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4 10:22:28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국가별 전적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
1. 개요2. 남미(CONMEBOL 소속)
2.1. 브라질과 상대전적(라이벌)2.2. 우루과이와 상대전적(라이벌)2.3. 그 외 남미팀 상대전적
3. 아시아(AFC 소속)
3.1. 대한민국과 상대전적
3.1.1. 대한민국과 역대 경기결과
3.2. 주요 아시아팀 상대전적3.3. 그 외 아시아팀 상대전적
4. 아프리카(CAF 소속)
4.1. 주요 아프리카팀 상대전적4.2. 그 외 아프리카팀 상대전적
5. 북중미카리브(CONCACAF 소속)
5.1. 주요 북중미카리브팀 상대전적5.2. 그 외 북중미카리브팀 상대전적
6. 유럽(UEFA 소속)
6.1. 잉글랜드와 상대전적(라이벌)6.2. 프랑스와 상대전적(라이벌)6.3. 독일과 상대전적(라이벌)6.4. 네덜란드와 상대전적(라이벌)6.5. 주요 유럽팀 상대전적6.6. 그 외 유럽팀 상대전적
7. 오세아니아(OFC 소속)
7.1. 주요 오세아니아팀 상대전적7.2. 그 외 오세아니아팀 상대전적

1. 개요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의 국가별 전적 및 관계를 다룬 문서. 총 211개국 중 88개국과 A매치 전적이 있다.
2025.09.10. 기준 (최근경기: vs 에콰도르 0:1 패)

아르헨티나는 세계 정상급 대표팀인만큼 거의 대부분의 국가에게 상대전적에 있어 압도하고 있다. 아르헨티나가 상대전적에서 열세인 국가는 총 8개국에 불과하다. 브라질, 잉글랜드, 이탈리아, 덴마크, 네덜란드, 노르웨이, 중국, 카메룬이 전부이다. 특이한 점은 북위 50도 이상의 북반구에서도 북쪽 지방 국가들에게 의외로 강한 모습을 보이지 못했다는 점인데, 여기에 속하는 국가들이 잉글랜드를 비롯해 벨라루스, 리투아니아 등 옛 구소련 구성국들과 북유럽의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 아이슬란드 그리고 이들과 신체 조건이 유사한 네덜란드까지 해당된다.

2. 남미(CONMEBOL 소속)

2.1. 브라질과 상대전적(라이벌)

파일: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colcolor=#fff> 역대 전적
파일: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2019).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ARG A매치 파일:브라질 국기.svg BRA
<nopad> 112 [1]
<colbgcolor=#440><colcolor=#fff> 43 <nopad> 26 <colbgcolor=#440><colcolor=#fff> 43
168 득점 (+1) <nopad>
백중세
167 득점 (-1)
에밀리오 발도네도(7) 최다득점자 펠레(8)
파일:득점 아이콘.svg 득점 순위[2]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누적 퇴장(4)[3]
선수 기록 파일:득점 아이콘.svg 득점 순위[4]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누적 퇴장(5)[5]
<nopad> 최근경기: 아르헨티나 승 (2025)

남미의 영원한 두 라이벌의 경기는 탱고와 삼바의 대전 또는 외국에서는 아메리카의 수페르클라시코(Superclassic of the Americas)[6], 아메리카 대전(Battle of the Americas)이라 불린다. FIFA에서는 이 맞대결을 축구 라이벌의 정수(essence of football rivalry)로 소개하기도 한다.

이들의 경쟁은 비단 스포츠에서 유래된 것은 아니다. 역사적으로도 각각 스페인, 포르투갈의 식민지배를 받았고 19세가 독립 이후 영토 및 우루과이 독립 문제 등으로 아르헨티나-브라질 전쟁을 치르기도 한다. 지리적인 이유로 많은 교류가 있는 건 사실이지만 이러한 역사적, 정치적 사실들로 인해 두 나라 사이는 상당히 감정적으로 얼어붙어있다. 현재도 남미의 패권을 둔 팽팽한 기싸움이 이어지고 있다. 두 나라 관계의 자세한 사항은 브라질-아르헨티나 관계 참고.

그러니 축구가 곧 인생인 그들에게는 라이벌 의식은 당연하다. 펠레와 마라도나, 가린샤디 스테파노, 최근에는 네이마르 주니오르리오넬 메시에 이르기 까지 당대 슈퍼스타 사이의 라이벌 의식도 빼놓을 수 없는 요소이다.
두 라이벌의 최초의 경기는 1914년 9월 20일이었고 아르헨티나가 2-0으로 승리했다. 하지만 일주일 뒤 27일에는 브라질이 1-0 승리를 가져간다. 초기 1950년대까지 물론 치열했지만 아르헨티나가 우세하다가 1960년에는 백중세 경향을 띤다. 1970년대는 1970년 아르헨티나가 한 차례 승리한 것을 제외하면 거의 대부분 브라질의 승리로 끝난다. 이후 1980년대부터는 현재에 이르기까지 접전을 보여주는데 양팀 A매치 100번째 경기에서는 브라질이 2-1로 승리하였고 39승 24무 37패의 초접전을 보인다.
월드컵에서는 총 4번 만났다. 상대전적은 브라질 2승, 아르헨티나 1승 그리고 무승부 1경기이다.
<nopad> 1974-06-30
<nopad> 1:2
<nopad> 파일:1974 FIFA 월드컵 서독 로고.svg 1974 FIFA 월드컵 8강 준결승리그 A조 2차전
첫 만남은 1974 서독 월드컵으로 당시 8강 조별리그에서 맞붙었던 것이다. 당시 아르헨티나는 이미 네덜란드에 0-4로 완패한 상황이어서 승리가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었다. 32분 미겔 앙헬 브린디시의 프리킥골로 앞서간 아르헨티나는 35분에 호베르투 히벨리누에게 동점골을 허용한데 이어 49분에 자이르지뉴에게 역전골을 헌납하면서 1-2로 패한다. 최종전에서 동독과 비긴 아르헨티나는 2차 조별리그 최하위로 탈락했고 브라질은 네덜란드에 밀려 조 2위로 3위 결정전으로 떨어지게 된다.[7]
<nopad> 1978-06-18
<nopad> 0:0
<nopad> 파일:1978 FIFA 월드컵 아르헨티나 로고.svg 1978 FIFA 월드컵 8강 준결승리그 B조 2차전
1978 아르헨티나 월드컵에서도 동일하게 8강 2차 조별리그에서 맞붙어 0-0으로 득점없이 무승부를 거두었다. 특히 당시 개최국 아르헨티나의 편파판정과 야유는 악명이 높았는데, 양 팀의 맞대결보다 더 큰 이슈를 불러모았던 것은 바로 최종전 아르헨티나와 페루의 경기였다. 이 경기는 월드컵 사상 가장 더러운 경기중 하나로 불릴 정도로 논란이 있는 경기이다.[8] 결과적으로 아르헨티나는 페루에 대승을 거두면서 브라질을 골득실에서 따돌리고 대망의 결승전에 오르게 된다. 그리고 아르헨티나는 조국에서 당대 최강 네덜란드를 격파하며 사상 첫 월드컵 우승을 이룬다.[9]
<nopad> 1982-07-02
<nopad> 1:3
<nopad> 파일:1982 FIFA 월드컵 스페인 로고.svg 1982 FIFA 월드컵 12강 준준결승리그 C조 2경기
4년 뒤 1982 스페인 월드컵에서 리벤지 매치가 이루어진다. 양 팀은 12강 2차 조별리그에서 맞붙었는데, 당시 아르헨티나-브라질-이탈리아라는 역대 최악의 조가 편성되었고 특히 이 경기에서 경기막판 디에고 마라도나가 퇴장당했고 경기는 브라질에 1-3 완패를 당한다. 브라질이 지쿠, 세르지뉴 슐라파, 레오 주니오르가 연달아 득점에 성공한데 반해 아르헨티나는 89분에서야 라몬 디아스가 1골을 만회하며 간신히 0패를 면할 수 있었다. 아르헨티나는 첫경기에서 이탈리아에 패했기 때문에 2패로 탈락이 확정되었다. 하지만 브라질도 마지막 경기에서 이탈리아에 2-3으로 패하면서 이른바 데 사리아 참사로 4강 진출에 실패하고 말았다.
<nopad> 1990-06-24
<nopad> 0:1
<nopad> 파일: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로고.svg 1990 FIFA 월드컵 16강 토너먼트
1990 이탈리아 월드컵에서는 16강전에서 맞붙었는데 아르헨티나가 경기 막판에 터진 클라우디오 카니히아의 골로 1-0 승리를 거둔다. 당시 경기 이후 브라질은 아르헨티나 선수들이 음료에 진정제 성분을 타서 먹였다고 강력하게 비난하지만 아르헨티나는 이를 부정하는데 이른바 성수(Holy water) 스캔들로 유명하다.

