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8 00:12:13

ONCE(TWICE)

원스(TWICE)에서 넘어옴
걸그룹 팬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13년 이전 데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
S.E.S.
친구
핑클
핑키
카라
카밀리아
소녀시대
S♡NE
써니힐
힐러
애프터스쿨
Play Girlz
4minute
4NIA
티아라
QUEEN'S
f(x)
me(you)
레인보우
레인너스
씨스타
STAR1
걸스데이
DAI5Y
나인뮤지스
마인
Apink
PANDA
Little Mix
Mixer
EXID
LEGGO
크레용팝
스케치북
AOA
AOE
레이디스 코드
Lavely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14년 ~ 2017년 데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배드키즈
굿키즈
베리굿
베리베리
마마무
무무
Red Velvet
ReVeluv
라붐
라떼
러블리즈
러블리너스
소나무
솔방울
여자친구
BUDDY
CLC
체셔
오마이걸
미라클
APRIL
파인에플
DIA
AID
TWICE
ONCE
브레이브걸스
피어레스
우주소녀
우정
아이오아이
앙둥이
구구단
단짝
BLACKPINK
BLINK
모모랜드
메리
드림캐쳐
인썸니아
프리스틴
HIgh
시크엔젤
An.Q
소녀주의보
웨더
앨리스
BLRIS
그레이시
시럽
FAVORITE
디어
위키미키
키링
S.I.S
밀리
해시태그
해삐
지구
Gravity
버스터즈
버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18년 ~ 2021년 데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걸카인드
팬포스
프로미스나인
flover
셀럽파이브
하이파이브
(여자)아이들
네버랜드
UNI.T
우유
프리즘
프라하
세러데이
선데이
NATURE
리프
이달의 소녀
오빛
공원소녀
그루
핑크판타지
러빗
IZ*ONE
WIZ*ONE
K/DA
BLADES
드림노트
페이지
체리블렛
룰렛
ITZY
MIDZY
EVERGLOW
FθRΣVΣR
로켓펀치
켓치
ANS
ANSER
아이씨유
아이슈크림
HINAPIA
UBY
cignature
signfan
WOOAH
wow!
Weeekly
Daileee
마카마카
마카롱
에이리얼
포리얼
뷰티박스
WIBBON
블랙스완
LUMINA
STAYC
SWITH
aespa
MY
트라이비
TRUE
PIXY
WINXY
퍼플키스
PLORY
핫이슈
SURE
LIGHTSUM
SUMIT
Hi-L
하루
프리티지
하프
ICHILLIN'
윌링
Billlie
Belllie've
IVE
DIVE
이세계아이돌
이파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22년 이후 데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Kep1er
Kep1ian
H1-KEY
M1-KEY
VIVIZ
Na.V
NMIXX
NSWER
CLASS:y
CLIKE:y
Lapillus
Lapis
소녀세상
스위피
NewJeans
Bunnies
첫사랑
마음
mimiirose
bloomii
프림로즈
PRISM
프리아
후라이
tripleS
WAV
X:IN
Ready
브브걸
쁘이
EL7Z UP
EL7Z U
Loossemble
C.Loo
QWER
바위게
eite
mate
Geenius
Meenius
ILLIT
??
RESCENE
??
Candy Shop
??
VVUP
VVinie
ARTMS
OURII
BADVILLAIN
??
}}}}}}}}} ||
공식 데뷔 순으로 표기하며, 개설되지 않은 문서는 기재하지 않습니다.
}}}}}}}}} ||

파일:TWICE 심볼 화이트.svg
파일:TWICE 워드마크 화이트.svg
||<tablewidth=100%><bgcolor=#5bc2e7><width=1000> ||<bgcolor=#c5d97a><width=11.111%> ||<bgcolor=#ff8da1><width=11.111%> ||<bgcolor=#987dd4><width=11.111%> ||<bgcolor=#ffc56e><width=11.112%> ||<bgcolor=#6dcdb8><width=11.111%> ||<bgcolor=#fff><width=11.111%> ||<bgcolor=#ee2737><width=11.111%> ||<bgcolor=#005eb8><width=11.111%> ||

