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11 02:46:57

군면리 대폐합/개편현황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군면리 대폐합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E40001><tablebgcolor=#E40001> 파일:김일성투명.svg김일성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cccccc,#333333> 일생 생애 · 사망
정책 군면리 대폐합 · 공작기계새끼치기운동 · 남북기본합의서 · 조소동맹조약 · 조중동맹조약 · 조중변계조약 · 천리마 운동 · 청산리 방법· 3대혁명소조운동 · 4대 군사노선 · 7.4 남북 공동 성명 · 1980년대의 경제 정책 · 주체농법
우상화 사업 타도제국주의동맹 · 조선인민혁명군 · 조국광복회 · 보천보 전투 · 주체사상 · 구호나무 · 도서정리사업 · 김일성장군의 노래 · 압록강의 노래
관련 장소 만경대고향집 · 금수산태양궁전 · 대성산혁명렬사릉 · 화진포의 성
가족 가계도 · 증조부 김응우 · 조부 김보현 · 아버지 김형직 · 어머니 강반석 · 본처 한성희 · 이처 김정숙 · 삼처 김성애 · 남동생 김철주 · 남동생 김영주 · 아들 김정일 · 아들 김만일 · 아들 김평일 · 아들 김영일 · 아들 김현 · 딸 김경희 · 딸 김백연
사건사고 훙치허 전투 · 6.25 전쟁(평양시 학살 사건) · 8월 종파사건 · 갑산파 숙청 사건 · 베트남 전쟁 · 1.21 사태 · 푸에블로호 피랍사건 ·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 아웅 산 묘소 폭탄 테러 사건 · 북한의 대남 수해지원 · 김포국제공항 폭탄 테러 · 김일성 사망 오보 사건 · 임수경 방북 사건 · 프룬제 군사대학 쿠데타 모의 사건
저서 세기와 더불어
어록 이밥에 고기국 기와집에서 비단옷
기타 조선로동당 · 인민대학습당 · 북조선인민위원회 · 김일성종합대학 · 김일성군사종합대학 · 김일성방송대학 · 김일성광장 · 김일성훈장 · 김일성상 · 김일성화 · 김일성 공원 · 김일성 암살설 · 김일성 가짜설 · 김일성 시계 · 4.15절 · 인간관계
파일:낫과 망치.svg 공산주의 · 파일:조선로동당_로고.svg 주체사상
둘러보기

김일성 | 김정일 | 김정은
}}}}}}}}} ||


1. 범례 및 비고2. 평양(특별)시
2.1. 중구역2.2. 동구역2.3. 서구역2.4. 남구역2.5. 북구역
3. 개성지구4. 황해도5. 평안남도6. 평안북도7. 자강도8. 함경남도9. 함경북도10. 강원도

[clearfix]

1. 범례 및 비고

밑줄친 부분은 부군면 통폐합으로 강제 합병되어 폐지된 행정구역이다.
* 당시 량강도는 설치되어 있지 않았고, 황해도는 남, 북으로 쪼개지기 전이었다.

출처: 2003~2005년 판# 조선향토지리백과(통일부 북한지역정보넷 및 네이버 지식백과 수록), 1990년 판 북한지리정보(네이버 지식백과 수록), NK조선, NK중앙

2. 평양(특별)시

평안남도 중화군에서 조왕리, 두단리, 문발리 대동군 토성리가 평양시에 편입되어 5개 구역, 92개 리(그 가운데서 21개 리는 농촌리) 관할하였다.

2.1. 중구역

중구역 북부, 보통강구역
개편 전 개편 후 비고
1946년 9월 평양시가 평양특별시로 승격되면서 중구를 신설하여 역전리(驛前里), 교구리(橋口里), 유성리(柳城里), 오탄리(烏灘里), 외성리(外城里), 연화리(蓮花里), 동흥리(東興里), 서성일리(西城一里), 서성이리(西城二里), 서성삼리(西城三里), 서성사리(西城四里), 서성오리(西城五里), 신양리(新陽里), 신암리(新岩里), 중성리(中城里), 경림리(敬臨里), 남문리(南門里), 서문리(西門里), 종로리(鐘路里), 창전리(倉田里), 사창리(沙倉里), 설수리(薛需里), 영문리(營門里), 경상리(慶上里), 능라리(綾羅里), 양각리(羊角里), 정평리(井平里), 평천리(平川里) 등 28개 리를 관할하였다.

