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3 09:43:56

국립타이완대학

국립 타이완 대학교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8px"<tablebgcolor=#66232E><tablebordercolor=#66232E>
파일:국립타이완대학정장.svg
}}}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대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096><colcolor=#fff>국립대학지룽시(基隆市): 국립대만해양대학
타우위엔시(桃園市): 국립중앙대학
타이베이시(台北市): 국립타이완대학 · 국립정치대학 · 타이베이시립대학
신베이시(新北市): 국립타이베이대학
신주시(新竹市): 국립양명교통대학 · 국립칭화대학
먀오리현(苗栗縣): 국립연합대학
이란현(宜蘭縣): 국립이란대학
타이중시(台中市): 국립중흥대학
난터우현(南投縣): 국립지난국제대학
화련현(花蓮縣): 국립동화대학
가의시(嘉義市): 국립자이대학
가의현(嘉義縣): 국립중정대학
타이난시(台南市): 국립성공대학 · 국립타이난대학
가오슝시(高雄市): 국립가오슝대학 · 국립중산대학
타이둥현(臺東縣): 국립타이둥대학
핑둥현(屏東縣): 국립핑둥대학
진먼현(金門縣): 국립진먼대학
사학 담강대학 · 원지대학 · 중국문화대학 · 푸런대학 · 중원대학 · 중국의학대학 · 창겅대학 · 의수대학 · 동오대학 · 동남과기대학 · 둥하이대학 · 펑쟈대학 · 징이대학 · 중화대학 · 다예대학 · 화판대학 · 이쇼우대학 · 쓰신대학 · 밍촨대학 · 시젠대학 · 가오슝의과대학 · 난화대학 · 젠리대학 · 다퉁대학 · 쯔지대학 · 타이페이의과대학 · 중산의과대학 · 창룽대학 · 중국의과대학 · 쏸장대학 · 야저우대학 · 카이난대학 · 부광대학 · 캉닝대학
국립교육대학 국립타이완사범대학 · 국립가오슝사범대학 · 국립장화사범대학 · 국립타이베이교육대학 · 국립타이중교육대학 · 국립신주교육대학
국립예술대학 국립타이완예술대학 · 국립타이베이예술대학 · 국립타이난예술대학
국립체육대학 국립체육대학 · 국립타이완체육운동대학
국립원격대학 국립공중대학 · 가오슝공중대학
군경원교 대만 군관학교
아시아 소재 대학교 일람 · 대만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8px;"<tablebordercolor=#ffffff><tablebgcolor=#ffffff> 파일:APRU_Logo_RGB_3_emblem.png Association of Pacific Rim Universities
환태평양 대학 협회 소속 대학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3333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wiki style="margin: -16px -11px"<tablewidth=100%>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 }}}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파일:POSTECH_emblem.svg 포항공과대학교 파일:KAIST_emblem.svg 한국과학기술원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캠퍼스 아이콘.png UCLA 파일:UC 샌디에이고 아이콘.png UC 샌디에이고 파일: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바바라 캠퍼스 아이콘.png UC 산타바바라 }}}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크루즈 캠퍼스 아이콘.png UC 산타크루즈 파일:UC 리버사이드 아이콘.png UC 리버사이드 파일:UC Davis 아이콘.png UC 데이비스 }}}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오리건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오리건 대학교 파일:워싱턴 대학교 아이콘.png 워싱턴 대학교 파일:USC 아이콘.png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University_of_Hawaii_seal.svg 하와이 대학교 파일:캘리포니아 대학교 어바인 캠퍼스 아이콘.png UC 어바인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규슈대학 엠블럼.svg 규슈대학 파일:게이오기주쿠대학 심볼.svg 게이오기주쿠대학 파일:와세다대학 문장.svg 와세다대학 }}}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오사카대학 엠블럼.svg 오사카대학 파일:도호쿠대학 엠블럼.svg 도호쿠대학 파일:나고야대학 엠블럼.svg 나고야대학 }}}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1200px-Fudan_University_Logo.svg.png 푸단대학 파일:nanjing-university.png 난징대학 파일:베이징대학 엠블럼.svg 베이징대학 }}}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칭화대학 로고.svg 칭화대학 파일:1200px-USTC_logo_2008.svg.png 중국과학기술대학 파일:1200px-Zhejiang_University_Logo.svg.png 저장대학 }}}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중국과학원 로고2.jpg 중국과학원 파일:상하이교통대학 엠블럼.svg 상하이교통대학 파일:Xi'anJiaotongDaXueXiaoHui.png 시안교통대학 }}}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Sun_Yat-sen_University_Logo.png 중산대학 파일:퉁지대.png 퉁지대학 파일:홍콩중문대학 로고.svg 홍콩중문대학 }}}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홍콩대학 문장.svg 홍콩대학 파일:HKUST 원형 아이콘.png 홍콩과기대학 }}}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국립타이완대학정장.svg 국립타이완대학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시드니 대학교 아이콘.png 시드니 대학교 파일:멜버른 대학교 아이콘.png 멜버른 대학교 파일:퀸즐랜드 대학교 아이콘.png 퀸즐랜드 대학교 }}}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호주국립대학교 아이콘.png 호주국립대학교 파일:모내시 대학교 아이콘.png 모내시 대학교 파일:UNSW 원형 아이콘.png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 }}}
파일:애들레이드 대학교 아이콘.png 애들레이드 대학교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몬테레이 공과대학교 아이콘.png 몬테레이 공과대학교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NUS 아이콘.png 싱가포르 국립대학 파일:NTS 아이콘.png 난양이공대학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오클랜드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오클랜드 대학교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Wiki-background.jpg 극동연방대학교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말라야 대학교 문장.svg.png 말라야 대학교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471px-UI_Logo.svg.png 인도네시아 대학교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파일:1200px-Coat_of_arms_of_the_University_of_Chile.svg.png 칠레 대학교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 아이콘.png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imon_Fraser_University_coat_of_arms.png 사이먼 프레이저 대학교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Phra_Kiao.svg 쭐랄롱꼰 대학교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필리핀 대학교 문장.svg.png 필리핀 대학교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파일:1024px-Escudo_usfq-01.png 샌프란시스코 대학교 키토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파일:800px-University_of_Los_Andes_logo.svg.png 안데스 대학교
틀 바로가기
}}}}}}}}} ||

