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22 22:09:11

홀로라이브 페스티벌


1. 개요2. 범례3. 역대 페스티벌 목록
3.1. 1st fes. "Nonstop Story"
3.1.1. 세트리스트
3.2. 2nd fes. "Beyond the Stage"
3.2.1. 세트리스트
3.3. 3rd fes. "Link Your Wish"
3.3.1. 세트리스트3.3.2.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 Link Your Wish
3.4. 4th fes. "Our Bright Parade"
3.4.1. 세트리스트3.4.2. holo*27
3.5. 5th fes. "Capture the Moment"3.6. 6th fes. "Color Rise Harmony"
3.6.1. 세트리스트

1. 개요

파일:hololivefesEXPO24_DAY1.webp
<rowcolor=#063f5c> 마쿠하리 멧세에서 개최된 2024 홀로라이브 페스티벌
커버 주식회사, hololive production에서 2020년부터 개최하기 시작한 홀로라이브 페스티벌. 줄여서 홀로 페스(hololive fes.)라고 부른다.

홀로라이브는 멤버들의 생일이나 기념일마다 라이브나 이벤트가 열리긴 하지만 홀로라이브 페스티벌은 홀로라이브의 거의 모든 멤버가 참가하는 가장 큰 최대 규모의 행사다. 홀로라이브의 홍백가합전이나 올스타즈같은 위상.

동시 전달을 통한 엑스포 이벤트 스테이지나 유튜브 치라미세[1] 방송과 같은 무료 파트가 있기는 하지만 그 외에는 엄연히 티켓을 구매해야 관람할 수 있는 본격적 라이브 콘서트로, 현장 관람이든 온라인 시청이든 입장권을 유료 구매해야 볼 수 있다. 녹화 후 유포는 불법이다. 온라인 유료 송출본은 카메라 영상에 문제가 없는지 검수를 거친 후 블루레이판으로 일정 기간 동안 다시 판매한다.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시청이나 유튜브 치라미세 영상에서는 카메라에 증강현실이 적용되어 무대 위에 홀로라이브 멤버들이 3차원으로 공연하는 모습을 볼 수 있으나, 실제로 현장에 가 보면 무대 위에 놓인 스크린에 멤버들의 3차원 모델이 3면 스테이지 등을 통해 2차원으로 영사되는 형태이다. 따라서 온라인에서 볼 수 있는 깊이감 있는 무대의 모습은 기대하기 어렵다. 그럼에도 뜨거운 분위기 속에서 자신이 좋아하는 멤버를 목청껏 응원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페스티벌 현장에 참여하는 것은 팬덤에게는 매우 뜻깊은 시간으로 여겨지곤 한다.

버츄얼 콘서트라는 점 때문에 멤버들은 실제로 어디서 무엇을 하는지 궁금해하는 사람들도 많다. 홀로EN 2nd 콘서트에 게스트 멤버로 참여했던 호시마치 스이세이의 언급에 따르면, 당시 객석에서 우레와 같은 환호성이 터져나왔을 때 스이세이는 "멀리서 바람소리 같은 게 들렸다"고 한다. 이런 증언으로 미루어 보면, 멤버들이 실제로 같은 공연장의 다른 층 다른 호실 정도까지는 직접 찾아와서 공연하고, 그렇게 모션 캡처된 멤버들의 모습이 실제 관객들이 모여드는 공연장 쪽으로 동시 생중계된다고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홀로EN 콘서트에 게스트로 참여하는 JP 멤버들은 실제로 지구 반 바퀴를 날아서 해외로 '출장'을 가고, 반대로 일본에서 개최되는 홀로페스에 참여하는 해외파 멤버들 역시 페스티벌 준비기간부터 공연 끝날 때까지 일본으로 찾아와 체류하게 된다.

영어권 팬들을 위한 자체 페스티벌 개념으로 홀로EN에는 콘서트(concert)가 존재하며, 2023년 여름에 1일 일정으로 1st 콘서트 Connect the World가, 2024년 여름에 2일 일정으로 2nd 콘서트 Breaking Dimensions가 성공적으로 개최되었다. 단, 홀로EN 콘서트에서는 별도로 전시장을 대관하여 체험행사 및 엑스포를 진행하지는 않으며, 식사도 판매하지 않는다. 홀로EN 콘서트는 상대적으로 넓은 지역에서 찾아오는 팬들을 맞이해야 하며 꼭 북미권 팬들만 온다는 보장도 없으므로, 콘서트가 열리는 장소는 매번 달라질 수 있다. 실제로 1st 콘서트는 미국 서부에서, 2nd 콘서트는 미국 동부에서 열렸다. 홀로EN 콘서트에 대해서는 hololive ENGLISH 문서 참조.

한편 홀로ID의 경우 물가나 여러 현실적인 사정으로 인하여 2024년 현재까지 자체 페스티벌이나 콘서트가 개최되지 않았다. YAGOO 역시 동남아 지역에서 인터뷰를 할 때에도 향후 홀로ID 페스티벌 가능성에 대해서는 난색을 표한 바 있다. # 대신에 홀로ID는 월드 투어(World Tour)를 진행하고 있으며, 각 멤버들이 소규모로 짝지어서 동남아 지역의 여러 국가들을 돌면서 팬미팅을 하거나 작은 팬 행사들을 진행하고 있다.

2. 범례

3. 역대 페스티벌 목록

3.1. 1st fes. "Nonstop Story"

반짝이는 라이더(キラメキライダ). 공식 채널에 올라와 있는 라이브 영상
Nonstop Story[2]
ノンストップ・ストーリー
슬로건
#おわらないホロライブ[3]
해시태그

2020년 1월 24일(금) 개최된, 대망의 첫번째 페스티벌.
홈페이지

당시 규모도 작고 시설도 열악하여 멤버들을 커다란 스크린으로 모여서 함께 본다는 특징 뿐이지만, 첫번째 페스티벌이라는 의의가 있으며 참여 멤버가 적은 만큼, 단 하루만 개최되었다. 멤버들이 부른 곡도 대부분 보컬로이드 커버곡으로, 페스티벌 당시에는 홀로라이브 자체 오리지널 곡도 거의 없던 시절이었다.

홀로라이브가 크게 성장한 지금에야 조촐한 시작처럼 보이지만, 이 첫번째 페스티벌은 홀로라이브 역사에 있어서 첫손에 꼽히는 전환점으로 꼽힌다. 2019년까지는 정체성이 불분명한 인터넷 방송인들이 시청자들에게 인지되기 위해 좌충우돌하던 시절이었고, 특히 미코나 스이세이 등 일부 출발이 늦은 멤버들은 낮은 지명도로 인해 무척이나 힘겨운 시절을 보내던 때였다. 회사 자체도 당장 오늘내일 할 정도로 재정적으로 어렵고, 비전을 보여주지도 못하고 투자도 받지 못하던 답답한 상황이었다고 회고되곤 한다. 그러다가 논스톱 스토리가 기대 이상의 대박을 터뜨렸고, 팬들의 뜨거운 성원 속에 페스티벌이 성황리에 마무리되자 상황이 급반전되어 투자문의가 쇄도했고 회사도 숨돌릴 수 있었다고 한다. 마찬가지로 멤버들도 비로소 '우리는 아이돌이었구나' 하는 정체성을 자각하게 되었고, 이때를 기점으로 홀로라이브는 아이돌 사무소로서 대중에게 제대로 각인될 수 있었다.

그래서 시간이 흐르고 흘러 3rd, 4th 등 역대급으로 일컬어지는 페스티벌들을 연이어 치르면서도 논스톱 스토리는 특별히 더 각별한 추억으로 홀로라이브에 여전히 남아있다. 사장인 YAGOO는 홀로라이브 역사 속에서 딱 한 순간만 꼽아 보라는 질문을 받으면 바로 이 논스톱 스토리를 꼽으며, 오오조라 스바루는 페스티벌이 끝난 후 무대 뒤편에서 멤버들이고 스태프들이고 할 것 없이 감격에 젖어서 다같이 울고 있었다고 말했다. 논스톱 스토리의 첫 오프닝 단체곡 Shiny Smily Story는 시간이 지나면서 홀로라이브 그 자체를 상징하는 곡이 되었으며, ReGLOSS 같은 까마득한 후배 멤버들이 데뷔 후 처음으로 방송에서 SSS를 부르고서 감격에 겨워 울음을 터뜨릴 정도가 되었다. 마찬가지로 팬덤에서도 논스톱 스토리 페스티벌 현장에서 얻은 응원물품과 기념품, 굿즈는 굉장한 의미를 지닌다.

라이브 하우스 정도의 규모인 일본 도쿄에 위치한 도요스 피트에서 개최되었으며, 토키노 소라, 로보코, 사쿠라 미코, 호시마치 스이세이, 아즈키, 홀로라이브 1기생, 홀로라이브 2기생, 게이머즈, 홀로라이브 3기생까지 참가하였다.

3.1.1. 세트리스트

곡명 멤버
Shiny Smily Story 모든 멤버
팬서비스 나츠이로 마츠리
fancy baby doll 우사다 페코라
방해쟁이 유즈키 초코
はなびら 로보코
밤새도록 널 생각해 오오카미 미오
♡桃色片想い♡ 미나토 아쿠아
여기는, 행복안심위원회입니다. 이누가미 코로네
13 우루하 루시아
천구, 혜성은 밤을 건너며 호시마치 스이세이
나, 아이돌 선언 아카이 하아토
행성 루프 네코마타 오카유
금요일의 아침인사 오오조라 스바루
without U AZKi
천본앵 나키리 아야메
Lost my music 호쇼 마린
シャ・ル・イース 아키 로젠탈
태양계 디스코 시로가네 노엘
Say!ファンファーレ! 시라카미 후부키
BOOO! 무라사키 시온
天ノ弱 시라누이 후레아
マイネームイズエリート☆ 사쿠라 미코
불꽃 요조라 멜
フレーフレーLOVE 토키노 소라
Dream☆Story 토키노 소라, 로보코, 사쿠라 미코, AZKi, 호시마치 스이세이
夢見る空へ 홀로라이브 1기생
五等分の気持ち 홀로라이브 2기생
변덕쟁이 메르시 토키노 소라, 시라카미 후부키, 미나토 아쿠아
新宝島 홀로라이브 게이머즈
Connecting 홀로라이브 3기생
キラメキライダー☆ 모든 멤버

3.2. 2nd fes. "Beyond the Stage"

Beyond the Stage[4]
広がる世界で、一緒に。[5]
슬로건
#こえていくホロライブ[6]
해시태그

2020년 12월 21일(월) ~ 22일(화) 간 개최된 두번째 페스티벌.
홈페이지

Bushiroad라는 비디오 게임 개발 회사의 후원을 받았으며 홀로라이브 JP 0기부터 게이머즈를 포함하여 4기까지 참가했다.[7]

