개미
Klozer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 모어(More) OST Part.3 깊은 밤에 우리 개미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 임시완 OST Part.4 Take me home 이명우
BenAddict
이의건
BenAddict
이의건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Original Score Track 연주곡/가창곡은 모두 공개기간 후 OST 음반에 수록 되었음.
파일:소년시대 로고.png Original Score Tra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ad910> 트랙 아티스트 제목 비고
CD1
1 (※ 공개기간 중 디지털 음원 발매된 Original Sound Track 4곡 정보 및 순서와 동일함)
2
3
4
5 개미
이준화
나가 말이여
6 홍동표 부여 흑거미
7 이준화 장병태? 정경태?
8 SHOON 두근두근햐
9 박정환 농고한마당
10 개미 비켜유
11 SHOON Little by Little
12 홍동표 택견 축구
13 이준화 What Happened?
14 박정환 미행
15 개미 한잔들 햐
16 전찬웅 각성의 시간
17 전찬웅 Splash Ver.1
18 SHOON 이건 작전에 없는 얘긴디
19 전찬웅 Splash Ver.2
20 박정환 장븅태
21 이준화 Fight
22 개미 흐미
23 홍동표 미워도 다시 한번
24 개미
이준화
부여농고 교가
25 이준화 돌아돌아송
26 개미
이성구
우리의 소년시대
CD2
1 SHOON 부여 블루스
2 이준화 나는… 온양의 왕찌질이 장병태다
3 박정환 Coward The Great
4 홍동표 처신들 잘햐
5 전찬웅 사랑에 빠지면
6 SHOON 일진
7 이준화 니가 워쩐 일이여?
8 박정환 Chicken
9 홍동표 피를 묻혀야 제맛
10 SHOON 아무래도 망한 것 같은디
11 이준화 아산 백호의 출현 Part.1
12 이준화 아산 백호의 출현 Part.2
13 박정환 What an Action
14 홍동표 몸이 확 그냥
15 전찬웅 깊은 밤에 우리 (Piano Ver.)
16 SHOON 하아 미치겄네
17 이준화 Once Upon A Boyhood
18 박정환 A Sad Coward
19 홍동표 절권도
20 SHOON 오함마
21 이준화 The Punisher
22 박정환 What am I Gonna Do Now...
23 홍동표 우덜이 우스웅 겨?
24 SHOON 복수혈전
25 이준화 Revenge
26 박정환 Inbetweeners
27 홍동표 가오가 상하니께
28 SHOON 경태 환자가 깨어났어요
29 SHOON 아산백구
30 이준화 Backstreet
31 박정환 An Outbrust of Emotion
32 SHOON 지질이들
33 전찬웅 어두운 골목길
34 SHOON 쓸쓸햐
35 박정환 The Mask Girl
36 이준화 Before The Fight
37 SHOON 일벌의 비행
38 SHOON 허연 호랭이
39 홍동표 세 자루 2만원
40 SHOON 의리
41 이준화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
42 SHOON 촌것들
43 SHOON 작전상 후퇴여
}}} }}} }}} ||
※ Non-Original Sound Track 삽입곡으로 쓰인 기성 가창곡으로 2차 발매 없음.
파일:소년시대 로고.png Non-Original Score Track
개수 아티스트 제목 비고
1 박남정 널 그리며 [18]
2 나미 빙글빙글

4. 에피소드 목록

<rowcolor=#fad910> 파일:소년시대 로고.png 에피소드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word-break: keep-all"
<rowcolor=#fad910> 회차 부제 줄거리 공개일 러닝 타임
1화 와호장룡:전설의 시작 온양의 찌질이 병태는 부여로 전학을 가게 되고, 새로운 학교에 적응할 생각에 눈앞이 캄캄하다. 하지만 전학 간 학교에서 마주한 일진들은 병태의 눈치만 살피는데. 11월 24일 55분
2화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 병태는 자신이 전설의 싸움꾼 '아산 백호'로 오해받고 있다는 사실을 말하려 하지만 기회를 놓친다. 그러던 중 부여의 퀸카 선화를 난처한 상황에서 구해주는데. 52분
3화 웬만해선 그들을 막을 수 없다 선화를 병태에게 빼앗긴 공고 일진은 병태와 한 판 붙기 위해 농고로 쳐들어온다. 이에 분노한 병태와 일진들은 부여공고와의 대대적인 전쟁을 준비하는데. 12월 1일 52분
4화 봄날은 간다 같은 반으로 전학 온 경태. 병태는 그가 아산백호라는 것을 직감한다. 한편, 선화와 달콤한 데이트 중인 병태를 누군가가 찾아 온다. 52분