1948년에 중구의 교구리, 유성리, 오탄리, 연화리, 역전리, 동흥리, 양각리, 평천리, 정평리, 외성리를 분리하여 남구로 개편하고, 서구의 대타령일리(大駝嶺一里), 대타령이리(大駝嶺二里), 대타령삼리(大駝嶺三里)를 흡수하였으며, 문수리를 신설하여 22개 리를 관할하였다.
변동 없음: 중성리(中城里), 남문리(南門里), 신암리(新岩里), 신양리(新陽里), 서성일리(西城一里), 서성이리(西城二里), 서성삼리(西城三里), 서성사리(西城四里), 서성오리(西城五里), 릉라리(綾羅里), 경상리(慶上里), 창전리(倉田里), 설수리(薛需里), 사창리(沙倉里), 종로리(鐘路里), 영문리(營門里), 문수리, 대타령일리(大駝嶺一里), 대타령이리(大駝嶺二里), 대타령삼리(大駝嶺三里), 서문리(西門里)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중구가 중구역으로 되었고, 1955년에 동제를 실시하면서 신암동 일부와 서성이동 일부를 병합하여 창광동(蒼光洞)을, 서성일동 일부와 서성사동 일부를 병합하여 보통문동(普通門洞)을, 서성일동, 서성사동, 서성오동 각 일부를 병합하여 서성동(西城洞)을, 서성이동 일부와 신암동 일부를 병합하여 서창동(西蒼洞)을, 서성오동 일부를 분리하여 동성동(東城洞)을, 대타령일동을 분리하여 미륵동(彌勒洞), 굴원동(窟院洞), 적굴동(赤窟洞), 서장동(西將洞)을 대타령이동을 분리하여 대타령동(大駝嶺洞), 보통강동(普通江洞), 석암동(石岩洞)을, 대타령삼동을 분리하여 서재동(書齋洞), 봉수동(鳳岫洞), 궁골동(宮-洞)을 각각 신설하고, 서성일동, 서성이동, 서성삼동, 서성사동, 서성오동, 대타령일동, 대타령이동, 대타령삼동을 폐지하였으며, 서성삼리가 남구역 정평동 일부와 병합하여 남구역 북성동으로 개편되면서 폐지되었다.

또한 남구역의 당상일동 일부를 분리하여 중구역 신서동(新西洞)을 신설하였고, 설수리를 종로동과 영문동, 창전동에 분리 편입하였으며, 능라리와 문수리를 경상동에 편입하여 27개 동을 관할하였다. 1957년에 창광동 일부를 분리하여 해방산동(解放山洞)을 신설하였고, 1959년에 사창동을 경상동에, 봉수동, 궁골동을 만경대구역에 편입하였다.

1960년에 미륵동 일부와 서성구역 하당동 일부를 병합하여 서성구역 남교동으로 개편하였고, 대타령동, 보통강동, 서장동, 석암동, 서재동, 적굴동, 미륵동, 굴원동을 보통강구역에, 서창동, 동성동, 창광동, 신서동, 서성동을 외성구역에 편입하였으며, 영문동을 만수동(萬壽洞)으로 개칭하여 13개 동을 관할하였다.

1965년에 경상동 일부와 경림동 일부를 병합하여 대동문동(大同門洞)을 신설하였으며, 1972년에 창전동을 만수동에 편입하였다. 1979년에 남문동을 중성동에 편입하고, 외성구역의 유성동(柳城洞), 동흥동(東興洞), 서창동, 창광동, 동성동, 교구동(橋口洞), 서성동, 외성동(外城洞), 연화일동(蓮花一洞), 연화이동(蓮花二洞), 역전동, 동안동(東岸洞), 오탄동(烏灘洞) 등을 흡수하여 25개 동을 관할하였다.