[ 한국 음반 ]
||<tablebgcolor=#fff,#1f2023><width=25%><nopad>파일:1 THE STORY BEGINS.jpg||<width=25%><nopad>파일:PAGE TWO Online Cover.jpg||<width=25%><nopad>파일:3 TWICEcoaster_LANE 1.jpg||<width=25%><nopad>파일:4 TWICEcoaster_LANE 2.jpg||
[[THE STORY BEGINS|THE STORY BEGINS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15/10/20
[[PAGE TWO|PAGE TWO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16/04/25
TWICEcoaster Series
[[TWICEcoaster : LANE 1|TWICEcoaster : LANE 1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TWICEcoaster : LANE 2|TWICEcoaster : LANE 2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ec75; font-size: 0.865em"]]
2017/02/20
파일:SIGNAL Online Cover.jpg파일:twicetagram Online Cover.jpg파일:Merry & Happy Online Cover.jpg파일:What is Love? Online Cover.jpg
[[SIGNAL|SIGNA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3366; font-size: 0.865em"]]
2017/05/15
[[twicetagram|twicetagram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2f79c1; font-size: 0.865em"]]
2017/10/30
[[Merry & Happy|Merry & Happy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6be8a; font-size: 0.865em"]]
2017/12/11
[[What is Love?(TWICE 음반)|What is Lov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c30d00; font-size: 0.865em"]]
2018/04/09
파일:Summer Nights Online Cover.jpg파일:YES or YES Online Cover.jpg파일:The year of YES Online Cover.jpg파일:FANCY YOU Online Cover.jpg
[[Summer Nights|Summer Nights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d5b956; font-size: 0.865em"]]
2018/07/09
YES Series
[[FANCY YOU|FANCY YOU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744652; font-size: 0.865em"]]
2019/04/22
[[YES or YES|YES or YES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18/11/05
[[The year of "YES"|The year of "YES"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ccb492; font-size: 0.865em"]]
2018/12/12
파일:Feel Special Online Cover.jpg파일:MORE & MORE Online Cover.jpg파일:Eyes wide open Online Cover.jpg파일:CRY FOR ME Online Cover.jpg
[[Feel Special|Feel Specia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ddc15e; font-size: 0.865em"]]
2019/09/23
[[MORE & MORE|MORE & MOR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cca850; font-size: 0.865em"]]
2020/06/01
[[Eyes wide open|Eyes wide open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444446; font-size: 0.865em"]]
2020/10/26
[[CRY FOR ME|CRY FOR M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a81528; font-size: 0.865em"]]
2020/12/18
파일:taste of love New Cover.jpg파일:Formula of Love: O+T=<3 Online Cover.png파일:BETWEEN 1&2 Online Cover.jpg파일:READY TO BE Online Cover2.jpg
of Love Series
[[BETWEEN 1&2|BETWEEN 1&2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f5aa0; font-size: 0.865em"]]
2022/08/26
[[READY TO BE|READY TO B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23/03/10
[[Taste of Love|Taste of Lov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3F9D; font-size: 0.865em"]]
2021/06/11
[[Formula of Love: O+T=<3|Formula of Love: O+T=<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0.865em"]]
2021/11/12
파일:With_YOU-th_Online_Cover.jpg
[[With YOU-th|With YOU-th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efd7; font-size: 0.865em"]]
2024/02/23
[ 해외 음반 ]
||<tablewidth=100%><width=1000><tablebgcolor=#fff><color=#FF5FA2>
[ 일본 음반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25%><nopad>파일:WHAT'S TWICE? Online Cover.jpg||<width=25%><nopad>파일:||<width=25%><nopad>파일:JP 03 One More Time.jpg||<width=25%><nopad>파일:JP 04 Candy Pop.jpg||
[[WHAT'S TWICE?|WHAT'S TWIC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17/02/24
[[\#TWICE|#TWIC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17/06/28
[[One More Time(TWICE)|One More Tim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733b92; font-size: 0.865em"]]
2017/10/18
[[Candy Pop|Candy Pop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34f99; font-size: 0.865em"]]
2018/02/07
파일:JP 05 Wake Me Up.jpg파일:BDZ Online Cover.jpg파일:BDZ_Repackage Online Cover.jpg파일:
[[Wake Me Up|Wake Me Up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18/05/16
[[BDZ|BDZ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18/09/12
[[BDZ -Repackage-|BDZ -Repackag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18/12/26
[[\#TWICE2|#TWICE2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19/03/06
파일:HAPPY HAPPY Online Cover.jpg파일:Breakthrough Online Cover.jpg파일:&TWICE Online Cover.jpg파일:&TWICE_Repackage Online Cover.jpg
[[HAPPY HAPPY|HAPPY HAPPY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5a4c3; font-size: 0.865em"]]
2019/07/17
[[Breakthrough|Breakthrough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19/07/24
[[&TWICE|&TWIC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19/11/20
[[&TWICE -Repackage-|&TWICE -Repackag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20/02/05
파일:Fanfare Online Cover.jpg파일:파일:better_통상반.jpg파일:Kura Kura Online Cover.jpg
[[Fanfare|Fanfare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TWICE3|#TWICE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4d7951; font-size: 0.865em"]]
2020/09/16
[[BETTER|BETTE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905432; font-size: 0.865em"]]
2020/11/18
[[Kura Kura|Kura Kura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파일:Perfect World 단체3.jpg파일:DOUGHNUT 통상반.jpg파일:파일:Celebrate 통상반.jpg
[[Perfect World|Perfect World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d8a45a; font-size: 0.865em"]]
2021/07/28
[[Doughnut|Doughnut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88a1bf; font-size: 0.865em"]]
2021/12/15
[[\#TWICE4|#TWICE4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Celebrate|Celebrat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fc377; font-size: 0.865em"]]
2022/07/27
파일:Hare Hare 통상반.jpg파일:Dance_Again_Online_Cover.jpg파일:TWICE발매예정음반임시커버.png
[[Hare Hare|Hare Har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23/05/31
[[Dance Again|Dance Again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23/12/12
[[DIVE(TWICE)|DIV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d4f0fb; font-size: 0.865em"]]
2024/07/17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영어 음반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MORE & MORE (English ver.) Online Cover.jpg파일:I CAN'T STOP ME (English ver.) Online Cover.jpg파일:The Feels Online Cover.jpg파일:MOONLIGHT SUNRISE.webp
[[MORE & MORE (English Ver.)|MORE & MORE
English Ve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cca850; font-size: 0.865em"]]
2020/08/21
[[I CAN'T STOP ME (English Ver.)|I CAN'T STOP ME
English Ve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A62625; font-size: 0.865em"]]
2020/11/30
[[The Feels|The Feels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21/10/01
[[MOONLIGHT SUNRISE|MOONLIGHT SUNRIS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23/01/20
파일:I_GOT_YOU_Onlive Cover.png파일:ONE_SPARK_Online_Cover.jpg
[[I GOT YOU(TWICE)|I GOT YOU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673E; font-size: 0.865em"]]
2024/02/02
[[With YOU-th#s-5|ONE SPAR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efd7; font-size: 0.865em"]]
2024/02/26
}}}}}}}}} ||
[ 리믹스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000,#fff><width=25%><nopad> 파일:The Feels Online Cover.jpg||<width=25%><nopad>파일:MOONLIGHT SUNRISE.webp||<width=25%><nopad>파일:SET ME FREE (Remixes) Online Cover.jpg||<nopad>파일:Heart Shaker Remix.jpg||
[[The Feels#s-4|The Feels
Benny Benassi Remi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22/02/06
[[MOONLIGHT SUNRISE#s-4|MOON​LIGHT SUNRISE
The Remixes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23/01/24
[[READY TO BE#s-5|SET ME FREE
Remixes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23/03/17
[[Heart Shaker#Heart Shaker (GALACTIKA * Holiday Remix)|'''
Heart Shaker
GALACTIKA * Holiday Remi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820619; font-size: 0.865em"]]
2023/11/07
파일:THE_REMIXES_Online_Cover.jpg파일:THE_REMIXES_Online_Cover.jpg파일:I_GOT_YOU_Voyage_ver._Onlive Cover.jpg
[[THE REMIXES#s-2.1|MOON​LIGHT SUNRISE
Jonas Blue Remi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23/11/17
[[THE REMIXES|THE REMIXES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23/11/22
[[I GOT YOU(TWICE)#s-4|I GOT YOU
Voyage ve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673E; font-size: 0.865em"]]
2024/02/06
[ 참여 음반 ]
||<tablebgcolor=#fff,#1f2023><width=25%><nopad> 파일:투유 프로젝트 - 슈가맨 Part.11.png||<width=25%><nopad>파일:불후의 명곡 - 전설을 노래하다 (조경수 & 함중아 편).png||<width=25%><nopad>파일:Encore.png||<width=25%><nopad>파일:ALL OUT.png||
[[투유 프로젝트 - 슈가맨/역주행송 대결#s-4.2|투유 프로젝트
슈가맨 Part.1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D6022; font-size: 0.865em"]]
2015/05/30
[[불후의 명곡/2016년#s-21|불후의 명곡
조경수 & 함중아 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cca850; font-size: 0.865em"]]
2016/05/21
[[JYP엔터테인먼트|Encor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16/07/25
[[ALL OUT#s-2.5|ALL OUT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20/11/07
파일:TWICE (트와이스) - 누구보다 널 사랑해 (슬기로운 의사생활 시즌2 O.S.T Part2).jpg파일:Bouquet Online Cover.png
[[슬기로운 의사생활 시리즈/OST#s-3.4|슬기로운 의사생활 시즌2
OST Part 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21/07/09
[[Bouquet|Bouquet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23/01/25
[ 관련 문서 ]
||<tablealign=center><colbgcolor=#FF5FA2><tablewidth=100%><width=1000><tablebgcolor=#fff,#1f2023>
유닛
||<-4><bgcolor=#000>
파일:MISAMO 로고 화이트.svg
||
활동
음반
음반 노래 직캠
콘텐츠
V LIVE
팬덤
ONCE / 팬 연합 굿즈 응원법 팬미팅
게임
기타
기록
여담

