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2 13:41:30

푸조

푀조에서 넘어옴
파일:푸조 로고.svg
[ 틀 펼치기 · 접기 ]
----
프랑스자동차 브랜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0.912em"
파일:르노 로고.svg파일:르노 로고 화이트.svg
파일:알핀 로고.svg파일:알핀 로고 화이트.svg
파일:모빌라이즈 로고.png파일:모빌라이즈 로고 화이트.png
파일:푸조 로고.svg
파일:시트로엥 로고.svg파일:시트로엥 로고 화이트.svg
파일:DS 오토모빌 로고.svg파일:DS 오토모빌 로고 화이트.svg
파일:Bugatti-Logo.wine.svg
르노 알핀 모빌라이즈 푸조 시트로엥 DS 오토모빌 부가티
파일:엑상 로고.png파일:엑상로고다크모드.png
파일:메가로고.png파일:메가로고다크모드.png
파일:드 라 샤펠 로고.png파일:드 라 샤펠 로고 화이트.png
파일:리지에 로고.png
파일:마이크로카 로고.png
파일:마트라 로고.png
파일:비전 오토모빌스 파리 로고.png파일:비전 오토모빌스 파리 로고 화이트.png
엑상 메가 드 라 샤펠 리지에 마이크로카 마트라 비전
파일:벤투리 신 로고.png파일:벤투리 신 로고 화이트.png
파일:오레카 로고.png
파일:들라주 로고.png
파일:벨리에 로고.png
파일:볼로레 로고.png
파일:엑사곤 모터스 로고.png
파일:젠티 로고.png
벤투리 오레카 들라주 벨리에 볼로레 엑사곤 젠티
파일:PGO 로고.png
파일:MDI 로고.png
파일:르노 트럭 로고.png파일:르노 트럭 로고 화이트.png
파일:arquuslogoblack.png파일:arquuslogowhite.png
파일:남엑스 로고.png파일:남엑스 로고 화이트.png
파일:호피움 로고.png파일:호피움 로고 화이트.png
파일:Welter_Racing_logo.png
PGO MDI 르노 트럭 아르쿠스 남엑스 호피움 웰터 레이싱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padding-right:15px; margin-right:15px;
[[스텔란티스|[[파일:Stellantis_Logo.png|height=3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주요 주주
아녤리 가문(엑소르 N.V.)푸조 가문(EPF)프랑스 공공 투자 은행둥펑자동차블랙록
주요 인물
존 엘칸회장-CEO로베르 푸조부회장
계열사 및 사업부
승용차 푸조시트로엥DS 오토모빌오펠복스홀피아트알파 로메오마세라티크라이슬러닷지지프란치아
상용차 스텔란티스 프로 원(피아트 프로페셔널램 트럭스세벨)
고성능
브랜드
SRT아바스
모터스포츠 푸조 스포트시트로엥 레이싱DS 퍼포먼스마세라티 레이싱오펠 모터스포트
조립
공장
아시아 사이파 공장이란 카샨코드로 공장이란 테헤란둥펑 우한 후베이 공장중국둥펑 청두 공장중국카라치 공장파키스탄
아프리카 스텔란티스 케니트라 공장모로코
유럽 스텔란티스 뮐루즈 공장프랑스스텔란티스 프와시 공장프랑스스텔란티스 렌 공장프랑스스텔란티스 소쇼 공장프랑스세벨 노르드프랑스오펠 아이제나흐 유한회사독일오펠 뤼셀스하임 유한회사독일오펠 젠트가트하르트헝가리스텔란티스 미라피오리이탈리아스텔란티스 카시노 공장이탈리아마세라티 모데나 공장이탈리아스텔란티스 포미글리아노 디아르코 공장이탈리아SATA이탈리아세벨 수드이탈리아오펠 매뉴팩처링 폴란드스텔란티스 망괄데 공장포르투갈크라구예바츠 공장세르비아스텔란티스 트르나바 공장슬로바키아스텔란티스 비고 공장스페인오펠 자라고자 공장스페인스텔란티스 부르사 공장튀르키예복스홀 엘즈미어 포트영국
아메리카 스텔란티스 브램턴 조립 공장캐나다스텔란티스 윈저 조립 공장캐나다살티요 트럭 조립 공장멕시코살티요 반조립 공장멕시코톨루카 자동차 조립 공장멕시코디트로이트 조립 단지 - 제퍼슨미국디트로이트 조립 단지 - 맥미국스털링 하이츠 조립 단지미국워렌 트럭 조립 단지미국톨레도 조립 단지미국세벨 아르헨티나폐지
자동차 연구 센트로 리서치 피아트
엔진 제조사 VM 모토리
부품 제조사 모파테크시드PCMA
산업 시스템 COMAU
자율주행 ai모티브
차량 공유 쉐어 나우
헤리티지 재단 FCA 헤리티지
금융 스텔란티스 파이낸셜 서비스
리스 리지스
소매 스텔란티스&고객, 세일즈 앤드 서비스
합작사 ACC둥펑 푸조-시트로엥50%E모터50%PSA AVTEC50%사이파 시트로엥50%IKAP푸조 50%GAC-스텔란티스(파산)NextStar Energy50%
지분 제휴 립모터20%(립모터 인터내셔널51%)|토파쉬37%베르자야 오토 얼라이언스29%
해외 지사 스텔란티스 유럽스텔란티스 캐나다스텔란티스 폴란드FCA 인디아 오토모빌스피아트 크라이슬러 호주피아트 아일랜드시트로엥 칠레시트로엥 인디아피아트 세르비아스텔란티스 아르헨티나스텔란티스 구룬말레이시아스텔란티스 코리아 }}}}}}}}}
<colbgcolor=#000><colcolor=#fff> Peugeot
푸조[1]
파일:푸조 로고.svg
정식 명칭 Automobiles Peugeot
한국어 명칭 푸조 자동차 주식회사
설립 1810년 9월 26일 ([age(1810-09-26)]주년)[2]
국가
[[프랑스|]][[틀:국기|]][[틀:국기|]]
설립자 아르망 푀조
본사 소재지 프랑스 일드프랑스 이블린 푸아시[3]
핵심 인물 린다 잭슨
업종 자동차 제조업
모기업 스텔란티스
국내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톡채널 아이콘.svg | 파일:링크트리 아이콘.svg
영어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
2.1. 초창기2.2. 본격적인 사업2.3. 이륜차 생산2.4. 대한민국 시장 진출2.5. 승용 디젤의 선두주자
3. 모터스포츠의 강자4. 생산 차종
4.1. 현재 판매 중인 모델4.2. 단종된 모델
4.2.1. 10X4.2.2. 20X4.2.3. 30X4.2.4. 40X4.2.5. 50X4.2.6. 60X4.2.7. 80X4.2.8. 90X4.2.9. 그 외
5. 기타

