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을 확인하세요.
<colbgcolor=#1353B4><colcolor=#fff>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1F7E 0%, #1353B4 30%, #1353B4 70%, #001F7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앤 | 빅토리아 | 엘리자베스 2세 |
조지 | 앨버트 | 필립 | |
}}}}}}}}}}}}}}} |
<colbgcolor=#1353B4><colcolor=#fff> 영국 엘리자베스 2세의 국서 & 에든버러 공작 필립 마운트배튼 Prince Philip, Duke of Edinburgh | |||||
| |||||
이름 | 그리스어 | 그리스와 덴마크의 필리포스 (Φίλιππος της Ελλάδας και της Δανίας) | |||
영어 | 필립 마운트배튼 (Philip Mountbatten)[1] | ||||
출생 | 1921년 6월 10일 | ||||
그리스 왕국 코르푸 섬 몬 레포스 궁전 (現 그리스 공화국 이오니아 코르푸 섬 몬 레포스 궁전) | |||||
사망 | 2021년 4월 9일 (향년 99세)[2] | ||||
잉글랜드 버크셔 윈저 윈저 성 | |||||
장례식 | 2021년 4월 17일 | ||||
잉글랜드 버크셔 윈저 윈저 성 세인트 조지 예배당 | |||||
신체 | 183cm | ||||
학력 | 맥자넷 아메리칸 스쿨 침 스쿨 고든스턴 스쿨 (졸업) 영국해군사관학교 (졸업) | ||||
배우자 | 엘리자베스 2세 (1947년 결혼) | ||||
자녀 | 찰스, 앤, 앤드루, 에드워드 | ||||
아버지 | 그리스와 덴마크의 안드레아스 왕자 | ||||
어머니 | 바텐베르크의 앨리스 공녀 | ||||
형제 | 마르가리타, 테오도라, 케킬리아, 소피아 | ||||
종교 | 정교회 (그리스 교회) → 성공회 (잉글랜드 국교회) | ||||
서명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군사 경력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1353B4><colcolor=#fff> 임관 | 영국해군사관학교 (1940년) | |||
복무 | 영국 해군 | ||||
1939년 ~ 1952년 | |||||
최종 계급 | 중령 | ||||
명예 계급 | 원수 (영국 육군) 원수 (영국 해군) 원수 (영국 해병대) 원수 (영국 공군) | ||||
상훈 | 전승 공로 훈장[3] 전쟁의 십자가 훈장[4] 그리스 전쟁의 십자가 훈장 대한민국 체육훈장 청룡장 | ||||
참전 | 제2차 세계 대전[5] | }}}}}}}}} |
|
공식 초상화[6] |
[clearfix]
1. 개요
영국 여왕 엘리자베스 2세의 부군이자 국서. 그리스와 덴마크의 안드레아스 왕자와 바텐베르크의 앨리스 공녀의 외아들이다.2. 작위
|
문장[7] |
- 그리스와 덴마크의 필리포스 왕자 전하 His Royal Highness Prince Philip of Greece and Denmark (1921년 6월 10일 ~ 1947년 3월 18일)
- 필립 마운트배튼 대위 Lieutenant Philip Mountbatten (1947년 3월 18일 ~ 1947년 11월 19일)[8]
- 필립 마운트배튼 경 전하 His Royal Highness Sir Philip Mountbatten (1947년 11월 19일 ~ 1947년 11월 20일)[9]
- 에든버러 공작 전하 His Royal Highness The Duke of Edinburgh (1947년 11월 20일 ~ 1957년 2월 22일)
- 메리오너스 백작 Earl of Merioneth (1947년 11월 20일 ~ 2021년 4월 9일)
- 그리니치 남작 Baron Greenwich (1947년 11월 20일 ~ 2021년 4월 9일)
- 에든버러 공작 필립 공 전하 His Royal Highness The Prince Philip, Duke of Edinburgh (1957년 2월 22일 ~ 2021년 4월 9일)
공식적인 칭호는 '에든버러 공작, 메리오너스 백작, 그리니치 남작, 가터 훈장의 기사, 시슬 훈장의 특별기사, 대영제국 훈장의 기사, 오더 오브 메리트 훈장의 회원, 오스트레일리아 훈장의 컴패니언, 뉴질랜드 훈장의 회원, 여왕 공로 훈장의 컴패니언, 파푸아뉴기니 로거후 훈장의 치프, 캐나다 훈장의 컴패니언, 캐나다 무공 훈장과 캐나다 군대 훈장의 커맨더, 여왕 폐하의 영광스런 추밀원과 캐나다 추밀원의 의장, 해군 최고 사령관이신 필립 공 전하'이다.