ONCE
원스
파일:ONCE(TWICE) 로고.svg
TWICE의 팬덤
공식 팬클럽
<colbgcolor=#ff5fa2> 2017. 05. 04. ~ 2018. 06. 29.
2018. 07. 04. ~ 2019. 08. 12.
2019. 08. 13. ~ 2023. 07. 31.
2023. 07. 31. ~

1. 개요2. 상세
2.1. 팬덤의 규모
2.1.1. 팬 커뮤니티
2.2. 특징2.3. 팬 조공
3. 공식 팬클럽
3.1. 1기3.2. 2기3.3. 3기3.4. 4기
4. 공식 팬미팅5. 응원봉
5.1. CANDY BONG5.2. CANDY BONG Z5.3. CANDY BONG ∞
6. 응원법7. ONCE인 사람들
7.1. 한국인7.2. 일본인7.3. 외국인(일본인 제외) 및 기타
8. 사건 사고
8.1. 단톡방 사이버 불링

[clearfix]

1. 개요

ONCE걸그룹 TWICE의 팬덤이다.

2. 상세

파일:external/i65.tinypic.com/2j1kk92.png

TWICE는 서바이벌 프로그램인 SIXTEEN 덕븐에 데뷔 전부터 팬덤이 형성되었다. 서바이벌 시절부터 이미 멤버들의 홈마 페이지가 생기는 등, 팬들이 여러 팬페이지에서 활발하게 활동했다.

2015년 11월 3일, 팬덤명이 ONCE로 정해졌다. 한 번 주신 사랑을 두 배로 드리겠다는 의미. 데뷔 전부터 팬들이 TWICE와 잘 어울린다며 추천해준 팬덤명이다. 소속사와 TWICE가 팬덤의 의견을 수용하여 결정한 듯하다. 국내 공식 원스를 ONCE CANDY, 해외 공식 원스를 ONCE JELLY라고 부른다.

2017년 6월 18일, 일본 데뷔를 하게 되면서 공식 팬클럽을 별도로 모집했다. ONCE JAPAN, ONCE JAPAN MOBILE ONCE JAPAN은 5600엔에 1년 갱신 비용 4800엔이며, ONCE JAPAN MOBILE은 월 432엔이다. 일본에 주소가 있는 사람으로 한정되고, 2개 가입 시 일본 쇼케이스 티켓을 선착순으로 얻을 수 있었다. 고가인 만큼 혜택이 풍성하다는 평.

