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2 06:07:20

한국어의 외래어/중국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한국어의 외래어
한국어 외래어
영어 일본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중국어 네덜란드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라틴어 그리스어 아랍어 유대어 산스크리트어 페르시아어
기타

중국어 출신 단어
외래어 계열 한자어 계열


1. 개요2. 남한의 외래어
2.1. 음식
2.1.1. 요리2.1.2. 주류/음료2.1.3. 식재료2.1.4. 요리 도구
2.2. 견종2.3. 회사/제품명2.4. 무술2.5. 애칭2.6. 기타
3. 북한의 외래어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한국어의 외래어 중 중국어에서 온 어휘를 정리한 문서이다. 중국어라고 한국 한자음으로 읽는 것도 올렸다간 끝이 나지 않기 때문에, 중국 한자음(한국 한자음과 다른 사투리 한자음도 가능)으로 읽는 것 또는 그 변형만 가나다순으로 올릴 수 있다. 원음을 짐작할 수 있도록 병음을 반드시 표기해야 한다.

분홍색:광동어
민트색:민남어||

1980~90년대까지 거의 다 한국 한자음으로 불렀지만 현대에 한자를 덜 사용하고 원음주의가 득세하며 중국 현지(표준)음대로 불러주는 예가 늘었다.

2. 남한의 외래어

2.1. 음식

2.1.1. 요리

중국 요리를 부르는 단어들은 대부분 중국어에서 수입되어 들어온 외래어이다. 그러나 표준 중국어 발음과 꽤 다른 음가를 갖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우리나라에 거주하고 있는 화교의 대부분이 하북성, 북경시, 천진시, 하남성 등의 표준어ㅇ에 가까운 관화를 구사하는 지역이 아니라 산동성 출신이 많아서 산동방언[1]이 섞였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鷄(닭 계)자를 'gī'(/kɪ˥˥/; 기, 산동방언병음방안)로 발음하는 것이 그 예이다. 단, 1990년대에 중국과 수교한 후부터 국내에 들어오는 중국인들은 동북 3성 출신, 특히 중국 조선족한족 출신이 많은 편이라서 그들이 들여온 요리들은 표준중국어 발음 그대로 단어가 수입된 경우가 많다.