5화 사랑과 전쟁 학생회장까지 출마하게 된 병태에게 지영은 병태에게 나서지 말라고 조언하지만, 병태는 이를 무시한다. 한편, 병태의 심기를 건드리는 사람이 생기는데. 12월 8일 57분
6화 모든 것, 모든 곳, 한꺼번에 진짜 아산백호가 밝혀지고, 부여 농고에 피바람이 불기 시작한다. 다시 밑바닥 찌질이 인생으로 돌아온 병태. 그런 병태의 사랑도 우정도 점점 위태로워진다. 53분
7화 미워도 다시 한번 병태는 모든 것을 잃었지만, 경태는 학생회장에 출마하고 성대한 생일파티까지 열며 선화까지 차지한다. 한편, 대망의 학생회장 선거날이 다가오는데. 12월 15일 61분
8화 복수혈전 모함에 빠진 병태의 아버지는 경찰서에 잡혀가지만, 병태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 결국, 병태는 복수를 위해 힘을 키우기로 결심하고 지영은 병태를 돕는다. 55분
9화 반칙왕 복면 뒤에 숨은 병태의 기막힌 복수가 시작된다. 병태는 지영의 특별 과외를 받으며 농고 무리들을 물리칠 일대일 맞춤 작전을 시작한다. 12월 22일 47분
10화 육룡이 나르샤 지영은 점점 부상이 심해지는 병태를 보며 걱정한다. 한편, 병태는 아산 백호를 이기기 위한 꼼수를 생각해 낸다. 과연 병태의 복수는 성공할 수 있을까? 60분 }}}
}}} }}} }}}

5. 평가

[include(틀:평가/TV 프로그램 평점,
IMDb=tt28486727, IMDb_user=7.8, ## IMDb_highlight=display,
레터박스=boyhood-2023, 레터박스_user=3.7, ## 레터박스_highlight=display,
Filmarks=14482/19741, Filmarks_user=3.9, ## Filmarks_highlight=display,
도우반=36382114, 도우반_user=7.3, ## 도우반_highlight=display,
왓챠=tE3AWKm, 왓챠_user=3.8, ## 왓챠_highlight=display,
키노라이츠=126263, 키노라이츠_light=94.12, 키노라이츠_star=3.9, ## 키노라이츠_highlight=display,
TMDB=232812, TMDB_user=84, ## TMDB_highlight=display,
MyDramaList=750639-the-hidden-dragon, MyDramaList_user=8.4, ## MyDramaList_highlight=display,

6. 흥행



7. 촬영지

8. 기타

8.1. 드라마 관련

8.2. 배우 관련

8.3. 후속작 논의

※ 이 문단은 기준으로 여전히 개발 단계에 있는 논의로, 출처로 인용된 보도는 제목보다 내용에 집중해 서술함.* 2023년 12월 중순, 공개기간 중에 보도된 인터뷰를 통해 이명우 감독은 조심스럽게 넌지시 시즌2의 가능성에 대해서도 열어두었다.# 기획 단계부터 어느 정도 '시리즈'를 생각하고 만들었으며, 농담처럼 떠도는 '소녀시대'는 계획에 없지만 세계관 자체가 '확장'될 기회가 있다면 시도해볼 수도 있을 것이라고 고려의 여지를 남겨두었다. 연출자나 주연진 뿐만 아니라 조연진 역시 시즌2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그러나 촬영기간에 3개월이라는 짧은 기간이 걸리긴 했지만 준비기간을 따졌을 때 전체적으로는 다른 드라마들과 비슷하게 1년 정도가 걸린 작품이라는 점을 생각해보면, 세간에 떠도는 농담 섞인 소망처럼 3개월만에 시즌2를 촬영할 수 없는 노릇이기 때문에 실제 제작여부가 결정되는 것은 차후의 일이다.[119]

9. 둘러보기

{{{#!wiki style="color: #bfd73d;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2021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제목 출연진 회차
<colbgcolor=#ebffff,#191919> 어느 날 김수현, 차승원, 김성규 8부
}}} }}} }}} ||
{{{#!wiki style="color: #bfd73d;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2022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제목 출연진 회차
<colbgcolor=#ebffff,#191919> 안나 수지, 정은채, 김준한, 박예영 6부
유니콘 신하균, 원진아 12부
복학생: 학점은 A지만 사랑은 F입니다 권혁수, 주현영 8부
판타G스팟 안희연, 배우희, 박선호, 최광록, 홍석천 8부
}}} }}} }}} ||