2.1. 팬덤의 규모

파일:TWICE_2019_KYOCERA DOME OSAKA.gif
일본 돔 투어 〈#Dreamday〉 1일차 교세라 돔 오사카
파일:트와이스 앙코르 콘서트2.jpg
파일:트와이스 앙코르 콘서트.gif
〈TWICELAND : The Opening〉 Encore 잠실실내체육관
파일:트와이스 일본 쇼케 데뷔1.jpg
파일:트와이스 일본 쇼케 데뷔2.jpg
일본 데뷔 쇼케이스
3세대 걸그룹 팬덤 중 최정상급 팬덤으로, 전세계적으로 최대 규모의 팬덤을 보유 하고 있다. 데뷔 1년만에 어마어마한 규모의 팬덤을 보유하게 되었다.[1] 유튜브 구독자 수나 인스타그램의 팔로워 수만 보더라도 팬덤 규모가 어마어마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2]

공식 팬클럽 모집 이전 가온차트와 같은 칼럼에서는 종종 과소평가를 받았으나, 실질적인 팬덤 유입의 지표인 한터차트에서의 공백기 판매량으로 트와이스의 팬덤 유입 규모를 짐작할 수 있다. 2016년 한 해 내내 트와이스는 방탄소년단과 함께 한터 실시간 차트 순위권에 꾸준히 이름을 올리는 몇 안 되는 그룹이었다. 일례로 미니 1집 THE STORY BEGINS는 2015년 32,9**장이 팔렸는데, 이는 초동 기간 판매량 8,2**장과 12번의 팬싸인회 판매량을 포함한 수치였다. 이후 이 앨범은 꾸준히 팔려 2023년 12월 기준 247,8**장의 판매량을 기록했다.

CHEER UP 이후부터는 드물게 보이그룹과 음반 판매량 경쟁을 할 정도로 위상이 높아졌고, 연간차트 음반 판매량에서 TOP5 안에 드는 등 엄청난 팬덤을 보유하고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3]

2.1.1. 팬 커뮤니티

2.1.1.1. TWICE 팬 연합 소속
TWICE 팬 연합은 말 그대로 TWICE의 팬인 원스가 모여 만든 연합이다. 트위터를 기반, 법인으로 운영되고 있다. 트위터 기반 TWICE 팬 연합은 팬 연합 홍보팀음원총공팀, 디자인팀 등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TWICE 팬 연합 문서 참고. 아래는 TWICE 팬 엽합 소속 커뮤니티이다.

2.2. 특징

2.3. 팬 조공

3. 공식 팬클럽

3.1. 1기

ONCE 1기 모집 안내

3.2. 2기

ONCE 2기 모집 안내

3.3. 3기

ONCE 3기 〈트둥엔터테인먼트〉
파일:트둥엔터테인먼트_단체2.jpg
〈트둥엔터테인먼트〉 공개 채용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단체 티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트둥엔터테인먼트_단체1.jpg파일:트둥엔터테인먼트_단체2.jpg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개인 티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트둥엔터테인먼트_나연.jpg파일:트둥엔터테인먼트_정연.jpg파일:트둥엔터테인먼트_모모.jpg
파일:트둥엔터테인먼트_사나.jpg파일:트둥엔터테인먼트_지효.jpg파일:트둥엔터테인먼트_미나.jpg
파일:트둥엔터테인먼트_다현.jpg파일:트둥엔터테인먼트_채영.jpg파일:트둥엔터테인먼트_쯔위.jpg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 {{{#!folding [ 영상 티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사업기획팀
죠대리, 미대리, 쯔대리
트둥엔터테인먼트 비하인드
}}}}}}}}}}}} ||

3.4. 4기

ONCE 4기 모집 안내
〈트 와 이 스 - 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 {{{#!folding [ 단체 티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TWICEZINE_ONCE4기.jpg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 {{{#!folding [ 개인 티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트와이스-진_나연.jpg파일:트와이스-진_정연.jpg파일:트와이스-진_미나.jpg
파일:트와이스-진_모모.jpg파일:트와이스-진_지효.jpg파일:트와이스-진_채영.jpg
파일:트와이스-진_사나.jpg파일:트와이스-진_다현.jpg파일:트와이스-진_쯔위.jpg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 {{{#!folding [ 영상 티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4. 공식 팬미팅

4.1. 국내

4.1.1. ONCE BEGINS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WICE/팬미팅 목록 문서
번 문단을
TWICE 1st FANMEETING "ONCE BEGINS"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1.2. ONCE HALLOWEEN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WICE/팬미팅 목록 문서
번 문단을
TWICE 2nd FANMEETING "ONCE HALLOWEEN"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1.3. ONCE HALLOWEEN 2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WICE/팬미팅 목록 문서
번 문단을
TWICE 3rd FANMEETING "ONCE HALLOWEEN 2"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1.4. ONCE AGAIN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WICE/팬미팅 목록 문서
번 문단을
2023 TWICE FANMEETING "ONCE AGAIN"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 일본

4.2.1. ONCE DAY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WICE/팬미팅 목록 문서
번 문단을
TWICE JAPAN FAN MEETING 2022 "ONCE DAY"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응원봉

5.1. CANDY BONG

Official Light Stick & Mood Light
CANDY BONG
파일:TWICE 응원봉 1.jpg

====# 역사 #====
데뷔 직후에는 공식 응원봉은 없었고, 각종 공방때 나눠 주는 응원봉들이 있었는데, 1집 우아하게 활동 당시 사용했던 하얀색 쇼케 응원봉, 2집 쇼케이스 참여자에게만 나누어 준 민트색 응원봉[23]이 임시로 사용된 대표적인 응원봉이였다. 이 외에도 수원콘 봉과 100명만이 가지고 있었던 슈스제봉도 있었다. 하지만 컴백 초기에 이 응원봉을 공방에서도 쓰는 바람에 해당 색을 쓰는 샤이니팬덤과 마찰을 빚기도 했다.