이러한 라이벌 관계는 2014 브라질 월드컵에서도 이어졌는데, 준결승전에서 독일에 1-7이라는 참패를 겪은 브라질 팬들이 오히려 결승전에 아르헨티나가 올라가자 절대로 우리 안방에서 아르헨티나가 우승하는 것은 죽어도 못 본다면서 굴욕을 안긴 차악 독일의 우승을 응원하는 슬픈 이야기도 있다.
코파 아메리카에서 우승횟수로는 아르헨티나가 16회, 브라질이 9회로 압도적으로 아르헨티나가 우세하다.[10] 초기 코파 대회는 리그전이었고 당시 가장 중요한 경기로 뽑히는 것은 1937년 코파로 명명되기 전인 남아메리카 챔피언십 1937년 대회이다. 역시 리그전이었으나 둘의 승점이 같아 최종전인 결승전을 치르는데, 비센테 데라마타의 2골로 아르헨티나가 우승한다. 이후 수많은 경기를 치렀는데 가장 회자되는 경기중 하나는 1991년 코파 아메리카 결선리그에서 아르헨티나가 브라질에 3-2로 승리한 경기이다. 이 경기가 유명한 이유는 경기 중 양팀 충돌로 무려 1경기에서 5명이 퇴장을 당했기 때문이다.
<nopad> 2004-07-25
<nopad> 2:2
2[P.S.O.]4
<nopad> 파일:2004_Copa_América_logo.svg.png 2004 코파 아메리카 페루 결승전
이 대회에서 토너먼트가 도입된 것은 비교적 현대에 이르러서인데, 토너먼트 도입 이후 최초의 라이벌전은 2004 코파 아메리카 페루에서 실현되었다. 1-1 상황에서 정규시간 3분을 남기고 아르헨티나가 득점을 하지만, 아드리아누가 추가시간 극적인 동점골을 남기며 2-2로 끌고 갔고 승부차기에서 4-2로 승리하며 브라질이 우승한다.
<nopad> 2007-07-15
<nopad> 3:0
<nopad> 파일:2007 코파 아메리카 베네수엘라 로고.svg 2007 코파 아메리카 베네수엘라 결승전
3년 뒤 2007 코파 아메리카 베네수엘라 결승에서 두 팀이 2대회 연속으로 격돌하게 되었다. 하지만 지난 대회의 팽팽함은 오간데 없이 경기 시작 4분에 줄리우 밥티스타의 골을 시작으로 41분 로베르토 아얄라의 자책골 그리고 69분 다니 아우베스의 쐐기골이 터지면서 브라질이 아르헨티나를 3-0으로 완파한다.
<nopad> 2019-07-03
<nopad> 2:0
<nopad> 파일:2019 코파 아메리카 브라질 로고.svg 2019 코파 아메리카 브라질 4강 준결승전
2019년 코파 아메리카에서는 준결승전에서 격돌했다. 오랜 침체를 맞이했던 두 나라는 모두 우승을 통해 반전을 꾀하고 싶어했는데, 개최국 브라질이 가브리에우 제수스호베르투 피르미누의 득점으로 아르헨티나를 2-0으로 꺾고 결승에 올랐다. 이후 페루를 제압하고 우승 트로피를 들어올린다.
<nopad> 2021-07-11
<nopad> 1:0
<nopad> 파일:2021 코파 아메리카 브라질 로고.svg 2021 코파 아메리카 브라질 결승전
2021 코파 결승전에서 마주했고 여기서는 아르헨티나가 앙헬 디 마리아의 결승골로 개최국 브라질을 꺾고 승리하며 우승한다. 이 대회가 리오넬 메시의 첫 국가대표 메이저 트로피였다.
이 치열한 라이벌 관계와는 별개로 나름 돈독한 사이를 유지하는 선수들도 있다. 펠레디에고 마라도나는 그 라이벌 관계만큼이나 디스전을 벌이기도 했지만 둘의 친분과 우호적 교류는 그들이 세상을 떠나는 순간까지도 이어졌고, 메시와 네이마르 역시 친하기로 유명하다. 각종 빅클럽에 서로의 선수가 퍼져 있기에 사적으로 친분을 유지하는 선수는 상당한 편이다. 여담으로 두 라이벌전의 최다 득점자는 8골을 넣은 펠레이다.

2.2. 우루과이와 상대전적(라이벌)

파일: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colcolor=#fff> 역대 전적
파일: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ARG A매치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URU
<nopad> 204
<colbgcolor=#006><colcolor=#fff> 95 <nopad> 49 <colbgcolor=#006><colcolor=#fff> 60
326 득점 (+90) <nopad>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우세
236 득점 (-90)
리오넬 메시(6) 최다득점자 엑토르 스카로네(9)
파일:득점 아이콘.svg 득점 순위[12]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누적 퇴장(3)[13]
선수 기록 파일:득점 아이콘.svg 득점 순위[14]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누적 퇴장(1)[15]
<nopad> 최근경기: 무승부 (2024)
남미의 오랜 혈맹을 자랑하는 우방국이다. 당장 역사적으로도 우루과이 독립에 가장 큰 도움을 준 나라가 아르헨티나로 사실상 형제국가나 다름없다. 하지만 축구에서는 그런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지리적으로 붙어 있다면 순식간에 라이벌이 되는 것은 축구계에서 불문율이기 때문이다. 둘의 라이벌전은 양 팀을 상징하는 하늘색(La Celeste)에서 따온 셀레스테 더비 또는 라플라타 더비[16]로 알려져 있다.
두 라이벌은 시작은 월드컵 이전부터 시작되는데 그것은 무려 1902년으로 이것은 비단 라이벌의 시작일뿐만 아니라, 두 나라 축구 대표팀의 시작이기도하다. 양 팀의 첫 A매치를 함께한 것이다. 결과는 6-0 아르헨티나의 승리였다. 이렇게 시작된 라이벌전은 1927년까지 아르헨티나 41승, 우루과이 36승으로 꽤 팽팽했고 드디어 세계대회에서 메이저 첫 만남을 1928 암스테르담 올림픽 결승전에서 가지게 된다.[17]
<nopad> 1928-06-10
<nopad> 1:1
<nopad> 파일:1928 Summer Olympics stamp of football.jpg 1928 암스테르담 올림픽 남자축구 결승전
이 경기에서 선제 득점에 성공했던 것은 아르헨티나의 페드로 페트로네였지만 후반전 마누엘 페레이라의 동점골이 터지면서 1-1 무승부로 끝이 나며 재경기가 치러진다.
<nopad> 1928-06-13
<nopad> 2:1
<nopad> 파일:1928 Summer Olympics stamp of football.jpg 1928 암스테르담 올림픽 남자축구 결승전 재경기
결국 재경기까지 가게 되자 미묘한 신경전을 과열되었는데 치열한 경합 상황에서 17분 로메르토 피게로아의 선제골이 터지며 우루과이가 앞서가지만 28분, 루이스 몬티가 다시 승부를 원점을 돌린다. 팽팽했던 승부의 향방은 73분에 터진 엑토르 스카로네의 득점으로 여기서 우루과이가 2-1 승리를 거두며 24년 대회에 이어 2개 대회 연속으로 금메달을 목에 건다.[18]
<nopad> 1930-07-30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nopad> 2:4
<nopad> 파일:1930 FIFA World Cup Uruguay Poster.png 1930 FIFA 월드컵 우루과이 결승전
2년 뒤 사상 첫 FIFA 월드컵 결승전에서 아르헨티나와 우루과이의 역사적인 첫번째 월드컵 결승전이 열린다. 전반전 파블로 도라도의 선취골로 앞서간 우루과이지만 카를로스 페우셀레기예르모 스타빌레가 득점에 성공하며 아르헨티나의 2-1 리드로 전반전이 마무리된다. 하지만 후반전에는 우루과이의 무대였다. 페드로 세아, 빅토리아노 이리아르테, 엑토르 카스트로의 연이은 득점으로 이 역사적인 경기에서 우루과이가 4-2로 아르헨티나를 완파하며 월드컵 초대 우승의 영예를 누린다.
<nopad> 1986-06-16
<nopad> 1:0
<nopad> 파일:1986 FIFA 월드컵 멕시코 로고.svg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 16강 토너먼트
하지만 세월이 흐르며 우루과이가 암흑기를 맞이하고 양 팀의 전력과 대회 기록은 점차 역전되어 현재는 아르헨티나가 우세하나 여전히 그들에게 우루과이는 껄끄러운 라이벌인 것이 사실이다. 월드컵에서는 이후 1986년 멕시코 월드컵에서나 만나는데, 당시 아르헨티나가 페드로 파스쿨리의 득점으로 1-0으로 승리하였고 이것이 월드컵에서 마지막 만남이다.[19] 이러한 라이벌 분위기는 오랜만에 우루과이가 4강에 오르며 선전한 남아공 월드컵에서도 나타나는데, 8강에서 독일에 0-4 대패를 당한 아르헨티나와 비교하며 마치 개선 장군과 같이 국민들의 환호를 받으며 입국한다.
코파 아메리카 우승 횟수는 아르헨티나 16회, 우루과이 15회로 초박빙이다.[20] 특히 주요 경기에선 은근히 우루과이가 아르헨티나의 발목을 많이 잡았다.
<nopad> 1987-07-09
<nopad> 1:0
<nopad> 파일:1987 코파 아메리카 아르헨티나 로고.svg 1987 코파 아메리카 아르헨티나 4강 준결승전
1987 코파 아메리카 아르헨티나 준결승에서 우루과이는 안토니오 알사멘디의 득점에 힘입어 1-0으로 개최국 아르헨티나를 무너뜨리며 1년전 월드컵 대회의 복수를 했다. 우루과이는 이 대회에서 챔피언에 오른다.
<nopad> 2011-07-17
<nopad> 1:1
4[P.S.O.]5
<nopad> 파일:2011 코파 아메리카 아르헨티나 로고.svg 2011 코파 아메리카 아르헨티나 8강 준준결승전
이후 코파 아메리카나 월드컵 남미예선에서 자주 마주했다. 그 중에서 가장 중요했던 경기는 2011 코파 아메리카 아르헨티나 8강전이다. 경기 시작 5분만에 우루과이는 디에고 페레스가 득점했지만 17분 곤살로 이과인의 동점골이 터졌고 경기는 연장전까지 디에고 페레스하비에르 마스체라노가 각각 퇴장 당하는 등의 혈투를 벌였다. 하지만 결국 추가 득점이 터지지 않아 승부차기로 넘어가게 된다. 승부차기 끝에 카를로스 테베스의 실축으로 우루과이가 5-4로 승리하면서 홈팀 아르헨티나를 또다시 탈락(7등)시켰다. 34년만에 개최한 아르헨티나는 자국 대회에서 두 번 모두 우루과이에게 잡혔고 심지어 두 대회 모두 우루과이가 최종 우승을 차지했다.
두 나라 선수들 중에 대표적인 친분관계로 유명한 선수는 단연 리오넬 메시루이스 수아레스로 친형제와 같은 우애를 자랑하며, 브라질의 네이마르 주니오르와 함께 FC 바르셀로나의 영광의 시대를 함께한 편대로 회자된다.