3. 생애
4. 평가
5. 가족 관계
5.1. 조상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에든버러 공작 필립 공 | <colbgcolor=#fff3e4,#331c00> 그리스와 덴마크의 안드레아스 왕자 | <colbgcolor=#ffffe4,#323300> 요르요스 1세 | |
크리스티안 9세 | |||
헤센카셀의 루이제 공녀 | |||
올가 콘스탄티노브나 여대공 | |||
러시아의 콘스탄틴 니콜라예비치 대공 | |||
작센알텐부르크의 알렉산드라 공녀 | |||
바텐베르크의 앨리스 공녀 | |||
바텐베르크의 루트비히 공자 | |||
헤센의 알렉산더 공자 | |||
율리아 하우케 여백작 | |||
헤센의 빅토리아 공녀 | |||
헤센 대공국 대공 루트비히 4세 | |||
영국의 앨리스 공주 |
5.2. 자녀
|
<rowcolor=#fff> 2007년 가족 사진[10] |
자녀 | 이름 | 출생 | 배우자/자녀 |
1남 | 찰스 3세 | 1948년 11월 14일 | 슬하 2남[11] |
카밀라 파커 보울스 | |||
1녀 | 프린세스 로열 앤 | 1950년 8월 15일 | 슬하 1남 1녀[12] |
티머시 로런스 | |||
2남 | 요크 공작 앤드루 왕자 | 1960년 2월 19일 | 슬하 2녀[13] |
3남 | 에든버러 공작 에드워드 왕자 | 1964년 3월 10일 | 소피 리스존스 슬하 1남 1녀[14] |
6. 매체에서
- 영화 《더 퀸》: 제임스 크롬웰
전통을 중시하는 완고한 보수주의자의 모습을 보이며 여론의 질타에 꼬장꼬장하게 분통을 터트리곤 한다.
- 영화 《스펜서》: 리차드 새뮤얼
초반 시즌 많은 갈등을 겪고 나서 부부 사이가 상대적으로 안정기로 들어선 3시즌 이후부터는 여러모로 달라진 모습을 보여주게 된다.
7. 여담
- 2살도 안 되어 그리스를 떠났기 때문에 그리스어는 그리 잘하지 못하지만, 1992년 밝힌 바에 따르면 어느 정도 알아들었다고 한다. 또한 프랑스어와 독일어를 구사할 수 있었다. 어린 시절 독일의 슐레 슐로스 잘렘에서 수학하기도 하여 독일어 능력도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었다. #
- 엘리자베스 2세는 빅토리아 여왕의 장남 에드워드 7세의 증손녀이고 필립은 빅토리아 여왕의 차녀 앨리스 공주의 증손자로 둘 다 빅토리아 여왕의 후손이자 모계[18] 기준으로는 8촌이다. 또 필립의 조부 요르요스 1세는 덴마크 크리스티안 9세의 차남이고 엘리자베스 2세의 증조모인 알렉산드라는 크리스티안 9세의 장녀로 부계[19]로는 7촌 관계이다.
- 1985년 전두환 前 대통령은 필립 공이 당시 국제승마협회 회장 자격으로 방한했을 때, 필립 공에게 체육훈장 청룡장을 수여했다. # 이후 필립은 2004년 여왕의 초청으로 영국을 국빈 방문한 노무현 前 대통령 환영만찬이 열리자 훈장을 이브닝 드레스에 패용한 채 참석했다.
- 러시아 혁명 와중에 처형당한 니콜라이 2세 일가의 유해가 1991년 공식 발굴되었을 때 신원 확인을 위한 DNA 검사 샘플로 필립의 DNA가 제출되었다. 필립의 외조모인 헤센의 빅토리아 공녀가 니콜라이 2세의 아내 헤센의 알릭스 공녀와 자매였기 때문에 모계 유전으로 전달되는 미토콘드리아의 특성상 알렉산드라 황후 본인 및 자녀인 올가, 타티아나, 마리야, 아나스타시야, 알렉세이와 밀포드헤이븐 후작부인의 외손자인 필립의 미토콘드리아가 일치할 수 있었다. 빅토리아 여왕의 후손들 가운데서 미토콘드리아가 모계로 유전된 사람으로서 DNA 검사 당시 생존한 알렉산드라 황후와 가장 가까운 친척이 바로 필립이었다.