그러다가 2016년 9월 23일, 갑작스레 트와이스 공식 팬즈에서 트와이스 전용 공식색을 발표하였다. 공식색은 살구색[24]자홍색[25]을 결합한 . 두 개의 색을 같이 쓰는 걸 원칙으로 한다.

데뷔 1주년을 하루 앞둔 2016년 10월 19일 드디어 공식 응원봉이 공개되었다. 이름은 CANDY-BONG. CANDY-BONG이란 이름은 트와이스 미니 1집의 Candy boy라는 곡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 마이 캔디봉~ 마이 베이비~ 그리고 응원봉 발표 며칠 후 나온 미니 3집의 할로윈 컨셉과 맞춘것 같다. 캔디라는 이름에 걸맞게 롤리팝 같은 디자인으로 되어있으며 다른 그룹의 응원봉과 마찬가지로 건전지를 넣으면 공식색상으로 빛이 나는 응원봉이다. 받침대에 꽂을 경우 무드등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름이 캔디봉이라서 1집 수록곡인 캔디 보이의 가사에 접목시켜 부르기도 한다.

====# 특징 #====
응원봉은 앱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TWICE 공연 시 공식 응원봉에 좌석번호를 입력하여 무대 연출 조명과 연동시킬 수 있고 블루투스 연결을 통해 응원봉과 자신의 스마트 기기를 연동할 수 있으며, 조명의 밝기, 색상, 모드를 제어하여 주변 분위기를 연출 할 수도 있다. 공연장에서 블루투스 모드로 연결할 경우 중앙제어로 색깔을 바꿀 수 있어서 장관을 연출할 수 있다. 한번 연결하여 제어권이 넘어가면 전원 On/Off까지 컨트롤이 맡겨져 끄려면 아예 배터리를 빼야하는 걸로 알려졌지만 콘서트 당시 확인결과 다행히 On/Off는 중앙제어를 해도 마음대로 끄고 켤 수가 있다.[26] 2016년 12월 3일 기준 공식어플에 오류가 있는데, 한 캔디봉이 이미 다른 운영체제의 기기에 등록되었던 경우 운영체제가 다른 기기와 연결되지 않는다. [27] 또한, 기존기기에서 등록해제 후 새 기기에 연결하려고 하면 기존기기와 새 기기 모두에 페어링이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 탓에 공식어플의 색조 및 모드 변환 기능이 IOS에서만 업데이트 되고 플레이스토어에서는 되지않자 친구 혹은 지인의 기기로 시행해 보려 했던 원스들이 난처해지게 되었다. 해결방법은 있다. 캔디봉의 전원 버튼을 길게 누르고 있으면 응원봉의 불빛이 여러번 깜빡이다가 꺼지는데, 이때 다시 페어링 해보면 된다.

====# 여담 #====

5.2. CANDY BONG Z

Official Light Stick
CANDY BONG Z
파일:TWICE_CANDY_BONG_Z.jp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상세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CANDY_BONG_Z_상세이미지.jpg
}}}}}}}}} ||

====# 역사 #====
2019년 2월부터 캔디봉이 리뉴얼된다는 이야기가 돌았고, 동년 4월 27일, THE NEXT CANDYBONG이라는 소식으로 리뉴얼 소식을 알렸다. 5월 3일, 자정 공식 SNS를 통해 5월 7일부터 CANDYBONG Z 예약판매를 알렸다. 손전등처럼 비추는 형식이었던 전과 달리, 원 바깥쪽 전체에서 불빛이 나며, 가운데 동심원 문양과 트와이스 로고에서도 불빛이 난다. 팬들은 가운데 문양이 인덕션이나 모기향 같다는 평.

이 캔디봉을 쓰는 첫 번째 공식 행사는 다름이 아닌 3번째 단독 콘서트 TWICELIGHTS로, 벌써부터 캔디봉 두 개로 쌍디봉을 들고 오겠다는 사람들이 많은 편. 다만 이 캔디봉이 출시됨과 동시에 캔디봉1은 콘서트 때 중앙제어가 되지 않는 것으로 공지되었다. 이후, 5월 7일에 예약판매를 했는데 이 거대한 팬덤에 캔디봉Z 고작 20000개만 풀어버리는 병크[28]로 인해, 팬들의 거의 대부분이 캔디봉Z를 못 사는 사태가 일어났다. 게다가 콘서트 이틀 동안 또 20000개만 푼다는 얘기에 또 밤샘을 해야는 것 아니냐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팬들은 물량을 더 풀던가 아니면 캔디봉1의 중앙제어를 실시하라고 항의하고 있다.

4대 커뮤니티(원트, 트와이스 갤러리, 트위터, 트둥닷컴)를 최초로 통합시킨 이 사건은 다행히 JYP측의 피드백으로 그럭저럭 마무리될 듯하다. JYP 측은 이 사태에 대해 캔디봉Z를 현장에서 20000개를 푸는 대신 캔디봉 부스를 분리해서 당일 티켓 한정해서 티켓 1장 당 1개씩만 구매할 수 있게 하기로 했다. 한마디로 말해 당일 콘서트 관람객이 아니면 못 산다는 얘기.[29] 다행히 콘서트 당일 줄은 그리 안 길었고 살 사람들은 다 샀다고 한다.