{{{#!wiki style="margin: -8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파일:AEARU 로고.svg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7c0c00,#19191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 ·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 파일:KAIST_emblem.svg 한국과학기술원 · 파일:POSTECH_emblem.svg 포항공과대학교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칭화대학 로고.svg 칭화대학 · 파일:베이징대학 엠블럼.svg 베이징대학 · 파일:nanjing-university.png 난징대학 · 파일:1200px-Fudan_University_Logo.svg.png 푸단대학 · 파일:1200px-USTC_logo_2008.svg.png 중국과학기술대학 · 파일:홍콩과기대학 심볼.svg 홍콩과기대학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교토대학 엠블럼.svg 교토대학 · 파일:도쿄대학 심볼마크.svg 도쿄대학 · 파일:Tokyo_Institute_of_Technology.svg.png 도쿄공업대학 · 파일:오사카대학 엠블럼.svg 오사카대학 · 파일:쓰쿠바대학 엠블럼.svg.png 쓰쿠바대학 · 파일:도호쿠대학 엠블럼.svg 도호쿠대학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국립타이완대학정장.svg 국립타이완대학 · 파일:대만국립칭화대학 엠블럼.svg 국립칭화대학
}}}}}}}}} ||

{{{#!wiki style="margin: -8px"<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파일:humap.jp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1
<colcolor=#fff><colbgcolor=#0B6138>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colcolor=#000,#fff> 경남대학교 · 경희대학교 · 고려대학교 · 광주교육대학교 · 광주대학교 · 국민대학교 · 군산대학교 · 대구교육대학교 · 동서대학교 · 동아대학교 · 동의대학교 · 목포대학교 · 목포해양대학교 · 부경대학교 · 부산대학교 · 부산외국어대학교 · 상명대학교 · 서울교육대학교 · 서울여자대학교 · 성결대학교 · 성균관대학교 · 성신여자대학교 · 숙명여자대학교 · 아주대학교 · 연세대학교 · 이화여자대학교 · 인천대학교 · 제주대학교 · 포항공과대학교 · 한국항공대학교 · 한국해양대학교 · 한남대학교 · 한양대학교 · 호서대학교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국립가오슝제일과기대학 · 국립대만대학 · 국립대만예술대학 · 국립대만해양대학 · 국립연합대학 · 국립윈린과기대학 · 국립자이대학 · 국립중앙대학 · 국립타이중교육대학 · 난타이과기대학 · 둥하이대학 · 슈더과기대학 · 징이대학 · 창룽대학 · 카이난대학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몽골과학기술대학교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국제경영농업기술대학교 · 다카 대학교 · 다포딜 국제대학교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베트남상매대학 · 호찌민 교육대학 · 호찌민 사범대학 · 호찌민 인문사회과학대학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공업경영대학교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11월 10일 공과대학교 · 가자마다 대학교 · 다르마프르사다 대학교 · 반둥 공과대학교 · 붕 하타 대학교 · 사탸와차나 기독대학교 · 시아쿠알라 대학교 · 아이를랑가 대학교 · 우다야나 대학교 · 인도네시아 대학교 · 하사누딘 대학교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간사이국제대학 · 고베가쿠인대학 · 고베국제대학 · 고베대학 · 고베쇼인여자학원대학 · 고베시간호대학 · 고베시외국어대학 · 고베신와대학 · 고베약과대학 · 고베여자대학 · 고베여학원대학 · 고베예술공과대학 · 무코가와여자대학 · 소노다학원여자대학 · 아시야대학 · 오테마에대학 · 유통과학대학 · 간세이가쿠인대학 · 코난대학 · 코난여자대학 · 코시엔대학 · 효고교육대학 · 효고대학 · 효고현립대학 · 히메지대학 · 히메지독쿄대학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광둥공업대학 · 광둥외어외역대학 · 난징대학 · 난카이대학 · 내몽골대학 · 닝보대학 · 다롄이공대학 · 다롄해사대학 · 둥베이사범대학 · 베이징공업대학 · 베이징대학 · 베이징사범대학 · 베이징외국어대학 · 베이징체신대학 · 상하이해양대학 · 쑤저우과기대학 · 쑤저우대학 · 쑤저우시립대학 · 연변대학 · 자오칭대학 · 저장대학 · 중국의과대학 · 중국인민대학 · 중산대학 · 지린대학 · 톈진공업대학 · 톈진외국어대학 · 푸단대학 · 하이난대학 · 하이난사범대학 · 홍콩중문대학 · 화난사범대학 · 화둥사범대학 · 후난과기학원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라차팟 수안두싯 대학교 · 수라나리 공과대학교 · 쭐랄롱꼰 대학교 · 치앙마이 대학교 · 타이니치 공과대학교 · 탐마삿 대학교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AMA 대학교 · 마닐라 아테네오 대학교 · 미리엄 칼리지 · 아시아 트리니티 대학교 · 어셤션 대학교 · 엔데룬 칼리지 · 필리핀 대학교
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곤자가 대학교 · 세인트 마틴 칼리지 · 애리조나 대학교 · 에버그린 주립 칼리지 · 오거스타나 대학교 · 와이오밍 대학교 · 워싱턴 대학교 · 이스턴 워싱턴 대학교 · 일리노이 대학교/어배너-섐페인 캠퍼스 · 피츠버그 대학교 · 하와이 대학교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론드리나 주립대학교 · 파라나 연방기술교육센터 · 파라나 연방대학교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퀸스 대학교
파일:UN기.svg 유엔
(코스타리카)
평화대학교
오세아니아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와이카토 대학교 · 캔터베리 대학교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그리피스 대학교 ·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 · 머독 대학교 · 서호주 대학교 · 선샤인 코스트 대학교 · 에디스 코완 대학교 · 커틴 대학교 · 퀸즐랜드 공과대학교 · 퀸즐랜드 대학교 · 호주 노틀데임 대학교 · 호주해양대학 }}}}}}}}}}}}