2.3. 그 외 남미팀 상대전적

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 남미 축구 연맹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 43 31 5 7 116 36 +80
<rowcolor=#fff>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97 64 27 6 201 74 +127
<rowcolor=#fff>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43 21 12 10 74 42 +32
<rowcolor=#fff>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42 24 12 6 99 37 +62
<rowcolor=#fff>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108 56 35 17 219 113 +106
<rowcolor=#fff>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56 37 14 5 110 45 +65
<rowcolor=#fff>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29 24 3 2 94 19 +75
: 우세 | : 백중세 | : 열세

3. 아시아(AFC 소속)

3.1. 대한민국과 상대전적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E6002D>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svg국가별 상대전적
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 남미
}}} ||
{{{#002395,#6b90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55555,#ABABAB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 남미 축구 연맹(CONMEBOL) | 10/10 조우
<colcolor=#fff> 대표팀 국가 최다득점 최근 전적
<colcolor=#fff> M <colcolor=#0f0> W <colcolor=#ff0> D <colcolor=#f00> L <colcolor=#fff> + <colcolor=#fff> - <colcolor=#fff> ±
<rowcolor=#fff>
파일:베네수엘라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2023~).svg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이동국(2) 3:1 승 (2014)
1 1 0 0 3 1 +2
<rowcolor=#fff>
파일:볼리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 이청용(1) 1:0 승 (2019)
3 1 2 0 1 0 +1
<rowcolor=#fff>
파일: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2019).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백승호 등 6명(1) 1:4 패 (2022)
8 1 0 7 6 20 -14
<rowcolor=#fff>
파일: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박창선, 이청용(1) 1:4 패 (2010)
3 0 0 3 2 8 -6
<rowcolor=#fff>
파일:에콰도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이청용 등 3명(1) 2:0 승 (2010)
2 1 0 1 3 2 +1
<rowcolor=#fff> 파일: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황인범 등 7명(1) 1:2 패 (2023)
10 1 2 7 7 15 -8
<rowcolor=#fff> 파일:칠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황희찬, 손흥민(1) 2:0 승 (2022)
3 1 1 1 2 1 +1
<rowcolor=#fff>
파일:콜롬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손흥민(5) 2:2 무 (2023)
8 4 3 1 14 9 +5
<rowcolor=#fff>
파일: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정우영 등 8명(1) 2:2 무 (2022)
7 2 4 1 8 7 +1
<rowcolor=#fff>
파일:페루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없음 0:1 패 (2023)
3 0 1 2 0 5 -5
: 우세 | : 백중세 | : 열세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 EAFF | ASEAN | SAFF | WAFF | CAFA
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CFA | 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OFC |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UEFA
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CONCACAF | 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CONMEBOL
}}}}}}}}}}}}}}} ||
파일: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colcolor=#fff> 역대 전적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ARG A매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OR
<nopad> 3 [🏟️]
<colbgcolor=#006><colcolor=#fff> 3 <nopad> 0 <colbgcolor=#006><colcolor=#fff> 0
8 득점 (+6) <nopad>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우세
2 득점 (-6)
곤살로 이과인(3) 최다득점자 박창선, 이청용(1)
파일:득점 아이콘.svg 득점 순위[23]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누적 퇴장(0)
선수 기록 파일:득점 아이콘.svg 득점 순위[24]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누적 퇴장(0)
<nopad> 최근경기: 아르헨티나 승 (2010)

남미에서 한국에 극강 우위로 가장 대한민국을 잘 잡는 팀이다. 남미 3대장으로 꼽히는 브라질과 우루과이도 대한민국을 상대로 A매치에서 한번씩 발목을 잡힌적이 있으나[25], 아르헨티나는 A매치 맞대결에서 공식 대회 2번 포함해서 3번의 경기에서 모두 승리를 챙긴 국가다.[26]

아르헨티나는 아시아에게 극강의 모습을 보여준 팀이기도 하지만, 일본에게는 2010년에 패배한 적이 있고[27][28], 심지어 중국에게도 저 멀리 거슬러 1984년에 한 번 패배한 적이 있는데[29], 대한민국과의 전적은 깔끔하게 A매치 3전 3승이다. 2022년 6월 6일 대한민국이 칠레에게 A매치 첫 승리를 거두면서 남미 국가를 상대로 페루와 더불어 유이하게 A매치 맞대결에서 이기지 못하고 있는 국가가 되었다.

첫 맞대결인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에서 3:1 승리를 거둔 것을 시작으로 2003년 평가전에서 하비에르 사비올라의 골로 1:0 승리,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박주영의 자책골과 곤살로 이과인해트트릭에 힘입은 4:1 승리를 기록했다. 1986년 경기에선 디에고 마라도나의 골은 막았지만, 그의 영향력까진 막지 못해 3어시를 헌납하고 졌으며, 2003년 경기에선 정말 아르헨티나와 5대5 싸움을 시종일관 벌였으나, 코엘류호 시절의 극악의 골결정력으로 인해 0-1로 석패한 것이다. 한편 2010년 경기는 대한민국에게는 운이 없는 경기이기도 했는데 메시의 위압감에 굳어있던 전반과 달리 전반 추가시간에 추격골을 넣고, 후반부턴 대한민국이 경기를 잘 풀어나가면서 오히려 경기가 아르헨티나가 쫒기는 양상으로 전개된다. 염기훈이 대한민국 월드컵 역사에 남을만한 역대급 실수를 하며 동점골 찬스를 놓치기도 했을만큼 분위기는 대한민국의 페이스였다. 그런데 후반 중반, 오프사이드 위치에 있던 이과인의 슛이 골로 인정되어 버리는 오심이 발생해버렸고 추격의 동력을 잃은 대한민국은 이후 한 골을 더 헌납하면서 1-4라는 경기력 차이 이상의 스코어로 패배를 기록한다.

대한민국이 역대 월드컵 우승 국가들을 상대로 A매치 맞대결에서는 유일하게 무승부 승점 1점도 기록하지 못한 상대다. 독일을 상대로 2승, 브라질, 이탈리아, 우루과이를 상대로는 1승을 기록하고 있고, 스페인을 승부차기로 탈락시켰고[30], 프랑스, 잉글랜드를 상대로도 1무 승점 1점 획득 이상을 기록하고 있지만, 아르헨티나와 A매치에서는 무승부 한 번조차도 거두지 못하고 있다.

다만 A매치 맞대결에서는 대한민국이 3전패이지만 2002 월드컵에서 대한민국은 아르헨티나를 넘고 월드컵 4위를 기록하였다.[31]

올림픽대표팀에서는 2021년에 도쿄올림픽 직전에 아르헨티나 U-23매치 경기에서 2:2 무승부를 기록[32], U-20매치에서는 아르헨티나가 U-20 월드컵 최다 우승국임에도 불구하고 U20대한민국에게 1승 3무 6패로 열세이다. 심지어 U-20 월드컵에서는 첫 번째 대결이었던 1991년 포르투갈 대회에서 당시 포체티노가 출전한 아르헨티나가 남북 단일팀 코리아[33]에게 0:1로 패하였고 대한민국은 아르헨티나전 모든 매치에서 첫 승리를 기록했다.