2019년 8월 오픈되는 팝업 스토어 Twaii's shop의 굿즈 품목을 보면, CANDYBONG Z와 관련된, 혹은 CANDYBONG Z로부터 아이디어를 따온 품목이 무려 11개나 된다. 캔디봉Z의 성공적인 세대교체 여기를 참고하자.

====# 여담 #====
배터리는 망간전지가 아닌 알카라인 건전지를 사용해야한다. 건전지 표면에 망간전지인지 알카라인 건전지인지 표시되어 있다.

5.3. CANDY BONG ∞

Official Light Stick
CANDY BONG ∞
파일:TWICE_CANDYBONG_∞.jp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상세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무디봉_상세이미지.jpg
}}}}}}}}} ||

====# 역사 #====
2023년 3월 17일, READY TO BE 서울 공연을 앞두고 3세대 캔디봉 판매가 공지되었다. 3월 20일 오전 11시부터 사전 판매가 시작되었으며, 배송과 콘서트 현장 수령 중 선택할 수 있다. 가격은 49,000원으로 책정되었다.5만원 이상이면 무료 배송인데 ∞이 무한대로 불리는 만큼 별칭은 무디봉으로 불리고 있다.

그러나 사전 판매는 반나절도 지나지 않아 3시간만에 품절되는 바람에 그 이후 현장 수령 판매만 실시했으며, 같은 날 저녁에 물량이 풀렸지만 대부분이 콘서트 직전 또는 그 이후에 배송되기 때문에 현장 판매로 몰렸다. 다만 아직 구매하지 못 한 원스들을 위해 READY TO BE 서울 공연 당일 티켓에 한해 구매할 수 있도록 조치하여 대부분 무디봉을 들고 공연을 즐겼다.

====# 여담 #====
앱 연결 없이 공연장에 들어오기만 하면 자동으로 중앙제어가 된다.
2023년 9월 무디봉 앱이 출시되었다.
iOS
Android

===# V LIVE 응원봉 #===
파일:vlive candybong.png
▲ 디자인 (3D 모델)
파일:vlive candybong2.png
▲ 사용예

6. 응원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WICE/응원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ONCE인 사람들

가나다 순으로 정렬합니다.
가급적 언제, 어떤 매체를 통해 원스임을 보였는지 같이 서술 바랍니다.

7.1. 한국인

7.2. 일본인

7.3. 외국인(일본인 제외) 및 기타

8. 사건 사고

8.1. 단톡방 사이버 불링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트루킹' 관련된 서술과 리다이렉트를 존치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토론 - '트루킹' 관련된 서술과 리다이렉트를 존치하기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2019년 12월 21일, 50여 명으로 구성된 ONCE 단톡방에서 행해져 온 타 그룹에 대한 조직적인 비방과 여론조작, 공격, 즉 사이버 불링이 폭로되며 논란이 발생했다. 여론조작을 하는 것이 마치 드루킹 여론조작 사건을 연상시킨다고 하여 '트루킹 사건'으로도 불린다.

BLACKPINK, IZ*ONE[53], 프로미스나인 등 타 그룹들에 대한 각종 비하 표현이 포함된 대화 내용이 공개되며 언급된 그룹 팬들의 분노를 불러일으켰다. 특히 BLACKPINK 리사[54]를 향한 인종차별적인 인식이 리사의 고향인 태국을 비롯해 이들의 해외 블링크 팬덤들과 케이팝 팬들에게 알려지며 #oncecyberbullying 해시태그가 여러 국가의 트위터 실시간 트렌드 상위권에 올랐으며, 한국에서도 #원스_단톡방_공론화가 실시간 트렌드 1위에 오르는 등 논란이 확산됐다.

일부 ONCE들은 이번 단톡방 논란에 대해 다른 팬 단톡방에서도 흔히 일어나는 문제이기에 이렇게 이슈화 될 일은 아니었다며 억울함을 호소하는 한편, 안티들이 TWICE를 공격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하기 위해 논란을 확대 재생산한 것이 아닌지 의혹을 제기했다. 하지만 단톡방에서 발생한 타 그룹에 대한 단순 욕설이나 비방, 팬 인증이 되지 않은 유저나 익명 유저의 비방글 등은 팬덤 상호간에 문제제기를 하지 않는 것이 보통인데, 이들 중 몇몇은 멜론 팬 순위에도 100위 안에 들 정도로 팬이었고, 폭로된 내용들은 선을 한참 넘은 대화 내용이기 때문에 논란이 될 만 했으며, 단톡방에서 언급된 그룹의 팬이 사과를 요구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논란이 확산된 것이므로 이는 안티 등의 세력이 주도했던 이슈 확산이 아닌 정당한 문제제기 과정이었다.

그리고 한참 해외에서의 인지도가 치솟기 시작한 시점의 BLACKPINK 인기에 대한 견제로 팩트가 아닌 날조와 프레임을 씌우면서 각종 커뮤니티에 퍼뜨리는 악행을 저지른것으로도 유명하다.

또 이 단톡방에서 나눈 대화를 살펴보면 IZ*ONE프로미스나인의 해체를 요구하는 청와대 국민청원을 넣자고 이야기하거나 라디오 중단 기사를 공유하고 "풍악을 울려라"라며 서로 축하를 나눴다. 또한 흥신소를 통해 뭔가 음모를 꾸미는 정황도 포착되었다. 방탄소년단의 멜론 댓글창에 단체로 우호적인 댓글을 남기는 한편 방송 분량에 불만을 드러내거나 군복무 문제를 언급하였다.

