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7:12:55

수학/약어 및 기호

수학 기호에서 넘어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과학/기호
, 문자(수학)
,
,
,
,

1. 개요2. 논리3. 범주4. 대수5. 기하6. 증명 서술7. 참고 자료

1. 개요

수학에서 쓰이는 약어와 기호에 대해 정리한 문서. 수학적 의미를 지니는 이탤릭체와의 구분을 위해 로만체(정체)로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2. 논리

수학기초론
Foundations of Mathematic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다루는 대상과 주요 토픽
수리논리학 논리 · 논증{귀납논증 · 연역논증 · 귀추 · 유추} · 공리 및 공준 · 증명{증명보조기 · 자동정리증명 · 귀류법 · 수학적 귀납법 · 반증 · 더블 카운팅 · PWW} · 논리함수 · 논리 연산 · 잘 정의됨 · 조건문(조각적 정의) · 명제 논리(명제 · 아이버슨 괄호 · · · 대우) · 양상논리 · 술어 논리(존재성과 유일성) · 형식문법 · 유형 이론 · 모형 이론
집합론 집합(원소 · 공집합 · 집합족 · 곱집합 · 멱집합) · 관계(동치관계 · 순서 관계) · 순서쌍(튜플) · 서수(하세 다이어그램 · 큰 가산서수) · 수 체계 · ZFC(선택공리) · 기수(초한기수) · 절대적 무한 · 모임
범주론 범주 · 함자 · 수반 · 자연 변환 · 모나드 · 쌍대성
계산가능성 이론 계산 · 오토마타 · 튜링 기계 · 바쁜 비버 · 정지 문제 · 재귀함수
정리
드모르간 법칙 · 대각선 논법 · 러셀의 역설 · 거짓말쟁이의 역설 · 뢰벤하임-스콜렘 정리 · 슈뢰더-베른슈타인 정리 · 집합-부분합 정리 · 퍼스의 항진명제 · 굿스타인 정리 · 완전성 정리 · 불완전성 정리(괴델 부호화) · 힐베르트의 호텔 · 연속체 가설 · 퍼지 논리
기타
예비사항(약어 및 기호) · 추상화 · 벤 다이어그램 · 수학철학
틀:논리학 · 틀:이산수학 · 틀:이론 컴퓨터 과학 · 철학 관련 정보 · 논리학 관련 정보 · 수학 관련 정보 }}}}}}}}}



기호 약어 영어 표기 한국어 뜻 TeX 문법
for all
for arbitrary
for any
모든 ~에 대해 \forall
(there) exist 존재한다 \exists
! unique 유일하다[1] !
∃! uniquely exist 유일하게 존재한다 \exists!

[math(\sf iff)] if and only if 동치[A] \leftrightarrow
\Leftrightarrow
{\sf iff}
=[3] equal (to) 같다 =
not equal 같지 않다, 다르다[4] \ne
\neq

3. 범주

기호 약어 영어 표기 한국어 뜻 TeX 문법
isomorphism 동형 사상 \cong

4. 대수

[[대수학|대수학
Algebra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이론
기본 대상 연산 · 항등식(가비의 이 · 곱셈 공식(통분 · 약분) · 인수분해) · 부등식(절대부등식) · 방정식(/풀이 · (무연근 · 허근 · 비에트의 정리(근과 계수의 관계) · 제곱근(이중근호 · 개방법) · 환원 불능) · 부정 · 불능) · 비례식 · 다항식 · 산술(시계 산술)
수 체계 자연수(소수) · 정수(음수) · 유리수 · 실수(무리수(대수적 무리수 · 초월수) · 초실수) · 복소수(허수) · 사원수 · 팔원수 · 대수적 수 · 벡터 공간
다루는 대상과 주요 토픽
대수적 구조
군(group) 대칭군 · 기본군 · 자유군 · 리 군 · 괴물군 · 점군 · 순환군 · 군의 작용 · 동형 정리 · 실로우 정리
환(ring) 아이디얼
체(field) 갈루아 이론 · 분해체
대수 가환대수 · 리 대수 · 불 대수(크로네커 델타)
마그마·반군·모노이드 자유 모노이드 · 가환 모노이드
선형대수학 벡터 · 행렬 · 텐서(텐서곱) · 벡터 공간(선형사상) · 가군(module) · 내적 공간(그람-슈미트 과정 · 수반 연산자)
정리·추측
대수학의 기본정리 · 나머지 정리 · 유클리드 호제법 · 부분분수분해 · PID 위의 유한생성 가군의 기본정리 ·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 · 바이어슈트라스 분해 정리 · 호지 추측미해결 · 가환대수에서의 호몰로지 추측미해결
관련 하위 분야
범주론 함자 · 수반 · 자연 변환 · 모나드 · 쌍대성 · 토포스 이론 · 타입 이론
대수 위상수학 연속변형성 · 사슬 복합체 · 호몰로지 대수학(호몰로지 · 코호몰로지) · mapping class group · 닐센-서스턴 분류
대수기하학 대수다양체 · · 스킴 · 에탈 코호몰로지 · 모티브
대수적 정수론 타원곡선 · 디오판토스 방정식 · 유리근 정리 · 모듈러성 정리
가환대수학 스펙트럼 정리
표현론 실베스터 행렬
기타 및 관련 문서
수학 관련 정보 · 추상화 · 1학년의 꿈 · 노름 · 혼합계산 · 분배법칙 · 교환법칙 · 결합법칙 · 교재 }}}}}}}}}
기호 약어 영어 표기 한국어 뜻 TeX 문법
[math(\sf congr.)] congruence relation 합동(modulo equation) \equiv
{\sf congr.}
isomorphism 동형 \cong