2002년 8월 22일 수원에서 펼쳐진 U20매치에서 사발레타가 출전한 아르헨티나가 대한민국에게 0:1으로 패하였다.[34]

2006년 8월 31일 부산컵 국제청소년대회 U19매치에서 무려 앙헬 디 마리아[35]가 출전한 아르헨티나가 대한민국에게[36] 1:2로 패하였다.[37]
1분 하이라이트(뉴스)[38], 3분 영상(저화질)

그리고 카타르월드컵 우승 멤버들이 출전한 2017 대한민국 U20월드컵에서 아르헨티나가 대한민국에게 1:2로 패배하였으며,[39]

2019 폴란드 U20피파월드컵[40]에서도 대한민국에 1:2로 패배했으며, 한술 더 떠서 아르헨티나 여자축구 대표팀은 대한민국을 상대로 3전 전패를 기록중이다.

그리고 최근 관련사항은 2023년 U-20월드컵에서 아르헨티나는 개최국 홈팀이자 지난 카타르월드컵 우승 국가이며 피파랭킹 1위로 우승후보였음에도 16강전에서 나이지리아에게 패하여 탈락(9위)하였고, 대한민국은 나이지리아를 이기고 이 대회 4위를 기록하였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if external != "o"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uuid=e4df3617-ed63-45ff-b46e-ec951d24c4cf|r2101]]}}}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uuid=e4df3617-ed63-45ff-b46e-ec951d24c4cf#s-15.1|15.1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from=2101|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if external != "o"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uuid=e4df3617-ed63-45ff-b46e-ec951d24c4cf|r2101]]}}}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uuid=e4df3617-ed63-45ff-b46e-ec951d24c4cf#s-15.1|15.1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from=2101|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

3.1.1. 대한민국과 역대 경기결과

<nopad> 2010-06-17
<nopad> 1:4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10 월드컵 본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로고.svg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32강 조별리그 B조 2차전
일시: 2010년 6월 17일 13:30[UTC+2] 👁️‍🗨️ [42] 장소: [[남아프리카 공화국|{{{#fff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요하네스버그
주심: 파일:벨기에 국기.svg 프랑크 더 블레이케러 경기장: 사커 시티 스타디움
<colbgcolor=#fff><colcolor=#997000> 염기훈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9’
이청용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33’ 파일:득점 아이콘.svg 45’
1:4
(1:2)
<colbgcolor=#fff><colcolor=#997000> 박주영 파일:자책골 아이콘.svg 16’[43]
곤살로 이과인 파일:득점 아이콘.svg 32’[N.부르디소]
- 호나스 구티에레스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53’
하비에르 마스체라노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54’
가브리엘 에인세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73’
곤살로 이과인 파일:득점 아이콘.svg 75’[L.메시•], 79’[S.아구에로][3G]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허정무 감독: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디에고 마라도나
파일:유튜브 아이콘.svg[H][SBS]

B조 타팀 결과 파일:그리스 국기.svg GRE 2:1 NGA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조별리그 2차전 종료 후 B조 순위
<rowcolor=#fff> 국가 R <colcolor=#14f> P M <colcolor=#0f0> W <colcolor=#ff0> D <colcolor=#f00> L + - ±
<rowcolor=#fff>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ARG 파일:상승 아이콘.svg 1 6 2 2 0 0 5 1 +4
<rowcolor=#fff>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OR 파일:하강 아이콘.svg 2 3 2 1 0 1 3 4 -1
<rowcolor=#fff> 파일:그리스 국기.svg GRE 파일:상승 아이콘.svg 3 3 2 1 0 1 2 3 -1
<rowcolor=#fff>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NGA 파일:하강 아이콘.svg 4 0 2 0 0 2 1 3 -2
}}}}}}}}} ||
<nopad> 2003-06-11
<nopad> 0:1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친선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친선경기
일시: 2003년 6월 11일 19:00[UTC+9] 장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주심: 파일:태국 국기.svg 룽클라이 몽콜 경기장: 서울월드컵경기장
<colbgcolor=#fff><colcolor=#666> 조병국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40’ 0:1
(0:1)
<colbgcolor=#fff><colcolor=#666> 루시아노 가예티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20’
하비에르 사비올라 파일:득점 아이콘.svg 43’[J.사네티]
- 막시 로드리게스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80’
감독: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움베르투 코엘류 감독: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마르셀로 비엘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F][MBC]
}}}}}}}}} ||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대한민국 <nopad> 1988-09-22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OL]
<nopad> 1:2
[NA]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88 올림픽 본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1988 서울 올림픽 로고.svg 1988 서울 올림픽 남자축구 16강 조별리그 C조 3차전
일시: 1988년 9월 22일 17:00[UTC+9] 장소: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대한민국, 부산직할시
주심: 파일:호주 국기.svg 크리스 밤브리지[57] 경기장: 부산 구덕경기장
<colbgcolor=#222><colcolor=#666> 노수진 파일:득점 아이콘.svg 14’ 1:2
(1:1)
<colbgcolor=#222><colcolor=#666> 카를로스 알파로 파일:득점 아이콘.svg 3’
구상범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48’ 네스터 파브리 파일:득점 아이콘.svg 73’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1948-1949).svg 김정남 감독: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카를로스 파차메[58]
파일:유튜브 아이콘.svg[H][KBS]

C조 타팀 결과 파일:소련 국기.svg URS 4:2 USA 파일:미국 국기.svg
조별리그 3차전 종료 후 C조 최종순위
<rowcolor=#fff> 국가 R <colcolor=#14f> P M <colcolor=#0f0> W <colcolor=#ff0> D <colcolor=#f00> L + - ±
<rowcolor=#fff> 파일:소련 국기.svg URS • 1 5 3 2 1 0 6 3 +3
<rowcolor=#fff>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ARG 파일:상승 아이콘.svg 2 3 3 1 1 1 4 4 0
<rowcolor=#fff>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KOR • 3 2 3 0 2 1 1 2 -1
<rowcolor=#fff> 파일:미국 국기.svg USA 파일:하강 아이콘.svg 4 2 3 0 2 1 3 5 -2

<rowcolor=#fff> 대회마감 R <colcolor=#14f> P M <colcolor=#0f0> W <colcolor=#ff0> D <colcolor=#f00> L + - ±
<rowcolor=#fff> 조별리그 11 2 3 0 2 1 1 2 -1
}}}}}}}}} ||
<nopad> 1986-06-02
<nopad> 1:3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86 월드컵 본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1986 FIFA 월드컵 멕시코 로고.svg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 24강 조별리그 A조 1차전
일시: 1986년 6월 2일 12:00[UTC-6] 👁️‍🗨️ [62] 장소: [[멕시코|{{{#fff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멕시코 시티
주심: 파일:스페인 국기.svg 빅토리아노 산체스 아르미니오[63] 경기장: 에스타디오 올림피코 우니베르시타리오
<colbgcolor=#fff><colcolor=#997000> 허정무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44’ 1:3
(0:2)
<colbgcolor=#fff><colcolor=#997000> 호르헤 발다노 파일:득점 아이콘.svg 6’[D.마라도나]
오스카 루게리 파일:득점 아이콘.svg 18’[D.마라도나]
박창선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50’ 파일:득점 아이콘.svg 73’[최순호] 호르헤 발다노 파일:득점 아이콘.svg 46’[D.마라도나][2G]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정남 감독: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카를로스 빌라르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H][MBC]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F]

A조 타팀 결과 파일: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국기(1971–1990).svg BUL 1:1 ITA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조별리그 1차전 종료 후 A조 순위[72]
<rowcolor=#fff> 국가 R <colcolor=#14f> P M <colcolor=#0f0> W <colcolor=#ff0> D <colcolor=#f00> L + - ±
<rowcolor=#fff>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ARG 1 2 1 1 0 0 3 1 +2
<rowcolor=#fff>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ITA 2 1 1 0 1 0 1 1 0
<rowcolor=#fff> 파일: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국기(1971–1990).svg BUL = 1 1 0 1 0 1 1 0
<rowcolor=#fff>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KOR 4 0 1 0 0 1 1 3 -2
}}}}}}}}} ||

3.2. 주요 아시아팀 상대전적

아시아 강호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9 7 1 1 16 8 +8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2 1 1 0 2 1 +1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7 6 0 1 15 4 +11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5 2 2 1 8 5 +3

3.3. 그 외 아시아팀 상대전적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아시아 축구 연맹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1 0 0 1 0 1 -1
<rowcolor=#fff>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1 1 0 0 7 0 +7
<rowcolor=#fff>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1 1 0 0 1 0 +1
<rowcolor=#fff>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1 1 0 0 2 0 +2
<rowcolor=#fff>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1 1 0 0 4 0 +4
<rowcolor=#fff>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2 2 0 0 5 0 +5
<rowcolor=#fff>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1 1 0 0 6 0 +6
<rowcolor=#fff>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1 1 0 0 5 0 +5
: 우세 | : 백중세 | : 열세
}}}}}}}}} ||

4. 아프리카(CAF 소속)

4.1. 주요 아프리카팀 상대전적

아프리카 강호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2 0 1 1 2 3 -1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1 1 0 0 2 0 +2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2 2 0 0 4 1 +3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9 6 1 2 15 13 +2