[clearfix]

1. 개요

파일:Musée de l'Aventure Peugeot.jpg
프랑스 소쇼에 위치한 푸조 어드벤쳐 박물관[4]

매력의 힘 (POWER OF ALLURE).

프랑스자동차, 오토바이 제조사로, 1897년 아르망 푀조[5]에 의해 설립되었다. 푸조-시트로엥 그룹(PSA 그룹, Peugeot Citroën)의 지주회사이기도 하다. 프랑스에서는 국영 경찰의 차종으로 푸조의 사자 마크를 아예 드러내 놓고 다닐 정도로 르노와 더불어 프랑스의 국민 브랜드로 통하며, 대한민국에서는 현대자동차그룹이나 기아의 차량이 많은 것처럼 프랑스에 가 보면 푸조나 르노 차량이 정말 많다.

로고는 특유의 "포효하는 사자"[6]를 형상화한 디자인인 펠린 룩(Feline Look)으로 유명하다.

하지만 고양이과 동물의 느낌으로 나오는 펠린 룩 디자인에 대한 거부감이 꽤 많아 점차 부드럽게 디자인을 바꾸고 있다고 한다. 안정적이고 부드럽지만, 칼같은 핸들링으로 인한 특유의 주행감이 고양이의 움직임을 닮았다는 평이 많다.[7]

그래도 계열사인 시트로엥보다 디자인이 점잖은 편이었으나, 엠블럼이 바뀌고 디자인 기조가 새로 업데이트되면서 시트로엥을 능가할 정도로 독특하고 과격해졌다.

2. 역사

파일:Peugeot-Logo-History.jpg

2.1. 초창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르망 푀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본격적인 사업

1950~1970년대에는 주로 보수적인 대신 신뢰성 높은 설계의 차들을 판매했으며, 북미나 아프리카 지역에서 푸조 404504같은 차들을 판매하곤 했다. 1976년 프랑스의 또 다른 자동차 회사인 시트로엥을 인수해서 PSA 그룹(푸조-시트로엥 그룹)으로 불리고 있다. 이어서 1978년에는 크라이슬러의 유럽 지사를 인수, 루츠 그룹심카 등을 손에 쥐고 탈보(Talbot) 브랜드로 차량을 생산하기도 했으나, 인수 초중반부터 지속된 구조조정과 판매 부진의 악순환으로 1980년대 중반에 브랜드를 폐기하고 루츠 그룹의 흔적조차도 2000년대 중순에 영국 라이톤 공장을 폐쇄하며 완전히 사라졌다. 한동안은 신뢰성 중심의 보수적인 중대형 세단을 판매하는 데 집중했지만 1970년대에 2박스 스타일의 푸조 104를 출시하거나 푸조 205를 기점으로 1980년대부터 합리적인 스포티카 브랜드로 브랜드 정체성을 구축하는 등, 점차 젊은 감각이 가미되기도 했다.

미국 진출을 1958년부터 시작해 1984년에는 크라이슬러와 합작하는 방식으로 미국 사업을 이어가기도 했지만 최종적으로는 1991년에 미국에서 철수하였다.