3.2.1. 세트리스트

일차 곡명 멤버
1일차 천본앵 홀로라이브 4기생
-ERROR 토코야미 토와
ECHO 키류 코코
愛昧ショコラーテ 츠노마키 와타메
Shiny Smily Story 일부 멤버[A]
Ahoy!! 我ら宝鐘海賊団☆ 호쇼 마린
青空のラプソディ 우사다 페코라
사랑의 재능 우루하 루시아
벚꽃바람 사쿠라 미코
팬서비스 유즈키 초코
바이올런스 트리거 요조라 멜
RED HEAR 아카이 하아토
방해쟁이 무라사키 시온
青い夢 AZKi
#あくあ色ぱれっと 미나토 아쿠아
ぐるぐるラブストーリー 토키노 소라
adrenaline!!! 토키노 소라, AZKi, 요조라 멜
夜に駆ける 아카이 하아토, 우루하 루시아
ハレ晴レユカイ 미나토 아쿠아, 유즈키 초코, 무라사키 시온
とまどい→レシピ 사쿠라 미코, 우사다 페코라, 호쇼 마린
今宵はHalloween Night! 요조라 멜, 유즈키 초코, 무라사키 시온, 우루하 루시아
マイオドレ!舞舞タイム 토키노 소라, 사쿠라 미코
Hacha-Mecha ミラクル 아카이 하아토, 미나토 아쿠아, 우사다 페코라
Kiss me! Choose me! AZKi, 사쿠라 미코, 호쇼 마린
キラメキライダー☆ 일부 멤버[A]
2일차 はじめてのチュウ 히메모리 루나
고스트 룰 아마네 카나타
로키 홀로라이브 4기생
キラメキライダー☆ 일부 멤버[B]
No. 1 나츠이로 마츠리
アザミナ 로보코 씨
PHANTOM MINDS 오오카미 미오
Say!ファンファーレ! 시라카미 후부키
シャルイース 아키 로젠탈
ドキッ! こういうのが恋なの? 시로가네 노엘
High-Touch☆Memory 오오조라 스바루
スクランブル 시라누이 후레아
사랑의 말Ⅲ 나키리 아야메
ハロハロナリヤンス音頭 이누가미 코로네
갯나리 해저담 네코마타 오카유
NEXT COLOR PLANET 호시마치 스이세이
花ハ踊レヤいろはにほ 시라카미 후부키, 오오조라 스바루, 나키리 아야메, 오오카미 미오
메테오 네코마타 오카유, 이누가미 코로네
이누×보쿠 SS 로보코 씨, 아키 로젠탈, 시로가네 노엘
아이Dee 나츠이로 마츠리, 호시마치 스이세이
R 로보코 씨, 아키 로젠탈
羞恥心 시라카미 후부키, 네코마타 오카유, 이누가미 코로네
Lamb. 나츠이로 마츠리, 호시마치 스이세이, 시라누이 후레아
最強パレパレード 오오조라 스바루, 나키리 아야메, 오오카미 미오
해피 신디사이저 시라누이 후레아, 시로가네 노엘
Shiny Smily Story 일부 멤버[B]

3.3. 3rd fes. "Link Your Wish"

공식 채널 DAY1 이벤트 스테이지
공식 채널 DAY1 라이브 치라미세
공식 채널 DAY2 이벤트 스테이지
공식 채널 DAY2 라이브 치라미세
Link Your Wish[12]
슬로건
#つながるホロライブ[13]
해시태그

2022년 3월 19일(토) ~ 20일(일) 간 개최된 세번째 페스티벌.
홈페이지

Bushiroad에 소속된 바이스 슈발츠[14]의 후원을 받아 실시되었으며, 홀로라이브 JP 0기부터 게이머즈를 포함하여 5기까지와 EN 1기와 ID 1기도 참가했다.

지난 페스티벌이 11개월만에 개최된 것에 비해, 이번 3rd 페스티벌은 코로나 19로 인해 무려 16개월만에 개최되었다. 개최 기간 동안 JP 6기, EN 2기가 데뷔 했으며[15] 작은 콘서트로만 구성 되었던 이전 페스티벌과 달리, 홀로라이브가 2020년 ~ 2021년 사이 급속도로 성장한 것에 부응하듯 페스티벌 역시 엑스포 형식으로 구성되며 규모가 엄청나게 커졌다. 이전 페스티벌이 스크린 형태의 무대로 구성된 것과 다르게, 입체 영상과 AR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규모와 기획력, 기술력, 무대 퀄리티 등이 엄청나게 일신해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며 대호평을 받았다.

또한 이전 페스티벌은 JP멤버들만 공연을 하였으나, 이번 페스티벌은 Hololive EN 1기 & ID 1기의 3D 데뷔 및 최초의 공식 라이브가 포함되어 있어서 개최 전부터 이슈가 되었다. 이후 진행된 공연에서는 1일차의 경우 무나 호시노바, 2일차의 경우 아윤다 리스가 각자의 오리지널 곡(무나의 High Tide, 리스의 ALiCE&u)으로 엄청난 퍼포먼스를 선보여 그동안 ID에 대해 잘 몰랐던 시청자들을 놀라게 하였다. 라이브가 종료된 후 4월 13일에는 JP, 14일에는 ID, 15일에는 EN 멤버들의 3D 라이브 무대 다이제스트 영상이 각 지부의 공식 채널을 통해 공개되었다.

3.3.1. 세트리스트

일차 곡명 멤버
1일차 Shiny Smily Story 일부 멤버[C]
Happiness World 시라카미 후부키, 호쇼 마린
特者生存ワンダラダー!! 아마네 카나타
HOLOGRAM CIRCUS 오마루 폴카
エアーマンが倒せない 이누가미 코로네
Candy-Go-Round 나츠이로 마츠리, 오오조라 스바루, 모모스즈 네네
Say!ファンファーレ! 시라카미 후부키
画面の中の君が好き AZKi
ねねねねねねねね!大爆走 모모스즈 네네
탈법 록 아카이 하아토, 오마루 폴카
絶対忠誠♡なのなのら! 히메모리 루나
花月ノ夢 사쿠라 미코
マリン出航!! 호쇼 마린
죽어버리다니 한심하구나! 시로가네 노엘, 히메모리 루나
REFLECT 가우르 구라
ふしぎ・プルプル・プルリン・リン! 왓슨 아멜리아
VIOLET 니노마에 이나니스
High Tide 무나 호시노바
태양계 디스코 사쿠라 미코, 이누가미 코로네
ほめのび 시로가네 노엘
Infinity 아카이 하아토
born to be real 토코야미 토와
모자이크 롤 (Reloaded) AZKi, 아마네 카나타
ぷ・れ・あ・で・す! 오오조라 스바루
HiHiハイテンション! 나츠이로 마츠리
Stellar Stellar 호시마치 스이세이
GHOST 호시마치 스이세이, 토코야미 토와
Prism Melody 일부 멤버[C]
2일차 キラメキライダー☆ 일부 멤버[D]
신의 뜻대로 아키 로젠탈, 시라누이 후레아, 유키하나 라미
メイジ・オブ・ヴァイオレット 무라사키 시온
宵の余、良い! 나키리 아야메
동물점보기 오오카미 미오, 우사다 페코라, 츠노마키 와타메, 시시로 보탄
My song 츠노마키 와타메
明日への境界線 유키하나 라미
かぷっとNight☆Sky 요조라 멜
Q&A リサイタル! 우사다 페코라
Choco♡Melty 요조라 멜, 유즈키 초코
もぐもぐYUMMY! 네코마타 오카유
ChocoLove 유즈키 초코
シャルイース 아키 로젠탈
コトノハ 로보코 씨
RED 모리 칼리오페
HINOTORI 타카나시 키아라
Q&A=E 아이라니 이오피프틴
ALiCE&u 아윤다 리스
포니 미나토 아쿠아, 무라사키 시온, 네코마타 오카유
지구 최후의 고백을 시라누이 후레아
Howling 오오카미 미오
Lioness' Pride 시시로 보탄
海想列車 미나토 아쿠아
Step and Go!! 토키노 소라
열등상등 토키노 소라, 로보코 씨
Prism Melody 일부 멤버[D]

3.3.2.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 Link Your Wish

3rd 페스티벌이 시작되는 2022년 3월 19일, 아멜리아 왓슨의 채널에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이 공개 되었다.
제목은 스몰 어드벤쳐 에피소드 1로, 이번 페스티벌이 홀로라이브 EN의 첫 3D 데뷔를 겸하기 때문에 프리뷰 형식의 내용을 담았으며, 홀로라이브 EN 1기, HOPE, EN 2기까지 모든 멤버가 애니메이션 더빙에 참여했다. 또한 에피소드 1편인 만큼, 향후에도 다양한 에피소드의 스몰 어드벤쳐 애니메이션이 공개 될 것으로 예상 된다.
아멜리아 왓슨의 채널에 올라온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3.4. 4th fes. "Our Bright Parade"

공식 홍보 영상, Teaser movie
4번째 소집, 이미 알고 있니?[24]
홀로라이브 SUPER EXPO 2023에 대해 생각합시다![25]
홀로라이브 SUPER EXPO 2023 PV
{{{#!folding [ hololive SUPER EXPO 2023 프리 스테이지 ]
hololive SUPER EXPO 2023 프리 스테이지 DAY1
hololive SUPER EXPO 2023 프리 스테이지 DAY2
}}}
[ hololive 4th fes. Our Bright Parade hololive stage 치라미세 ]
|| ||
hololive 4th fes. Our Bright Parade hololive stage DAY1 치라미세
hololive 4th fes. Our Bright Parade hololive stage DAY2 치라미세
[ hololive 4th fes. Our Bright Parade holo*27 stage 치라미세 ]
|| ||
hololive 4th fes. Our Bright Parade holo*27 stage 치라미세
||
Our Bright Parade[26]
슬로건
#ひろがるホロライブ[27]
해시태그

2023년 3월 18일(토) ~ 19일(일)에 개최된 페스티벌.
홈페이지

작년에 개최한 3rd fes 이후 1년만에 개최되는 페스티벌이다. 이번 4th fes에서 눈여겨 볼 점은 작년과 같이 해외 멤버들의 3D데뷔이다. 첫 페스티벌 무대에 오르는 멤버들로는 JP 6기생인 HoloX, EN의 IRyS 및 졸업멤버 사나를 제외한 Council 멤버들 전원, 그리고 ID 2기생들이 있다. 모든 멤버들은 퍼레이드 컨셉의 아이돌 신의상을 받았으며 핫팬츠 버전과 치마 버전의 두 종류가 있고, JP/EN/ID 지부별로 신의상 디자인이 서로 달라져서 호평을 받았다. 또한 IRyS+Council 및 ID 2기생들은 기본의상 3D 모델을 받기 전에 아이돌 의상의 3D 모델부터 받은 최초의 사례가 되었다. 다만 홀로니나 스테이지에 참여한 무메이, 벨즈, 올리의 경우 해당 무대에서 기본의상 3D 모델도 함께 공개하였다.

4th fes 준비를 계기로, 그간 코로나 시국으로 인해 일본에 쉽사리 방문하지 못하던 EN 멤버들이 본격적으로 일본에 찾아오면서 JP 멤버들 및 운영 측과 현실에서 마침내 직접 만나게 되었다.[28]

또한 DECO*27과 홀로라이브의 협업 프로젝트인 holo*27 스테이지를 19일 메인 스테이지 이전인 13시에 개최하게 되었다.

페스티벌의 전반적인 가격이 전년도보다 크게 올랐다. 무대가 홀로니나까지 포함해 3개로 늘어나면서 메인 스테이지 가격이 크게 증가했으며, 엑스포 스페셜 스테이지는 개당 3500엔, 도합 14000엔이 책정되었다. 이로 인해 비용을 감당하지 못하고 참여를 포기한 사람들이 인터넷에서 불만을 표하기도 했으나, 행사장은 그 비용을 감수하고 들어온 수많은 사람들로 북적이며 성황리에 진행되었다.

작년부터 모든 무대에 라이브 밴드가 도입된 것이 올해에도 압도적인 호평을 받았다. 이들은 이틀 간 무려 92곡을 연주하였다. 멤버들의 선곡도 대체로 밴드 분위기에 걸맞은 음악이어서 더욱 시너지 효과가 크게 났다. 그러나 이벤트홀 전체를 음악으로 꽉 채우려다 보니 밴드 사운드가 너무 커져서 때때로 멤버들의 목소리가 묻히기도 했다. 심지어 토와나 스이세이 목소리도 종종 반주에 묻혔을 정도. 한편 1일차에서 DO U를 열창했던 키아라는 리허설까지 다 끝난 이후에 갑자기 반주 방식이 바뀌었다면서 기쁘지 않았다(not happy)고 말했다. 키아라 스타일대로 리허설을 해 보니 무대가 음악으로 꽉 차지 않아 마지막 순간에 밴드에서 독단적으로 반주를 바꾸었던 것으로 보인다. 카메라 워킹에 대해서도 아쉬운 이야기가 나왔는데, 잘 뽑힐 때는 관중석과 무대를 절묘하게 훑는 명장면이 나오지만 과도한 회장 전체 줌아웃과 관객석 줌인으로 인해 오히려 홀로멤의 주요 안무가 가려지는 문제가 드러나기도 했다.

한편 전년도 첫 3D 데뷔를 했던 EN, ID 멤버들이 엄청난 화제를 불러왔듯이, 올해에도 모든 멤버들이 본인의 개성을 한껏 드러내는가 하면 그동안 잘 드러나지 않았던 잠재력을 터뜨리면서 화제의 중심이 되었다. 대표적으로 올리는 본인이 참여한 모든 무대에서 뛰어난 퍼포먼스를 선보였고 아이리스는 의외로 춤 실력이 준수하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벨즈는 무대마다 미친 댄스 퍼포먼스로 찢어버리며 새로운 홀로 춤신춤왕에 등극했다.