1981년에 신양동, 신암동, 서성동의 각 일부 지역을 분리하여 창광동, 보통문동, 서문동 등 지역에 각각 편입하고, 신양동, 신암동, 서성동을 폐지하였다. 1992년에 이르러 중구역 산하에 만수동, 경상동, 종로동, 대동문동, 경림동, 중성동, 오탄동, 유성동, 교구동, 역전동, 동안동, 동흥동, 창광동, 동성동, 서창동, 보통문동, 서문동, 연화일동, 연화이동, 외성동, 해방산동 등 21개 동을 두고 관할하였으며, 1995년에 교구동의 일부 지역을 동안동에 편입하였다.

2002년 현재 행정구역은 21동(경림동, 경상동, 교구동, 대동문동, 동성동, 동안동, 동흥동, 연화일동, 연화이동, 유성동, 만수동, 보통문동, 서문동, 서창동, 역전동, 오탄동, 외성동, 종로동, 중성동, 창광동, 해방산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평양시 중구역 역사 # (조선향토대백과, 2008., 평화문제연구소)

2.2. 동구역

선교구역(船橋區域)
개편 전 개편 후 비고
평양시 선교구역 영역에 있던 폐구. 1946년 평양특별시에 신설한 5구의 하나로서 당시 구 산하에 대동군 율리면의 칠산리, 대동군 용연면의 소신리, 평양시의 불당리를 병합하여 평양시 동구에 신설한 대신일리(大新一里), 대신이리(大新二里), 대신삼리(大新三里), 동대원리(東大院里), 동창리(東倉里), 낙랑리(樂浪里), 율일리(栗一里), 율이리(栗二里), 율삼리(栗三里), 문수일리(紋繡一里), 문수이리(紋繡二里), 선교일리(船橋一里), 선교이리(船橋二里), 선교삼리(船橋三里), 선교사리(船橋四里), 송신리(松新里), 신삼리(新三里), 신일리(新一里), 신이리(新二里), 오야리(梧野里), 의암리(衣岩里), 장진리(將進里), 정백리(貞栢里), 칠불리(七佛里) 등 24개 리를 두고 관할하였다. 같은 해에 평양부 오촌리가 동구 동대원리에, 평양부 석암리가 동구 정백리에 각각 편입되었다.

1947년에 낙랑리 일부 지역을 분리하여 조왕리(助王里)를 신설하고 중화군 남곶면에 편입하였으며, 1950년에 정백리와 오야리를 병합하여 정오리(貞梧里)로 개편하여 23개 리를 관할하였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평양시 동구역으로 개편되면서 폐지되었다.
변동 없음: 대신일리(大新一里), 대신이리(大新二里), 대신삼리(大新三里), 동대원리(東大院里), 낙랑리(樂浪里), 률일리(栗一里), 률이리(栗二里), 률삼리(栗三里), 문수일리(紋繡一里), 문수이리(紋繡二里), 선교일리(船橋一里), 선교이리(船橋二里), 선교삼리(船橋三里), 선교사리(船橋四里), 송신리(松新里), 신일리(新一里), 신이리(新二里), 칠불리(七佛里)
신삼리(新三里)신일리(新一里), 신이리(新二里)
장진리(將進里), 정오리(貞梧里)장정리(將貞里)
중화군 남곶면 조왕리락랑리(樂浪里)
신삼리(新三里)신일리(新一里), 신이리(新二里)
의암리(衣岩里), 송신리(松新里), 동창리(東倉里)북구역으로 편입
얼마 후 동창리, 송신리, 의암리를 북구역에 이관하고, 장진리와 정오리를 병합하여 장정리(將貞里)를 신설하였으며, 중화군 남곶면의 조왕리를 낙랑리에 편입하였다. 동시에 중화군 남곶면의 문발리(文發里)와 두단리(豆段里)를 흡수하면서 문발리를 두단리에 편입하였으며 신삼리가 신일리, 신이리에 분리 편입되었다.

