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2 20:45:34

경복궁 영제교

영제교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
현무문
천하제일복지천
오운각 옥련정
벽화실 청와대 관저
청와대 본관 청와대 녹지원 춘안당 융문당
칠궁 양정재 수궁(구 관저터) 융무당 태화궁
지희실 경농재(관풍루) 대유헌 경무대
청와대 위민관,헬기장
수궁 청와대 춘추관
마장 관가문 희맹공신단
금화문 팔도배미
청와대 영빈관,경호실
추성문 금위군직소 춘화문 춘생문
신무문 수문 계무문 광무문 춘도문 수문
숙문당 수문장청 군사방 팔우정 집옥재 협길당 각감청 관문각
건청궁
서녹산 어구 동녹산
태원전 영사재 대왕대비전 세답방
순화궁 세답방 중궁전 세답방 종각
빈궁 세답방 공묵재 왕대비전 세답방 가회정 보현당 남여고 육우정 녹직처소 내재실
동장고 통화당 순화궁 외소주방 숙경재 서진설청 선원전 동진설청 경안당
순화궁 내소주방 진전 소주방 진전 생물방 화락당 나인처소
회안전 문경전 서장고 향원정만화당 벽혜당(왕대비전 생물방) 대향당 나인처소
정훈당
함화당 집경당 전기등소 만경전 건기당(왕대비전 내소주방) 요광당(왕대비전 외소주방) 어린이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나인처소
숙설소 영훈당
원역처소 빈궁 생물방 상궁처소 다경합 건복합
제관방 회광당(빈궁 내소주방) 광원당(빈궁 외소주방)
수인문 흥복전 중궁전 수방 대왕대비전 수방 제수합 영보당 벽월당(상궁처소)
중궁전 침방 대왕대비전 침방
국별장직소 원역처소(접견소) 장방 원역처소 아미산 자미당 자경전 집희당(대왕대비전 내소주방) 춘소당(대왕대비전 침방) 취운당(대왕대비전 수방) 나인처소
침채고 예춘당(대왕대비전 생물방) 벽로당(상궁처소) 웅향당(상궁처소)
국출신직소 함정당(대왕대비전 외소주방) 계응당(상궁처소)
하향정 임향당 나인처소
무겸직소 함원전 건순각
인지당 나인처소 보월당(상궁처소) 자운당(상궁처소) 나인처소
경회루 함홍각
교태전원길헌
복희당(대전 생물방)
북소위장직소 흠경각
양의문대전 내소주방난지당(대전 외소주방)대소대금방(나인처소)
응지당 강녕전연길당
파수각 경성전 연생전
수문 향오문
영추문 수문장청 내각(규장각) 검서청(규장각) 대전장방(내시부) 천추전 사정전 만춘전 자선당비현각 장방 수문장청 건춘문
습회당 협오당 장원당 중궁전 수랏간 왕대비전 수랏간 등촉방 등촉방 장방 관리사무소
군사방 수정전 별감방 군사방
초관직소 장무관직소 입심억석(내의원) 주원(사옹원) 수정문 사정문 오상방 원역처소
훈국군번직소 침의청(내의원) 약방(내의원) 내반원(내시부) 협의문
융무루ㅓ
근정전계인문
융문루
통장청 문기수청 춘방
서소위장직소 의약청(내의원) 영화문 계방
옥당
(홍문관)
검서청(규장각) 대전 수랏간 계조당 훈국군번처소 초관처소
누국 당후(승정원) 정원(승정원) 숭양문 월화문 근정문 일화문
일영대 선전관청 빈청
기별청
유화문
수각

덕양문
수각
봉선문 별군직청 주차장
영제교
춘방 책고 대청 상의원 면복각
신당 덕응방 북마랑 흥례문
전사청 연고 내사복시 거달처소 중마랑 동마랑 용성문 어도 협생문 계방 오위도총부
우마랑 국립고궁박물관 좌마랑 내구 연지 수문장청
매표소
군사방
수문장청
매표소
남소부장청 동소부장청
견마배청 남마랑 군사방 초관처소 영군직소
측사
측사 충장장청
서십자각 수문 광화문
(월대)
수문 동십자각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복궁 영제교
景福宮 永濟橋
창덕궁 금천교
昌德宮 錦川橋
창경궁 옥천교
昌慶宮 玉川橋
덕수궁 금천교
德壽宮 禁川橋
경희궁 금천교
慶熙宮 禁川橋
정문 · 중문 · 금천교 · 정전 정문 · 정전 · 편전 정문 · 편전 · 내정전 · 동궁 · 선원전
}}}}}}}}}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17호 경복궁
<colbgcolor=#bf1400> 경복궁 영제교
景福宮 永濟橋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세종로)
건축시기 1395년 (창건)
2001년 (복원)
파일:영제교1.png
<colbgcolor=#bf1400> 영제교
파일:영제교.png
근정문과 일직선상에 놓여있는 영제교의 모습
1. 개요2. 역사3. 금천4. 구조
4.1. 영제교 금천의 서수

[clearfix]

1. 개요

경복궁금천교이다.