이들은 각자의 활동 커뮤니티에 자필 사과문을 업로드했으며, 일부는 반성의 의미로 앞으로 팬 활동을 하지 않겠다고 약속하며 사용하던 계정을 탈퇴하기도 했다.

한편 논란 발생 이후 해당 단톡방 회원들이 부적절한 대응 계획을 세운 사실이 2차 폭로되며 논란은 더욱 커졌다. 이들은 논란이 확산되자 단톡방을 재개설하는 한편, "논란의 확산 속도를 누그러뜨리기 위해서는 형식적으로라도 사과문을 작성해 업로드 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나눴다. 심지어 안티 세력이 TWICE의 팬인 자신들에게 누명을 씌우기 위해 톡방 대화를 조작한 것이라고 주장하자는 대화도 발견되며 일부에서 사과문의 진정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1] 현재 걸그룹 앨범 누적 판매량 역대 1위 (2,000만장 돌파), 한국 걸그룹 중 최초로 일본 돔 투어 개최 등[2] (2024년 6월 2일 기준) 걸그룹 유튜브 구독자 수 2위 (1730만), 걸그룹 인스타그램 팔로워 수 2위 (약 2,980만), 걸그룹 스포티파이 팔로워 수 2위 (약 2,020만명), 걸그룹 틱톡 팔로워 수 2위 (약 2,470만명)[3] 정규 3집 Formula of Love: O+T=<3은 역대 걸그룹 중 BLACKPINK에 이어 2번째로 80만장을 돌파했으며, 미니 13집 With YOU-th는 초동 밀리언셀러를 달성했다.[4] 트와이스 팬 연합 소속[5] 멤버별 갤러리도 만들어져 있으며 다현 갤러리, 사나 갤러리, 나연 갤러리 순으로 메이저 갤러리로 승격이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TWICE 갤러리 문서 참조.[6] 거래 이후 '가자! 러시아'라는 여행 카페로 바뀌었다. 지금은 카페명을 바꿨거나 폐쇄된 듯.[7] 몇몇 멤버들은 신인으로서 이례적으로 10대 아이돌 개인 멤버 호감도 상위권을 차지하기도 했다.[8] 비슷한 시기에 데뷔한 다른 신인 걸그룹들의 경우, 콘서트에서 과반수 이상이 20대에 집중되어 있었다. 하지만 트와이스의 경우, 10대 남성층의 지지도가 압도적으로 높았기 때문에 콘서트에서 청소년층이 대다수를 차지했다.[9] 때문에 상대적으로 적은 여성 원스들을 위한 팬사이트도 존재한다.[10] 어떤 계기로 다른 멤버가 최애가 되는 것.[11] 그룹 내 모든 멤버를 좋아하는 것.[12] SIXTEEN 밀크앱 투표 순위변동 문단 참조.[13] 팬 코스프레의 줄임말.[14] 콘서트나 팬미팅 시즌에 TWICE 갤러리를 포함한 각 멤버 갤러리에서 멤버 이름으로 쌀 기부를 했었다.[15] 이러한 이벤트 때문에 아예 컵홀더 이벤트를 전문으로 하는 카페도 많다.[16] 2018년 다현 사진전의 경우, 콘서트 개최로 인해 열리지 않았다. 2019년 채영다현 사진전의 경우, 각각 FANCY YOU 활동과 TWICELIGHTS 콘서트 개최로 인해 열리지 않았다.[17] 이 때문에 팬들은 ONCE 3기에 가입했냐고 물어보는 대신에 입사지원서를 냈냐고 물어보는 밈이 생겼다.[18] 다현의 개인 티저의 경우, 25일 0시에 정연과 같이 게시되었다가 삭제되었다. 이를 통해 4번째 공개 멤버가 다현일 것임을 추측할 수 있었다.[19] 원스 1기는 콘서트 2번과 팬미팅 1번, 원스 2기는 콘서트 1번과 팬미팅 1번을 했기 때문에, 원스 3기도 최소 1번 이상의 콘서트와 팬미팅을 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TWICELIGHTS의 서울 앵콜 콘서트를 앞두고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콘서트가 취소되었다.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된 2021년 12월에 콘서트를 진행하게 되면서, 원스 3기도 콘서트 1번과 팬미팅 1번의 혜택을 누리게 되었다.[20] 그러나 2023년 2월 4일, 지효의 버블에 "원스 4기는 나도 왜 안 하는지 궁금해"라는 메세지가 있어 팬들을 의아하게 했다. 이후 6월 1일, 무려 4년 만에 원스 4기를 모집했다.[21] 신발은 팀버랜드 워커 부츠, 하의는 통넓은 청바지, 상의는 모두 본인의 공식색에 맞춰 입었다.[22] ONCE 4기 이후 첫 음악 방송 활동이었던 지효의 ZONE 활동 당시, 소속사에서 음악 방송 현장 참여를 받지 않는다고 공지했다. 이로써 ONCE 4기에 가입하지 않은 ONCE는 음악 방송을 참여할 수 없게 되었으며, 공식 ONCE라도 음악 방송 신청 명단에 들지 못하면 아예 참여할 수 없게 되었다. 명단에 든 ONCE가 음악 방송에 불참하게 되더라도 추가로 모집하지 않고, 참여한 ONCE들로만 진행한다.[23] 무려 배터리를 넣으면 버튼을 눌러서 빛나게 할 수 있는 그럴 듯한 응원봉이었다.