라플라스 다크니스 단독 무대 중에 크게 감동한 듯한 외국인 팬이 카메라에 잡혀서 페스 기간 내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서구권에서는 '그 해외팬'(THE Kaigai-Niki)이라고 불리며, 트위터에서 #ひろがるホロライブ 해시태그로 어마어마하게 팬아트들이 쏟아졌다. 첫째날 라플라스 단독 무대 때 아련한 눈빛으로 공연에 집중하고 있는 모습이 잠깐 스쳤는데 이 순간의 임팩트가 너무 강하여 팬들 사이에 소소하게 화제가 되었다가, 둘째날 공연 시작 전에 카메라맨이 어떻게 알았는지 이 인물을 다시 포착하는 데 성공, 관중석에서 뜨거운 환호를 받았다. 모자에 매달고 있는 캔뱃지로 미루어 보아 이치미인 것으로 짐작되고 있다. 참고로 해당 인원은 페스를 보려고 해외에서 온 것이 아니라 원래 일본에 거주하는 외국인이라고 밝혔다. 그리고 해당 인물은 자신이 밈이 되었다는 걸 깨닫자마자 사칭을 막겠다며 트위터에 곧바로 자기 계정을 만들었다.

이번 페스티벌은 코로나 시국이 소강되면서 그동안 금지되었던 콜&리스폰스가 허용되었고, 이에 따라 무대에 오른 맴버들도 관객들의 호응을 더 직접적으로 체감할 수 있었다. 홀로라이브 내에서 활동 경력이 긴 축에 속하는 오오카미 미오도 MC 파트에서 "콜&리스폰스는 처음이다"라고 언급했던만큼 대부분의 홀로라이브 맴버들에겐 이러한 경험이 생소한 것이었고, 그래서인지 페스티벌이 끝나고 나서 팬들과 멤버들 모두 여운이 쉽게 가시지 않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행사 다음날인 월요일에는 후부키의 태그 실수에서 유래한 DAY3이라는 드립이 친구A까지 놀라게 만들었으며, 귀가를 앞둔 팬들이 텅 빈 이벤트홀 근처를 한동안 서성이면서 감회에 젖는 모습도 트위터에 종종 올라왔다. 멤버들 역시 첫번째 페스티벌 이후로 너무나 오랜만에 느껴보는 팬들의 뜨거운 응원에 크게 감동을 받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오오조라 스바루는 귀가하고 나서 그날 하루를 되새기다가 그만 기뻐서 울어버렸다고 했으며, 특히 팬들의 사랑을 느끼고 방송 중에 한동안 울먹였던 아키 로젠탈은 자신의 곁에 있는 로제대의 존재감을 비로소 확실하게 느끼는 계기가 되었다. #

종합적으로 보아 라플라스 다크니스아키 로젠탈이 이번 페스티벌을 통해서 멘탈을 회복하고 자신감을 되찾았다면, 전년도의 아윤다 리스처럼 갑자기 일본 팬층의 주목을 받은 해외 멤버로는 세레스 파우나를 들 수 있다. 파우나는 ASMR을 하는 듯 부드럽고 촉촉한 하이톤의 마마 목소리로 조곤조곤하게 말하는 게 특징인데, 이게 일본 멤버들 사이에서는 흔치 않다 보니[29] 잔잔한 보사노바 음악에 어울리는 파우나의 맑은 목소리가 일본에서 상당히 신선하게 느껴진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파우나를 잘 모르는 일본 팬들이 그녀의 첫인상만을 가지고 '청초계', '치유계' 등을 외치며 유입되고 있는지라 파우나의 실체(?)를 알고 있는 EN 팬덤을 머쓱하게 만들기도 했다.

소닉 공식 계정이 트위터에서 행사장 방문을 인증했다. 이누가미 코로네가 소닉 홍보대사인 인연이 있어 방문한 것으로 보인다.

모든 행사가 종료된 후, 트위터에서 구글 설문지 폼을 이용하여 행사에 대한 팬들의 의견과 건의사항을 접수하고 있다. #

홀로플러스 소식으로 4th fes. "Our Bright Parade" 후리카에리 상영이 결정되었다. 온라인은 비리비리, KKTIX 극장은 타이베이, 서울 개최된다고 했다. 하지만 과거 사건 때문에 비리비리에서 방송하는 걸 꺼리는 팬들도 있다.

3.4.1. 세트리스트

일차 곡명 멤버
1일차 キラメキライダー☆ 1일차 전체 멤버
BUTA 아카이 하아토
WAO!! 하쿠이 코요리
リリカルMonster 시로가네 노엘
キャラメル・デビル 요조라 멜
ワールドイズマイン 히메모리 루나
オーバード 타카네 루이
NoDistance 유즈키 초코
DO U 타카나시 키아라
リルビ 로보코 씨
Dark Breath 라프라스 다크니스
スターライト 오오조라 스바루
ペルソナ 오마루 폴카
生きるよすが 아윤다 리스
擬態ごっこ 사카마타 클로에
ChikuTaku 왓슨 아멜리아
JOLLIE JOLLIE 쿠레이지 올리
いろはすてっぷ! 카자마 이로하
アトリエ 시라누이 후레아
夢見る羊 츠노마키 와타메
この手で奏でるありがとう 아이라니 이오피프틴
最後の花弁(The meaning of love) 니노마에 이나니스
afterglow AZKi
My Dearest 나나시 무메이
サクラカゼ 사쿠라 미코
ユメゾラ☆ファンファーレ 토키노 소라
トンデモワンダーズ 아윤다 리스, 아이라니 이오피프틴
可愛くてごめん AZKi, 로보코 씨, 요조라 멜
スキちゃん 타카나시 키아라, 니노마에 이나니스, 왓슨 아멜리아, 나나시 무메이
とまどい→レシピ 스바초코루나
유즈키 초코, 오오조라 스바루, 히메모리 루나
ロストワンの号哭 아카이 하아토, 쿠레이지 올리
ETERNAL BLAZE 토키노 소라, 츠노마키 와타메
常夜リペイント 비밀결사 holoX
라프라스 다크니스, 타카네 루이, 하쿠이 코요리, 사카마타 클로에, 카자마 이로하
群青讃歌 시라누이 건설
시라누이 후레아, 오마루 폴카, 시로가네 노엘, 사쿠라 미코
특별출연 : 호시마치 스이세이
Our Bright Parade 1일차 전체 멤버
holo*27 モッシュレース 사쿠라 미코, 우사다 페코라
ヴァンパイア 요조라 멜, 유즈키 초코
シンデレラ 히메모리 루나
アニマル 오오카미 미오, 하쿠이 코요리
ビビビ 나키리 아야메
Sweet Appetite 가우르 구라, 하코스 벨즈
夢嵐 카자마 이로하
Baby Don’t Stop 유키하나 라미, 타카네 루이
ゾンビ 쿠레이지 올리
乙女解剖 무나 호시노바
P.E.T. 사카마타 클로에
リップシンク 무라사키 시온, 라프라스 다크니스
エンドロール 네코마타 오카유
妄想感傷代償連盟 시라누이 후레아
ヒル 아마네 카나타
モザイクロール (Reloded) 아이라니 이오피프틴
ゴーストルール 타카나시 키아라, 나나시 무메이
ヒバナ (Reloded) 모리 칼리오페
プラネタリウム 호시마치 스이세이
愛言葉Ⅳ 토키노 소라
2일차 Shiny Smily Story 2일차 전체 멤버
Hi Fine FOX!! 시라카미 후부키
かわ世 나키리 아야메
ゼッタイ王政カーニバル! 나츠이로 마츠리
ララララビット!! 우사다 페코라
カミサマ・ネコサマ 네코마타 오카유
学園天国 모모스즈 네네
走れマキバオー 이누가미 코로네
メグメグ☆ファイアーエンドレスナイト 가우르 구라
Taste of Death 모리 칼리오페
Illusion Night[35] 파볼리아 레이네
HERE COMES HOPE IRyS
Let Me Stay Here 세레스 파우나
Daydream 오로 크로니
愛の小さな歌 무나 호시노바
ROSE of the LAMP 아키 로젠탈
melody 시시로 보탄
シャンデリア 무라사키 시온
神っぽいな 하코스 벨즈
I’m Your Treasure Box
*あなたは マリンせんちょうを たからばこからみつけた。
호쇼 마린
ライメイ 토코야미 토와
みちづれ 호시마치 스이세이
カトラリー 아냐 멜핏사
夜光通信 오오카미 미오
別世界 아마네 카나타
Fleur 유키하나 라미
未だ、青い 미나토 아쿠아
Bad Apple!! feat. nomico 나키리 아야메, 호쇼 마린, 아마네 카나타
ウマーベラス 오오카미 미오, 네코마타 오카유, 이누가미 코로네
恋は渾沌の隷也 무라사키 시온, 가우르 구라
summertime 세레스 파우나, 오로 크로니, 하코스 벨즈
放課後ストライド 아키 로젠탈, 나츠이로 마츠리, 유키하나 라미, 모모스즈 네네
ワールドワイドフェスティバル 시라카미 후부키, 우사다 페코라, 시시로 보탄
怪物 모리 칼리오페, IRyS
夜咄ディセイブ 무나 호시노바, 파볼리아 레이네, 아냐 멜핏사
空奏列車 Startend
호시마치 스이세이, 미나토 아쿠아, 토코야미 토와
Our Bright Parade 2일차 전체 멤버

3.4.2. holo*27

hololive 프로덕션DECO*27이 협업한 신음악 프로젝트로 4th fes. 2일차에 홀로니나 스테이지의 라이브가 진행되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holo*27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holo*27#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holo*27#|]][[holo*27#|]]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hololive 프로덕션/라이브|hololive 프로덕션/라이브]]}}}{{{#!if external != "o"
[[hololive 프로덕션/라이브]]}}}}}}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hololive 프로덕션/라이브?uuid=3b671cd2-1e35-41d7-8706-68822adb7ded|r31]]}}}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hololive 프로덕션/라이브?uuid=3b671cd2-1e35-41d7-8706-68822adb7ded#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hololive 프로덕션/라이브?from=31|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hololive 프로덕션/라이브|hololive 프로덕션/라이브]]}}}{{{#!if external != "o"
[[hololive 프로덕션/라이브]]}}}}}}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hololive 프로덕션/라이브?uuid=3b671cd2-1e35-41d7-8706-68822adb7ded|r31]]}}}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hololive 프로덕션/라이브?uuid=3b671cd2-1e35-41d7-8706-68822adb7de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hololive 프로덕션/라이브?from=31|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

3.5. 5th fes. "Capture the Moment"

중대 발표 영상[36]
PV
《hololive 5th fes. Capture the Moment》PV
{{{#!folding [ hololive 5th fes. Capture the Moment 1일차 치라미세 ]
hololive 5th fes. Capture the Moment hololive stage1 DAY1 치라미세
hololive 5th fes. Capture the Moment hololive stage2 DAY1 치라미세
}}}
[ hololive 5th fes. Capture the Moment 2일차 치라미세 ]
|| ||
hololive 5th fes. Capture the Moment HoneyWorks stage DAY2 치라미세
hololive 5th fes. Capture the Moment hololive stage3 DAY2 치라미세
||
파일:hololive 5th fes. introduction.png
Capture the Moment[37]
슬로건
#hololivefesEXPO24[38]
해시태그

2024년 3월 16일(토) ~ 17일(일) 개최된 페스티벌.
홈페이지

2023년 10월 18일,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특집 방송을 통해 발표 되었다.
공식 홈페이지에서 2023년 10월 31일까지 라이브 부스에 대한 의견을 모집했다.

이후 2023년 12월 5일, 공식 채널을 통해 5th fes.에 대한 정보가 공개되었다. 슬로건은 'Capture the Moment'.