{{{#!wiki style="color: #bfd73d;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2023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제목 출연진 회차
<colbgcolor=#ebffff,#191919> 미끼 장근석, 허성태, 이엘리야 12부
소년시대 임시완, 이선빈 10부
}}} }}} }}} ||
{{{#!wiki style="color: #00bd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2024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제목 출연진 회차 동시방영
<colbgcolor=#ebffff,#191919> 하이드 이보영, 이무생, 이청아, 이민재 12부 JTBC
새벽 2시의 신데렐라 신현빈, 문상민 10부
}}} }}} }}}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공개일 미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제목 출연진 회차
<colbgcolor=#ebffff,#191919> 인플루엔자 박정민, 지수 미정
가족계획 배두나, 백윤식, 류승범, 로몬, 이수현 미정
사랑 후에 오는 것들 이세영, 사카구치 켄타로, 홍종현 6부
}}} }}} }}} ||


[1] 일주일에 2편씩 공개. #[2] 이명우 피디가 열혈사제 연출 후 SBS를 퇴사해 2019년 12월 26일에 설립한 제작사.[3] 전작 어느 날에 이어 두 번째 제작 드라마이면서 두 번째 제작 쿠팡플레이 오리지널 드라마이자, 첫 단독 제작 드라마이다.[4] 쿠팡플레이 대표.[5] 작품의 배경이 1989년이다 보니 감독 뿐만 아니라 작가의 나이도 궁금해하는 시청자가 많았는데, 정확한 나이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또래"라는 이명우 감독의 표현을 볼 때 연출자와 나이차가 크지 않은 듯 하다. 참고로 이 작품이 첫 드라마 각본으로 이전까지는 영화 작업만 했는데, 2003년부터 영화 시나리오 각색 작업으로 각본가 경력을 시작해, 영화 고령화 가족 (2013), 영화 세계일주 (2015)의 공동 각본에도 참여했다.[6] 더스튜디오엠 대표.[B팀] [8] #[9] 캐스팅 약 7개월 / 촬영 약 3개월[10] 자세한 사항은 에피소드 목록 문단 참조.[11] 그는 이어 "제가 기획하고 곧 촬영에 들어가는 작품 역시 학생 때 했던 상상에서 시작했다. 4월쯤 촬영하고 올 연말 선보이는 것이 목표"라며 "코믹 장르와 묵직한 장르를 번갈아 하고 있는데 이번에는 밝은 코믹 액션 장르"라고 귀띔했다.[12] 출처는 프로필투어를 위해 공고된 오디션 정보.[13] 8월 9일 기준으로 촬영 27회차. 출처는 출연자 인스타그램 스토리.[14] 출처는 출연진 인스타그램.[15] 출처는 언론 보도 및 각 주조연 배우들의 인스타그램 스토리.[16] 기타 문단 관련 내용 참조.[17] 각 배우들의 오디션 과정은 기타 문단 관련 내용 참조.[18] 출처 및 저작권 정보는 크레딧 참조.[19] 단 언론에 계속 '신예'나 '신인 배우'라는 표현이 등장하면서 일부 시청자에게 오해가 있는데, 찾아보면 경력 자체는 오래된 조역 배우들도 많으며, 필모그래피가 짧은 조역 배우라 할 지라도 일반적으로 '학생 시기와 겹친 배역'들이나 '이름이 아예 없는 배역'들은 공식 표기 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그런 것일 뿐이다. 즉 단순히 포털이나 데이터베이스에 검색되는 필모그래피만 보고 그 배우들이 실제로 연기에 입문한 이력을 판단하기는 힘들다. 그러니 '신인', '신예'라는 표현을 쓰는건 대중을 기준으로 한 표현임을 유의. 특히 소속사가 있는 배우의 경우에는 더더욱 필모그래피 관리를 하는 편이다.[20] 이명우 감독 스스로도 "낯선 배우가 나오면 시청자는 어색함을 느끼고, 연출자는 걱정이 앞서는데 그 모든 게 잘 정착됐다."라고 발언한 바가 있다.[21] 자세한 내용은 기타 문단의 관련 서술 참조.[22] 그래서 강선화의 별명이 '부여의 소피 마르소'로 설정되어 있기도 하다.[23] 정확히 표현하면, 이 작품 1화 시청량을 기준으로 집계한 시청량 상승 수치.[24] 정확한 수치는 아래 표 참조.[25] 이 수치는 이 작품의 리뷰·평점 집계일시와 동일한 기준으로 수집되어, 이 작품 공개기간을 기준으로 기존에 공개된 쿠팡플레이 오리지널 드라마 전체 기준(예능 스핀오프 콘텐츠 제외)으로 객관성 입증을 위한 근거로 작성됨. 또한 문서의 객관성을 담보하기 위한 자료 목적이므로, '최저/최고 리뷰 개수·평점'의 작품은 서로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26] 쿠팡플레이 이용자 공시 자료.[27] 드라마 흥행 자체에 대한 의구심보다는 후술된 내용처럼 쿠팡플레이 사용 환경 자체에 대한 불안감 문제에 가깝다.