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신체의 부위
<bgcolor=#00a495> 사람의 신체 부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eee,#1c1d1f> 상체 | <colbgcolor=#f5f5f5,#1c1d1f> 머리 | 두피 | 머리카락 · 정수리 · 뒤통수 |
얼굴 | 이마 · 눈썹 · 눈 · 속눈썹 · 코 · 입 · 입술 · 귀 · 볼 · 턱 · 관자놀이 · 미간 · 인중 · 중안부 | |||
내부 | 두개골 · 광대뼈 · 뇌 · 비강 · 치아 · 잇몸 · 혀 · 설소대 · 입천장 · 목젖 · 침샘 · 편도선 · 인두 | |||
목 | 경추 · 식도 · 경동맥 · 성대 · 울대뼈 · 후두 · 기도(기관) · 갑상샘 · 목덜미 | |||
어깨 | 겨드랑이 · 쇄골 · 견갑골 · 어깨세모근 | |||
팔 | 위팔 | 위팔두갈래근 · 위팔세갈래근 · 위팔뼈 | ||
팔꿈치 | 오금 | |||
아래팔 | 아래팔근 · 노뼈 · 자뼈 | |||
손 | 손목 · 손등 · 손바닥 · 손가락 · 손톱 | |||
가슴 | 외부 | 유방 · 유두 · 유륜 · 명치 | ||
내부 | 심장 · 폐 · 큰가슴근 · 횡격막 · 갈비뼈 · 복장뼈 | |||
복부 | 외부 | 옆구리 · 배꼽 | ||
내부 | 간 · 위장 · 쓸개 · 비장 · 췌장 · 콩팥 · 작은창자 (샘창자) · 큰창자 (직장 · 맹장 · 결장) · 복강 · 복막 · 복벽 | |||
등 | 척추 · 넓은등근 · 척추기립근 · 척수 | |||
허리 | ||||
하체 | 사타구니 | 골반 · 방광 · 회음부 | ||
성기 | 남성 | 음경 · 고환 | ||
여성 | 음문 · 질 · 자궁 | |||
볼기 | 엉덩이 · 볼기 · 항문 · 꼬리 | |||
다리 | 넓적다리 | 허벅지 · 대퇴사두근 · 대퇴골 | ||
무릎 | 오금 | |||
정강이 | 정강뼈 | |||
종아리 | 종아리뼈 · 아킬레스건 | |||
발 | 발목 · 발꿈치 · 발바닥 · 발가락 · 발톱 | |||
기타 | 뼈 | 틀:사람의 뼈 · 골수 · 인대 | ||
근육 | 틀:근육 · 힘줄 | |||
혈관 | 동맥 · 정맥 · 모세혈관 | |||
소화계 | 위액 · 장액 · 융털 | |||
털 | 수염 · 코털 · 구레나룻 · 가슴털 · 겨드랑이 털 · 팔털 · 배털 · 음모 · 항문주위털 · 다리털 · 모낭 | |||
분비물 | 침 · 땀 · 눈물 · 피지 · 콧물 · 가래 · 쿠퍼액 · 정액 · 애액 · 냉 · 고름 | |||
노폐물 | 각질 · 눈곱 · 때 · 귀지 · 코딱지 · 비듬 · 좆밥 | |||
배출물 | 소변 · 대변 · 트림 · 방귀 | |||
이물질 | 결석증 · 편도결석 · 담석 · 요로결석 · 위석 · 치태 · 설태 | |||
기타 | 피부 · 점막 · 신경 · 틀:포유동물의 기관계 | }}}}}}}}} |
호흡기학 Pulmonology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F7CEC0,#272727><colcolor=#333,#fff> 전문과목 | 호흡기내과 · 심장혈관흉부외과 · 이비인후과1 · 소아청소년과2 · 소아외과2 | |
해부학 | 상기도 | 코 · 비강 · 인두 · 후두 | |
하기도 | 기도(신체) · 기관지 · 폐 · 폐포 | ||
흉강 | 횡격막 · 흉막 · 흉강 | ||
생리학 | 호흡 · 질식 · 폐활량 | ||