2010년대 즈음 정신나간 연비의 페이크 하이브리드[8] 차량들을 출시하고 있다. 사실 PSA의 e-HDi는 진정한 의미의 하이브리드는 아니고, 디젤 엔진에 아이들 스톱 앤 고 시스템(ISG)을 장착한 형태에 가깝다. PSA 그룹에서도 e-HDi를 "마이크로 하이브리드"라고 부른다. 하이브리드가 아니라도 경쟁력을 위해 승용 디젤 차량의 출시에 열을 올려 대한민국 시장에도 어필하고 있다. 시트로엥을 포함하면 가솔린 엔진이 장착된 모델은 정말 드물게 나오는 편. 아무래도 프랑스에서는 대배기량 가솔린 엔진이 거의 없다시피하고, 대한민국 시장의 특성상 가솔린 엔진만 밀자니 독일제 프리미엄 브랜드보다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니까 PSA 그룹에서 특화되어 있는 승용 디젤 엔진의 연비 효율로 경쟁력을 갖추자는 의도로 보인다.
파일:Peugeot 607 Paladine.jpg
푸조 607 팔라딘 모델이다. 프랑스 대통령 의전 차량으로 유명했다.

최상위 모델[9]이자 508의 전신 모델인 607이 프랑스에서는 대통령 의전차량으로 사용되었다.[10] 푸조도 이를 자랑스럽게 여기는지 광고할 때 이 점을 꽤 강조하는 편이고, 시트로엥도 DS5 해치백을 선전할 때에도 강조한다. 근데 607이 옛날 차라서 그런지 올랑드 대통령 때만 해도 자주 보였는데 에마뉘엘 마크롱 정권부터는 SUV 모델인 푸조 5008과 시트로엥 DS5, DS 7 크로스백이 프랑스 대통령 의전용 차량으로 쓰인다.

2.0/2.2L 커먼레일 디젤 엔진에는 일반적인 6단 자동변속기가 장착되지만, 1.4/1.6L 커먼레일 디젤 엔진 모델에는 푸조의 자동화 수동변속기인 MCP 변속기가 적용된다.(시트로엥은 EGS라고 부른다.) 그런데 문제는 MCP/EGS 변속기가 연비 효율은 좋지만 변속 충격이 굉장히 크고, 보통의 일반적인 운전자들의 상식으로는 납득시키기 어려운 운전 방법 때문에 대한민국의 푸조/시트로엥 오너들은 대부분 MCP 미션에 잘 적응하지 못한다고 한다. 이런 특성으로 MCP/EGS는 일명 "울컥 변속기"라는 별명이 붙었다. 거기에 여느 자동화 수동 변속기와 다를 바 없이 MCP/EGS는 P와 D레인지가 없기 때문에 주차할 때 당연히 중립에 놓아야 하며, A레인지가 D레인지를 대신한다.(M은 말 그대로 수동변속 모드)[11] 그래서 푸조와 시트로엥에서는 이를 반영하여, 2014년부터 대한민국형 모델에 MCP/EGS 변속기 대신 DCT를 사용하기로 했다고 한다.(폭스바겐의 DSG 변속기를 노린 듯하다.)[12]고 밝혔지만, MCP/EGS는 대한민국 시장에 적용되어 나왔다. 그러다가 2015년 4월에 열린 서울 모터쇼를 통해 공개한 308 해치백/스테이션 왜건(SW)형의 120마력 1.6L 커먼레일 디젤 버전을 통해 일본아이신에서 새로 만든 EAT6 신형 6단 자동변속기를 공개하였으며, 동년 5월부터 MCP를 버리고 308의 1.6L 커먼레일 디젤 모델에 아이신의 신형 6단 자동변속기를 장착하여 판매에 들어갔다.[13]

2015년에 디젤게이트가 터지자 PSA에서는 자사의 어떤 승용디젤 모델에도 조작용 소프트웨어는 설치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허나 2016년 프랑스 정부가 배출가스 조작혐의로 조사에 들어갔다.

2017년 3월 7일, GM의 구조조정으로 인해 유럽 철수를 선언하면서 오펠/복스홀을 인수하였다.

2018년 7월, 푸조가 1991년 철수 이후 북미 시장 재진출을 고려하고 있다는 기사가 떴다. 그러나 트럼프가 수입차에 25%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정책 때문에 북미 진출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

2018년 10월, 푸조 역시 디젤 엔진의 미래에 의문을 품고 있으며 그러므로 디젤 엔진 개발을 중단한 채로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는 기사가 올라왔다. 내연기관은 물론이고 디젤 엔진의 설자리가 점점 좁아지고 있는 상황을 간과할 수 없는 듯하다. #

2018년 10월, 푸조는 전동화된 고성능 모델을 출시할 예정이라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하이브리드 기술과 푸조 본연의 고성능 DNA를 접목시킬 좋은 기회가 왔다고 판단했다고 한다. 508 R, 다음 세대 308 GTi, 208 GTi에 하이브리드 기술이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추측되는 상황이다. #

2019년 2월 말, 푸조는 35년만인 2026년에 북미 시장에 복귀할 것임을 공식적으로 밝혔다. # 한 기사에 따르면 컴팩트, 미드사이즈 차량을 판매할 예정이라고 하는데, 3008, 5008같은 SUV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