<colcolor=#fff> 國立臺灣大學
National Taiwan University
국립타이완대학
파일:국립타이완대학정장.svg
대학 정보
<colbgcolor=#66232E> 교훈 <colbgcolor=#66232E><colcolor=#fff> 중국어 敦品勵學、愛國愛人
(ㄉㄨㄣㄆㄧㄣˇㄌㄧˋㄒㄩㄝˊ、ㄞˋㄍㄨㄛˊㄞˋㄖㄣˊ)
한국어 품성과 학문의 함양에 힘쓰고,
나라와 사람을 사랑하라
국가
[[대만|]][[틀:국기|]][[틀:국기|]]
분류 국립대학
개교 1928년 3월 17일 ([age(1928-03-17)]주년)
총장 진문장 (陳文章)
주소 타이베이시 다안구 쉐푸리
재학생 학사 16,773명 (2021년)
석사 12,533명 (2021년)
박사 3,668명 (2021년)
교직원 교원 2,029명 (2021년)
직원 6,765명 (2021년)
교색
NTU Maroon (#66232E)

NTU Gold (#B29A1C)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LinkedIn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위치
1. 개요2. 평가3. 역사4. 조직5. 캠퍼스 및 부속시설6. 국제 교류7. 출신 인물
7.1. 정치인7.2. 학계7.3. 법조계7.4. 재계7.5. 예술계7.6. 기타7.7. 한국인 동문
8. 찾아가는 길9. 기타

[clearfix]

1. 개요

Integrity, Diligence, Fidelity, Compassion.
敦品勵學,愛國愛人
국립대만대학(국립타이완대학)은 대만 타이베이시 다안구 쉐푸리(學府里)에 있는 대만의 대표적 대학이다. 전신은 일본 제국에 의해 1928년에 설립된 다이호쿠제국대학으로, 1945년에 행정원에 의해 국립타이완대학으로 개편되었다. 약칭은 타이다(臺大)이다.[1]

2. 평가

파일:국립타이완대학 2021년 QS랭킹.jpg
▲ 국립타이완대학 2021년 QS 세계 대학 랭킹 66위
역사적으로 제국대학을 전신으로, 모든 학술 분야에서 대만 1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대만 대학으로서 대만 학벌의 정점에 위치하고 있다. 1986년에 대만 본성인으로 첫 노벨상을 수상한 리위안저 역시 국립대만대학 출신이다. 출신 인물들 가운데 장징궈 이후 민주선거를 통해 선출된 총통 5명, 부총통 5명, 수도 타이베이시장 2명 등이 있다.

1990년대 이전에는 물론이고, 중국 대학들 세계 순위가 본격적으로 인플레 되기 시작하기 전인 2000년대 중반까지 중국, 홍콩중화권 전체에서 최고 명문교로 꼽혔다. 중국의 상하이교통대학이 발표한 ARWU 세계500대 대학 순위로는 제1회(2003년) 중화권 1위를 기록했다.[2] 중화권 최고 명문 '국립대만大' 기사 참고.

국제적인 기관의 평가로는 2021년 QS 세계 대학 랭킹에서 66위를 기록했다.[3] 2021년 THE 세계 대학 랭킹에서 97위, 2021년 ARWU(세계 대학 학술 평가) 에서는 201-300위를 기록했다.

이공학, 의학 분야에서는 중국 본토에서도 명성이 드높다. 중국은 의학 교육이 아직 체계적이지 않은 것에 반해 타이완의 경우 과거 서양 의학을 빠르게 받아들여 체계화를 단행하였었다. 또 의사에 대한 대우 및 교육도 한국과 비슷한 노선을 걸음으로 인해 전반적 수준이 높은 편이다. 공학의 경우 세계 유수의 반도체 회사들이 타이완에 있는 만큼 정밀 공학, 그중에서도 반도체 공학에서 특출나다. 학내에 TSMC와의 합작으로 만들어진 NTU-TSMC 연구소도 존재한다.

3. 역사

3.1. 대만일치시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북제국대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taihokuimperialuniversityfrontgate.jpg
파일:thiumaingate.jpg
▲ 대북제국대학 정문(출처)

3.2. 중화민국 시대

1945년 8월 15일 일본 제국이 무조건 항복하면서 태평양 전쟁에서 패전했다. 카이로 선언포츠담 선언에 의해 타이완섬중화민국에 귀속되는 것으로 결정된 바, 10월 25일부로 중화민국군에 접수된다. 다이호쿠제국대학은 1945년 11월에 국민정부 교육부에 접수되어 '국립타이베이대학'이 되고, 공식적으로는 동년 12월 15일에 행정원 결의로 교육부 결의에 따라 '국립타이완대학'으로 개칭되며 중국식 학제에 따라 예과를 통합하며 '학부' 명칭이 '학원'으로 바뀌고 문정학부가 문학원과 법학원으로 분리되어 6개 학원(學院) 22개 학계(學系) 체제로 개편되었다. 다이호쿠제국대학이 국립대만대학으로 개편되는 과정과 관련해서는 링크 참조.

1947년에는 대만총독부 다이호쿠경제전문학교[7]를 1947년 법학원 상학계[8]로 흡수통합하였다. 대만일치시기 대만구제전문학교 중 의학전문학교는 1936년에 이미 제국대학에 부속 의학전문부로 흡수된 상태였으며 공업전문학교타이난에 있었고 농림전문학교[9]타이중시에 위치해있어서 개별 대학으로 승격됐다. 대만 유일의 구제고등학교였던 다이호쿠고등학교는 다이호쿠제국대학과 가까이 있었지만, 시급했던 중등교원 양성에 집중하기 위해 국립대만사범대학으로 별도 승격되었다.

1928년 개교 후 현재까지 자타공인 명실상부 대만의 최고학부로 지위를 확고히 하고 있다. 대만에서는 물론이고, 1949년 국부천대중화민국 국민정부가 대만으로 천도한 이후 지금까지 대만을 넘어 중화권[10] 전체에서 수위로 꼽히며 해당 권역으로 진학을 희망하는 전세계 화교들이 지망하는 학교다. 2003년부터 상하이교통대학에서 발표하기 시작한 세계대학순위 ARWU에서 2003-2004년 연속으로 중화권 최고 명문 '국립대만大'가 꼽혔다.[11] ARWU 대학순위 참조. 2005-2007년에는 칭화대와 공동 1위, 그리고 2008-2013년에 다시 대만대가 단독 1위를 기록했다.