[28] 아울러 직전에 공개된 7화, 8화 예고편 영상도 기존 예고편들의 조회수 경향과 달리 100만을 쉽게 도달했다.# 6화를 기점으로 쇼츠나 몰아보기 등의 편집 영상에 대한 반응도 급증하면서, 기존에 작품을 봐오던 시청자를 제외한 다른 유튜브 이용자들에게도 작품에 호기심이 생긴 결과로 보인다.[29] 전술된 내용처럼 쿠팡플레이는 스포츠 중계가 주력 콘텐츠이다. 프레임 단위로 1분 1초가 긴박하고 중요한 스포츠 중계 서비스 업체에 있어서, 서버 오류가 그대로 노출된 상황은 드라마 자체의 홍보에는 도움이 되지만 사측 입장에서는 상당히 민감한 일인 셈이다. 때문에 이렇게 후속 보도를 통해 거의 2000%에 달한 기이할 정도의 수치를 재빨리 공개한 듯 하다.[30] 인터뷰 타이틀 직접인용.[31] "드라마가 얼마나 예쁜지! 연출도 예술이고, 임시완 배우는 천재다. '소년시대홀릭'이 돼서 강인한 다짐으로 절제하며 하루에 딱 두편씩만 봤다. 하루 만에 전체 에피소드를 몰아보면 삶의 낙이 없어질 것 같았기 때문이다. 충청도 사투리를 쓰는 작품을 만나고 싶다는 생각을 처음 하게 됐다."[32] 출처는 각 개인의 본인 인스타그램 및 직접 관련자 인스타그램 혹은 정식 매체 보도. (출처 입증이 불가능한 인물 추가 금지)[33] 보도에 등장한 표현#[34] 이런 표현이 가능한 이유는 월간 사용자는 지속적으로 누적되기만 하는 수치가 아니기 때문이다. 쿠팡 와우의 부가서비스임을 참작하더라도, 쿠팡 와우 자체를 탈퇴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월간 사용자 수 그래프가 깊거나 얕은 계곡을 그리며 변화하는 것은 정상적인 상황이다.[35] 촬영지 정보는 바로 아래 정보 참조.[36] 착시 관련 내용 기타 문단 후술된 내용 참조.[37] 일부에 의해 잘못 알려진 정보인, 국가 이름이 들어간 'D제과'가 아님을 주의. 해당 가게의 2023년 8월자 거리뷰를 확인하면 촬영 종료 후 비어있는 가게를 확인할 수 있다. 즉 8월 이전이나 그즈음 '미미빵집' 관련 촬영은 모두 종료된 상황으로 보인다.[38] 유튜브 등에서 저기는 부여가 아니라는 부여 사람의 지적이 있으면 춘천 사람이 춘천이라며 설명하는 댓글이 달리기도 했다.[39] 당연하지만 80년대 농업고등학교이기 때문에 수세식 화장실이 아니라 재래식 화장실이다.[40] 원본이 되는 폰트 자체가 이순신 장군의 실제 필치에서 모티프를 얻어 제작된 것이기 때문에, 이 작품의 타이틀 타이포그래피처럼 화려할 수는 없다.[41] 제작 전 단계부터 편성에 대해 보조출연자를 모집하는 에이전시 측에서는 tvN을, 기타 협력 업체 측에서는 JTBC를 거론하기도 해서 주연 배우의 팬들 사이에 혼선이 있었지만, 결과적으로 쿠팡플레이 편성만이 실제 제작을 진행하는 제작진 측을 통해 직접적으로 알려진 유일한 편성 채널이다.[42] 다만 |"흡연과 욕설을 좀 더 순화해서 TV 드라마로 갈지를 아예 고려하지 않은 건 아니고, 조금은 그런 생각도 있었다. 그런데 많은 사람이 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우리의 타깃층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다."라는 이명우 감독의 인터뷰 발언을 볼 때, 제작사 내부에서는 기획 초기 TV 편성처도 분명 선택지 중의 한 곳으로 고려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43] 강선화를 연기한 배우 강혜원의 인터뷰에 따르면 '서울 사람'이라는 설정을 지시 받았다고 한다. 다만 감독의 연기 디렉팅은 상황 이해를 돕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지고 이 작품의 경우 각본가가 따로 있기 때문에, 실제로 강선화의 인물 설정이 '서울 출신'이었는지 각본가 본인이 설정을 따로 밝히지 않는 이상 알 수 없다.[44] 언론 인터뷰 시 등장한 '유일하게 사투리를 쓰지 않는'이라는 표현 때문에 혼란이 있을 수 있지만, 편집 영상이 아니라 실제 작품을 감상했다면 주인공들에 한정한 이야기에 불과함을 쉽게 알아차릴 수 있다. 언론 인터뷰 자체가 주인공들 중심의 이야기가 될 수 밖에 없고 구태여 주변 인물에 대해 이야기를 풀어놓으면 감독과 작가가 애써 감춰놓은 장치들을 미리 노출하는 행동이 되기 때문에 사용한 표현으로 보인다.[45] 출생은 서울이지만 학창시절을 보낸 실제 고향은 부산이다.[46] 기획 단계에서 진행되었던 가제 자체가 '와호장룡'이었던 점을 생각해보면. 