2020년 8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라는 세계적인 대악재 속에서도 푸조는 작년과 같이 일관성 있게 북미 시장에 재진출 할 것임을 밝혔다. 작년에 밝힌 바와 다르게 푸조는 2026년이 아닌 2023년을 목표로 두고 있으며, 전통적인 오프라인 딜러망을 활용하는 것이 아닌 온라인 판매망을 구축해 기존의 틀에서 벗어난 다소 효율적이고 간단한 판매 전략을 고려 중이라고 한다. # 그러나 모기업인 스텔란티스는 푸조의 북미 시장 진출은 없으며 크라이슬러와 알파 로메오만 집중할 것임을 공표했다.#

2021년 2월 26일부로 브랜드 로고가 바뀌었다. 기존 스큐어모피즘을 따른 앞발을 든 사자 로고에서, 2D 방패형 사자얼굴 로고로 바뀐것이 큰 차이점. 3세대 308에 먼저 적용되었다.

2022년 유럽 시장 등록대수는 623,825대로 전년대비 15% 하락했으며 전체 5위를 차지했다. #

2.3. 이륜차 생산

각국 주요 오토바이 브랜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가 제조사
<colbgcolor=#35353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KR모터스 로고.svg
파일:디앤에이모터스 로고.png파일:디앤에이모터스 로고 화이트.png
파일:대동모빌리티 로고.png
-
-
KR모터스
디앤에이모터스
대동모빌리티
와코모터스
-
코라오그룹
AJ가족
- - -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킴코 로고.svg
파일:SYM 로고.svg
파일:고고로 로고.svg파일:고고로 로고 화이트.svg
-
-
KYMCO
SYM
고고로
-
-
KYMCO
SYM
고고로
-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혼다 모터사이클 로고.svg
파일:야마하 모터 로고_워드마크.svg파일:야마하 모터 로고_워드마크 화이트.svg
파일:가와사키 중공업 로고 가로형.svg
파일:스즈키 주식회사 로고.svg파일:스즈키 주식회사 로고 화이트.svg
-
혼다
야마하
가와사키
스즈키
-
혼다
야마하
가와사키
스즈키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할리 데이비슨 로고.svg
파일:폴라리스 인더스트리스 로고.png파일:폴라리스 인더스트리스 로고 화이트.png
파일:external/imgauto.naver.com/20130605101432_jxH17DZO.png
파일:인디언 모터사이클 로고.svg파일:인디언 모터사이클 로고 화이트.svg
파일:제로 모터사이클스 로고.png파일:제로 모터사이클스 로고 화이트.png
할리 데이비슨
폴라리스
빅토리
인디언
제로
할리 데이비슨
폴라리스 인더스트리스
제로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트라이엄프 모터사이클즈 로고.svg파일:트라이엄프 모터사이클즈 로고 화이트.svg
파일:로얄 엔필드 로고.svg
파일:노턴 모터사이클 로고.png파일:노턴 모터사이클 로고 화이트.png
파일:D24EDE37-61EB-4AB9-8A14-C54827304DDE.png
파일:D5EC2F5B-7EF6-435E-9EC2-81326038536B.jpg
트라이엄프
로얄 엔필드
노턴
브로우-슈페리어
빈센트
트라이엄프
로얄 엔필드
노턴
브로우-슈페리어
빈센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두가티 로고.svg
파일:피아지오 로고.png파일:피아지오 로고 화이트.png
파일:베스파 피아지오 로고.svg
파일:external/imgauto.naver.com/20170522183229_aF5X9WyO.png
파일:external/imgauto.naver.com/20170522182621_i9Kz3Okv.png
두카티
피아지오
베스파
아프릴리아
모토구찌
폭스바겐 그룹
피아지오 그룹
파일:250px-MV_Agusta_logo.svg.png
파일:비모타 로고.svg파일:비모타 로고 화이트.svg
파일:Beta motorcycles logo.png
파일:람브레타 로고.png
파일:베넬리 로고.png파일:베넬리 로고 화이트.png
MV 아구스타
비모타
베타
람브레타
베넬리
MV 아구스타
비모타
베타 모터사이클
인노첸티 S.A.
지리자동차
파일:UN기.svg
기타 국가
파일:BMW 모토라드 로고.svg파일:BMW 모토라드 로고 화이트.svg
파일:KTM 로고.svg파일:KTM 로고 컬러.svg
파일:허스크바나 모터사이클 로고.png파일:허스크바나 모터사이클 로고 화이트.png
파일:푸조 모터사이클.svg파일:푸조 모터사이클 화이트.sv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IMZ-Ural_logo.png
BMW 모토라드
KTM
허스크바나
푸조 모터사이클
IMZ 우랄
BMW
KTM
Mutares
IMZ-우랄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 ||

Peugeot Motorcycles
푸조 모터사이클

파일:푸조 모터사이클.svg파일:푸조 모터사이클 화이트.svg

<colbgcolor=#ddd><colcolor=#000> 설립일 1898년
설립자 아르망 푀조
국가
[[프랑스|]][[틀:국기|]][[틀:국기|]]
업종 오토바이 제조업
국내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영어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clearfix]

자전거로 시작한 회사이기도 했고 다른 여러 오토바이/자동차 제조사가 그랬듯이[14] 자전거에다가 엔진이나 달아보자 하는 발상을 한 회사 중 하나였다. 푸조의 첫 오토바이는 1898년 파리 박람회에서 시연되었으나 양산되진 못했다. 그 이후 다른 나라에서도 오토바이 기술들이 하나둘씩 정립되면서 1914년 최초의 DOHC를 장착한 500cc 바이크를 내놓게 된다.