지난 4th 페스에서 스테이지를 총 3개로 나눠 진행했었는데, 이번 5th 페스에서는 무려 4개의 스테이지로 나누어 낮/밤 각각 하나씩 2일간 진행하게 되었다. 또한 작년 DECO*27과의 콜라보로 holo*27 스테이지를 개최했던 것처럼 이번에는 사전에 공표한 대로 HoneyWorks와의 콜라보 프로젝트가 결정[39], 허니웍스 스테이지가 별도로 존재한다. 무엇보다도 페스 장소가 이벤트홀이 아닌 1홀~3홀까지로 확장되면서 매년 지적되던 부족한 좌석 수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될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무려 3면 스테이지로 진행한다. 스테이지가 더 늘면서 스테이지 전체 가격 자체는 증가했으나 대신 작년에는 일부 유료였던 엑스포 스테이지는 전면 무료로 유튜브 채널에도 공개가 됨에 따라 페스티벌 총 가격은 작년보다 오히려 줄어들었다.

이번 페스티벌이 처음인 멤버는 ID 3기생들로, 이미 2023년 10월경 각자 3D 쇼케이스를 통해 기본의상 3D 모델을 공개한 바 있다. 또한 ID 3기생들의 신규 아이돌 의상은 2023-2024 신년 기념 라이브에서 최초로 공개되었다. 2023년 7월 데뷔한 EN 3기 Advent와 9월 데뷔한 DEV_IS의 ReGLOSS 멤버들은 5th 페스에는 출연하지 않으며 따라서 이번 페스티벌에서 최초로 공개되는 3D 모델이나 아이돌 의상은 별도로 없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엑스포 컨셉을 '홀로라이브 아일랜드'로 잡고 굿즈 및 엑스포 전용 새로운 모델을 공개했는데, 알로하 셔츠를 모티브로 한 것으로 보이나 지나치게 낡은 디자인으로 혹평을 받고 있다. 홀로스타즈와 홀로라이브 전원에게 공통된 디자인을 입혀놨는데 스타즈는 큰 어색함이 없는 반면에 홀로라이브 멤버들에게는 너무나도 어색하고 몸에 안 맞는다는 평이 지배적이다. 게다가 PV 영상에서 공개된 홀로멤들의 모델조차 신체 비율을 제멋대로 짠 낮은 완성도와 시선처리가 제대로 안되어 있어 괴이함을 한층 더 부각시켜버렸다. 여담으로, 멤버 별 일러스트에서 기수 별 리더격 인물이 푸른 깃발을 들고 있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40]

2월 18일, 일러스타 페스에서 스페셜 게스트로 카나데아오가 참가 했는데, 홀로페스 역시 한국에서 라이브 뷰잉을 할 것이라는 소식이 최초로 공개되었다.

3월 7일 자정에 대표곡 Capture the Moment이 공개되었다. #듣기 #MR

엑스포 및 행사운영은 첫째날의 경우 전년도보다도 퇴보했다는 평. 첫째날은 심한 혼잡과 불편을 초래했지만 둘째날은 훨씬 양호한 모습을 보여줬다. 유치원이나 테트리스 등의 기획방송까지 챙겨본다면 엑스포를 체험할 시간 자체가 거의 나지 않는 상태인지라 오전시간대를 최대한으로 활용해야 하는데, 첫째날은 이 소중한 시간을 줄을 서거나 단순히 걷는 데 빼앗기는 일이 너무 많았다. 대기열 통제와 동선 통제 모두 합리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했던 것. 또한 첫째날 푸드코트의 식음료 운영 역시 파행에 가까울 정도로 실패했으며 그나마 받은 음식의 질도 시원찮아서 타카네 루이가 트윗으로 대신 해명하는 일도 빚어졌다. 다행히 둘째날에는 전날 지적된 대부분의 문제들이 완전하게 해결되어 팬들을 더 크게 실망시키기 전에 잘 수습했다.

대신 무대의 양적, 질적인 측면은 역대 최고의 수준을 자랑했다. 수용인원만 1만 명이 훌쩍 넘어가는 사상 최대 규모로 진행되었으며 이 많은 사람들에게 관람기회를 주기 위해 3면 스테이지를 운용한다는 특이한 시스템을 채용했다. MC 타임을 과하지 않게 가져가면서 단체곡을 중간에 1회 더 추가했으며, 빠진 멤버의 빈자리는 채우고 깜짝 멤버의 출연으로 흥행도 잡았다. 전년도 페스티벌 때와 동일한 밴드는 105곡이라는 엄청난 수의 음악을 총 10시간에 걸쳐 흐트러짐 없이 달렸으며, 작년 키아라와의 소통 미스와는 달리 올해에는 완벽하다는 찬사를 받았다. 일본 내외 각지에서 수많은 홀로라이브 팬들이 몰려들어서 코스프레 등 각자의 방식으로 자리를 빛내주었으며 특히 해외권 팬덤의 엄청난 규모와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던 시간이었다.[41] 무대연출 역시 손색이 없었으며, 특히 최초에 공연 시작을 알리는 초록빛 레이저가 커버 사의 삼각형 로고를 무대 스크린에 긋는 장면은 관객들을 압도하기에 충분했다. 뿐만 아니라 홀로멤들의 노래와 춤 실력도 상향평준화되어 모든 무대가 고르게 좋은 퀄리티를 보여주었고 그중에서도 라플라스, 벨즈, 키아라 등 특정 멤버들이 상당한 춤 실력을 보여주며 화제가 되었다. 솔로 무대에서도 일부 멤버들은 오리지널 곡 메들리를 선보이며 장내를 더욱 뜨겁게 달궜다.

반면 3면 스테이지라는 생소한 방식을 도입하다 보니 현장에서는 다소 혼란이 있을 수밖에 없었다. 정확히는 3면 스테이지인데 단체곡을 제외하면 한 번에 한 스테이지에서만 송출이 되는 괴이한 방식으로 진행되어 활용을 제대로 못한 것에 가깝다.[42] 장내가 지나치게 넓어서 뒷자리까지 배려하기 위한 조치이겠지만 결국 앞자리와 뒷자리, 그리고 어느 쪽도 애매한 중간자리까지 모두에게 아쉬움을 남겼다. SPWN을 통한 동시상영은 30초~1분 정도의 지연을 제외하면 별다른 끊김이나 화질 저하가 발생하지 않았다. 가장 아쉬웠던 점은 작년과 동일하게 카메라 이슈였다. 해당 페스티벌에서 카메라는 LATEGRA 주식회사라는 업체에서 담당했는데 뜬금없는 관객석 화면 전환, 빈번한 줌아웃, 화면 흔들림 등으로 시청을 방해하더니 급기야 Stage 3에서는 일부 카메라가 맛이 가서 홀로멤들의 등장 장면이 비춰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기까지 했다.[43] 관객석을 근접촬영하는 카메라 담당자가 간간이 명장면들을 잘 포착했다는 것이 그나마 위안.

우리나라(메가박스)와 인도네시아(CGV)에서 팬딩을 통해 라이브 뷰잉을 진행하는 최초의 페스티벌이 되었다. 국내의 경우 Stage 3에서 관객이 가장 많았으며 Stage 1에서는 가장 적었다. 그런데 Stage 1에서 팬딩 측이 시간대를 짧게 예약하면서 마지막 곡인 Capture the Moment를 남겨놓은 채 관객들이 상영시간 초과로 중도 퇴실하는 사태가 벌어져 팬딩에서 긴급공지를 하기도 했다. 남은 스테이지의 경우 Stage 1을 기준으로 시간대를 연장하였으며, 일부 메가박스에서는 다음 시간대에 상영 예정이던 영화를 취소하거나[44] 상영지연[45]시켜서 시간을 확보하기도 하는 등 영화관 측에서 상황을 봐 준 덕분에 다행히도 Stage 2 및 Stage 3에서는 동일한 불상사가 벌어지지 않았다. 인도네시아 쪽에서는 동일한 이슈가 없었기 때문에, 국내 상영관을 예약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작년 페스티벌의 감동 스토리의 주인공이 아키 로젠탈라플라스 다크니스였다면, 이번 페스티벌에서 멤버들과 팬들의 마음을 뭉클하게 했던 주인공은 바로 AZKi라고 할 수 있다. 숨가쁘게 달려온 모든 페스티벌 일정을 마무리하는 Stage 3의 마지막 듀엣곡과 마지막 MC를 장식하는 자리에서, 스이세이가 리허설에도 없던 손편지를 꺼내 읽는 바람에 AZKi뿐만 아니라 무대를 지켜보던 다른 멤버들도 죄다 울려버린 것.스이아즈 및 다른 멤버들의 회고 모음 AZKi는 자신이 여태까지 이노나카 뮤직 시절부터 함께 활동했던 스이세이의 속마음을 들을 기회가 없었음을 실감했다고 하며[46], 시라카미 후부키는 어느덧 AZKi도 우리 홀로라이브의 어엿한 멤버가 되었음을 비로소 깨달았다고 말했다. 특히 단체곡 Capture the Moment가 끝나고 나서 뒷정리를 하던 AZKi가 문득 "...계속 활동하길 잘했어"하고 중얼거렸는데 이 소리에 다시금 대기실이 눈물바다가 되었다고 한다. AZKi의 팬덤인 개척자들도 최애의 행복을 바라는 눈물을 함께 흘렸고, 전년도 페스 이후의 로제대가 그랬듯 개척자들도 소중한 추억을 안고서 AZKi를 위해 더더욱 강하게 결집하게 되었다.

페스티벌 이후, 작년과 마찬가지로 페스의 슬로건인 Capture the Moment에 이번 페스 관객석의 여러 명장면들을 결부시키는 밈이 흥하고 있다. 슬로건 "Capture the Moment"가 이런 뜻이었냐는 드립도 있다.

3.5.1. 세트리스트

◆는 치라미세
스테이지 곡명 멤버
<colbgcolor=#fff,#27292D> STAGE 1 <colbgcolor=#fff,#27292D> ◆ Our Bright Parade <colbgcolor=#fff,#27292D> STAGE 1 전원
美少女無罪♡パイレーツ 호쇼 마린
◆ ばーちゃらぶ 나츠이로 마츠리
◆ ぎゅーどんかーにばる! 시로가네 노엘
特者生存ワンダラダー!!
Ahoy!! 我ら宝鐘海賊団☆
아마네 카나타, 호쇼 마린
ユーフォリア 유즈키 초코
Sing Out 아윤다 리스
Starduster 아이라니 이오피프틴
にっこり^^調査隊のテーマ 시로가네 노엘, 하쿠이 코요리, 가우르 구라
WAVE 가우르 구라
CHIMERA[64] 타카나시 키아라
Be The One[65] 시시로 보탄
クレイジービート 아키 로젠탈, 유즈키 초코
Shiny Smily Story STAGE 1 전원
シャルイース 아키 로젠탈
真赤な誓い[66] 이누가미 코로네
Sip Some Tea 파볼리아 레이네
ジャックポットサッドガール 니노마에 이나니스, 하코스 벨즈, 아윤다 리스, 파볼리아 레이네
歌よ[67] 하코스 벨즈
右左君君右下上目きゅるんめちょかわ!
人生リセットボタンぽちーw
擬態ごっこ
사카마타 클로에
SUNNY DAY SONG 이누가미 코로네, 시시로 보탄
Tear-Gazer 하쿠이 코요리
Meconopsis 니노마에 이나니스
Knock it out! 아마네 카나타
テレキャスタービーボーイ 나츠이로 마츠리, 아이라니 이오피프틴
WILDCARD 사카마타 클로에, 타카나시 키아라
Capture the Moment STAGE 1 전원



◆는 치라미세
스테이지 곡명 멤버
<colbgcolor=#fff,#27292D> STAGE 2 <colbgcolor=#fff,#27292D> ◆ Prism Melody <colbgcolor=#fff,#27292D> STAGE 2 전원
◆ ゆっくり走れば風は吹 토키노 소라
◆ ハッピーエンドプリンセス[68] 코보 카나에루
◆ ねねちのギラギラファンミーティング 모모스즈 네네
◆ 未来形アイドル [69] 우사다 페코라, 모모스즈 네네
エンヴィーベイビー 오마루 폴카
ファンサ 오로 크로니
SKYSONAR 시라누이 후레아
勇者 오로 크로니, IRyS
ぷ・れ・あ・で・す!
スターライト
Stellar Symphony
오오조라 스바루
ばかばっか 타카네 루이
神っぽいな 히메모리 루나
Save Our Hearts[70] 베스티아 제타, 카엘라 코발스키아, 코보 카나에루
Shiny Smily Story STAGE 2 전원
風を仰ぎし麗容な 카자마 이로하
Baby you 베스티아 제타
カタオモイ 우사다 페코라
鬼KYOKAN 히메모리 루나, 타카네 루이
Sing My Pleasure[71] IRyS
アイドル 아카이 하아토
光るなら 카엘라 코발스키아
Q 츠노마키 와타메, 모리 칼리오페
Overkill 모리 칼리오페
ナイトループ 오오카미 미오
Fins 츠노마키 와타메
プレパレード[72] 오오조라 스바루, 오오카미 미오, 오마루 폴카
セカイ 토키노 소라, 시라누이 후레아, 카자마 이로하
Capture the Moment STAGE 2 전원