1955년에 도시 지역의 리 전체를 동으로 개편하면서 문수일동, 문수이동을 북구역에 편입하였으며 북구역의 문수동 일부를 흡수하여 문신동(紋新洞)으로 개편하였다. 동시에 장정리 일부를 분리하여 정오동을 복귀하고 칠불리 일부와 율삼동 일부를 병합하여 서포동(西浦洞)을 신설하였으며 낙랑리, 칠불리, 두단리, 장정리를 제외한 나머지 도시 지역 동들을 병합 정리하여 강안동(江岸洞), 남신동(南新洞), 대신동(大新洞), 대흥동(大興洞), 동대원동(東大院洞), 동문동(東紋洞), 동신동(東新洞), 등메동, 율곡동(栗谷洞), 율동(栗洞), 산업동(産業洞), 삼마동(三馬洞), 선교동(船橋洞), 신리동(新里洞), 신흥동(新興洞), 영제동(永濟洞), 장충동(將忠洞) 등으로 각각 개편하였다.

1956년에 칠불리 일부를 분리하여 소신리(小新里)를, 낙랑리 일부를 분리하여 토성리(土城里)를 각각 신설하였다. 1957년에 장정리 일부를 분리하여 송가동(宋家洞)을 신설하였으며, 정오동 일부를 분리하여 정백동을 복귀하고, 중화군 삼정리를 유현리와 장정리에, 장정리 일부를 정오동에 각각 편입하였다.

1958년에 동대원동 · 동문동 · 율동 · 문신동 · 삼마동을 북구역에 편입하였고, 1959년에 두단리를 두단동으로 개편하고 두단동 · 낙랑리 · 송가동 · 소신리 · 장정리 · 정백동 · 정오동 · 토성리를 낙랑구역에 편입하였으며, 북구역의 동대원동 · 문신동 · 율동 · 삼마동을 다시 흡수하여 강안동 · 남신동 · 대신동 · 대흥동 · 동대원동 · 동신동 · 등메동 · 율곡동 · 율동 · 문신동 · 삼마동 · 서포동 · 선교동 · 산업동 · 신리동 · 신흥동 · 영제동 · 장충동 · 칠불리 등 19개 동리를 관할하다가, 얼마 후 선교구역으로 개칭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평양시 선교구역 옛이름 동구 # (조선향토대백과, 2008., 평화문제연구소)
[네이버 지식백과] 평양시 선교구역 옛이름 동구역 # (조선향토대백과, 2008., 평화문제연구소)

2.3. 서구역

서성구역(西城區域), 모란봉구역(牡丹峰區域), 대성구역 일부
개편 전 개편 후 비고
감흥일리(坎興一里)
감흥이리(坎興二里)
감흥삼리(坎興三里)
감흥사리(坎興四里)
기림일리(箕林一里)
기림이리(箕林二里)
기림삼리(箕林三里)
기림사리(箕林四里)
대성리(大城里)
룡흥리(龍興里)
미암리(嵋岩里)
상흥리(上興里)
인흥일리(仁興一里)
인흥이리(仁興二里)
인흥삼리(仁興三里)

2.4. 남구역

중구역 남부
명칭 영역(개편 직전) 비고
교구리(橋口里)
유성리(柳城里)
오탄리(烏灘里)
외성리(外城里)
연화리(蓮花里)
역전리(驛前里)
동흥리(東興里)
평천리(平川里)
정평리(井平里)
양각리(羊角里)
당상일리(堂上一里)
당상이리(堂上二里)
상단리(上端里), 중단리(中端里), 하단리(下端里) 중단리(中端里) 1948년 이전 평안남도 대동군 고평면, 두루도 지역

2.5. 북구역

사동구역(寺洞區域)
개편 전 개편 후 비고
동구 동창리(東倉里) 북구역 동창리(東倉里)
동구 송신리(松新里) 북구역 송신리(松新里)
동구 의암리(衣岩里) 북구역 의암리(衣岩里)
남사리(南四里), 북사리(北四里) 남북사리(南北四里) 1946년 이전 평안남도 대동군 림원면 지역
고산리(高山里), 림흥리(林興里) 림흥리(林興里) 1948년에 양암리(陽岩里) 청호리(靑湖里) 고산리(高山里)에 편입하고, 상오리(上五里) 림흥리(林興里)로 고치였다.
미림일리(美林一里)
미림이리(美林二里)
사동일리(寺洞一里)
사동이리(寺洞二里)
사동삼리(寺洞三里)
장천리(將泉里)