4.2. 그 외 아프리카팀 상대전적

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아프리카 축구 연맹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1 1 0 0 4 3 +1
<rowcolor=#fff>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1 1 0 0 2 0 +2
<rowcolor=#fff>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2 2 0 0 8 0 +8
<rowcolor=#fff>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2 2 0 0 6 1 +5
<rowcolor=#fff>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1 1 0 0 3 1 +2
<rowcolor=#fff>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2 1 1 0 3 1 +2
<rowcolor=#fff>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1 1 0 0 2 1 +1
: 우세 | : 백중세 | : 열세
}}}}}}}}} ||

5. 북중미카리브(CONCACAF 소속)

5.1. 주요 북중미카리브팀 상대전적

북중미카리브 강호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32 16 12 4 53 28 +25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1 7 2 2 30 9 +21

5.2. 그 외 북중미카리브팀 상대전적

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3 3 0 0 9 0 +9
<rowcolor=#fff>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8 6 2 0 17 6 +11
<rowcolor=#fff> 파일:퀴라소 기.svg 퀴라소 1 1 0 0 7 0 +7
<rowcolor=#fff>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 3 3 0 0 7 0 +7
<rowcolor=#fff>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4 4 0 0 17 1 +16
<rowcolor=#fff>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3 3 0 0 12 1 +11
<rowcolor=#fff>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온두라스 3 3 0 0 7 1 +6
<rowcolor=#fff>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 4 4 0 0 11 1 +10
<rowcolor=#fff>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니카라과 1 1 0 0 5 1 +4
<rowcolor=#fff>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3 3 0 0 10 1 +9
<rowcolor=#fff>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 1 1 0 0 3 0 +3
: 우세 | : 백중세 | : 열세
}}}}}}}}} ||

6. 유럽(UEFA 소속)

6.1. 잉글랜드와 상대전적(라이벌)

파일: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colcolor=#fff> 역대 전적 파일: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ARG A매치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ENG
<nopad> 13 [93]
<colbgcolor=#600><colcolor=#fff> 2 <nopad> 5 <colbgcolor=#600><colcolor=#fff> 6
15 득점 (-6) <nopad>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우세
21 득점 (+6)
<rowcolor=#fff> 에르네스토 그릴로, 마리오 켐페스, 디에고 마라도나(2) 최다득점자 마이클 오언(3)
<nopad> 최근경기: 잉글랜드 승 (2005)

포클랜드 더비라 불린다. 지리적으로 머나먼 두 팀이 라이벌이 된 계기가 바로 포클랜드 전쟁이기 때문이다. 당시 1982 스페인 월드컵이 개최되고 바로 다음날 아르헨티나군이 항복했고 그때까지 군부 통제로 소식을 제대로 접하지 못해 조국이 전쟁을 잘하고 있다 믿고 있던 아르헨티나 대표팀은 스페인 현지에서 소식을 듣고 큰 충격에 빠졌다. 이는 디에고 마라도나의 일화로도 유명하다.
<nopad> 1986-06-22
<nopad> 2:1
<nopad> 파일:1986 FIFA 월드컵 멕시코 로고.svg 1986 FIFA 월드컵 8강 준준결승전
이후 전쟁의 여파가 채 가시기 전에 다음 월드컵인 1986 멕시코 월드컵에서 8강전 외나무 다리에서 만나게 된다. 여기서 그 전설적인 마라도나의 신의 손 득점과 월드컵 세기의 골이 나오며 게리 리네커의 만회골을 넣은 잉글랭드에 2-1로 아르헨티나가 승리했고 이어 그 대회 월드컵 챔피언이 되었다. 이후 1990년이 되어서야 전쟁 이후 단교했던 두 나라는 재수교했지만 축구에서 만큼은 여전히 두 팀의 라이벌 의식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6.2. 프랑스와 상대전적(라이벌)

파일: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colcolor=#fff> 역대 전적 파일: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 2024.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ARG A매치 파일:프랑스 국기.svg FRA
<nopad> 13
<colbgcolor=#006><colcolor=#fff> 6 <nopad> 4 <colbgcolor=#006><colcolor=#fff> 3
18 득점 (+4) <nopad>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우세
14 득점 (-4)
<rowcolor=#fff> 리오넬 메시(3) 최다득점자 킬리안 음바페(5)
<nopad> 최근경기: 아르헨티나 승부차기 승 (2022)

머나먼 대륙의 두 나라는 사실 크게 접점이 없는 국가였다. 오히려 프랑스는 1990년대부터 브라질과 월드컵에서 중요한 경기를 펼쳤고 아르헨티나의 유럽에서 주된 적국은 잉글랜드, 독일, 네덜란드로 즐비했기 때문에 양팀이 충돌할 여지는 크게 없었다. 하지만 두 나라는 2018년 이후 형성된 21세기 신흥 라이벌로 현재는 다른 라이벌리티에 못지 않게 격한 감정적 라이벌로 치달은 관계이다.

두 팀이 처음 만난 건 사상 첫 월드컵인 1930 우루과이 월드컵으로 당시 아르헨티나가 루이스 몬티의 막판 결승골에 힘입어 조별리그에서 프랑스에게 1-0으로 승리했다.

이후 간간히 친선경기를 통해 몇 차례 붙어오다가 거의 반세기가 흘러 오랜만에 메이저 대회 1978 아르헨티나 월드컵에서 맞대결을 펼친다. 아르헨티나는 다니엘 파사레야의 페널티골로 앞서가나 미셸 플라티니가 동점을 만들지만 레오폴도 루케의 중거리포로 2-1 승리를 거둔다. 다만 당시 아르헨티나가 조별리그에서 워낙 편파판정으로 얼룩져 프랑스 감독도 관중들이 인상적이었다며 인터뷰를 회피한 것으로 유명하다. 하지만 당시까지는 별다른 접점이 있는 팀은 아니었다.

오늘날의 라이벌 의식을 갖게 된 것은 비교적 최근 일로 그 계기는 40년만에 양 팀이 격돌한 2018 러시아 월드컵에서 벌어졌다. 경기 자체는 명승부였다. 앙투안 그리즈만의 골로 앞서갔던 프랑스는 앙헬 디마리아가브리엘 메르카도의 역전골로 승부가 뒤집힌다. 후반전에 밴자민 파바르의 기가막힌 골로 균형을 이룬 프랑스는 다시 킬리안 음바페의 2골로 앞섰고 아르헨티나는 세르히오 아구에로가 추가시간 1골을 따라가지만 승부를 뒤집기에는 매우 시간이 부족했다. 한편 문제는 경기 외적인 곳에서 나타났다. 프랑스가 16강전에서 아르헨티나를 4-3으로 격파한 후 우승을 차지했는데, 프랑스 팬들이 은골로 캉테송이라는 노래로 월드컵 무관이었던 리오넬 메시를 조롱하는 노래를 불렀던 것이 그 시작이다.[94] 이후 메시가 파리 생제르맹으로 이적해 갈등이 조금 완화된 듯 했지만, 점차 팀내 불화설 등이 제기되었고 특히 포스트 GOAT로 자리매김하던 킬리안 음바페와 은연 중 비교하며 라이벌 의식도 고취된다.
<nopad> 2022-12-18
<nopad> 3:3
4 [P.S.O.] 2
<nopad> 파일: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로고.svg 2022 FIFA 월드컵 결승전
그렇게 시간이 흘러 점차 묻혀가는 듯 싶었으나 이것이 4년 후에 다시 터지고 말았다. 2022 카타르 월드컵 결승전, 메시의 2골과 디마리아의 골 그리고 음바페의 해트트릭 등 세기의 명승부 끝에 3-3 무승부를 기록했고 승부차기에서 아르헨티나가 우승하며 꿈에 그리던 메시의 월드컵 우승이 이루어진 순간 이번에는 아르헨티나 팬들이 음바페[96]를 조롱했고 결국 이는 감정 싸움으로 번진다. 월드컵 결승전에서 끝냈으면 큰 문제는 더 번지지 않았을텐데 남미에서 인종차별이 가장 심한 아르헨티나 특성 상 2023년 이후에도 프랑스 축구 팬과 관계자들이 문제를 크게 제기할만한 제스처를 취해 논란이 되고 있다. 과거에는 잉글랜드 축구 팬 및 관계자들과의 갈등이 심했다면 이제는 프랑스와의 갈등이 더욱 심각하다. 월드컵 결승전 이후 2024 코파 아메리카 미국에서 우승한 아르헨티나가 프랑스 흑인 선수들에 대한 인종차별적 노래를 불렀던 사실이 밝혀지며 프랑스의 분노는 엄청 커졌고 이는 연령별 대표팀까지 번지며 프랑스가 1-0으로 승리한 2024 파리 올림픽 8강전에서는 경기가 종료되고 양 팀이 물리적 충돌을 빗는 등 현재는 과거의 아르헨티나-잉글랜드 관계 그 이상으로 서로가 서로에게 대표적인 비호감-앙숙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6.3. 독일과 상대전적(라이벌)