◆는 치라미세
스테이지 곡명 멤버
<colbgcolor=#fff,#27292D> HoneyWorks <colbgcolor=#fff,#27292D> ◆ ファンサ <colbgcolor=#fff,#27292D> 시라카미 후부키, 나츠이로 마츠리, 시라누이 후레아, 시로가네 노엘
かわいこちぇっく! 이누가미 코로네
◆ シス×ラブ 쿠레이지 올리, 아냐 멜핏사
◆ アイドル十ヶ条 네코마타 오카유, 히메모리 루나
◆ 同担☆拒否 모모스즈 네네
可愛くてごめん 로보코 씨, 아키 로젠탈, 유즈키 초코, 네코마타 오카유, 호쇼 마린, 모모스즈 네네, 라플라스 다크니스, 하쿠이 코요리, 파볼리아 레이네, 세레스 파우나
うたげ☆独壇場! 나키리 아야메
決戦スピリット 무나 호시노바
Tokyo Wabi-Sabi Lullaby 가우르 구라
東京サマーセッション 오오조라 스바루, 아마네 카나타
パクパク成敗 하코스 벨즈
一日ヒーロー 코보 카나에루, 타카나시 키아라
motto☆いちごオレ 사쿠라 미코
リア充★撲滅運動 무라사키 시온
大嫌いなはずだった。 시시로 보탄, 오마루 폴카
センパイ。 오오카미 미오, 유키하나 라미, AZKi
ブライダルドリーム 호쇼 마린, 우사다 페코라
アウトサイダー計画 라플라스 다크니스, 하쿠이 코요리, 타카네 루이, 카자마 이로하, 사카마타 클로에
イノコリ先生 츠노마키 와타메, 토코야미 토와
青春アーカイブ 토키노 소라, 시라카미 후부키, 미나토 아쿠아, 호시마치 스이세이, 아마네 카나타, 가우르 구라, 타카나시 키아라, 아이라니 이오피프틴, 무나 호시노바
誇り高きアイドル 토키노 소라
教室に青 호시마치 스이세이

◆는 치라미세
스테이지 곡명 멤버
<colbgcolor=#fff,#27292D> STAGE 3 <colbgcolor=#fff,#27292D> ◆ キラメキライダー☆ <colbgcolor=#fff,#27292D> STAGE 3 전원
◆ Lamy*Love♡Fest☆ 유키하나 라미
◆ Omega Cat「ω猫」 AZKi
◆ ソングオブザデッド[73] 쿠레이지 올리
◆ むげんだいすき 시라카미 후부키, 사쿠라 미코
シュガーソングとビターステップ 왓슨 아멜리아
mumei 나나시 무메이
合縁事変 라플라스 다크니스
初恋サイダー 나키리 아야메, 유키하나 라미, 아냐 멜핏사
偽物人間40号 아냐 멜핏사
Who’s Toxic ? It’s You! 무나 호시노바
S.T.Y 토코야미 토와
空色デイズ 무라사키 시온, 왓슨 아멜리아, 나나시 무메이
Shiny Smily Story STAGE 3 전원
シンデレラ・マジック 무라사키 시온
ネコカブリーナ 네코마타 오카유
君の最推しにしてよ! 미나토 아쿠아
ぼなぺてぃーと♡S 로보코 씨, 미나토 아쿠아, 세레스 파우나
僕が死のうと思ったのは 로보코 씨
ODDTAXI[74] 세레스 파우나
melting[75] 나키리 아야메
Gimme×Gimme 무나 호시노바, 네코마타 오카유
LETTER☆彡 시라카미 후부키
Our Tree 사쿠라 미코
灼熱にて純情(wii-wii-woo)
Newton
ソワレ
호시마치 스이세이
RAD DOGS 토코야미 토와, 쿠레이지 올리, 라플라스 다크니스
The Last Frontier[76] 호시마치 스이세이, AZKi
Capture the Moment Stage 3 전원

3.5.2. hololive × HoneyWorks

hololive 프로덕션HoneyWorks가 협업한 신음악 프로젝트로, 작년 페스때의 holo*27처럼 5th fes.에서 HoneyWorks 스테이지의 라이브가 진행되었다. 공식 사이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hololive × HoneyWorks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hololive × HoneyWorks#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hololive × HoneyWorks#|]][[hololive × HoneyWorks#|]]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6. 6th fes. "Color Rise Harmony"

중대 발표 영상[77]
파일:holo6thexpologo.jpg
Color Rise Harmony
슬로건
#hololivefesEXPO25
해시태그

2025년 3월 8일(토) ~ 9일(일)에 개최된 페스티벌.
홈페이지

이번 페스티벌이 처음인 멤버들은 EN 3기 Advent와 DEV_IS ReGLOSS 멤버들이다. 이들은 이미 작년 3D 쇼케이스와 라이브를 통해 3D 모델을 공개한 바 있다. 비록 5th 페스 이후 1년 사이에 무려 5명의 홀로멤이 졸업 내지는 활동 종료를 발표하면서[78] 홀로 페스 사상 최대 규모의 이탈이 발생하기는 했지만, 10명이 새로 합류함에 따라 각 스테이지별 참가 인원 수는 오히려 2명씩 더 늘어났다. 2024년 데뷔한 EN 4기 Justice와 DEV_IS FLOW GLOW는 이번 6th 페스에는 출연하지 않는다. 한편 4th 페스 이후 2년 만에 새로운 아이돌 의상 공개가 확정되었다.

어느 때보다도 어수선하고 불안한 분위기 속에서 개최가 발표된 페스티벌이기도 하다. 상기되었듯 많은 인원들이 '방향성 차이'를 이유로 한꺼번에 빠져나가면서 팬들의 불안함이 고조되고 있는 상태였는데, YAGOO 역시 이를 인지한 듯 12월 4일 페스티벌 상세 정보가 공개된 날 팬들에게 전하는 메시지를 남겼다. 여기서 YAGOO는 "탤런트와 팬 여러분의 목소리를 받아들여 ... 운영 일동은 전력을 다하겠습니다"(これからも所属タレントやファンの皆様の声を受け止め ... 運営一同全力を尽くします)고 팬들에게 약속했다. 마찬가지로 2025년 신년사에서도 YAGOO는 다시금 "작년에는 여러 면에서 팬 여러분께 걱정을 끼쳐 드렸다"(昨年は様々な面でファンの皆様にご心配をおかけしてしまうこともありました)고 인정하면서, 그 해결방안이자 새해 목표로서 운영 체제의 효율화를 약속하는 모습을 보였다.

1월 16일에 공식 방송에서 다시금 정보를 풀었는데[79] 이때 신규 아이돌복이 논란이 되었다. 아이돌복 자체는 치마와 바지의 2종으로 되어 있고 지난 페스티벌처럼 브랜치별로 디자인에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니며, 디자인 자체는 예쁘게 뽑힌 편이다. 문제는 이 예쁜 아이돌복을 DEV_IS 소속인 ReGLOSS만 못 받았다는 것. ReGLOSS 5명은 모두 기존의 흰색 무대의상을 그대로 입게 되는데, 가뜩이나 Live2D 신의상 없이 3D 신 의상이랍시고 츄리닝 하나만 받은 데다 2025년 정월의상도 못 받았던 상황에서 이때 방송 출연진으로 하필 ReGLOSS 멤버인 히오도시 아오주우후테이 라덴이 등장하여 아이돌복에 대한 리액션을 해야 했다.[80] 이후 팬들의 원성을 눈치 챈 아오가 당일 급히 방송을 켜서 "너무 험한 말은 하지 말아달라", "스태프들도 사람이라 상처받는다"면서 팬들을 달래주었을 정도였다.[81] ReGLOSS뿐만 아니라 막 데뷔한 후배기수인 FLOW GLOW 역시 방송에서 아쉬움을 드러냈다.

지난 페스티벌과 마찬가지로 마쿠하리 멧세 홀 3개를 사용하게 되었으며, 3면 스테이지가 사라지고 대신 회장 중앙과 좌우 양쪽에 스테이지가 자리하는 설계가 되었다. 이번에도 작년과 동일한 4개 스테이지로 진행하게 되며, 4th 페스부터 추가된 유명 음악 프로듀서와의 콜라보 스테이지는 아예 역대 홀로라이브 오리지널 곡들을 담당했던 유명 프로듀서들의 곡들을 따로 모은[82] CREATORS' STAGE로 이어지게 되었다.

페스 이틀 전인 3월 6일, 무라사키 시온이 4월 26일부로 졸업한다고 발표하면서 이번 홀로 페스는 시온이 참여하는 마지막 페스티벌이자, 사상 최초로 졸업 발표가 공지된 이후 해당 멤버가 참여한 페스티벌이 되었다.[83] 커버 주식회사의 대표 YAGOO 또한 이러한 사태와 관련해 X에 자신의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첫날 엑스포에서 운영 이슈가 있었던 작년과는 달리 다행스럽게 엑스포 내에서 특별한 이슈는 발생하지 않았다.[84][85][86] 한국에서의 라이브 뷰잉도 음질 이슈는 있었을지언정 지난 페스에서 벌어졌던 상영 도중 퇴장과 같은 일은 다행히 벌어지지 않았다. 스트리밍 방송의 경우에는 SPWN의 모든 스테이지 방송에서 중간중간에 최소 한 번씩은 화질이 심하게 깨지는 현상이 발생했다.

5th fes 당시의 레이저 연출은 좀 더 업그레이드되어 한번에 여러 개의 레이저가 쏘아지는 방식으로 변경되었고, 공개되었을 때부터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켰던 센터 스테이지는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장중한 음악과 함께 천장에서 내려오는 육각형의 체임버 형태였으며, 평면이 아니라 6면으로 되어 있어 육안으로 입체 효과를 실감할 수 있도록 화면이 3면에서 송출되는 가운데[87] 심지어는 천천히 회전까지 하는 등 향상된 기술력을 뽐냈다. 고정된 위치에 있는 게 아니라 그때그때 무대 자체를 천장에서 내리는 형태에 그 무대 말고는 쓰이지 않았었던 바 있다. 다만 모든 방면에서의 최고의 자리는 없다는 듯, 객석이 중앙에 위치해 있던 관객들에게는 중앙 스테이지는 1열이지만 양쪽 스테이지와의 거리가 가장 멀다는 문제가 있긴 했다.

상술했듯 많은 인원 이탈에도 불구하고 정작 스테이지별 인원은 늘어나면서 특별 스테이지를 제외한 본 스테이지 당 러닝타임이 무려 3시간으로 역대 최대 볼륨을 자랑하였으며, 모든 멤버들의 연습량을 짐작할 수 있듯 뛰어난 가창력과 댄스, 무대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또한 무대 경험자들이 점점 많아지면서, 많은 멤버들이 몸의 동작이 가벼워진듯한 느낌이나 무대 장악력이 늘어난듯한 모습을 보였다. 작년에 선보였던 솔로 무대에서의 오리지널 곡 메들리나 유닛 무대에서의 매쉬업 등은 이번에도 그대로 계승되었다.