현재는 프랑스에서 유일한 오토바이 제조사이며, 유럽 스타일의 도심형 스쿠터 생산이 주를 이룬다. 대한민국에서는 장고 라인업이 유명하며 역삼륜차(트라이크)인 메트로폴리스가 가끔씩 수입되었다가 야마하의 트리시티에 트라이크 시장을 거의 내어 준 상태.

2023년부터는 독일 Mutares 산하로 인수되었다.[15]

2.4. 대한민국 시장 진출

대한민국 내 판매 실적에 비해, 대중적인 인지도는 높지 않다. 1979년부터 1981년까지 기아자동차판매를 통해 후륜구동 대형 세단인 604가 정식 수입된 적이 있었으며, 당시로는 그라나다보다 넘사벽급 가격(1979년 출고 당시 가격이 2,300만 원)에 당연히 극소수가 팔린 최고급 세단이었다. 1981년 자동차공업합리화 조치로 604의 정식 수입이 중지된 후, 1990년대에 동부산업이 새로운 딜러 계약을 맺어 106, 205, 309, 306, 405, 406, 605, 806등 푸조의 다양한 모델들을 선보였다가 1997년 외환 위기를 맞으면서 철수했다. 1990년대 초에는 구형 코란도쌍용 코란도 훼미리 1991년식 F/L 모델에 디젤 엔진을 공급한 적이 있다. 또한 구아방 유럽 수출용 옵션으로 디젤 엔진(1.9L)을 납품한 바 있었다.

이후 2003년 초에 한불모터스가 새로운 딜러 계약을 맺어 소형 해치백 206의 하드탑 오픈카 버전인 206CC를 시작으로 다시 선보이게 되었으며, 2005년부터 대한민국 자동차 시장에 디젤 승용차의 판매가 허용되면서 비로소 두각을 나타냈다. 초기부터 푸조 특유의 HDi 승용 커먼레일 디젤 엔진[16]의 고효율을 강조하여, 사실상 신규 진출 브랜드이면서도 출고 차량 기준으로 10위권 이내의 판매고를 올렸다. 한동안 수입차로서 가장 일찍 진출한 볼보보다 앞선 순위를 기록하였다. 커먼레일 디젤 엔진으로 밀어붙이면서 대한민국에서 에너지 위너상을 수상한 건 덤. 특히 307SW 2.0L 디젤은 대한민국에 한동안 스테이션 왜건 열풍을 일으켰다. 플래그십이었던 607도 나름 팔린 편.

대한민국에 복귀한 후에는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오픈카(그것도 하드탑 컨버터블)을 선보이면서 인지도를 높이기 시작했다. 외제차에, 오픈카를 몰아보고 싶다면 푸조를 권한다. 비록 평범한 1.6L 4기통 가솔린 자연흡기 엔진을 달고 나왔지만, 복귀작인 206CC가 출시되면서 오픈카에 대한 로망은 분명히 있으나 '지붕'은 필요했고, '천으로 된 소프트탑은 불안하다'는 사람들의 마음을 자극했고, 적당히 귀여운 이미지를 어필해 은근히 판매량을 높였다.

의외로 수입차 중에서는 수동변속기 모델을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이 판매한 회사이기도 하다. RCZ 다이나미끄와, 206 RC, 207 RC가 공식 수입되었다.

2015년에 나온 2008도 흥행이 그럭저럭 괜찮은 편이었으나, 현재 상황으로는 독일차 브랜드와 볼보의 유행에 밀려 판매량이 크게 떨어졌다. 원인으로는 한불모터스의 고질적인 A/S 악명 문제, 환경규제로 말이 많은 디젤 모델로만 수입하는 등의 비판을 많이 듣고 있다. 그나마 2020년부터는 EV 모델도 들어오고 있다.

이후 2022년 2월 28일을 기해 시트로엥, DS 오토모빌과 함께 한불모터스와의 국내 딜러 계약이 종료되고, 2022년 3월부터는 지프를 수입하는 스텔란티스 코리아가 직접 푸조 브랜드의 딜러를 맡는다.# 이에 앞서 공식적인 비즈니스 활동을 2022년 1월 3일부터 시작했다.# 이후 10여년 이상 들여오지 않았던 가솔린 파워트레인을 3008과 5008을 통해 오랜만에 들여왔다.