- 젊은 시절부터 운전하는 걸 상당히 좋아해서 90살이 넘은 나이까지 자신의 자가용인 랜드로버를 운전기사 없이 본인이 직접 운전하는 모습이 종종 포착됐다. 하지만 2019년 랜드로버를 몰다가 교통사고를 냈는데 며칠도 안 되어 다시 운전대를 잡은 모습이 포착됐다. 심지어 안전벨트까지 매지 않은 상태였다 보니 비판 여론이 들끓자 반강제적으로 운전면허증을 반납했다. 이때가 무려 97세로 상당한 고령이다. 이후 여생 동안은 운전을 하지 않았다.
- 바누아투의 탄나 섬에 살고있는 부족들이 필립 공을 신의 아들로 여기며 자신들과 같은 부족으로 여기고 있어 화제가 됐다. 부족의 전승에 의하면 오래전 산신의 아들이 강력한 힘을 가진 아내감을 찾기 위해 섬을 떠났는데, 이 산신의 아들이 바로 필립이며 백인들의 어리석음, 질투, 탐욕, 그리고 끊임없는 싸움으로 인해 섬에 돌아오지 못하고 숨졌다고 여기고 있다. 심지어 필립이 태어났다고 전해지는 집도 있다고. 이들은 2007년 필립을 만나 전통 술과 선물을 바치고 섬에 돌아올 것을 청하기도 했으며,[20] 필립 역시 탄나 섬 주민들에게 답례품과 함께 이런저런 지원을 해준 것으로 알려졌다. 영국 학자들은 바누아투가 영국의 식민통치를 받던 시절 시내 관공서에 걸린 필립의 초상화[21]에서 신앙이 비롯되었고 1974년 필립이 여왕과 함께 뉴헤브리디스 제도를 방문한 이후 이런 믿음이 더 강해진 것으로 보고 있다. 필립 공이 사망한 후에 해당 부족은 매우 애통해하며, 마을 족장은 필립 공의 영혼은 살아있으며 영원히 자신들과 함께할 것이라고 인터뷰했다.#
- 손자며느리 웨일스 공비 캐서린의 할아버지인 피터 미들턴과 만난 적이 있다. 피터 미들턴은 마이클 미들턴의 아버지로, 1962년 필이 남미로 비행 여행을 떠났을 때 부조종사로 함께 탑승했다. 피터 미들턴은 2010년에 사망하여 1년 뒤에 열린 손녀의 결혼식을 보지 못했으며 필립과도 재회를 못했다.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1F7E, #1353b4 13%, #1353b4 87%, #001F7E)" {{{#!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353b4><tablebgcolor=#1353b4> | 에든버러 공작 필립 공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1353b4,#1353b4>역임 지위 | <colbgcolor=#fff,#1f2023>영국 국서 · 영연방 왕국 국서(캐나다 국서 · 호주 국서 · 뉴질랜드 국서) · 에든버러 공작 · 축구협회 회장 · 에든버러 대학교 총장 · 영국 해군 중령 | |
생애 | 생애 | ||
재위 시기 | 국서 시절 | ||
가족 관계 | 가족관계 아버지 그리스와 덴마크의 안드레아스 · 어머니 바텐베르크의 앨리스 · 누나 그리스와 덴마크의 마르가리타 · 누나 그리스와 덴마크의 테오도라 · 누나 그리스와 덴마크의 케킬리아 · 누나 그리스와 덴마크의 소피아 · 배우자 엘리자베스 2세 · 장남 찰스 3세 · 장녀 프린세스 로열 앤 · 차남 요크 공작 앤드루 왕자 · 3남 에든버러 공작 에드워드 왕자 | ||
대중매체 | 더 크라운 | ||
기타 | 영국 · 그리스 왕국 · 윈저 왕조 · 글뤽스부르크 왕조 · 영국 해군 · 루이 마운트배튼 |