2.1.2. 주류/음료

2.1.3. 식재료

2.1.4. 요리 도구

2.2. 견종

2.3. 회사/제품명

2.3.1. 중화인민공화국

2.3.1.1. 중국 대륙
2.3.1.2. 홍콩 특별행정구 + 마카오 특별행정구

2.3.2. 대만

2.3.3. 싱가포르

2.4. 무술

2.5. 애칭

판다 관련

2.6. 기타



[1] 표준 중국어광동어 같은 먼 관계가 아니며, 지역마다 약간 달라 관화의 하위 방언인 중원관화, 기로관화, 교로관화로 나뉘어 분류된다.[2] 표준중국어로는 "diǎnxin"이다. 한국어 점심과는 다른 의미다. 중국어에서 낮에 먹는 식사는 점심이 아니라 午飯(wǔfàn)이라고 부른다.[3] 한국어 독음으로 마랄탕.[4] 마라 문서에 따르면 얼얼한 맛을 '痲(마)', 매운 맛을 '라(辣)'라고 한다.[5] 원래 빙탕후루(氷糖葫蘆)라고 한다.[6] 돈육 대퇴부[7] 白乾兒(báigān, 바이간)이 얼화되었다.[8] 토하라어를 거쳐 유럽에 전래되었다.[9] 표준중국어로는 "(háo yóu)"이다.[10] 영어 lychee (litchi)를 거치면서 변형되었다. 현대에는 잘 안 쓰지만 이것을 한국식으로 읽은 '여지' 도 국어사전에 나온다. 실제로 조선시대 문헌에도 이 이름으로 종종 등장한다.[11] 표준중국어로는 "(huò)"이다.[12] 해당 견종이 狮子狗(shīzigǒu, 스쯔거우)라 불린 것에서 유래.[13] 중국 송나라 시대의 시에서 유래했다.[14] 설립자에 의하면 카우치 포테이토라는 미국 속어에서 유래했다.[15] 기술지원을 해 준 스위스에 본사를 둔 회사 Liebherr의 음차 利勃海爾(lìbóhǎi'ěr)의 끝 두자에서 유래했다.[16] 표준중국어로는 "(Wénhuá Dōngfāng Jiǔdiàn)"이다.[17] 표준중국어로는 "(Wéitā'nǎi Guójì Jítuán Yǒuxiàngōngsī)"이다.[18] 표준중국어로는 "(Píngguǒ Rìbào)"이다.[19] 표준중국어로는 "(Nánhuá Zǎobào)"이다.[20] 표준중국어로는 "(lánbǎokējì)"이다.[21] 표준중국어로는 "(Xīnhóngjī Dìchǎn)"이다.[22] 표준중국어로는 "(Tàigǔ Jítuán)"이다.[23] 표준중국어로는 "(Zhādǎ Yínháng Yǒuxiàn gōngsī)"이다.[24] 표준중국어로는 "(qūchénshì)"이다.[25] 표준중국어로는 "(xīnnéngyuán kējì yǒuxiàn gōngsī)"이다.[26] 표준중국어로는 "(Chéngtiān Jiāhé Yúlè Jítuán Gōngsī)"이다.[27] 표준중국어로는 "(Lǐ Jǐn jì yǒuxiàn gōngsī)"이다.[28] 표준중국어로는 "(Zuǒ dān nú)"이다.[29] 표준중국어로는 "(Chángjiāng Shíyè Jítuán Yǒuxiàn Gōngsī)"이다.[30] 표준중국어로는 "(Guótài Hángkōng gōngsī)"이다.[31] 표준중국어로는 "(Héjì Huángpǔ yǒuxiàn gōngsī)"이다.[32] 표준중국어로는 "(Héjì gǎngkǒu jítuán yǒuxiàn gōngsī)"이다.[33] 표준중국어로는 "(Xiānggǎng Yóuzhèng)"이다.[34] 표준중국어로는 "(Shàngchéng Shùkē)"이다.[35] 표준중국어로는 "(Xiānggǎng Shànghǎi Huìfēng Yínháng Yǒuxiàn gōngsī)"이다.[36] 표준중국어로는 "(Diànxùn Yíngkē Yǒuxiàngōngsī)"이다.[37] 표준중국어로는 "(Bǎinéng Jítuán)"이다.[38] 중국에서 쓰이던 일종의 구호. 이후 미국에 전래됐다.[39] 단 상표명은 富士康 (Fùshìkāng)으로 표기된다.[40] 표준중국어로는 "(Měizhēnxiāng)"이다.[41] 표준중국어로는 "(Dànmǎxī Kònggǔ)"이다.[42] 추정[43] 한국한자음인 '홀륜'에서 변형된 것으로 볼 여지도 있으나, 중국어 발음 /hu.lun/ → /hul.ljuŋ/ [ɸulʎjũŋ] 으로 보는 것이 정설. 《우리말어원사전》(김민수·최호철·김무림 편찬, 태학사) 참조.

3. 북한의 외래어

북한은 대단히 폐쇄적인 국가이기에 중국이나 러시아와 교류 빈도도 남한에 밀린다. 그래서 오히려 남한보다 중국어 출신 외래어가 적다. 특이한 한자어를 써도 중국어 유래가 아니라 분단 전부터 있던 용례가 남한에서 사어화되고 북한에서 남아 있는 경우가 많다. '봉사'를 항상 서비스라는 뜻으로 쓴다든가[44] '설탕'을 옛 형태인 '사탕'으로 표기하는 것이 그 예다.
북한 사전에 실린 표준어는 아니지만 뗀신(點心)이라고 하는 딤섬도 있다. 한자 표기는 같다. 한국에서는 한중수교 이전까지 중국 식문화가 주로 광동어를 사용하는 홍콩마카오에서 유입된 관계로 광동어 발음인 딤섬이라고 표기하는 반면, 북한은 오랫동안 중국 본토와 영향을 주고받아 표준 중국어가 강세라 표준중국어 발음으로 소개되고 있다.


[44] 중국에서는 한국식으로 '복무'라고 읽히는 단어를 서비스라는 의미로 쓰지만 북한은 '봉사'를 많이 쓴다.

4. 관련 문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05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0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