2.5. 승용 디젤의 선두주자

승용 디젤에서 앞선 기술을 인정 받고 있는 푸조답게 디젤 엔진 관련 기술력이 매우 뛰어난 것으로 정평이 나 있다. DPF를 세계에서 최초로 개발하여 장착한 회사 답게, 정비사례를 찾아보면 웬만한 타 독일 회사들과는 달리 시내주행만 했다고 잦은 DPF 막힘현상이 나타나는 일이 매우 드물다는 걸 알 수 있다. 푸조/시트로엥의 자동차들은 타이밍 밸트를 교환할 때 뒷바퀴 휠하우스 근처에 위치한 DPF액도 같이 보충해 주는 정비를 하는데, 요소수하고는 전혀 다른 액체로써 시내주행같이 낮은 배기가스 온도에서도 DPF 재생을 원활하게 할수 있게끔 필요시마다 조금씩 분사해 탄매의 연소점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시내주행만 주구장창 해도 DPF가 막히는 일은 거의 없다. 단점이라면 JLM에서 유일하게 생산하는 특수 용액이 상당히 비싼데, 보통 적산거리 12~15만 킬로미터 마다 한번씩 보충하는데 드는 비용은 대략 8만원 가량 한다.[17]

1990년대 말 즈음부터 PAG의 승용 디젤 엔진을 거의 책임지다시피 했었다. 특히 본사에서 만들어 놓고도 얹을 차가 거의 없어서[18] 잘 팔리지도 못하던 V6 2.7L 커먼레일 디젤 엔진을 유럽 포드와 랜드로버, 재규어 등에 엄청나게 공급을 많이 해 주었고, 각 차량들의 경쟁력과 상품성을 급격하게 올려주는데 혁혁한 공을 세웠다. 대신 재규어 등이 후륜구동인지라 이 엔진을 세로배치한 차량들이 많았다. 그러나 2010년경 부터는 제각기 자체 개발한 승용 디젤 엔진을 적용하면서 지금 현재에는 관계가 거의 다들 정리가 된 상태다.

양산 디젤 엔진 뿐만 아니라, 레이싱용 디젤 엔진 기술력 역시 남다르다 할 수 있는데, 르망 24시에 도전한지 단 1년만인 2009년에 르망 우승에 성공했을 뿐만 아니라, 르망팬들에게도 역사상 당대 최강의 경주차로 인정 받았다. 다카르 랠리에서도 6기통 3000cc 디젤 엔진을 가지고 T3부분에 최초로 후륜구동으로 참전했음에도 불구하고 3연패의 위업을 달성해냈다. T3 역사상 최초의 2륜구동 디젤차가 우승한 것이다.

승용 디젤 엔진의 미래가 상당히 암울한 상황이지만, 세계 자동차 회사들 중에서는 업계 최초로 전 차종 WLTP 배출가스를 만족하는 위엄을 보였다.

2019년 들어서는 PSA 그룹이 DS 3 크로스백푸조 208의 전기차 버전 등 전기차 모델들을 선보이며 PSA그룹 역시 전기차에 집중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가면 갈수록 디젤의 설자리는 조금씩 좁아질 듯하다. 대한민국에도 2020년에 208을 시작으로 전기자동차 모델을 출시했고, 충전 인터페이스는 DC콤보다.

2022년부터 스텔란티스 코리아로 수입권이 넘어간 이후 본격적으로 가솔린 라인업을 새로 선보이고, 전기차 등 전동화 라인업을 확대하다가 2023년 11월 부로 2024년부터 본사 지침으로 디젤 전 차종의 판매 중단을 발표하고, 수입 재고만 판매한다.

3. 모터스포츠의 강자


대한민국에서는 아는 사람들이 많지 않지만 모터스포츠에서 잔뼈가 굵은데, 우선 1900 파리 올림픽에서 드 디옹 부통에 이어 금메달 수 2위를 차지했으며 1910년대에 인디 500에서 두 번 우승한 적이 있었다. WRC에서도 1980년대 그룹 B 205 T15 시절에 1985, 1986년에 제조사 챔피언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206 랠리카가 투입된 2000년부터 2002년까지 3시즌 연속 제조사 챔피언 타이틀을 획득한 바 있다.

WSC와 르망 24시에서도 상당히 좋은 성적을 보였었다. 특히 905 에보 1B는 1992년, 1993년 르망 24시에서 우승했다. 프로토타입 레이스에서 손을 떼고 랠리와 F1에 집중하기로 한 푸조 스포트가 2007년 르망 24시에 복귀했을 때 푸조 908 HDi FAP으로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

다카르 랠리에서는 1987년부터 1990년까지 4회 연속 우승, 2016년부터 2018년까지 3회 연속 우승을 기록하였고, 랠리와 같은 오프로드 레이싱에서만 참전한게 아니라 포뮬러 1르망 24시에도 참가하였다. F1은 1994년부터 엔진 제조사로 맥라렌 F1 팀에 공급해주었으며 포디엄도 8번정도를 올라갔지만, 낮은 내구성과 신뢰성으로 인해 그해말 바로 엔진을 못쓰게 되고 계약이 파기되었으며, 이후 95년부터 97년까지 조던 그랑프리에 공급해주고 포디엄엔 5번을 올라가기도 하였다. 이후 98년부터 2000년까지 프로스트 그랑프리와 직접적인 공급을 체결하긴 하나, 당시 프로스트 팀의 경쟁력 부족, 지속적인 신뢰도 하락의 여파로 포디엄은 1번밖에 못올라가고[19] 2000년 시즌에는 모든 팀들 중 꼴지를 하는 바람에 F1에서 철수를 감행, 이후 푸조 엔진 팩토리는 아시아테크라는 컨소시엄에 매각되었으며, 이후 하위권 팀들인 애로우즈 그랑프리미나르디 F1 팀이 각각 한 시즌씩 번갈아 쓰다가 버리고 이후 코스워스 엔진으로 갈아타는 바람에 F1에서 자동으로 빠지게 되는 전력이 있다.
파일:Peugeot_9X8_Hypercar.jpg 파일:Peugeot_9X8_Hypercar_back.jpg