[24] APRICOT, #FCC89B[25] NEON MAGENTA, #FF5FA2[26] 만약 중앙제어로 연결했다가 끄고 다시 켜면 자동으로 다시 중앙제어로 연결된다.[27] 즉 안드로이드 기기에 연결되었던 캔디봉은 IOS기기와 페어링이 이루어 지지 않고, IOS 기기에 등록되었던 캔디봉은 안드로이드 기기와 페어링이 되지 않는다.[28] 게다가 재판매 방지를 위해 1인당 최대 5개 구매 제한을 한다고 했는데, 누군가가 5개를 사서 4개를 플미 붙여서 안 판다는 보장이 있겠는가? 아니나 다를까 바다 건너 일본으로 넘어가자 재판매로 10700엔 (한화 약 11만 3000원)을 부르는 사람이 등장했다.[29] 이 점이 콘서트를 못가는데 캔디봉 Z를 구매하지 못한 일부 원스들에게 약간의 불만을 사고 있다. 하지만, 당일 콘서트 입장객인데, 캔디봉Z를 구하지 못해 당일 구매하려 했다가 품절되어 못 가지고 들어가는 사태가 일어날 수도 있기 때문에 꽤 괜찮은 선택이라 할 수 있다.[30] 한조를 프로 대회에서 썼고 그 게임들에서 이길 정도. 사실 이 선수는 한조 이외에도 영웅 폭이 넓은 올라운더 플레이어다.[31] 군 입대 전까지는 아이돌을 잘 몰랐다가 군 복무 중 주말에 참석한 종교 활동에서 트와이스의 뮤직 비디오를 보고 입덕을 시작했다고 한다.[32] 여담으로 JYP와 관련 접점이 좀 있다. ITZY 멤버 예지더 팬에서 참가자로 만난 적 있고, 박진영의 싱글 'FEVER'에 피처링으로 참여하기도 했다.[33] 그럴만도 한 게 다른 감독들 같은 경우에는 좋아하는 아이돌을 이승철같은 비아이돌 가수라고 답하거나 본인은 좋아하지 않지만 아들 혹은 딸이 어떤 아이돌을 좋아한다고 답을 하는 것이 대부분인데 서정원 감독이 유일하게 딴 거 없이 트와이스라고 답을 했다.[34] 영상의 1분 33초부터 참고.[35] 두 번째 인스타는 트와이스 앨범을 사러 갔는데 점원이 재고가 없다고 하자 당황하는 장면이 꿀잼이다.[36] 다른 멤버들도 그렇지만 특히 나연.[37] 베스트 댓글: 혹시 유아인 트와이스 아빠인가요?[38] 아이돌 계통에선 최고위의 MC이기 때문에 특정 그룹의 팬덤을 자처하진 않는다.[39] 하지만 6월 10일 TWICE뮤직뱅크에 출연했다. 그러나 이번에는 차태현 자신이 사전녹화하고 1박 2일 촬영을 가는 바람에 또다시 만남이 성사되지 못했다.[40] 참고로 최우식은 데뷔초부터 2018년 말까지 트와이스와 같은 JYP엔터테인먼트 소속이었다.[41] 당시 나이스게임TV에서 활동을 했던 시절이며 지금은 퇴사했다.[42] 트와이스 뿐만 아니라 한류 문화에 관심이 많다. 미카미 유아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다른 한국 아이돌 커버도 했고, 한국어도 배운다고 한다.[43] 트와이스, 방탄소년단 등이 일본에서 인기를 끌며 새로운 한류 붐을 일으키기 이전에도 소녀시대가 일본 진출하던 시절부터 소녀시대의 다시 만난 세계를 부르는 영상을 올리는 등, 케이팝을 비롯한 한국 문화에 관심이 많았고, 이쪽으로 유명했다. 문서에 한국 관련 항목이 별도로 존재할 정도이니 말 다했다.[44] 이게 어느 정도냐면 같은 그룹의 멤버였던 안유진이 '나코언니가 트와이스 선배님들 좋아하는 만큼 날 좋아해 주었음 좋겠다'고 말하니 다른 멤버들이 꿈 깨라고 말할 정도.[45] 관객에게 함께 불러달라고 요청했다.[46] 다만 2018년 6월 아베 신노스케 등 몇몇 선수의 물건을 훔치고 중고로 팔다가 적발되어 방출 크리를 맞아서 야구를 좋아하는 일본 원스들 사이에서 그를 딱히 반기는 사람은 없다.[47] 말컹은 축하공연을 목표로 뛰었고 연맹은 어떻게든 시상식 축하공연 섭외를 하려고 노력했지만 스케줄상 무리였고 대신 MVP 영상 축하 메시지를 받아냈다.[48] 직역하자면 '내 생은 성공했다'.[49] 여담으로 울프는 임모탈스가 트와이스와 기념 촬영한 사진을 보고 트위터에 '후니가 이렇게 부러울 줄은 정말 꿈의 꿈에도 몰랐다'라고 멘트를 남겼다.[50] 직역하자면, 사나없인 못 산다 정도. 보통 '사나없인 사나 마나'라고 불리는 사나의 별명 중 하나이다.[51] 심지어 저 뱃지는 TWICELAND ZONE 2 : Fantasy Park 콘서트굿즈다.[52] 꼴갤에서는 고닉 손승락으로 활동하고 있다고 한다. 2019년 이후에는 자취를 감춘 듯.[53] 특히 BLINK, WIZ*ONE과 원스간의 팬덤 갈등은 원스와 타 팬덤간의 갈등에 비해 상당히 심한 편이다.[54] 태국 출신 멤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770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77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