올해에도 극찬을 받은 라이브 밴드나 뛰어난 무대 구성 및 퍼포먼스, 최고의 퀄리티로 뽑힌 신규 아이돌 의상 등 거의 모든 요소가 회차를 거듭할수록 발전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여전히 카메라 이슈는 딱히 개선되지 않아 팬들 사이에서 원성이 나오고 있다. 이번 페스티벌에서는 하이라이트 부분에서 줌아웃을 하여 회장 전체를 과도하게 포커싱해 정작 멤버들의 무대가 잘 보이지 않는 고질적인 이슈가 더 심하게 터져나왔으며, 그렇다고 관객석에서 명장면을 간간이 찍어냈던 과거 페스티벌들에 비해서도 그런 빈도도 극히 낮았다. 파트가 바뀌는 구간에서 엉뚱한 멤버를 포커싱하거나, 갑자기 초점을 놓치는 등 사소한 문제들도 많이 발생했다. 마지막인 STAGE 3가 되어서야 그나마 개선되는 모습을 보여주었는데 이에 대해서는 작년과 똑같은 업체에서 카메라를 담당했던 만큼 페스 설문[88] 등을 통한 피드백이 절실하다는 반응이 나오기도 했다. 페스가 끝난 이후 SPWN 아카이브 영상이 수정되어 업로드되었으며 상기한 비판점들에 대해 상당 부분 개선되었음이 확인되었다.

CREATORS' STAGE는 홀로라이브 팬덤들이 대부분 아는 오리지널 곡들로 이루어져 있다는 명확한 장점이 있었던 만큼 현장에서도 많은 함성을 이끌어냈지만, 일부 팬들의 아쉬운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매년 이어져 오고 있는 특별 스테이지는 매번 분량이 30분~1시간 30분 가량씩 짧았었고# 곡의 라인업도 사전에 공개가 됐기에# 볼륨이 적을 것이라는 것 자체는 예상하고 있던 팬들이 있었지만, 전체 분량이 차이가 나는데도 돈은 똑같이 받았다는 점에서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는 아쉬움을 표현한 팬들이 있었다.[89] 등장 횟수 면에서는 오리지널 곡의 수, 기수 무대, 유닛 무대 등으로 인해 등장 횟수의 차이는 매 페스마다 종종 존재해 왔었지만,[90] CREATORS' STAGE에서는 전원 단체곡을 제외한다면 마린이 3곡, 미코와 스이세이가 2곡을 불렀고, 1곡을 부른 멤버도 많았다. 그래서 이번에도 사람에 따라서는 곡의 수가 많이 차이 난다는 느낌을 받을 수도 있었다. 멤버가 중간에 등장하는 연출도 새롭게 선보였는데, 이는 가령 최애 멤버만을 보러 온 팬이 자신의 최애가 한 번 등장했지만 그게 중간에 등장한 것이었다면 자신의 최애가 1곡조차도 제대로 부르지 못했다고 느낄 수도 있었고, 반면 오히려 그런 새로운 무대 연출에 긍정적인 함성을 보낸 팬들도 존재했다.# 결론적으로는 모든 팬들에게 만족스러운 스테이지는 되지 못했다는 평. 이와 비슷한 이슈가 2023년 홀로라이브 서머 라이브 당시에도 있었기 때문에 당시와 겹쳐보는 팬들도 많다.

이번 페스티벌에서 많은 이야기를 남긴 멤버라면 바로 졸업 예정자인 무라사키 시온이라 할 수 있다. 시옷코들은 페스티벌을 겨우 2일 남겨둔 채 두근두근하고 있다가 난데없는 졸업공지를 접하고 매우 상심한 상태였는데, DAY1 공연 직후 후기 방송을 켠 시온 본인도 그 점에 대해서는 정말 미안해 하면서도 그럼에도 끝내 페스 현장에 나와서 힘차게 응원해 준 시옷코들에게 깊이 감사를 표했다.[91] 부득이 페스티벌을 앞두고 공지하게 된 것 역시, 이것이 자신의 마지막 단체 라이브라는 것을 미리 알려주고 싶어서였다고 하며, 졸업을 결정하고 발표하기 전까지 기간 중에는 자신을 최애로 삼게 되었다는 슈퍼챗을 볼 때마다 내심 마음이 무척 아팠다고 밝혔다. 이후 시온의 상황에 대해서 여러모로 심도 깊은 이야기를 듣고 나서는[92] 시온의 행복을 위해서 그녀를 떠나보내야 한다는 것을 팬들도 (적어도 머리로는) 납득했고, 이후 DAY2 아침이 밝을 때까지 약 2만 명의 시옷코들이 최애와 함께 꼬박 날밤을 새면서 도란도란 속 깊은 대화를 나누었다. 다음날 DAY2 엑스포 줄을 서기 위해 아침 일찍 일어난 타 팬덤들이 아직도 켜져 있는 시온의 방송을 목격하고서 눈을 의심했을 정도. 다른 홀로멤버들과 그 팬들도 시온을 너무 슬퍼하며 보내주기보다는 활기차고 신나는 추억을 안겨주면서 보내주자는 분위기가 있었기에, 시온의 무대는 더욱 열띠고 값진 시간이 되었다.

페스티벌 직후 현실에서 직접 만난 몇몇 멤버들이 서로 급격하게 사이가 가까워져서 꽁냥거리는 모습을 많이 보여주었다. 대표적으로 오로 크로니를 비롯한 여러 EN 멤버들이 토키노 소라와 처음 만나서 오랫동안 함께 놀면서 빠르게 가까워진 바 있다. 크로니를 오시로 삼고 있는 카엘라 코발스키아는 페스 직후 크로니를 인도네시아로 데려가서 신혼여행(?)을 즐겼는데 팬들이 축하해주자 츤츤거리면서도 매우 수줍어하는 반응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현지에서 아예 크로니를 자기 부모님께 인사시켰던 데다, 곧이은 크로니의 생일도 케이크와 꽃다발까지 준비해서 챙겨주는 꿀 떨어지는 모습을 보여주어, 크로니즈와 페말로에들이 '무카무카' 아이콘을 쓰면서 질투심을 표현했을 정도. 더 심하게는, 타카나시 키아라라오라 판테라의 입술을 처음으로 빼앗아갔으며, 라오라는 좋긴 했지만 다시는 하고 싶지 않다고 민망해하는 반응을 보였다. 심지어 나츠이로 마츠리쿠레이지 올리와 만나자마자 아예 셔츠를 붙잡고 입술 박치기를 시전했다고 하며, 올리에 따르면 마츠리의 혀가 밀고 들어오는 걸 느끼고서 자기도 마주 혀를 밀어넣었다고 했다.

그러는 한편으로, 페스 이후 JP와 EN 브랜치에서 숱한 멤버들이 몸살과 고열, 인후통을 겪으며 줄줄이 앓아눕기도 했다. 이번 페스티벌이 처음이 아닌 멤버들도 똑같이, 오히려 더 심하게 앓는 모습을 보여서 멤버들이 얼마나 초긴장 상태로 공연을 준비했었는지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기도 했다. 독감이 아니냐는 추측도 있었지만 일단 호쇼 마린은 단순한 감기몸살로 진단받았다고 한다. 그 중에서도 특히 모리 칼리오페하코스 벨즈는 아예 섭씨 40도를 찍을 정도의 고열이 올랐다고 알렸는데, 이 정도면 아예 인사불성이 되어서 응급실에 실려갈 수준임에도 꿋꿋이 병원에 안 가고 버티는 모습을 보여서 팬들을 걱정시켰다.

날씨가 도무지 따라주지 않았던 페스티벌이기도 하다. 전날인 3월 7일부터 강풍이 심상치 않게 불더니, 8일 STAGE 1 무렵에는 추적추적 비가 내렸고, 그날 저녁 STAGE 2 종료 후에는 심지어 함박눈이 내려서 숙소를 멀리 잡은 팬들을 고통스럽게 만들었다. 그래도 2일차인 9일에는 날씨가 맑아지고 많이 온화해져서 여러 팬덤들이 야외에서 기념촬영을 할 수 있었다.

한편 이번 페스에서도 참가한 하우스 밴드는 지난 페스처럼 전 스테이지들을 통틀어 118곡을 맡았으며, 올해에도 최고의 사운드를 들려주었다.[93]

이번 페스티벌은 지금까지 개근했던 페스티벌 단체곡인 Shiny Smily Story가 단 한 번도 연주되지 않은 최초의 페스티벌이기도 하다.

3.6.1. 세트리스트

◆는 치라미세
스테이지 곡명 멤버
<colbgcolor=#fff,#27292D> STAGE 1 <colbgcolor=#fff,#27292D> ◆ Stellar Stellar <colbgcolor=#fff,#27292D> 호시마치 스이세이
Capture the Moment STAGE 1 전원
◆ シアワセ√コヨリニウム 하쿠이 코요리
チルドレンレコード(Re:boot) 쿠레이지 올리
アイドルライフスターターパック 나츠이로 마츠리, 모모스즈 네네, 라플라스 다크니스
東京テディベア 라플라스 다크니스
ぐるぐる@まわる@まわルーナ
守護ってルーナイト
히메모리 루나
Born to be "BAU"DOL☆★ 후와모코
大還元祭!夢のフレアチャンネル!
Wander!
시라누이 후레아, 시로가네 노엘
Say My Name 네리사 레이븐크로프트
逆光のフリューゲル 후와모코
イタズラーニャ! 시로가네 노엘
Los! Los! Los! 츠노마키 와타메, IRyS
Funfair 시라누이 후레아
覚醒 시오리 노벨라
ラヴレター[111] 나츠이로 마츠리
ハレ晴レユカイ 아카이 하아토, 히메모리 루나, 하쿠이 코요리
brave heart 카엘라 코발스키아
プリズムの魔法 - Prism Magic - 코세키 비쥬
LOVE受信、ヒクツ発信 모모스즈 네네
Rebellion 시오리 노벨라, 코세키 비쥬, 네리사 레이븐크로프트, 후와모코
Who2 아카이 하아토
TwiLight IRyS
Multiverse 무나 호시노바
花になって 무나 호시노바, 쿠레이지 올리, 카엘라 코발스키아
WataAme Pop 츠노마키 와타메
FACT
My Abyss
ライメイ
토코야미 토와
PLATONIC GIRL 토코야미 토와, 호시마치 스이세이
Color Rise Harmony STAGE 1 전원


◆는 치라미세
스테이지 곡명 멤버
<colbgcolor=#fff,#27292D> STAGE 2 <colbgcolor=#fff,#27292D> ◆ Capture the Moment <colbgcolor=#fff,#27292D> STAGE 2 전원
◆ ぽ 오마루 폴카
하코스 벨즈
パイパイ仮面でどうかしらん? 호쇼 마린
フィーリングラデーション 히오도시 아오, 주우후테이 라덴, 오토노세 카나데, 토도로키 하지메, 이치조 리리카
魔法少女まじかる☆ござる 카자마 이로하
今日も大天才っ! 이치조 리리카
ヤミヤムヤミ 파볼리아 레이네
メズマライザー 오마루 폴카, 하코스 벨즈
ゴメンねメディスン 무라사키 시온
Club Blue Fire 히오도시 아오
メルト 오토노세 카나데
Ultra C 타카나시 키아라, 파볼리아 레이네, 아윤다 리스
鎌倉 Style 주우후테이 라덴
はいよろこんで 토도로키 하지메
Chaotic inner world AZKi
脳漿炸裂ガール 아마네 카나타, 카자마 이로하
フレイムハート 아윤다 리스
MIRAGE 타카나시 키아라
クマ ~くまおの初恋 クマったな~ 코보 카나에루
光るなら AZKi, 우사다 페코라, 무라사키 시온
最強女神✝︎ウーサペコラ 우사다 페코라
魔眼ウインク 타카네 루이
失礼しますが、RIP♡
オーバード
모리 칼리오페, 타카네 루이
片羽 아마네 카나타
Make ‘Em Afraid
FLASH BANG
DONMAI
모리 칼리오페
III 호쇼 마린, 코보 카나에루
Color Rise Harmony STAGE 2 전원