[1] 엘리자베스 2세와의 혼인을 위해 영국으로 귀화하면서 외가의 성인 마운트배튼을 쓰게 되었다.[2] 100세 생일을 2개월 1일 앞두고 사망했다.[3] MiD[4] Croix de Guerre[5] 크레타 섬 전투, 마타판 곶 해전, 연합군의 시칠리아 침공, 드라군 작전, 롭슨 작전, 렌즈콩 작전, 오키나와 전투 등의 전투에 참전했다.[6] 말년인 2017년에 공개된 초상화로, 필립 공의 생전 마지막으로 공개된 초상화이다. 특이하게도 영국의 훈장이 아닌, 덴마크 코끼리 기사단 훈장의 대수를 둘렀는데 글뤽스부르크 왕조 출신임을 강조하기 위함이었다고 한다. 그림 속에서 필립이 서있는 복도의 끝에는 어머니 바텐베르크의 앨리스 공녀와 외할머니 헤센의 빅토리아 공녀가 태어난 방이 있으며, 오른쪽 벽에 부착된 영국 왕실 가족 초상화에는 어머니 앨리스 공녀의 어린시절 모습이 그려져 있다.[7] 남편의 문장과 합쳐지는 왕자비들의 문장과 달리 아내의 문장과 합쳐지지 않았다. 좌측 하단의 흑백 문양이 외가 문장이며, 상단 문장은 친가와 그리스의 문장에서 따왔다. 우측 하단의 문장은 에든버러 시의 문장에서 따왔다.[8] 엘리자베스 2세와의 결혼을 위해 이후 그리스 왕위 계승권과 왕족 신분을 포기했다.[9] 엘리자베스 2세와의 결혼을 위해 그리스 왕족 신분을 포기하면서 전하 경칭을 잃었다가 다시 받게 되었다. 공주의 남편은 전하 경칭을 사용하지 않으나 필립은 차기 여왕의 부군이 될 사람이었기에 수여한 것이다.[10] 뒷줄 왼쪽부터 요크 공작 앤드루 왕자, 프린세스 로열 앤, 에든버러 공작 에드워드 왕자, 찰스 3세, 엘리자베스 2세, 필립이다.[11] 웨일스 공 윌리엄, 서식스 공작 해리 왕자[12] 피터 필립스, 자라 틴달[13] 요크의 베아트리스 공녀, 요크의 유지니 공녀[14] 루이즈 마운트배튼윈저, 제임스 마운트배튼윈저[15] 즉위 시점 필립은 한창인 30세, 엘리자베스는 25세였다. 젊은 부부가 너무 큰 변화에 적응하고 갈등을 해결해 나가기에는 녹록치 않은 시기일 수 밖에 없다.[16] 당시엔 아직 공주였던 여왕이 공항에 도착하자 맞이하기 위해 나온 아프리카 부족장들의 복장이나 훈장 등을 가지고 조롱을 하고, 이에 엘리자베스 2세가 당황하며 제지하는 모습이 나오며, 시즌4에서는 가이아나 대통령이 선물로 준 항아리에 이상한 새와 구불구불한 선들이 그려져 있다고 말하는 장면이 나온다.[17] 다만 여태 있던 의혹들이 사실에 가까운 것으로 설정해 극이 진행되다 보니 필립 공 본인은 이 드라마를 정말 싫어했고, 다이애나 스펜서가 등장하기 전까진 여왕 본인은 물론 왕족들도 더 크라운을 즐겨보던 것과 달리 대놓고 불편한 감정을 숨기지 않았다고 한다. 생전 더 크라운의 제작자들을 고소하길 원했으며, 특히 누나 체칠리아의 죽음을 묘사한 것에 대해 분개했다고 한다.#[18] 영국 왕실인 작센코부르크고타 왕조 및 윈저 왕조.[19] 그리스 및 덴마크 왕실인 글뤽스부르크 왕조.[20] 필립은 "날씨가 따뜻해지면 생각해 보리다"라고 대답했다고 한다.[21]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사실 뉴헤브리디스 제도는 영국과 프랑스의 공동 식민통치를 받았기 때문에 관공서에는 프랑스 대통령의 초상화 역시 같이 걸렸을 것이다. 하지만 프랑스 대통령은 임기직이라 시간이 지나면 다른 사람 사진으로 바뀌었을 테지만 영국 여왕 부군은 이혼하거나 군주제가 철폐되지 않는 한 종신직이니 사진이 계속 걸려 있어서 필립 공을 섬기게 된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