금천교는 말그대로 금천을 건너기 위해 세운 다리이며, 금천은 풍수지리적인 이유[1]외부와의 경계[2]를 나타내기 위해 궁궐의 정문과 중문 사이에 둔 인공 개천이다.

그러나 경복궁의 경우는 중문정전 정문 사이에 금천이 있다. 그래서 영제교 역시 광화문흥례문 사이가 아닌, 흥례문과 근정문 사이에 위치한다.

2. 역사

1395년(태조 4년) 9월, 경복궁이 창건될 때 만들어졌다. 처음에는 이름도 없이 그냥 ‘석교(石橋)’라고 불렸다. # 그리고 개천을 따로 파지 않고 그냥 흐르는 도랑 위에 지은 것으로 보인다.

태종 대에야 비로소 제대로 금천을 팠고# 세종 대에 ‘영제교(永濟橋)’라는 이름을 붙였다.#

1592년(선조 25년) 임진왜란으로 경복궁이 폐허가 되었으나 영제교는 돌로 만들어서 큰 훼손 없이 남아있었다. 이후 270여 년 간 방치되었다가 1865년(고종 2년) 경복궁이 중건되면서 다시 궁궐금천교 역할을 수행했다.
파일:조선고적도보 영제교.png
<colbgcolor=#bf1400> 《조선고적도보》 에 실린 영제교
그러나 일제강점기인 1915년에 ‘시정 5주년 기념 조선물산공진회’가 경복궁에서 열리면서 흥례문과 주변 행각이 철거될 때 같이 헐렸다. 그리고 공진회 개최 1년 뒤인 1916년, 영제교가 있던 자리에 조선총독부 청사가 지어지면서 1990년대 말까지 80여 년이 넘는 시간동안 제 자리를 잃었다. 처음엔 조선총독부 박물관 근처에 영제교 부재를 모아 두었다가 해방 이후인 1950년대에 임시로 수정전 앞에 설치했으며, 1970년대에 다시 경복궁의 동문인 건춘문 안쪽과 근정전 사이로 옮겨 놓았다. 이렇게 여러 번 옮겨다니면서 다리아치도 2개였던 게 1개로 바뀌는 등 많이 훼손되었다.
파일:옛 영제교 원본.png
파일:옛 영제교.png
<colbgcolor=#bf1400> 복원 전 영제교 <colbgcolor=#bf1400> 근정전 동행각 앞에 있었던 영제교. 오른편 공사 중인 건물은 자선당.[3]
1990년대 경복궁 복원사업의 일환으로 조선총독부 청사가 철거되었고, 흥례문 일곽을 중건할 때 드디어 원래 자리로 돌아가 복원되어 오늘에 이른다.

2022년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에 보존 중인, 동구릉 외금천교 부재로 알려졌던 홍예석이 영제교 부재로 추정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해당 석재는 광화문 월대 석재들과 같은 장소에 보존되어 있다. #

3. 금천

영제교 밑을 흐르던 경복궁금천북악산에서 발원하여 삼청동천(중학천)으로 흘러들던 '대은암천(大隱岩川)'이다.

현재의 청와대 경내에서 발원하는 두 물줄기 가운데 하나는 경복궁 밖을 빙 돌며 흐르다가 안으로 들어가고, 다른 하나는 경복궁의 북쪽 정방향 끝에 있는 수문을 통해 궁으로 들어와 향원지와 경회루 연못을 채웠다.

두 물줄기는 경회루 남서쪽에서 합쳐져 남쪽으로 쭉 흐르다가 영추문 언저리에서 동쪽으로 꺾이며 영제교를 거쳐 경복궁의 동남쪽 담 아래로 빠져나가 삼청동천(중학천)을 거쳐 청계천으로 흘러들었다.[4] 그러나 일제강점기에 금천과 경복궁의 물줄기는 대부분 메워졌고[5], 영제교 복원 시 다시 팠지만 딱 흥례문, 근정문 사이 영역만 복원하여 현재에 이른다.[6] 물도 흐르지 않으며 만약 영제교 금천에 물이 차있는 걸 봤다면 이는 온 뒤 고인 물이거나 아니면 관리소 측에서 채워놓았을 가능성이 크다.[7]

경복궁 영역 밖의 대은암천 구역도 상류의 계곡 부분을 빼고 지금은 전부 복개되었다.