본래 대륙 시절 중화민국의 명목상 최고학부는[12] 난징에 있었던 국립중앙대학(國立中央大學)이었고,[13] 대만대학은 일본제국 대만의 최고학부인 다이호쿠제국대학이었으므로 2차대전 종전 후 중화민국이 일본 제국 대만총독부를 접수한 후 한국으로 치면 거점국립대학교 중의 하나가 될 수도 있지 않았겠냐는 상상도 있지만,[14] 국공내전에서 패배하고 대만으로 도주하면서 대만이 중화민국의 사실상 전부가 되었고, 국립대만대학은 경쟁자도 없이 독보적인 대만의 최고학부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15]

파일:1608628352.jpg
(과거)
국부천대 이후 대만에서 대만대학 다음 순위인 2위 대학으로는 국립칭화대학, 문과로 한정하면 국립정치대학을 떠올리는 경우가 많았다. 중국국민당 일당 독재의 대만은 당이 모든 것을 조종하는 당-국가체제로 국민당의 당교(黨校)인[16] 국립정치대학에 엄청난 지원을 해주었다. 그렇게 외성인 엘리트들은 정치대로 진학하고 대만 정부는 정치대 졸업생들을 우대 특채하는 공생관계로 문과에서 인기가 좋았었는데,[17] 대조적으로 대만 본성인대만 정체성 느낌이 강한 대만대[18]에는 미치지 못했으며,[19] 계엄 해제 후 정권 교체가 이뤄지고 중국국민당이 쇠락해가면서 이제는 국립정치대학 문과가 타이난고등공업학교의 후신인 국립성공대학 문과에게도 위협 당하는 상황이다. 국립성공대학 문과는 대만대학보다도 더욱 대만 고유성이 강조되는 분위기로, 대만문학계(대만문학과)와 그 연구소는 대만 최고 학교로 꼽히고 있다.

이과에서는 신주재대복교국립칭화대학이 마찬가지로 중국국민당 일당독재 시절 장제스-장징궈 부자의 집중적인 지원에 힘입어 2위 학교로 꼽혔으나, 해엄 이후에는 명실상부한 대만 2위의 의대까지 갖추고 공대가 근본인 국립성공대학에 밀리고 있는 상황이다. 성공대학은 대만 내의 평가로는 이미 청화대학을 제치고 2위 자리를 굳히고 있는 것 같은 양상이다. 심지어 기업들을 대상으로 채용대상자로 어느 대학 출신을 선호하냐는 설문조사에서는 대만대학을 추월하여 선두를 하기도 했다. 일단 대만의 4대 명문대학 자리를 굳히고 있는 중. 臺清交成(위키백과) 참조.

파일:1561983514m.jpg
遠見 발표 2019 대만대학 순위

대만대학은 언제나 그래왔듯 부동의 1위를 고수하고 있고, 교통대학이 4위를 유지하고 있다면 국립성공대학국립칭화대학이 매년 2~3위를 자리바꿈하고 있는데,[20] 시간이 가면 갈수록 국립성공대학이 점점 더 우세해지는 분위기다.

4. 조직

한국 대학의 단과대학에 해당하는 곳을 학원(學院)이라고 부른다.[21]