◆는 치라미세
스테이지 곡명 멤버
<colbgcolor=#fff,#27292D> CREATORS' STAGE <colbgcolor=#fff,#27292D> ◆ Our Bright Parade <colbgcolor=#fff,#27292D> CREATORS' STAGE 전원
◆ いいわけバニー 시라누이 후레아, 우사다 페코라, 쿠레이지 올리
美少女無罪♡パイレーツ 호쇼 마린, 하쿠이 코요리, 베스티아 제타, 코세키 비쥬
Play Dice! 하코스 벨즈
ビビデバ 토키노 소라, 로보코 씨, AZKi, 사쿠라 미코, 호시마치 스이세이
ホロホーク 타카네 루이
Go-Getters 모리 칼리오페, 네리사 레이븐크로프트
I’m Your Treasure Box *あなたは マリンせんちょうを たからばこからみつけた。 호쇼 마린
ねねちのギラギラファンミーティング 모모스즈 네네, 후와모코
ぎゅーどんかーにばる! 오오조라 스바루, 시로가네 노엘
もぐもぐYUMMY! 네코마타 오카유
SPARKS 타카나시 키아라, IRyS
III 호쇼 마린, 코보 카나에루
High Tide 무나 호시노바, 아이라니 이오피프틴
Palette 토코야미 토와
夜光通信 오오카미 미오, 나키리 아야메
My song 츠노마키 와타메
DAIDAIDAIファンタジスタ 사쿠라 미코
ソワレ 호시마치 스이세이
Color Rise Harmony CREATORS' STAGE 전원


◆는 치라미세
스테이지 곡명 멤버
<colbgcolor=#fff,#27292D> STAGE 3 <colbgcolor=#fff,#27292D> ◆ Capture the Moment <colbgcolor=#fff,#27292D> STAGE 3 전원
◆ ラミィズバリバリワークアウト 유키하나 라미
◆ 星駆ける空へ 오오조라 스바루
◆ Colorful Universe 오오카미 미오
おにけもだんす
百花繚乱花吹雪
시라카미 후부키, 오오카미 미오, 나키리 아야메
Break It Down[112] 베스티아 제타
旦那様とのラブラブ・ラブソング 아이라니 이오피프틴
宵の余、良い!
かわ世
夢花火
나키리 아야메
すきっ!~超ver~ 아이라니 이오피프틴, 아냐 멜핏사, 베스티아 제타
キミにまつわれた運命事情 아키 로젠탈
CHRONIC[113] 아냐 멜핏사
ちょこせんせーしょん 유즈키 초코
ホットダック!
スタースタースタート
きゅんきゅんみこきゅんきゅん♡
토키노 소라, 사쿠라 미코, 오오조라 스바루
粛聖!!ロリ神レクイエム☆ 오로 크로니
Mad POPCORN World! 이누가미 코로네
キスだけでいいからね 네코마타 오카유
アイディスマイル 가우르 구라, 니노마에 이나니스, 오로 크로니, 나나시 무메이
ANIMA 로보코 씨
愛して愛して愛して 니노마에 이나니스
だんご大家族 가우르 구라
ハイド・アンド・シーク 로보코 씨, 아키 로젠탈, 유즈키 초코
Hikari 시시로 보탄
準透明少年 나나시 무메이
Gimme×Gimme 유키하나 라미, 시시로 보탄
ラッキーセブンスホイッスル 토키노 소라
SUPERNOVA 시라카미 후부키
if... 네코마타 오카유, 이누가미 코로네
flower rhapsody 사쿠라 미코
Color Rise Harmony STAGE 3 전원