또한 2022년 시즌 르망에 복귀를 한다고 선언했는데 하이퍼카 클래스에 출전할 것임을 밝히며 많은 팬들의 기대를 모으고 있다.[20] 7월 6일 차량이 공개되었으며, 이름은 "9X8"이다.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무려 리어윙을 삭제했다. 거의 반세기만의 파격이라고 하는데 과연 차량 설계를 어떻게 했을지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는 중이다.

4. 생산 차종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00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0000>
파일:푸조 로고.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000,#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555555,#aaaaaa
차급 생산 차량 단종 차량
<colbgcolor=#000000> 경차 - 107 · 108 · 이온
소형차 208 201 · 202 · 204 · 304 · 104 ·
106 · 205 · 206 · 207
준중형차 308 · 301 · 408 305 · 309 · 306 · 307
중형차 508 203 · 401 · 403 · 404 · 504 ·
505 · 405 · 406 · 407
준대형차 - 604 · 605 · 607
대형차 - 402 · 601
스포츠카 - RCZ
소형 SUV 2008 -
준중형 SUV 3008 · 408 4007 · 4008
중형 SUV 5008 -
MPV 트래블러 1007 · 5008(1세대) · 806 ·
807 · J5 · J7 · J9
상용차 파트너 · 엑스퍼트 · 박서 비퍼 · D3 · D4
픽업트럭 랜드트렉 호거 · 픽업
LMH 9X8
LMP1 908 HDi FAP · 908
그룹 C 905
콘셉트 카 907 · SR1 · 오닉스
기갑차량 - 장갑차
시트로엥의 차량
DS 오토모빌의 차량
오펠의 차량
복스홀의 차량
}}}}}}}}}}}}}}} ||

설립 초기에는 '타입 XX(XX식)'으로 이름을 붙였으나, 현재의 명명법은 첫자리가 차급, 끝자리가 세대를 나타내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1자리수 중에서는 시트로엥에 C7[21]이 없는 것처럼 70X 시리즈만 없다.

특징으로는 한 차종에서 여러 종류의 파생형 모델[22]을 만들어내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PSA 그룹에서 나오는 모든 차종은 전륜구동이다. 같은 그룹 소속 계열사이다보니 시트로엥의 차종들과 동일한 형제 모델들도 다수 존재한다. 또한 몇몇 일본(미쓰비시), 중국(창안) 제조사의 플랫폼을 이용하거나 공동 개발하는 경우도 있었다.