현재 11개 학원으로 구성되어있다. 학원과 학계•연구소[22] 순서는 홈페이지의 서열을 따랐다. 학과명은 최대한 직역이 아니라 중국어를 한국 한자음으로 읽은 것일 뿐하였는데 명칭 중간의 기, 여, 급 등은 전부 '~ 및 ~'로 번역할 수 있다. 또한 중심이란 센터(Center) 뜻 그대로 번역한 것이다. 그리고 아주는 아시아를 의미하고, 구주란 유럽을 의미한다.
[ 펼쳐 보기 / 접기 ] 전체 조직 리스트
* 문학원(문과대학)
  • 중국문학계
  • 외국어문학계
  • 역사학계
  • 철학계
  • 인류학계
  • 도서자신학계[23]
  • 일본어문학계
  • 희극학계
  • 예술사연구소
  • 어언학연구소[24]
  • 음악학연구소
  • 대만문학연구소
  • 국제화어연구소
  • 화어교학석사학위학정[25]
  • 번역석사학위학정[26]
  • 외어교학 및 자원센터[27]
  • 화어센터
  • 이학원(이과대학)
    • 수학계
    • 물리학계
    • 화학계
    • 지질과학계
    • 심리학계
    • 지리환경자원학계
    • 대기과학계
    • 해양연구소
    • 천문물리연구소
    • 응용물리연구소
    • 응용수학과학연구소
    • 기후변천 및 영속발전국제학위학정[28]
    • 지구계통과학국제생박사학위학정
    • 귀중 및 기센터[29]
    • 전구변천연구센터
    • 공간자신연구센터
  • 사회과학원(사회과학대학)
    • 정치학계
    • 경제학계
    • 사회학계
    • 사회공작학계[30]
    • 국가발전연구소
    • 신문연구소
    • 공공사무연구소
    • 중국대륙연구학정
    • 동아연구학정
    • 중국대륙연구센터
    • 공공경제연구센터
    • 풍험사회여정책연구센터
    • 아주사회비교연구센터
    • 호불동아민주연구센터
    • 행위 및 자료과학연구센터
  • 의학원(의과대학)
    • 아의전업학원[31]
    • 약학전업학원[32]
    • 의학계
    • 아의학계[33]
    • 약학계
    • 호리학계[34]
    • 학사후호리학계[35]
    • 의학검험기생물기술학계[36]
    • 물리치료학계
    • 직능치료학계
    • 해부학기세포생물학연구소
    • 생물화학기분자생물학연구소
    • 생물학연구소
    • 미생물학연구소
    • 약리학연구소
    • 병리학연구소
    • 법의학연구소
    • 임상의학연구소
    • 임상아의학연구소[37]
    • 독리학연구소[38]
    • 분자의학연구소
    • 면역학연구소
    • 구강생물과학연구소
    • 임상약학연구소
    • 의학공정학연구소
    • 중류의학연구소
    • 기인체 및 단백체의학연구소
    • 뇌 및 심지과학연구소[39]
    • 의학교육 및 생의윤리연구소
    • 의료 및 재여의학영상연구소
    • 전역의학박사학위학정
    • 국제삼교농업생기 및 건강의료석사학위학정
    • 병증연구센터
    • 약물연구센터
    • 실험동물센터
  • 공학원(공과대학)
    • 토목공정학계
    • 기계공정학계
    • 화학공정학계
    • 공정과학 및 해양공정학계[40]
    • 재료과학 및 공정학계[41]
    • 의료공정학계
    • 환경공정학연구소
    • 응용역학연구소
    • 건축 및 성향연구소[42]
    • 공업공정학연구소
    • 고분자과학공정학연구소
    • 녹색영속재료 및 정밀원건박사학위학정
    • 분자과학 및 기술국제연구생박사학위학정
  • 생물자원기농학원(농과대학)
    • 수의학전업학원[43]
    • 농예학계
    • 생물환경계통공정학계
    • 농업화학계
    • 식물병리 및 미생물학계[44]
    • 곤충학계
    • 삼림환경 및 자원학계[45]
    • 동물과학기술학계
    • 농업경제학계
    • 원예 및 경관학계[46]
    • 생물산업전보 및 발전학계[47]
    • 생물기전공정학계[48]
    • 식품과기연구소
    • 생물과기연구소
    • 식물의학석사학위학정
  • 관리학원(상과대학)
    • 공정관리학계[49]
    • 회계학계
    • 재무금융학계
    • 국제기업학계
    • 자신관리학계[50]
    • EMBA
    • GMBA
    • EiMBA
  • 공공위생학원(보건대학)
    • 공공위생학계
    • 건강정책 및 관리연구소
    • 유행병학 및 예방의학연구소
    • 직업의학 및 공정위생연구소
    • 환경위생연구소
    • 건강행위 및 사구과학연구소
    • 식품안전 및 건강연구소
    • 공위석사학위학정[51]
    • 전구위생석사학위학정
    • 전염병방치연구급교육센터
    • 대만병증등기센터
    • 건강촉진연구센터
    • 전구위생센터
    • 군체건강연구센터
  • 전기자신학원(컴퓨터대학)
    • 전기공정학계
    • 자신공정학계[52]
    • 광전공정학연구소[53]
    • 전신공정학연구소
    • 전자공정학연구소
    • 생의전자 및 자신학연구소
  • 법률학원(법과대학)
    • 법률계[54]
    • 공법학센터
    • 기초법학센터
    • 민사법학센터
    • 형사법학센터
    • 상사법학센터
    • 아시아WTO기국제위생법 및 정책센터
    • 법률 및 사회연구센터
    • 과기윤리 및 법률센터
    • 인권 및 법리학연구센터
    • 기업 및 금융법제연구센터
    • 환경영속정책 및 법률센터
    • 구주연맹법률센터[55]
    • 재세법학연구센터
    • 비교법연구센터
  • 생명과학원(생물대학)
    • 생명과학계
    • 생화과기계
    • 식물과학연구소
    • 분자생물 및 세포생물학연구소
    • 생태학 및 연화생물학연구소
    • 어업과학연구소
    • 생물과학연구소
    • 생화과학연구소
    • 기인체 및 계통생물학학위학정

5. 캠퍼스 및 부속시설

파일:국립타이완대학 전경.jpg
▲ 국립타이완대학 캠퍼스
위 사진에서 가운데 위치한 건물은 국립대만대학 총도서관(NTU Main Library)이다. 1930년 완공된 다이호쿠제국대학 도서관(舊總圖書館, 현재 校史館으로 사용 중) 건물이 노후화됨에 따라 1982년 신총도서관 건립계획에 착수하여 1989년 회계에 반영, 1998년 11월 14일 준공 개관한 건물로, 생각보다 오래되지 않았다.
파일:external/farm5.staticflickr.com/4700512106_26e0b0daec_z.jpg
▲ 부종(傅鐘)
국립대만대학에는 명소가 하나 있는데, 부종(傅鐘)이라 불리는 것이다. 이 종은 1950년 타계한 국립대만대학의 4대 총장 푸쓰녠(傅斯年)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종이다. 학교 로고에도 등장할 정도. 그런데 이 부종에는 괴담이 하나 전해지는데 만약 부종 곁을 지나다가 여자가 시간을 물어본다면 자정 이후에는 절대 대답해서는 안된다라는 것이다. 이 괴담에 의하면 1950년대에 국립대만대학을 다니던 대륙 출신 학생이 가난한 대만 토박이 여성과 사랑했는데 그 사랑이 이뤄지지 못해 여성은 부종에서 자살했고 이후 부종 곁을 떠돌면서 지나가는 행인에게 시간을 물어보고 다닌다는 것이다. 이런 이야기가 그렇듯이 사실인지의 여부는 알수 없으나 꽤 유명한 이야기인듯 하다. 토요미스테리극장에서도 소개된 바 있는 괴담.

비슷한 설로는 밤 12시 정각에 남자 혼자 부종 옆을 지나가지 말라는 괴담이 있다. 만약 어쩔 수 없이 지나가게 되었을 때 뒤에서 여자 목소리가 시간을 물어온다면 뒤돌아보지 말고 최대한 빨리 살아있는 다른 여성 근처로 도망가야 한다고 한다. 물론 자신에게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았다면... 과연 여자가 먼저 다가오게 생겼는지 생각해 보자.

◈ 부종(傅鐘)에 얽힌 한국 유학생들의 일화
1960년 전후에 대만에 유학한 원로 선배들의 일화 가운데는 부종(傅鐘)과 관련된 한국인 특유의 장난기가 물씬 풍기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당시 대만에 유학한 분들은 대부분 국비 장학생을 포함해서 현역 군인이 어학연수를 위해 국립대만대학, 국립대만사범대학, 국립정치대학 등에서 10명 내외의 학생이 수학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낯선 타국에서 서로를 격려하는 한편 향수심을 조금이나마 달래기 위해 이따금 국립대만대학 정문 근처 식당에서 모였다고 한다.

