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9 09:33:12

신혼여행

1. 개요2. 선호되는 여행지3. 허니문 베이비4. 여담

1. 개요

신혼여행(新婚旅行) 또는 허니문(honeymoon), 밀월 여행(蜜月旅行)은 신혼 부부결혼식 이후에 떠나는 여행을 가리킨다. 대부분 결혼식 직후 출발하지만, 여러 사정으로 뒤로 미루는 경우도 있다.

"인생에 한 번뿐인 여행"이라는 수식어가 붙기도 한다. 원 의미의 신혼이 아니면서도 여행을 두 번, 더 나아가 세 번 이상 다녀오면서 신혼여행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물론 상황에 따라 가능하기도 하다.

영어로는 허니문(honeymoon)이라고 하며, 이를 한자로 직역한 어휘가 밀월(蜜月)이다. 그러나 허니문은 반드시 어딘가로 떠나는 것만을 가리키지 않고, 신혼 직후에 부부가 단둘이 갖는 휴식(vacation) 또는 그 기간을 가리키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신혼에 버금가는 친밀한 관계를 비유할 때에도 허니문 또는 밀월이라는 표현을 쓰기도 한다.

기타 유럽어권에서도 '꿀의 달'이라는 의미의 단어를 쓰고 있다. 어원에 대해서는, 신혼부부가 1달 동안 꿀술 등의 음료를 마시는 데에서 유래했다는 설과, 신혼의 첫 1달이 가장 달콤한 때라는 뜻에서 유래했다는 설, 달도 차면 기울듯 신혼의 달콤함도 1달이면 끝이라는 옥스퍼드 사전의 해설 등이 있긴 하다.

한국에서는 어떤 유명인이 이성과 함께 어딘가 놀러다녀오기만 해도 밀월 여행 운운하는 경우를 찾아볼 수 있는데, 어휘력 부족에서 기인한 잘못된 용법이다. 밀월은 '꿀 밀(蜜)'자를 써서 허니문을 직역한 단어에 불과하며, '비밀'의 '밀'은 '빽빽할 밀(密)'로 전혀 다르다.

2. 선호되는 여행지

한국인의 신혼여행지는 시대에 따라 변해 왔다. 전근대 및 근현대 초까지만 해도 신혼여행이라는 개념 자체가 없었고 일단 1950년대부터 1980년대 중후반(1988년)까지는 일반 국민들의 해외여행이 제한되어 있었기 때문에 해외로 나가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했다. 따라서 대부분의 신혼부부들이 특별히 관광을 가지 않고 서울 등의 시가지를 한 번 둘러보거나, 좀 형편이 나은 가정은 며칠간 온천 등 국내여행을 다녀오는 것이 보통이었다.

이 당시에 인기 있었던 신혼여행지로 충청남도 아산시온양온천, 충청북도 충주시의 수안보온천, 경상남도 창녕군부곡하와이 등이 있다. 특히 부곡하와이 같은 경우는 경상북도 경주, 부산 등과 패키지로 묶어서 새마을호 전세편을 이용해서[1] 가는 경우가 많았다.

1980년대부터는 제주도(제주특별자치도)가 인기 여행지로 부각되기 시작하여, 비행기 김포-제주 항공노선을 이용하여 제주도 가는 것이 신혼부부의 상징이자 특권[2]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1990년대 초반까지도 신혼부부들이 꽤 왔다.

1989년해외여행 자유화 조치가 이루어짐에 따라 해외로 떠나는 신혼부부가 상류층을 중심으로 늘어났다. 그리고 실제 해외 신혼여행이 본격화된 건 1990년대 중반 경이다. 당시에는 과소비를 비판하는 목소리도 높았지만 결국 해외 신혼여행이 대세가 된 지 오래. 해외여행도 초기에는 , 사이판 등이 인기였으나 시간이 흐를수록 다양한 여행지가 개발되고 있다.

낭만적인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서인지 주로 해외의 도서지역이나 해안지역에 가는 경우가 많다. 대체로 많이들 갔던, 혹은 많이들 가는 신혼여행지로는 다음과 같은 곳이 있다. 음력 윤달[3]에 이 지역으로 간다면 신혼부부가 많이 없어서 상대적으로 여유롭게 관광을 즐길 수 있다.

3. 허니문 베이비

신혼여행 중인 부부가 성관계를 하게 되는 경우, 식전에 관계를 가졌는가의 여부와 별개로 속칭 첫날밤이라고 부른다. 신혼여행 중의 부부관계는 공식적인 부부가 된 이후로 첫 성관계가 되기 때문에 신혼여행에서 중요한 이벤트 중 하나로 꼽힌다. 신혼여행 때의 성관계로 임신을 하게 되면 속칭 '허니문 베이비'를 가졌다[5]고 하며, 이 비슷한 개념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널리 퍼져 있었기 때문인지 순우리말 중에도 '말머리 아이'라는 표현이 존재한다. 옛날엔 결혼을 할 때 말을 타고 가곤 했는데, 신랑신부가 말을 타자마자 임신했다는 뜻이다. 허니문 베이비를 강하게 원하는 부부의 경우 아예 가임기간에 맞춰 신혼여행 계획을 짜는 경우도 있다.

결혼하기 전 길게 연애를 한 경우나 장거리 여행이나 바쁜 여행일정으로 피로해진 경우라면 신혼여행 중 한 번도 부부관계를 갖지 않는 경우도 있다. 만약 허니문 베이비가 계획에 있을 경우는 '관광보다는 휴양 위주의 코스'를 추천하기도 한다.

4. 여담



[1] 당시 철도청에서 '신혼열차'라는 별도의 상품을 꾸려 판매하기도 했다. 1987년에 제작된 대한뉴스 '신혼열차' 편.[2] 1980년대 중반까지는 제주도 신혼여행도 여유가 있어야 가능하기도 했다.[3] 2001년 5월 23일~6월 20일(윤4월), 2004년 3월 21일~4월 18일(윤2월), 2006년 8월 24일~9월 21일(윤7월), 2009년 6월 23일~7월 21일(윤5월), 2012년 4월 21일~5월 20일(윤3월), 2014년 10월 24일~11월 21일(윤9월), 2017년 6월 24일~7월 22일(윤5월), 2020년 5월 23일~6월 20일(윤4월), 2023년 3월 22일~4월 19일(윤2월) 등 달력의 음력 날짜 앞에 ‘윤’자가 붙는 모든 달.[4] 흔히 '뉴칼레도니아'로 알려져 있다.[5] 일반적으로 임신 기간은 266일로 알려져 있고, 100일 잔치를 더하면 거의 1년이 된다. 결혼 1주년과 백일잔치를 거의 같은 시기에 한다면 허니문 베이비일 확률이 높고 개중에는 둘이 겹치는 일도 가끔 일어난다.[6] 실제로는 기록상으로는 사츠마 번사이자 삿쵸동맹의 실질적 공헌자로 알려진 코마츠 타테와키가 최초(료마보다 10년 정도 먼저)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