파일: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colcolor=#fff> 역대 전적 파일: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ARG A매치 파일:독일 국기.svg GER
<nopad> 23
<colbgcolor=#006><colcolor=#fff> 10 <nopad> 6 <colbgcolor=#006><colcolor=#fff> 7
34 득점 (+1) <nopad>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우세
33 득점 (-1)
호세 다니엘 폰세 등(2) 최다득점자 미로슬라프 클로제(3)
<nopad> 최근경기: 무승부 (2019)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독일(통일 이후) 단독 상대전적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ARG A매치 파일:독일 국기.svg GER
<nopad> 11
<colbgcolor=#000><colcolor=#fff> 5 <nopad> 4 <colbgcolor=#000><colcolor=#fff> 2
18 득점 (+2) 1990~ 16 득점 (-2)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서독 시절 상대전적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ARG A매치 파일:독일 국기.svg FRG
<nopad> 12
<colbgcolor=#000><colcolor=#fff> 5 <nopad> 2 <colbgcolor=#000><colcolor=#fff> 5
16 득점 (-1) <nopad> 1949~1990 17 득점 (+1)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동독(해체) 상대전적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Argentina AFA 1978.png
<colcolor=#fff> 역대 전적 파일:동독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ARG A매치 파일:동독 국기.svg GDR
<nopad> 2
<colbgcolor=#000><colcolor=#fff> 1 <nopad> 1 <colbgcolor=#000><colcolor=#fff> 0
3 득점 (+2) <nopad> 1952~1990 1 득점 (-2)
레네 오우세만(2) 최다득점자 요아힘 슈트라이히(1)
파일:득점 아이콘.svg 득점 순위[97]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누적 퇴장(0)
선수 기록 파일:득점 아이콘.svg 득점 순위[98]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누적 퇴장(0)
}}}}}}}}} ||
아르헨티나와 독일은 총 3번의 FIFA 월드컵 결승전을 치른 월드컵 파이널의 라이벌이다. 양 팀의 만남은 독일 분단 이전에는 단 한차례도 없었고, 서독 시절 1958 스웨덴 월드컵 16강 조별리그 개막전에서 처음 맞상대한다. 당시 디펜딩 챔피언이었던 서독이 3-1로 아르헨티나를 완파했었다. 이후 1966 잉글랜드 월드컵에서는 0-0으로 비긴다.
<nopad> 1986-06-29
<nopad> 3:2
<nopad> 파일:1986 FIFA 월드컵 멕시코 로고.svg 1986 FIFA 월드컵 결승전
앞선 2번 포함 월드컵에서만 총 7번 만났는데 상술했듯 그 중 3번이 결승전인 것이다. 그 서막은 디에고 마라도나가 휩쓸었던 1986 멕시코 월드컵으로 78년도 우승팀 아르헨티나와 82년도 준우승팀 서독의 대결은 그야말로 용호 상박이었다. 호세 루이스 브라운이 선제골을 넣으며 아르헨티나가 1-0으로 앞선 가운데 후반전에는 양 팀이 치고 받는 양상이 펼쳐졌고 호르헤 발다노의 득점 이후 카를하인츠 루메니게, 루디 푈러의 골로 2-2 무승부가 만들어진다. 하지만 경기는 호르헤 부루차가의 결승골로 아르헨티나가 월드컵 챔피언의 자리에 오른다.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nopad> 1990-07-08
<nopad> 0:1
<nopad> 파일: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로고.svg 1990 FIFA 월드컵 결승전
4년 뒤 1990 이탈리아 월드컵에서 공교롭게도 양 팀이 리밴지 매치를 치르는데, 또 다시 결승전에서 맞붙게 된 것이다. 서독은 이미 82-86 대회 연속으로 준우승을 한 상황이었기에 더욱 절실했다. 경기결과 마침내 독일이 후반 막판 터진 안드레아스 브레메의 페널티골로 1-0 승리를 거두면서 독일 통일 직전 이를 자축하는 우승을 이룬다.
21세기에도 이들의 라이벌전은 지속되었는데, 2006 독일 월드컵, 2010 남아공 월드컵, 2014 브라질 월드컵까지 총 3개 대회 연속으로 만났는데 공교롭게도 아르헨티나는 세번중에 두번을 멕시코를 상대한후 독일에 패배하고 탈락하는 결과를 맞이한다. 2006년에는 8강전에서 당시 개최국 독알에 1-1 무승부를 거두었으나 승부차기에서 져서 탈락(6등)했고, 마라도나가 감독으로 이끌었던 2010년에는 역시 8강전에서 0-4로 와르르 무너지고 탈락했다.
<nopad> 2014-07-13
<nopad> 1:0
[A.E.T]
<nopad> 파일: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로고.svg 2014 FIFA 월드컵 결승전
이들의 대결에서 가장 큰 백미는 바로 2014년 결승전에서 만난 것인데, 메시가 과연 우승할 것인가라는 논쟁은 결국 연장전에서 마리오 괴체가 극적인 결승골을 성공시키며 0-1로 끝나고 만다.

6.4. 네덜란드와 상대전적(라이벌)

파일: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colcolor=#fff> 역대 전적
파일: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ARG A매치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NED
<nopad> 10
<colbgcolor=#600><colcolor=#fff> 1 <nopad> 5 <colbgcolor=#600><colcolor=#fff> 4
8 득점 (-7) <nopad>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우세
15 득점 (+7)
<rowcolor=#fff> 마리오 켐페스(2) 최다득점자 요한 크루이프, 바웃 베호르스트(2)
<nopad> 최근경기: 아르헨티나 승부차기 승 (2022)

탱고군단과 플라잉 더치맨의 전쟁은 보기 드문 대륙간 라이벌전으로 총 6번의 월드컵 경기를 치렀으며 손에 꼽히는 치열함을 보여준다. 거의 대부분의 국가를 상대로 상대전적 우위를 가져가는 아르헨티나지만 유난히 네덜란드에게는 고전을 면하지 못하는데 상대전적에서도 네덜란드가 아르헨티나에 4승 5무 1패로 우위를 점한다. 심지어 아르헨티나가 유일하게 승리한 경기는 연장전에서 이긴 것으로 이를 제외하면 정규시간 90분 이내에 아르헨티나는 단 한번도 네덜란드를 승리해본 적이 없다. 다만 저 승리는 자국에서 열린 월드컵 결승전 승리이기 때문에 이 한방으로 모든 역대 전적을 압도할만큼의 값진 승리이긴 하다. 거기에 양 팀의 승부차기 전적까지 포함하면 4승 2무 4패로 완벽한 호적수이다. 즉 3번의 무승부가 승부차기로 이어지는 경기였는데 여기서 모두 아르헨티나가 승리하였다는 뜻이다.
양 팀의 첫 맞대결은 1974년 월드컵 직전 평가전을 가진 것으로 이 당시 네덜란드는 요한 크루이프라는 역사적인 선수를 필두로 토탈 풋볼을 앞세워 황금기를 보내던 시절로 반면 아르헨티나는 1950년대부터 이어진 암흑기를 서서히 극복해나가던 시기였다. 이 맞대결에서 아르헨티나는 네덜란드에게 1-4로 완패하고 만다. 이어진 1974 서독 월드컵 본선에서도 맞대결하게 되었는데, 16강 조별리그를 통과한 두 팀이 8강 준결승리그에서 맞붙게 되었던 것이다. 결과는 아르헨티나의 0-4 완패로 끝났고 네덜란드는 같은 조의 동독브라질마저 완파하면서 3전 전승 8득점 무실점이라는 엄청난 기록으로 결승전에 오르지만 프란츠 베켄바워가 이끄는 개최국 서독에게 1-2로 패하면 준우승에 머무르고 만다.
<nopad> 1978-06-25
<nopad> 1:3
[A.E.T]
<nopad> 파일:1978 FIFA 월드컵 아르헨티나 로고.svg 1978 FIFA 월드컵 결승전
4년전 월드컵 우승 직전에서 고배를 마신 네덜란드였지만 여전히 황금세대는 건재했고 다음 대회에서도 강력한 우승 후보로 평가받으며 1978년 월드컵에 출전한다. 의외로 스코틀랜드페루에게 16강 조별리그부터 비꺽거렸던 네덜란드였지만 이내 8강 준결승리그에서는 서독과 이탈리아를 밀어내고 지난 대회에 이어 결승전에 오르며 다시 월드컵 우승의 기회를 맞이한다. 그리고 네덜란드와 대망의 결승전을 기다렸던 팀은 바로 개최국 아르헨티나. 지난 대회 4-0으로 네덜란드가 승리한 바 있었지만 이번 대회에서 아르헨티나는 홈 어드밴티지라는 엄청난 이점과 마리오 켐페스라는 걸출한 공격수의 성장은 네덜란드에게 도전장을 내밀기 충분했고 연장 혈투 끝에 아르헨티나가 사상 첫 월드컵 우승의 꿈을 이룬다. 하지만 대회 및 경기는 편파판정 논란으로 얼룩졌고 이로 인해 황금세대의 월드컵 우승의 꿈이 무너진 네덜란드는 아르헨티나에 대한 적개심을 품게 된다. 이를 기점으로 머나먼 대륙의 두 팀이 라이벌 의식을 형성되었다.
이후 1998년 월드컵 8강전, 새로운 황금세대를 이끌고 출전한 거스 히딩크의 네덜란드와 아르헨티나가 20년만의 맞대결을 펼친다. 치열한 혈투 끝에 경기 종료 직전 데니스 베르캄프의 월드컵 역사에 명장면으로 불리는 오른발 쓰리 터치 골이 터지면서 아르헨티나를 2-1로 제압하고 준결승에 진출한다. 하지만 준결승에서 브라질에게 승부차기 끝에 패하면서 또 다시 월드컵 우승 문턱에서 좌절하고 말았다.