그련데 한 번은 저녁 식사 후 캠퍼스를 산책하다가 이 부종(傅鐘) 밑에 모여앉아 오손도손 정담을 나누기도 하고, 유행가도 목청 높여 부르면서 나름대로 향수심을 달래보는 시간을 보내게 되었다. 어느덧 시간이 흘러 캠퍼스 내는 인적이 드물고 적막한 가운데 시침은 자정을 향하고 있었기에 서둘러 각자 기숙사로 돌아가야만 하는 순간이었다. 바로 이때 한 유학생이 헤어지기 서운하니 재미 삼아 이 부종(傅鐘)이나 몇 번 치고 도망가자고 제의를 했다. 그러자 한 유학생이 도망갈 필요가 전혀 없다. 내가 책임지고 지혜롭게 해결할 것이니 조금 떨어진 거리에서 산책하면서 다정하게 얘기하는 척만 하라고 당부했다.

그리고 아닌 밤중에 낭랑한 종소리는 캠퍼스의 적막을 여지없이 깨고 말았다. 아니랄까 캠퍼스 내에 있는 파출소에서 불과 몇 분 만에 경찰이 자전거를 타고 현장에 도착하게 되었다. 경찰관은 바로 한국 유학생을 향하여 타종자 목격 여부를 의심스러운 말투로 묻자, 태연하게 말하기를 조금 전에 어떤 사람이 종을 치고는 실습농장이 있는 저쪽(어두운 방향)으로 급히 달려가는 것을 보았다고 거짓말로 응대했다. 그러자 경찰은 듣자마자 황급히 그쪽으로 페달을 밟으며 사라지게 되었다. 종소리에 이어서 이제는 유학생들의 박장대소가 캠퍼스 적막을 깨고 말았다고 한다.

6. 국제 교류

이 중 '학생교류협정'까지 맺고 교환학생을 상호파견하고 있는 곳은 다음과 같다. 대만대 국제사무처 출처
* 서울대학교(1999년부터)
* 포항공과대학교(2005년부터)
* 순천대학교(2005년부터)
* 이화여자대학교(2009년부터)
* 한양대학교(2009년부터)
* 성균관대학교(2010년부터)
* 부산대학교(2011년부터)
* 고려대학교(2013년부터)
* 연세대학교(2013년부터)
* KAIST(2015년부터)
* 경북대학교(2024년부터)

국내대학들 중에서는 특히 서울대학교와 관계가 긴밀하다. 최초로 일본도쿄대학과 1995년 학생교류협정 체결을 시작으로 국제화를 추진해나가던 서울대학교와 1998년 6월 24일 대학교 본부 차원에서 국제학술교류 및 교환학생 상호파견(학생교류)까지 포함한 최고 수준의 협정을 맺었다.자료 링크 이후 현재까지 사회과학대학, 공과대학 등 여러 단과대학과 사회학과 등 학과별 수준에서 수많은 학생들이 상호 교환파견되고 있다. 2019년에는 서울대의 박보경 경영대 박사가 국내대학 박사출신으로는 최초로 외국의 국가 최고학부인 국립대만대학 관리학원(경영대학) 조교수로 임용되기도 했다(기사)[56]. 1998년 국립대만대 한국총동창회 창립 기사를 보면 국내 사회 저명인사들이 포함되어있다.

7. 출신 인물

대만 최고의 대학으로서 대만 학벌의 정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만의 수많은 정치인, 기업인들이 이 학교 출신이다. 1986년에 대만노벨상을 수상한 리위안저 역시 국립대만대학 출신이다. 또한, 출신 인물들 가운데 장징궈 이후 민주선거를 통해 선출된 총통 5명(리덩후이, 천수이볜, 마잉주, 차이잉원, 라이칭더)[57], 부총통 5명(롄잔, 뤼슈롄, 우둔이, 천젠런, 라이칭더), 타이베이시장 2명(하오룽빈, 커원저), 신베이시장(주리룬)이 있다.

한국 최고 명문인 서울대학교 출신 대통령이 불과 2명(김영삼, 윤석열)뿐[58]임을 생각하면, 국립타이완대학은 그야말로 대만 정치 지도층의 산실인 셈. 물론 타 부문에서도 명성을 떨치고 있는 동문들이 매우 많다.