[math(\sf approx.)]
[math(\sf aprx)]
approximately equal 비슷하다 \approx
\fallingdotseq
\risingdotseq
{\sf approx.}
{\sf aprx}
asymptotic equality 점근적으로 같다 \simeq


proportionality
similarity
비례 \sim
\backsim
\propto
[math(\sf const.)] constant 상수 {\sf const.}

5. 기하

위상수학 포함.
기호 약어 영어 표기 한국어 뜻 TeX 문법
[math(\sf cyc.)] cyclic 순환하는 {\sf cyc.}
isomorphism 동형[5] \cong

6. 증명 서술

기호 약어 영어 표기 한국어 뜻 TeX 문법
[math(\sf WLOG)] without loss of generality 일반성을 잃지 않고 {\sf WLOG}
[math(\sf TFAE)] the following are all equivalent 다음은 모두 동치이다.[A] {\sf TFAE}
[math(\sf ETS)] easy/enough to show 다음을 보이는 것은 쉽다/것으로 충분하다. {\sf ETS}
[math(\sf RTS)] remain to show 다음의 증명이 남아있다/다음을 증명하면 완료된다. {\sf RTS}
[math(\sf WTS)] what/want to show 다음을 보이자/~를 보이고 싶다 {\sf WTS}
[math(\sf s.t.)]
[math(\sf st)]
such that
satisfying
다음과 같은 (성질을 만족하는) {\sf s.t.}
{\sf st}
[math(\sf N.t.)] note that 기억하자 {\sf N.t.}
[math(\sf rmk)] remark 떠올려보자, 강조 {\sf rmk}

[math(sf Q.E.D.)] quod erat demonstrandum[라틴] 증명 완료 \blacksquare
\square
{\sf Q.E.D.}
[math(\sf i.e.)] id est[라틴]
that is
즉, 다시 말하면 {\sf i.e.}
[math(\sf e.g.)]
[math(\sf ex)]
exempli gratia[라틴]
For example
예를들면/이를테면 {\sf e.g.}
{\sf ex}


[10]
[math(\sf def.)] definition 정의 \xlongequal{\sf def}​
:=
=:
\triangleq
{\sf def.}
[math(\sf cf)] confer 참조 {\sf cf}
since
because
때문에 \because
thus
therefore
hence
따라서 \therefore
suppose
assume
~라 가정한다[11]
one and only one 단 하나만
one and only one of the following 다음 중 오직 하나만이
[math(\sf pf)] proof 증명 {\sf pf}
[math(\sf sol)] solution 풀이 {\sf sol}
claim 주장
[math(\sf cond.)] condition 조건 {\sf cond.}

7. 참고 자료



[1] 표기가 같은 팩토리얼, 완전순열과 혼동에 유의할 것.[A] TFAE는 여러 명제에 대해 쓰이고, iff는 두 명제에 대해서만 쓰이는 차이점이 있다. 그리고 품사(?) 정도의 차이가 있다.[3] 형태가 다양한 등호들이 있지만, 대표기호 1개만 표시한다.[4] 컴퓨터공학에서는 표기상 한계로 ~=, !=, /=, <>를 쓴다.[5] 주로 등거리 변환 아래 동치관계를 의미한다.[A] [라틴] [라틴] [라틴] [10] ≔와는 의미상 차이가 있다. A := B는 "B를 A라고 부른다," 즉 A를 정의하는 것인 반면, A =: B는 "A를 B라고 부른다," 즉 B를 정의하는 것이다. ≔를 주로 쓰긴 하지만 ≕를 쓰는 것이 흐름이나 의미상 더 자연스러운 경우가 간혹 있다. 예컨대 먼저 복잡한 식을 제시하고 여러 단계를 거쳐 전개/간결화하고 난 후 최종적으로 나온 결과를 어떤 상수로 정의하는 경우.[11] suppose는 실제론 거짓인 명제를 참으로 두고 모순이나 반례를 보일 때 자주 사용하고, assume은 실제로 참인 명제를 참으로 두고 논리전개할 때 자주 쓴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5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