4.1. 현재 판매 중인 모델

4.2. 단종된 모델

4.2.1. 10X

4.2.2. 20X

4.2.3. 30X

4.2.4. 40X

4.2.5. 50X

4.2.6. 60X

4.2.7. 80X

4.2.8. 90X

4.2.9. 그 외

5. 기타



[1] 본래 프랑스 발음은 '푀'조 이다. 그러나 발음이 무의식적으로 '페'조가 되기 쉬운데다(실제로 ㅔ와 ㅚ는 평순-원순 관계이다.) 일본어의 영향을 받아 대한민국에서는 푸조라고 부르며, 한국어 브랜드 네임도 푸조가 되었다. 604가 출시되던 시절에는 '뿌조'라고 표기한 적이 있다.[2] 푸조는 1810년에 커피 분쇄기, 우산 등을 제조하는 철강 업체로 출발하였다. 이후 1882년부터 자전거를 제조하기 시작하였으며, 1889년에 3륜차 세르폴레 푸조를 만들면서 자동차 사업에 뛰어들었다. 그러다가, 1897년에 독립적으로 푸조 자동차 회사를 설립하여 현재에 이른다.[3] 참고[4] Musée de L'Aventure Peugeot, 1982년 설립된 이 박물관은 자동차와 푸조의 역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다. 심지어 1891년 생산된 'Type-2' 차량도 있다.[5] 보통 조로 알려져 있으나, 프랑스어에서 eu는 독일어의 ö에 해당하는 /ø/ 발음이다. 홍세화의 저서 <나는 빠리의 택시 운전사>에선 이 발음을 의식해서 푸조를 '뾔조' 라고 표기했다. 영국에서는 영국 영어 특유의 굴림 없는 장음으로 퍼-조에 가깝게 발음한다. Perfect의 용인발음 참조.[6] 고양이라고 알고 있는 사람도 꽤 많지만, 옛날 마크를 보면 대놓고 사자가 그려져 있다. 이 사자는 사실 푀조의 고향인 벨포르(Belfort)를 상징하는 동물로서 벨포르에는 자유의 여신상을 조각한 프레데리크 오귀스트 바르톨디(Frédéric Auguste Bartholdi)가 조각한 '벨포르의 사자' 라는 석상이 유명하다.[7] 일본에서의 별명은 일본어로 고양이인 네코를 본떠 네코아시, 즉 "고양이 발"이다.[8] 얼마나 정신이 나갔냐 하면, 쏘나타 크기의 푸조 508 세단 1.6리터 e-HDi의 연비가 디젤인데 22.6km/l이다. SUV인 3008(FF만 나왔음)의 연비도 21.2km/l이다. 참고로 YF 하이브리드의 연비는 16.9km/l이다.[9] 그래 봤자 그랜저 크기 정도밖에 안 되며, 후륜구동이 아닌 전륜구동이다. 다만, 기아가 라이선스 생산했던 604는 후륜구동이었다.[10] 개조를 해서 탄다.[11] 일반적인 자동변속기 차량처럼 D레인지에서 브레이크 페달만 떼면 슬슬 출발하는 것(크리프 현상)이 아니다. 심지어 언덕에서는 뒤로 밀리기도 한다. 따라서 일부에서는 클러치 조작과 기어봉 조작 및 시동 꺼짐의 위험을 제거한 수동형 자동변속기라고 부르고 있다. 물론 세상의 모든 일이 그렇듯이, MCP에 익숙해지면 큰 문제는 없다.[12] 대한민국에서는 폭스바겐의 DSG 변속기에 대한 평가가 높으나 미국 등에서는 잔고장 많은 기어박스로 악명이 높다. 실제로도 폭스바겐에서 DSG 변속기 문제로 리콜을 많이 한 편.[13] 2.0L 커먼레일 디젤 모델은 MCP가 적용되지 않으며, 애초부터 아이신의 6단 자동변속기가 적용되었다.[14] BMW 모토라드, 혼다, 스즈키가 대표적이며 아우디(전신인 DKW에서 생산), 기아자동차(기아기연-대림자동차) 등도 오토바이 역사가 섞여있는 자동차회사는 꽤 많다.[15] 이전 소유사는 구 쌍용차 주인이기도 했던 마힌드라 & 마힌드라.[16] 포드도 푸조와 공동 개발한 승용 커먼레일 디젤 엔진을 듀라토크(DuraTorque)라는 이름으로 사용한다. 재규어랜드로버의 차량에 탑재되는 커먼레일 디젤 엔진도 역시 포드-푸조 공동 개발 제품을 한때 이용했다.[17] 그러나 국산차도 100만 원 이하, 외제차는 적어도 100만 원을 훌쩍 넘는 고가의 교체비용이 20-25만 km마다 들어간단걸 생각하면 이는 매우 저렴한 금액이다. DPF는 장주기 소모품으로, 클리닝 비용만도 십수 만원이 소요되는 부품이다.[18] 407 쿠페 모델과 607에 얹었었다. 둘다 판매도는 매우 저조했다.[19] 이마저도 99년 유러피안 GP에서 다른 팀 차들이 리타이어되고 사고가 나자 어찌저찌 운으로 올라갔다.[20] 대신 그 대가로 같은 그룹 계열사인 시트로엥랠리에서 철수했다. 표면적인 이유는 1군(WRC)에서 트레이드할 드라이버, 그리고 2군과 육성군(WRC 2 & WRC 주니어)에서 데려올 드라이버가 없어서였다지만, 실질적인 이유는 아무래도 두 개의 팀을 동시에 운영하기에는 이 없어서 그런 듯 하다.[21] 과거 C-크로서의 초기 명칭이었으나 차명이 변경되었다.[22] 핫해치인 GTi, 세단, 왜건, 해치백, 쿠페, 컨버터블[23] 승용형 모델[24] 현재는 토요타가 인수해 TMM 체코 공화국 법인으로 변경되었다.[25] 푸조 806, 시트로엥 에바지온(Evasion), 피아트 울리세(Ulysse), 란치아 제타(Zeta). 이들을 묶어 세벨 유로밴(Eurovan)이라 부른다.[26] 푸조 807, 시트로엥 C8, 피아트 울리세(2세대), 란치아 페드라(Phedra)[27] Leisure Activity Vehicle. 높은 지붕을 가진 MPV 및 밴. 이 장갑차와는 관계없다[28] 실제로 자동차 회사가 산업 디자인에 뛰어들기도 한다. 그 예로 ASUS람보르기니가 콜라보레이션을 한 노트북 컴퓨터나 블랙베리포르쉐 디자인이 콜라보레이션한 P'9981, P'9982, P'9983이 있다.[29] 같은 프랑스 회사인 르노엘프 아키텐이나 캐스트롤이 후원하기 때문에 이들의 제품이 권장된다.[30] 육군의 소형 무장헬기 개발및 도입 사업인 LAH사업의 확정 기종인 H155의 후속 기종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