열혈사제장룡의 캐릭터성 자체가 이 작품의 '와호'와 '장룡'의 모티브 중 하나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47] 이명우 감독 "'소년시대', '열혈사제' 장룡 통해 시작된 작품"[48] 여담이지만 가제가 '와호장룡'이었고 전작의 등장인물인 '장룡'이 '부여' 출신이었기 때문에, 작품 공개 전 정보가 많지 않았을 시기 장병태와 극 중 등장할 여주인공이 서로 부부가 되고 그 둘 사이에서 태어난 것이 '장룡'이 아닐까 하는 추측이 일부 있기도 했다. 하지만 이는 작품이 공개되기 이전의 일이고 이명우 감독이 '열혈사제' 시리즈에서 손을 떼게 됨에 따라 단순한 상상에 불과하게 되었다. "작품 자체의 세계관에 집중"한다는 발언으로 볼 때 '소년시대' 속 '부여'는 그 자체로 완결된 세계관으로 판단된다.[49] 언론에서도 "드라마에서 매회 등장한 흡연 장면은 공중파가 아닌 쿠팡 OTT라 가능했고, 담배라는 아이템 자체가 일탈의 상징으로 비친 감독의 애환도 심히 공감이 간다. 첫 등장부터 클리세만 범벅한 흔하디 흔한 추억팔이 드라마로 치부될 뻔했음에도 간만에 추억과 웃음을 짓게 만드는 좋은 드라마로 기억될 듯하다."라고 표현했다.[50] 2차 포스터 기준.[51] 예를 들면 분기점이 되는 6화 이후, 이전까지의 부여농고 패거리들의 표정과 이후의 표정을 세심하게 다시 살펴봤다는 시청자들이 다수 생겨났을 정도다.[52] |"흡연과 욕설을 좀 더 순화해서 TV 드라마로 갈지를 아예 고려하지 않은 건 아니고, 조금은 그런 생각도 있었다. 그런데 많은 사람이 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우리의 타깃층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된 "18세 이상에게 도달하는 게 훨씬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다는 감독의 주제 전달 의도 관련 서술 참조.[53] 크레딧에는 영문 표기인 'Post-production Supervisor'의 한글 발음 표기로 올라갔다.[54] 2023년 11월 20일 있었던 제작발표회에서 이명우 감독이 작품을 설명하면서 '우리 드라마에는 화려한 CG가 없지만'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이 바로 이런 이유에서이다.[55] 단순히 복고풍 카페만 찾으면 되는 것이 아니라, 직전에 정경태가 강선화와 잠시 마주치기만 했던 차분한 조명의 경양식집은 물론이고 장병태가 강선화와 처음 마주쳤던 음악다방과도 분위기가 180도 달라야 한다는, 즉 시퀀스가 의도하는 분위기 묘사가 가능한 장소여야 한다는 제약사항이 있다. 때문에 경태와 선화 정식 첫 만남 시퀀스에 등장하는 지나치게 현대적인 카페 역시 전체적으로 새하얀 톤이다.[56] 때문에 소수 의견이지만 '서울 사람들'이 어떻게 하는지 집착하는 강선화의 성향을 반영한 장소 설정이 아닌가 하는 의견도 있다.[57] 작중 배경은 1989년 여름이고 소련 해체와 러시아 연방 건국은 1991년 말.[58] 1989년 당시 이라크의 국기는 2008년에 바뀐 현행 국기와 같이 적-백-흑 삼색기이나 중간에 알라후 아크바르가 아닌 별 3개가 그려져 있는 형태였다.[59] 비트의 영향도 물론 있겠지만, 해당 영화의 바이크 장면 자체가 천장지구를 의식한 장면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둘 다 같은 홍콩 영화를 의식한 후계 작품들이다.[60] 임시완을 포함한 주연들의 인터뷰를 참고하면, 소품의 경우 배우 측에서 각자가 준비한 것으로 보인다.[61] 다만 작품 공개기간 기준으로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김관우 선수가 금메달을 따며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가 주목을 받은 직후라 혼란이 온 탓인지, 유튜브 쇼츠 등에 달린 댓글에는 상대적으로 더 유명한 과거 시리즈인 스트리트 파이터 2로 착각하는 반응이 많았다.[62] 저작권 정보는 1화, 7화 크레딧 참조.[63] 비슷하게 스포츠 경기나 드라마 등을 극 중 삽입한 작품들의 경우 해외 스트리밍 버전에는 블러 처리가 되거나 다른 화면으로 대체하는 경우가 많다. TV 방영용 작품이 TV 방영 관련 권리만 해결한 경우에는 국내 스트리밍 버전에도 블러 처리 하는 경우가 있다.[64] 물론 1988 서울 올림픽이라는 세계적 이벤트가 끝난 직후라는 점에서 1989년 연도 설정 자체도 큰 의미가 있다.#[65] 약해보이지 않고 기선을 제압하는 방법을 조언했다.[66] 다만 참고했을 만큼 오히려 최대한 다르게 갔기 때문인지 후술된 내용에도 있듯이 추구하는 장르나 주제는 전혀 다르다.[67] 1회에 클로즈업으로 등장하는 학생증을 통해 드러난다.[68] 전설의 셔틀의 경우 '오늘부터 우리는!!' 같은 일본 작품 뿐만 아니라 소재 측면에서는 한국 웹툰 '셔틀맨'이 독자들의 오해를 감수하며 빵셔틀 소재를 양지로 끌어낸 부분에서 영향을 받기도 했다.