상기도 질환 | 상기도감염 · 급성폐쇄성후두염 · 부비동염 · 비염 · 아구창 · 인후염 · 편도선염 · 재채기 · 코막힘 · 후비루증후군 | ||
하기도·폐 질환 | 가래 · 과호흡 증후군 · 급성호흡부전 ·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 기관지 확장증 · 기침 · 폐수종 · 폐색전증 · 폐암 | ||
폐쇄성 | 만성 폐쇄성 폐질환 (만성 기관지염 · 모세기관지염 · 폐기종) · 천식 | ||
감염성 | 급성 기관지염 · 폐결핵 · 폐농양 · 폐렴 (레지오넬라병 · 미코플라즈마 폐렴 · 클라미디아 폐렴 · 헤모필루스 폐렴 · 폐렴구균 폐렴 · 폐렴성 페스트) | ||
호산구성 | 베게너육아종증 · 만성 기관지폐 아스퍼질로스증 · 척 스트라우스 증후군 · 폐흡충증 | ||
직업성 | 규폐증 · 석면폐증 · 악성중피종 · 진폐증 | ||
간질성3 | 간질성폐질환 · 굿파스쳐증후군 · 유육종증 · 폐섬유증 | ||
흉막 질환 | 기흉 · 농흉 · 흉수 | ||
기타 호흡기 감염증 | 디프테리아 · 리노바이러스 감염증 · 백일해 · 보카바이러스 감염증 · 아스퍼질로스증 · 인플루엔자 · 파라인플루엔자 · COVID-19 · HMPV 감염증 · MERS · SARS · RSV 감염증 | ||
치료 | 약물 | 금연 · 항생제 (독시사이클린 · 반코마이신 · 젠타마이신 · 카바페넴 · 페니실린 · 플루오로퀴놀론) · 항진균제 · 항히스타민제 · 항암제 · 베타 작용제 · 항콜린제 · 당질 코르티코이드 | |
중재 | 양압기 · 인공호흡기 · 에크모 | ||
1 상기도 질환 · 2 18세 미만의 호흡기 질환 · 3 호산구성, 직업성 제외 | }}}}}}}}} |
1.1. 喉頭
喉頭 / Larynx
인두와 기도(기관) 사이의 부분으로, 구강(입속)을 넘어가서 식도와 기도로 분리되는 교차점을 말한다.
후두는 평소에 후두덮개(후두개)를 개방하여 호흡기능의 역할을 수행하며 음식이 식도를 타고 내려오면 후두덮개를 닫아 음식물이 기도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해주어 기도 보호를 위한 괄약기능도 한다.[1] 또한 후두의 중앙부에는 성대가 있어 발성기관으로의 역할도 한다.
동물마다 형태가 다른데, 크게 어류형, 양서류-석형류형, 포유류형이 있다.
이 부분을 이용한 소리는 후두개음으로 분류한다.
인두의 경우 인두 항목 참조.
흡연 등의 원인으로 후두암이 발생할 수 있다.
1.2. 後頭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뒤통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뒤통수#|]][[뒤통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 서아프리카에서 기원한 흑인의 영적 신앙
Hoodoo흔히 후두교라고 부른다. 서아프리카에서 미국으로 잡혀온 흑인 노예들이 기존의 영적 관습과 토착 아프리카 종교, 기독교 신앙과 혼합해서 만든 일종의 영적 운동이자 점술, 신앙, 종교적 관념이다.
흑인 대이동와 결합해서 전미로 퍼졌으며 후두에 영향을 받은 흑인문화도 많이 생겼다.
비슷한 부두교와 많이 혼동되지만 다른 것이다.자세한 내용은 영문위키 참조
3. 지리학 용어
흔히 토주(土柱)라 불리는 용어의 영문명이다.영문위키비가 계속 내려 침식 작용으로 인해 윗부분은 버섯처럼 둥그렇고 아래는 길다란 바위기둥을 일컫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