2006년 독일 월드컵 조별리그에서 재회한 두 팀은 0-0 무승부를 거두었고 두 팀이 사이 좋게 조 1, 2위로 16강에 오르지만 네덜란드는 16강전에서 포르투갈에 아르헨티나는 8강전에서 독일에 승부차기로 패배하며 탈락하고 말았다.
2014년 브라질 월드컵 토너먼트 준결승전에서 양 팀은 다시 처절한 승부를 펼치게 된다. 당시 루이 판할 감독이 이끌던 네덜란드는 조별리그에서 지난 대회 우승팀 스페인을 5-1로 격파하는 등 남아골 월드컵 준우승 황금세대를 이어오고 있었고 아르헨티나 역시 리오넬 메시라는 역사상 최고의 선수를 앞세워 준결승까지 올라온 상태였다. 혈투 끝에 승부차기에 돌입한 두 팀은 끝내 아르헨티나가 승리하면서 네덜란드는 또다시 월드컵 트로피 근처에서 눈물을 삼켜야만 했다. 그것이 하필 아르헨티나였기에 더욱 씁쓸했던 네덜란드였다.
8년 후인 2022 카타르 월드컵 8강에서 또 다시 격돌한 양 팀은 8강전 최고의 빅매치이자 리오넬 메시의 우승 여정에 첫번째 고비로 등장한 팀으로 또하나의 명승부를 펼치게 된다. 후반 중반까지 2-0으로 앞섰던 아르헨티나였으나 천적 네덜란드는 아무리 전력이 과거만 못한 팀이었지만 루이 판할이라는 명장의 지휘 아래 바웃 베호르스트가 83분에 이어 후반 추가시간 11분에 극적인 동점골을 만들어내면서 이를 연장까지 끌고 갔고 끝내 승부차기를 벌이게 된다. 하지만 혈투의 끝 승부차기에서 다시 아르헨티나가 승리하면서 끝내 네덜란드는 눈물을 삼켰고 아르헨티나는 결승에 올라 끝내 우승하면서 리오넬 메시의 월드컵 우승이라는 대서사를 완성한다.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8강/네덜란드 vs 아르헨티나 참고.

6.5. 주요 유럽팀 상대전적

월드컵 우승팀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16 5 5 6 18 22 -4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14 6 2 6 18 19 -1

6.6. 그 외 유럽팀 상대전적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유럽 축구 연맹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1 1 0 0 4 0 +4
<rowcolor=#fff>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2 1 1 0 6 2 +4
<rowcolor=#fff>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1 0 1 0 0 0 0
<rowcolor=#fff>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5 4 0 1 12 4 +8
<rowcolor=#fff>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3 3 0 0 9 1 +8
<rowcolor=#fff>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9 8 0 1 18 6 +12
<rowcolor=#fff>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6 3 1 2 8 7 +1
<rowcolor=#fff>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6 2 3 1 7 10 -3 [CZE]
<rowcolor=#fff>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단독]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666>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6 2 3 1 7 10 -3
<rowcolor=#fff>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2 0 1 1 1 3 -2
<rowcolor=#fff>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1 1 0 0 5 0 +5
<rowcolor=#fff>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2 2 0 0 6 0 +6
<rowcolor=#fff>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7 5 1 1 15 6 +9
<rowcolor=#fff>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1 0 1 0 1 1 0
<rowcolor=#fff>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5 3 1 1 14 6 +8
<rowcolor=#fff>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1 1 0 0 3 0 +3
<rowcolor=#fff>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1 0 1 0 0 0 0
<rowcolor=#fff>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북아일랜드 1 1 0 0 2 0 +2 [NIR]
<rowcolor=#fff>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2 0 0 2 1 3 -2
<rowcolor=#fff>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12 7 2 3 20 12 +8
<rowcolor=#fff>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8 5 1 2 13 7 +6
<rowcolor=#fff>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6 5 1 0 8 1 +7
<rowcolor=#fff>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9 6 2 1 12 6 +6
<rowcolor=#fff>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13 4 7 2 13 11 +2 [RUS]
<rowcolor=#fff>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단독] 2 1 1 0 2 1 +1
<rowcolor=#666>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11 3 6 2 11 10 +1
<rowcolor=#fff>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4 2 1 1 5 3 +2
<rowcolor=#fff>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10 5 2 3 21 15 +6 [SRB]
<rowcolor=#fff>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단독]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666>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1 1 0 0 6 0 +6
<rowcolor=#666>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1 1 0 0 6 0 +6
<rowcolor=#fff>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1 1 0 0 6 0 +6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1 1 0 0 2 0 +2
<rowcolor=#fff>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3 1 1 1 6 6 0
<rowcolor=#fff>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7 5 2 0 15 3 +12
<rowcolor=#fff>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2 1 1 0 2 1 +1
: 우세 | : 백중세 | : 열세
}}}}}}}}} ||

7. 오세아니아(OFC 소속)

7.1. 주요 오세아니아팀 상대전적

오세아니아 강호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A매치 전적없음

7.2. 그 외 오세아니아팀 상대전적

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A매치 전적없음
: 우세 | : 백중세 | : 열세
}}}}}}}}} ||