4. 구조

4.1. 영제교 금천의 서수

파일:영제교 천록.png
<colbgcolor=#bf1400> 영제교 천록. 영제교의 동북쪽에 있다.
금천 축대 4방에 4마리의 서수 상이 있다. 온 몸이 비늘로 덮여있고 정수리이 달려있으며 겨드랑이와 뒷 다리 부근에 갈기가 선명하게 나있는 모습이다. 이 녀석의 정체는 과연 무엇일까?

우선 임진왜란일본군 종군 승려경복궁을 직접 보았던 제타쿠(釋是琢)가 쓴 《조선일기》의 한 대목이다.
...(중략)... 정면에 다리가 있는데 돌을 깎아 연화 난간 기둥을 만들고, 다리의 좌우에 돌사자 네 마리를 두어 다리를 호위하게 했다. 다리 가운데에 깎은 돌로 여덣 자의 어도를 마련하고 석사자를 네 귀퉁이 모서리에 총 16마리씩 놓았다. ...(중략)...
《조선일기(朝鮮日記)》
제타쿠는 사자라고 했는데 여기서 말하는 사자는, 우리가 생각하는 Lion이 아니라 산예(狻猊)라는 상상의 동물을 말한다. 그러나 산예는 아닐 가능성이 높은 게, 을 좋아하는 특성이 있어 화재를 제일 두려워하는 에서 굳이 조각해서 둘 일이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도대체 뭘까? 조선 후기 유득공의 아들 수헌거사는 《경복궁유관기》란 책에서 천록으로 소개했다.
...(중략)... 다음 날 경복궁 남문(광화문) 안으로 들어갔다. 남문 안쪽에 다리가 있는데, 다리 동쪽에 천록 두 마리가 있고 서쪽에 한 마리가 있다. 비늘과 갈기가 꿈틀거리는 것처럼 완연하게 조각이 잘 되어 있었다. 남별궁 뒤뜰에 에 구멍 파인 천록이 있는데 똑같이 닮았다. 예전에 그런 적이 없는 걸로 볼 때 다리 서쪽에서 옮겨 온 것이 틀림없다. ...(중략)...
《경복궁유관기(景福宮遊觀記)》
천록은 《후한서》 - 영제기에 나온 상상의 동물인데, 요사스럽고 나쁜 것을 물리치는 벽사(辟邪)의 능력을 가졌다고 한다. 즉, 외부의 잡귀를 막는 상징적 경계인 금천에 사악하고 나쁜 것을 물리치는 동물인 천록을 둠으로써 궁궐의 신성함을 더욱 돋보이려 했던 것이다. 그래서 그런 지 4마리의 천록 모두 금천 바닥을 마치 감시하듯이 뚫어지게 쳐다보고 있는 모습이다.
파일:영제교 천록 메롱.png
<colbgcolor=#bf1400> 영제교 서북쪽에 있는 천록
이 중 서북쪽에 있는 천록이 제일 유명하다. 왜냐하면 유일하게 메롱하고 있기 때문.(...) 이 사실은 극소수의 마니아들만 알다가 2006년 KBS스펀지〉에서 소개하여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졌다. 제작진은 《우리 궁궐 이야기》의 저자로 유명한 홍순민 명지대학교 교수를 찾아가 왜 그런지 물었는데, 홍순민 교수도 확답을 못하고, 그저 "조상님들의 해학이 담겨있는 게 아닐까.” 정도로만 얘기했다.

그래도 현재는 사람들을 절로 미소짓게하는 익살스러운 모습으로 많은 관심과 사랑을 받고 있다. 메롱해치라는 이름으로 캐릭터화까지 되었다.#

[1] 궁궐의 앞쪽에 을 흐르게 하여 풍수에서 가장 좋다는 배산임수를 구현했다.[2] 물론 실제 궁궐과 외부의 경계는 이지만, 잡귀를 쫓아내고 또 외부인이 에 들어갈 때 마음을 경건하게 한다는 의미로 금천을 상징적인 경계로 두었다.[3] 사진 출처 - MBC Archive.[4] 그리고 경복궁 내의 많은 물줄기들과, 경회루 연못의 물도 금천을 통해 경복궁을 빠져나갔다.[5] 집옥재건청궁 사이부터 경회루 서남쪽까지 있는 물줄기는 메워지지 않고 지금도 흐른다. 현재 이 물이 빠져나가는 부분은 복개가 되어있다.[6] 그 이유는 국립고궁박물관의 지하 발전실과 지하 수장고 때문이다. 그래서 현 시점에선 금천 완전 복원은 무리이다.[7] 당연히 경회루 연못물도 다른 곳으로 빠지고 있다.[8] 앙련은 꽃부리가 위로 향한 연꽃 모양의 무늬를 말하며 복련은 그 반대다.[9] 전통 건축에선 홍예라고 표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