[69] 블랙위도우의 의미인 검은과부거미처럼 독거미 자체를 의도했을 가능성도 있지만, 작중 싸움 실력이나 날랜 몸짓으로 볼 때 묘사 상으로도 실제 '블랙위도우(검은과부거미)'보다는 캐릭터로서의 '블랙위도우' 쪽에 더 가깝다.[70] 예를 들어 상술된 작품 중 엔젤전설을 모르는 세대는 주로 폭풍의 전학생을 많이 언급하기도 했는데, 해당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해당 웹툰 자체가 엔젤전설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은 작품이다.[71] 상술된 내용에도 있지만 이명우 감독이 이 작품을 구상하게 된 모티브가 된 2019년 드라마 열혈사제의 인물 '장룡'이 당시 '충청도 사람'으로 설정된 것은, 역할을 맡았던 배우 본인이 충청도 출신이었기 때문에 생긴 우연의 결과물이다.[72] 소수의견으로, 피끓는 청춘 남주인공 강중길이도 병태와 같은 '찌질이'이며, 박영숙은 '흑거미' 지영에, 서울 전학생인 최소희는 '소피 마르소' 선화에, 홍성공고 짱 조광식은 '백호' 경태에 완벽하게 대응된다는 주장도 있다. 하지만 이는 두 작품 다 편집 영상만 봤거나, 오히려 해당 영화를 제대로 감상하지 않은 사실이 드러나는 분석이다. 해당 영화에 등장하는 '중길'은 병태와 180도 다른 소문난 바람둥이로 차라리 선화에 가까우며, 선화에 대응된다고 주장한 서울 전학생 '소희'는 차라리 경태에 가깝다. 이렇게 되면 남은 두 사람, 서로 동맹을 맺고 홍성 일대를 접수한 여자 짱 '영숙'과 남자 짱 '광식'은 각각 지영과 병태에 대응되어야 하지만, '영숙'과 '광식' 역시 지영과 병태에 정확히 대응되지 않는다. 배경이 겹쳤다는 단순 해프닝을 "인물 구도가 같다"는 주장으로 비약하다 보니 해당 영화 속 인물들의 성격까지 억지로 바꿔버린 셈이다.[73] 대부분 친필이었지만 편집 기간 중 전부 친필로 모집할 수 없었는지, 일부 참여자의 편지는 돋움체 폰트로 작성된 메시지를 사용했다.[74] 당연한 사실이지만 이 표현은 영화가 존재하기 이전부터 사용하던 관용구다.# 참고로 "피 끓는"이 올바른 맞춤법이며 "피끓는"은 고유명사인 해당 영화 제목으로 사용될 때에만 올바른 맞춤법이다.[75] 예를 들어 외주 제작사가 제작해 카카오TV, 넷플릭스에 납품한 아름다웠던 우리에게가 배우 이름이 엉뚱하게 틀렸지만 수정 없이 그대로 유통 완료 되었다. 자료를 넘기는 과정에서 중도 누락이나 오타가 발생한 것.[76] 정경태의 증명사진은 보건소에서 학생증을 통해 등장했고, 정병태의 증명사진은 강선화의 증명사진을 지갑에 챙기는 도중에 학생증을 통해 등장했다. 박지영의 증명사진은 별도로 등장하지 않았기 때문에 후술된 정식 공개 사진의 경우 다른 사진을 증명사진처럼 만든 것으로 보인다.[77] 이 작품에서 '학교폭력'은 결코 '호쾌한 학원액션'으로 다루어지지 않는다.[78]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게 반대의 상황을 보여주면서 반면교사 의도했다."[79] 쿠팡플레이 역시 다른 대형 OTT 서비스들과 마찬가지로 'OTT 자체등급분류제도'의 자격을 갖춘 서비스 중 한 곳이다. 즉 영상물등급위원회의 '사전심의'를 받지 않고, 자체적으로 등급 결정이 가능하다. 사실 OTT 드라마는 물론 TV 드라마 중에서도 이 작품과 똑같은 수준의 청소년의 비행묘사가 나오는 15세 이용가 작품도 적지 않은 점을 생각해보면 청소년 이용불가 등급을 설정한 것은 과할 정도로 조심한 결과물에 가깝다.[80] "9부 10부까지 n차(전체감상)를 하셔야 '이런 메시지가 있었구나'라는 걸 알 수 있을 것 같고 코미디 작품을 만들고 있지만 균형점을 맞추려고 노력했다. 현실과 이상적인 상황에 괴리는 항상 있지 않냐. 10화 끝에 가면 메시지다운 메시지가 나오는데 그건 기성세대에게 던지는 것"이라고 전했다.[81] 넷플릭스 드라마 더 글로리도 비슷하게 복수와 사적제재에 대해서 성인들이 잘 보고 판단하기를 바라며 처음부터 청소년 이용불가를 염두에 두고 제작하였다. 이 작품이나 더 글로리나 몇몇 장면만 편집했으면 충분히 15세 이용가를 받을 수도 있었을 것이었지만, 작품의 주제가 오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러지 않았다.[82] 엄밀히 말하면 실제로 드라마를 시청한 시청자 보다는 유튜브 쇼츠나 편집 영상만을 보고 엔젤전설처럼 짱이 되고 유지하는게 주요 내용인줄 착각한 비시청자들 중에 많았던 반응이다.[83] 최대한 반전이나 결말에 대한 예상을 가리려는 노력이었는지, 매주 나오는 예고편은 당연할 정도로 음성과 영상을 따로 붙인 편집이 많아 실시간 시청자들은 본편을 예상하기 어려웠다. 여기에 쿠팡플레이 유튜브 채널에서 공개한 자체 콘텐츠 등에서도 배우들이 작품과 관련된 소품이나 상황에 대해 이야기를 할 때 일부러 아예 예상이 불가능하도록 최대한 돌려서 말하기도 했다. 