[1] 치열한 경기는 기록에서도 나온다. 서로 협회간 A매치로 인정하는 경기가 달라지면서 집계가 달라진다. 다만 여기는 FIFA 집계를 따른다. 110경기 기준, 아르헨티나 41승, 브라질 43승이다. #[2]
7골, 에밀리오 발도네도
6골, 에르미니오 마산토니오
5골, 노베르토 멘데스
[3]
1호, 디에고 마라도나(1982)
2호, 클라우디오 카니히아(1991)
3호, 카를로스 엔리케(1991)
4호, 에제키엘 라베찌(2012)
[4]
8골, 펠레
7골, 레오니다스 다시우바
[5]
1호, 히카르두 고메스(1990)
2호, 마지뉴(1991)
3호, 마르시우 산투스(1991)
4호, 카레카(1991)
5호, 마르셀루(2012)
[6] Superclásico de las Américas(스페인어) / Superclássico das Américas(포르투갈어)[7] 8강전도 리그전이었다. 4팀씩 2개조 1위가 결승전, 2위가 3-4위전에 진출했다.[8] 당시 아르헨티나는 브라질에게 골득실에서 크게 밀려 이미 폴란드를 3-1로 이긴 브라질의 조별리그 마지막 경기가 종료된 상황에서 페루를 상대로 4골차 이상 승리를 거두어야만 조 1위로 결승전에 오를 수 있었다. 하지만 당시 테오필로 쿠비야스가 이끄는 페루가 4점차 이상으로 패할 정도로 만만한 팀은 아니었다. 그런데 막상 경기가 페루의 무기력한 플레이 속에 아르헨티나가 6-0으로 대승을 거둔 것. 이후 아르헨티나 군사 독재 정권이 월드컵을 우승하기 위해 페루를 매수했다는 소문이 크게 돌았다.[9] 이 경기도 극악의 편파판정으로 논란이 되었던 경기이다.[10] 심지어 2위는 브라질이 아니라 의외로 우루과이(15회)이다.[P.S.O.] [12]
6골, 리오넬 메시
5골, 훌리오 리보나티
[13]
1호, 넬손 비바스(1999)
2호, 하비에르 마스체라노(2011)
3호, 니콜라스 곤살레스(2025)
[14]
9골, 엑토르 스카로네
5골, 호세 피엔디베네, 페르난도 모레나
[15]
1호, 디에고 페레스(2011)
[16] 두 나라의 국경을 나누는 라플라타 강 더비, 정확하게 그들의 언어인 스페인어로는 클라시코 델 리오 데 플라타(Clásico del Río de la Plata)가 맞다.[17] 메이저 첫 대결은 아니다. 이미 이전에 대륙대회인 코파아메리카의 전신 남미 챔피언쉽에서 여러차례 맞붙은적이 있다.[18] 여담으로 아르헨티나가 이후 올림픽 금메달에 성공하게 되는 건 2004년 아테네 올림픽으로 엄청 오랜 후에야 올림픽 챔피언이 될 수 있었다.[19] 당시 디에고 마라도나가 이끌던 아르헨티나는 이후 잉글랜드-벨기에-서독을 연파하고 우승을 차지했다.[20] 2024년 대회 기준[P.S.O.] [🏟️] 중립 경기: 2
ENG 홈 경기: 0
KOR 홈 경기: 1
[23]
3골, 곤살로 이과인
2골, 호르헤 발다노
1골, 오스카 루게리, 하비에르 사비올라
[24]
1골, 박창선, 이청용
[25] 1999년 3월 28일에 당시 피파랭킹 1위 브라질(2002월드컵 챔피언)은 대한민국에게 0:1 패배,
2018년 10월 12일에 우루과이는 대한민국을 상대로 1:2 패배와 2022월드컵에서 대한민국한테 무승부 승점 1점을 헌납하여 조 3위로 밀려 탈락(20등)했다.
[26] 이와 반대로 대한민국이 포르투갈 청소년대표팀을 상대로 한번도 이겨본적이 없다.[27] 평가전에서 딱 한 번 패한 적이 있다. 그래서 일본에서는 한국이 브라질을 99년 평가전에서 한 번 이겼다고 하면 일본은 반대로 한국이 이겨본 적 없는 아르헨티나를 이겨봤다며 맞대응하기도 한다. 일본 축구가 아르헨티나를 이긴 때는 2010 남아공 월드컵 이후 한창 승승장구하던 알베르토 자케로니 감독 시절이었다.[28] 이때 당시 아르헨티나는 팀의 중추를 담당하던 리켈메의 은퇴이후 초보감독인 마라도나가 여러 의문부호를 자아내고도 마라도나-메시의 사제 콤비를 보고 싶다는 국민들의 염원 하에 감독을 맡았으며, 40을 바라보던 베론을 뜬금없이 국대소집하여 주축 미드필더를 시키는 등 세계 최강의 네임밸류를 자랑하는 공격진에 비해 공수밸런스가 이상한 뭔가 아구가 맞지 않는 팀이였다. 다만 공격진의 개인역량이 워낙 우수하다 보니 월드컵에서 그럭저럭 망신당하지는 않았을 뿐이다.[29] 중국은 1984 AFC 아시안컵 싱가포르에서 준우승했다.[30] 2002월드컵 8강 준준결승전 0:0무 PSO 5:3 승, 전적상 승부차기는 무승부로 기록[31] 아르헨티나는 32강 조별리그 탈락(18등)했다.[32] 당시 2022월드컵 우승멤버 알렉시스 맥 앨리스터와 28세 와일드카드 골키퍼 헤레미아스 레데스마가 뛰었다.[33] 지역예선에서 대한민국이 우승, 북한이 준우승해서 코리아팀은 대한민국이 계승한다.[34] 그 후 8월 25일 서울 아르헨티나 2차전에서는 대한민국에게 2:1로 승리하였다. 그리고 해당 경기가 2025년 현재까지 아르헨티나에게 유일하게 패배한 경기가 되었다. 2024년에 일본에서 열린 친선대회 컵에서 승부차기로 패배한 바 있지만 승부차기는 공식 전적으론 무승부 처리한다.[35] 16번으로 뛰었다.[36] 기성용, 이청용, 박주호가 뛰었다.[37] 대한축구협회 아카이브 아르헨티나 항목에 U20 대표팀에서 2006년 8월 31일 라인업에 앙헬 디 마리아 명단이 있다. 당시 라인업 참조[38] 0:22초에 16번 앙헬 디 마리아의 모습을 볼 수 있다.[39] 한국은 신태용 감독과 이승우가 있었으며, 당시 아르헨티나에는 훗날 2019코파 3위와 2021코파 우승, 유럽리그로 이적하는 마르코스 세네시, 후안 포이스, 곤살로 몬티엘, 산티아고 콜롬바토, 에세키엘 팔라시오스, 산티아고 아스카시바르, 라우타로 마르티네스(1차전 잉글랜드전 퇴장으로 한국전 불참)가 뛰었으며, 이 중 곤살로 몬티엘, 라우타로 마르티네스, 후안 포이스, 에세키엘 팔라시오스는 2022카타르월드컵 우승 멤버이다.
파일:Screenshot_20221222-010423_Gallery.jpg
[40] 당시 이강인이 출전했던 대회이며, 아르헨티나에는 파쿤도 메디나아돌포 가이치가 있었고 2차전에서 포르투갈을 2:0으로 격파하였다.[UTC+2] [42] 두 팀의 상대전적: 총 2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OR | 0승 | 0무 | 2승 | AR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최근 경기: 아르헨티나 승리(2003/대한민국, 서울)
KOR 0:1 ARG(친선경기)
[43] 리오넬 메시의 프리킥 상황에서 올라온 볼에 발이 맞고 골문으로 들어갔다.[N.부르디소] 니콜라스 부르디소 도움[L.메시•] 리오넬 메시의 슛이 골대를 맞고 나왔고 이것이 이과인의 발 앞에 오면서 그대로 득점이 되었다. FIFA는 골대에 맞고 나온 득점을 어시스트로 인정한다. 하지만 실상은 이과인이 오프사이드 위치였으나 오심으로 골이 인정되었다.[S.아구에로] 세르히오 아구에로 도움[3G] [H] [SBS] [UTC+9] [J.사네티] 하비에르 사네티 도움[F] [MBC] [OL] 올림픽 대표팀, 공식 경기로 인정 받지 못했다.[NA] [UTC+9] [57] Chris Bambridge[58] Carlos Pachamé[H] [KBS] [UTC-6] [62] 두 팀의 상대전적: 없음(사상 첫 경기)[63] Victoriano Sánchez Arminio[D.마라도나] 디에고 마라도나 도움[D.마라도나] 디에고 마라도나 도움[최순호] 최순호 도움[D.마라도나] 디에고 마라도나 도움[2G] [H] [MBC] [F] [72] 이 당시는 승리 승점이 2점이었다.[73] 월드컵: 6회 진출(AFC소속 역대 3위), 최고성적 11위(16강)[74] AFC 아시안컵: 1회 우승[75] 월드컵: 6회 진출(AFC소속 역대 3위), 최고성적 14위(16강 조별리그(1978))[76] AFC 아시안컵: 3회 우승(2위)[77] 월드컵: 7회 진출(AFC소속 역대 2위), 최고성적 9위 3회(16강)[78] AFC 아시안컵: 4회 우승(1위)[79] 월드컵: 6회 진출(AFC소속 역대 3위), 최고성적 12위(16강(1994))[80] AFC 아시안컵: 3회 우승(2위)[81] 월드컵: 8회 진출(CAF소속 역대 1위), 최고성적 7위(8강, 1990)[82]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5회 우승(2위)[83] 월드컵: 4회 진출(CAF소속 역대 4위), 최고성적 7위(8강, 2010)[84]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4회 우승(3위)[85] 월드컵: 6회 진출(CAF소속 역대 2위), 최고성적 4위(2022)[86]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1회 우승[87] 월드컵: 6회 진출(CAF소속 역대 2위), 최고성적 9위(16강, 1994)[88]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3회 우승(4위)[89] 월드컵: 18회 진출(CONCACAF소속 역대 1위), 최고성적 6위(8강, 1970·1986)[90] CONCACAF 골드컵: 11회 우승(1위)[91] 월드컵: 12회 진출(CONCACAF소속 역대 2위), 최고성적 3위(1930)[92] CONCACAF 골드컵: 7회 우승(2위)[93] 1953년 우천 취소 1경기가 있다. 경기 수 합산에서 제외하였다.[94] 프랑스는 남미에서 인종차별이 가장 심각한 아르헨티나보다는 인종차별이 그나마 덜 하고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아프리카계 선수들을 적극적으로 기용하는 이미지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행동을 했던 프랑스 축구 선수들이 많이 아쉽다. 한 선수라도 진심으로 사과했다면 갈등은 파국으로 번지지 않았을텐데 결국 진심으로 사과한 선수는 단 한 명도 나오지 않았고 아르헨티나 축구 선수들은 그 때 겪었던 치욕을 절대로 잊지 않고 복수에 성공하기 위해 단단히 벼르게 된다.[P.S.O.] [96] 당시 음바페가 남미를 대상으로 광역 어그로를 끈 것도 한몫했다.[97]
2골, 레네 오우세만
1골, 호르헤 카라스코사
[98]
1골, 요아힘 슈트라이히
[A.E.T] [A.E.T] [CZE] 현재의 체코 대표팀(1993~)은 보헤미아(1903~1919) 및 체코슬로바키아(1919~1993) 시절의 대표팀 기록을 승계하였다. 단, 아르헨티나 대표팀은 보헤미아 시절 맞대결 전적은 없다.[단독] [NIR] 현재의 북아일랜드(1950~) 대표팀 및 아일랜드 공화국이 분리되어 독립하기 이전 아일랜드 대표팀(1882-1950)의 기록을 승계한다. 다만 아르헨티나 대표팀은 1950년 이전 아일랜드 대표팀과 맞대결한 전적이 없다.[RUS] 현재의 러시아(1992~)는 소련(1924~1991) 및 독립국가연합(1992) 시절의 대표팀 기록을 승계하였다.[단독] [SRB] 현재의 세르비아 대표팀(2006~)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구 유고, 1920~1992),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신 유고, 1992~2003) 및 세르비아 몬테네그로(2003~2006) 시절의 대표팀 기록을 승계한다.[단독] [108] 월드컵: 2회 진출(OFC소속 역대 1위),
최고성적 22위(32강 조별리그(2010)
23위(24강 조별리그(1982))
[109] OFC 네이션스컵: 6회 우승(1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