7.1. 정치인

7.2. 학계

7.3. 법조계

7.4. 재계

7.5. 예술계

7.6. 기타

7.7. 한국인 동문

8. 찾아가는 길

9. 기타


[1] 국문 한자 독음 대대[2] QS, THE와 달리 ARWU 순위에서는 2010년대 중반이 되어서야 밀리기 시작함[3] 세부적으로 보면 1위 대만대학(66위), 2위 청화대학(168위), 3위 성공대학(234위), 4위 교통대학(240위), 5위 대만과기대학(267위), 6위 양명대학(298위), 7위 사범대학(331위), 8위 타이베이의학대학(387위), 8위 중산대학(416위), 9위 중앙대학(465위), 10위 타이베이과기대학(488위), 11위 창겅대학(493위), 12위 정치대학(581~590위), 13위 중흥대학(601~650위), 14위 가오슝의학대학(701~750위), 15위 중정대학(801~1000위) 등이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4] 당초 일본제국은 대만에 설립할 제국대학에 의학부와 농학부만 설치할 것을 구상했으나, 이자와의 주장이 관철되어 문정학부를 포함하게 되었다고 한다. 출처[5] 문정학부, 이농학부 및 부속 농림전문부(현재의 국립중흥대학)으로 구성.[6] 기존 문정학부, 이학부, 농학부, 의학부, 공학부 조직을 법학원, 문학원, 이학원, 농학원, 의학원, 공학원 등 6개 학원 편제로 재편.[7] 1919년 대만총독부 고등상업학교(台灣總督部 高等商業學校)로 설립, 1926년 다이호쿠고등상업학교(臺北高等商業學校)를 거쳐 1944년 다이호쿠경제전문학교(臺北經濟專門學校)로 개편됨. 1945년 중화민국에 접수되어 1946년 대만성립법상학원(臺灣省立法商學院)으로 개칭된 상황[8] 1987년 관리학원(한국의 경영대학)이라는 개별 단과대학으로 독립[9] 원래 다이호쿠제국대학 캠퍼스 자리에 1919년 먼저 개교했던 다이호쿠고등농림학교(臺北高等農林學校)였으나, 제국대학 설립의 모체가 되어 흡수당했다가 1943년에 타이중시로 독립해나감[10] 중국, 홍콩, 대만, 싱가포르 등[11] 2004년 기준 서울대와 동일한 153-201위권으로 중국의 칭화대 베이징대, 홍콩의 홍콩대 홍콩중문대를 모두 꺾고 수위를 차지했다. 중국 대학들은 2005년에야 칭화대가 처음 대만대와 공동 1위(153-202위)를 차지했고 2006-2007년에도 동일, 2008-2013년에는 다시 대만대가 단독 1위, 2014년에 베이징대 칭화대 상하이자오퉁대와 싱가포르 난양공대와 공동 1위(101-150위)를 기록했다.[12] 그러나 인식 차원에서 칭화대학상하이교통대학보다 앞섰다고 할 수는 없다.[13] 국립중앙대학은 1962년 대만에서 재대복교하여 다시 문을 열었지만 중화민국 최고학부의 위상은 잃어버렸다. 아니, 최고 명문의 위상을 잃어버린 수준이 아니라 현재는 같이 재대복교한 국립칭화대학, 국립양명교통대학, 국립정치대학 3개교와 함께 대만대처럼 대만일치시기에 지어진 공업전문학교인 국립성공대학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떨어졌다(...). 대만에서 명문대라면 보통 대성청교(臺成清交) 4개교를 꼽고(한국의 SKY처럼), 여기에 하나를 더하자면 특히 과거에 政까지 더해 '대성청교정' 즉 대만대, 성공대, 청화대, 교통대, 정치대 이 5개의 대학교를 꼽는 경우가 많다. 국립중앙대학은 한때 진짜로 중국의 중앙을 자부했던 과거가 무상하게도 현재에는 이 리스트에도 들지 못한거다(...). 국립중앙대학은 위 5개교와 국립대만사범대학 다음 순서로 역시 대만일치시기에 지어진 농업전문학교인 국립중흥대학, 국립중산대학, 국립중정대학과 함께 4中대학의 하나로 꼽힌다. 그래도 중국 난징에 남은 후신 대학 중 1개인 난징대학구교연맹에 들 뿐만 아니라 그 안에서도 전통적으로 상위권을 자랑하는 아직도 나름 세계구 명문대인 것과 대조적이다.[14] 일제 때는 교명에 다이호쿠(타이베이)를 썼지만 중화민국 시대는 도시명인 타이베이를 교명으로 계속 쓰지 않고 섬 이름 또는 성 이름인 타이완으로 바꿨는데 아직 국부천대 전이었던 중화민국 정부는 이 학교를 타이완성을 대표하는 국립대로 만들려는 의도였을 수도 있다.[15] 이는 사실 일제가 만들어놓은 다이호쿠제국대학의 존재가 넘사벽이었기 때문이다. 장제스국공내전의 와중에 대만으로 천도하게 된 이유는 일본이 조성해놓은 공업 시설 등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으로 부각되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2차대전 종전 직후 국민당과 공산당이 만주쟁탈 레이스를 벌인 것도 일제가 개발해놓은 만주의 공업지대를 먼저 차지하기 위한 것이었다. 대만일치시기 대만의 발전 역시 만주 못지않게 엄청나서 1935년 대만총독부가 주최한 시정 40년 기념 대만박람회에 참석했던 중화민국 푸젠성 주석 진의는 대만의 발전상에 경악을 금치 못했을 정도였고, 귀국 후 자신이 통치하고 있던 복건성에 대만 발전모델을 이식하려 했을 정도였다.[16] 그래서 2020년 현재도 정치대 교가에는 '吾黨(우리당=중국국민당)'이 들어가고 교내에 장제스 동상이 있을 정도.[17] 양안관계 연구는 여전히 탑클래스이고, 외교부의 정치대 인맥은 여전히 막강한 수준. 국민당 정치인들도 많이 배출하였다. 외성인인 쑹추위는 정치대 출신, 훙슈주는 문화대 출신, 한궈위는 육군사관학교 출신으로 정치대에서 석사를 받았다. 국민당 정권의 양안관계 담당자로 92공식을 제창한 쑤치도 정치대 외교학과를 나왔고, 현 국민당 주석인 장치천 역시 정치대 외교학과 출신이다.[18] 역대 민주진보당 총통 후보인 펑밍민, 천수이볜, 셰창팅, 차이잉원이 모두 본성인 출신 엘리트로 대만대 법대를 나왔다. 국민당에서도 대만 본성인인 리덩후이, 롄잔 등이 대만대 동문[19] 마잉주처럼 외성인도 대만대를 갈 수 있을 정도로 공부를 잘 하면 대만대로 진학했다.[20] 위 遠見의 台灣最佳大學 排名에서 2016 2017 2019년에 국립성공대학이 2위, 2018 2020년에 국립칭화대학이 2위를 기록[21] 대만일치시기에는 당시 한국과 같이 학부(단과대학)-학과로 이어지는 일본 舊制학제를 따르고 있었으나, 1945년 중화민국대만섬을 점령하고 대학을 접수한 12월 이를 학원(단과대학)-학계(학과)의 중국식 학제로 명칭을 바꾸었다.