[1] チラ見せ. 슬쩍 보여준다는 뜻.[2] 멈추지 않는 이야기.[3] 끝나지 않는 홀로라이브.[4] 무대 너머.[5] 펼쳐진 세상에서 함께.[6] 넘어가는 홀로라이브.[7] 4기생 키류 코코는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3기생 우루하 루시아는 마지막으로 출현한 페스티벌이다.[A] 토키노 소라, AZKi, 사쿠라 미코, 요조라 멜, 아카이 하아토, 미나토 아쿠아, 유즈키 초코, 무라사키 시온, 우사다 페코라, 우루하 루시아, 호쇼 마린[A] [B] 시라카미 후부키, 나츠이로 마츠리, 로보코 씨, 아키 로젠탈, 오오조라 스바루, 나키리 아야메, 오오카미 미오, 네코마타 오카유, 이누가미 코로네, 호시마치 스이세이, 시라누이 후레아, 시로가네 노엘[B] [12] 연결된 소망[13] 이어지는 홀로라이브.[14] 이전에 카드가 나온적 있었고 당시 개봉하는 안건 방송이 있었다.[15] ID 2기는 12월 4일 ~ 6일 데뷔했기 때문에 두번째 페스티벌이 시작하기 2주 전에 먼저 데뷔했다.[16] 모두 아카이브는 22년 4월 20일 23시 59분까지였다.[17] 시청자들에 따르면 유치원에서 부모님들 모셔놓고 재롱잔치를 하는데 갑자기 팝스타를 초청해서 무대를 찢어놓은 것 같았다고. 더군다나 무나가 등판하기 직전의 무대에는 구라와 아메, 이나가 올랐던 상태였다.[18] 오리지널 곡인 ALiCE&u를 들고나왔는데 원판부터 최고음이 3옥 시까지 올라가는데다가 반주에 깔아서 묻혀가기도 굉장히 어려운 가창력 만을 위한 노래다. 거기에 샤우팅까지 들어가서 일반적으로는 부르는 것 시도도 어렵다. 이후 후배로 데뷔한 코보 등 가창력이 좋은 홀로멤들 역시 부르는데 난색을 표했는데 이걸 라이브 회장에서 원곡에 뒤지지 않는 가력으로 불러재끼는 바람에 그동안 ID에 대해서 알지 못했던 시청자들의 화력을 그대로 받아서 유튜브에 기재된 동영상의 조회수가 2개월간 15만 정도에서 1주일만에 80만 가량으로 500퍼센트 폭증했다.[19] 이와 관련해서 나키리 아야메가 공연 후 트위터에서 불안한 모습을 많이 보였는데 팬들은 그녀가 원래 루시아와의 토크를 준비했던 게 아니었냐는 추측을 하고 있다. 2일차 공연 전에 나온 공지도 그렇고, 기껏 준비했던 게 잘려나갔는데도 아야메로서는 어디에다 하소연도 못 하는 상황이 아닐까 하는 중.[C] AZKi, 호시마치 스이세이, 사쿠라 미코, 시라카미 후부키, 나츠이로 마츠리, 아카이 하아토, 오오조라 스바루, 이누가미 코로네, 시로가네 노엘, 호쇼 마린, 아마네 카나타, 히메모리 루나, 토코야미 토와, 모모스즈 네네, 오마루 폴카[C] [D] 토키노 소라, 로보코 씨, 요조라 멜, 아키 로젠탈, 미나토 아쿠아, 무라사키 시온, 나키리 아야메, 유즈키 초코, 오오카미 미오, 네코마타 오카유, 우사다 페코라, 시라누이 후레아, 츠노마키 와타메, 유키하나 라미, 시시로 보탄[D] [24] 라프라스 다크니스, 네코마타 오카유, 하쿠이 코요리 출연[25] 타카네 루이, 사쿠라 미코, 오오카미 미오 출연[26] 우리의 밝은 퍼레이드.[27] 퍼져나가는 홀로라이브.[28] 그래서인지 홀로페스를 전후하여 JP 멤버들과 해외 멤버들의 오프콜라보 방송이 급증하기도 했다.[29] 그 많은 JP 멤버들 중에서 파우나와 목소리가 비슷한 인물은 요조라 멜이나 아카이 하아토 정도뿐인데, 멜은 마마라기보다는 좀 더 색기있는 톤이고 하아토는 목소리가 가늘고 날카로우며 4차원 이미지가 너무 강하다. 파우나 본인은 노엘의 방송에 영감을 자주 얻는 기사단이며 노엘과 마찬가지로 ASMR 방송도 주력이다.[30] 이 곡을 선곡한 것이 AZKi 본인이었다고 후일담에서 밝혔다. 로보코 씨와 멜의 귀여움을 끌어낼 수 있을 거라 여겨 제안했다고 한다.[31] 새로 합류한 멤버 전원의 모델에 대해 호평이 쏟아지는 것은 물론이요 기존 홀로멤들도 모델이 일부 개편되었다. 특히 칼리의 경우 작년에 비해 훨씬 개선되었다.[32] 1996년 발매[33] 선곡 자체는 오오카미 미오가 추천했다고 후일담 방송에서 밝혔다. 의외로 해당 곡은 2019년 발매되었다.[34] 하지만 보는 사람들은 모두 고양이 답다며 실수라고는 생각도 못했다.[35] 원곡은 영어 가사이나 공연에서는 대부분의 가사를 일본어로 번안했다.[36] 토키노 소라, AZKi, 나츠이로 마츠리, 시로가네 노엘, 라플라스 다크니스[37] 순간을 포착하라.[38] 지난 4번의 페스에서 일종의 구호 같은 '~하는 홀로라이브' 형식의 해시태그를 선정한 것과 달리 직관적으로 페스와 엑스포를 강조한 해시태그가 선정되었다.[39] 참가 인원은 홀로니나 당시 27명보다도 많은 36명에 달한다.[40] 해당되는 인물은 토키노 소라, 시라카미 후부키, 미나토 아쿠아, 오오카미 미오, 우사다 페코라, 아마네 카나타, 유키하나 라미, 라플라스 다크니스, 아윤다 리스, 쿠레이지 올리, 베스티아 제타, 모리 칼리오페, 하코스 벨즈, 시오리 노벨라, 오토노세 카나데, 하나사키 미야비, 아스텔 레다, 야토가미 후마, 리지스 알테어, 쥬라드 T 렉스포드.[41] 커버 측에서 입장권에다 호텔 숙박까지 포함하는 패키지 상품을 내놓았는데 반응이 좋았다.[42] 심지어 단체곡 무대에서는 멤버들이 세 스테이지에 나눠서 등장해 자신의 최애가 있는 방향에 따라 오히려 불편함을 겪기도 했다.[43] 이 때문인지는 몰라도 SPWN 아카이브 영상이 페스가 끝난 후에도 한동안 업로드되지 않았다. 카메라 오류 등을 편집하여 올릴 예정이라고. 3월 22일 21시부로 업로드되었다.[44] 메가박스 신촌. 전날까지도 이후 시간대에 예약을 한 관객이 없는 상황이였기에 취소가 가능하였다.[45] 메가박스 코엑스. 해당 시간대에 예약을 잡아놓은 관객이 20여 명 존재하였음에도 파묘 상영시간을 조금 늦추는 등 유도리 있는 조치를 취하였다.[46] 특히 이날 부른 듀엣곡 The Last Frontier는 곡 제작 당시 프로젝트의 종료가 확정된 AZKi가 스이세이와 부를 오리지널 곡을 만들고 싶다는 미련에서 시작된 곡이었으며 이를 스이세이가 라이브 버전으로 최후반부를 개사, 스이세이의 축복을 기원하던 내용에서 AZKi와 함께 앞으로 나아가는 감동적인 내용로 바꿔 부른 것이었다.[47] 메가박스 코엑스, 메가박스 신촌, 메가박스 수원스타필드, 메가박스 사상[계약해지] [49] 원래 발표된 출연진에는 없었으나 깜짝 출연[계약해지] [51] 해당 멤버들은 발표된 출연진에는 없었으나 보너스트랙 참가자로서 출연[52] 비슷하게 페스를 앞두고 우루하 루시아가 계약해지된 3rd 페스의 2일차 스테이지가 1일차 스테이지와 확연히 차이날 만큼 짧아진 것과는 대조된다.[53] 메가박스 코엑스 3관과 수원스타필드 1관에서 발생.[54] 실제로 다음 영화까지 시간적 여유가 있는 일부 상영관에서는 다행히 정상적으로 끝까지 뷰잉을 진행하였다.[55] 해당 멤버는 Stage 1 - 사카마타 클로에, Stage 2 - 오오조라 스바루, Stage 3 - 호시마치 스이세이.[56] 이는 큰 의미를 갖는데, 작년 4th 페스 이후 무려 9개월 간의 장기 휴식을 취하고 몇달 전에야 돌아온 하아토가 비로소 정상 궤도에 확실히 진입했음을 상징하는 무대라고 볼 수 있다.[57] 정작 페스 직후 3월 남은 기간 동안 다시 휴식을 갖는다고 발표한 건 함정. 물론 이번에는 일반적인 휴가 개념으로 잠시 여행을 다녀올 것이라고 밝혔다.[58] 로보코 씨, 아키 로젠탈, 유즈키 초코, 미나토 아쿠아, 세레스 파우나, 아이라니 이오피프틴, 파볼리아 레이네.[59] 이후 소라는 자신의 후기 방송에서 공연 순서는 운영이 정해준 것이며 스테이지의 마지막을 맡는 것에 부담을 느낀다고 말했다. 스테이지의 마지막이었던 스이세이 역시 후기 방송에서 소라의 무대를 보고 왜 저게 엔딩 무대가 아니냐고 생각했다고 말했다.[60] 그녀가 부른 노래가 mumei인데 초록색은 위로 솟아나 식물이 자라나는 제스처로 하고 파란색은 좌우로 흔들어 바다를 일으켜 자연으로 만들었는데 뮤비 내용을 생각해보면 제법 괜찮은 수습이다.[61] 페스 이후 토와의 후기 방송에 나타나 슈퍼챗을 쏘기도 하였는데 확인 결과 이 팬은 38개월 멤버십을 가입했다고 해 권속 중의 권속임이 밝혀졌다. 해당 짤이 급속도로 퍼져나가면서 엑스포 내 유명인이 되었고 그 지미와도 금세 친해져서 함께 다니는 모습이 찍히기도 했다.[62] 이 전의 MC 파트로 미나토 아쿠아토코야미 토와가 나와서 한 명 빠져있는 거 같다며 스이세이의 인삿말을 실컷 뺏어 썼고(...) 스이세이는 그걸 마음에 담아두고 있었다.[63] 해당 곡은 AZKi가 작사/작곡을 모두 맡았다. 이번에 스이세이가 작사에 일부 관여함으로써 둘이 함께 만든, 진정한 듀엣곡이 된 것.[64] 최초 공개.[65] 가면라이더 빌드 주제가.[66] 무장연금의 OP.[67] 용과 주근깨 공주 삽입곡.[68] 티어문 제국 이야기의 OP.[69] VS기사 라무네&40염의 OP.[70] HoloH3RO 단체 오리지널 곡.[71] Vivy -Fluorite Eye’s Song-의 OP.[72] 토라도라!의 OP.[73] 좀100 ~좀비가 되기 전에 하고 싶은 100가지~의 OP.[74] 오드 택시의 OP.[75] 최초 공개.[76] 호시마치 스이세이 개사.[77] 로보코상, AZKi, 이치조 리리카, 하루사키 노도카[78] 미나토 아쿠아 - 2024년 8월 28일, 졸업. 왓슨 아멜리아 - 2024년 9월 30일, 활동 종료. 세레스 파우나 - 2025년 1월 3일, 졸업. 사카마타 클로에 - 2025년 1월 26일, 활동 종료. 덤으로 홀로라이브의 개국공신 중 한 명으로 불리는 A쨩도 2024년 6월 30일 퇴사하였다. 마지막으로 페스 개막 이틀 전, 무라사키 시온이 2025년 4월 26일 졸업할 예정임을 발표하였다.[79] 일부 멤버들의 펜라이트 색상에 약간의 변동이 있었다. 그러나 미오(녹색)나 무메이(하늘색)처럼 아주 엉뚱한 색상이 배정된 멤버는 변화 없이 그대로 유지되었다. 이 중에서 무메이의 경우 나중에 다시 재공지가 올라왔는데 밝은 초록색으로 수정되었다.[80] 다만 애초에 이번 페스의 홍보대사로 리글로스 멤버들이 내정되어 있었기에 공지 방송에 나온 것 자체가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다. 아이돌 복장도 못 받고 리액션을 하는 꼴이 너무나도 기괴했을 뿐.[81] 원숙한 언변으로 팬덤의 분위기를 누그러뜨리고 동기들에게도 정신적 지주가 되어주는 아오지만, 한편으로는 운영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의견을 제시하고 멤버들의 입장을 명확하게 어필하는 모습도 가장 많이 드러내며 리글로스에서 총대를 매는 역할을 줄곧 해왔었다.[82] 공식 방송에서 공개된 라인업은 카멜리아, Giga, KIRA, ZSunder, , 스리이, 타부치 토모야(UNISON SQUARE GARDEN), 츠미키, TeddyLoid, 나나호시 관현악단, niki, 피노키오피, 호리에 쇼타, 마론(IOSYS), U.Z.INU(토비 폭스의 가명으로 매우 유력하게 추정되는 사람. 마리바코를 작곡했다.).[83] 지금까지는 홀로페스 이전에 졸업자가 나와서 이미 페스 참가자 라인업에서 사라진 경우밖에 없었다.[84] 당일 현지 굿즈 판매에서 펜라이트 등이 이미 사전 판매로 모두 팔려버렸고 그걸 전날 밤에 X로 공지를 해서 논란이 되었다. 그래서 펜라이트를 당일에 사려던 사람들이 운영에 많이 실망했고, 심지어는 이를 바로 더 높은 가격에 되파는 사람들까지 나오기도 했다.[85] 사전 판매에서 구입했던 물건을 수령하러 가니 물건이 준비되어있지 않아 1시간을 기다린 사람이 있었긴 했다.[86] 물론 음식 이슈는 여전하다. 이번엔 리리카의 한계밥 밈을 따와서 한계밥 정식을 메뉴로 냈는데 퀄리티가 낮은 편이었으나 가격이 1,600엔으로 책정되었다. 비슷한 시기 리글로스 콜라보 카페에서 판매하던 리리카의 비프 스튜 한계밥 Ver.와 비교되는 것은 덤. 그나마 작년보다 나은 점이 있다면 양은 넉넉해서 한 끼 식사할 정도는 충분히 된다는 점 정도.[87] 차후 페스티벌에서 육안 입체감을 살리기 위한 AR 기술의 테스트베드라는 짐작이 가능하다. 실제로 6th fes까지 입체적인 AR 환경은 뷰잉/스트리밍으로만 지원되었다.[88] 현지 엑스포, 페스 티켓을 구입한 팬들에게는 페스가 종료된 후 나중에 이메일이 오는데, 해당 설문에서 좋았던 점이나 아쉬웠던 점 등, 다양한 피드백을 남길 수 있다.[89] 공식에서 사전에 업로드 했던 곡 리스트에서 and more... 이라고 우측 하단에 써 있었던 점을 문제 삼을 수 있으나, 작년 특별 스테이지에 해당하는 hololive × HoneyWorks 스테이지와 다르게 이번엔 해당 리스트에 없었던 Our Bright Parade와 Color Rise Harmony의 단체 무대가 추가로 있었다.[90] 전원 무대 제외 각 스테이지 기준, 2nd fes에서 4기생과 미코의 3곡 이상 차이, 3rd fes 1일차 및 2일차에서 구라, 키아라, 이오피 등이 다른 멤버들과 3곡 이상 차이나는 경우도 이미 존재했으며, 5th fes의 HoneyWorks 스테이지 등에서도 멤버별 곡 수의 차이는 종종 있어왔다.[91] 페스 환불 전용 창구를 공식 채널에서 공지한다고 하더라도 이상하지 않을 상황이었으나, 최애와 팬덤이 서로를 굳게 믿고서 마지막 단체 공연을 멋지게 장식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92] 시온이 고르고 골라서 간신히 돌려 말한 표현 중에는 "오래 살고 싶지 않았다"는 것도 있었다. 겉으로는 반듯하고 자기관리 착실한 바른생활 아가씨처럼 보였지만 사실 속으로는 벼랑 끝까지 몰려 있었던 것이라고 볼 수 있다.[93] 특히 기타리스트인 奈良悠樹는 공연하는 도중 카메라에 얼굴이 수차례 잡히기도 했다.[94] 해당 스테이지에서 공연한 멤버는 다음과 같다. STAGE 1: 호시마치 스이세이, 나츠이로 마츠리, 무나 호시노바 / STAGE 2: 호쇼 마린, 무라사키 시온, 아윤다 리스 / CREATORS' STAGE: 타카네 루이, 토코야미 토와 / STAGE 3: 네코마타 오카유, 토키노 소라, 사쿠라 미코.[95] 다만 아이러니하게도 러브레터의 가사는 전혀 청초하지 않은데, 사라지고 사라지고 사라지고 싶어, 네가 웃어준다면 방해되는 것은 태우고 녹여서 저 공원에라도 파묻어버릴게, 차라리 저며져 평소의 식탁에 늘어서 좀 더 너와 함께, 네 안이 보고 싶어 같은 섬뜩한 가사들로 마츠리의 평소 캐릭터성 중 하나인 극한의 멘헤라를 제대로 표현해 라이브 이후 노래를 제대로 듣고 가사를 알게 된 팬들이 공포스러워하는 일도 있었다.[96] 가사가 전부 '포'인 극한의 컨셉곡이다.[97] 어쩌다 보니 곧 홀로라이브를 떠나는 시온을 배웅하는 느낌의 선곡이 되었지만 페코라와 아즈키가 후일담 방송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시온의 졸업 소식을 모르던 상태에서 곡을 선정한 것이었다고 한다.[98] 엔딩 티셔츠는 아이돌 의상 바리에이션 중 하나기 때문에 아이돌 의상이 없는 리글로스에게 티셔츠가 없을 거라는 건 사전에 예상된 문제였다.[99] 특히 히오도시 아오의 오리지널 곡인 Club Blue Fire는 컨셉상 아오의 기본 복장이 가장 컨셉에 맞는 편이다.[100] 다음날 스테이지 출연이 예정되어 있는 코로네는 이에 대해 올해는 구르지 않을 것이니 기대하지 말아달라고 하였으나...[101] 페스 이후 후일담 방송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실제로는 이 때문에 페스 출연 자체가 좌절될 뻔 했으며, 현재처럼 억지로 활동을 이어가다가는 현재의 더듬거리는 말투가 완전히 굳어져 버릴 수 있다는 의사의 조언에 따라 회복에 전념하기 위해 5월까지 일부 활동 중지를 선언하였다. 쇼츠나 사전에 수록된 컨텐츠 외 일반 생방송 및 고지를 제외한 SNS 활동은 일체 하지 않을 것이라고 한다.[102] 서로 보자기 카드가 하나도 없고, 카나데가 주먹1+가위3, 상대가 주먹2+가위2인 상태였기 때문에 주먹 갯수가 많은 상대가 주먹만 2번 연달아 내면 무조건 이길 수 있는 상황이었음에도 결과가 무승부 아니면 패배인 가위를 일부러 냈다.[103] 멤버 개인의 솔로 라이브(유료)의 경우 스이세이나 마린 등 일부 적용 사례가 있었으나, 커버 스튜디오 내에서 진행되는 소위 무료 3D 라이브로는 이번이 최초.[104] 그런데 후기방송에서 벨즈는 사실 이게 전력을 다한 퍼포먼스는 아니었고, 중간에는 실수를 해 아예 프리스타일로 춤을 췄다고 밝혔다. 본인은 STAGE 2의 무대에 더욱 집중했다고.[105] 작사가 나나호시 관현악단이라 명목상 포함이 가능했다.[106] 이전 MC 당시 콜&리스폰스를 코러스(...)라고 말해버린 것이 그 이유.[107] 한편 이 곡은 구라와 같은 유닛인 UMISEA의 멤버이자 2024년 졸업한 미나토 아쿠아가 과거 홀로라이브가 빌리빌리에서도 어느 정도 방송하던 초기 시절 노래 방송에서 홀로라이브 버전으로 가사를 패러디해 불렀던 '야고 대가족'을 연상시켜, 라이브 후 여운이 남은 일부 팬들이 해당 노래의 녹화 영상을 보며 눈시울을 붉히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 안 그래도 24년에 아쿠아의 졸업 이후 구라와 친하게 지내던 왓슨 아멜리아가 방송 활동을 종료하며 가뜩이나 방송 빈도가 적은 EN 고참 멤버의 대표격인 구라의 팬들도 내내 불안에 떨었는데, 구라와 친하던 또다른 고참 멤버인 시온마저 페스 직전 졸업을 공지하기도 했기 때문에 이 노래에 안타까운 감정을 가진 팬들이 많았던 것.[108] 25년 전에 나온 곡이다.[109] 메인 보컬 1명이 노래를 거의 전담하며 랩 담당을 따로 두고 나머지 멤버는 전부 코러스와 댄스만 전담하던, 그 때 그 시절 한국으로 치면 마치 서태지와 아이들과도 같은 옛날식 파트 분배를 그대로 가져왔다.[110] 일부 국가 제외.[111] 신곡[112] 신곡[113] 신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