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모사 관련 틀 | ||||||||||||||||||||||||||||||||||||||||||||||||||||||||||||||||||||||||||||||||||||||||||||||||||||||||||||||||||||||||||||||||||||||||||||||||||||||||||||||||||||||||||||||||||||||||||||||||||||||||||||||||||||||||||||||||||||||||||||||||||||||||||||||||||||||||||||||||||||||||||||||||||||||||||||||||||||||||||||||||||||||||||||||||||||||||||||
|
1. 개요
영어: samosa힌디어: समोसा
우르두어: سموسے
벵골어: সামোসা
싱할라어: සමෝසා
인도를 비롯한 남아시아권 국가들에서 먹는 뜨거운 기름에 튀긴 페스트리 혹은 만두의 일종이다. 남아시아에서 대표적인 길거리 음식이기도 하다.[1] 단단한 삼각형의 튀긴 피와 만두에 가까운 소가 특징.
세몰리나(인도 말로는 Atta Sooji) 밀가루를 튀긴 것을 껍질로 쓰며[2], 속에는 향신료가 첨가된 다진 감자나 완두콩, 렌즈콩을 비롯한 콩류, 혹은 고기, 양배추나 양파 같은 채소를 넣는다.
2. 범위
일단은 인도를 비롯한 남아시아권에서 많이 먹지만, 다소 가까운 아프리카의 뿔과 케냐, 우간다, 탄자니아 등 동아프리카 국가들과 가나, 나이지리아 등 서아프리카의 영어권 국가에서도 길거리 음식으로 많이 소비되며, 그 외 남아공과 레위니옹, 모리셔스 등 남아시아인 디아스포라가 있는 곳에서도 즐겨 먹거나 인기가 높다.3. 바리에이션
남아시아뿐 아니라 아랍 세계를 비롯한 중동(서아시아), 동아프리카에서는 삼부사라고 부르며, 속에 기장이나 다진 고기를 넣어 먹는다. 중앙아시아와 이란에서 삼사라고 해서 빵 페스트리에 양고기와 양파, 감자 등을 넣어 먹는다.사모사 차트(Samosa Chaat)라고 해서 부순 사모사에 소스로 요거트나 민트 쳐트니 등을 뿌려 대접하는 음식도 있다.
포르투갈, 고아(인도), 앙골라, 카보베르데, 상투메 프린시페, 모잠비크 등 포르투갈어권에서도 "샤무사(chamuças)"라고 불리는 삼각형 튀김 요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