마지막회까지 공개되어 빈지워칭이 가능한 시점에 보면 별 것 아닌 속임수이지만, 공개기간 당시 실시간으로 보던 시청자들은 매주 본편 전개 예상에 번번히 실패했던 효과적인 속임수였다.[84] 시청량 약 3,000% 상승이라는 수치는# 작품 자체 집계 결과이므로 첫회부터 아주 큰 관심을 받았다고 보기는 어렵다.[85] 이는 이 작품 뿐만 아니라 교복을 착용하는 학원물 작품이 대부분 그런 편이다.[86] 출처는 라디오 방송 발언 및 각 배우들의 개인 인스타그램.[87] 그래서 연휴 첫날인 23일에 크리스마스 인사 영상이 공개되기도 했다.[88] 상술된 내용에도 있지만 주인공 장병태 역의 임시완 역시 용띠다.[89] "감독님이 애초에 나랑 비슷해 보이는 또래를 맞춰줬다. 나는 오히려 편했다. 그 무리에 껴 있을 수 있어서 나는 오히려 편했다. 심지어 나보다 한 살 많은 형도 있었다" 참고로 여기서 말하는 "한 살 많은 형"은 '쟈니윤' 윤영호 역을 맡았던 1987년생 배우 김윤배를 말한다.[90] "제가 캐스팅을 오래하고 많이 보고 여러 차례 보는 걸로 소문이 나 있다. 배우 입장에서는 긴장하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는데 (후략)"[91] 오디션을 볼 시점이라면 촬영 스케줄이 명확하게 나온 단계가 아니기 때문에, 섣불리 다른 드라마나 영화 오디션을 보기도 어려워진다. 즉 제작진이 실제로 기획을 완성하고 촬영까지 안전하게 끝마친 다음 편성까지 완벽하게 해낼 거라는 믿음이 없으면, 결코 쉽게 기다리기는 어려운 기간이다.[92] 이게 어려운 이유는 단순히 작품 공개 시기가 비슷하게 겹치는 문제를 떠나, 이동 거리까지 포함해 명확한 촬영 스케줄 배분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두 작품 동시 진행이 가능하려면 다른 한쪽의 작품은 촬영 비중이 적거나, 해당 배우 자체가 어떻게든 캐스팅 하고 싶은 배우라서 양쪽 제작진이 스케줄을 조율해줄 수 있는 경우라야만 한다.[93] 초고에 대한 임시완의 호평을 감안할 때 김재환 작가가 영화 시나리오를 전문으로 하던 작가라 일반적인 드라마 작가들처럼 구체적인 대사의 맛에 중점을 두기 보다는 전체 구성에 더 중점을 두었을 가능성이 있다. 영화는 드라마와 달리 작가의 권한이 적은 편이라 구성을 확실히 세워놓지 않으면 자기 크레딧을 챙기기 어려운 산업 구조이다.[94] 임시완은 위스키에 깊은 취미가 있다.#[95] "시완이 형이 배우들을 많이 챙겼다. 밥도 사 먹이고 좋은 위스키를 가져와서 한잔하기도 하며 친밀도를 높여줬다. 누구 하나 빼먹지 않더라. 리더십을 배우고 싶었다. 시완이 형은 정말 건강한 사람이다. 미래를 바라보고 안주하지 않으려 노력하는 모습이 존경스럽다"[96] 단순히 역할의 크고 작음이 문제가 아니라 분량이 적을 경우 출연료도 상대적으로 적어지게 되고 그렇게 되면 소속사 측에 나눠줘야 할 배분도 줄어들게 된다. 그래서 소속사가 있는 배우라면 출연을 결정할 때 개인적인 호의로 해주는 카메오가 아닌 이상 분량을 고려하는게 당연할 수밖에 없다.[97] "선빈이에게는 분위기를 휘어잡는 느낌이 있다. 배우들이 연기하기 편하게, 스태프들이 재밌게 촬영할 수 있게 만들어 준다. 긍정적이고 예쁜 에너지가 있다"[98] "그런 게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신인이라면 기회가 있어야 한다. 잘 하고 싶어도 조심스러워서 못하는 친구들이 있더라. 한두 살이라도 많고 조금이라도 더 경험이 있는 언니가 같이 다녀주면서 인사라도 시켜주는 것이 큰 힘이 된다는 걸 알았다. 저 역시 좋은 선배들을 만나왔고, 그분들에게 후배들에게 대하는 태도를 많이 배웠다." 참고로 같은 날 인터뷰에서, 마찬가지로 과거 자신을 배려해줬던 선배 배우 김혜수에 대한 감사를 표하기도 했다.#[99] 주인공과 해당 인물 간의 관계 대해 '설렌다'는 감상과 더불어 주인공이 자꾸 해당 인물과 엮이는 것이 '답답하다'는 감상을 동시에 불러 일으켰다는 점에서, 이시우가 전작에서 연기했던 윤민재와 이 작품 속 강선화의 포지션은 상당히 유사하다.[100] 오디션 당시 기준으로 드라마 형식 뮤직비디오 출연 이력을 제외하면, 무려 주연만 12명이 되는 게임 원작 웹드라마 출연 이력 및 웹드라마 형식의 웹툰 원작 웨이브 오리지널 드라마 출연 이력 정도만 있다. 롱폼 드라마 기준으로 보면 분량 측면에서 볼 때 조연 경력 정도만 있는 셈이라 당연히 첫 번째 픽이긴 어렵다.[101] 임시완과는 부산으로 고향이 같으며 이선빈과는 같이 붙는 장면이 적었음에도 먼저 다가와줘서 친해졌다고 한다.[102] 극의 전개를 세세하게 따져서 '단단하다'와 '최강자'라는 표현에 각각 이견이 있을 수도 있으나 전반적인 인물의 인상을 표현한 것이라고 보면 납득할 만한 표현이다. 