[22] 학사 과정은 계(系), 대학원 과정은 연구소(研究所)이며 일반적으로 학사과정이 설치된 곳은 연구소가 부설되어 있기 때문에 ~계로만 표기하였다.[23] 문헌정보학과[24] 언어학[25] 화어(華語) 교사 양성 석사학위 과정[26] 번역사 양성 석사학위 과정[27] 외국어교육센터[28] 기후변화•지속가능발전 국제학위 석사•박사과정[29] 기계로봇연구센터[30] 사회복지학과[31] 치의학전문대학원[32] 약학전문대학원[33] 치의학과[34] 간호학과[35] 학사학위 소지자 대상 간호학 과정[36] 의학검사•생물기술학과[37] 임상치의학[38] 독극물 연구[39] 뇌•인지과학연구소[40] 산업공학 및 해양공학과[41] 재료과학•재료공학과[42] 건축•도시연구소[43] 수의학전문대학원[44] 식물병리•미생물학과[45] 삼림환경•자원학과[46] 원예•조경학과[47] 바이오산업학과[48] 농기계전기공학과[49] 및 상학연구소[50] 정보관리학과[51] 공공위생학 석사학위 과정[52] 컴퓨터공학과[53] 광(光, photo)공학[54] 법학조, 사법조, 재경법학조로 구성[55] 유럽연합법률센터[56] 재무학 분야에서 국내 대학 박사학위 소지자가 해외 대학으로 교수가 된 사례가 있기는 하나, 한 국가를 대표하는 대학으로 교수임용이 된 사례는 박 박사가 처음이다. 또한, 주목할만한 점은 박 박사의 서울대 박사졸업 논문과 교수 추천서만으로 임용이 되었다는 것이다. 대만대에서 박 박사 졸업논문의 잠재성을 인정하고 저명한 교수진들의 추천서를 높이 평가한 것으로 해석된다.[57] 장제스는 육군 군관 출신이고 장징궈는 소련에서 유학했다.[58] 이승만조지 워싱턴 대학교, 윤보선에든버러 대학교,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육군사관학교, 최규하쓰쿠바대학, 김대중, 노무현고졸, 이명박고려대학교, 박근혜서강대학교, 문재인경희대학교를 나왔다. 즉, 한국 정치계에서는 학력보다는 사회인으로서의 경력을 더 중요시하는 편이다.[59] 허나 미국으로 귀화해, 수상 당시는 미국 국적였다. 수상 후에는 대만 국적을 회복하였다. 다만 타이완섬 출생자 및 본성인 중 최초며, 그보다 먼저 상을 받은 중화민국 국적자(양전닝, 리정다오)와 대만의 외성인(딩자오중)도 있다. 셋 다 물리학상이며, 화학상은 한족 중 리위안저가 최초이다. 그래도 양전닝과 리정다오는 대륙 출신이라 타이완섬과는 별 접점이 없고 딩자오중은 초중고만 대만에서 다니고(다만 아버지가 대만으로 넘어온 후 대만대 교수를 했기 때문에 대만대와 접점이 없지는 않다. 당시 대만대의 교직원 숙소는 현재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데, 그들 부자의 이름을 따서 딩관하이, 딩자오중 거소라고 부른다.) 성공대 중퇴 후 미국 가서(부모가 미국 체류 중일 때에 태어났기 때문에 미국 국적이 있다.) 눌러 앉았기에 아무래도 대만에서는 '언급만 하는' 수준이다.[60] 1987.04 ~ 1994.08[61] 1994.08 ~ 1999.01[62] 1999.02 ~ 2007.10[63] 2007.10 ~ 2010.07[64] 2010.10 ~ 2016.10[65] 2016.11 ~[66] 형 차이정다는 9위[67] 다이호쿠제국대학 의학부의 유일한 조선인 졸업생이라고 한다.[68] 리승기의 심복 중 심복이었다고 한다(참조).[69] 다만 김준엽이 대만대학에 유학했던 시절에는 문학연구소 사학부(文學研究所 史學部)였고, 지금의 역사연구소로 개칭이 된건 1957년이다. 별개로 고려대학교박물관에 전시된 김준엽의 대만대학 수강신청표에는 소속이 문학원 역사연구소로도 기재가 되어있긴 하다.[70] 회고록 <장정>에서는 국립타이완대학에 간 것은 연구교수 자격으로 가서 연구원에서 연구를 한거라고 서술했지만, 대만[77]에서는 한국, 일본과 달리 대학원을 연구소라 부르고 무엇보다 유학당시 발급된 성적표의 학번이 R로 시작되는 걸 보아(국립타이완대학의 학번은 학사과정생은 B, 석사과정생은 R, 박사과정생은 D가 항상 첫글자로 시작된다) 실제로는 대학원에 입학하여 석사과정을 밟은 걸로 추정된다.[71] 고려대학교박물관에 전시된 김준엽의 국립타이완대학 시간표에 따르면 1951년 9월부터 1953년 7월까지는 강의를 수강하고 그 이후인 1953년 9월부터 1955년 1월까지는 논문을 작성하고 있다고 되어있으나, 국립타이완대학 학적부에는 이 때 작성중이던 논문을 완성했다는 기록은 없다고 한다. 정황상 이 때 작성중이던 논문이 석사학위논문으로 보이며 결국 이 논문을 다 완성하지 않은 채 1955년에 한국으로 귀국을 해버린 듯 하다.[72] 국립대만대학 중문과 대학원에서 중국문법학과 음운학 방면으로 석,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국립대만대학에서 언어학 방면으로 외국인에게 주어진 최초의 학위이다. 그 이후, 동경대학 중문학과 히라야마 교수 밑에서 다년간 수학하면서 동서 언어학의 폭넒은 관점을 수용하였다. 대만대 재학 중 김용옥과 캠퍼스 커플이었고 결혼까지 하게 된다. 1981년 연세대 중문과 교수로 취임한 이래, 2011년 2월까지 30년간 중국 언어학 및 관련된 문학 분야를 폭넓게 강의해왔다. 그리고 『詩經』,『楚辭』를 언어학적 관점에서 참신하게 해석하는 연구성과를 축적하여 왔다.[73] 1972년 2월 고려대 철학과 졸업 후에 가을학기가 1학기로 신입학이 이뤄지는 대만 학제에 맞춰 1972년 봄학기에 고려대 철학과 석사과정을 다닌 후 1972년 가을학기 입학, 1974년 봄학기 이수 후 졸업.[74] 建築與城鄉研究所 = 건축•도시공학 대학원.[75] 중국은 어차피 전부 국립이므로 국립을 따로 붙이지 않는다. 비슷한 예로 고궁박물원국립고궁박물원의 차이도 있다.[76] 가령 1990년에는 대만대학 60주년을 기념하는 책자(歡聚與期勉 : 臺大創校六十大慶活動紀實)가 출판되는가 하면, 1995년에는 '대만대학 50년사'(臺大五十年)가 출간되었다.

[77] 김준엽이 이전에 국민정부 집권시기 중국에서 재학했던 국립중앙대학 대학원 역시 "연구소"라는 호칭을 쓰는 걸 보아 더 정확하게 말하면 국민정부 집권시기 중국에서 쓰이던 호칭을 대만에서 이어쓴 것에 더 가깝다. 여담으로 현재 중국에서는 대학원을 연구생원(研究生院)이라고 부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