무엇보다 작품 홍보를 위한 인터뷰임을 감안하면 분량이 적은 편인 배역에 대해 굳이 스포일러가 되는 발언을 할 필요는 없다.[103] 2023년 12월 기준으로도 이 영화는 쿠팡플레이 독점 스트리밍 상태이기 때문에 극장 개봉 당시 챙겨보지 못했다면, 그전에는 첫 감상 혹은 재감상이 어려웠을 수도 있다.[104] 극 중 등장한 정확한 표현은 "아주 주댕이가 매를 부르게 생겼네"[105] 자세한 사항은 임시완 문서 참조.[106] 이 드라마 공개 당시 기준 가장 근작인 미션 파서블이나 오케이 마담 외에도 여러 작품에서 액션을 조금씩 갈고 닦았다.[107] 촬영지는 상술된 내용 참조.[108] 참고로 이는 극의 진행에 영향을 주는 캐릭터 만들기 자체에 대한 해석 이야기가 아니라, 좁은 의미로 이상진 배우 자신이 연기하는 톤만을 이야기한 것이다. 각본 상에서 이미 호석이 병태를 협박하는 뉘앙스는 그려져 있기 때문이다. 물론 자신이 생각한 배역 해석을 관철하기 위해 연출이나 각본 영역까지 상의하는 배우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상당한 중견 배우거나 감독과 기획 단계에서부터 1:1 상의가 가능한 주인공 배역 정도가 아니면 불가능하므로, 이상진 배우의 인터뷰는 그런 범위를 말한 것이 아니다.[109] 다만 이명우 감독은 생일이 빨라 1989년 당시에는 극 중 주인공들 보다 한 학년 선배인 고등학교 3학년이었다. 복잡한 설명을 줄이기 위해 언론에는 '주인공 보다 한 살 많은 이명우 감독' 정도로 표현 되었다.[110] 물론 생수를 의도한 제품 자체는 존재했으나 당시 대중이 일반적으로 생각하고 있던 개념의 문제라고 보면 된다. 정반대의 예시이지만 단순히 '교복 자율화'라는 기억이나 기록만을 놓고 1989년에는 교복을 입은 학교가 없었다고 잘못 알고있는 것과 비슷한 종류의 오해. 애초에 연출자인 이명우 감독 자체가 드라마 속 주인공들과 정확히 같은 나이임을 감안하면, 자신의 학창시절 당시의 전반적인 분위기를 큰 틀에서 녹여내고 있다고 보면 판단이 쉽다.[111] 이마저도 스토리 포커스가 다른 인물 쪽에 있으면 카운트에서 시간을 뺀 표라고 한다.[112] 당연하지만 애드리브는 일반적인 오해와 달리 즉흥으로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리허설 단계나 더 이전인 대본 리딩 단계에서 연출자와 직접적인 협의를 거쳐 이루어진다. 즉 배우들의 애드리브가 그대로 작품에 실렸다는 것은 단순히 그 순간 어울려서 혹은 촬영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어서 쓴 것이 아니라, 연출자와 작가가 의도했던 바를 잘 살렸다는 의미다. 물론 상의 없이 애드리브를 하는 사례가 아예 없지는 않으나, 이 작품의 경우 상의 과정을 메이킹과 배우 인터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113] 경태 어머니가 하는 '미미빵집' 촬영에서 사용된 제품인 태극당 제품, 즉 극 중 등장하는 빵과 동일한 제품이다. '미미빵집'으로 활용된 촬영지 정보는 상술된 관련 내용 참조.[114] "지금도 '소년시대' 출연진이 모인 휴대전화 단톡방은 시시때때로 알림이 울린다. 안부를 나누고 작품을 모니터하면서 울리는 알림이다."[115] 이는 이명우 감독이 인터뷰에서 장병태에 대해 직접 밝힌 평가이기도 하다.[116] 자세한 사항은 공개 정보 문단의 관련 내용 참조.[117] 출처는 김윤배 배우 개인 인스타그램 프로필 참조.[118] 메이킹 비하인드 영상의 전체 목록은 메이킹 문단 참조.[119] 오리지널 각본일 뿐만 아니라 이명우 감독 본인이 몸담고 있는 제작사의 작품이기 때문에 후속작 확률이 더 높기는 하지만 똑같이 오리지널 각본이었던 전작에서도 일단 시즌2 가능성을 무조건 열어뒀던 점을 생각하면, 작품 공개기간 중에 보도된 인터뷰에서 당장 시즌2 가능성을 최대한 열어두려는 부분은 감독 개인 성향의 발현이라고 보면 된다.[120] 참고로 대자본이 투입되는 영화의 경우 개발 단계만 길게는 몇 년 걸리기도 한다. 대중은 프로덕션 기준으로 소식이나 보도를 접하기 때문에 간과되는 부분이지만, 영화·드라마 제작 과정에서 캐스팅이나 촬영 같은 프로덕션 단계 보다는 프리프로덕션 단계가 더 중요하다.[121] 사방신 상징을 계속 사용할 지 아니면 흑거미 지영이 중심이 되는 스핀오프가 되면서 오히려 곤충 상징이 등장할 지 등등[122] 제작사나 쿠팡플레이 입장에서도 막상 이 작품을 확정 지었다가 다른 작품을 놓치게 될 위험이 있다.[123] "메디컬이 가미된 로코물을 준비 중인데 이건 TV 채널로 나갈 것 같다. 또 실존 인물을 배경으로 한 글로벌 프로젝트 착수도 임박해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