3. 개성지구

명칭 영역(개편 직전) 비고
개풍군(開豊郡)개풍군 대성면(大聖面), 광덕면(光德面), 남면(南面), 토성면(土城面), 서면(西面) 5개 리, 청교면(靑郊面) 4개 리 해방당시 개풍군 38선 이남 지역 가운데 부군면 통폐합 이전 개성군 (1906년 이전 개성부) 지역 위주
판문군(板門郡)개풍군 흥교면(興敎面), 림한면(臨漢面), 상도면(上道面), 중면(中面), 봉동면(鳳東面) 5개 리, 청교면 2개 리 및 장단군 진서면 5개 리해방 당시 개풍군 38선 이남 지역 가운데 부군면 통폐합 이전 풍덕군 지역 위주
장풍군(長豊郡)장풍군 잔여지역 1945년 9월~ 10월에 행정구역 개편으로 삼팔선 이북인 경기도 장단군 장도면(長道面), 대강면(大江面), 강상면(江上面), 소남면(小南面), 대남면(大南面)과 개풍군 령북면(嶺北面), 령남면(嶺南面), 북면(北面)을 황해도 금천군에 편입했다 1945년 11월에 관할하던 장풍군을 신설하며 이관, 1947년에 장풍군 북면을 금천군에 재편입

북한지리정보: 6, 25전쟁시기 그 이후 시기 개성시 행정구역

3.1. 개성시

개편 전 개편 후 비고

1957년에 개성시(직할시) 2003년에 황해북도 개성시로

3.2. 개풍군

개성시 개풍구역 일원 및 직할구역 일부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개풍읍(開豊邑)경기도 개풍군 토성면 토성리, 연하리, 여릉리 각 일부 남면 조제리2019년에 개풍1동, 개풍2동으로 분동
연강리(延江里)서면 개성일구, 개성이구, 전포리
신서리(新西里)서면 강리, 연산리, 광정리
삼성리(三成里)남면 신리, 장산리, 옥산리
남포리(南浦里)남면 군은리, 창릉리
신광리(新光里)남면 후석리, 율응리
의포리(義浦里)서면 강리, 연산리, 광정리
도원리(稻原里)대성면 풍덕리, 삼달리
해평리(海平里)대성면 지내리, 고군리, 산귀리
신성리(新聖里)대성면 구읍리, 대성리, 신죽리
광수리(光水里)광덕면 중련리, 광덕리, 남면 수우리
묵송리(墨松里)청교면 묵송리
광답리(廣畓里)청교면 광답리
유릉리(裕陵里)청교면 유릉리
고남리(古南里)청교면 고남리, 양릉리
해선리(解線里)토성면 곡령리 려릉리 일부
련릉리(延陵里)토성면 연하리 일부 려릉리 일부
묵산리(墨松里)토성면 토성리 일부 여현리
1953년에 개성시에 속하였고, 1954년 10월 황해북도에 편입되었다가, 1955년 1월 개성시 개풍군에 귀속되었다.

1961년 3월 황해북도 금천군 여현리(礪峴里)가 편입되었다. 1974년에 광답리 일부가 유릉리에 흡수되었고, 1981년 10월에 유릉리가 오산리(五山里)로, 1983년 2월 의포리가 용산리(龍山里)로, 1983년 11월 도원리가 풍덕리(豊德里)로 개칭되었다.

2002년 10월 현재 행정구역은 1읍(개풍읍), 18리(고남리, 광답리, 광수리, 남포리, 여현리, 용산리, 묵산리, 묵송리, 삼성리, 신광리, 신서리, 신성리, 연강리, 연릉리, 오산리, 풍덕리, 해선리, 해평리)로 구성되어 있다. 군 소재지는 개풍읍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황해북도 개풍군 역사 # (조선향토대백과, 2008., 평화문제연구소)

3.3. 판문군

개성시 판문구역 일원 및 직할구역 일부
명칭 영역(개편 직전) 비고
판문읍(板門邑)경기도 개풍군 상도면 흥왕리 일부, 탄동리 일부, 상도리 일원, 삼인리 일원, 풍천리 일부
대룡리(大龍里)중면 대룡리
덕수리(德水里)중면 송산리, 덕수리
림한리(臨漢里)중면 식현리, 림한면 정곶리, 사동리
월정리(月井里)림한면 가정리, 채련리, 월암리
조강리(祖江里)림한면 상조강리, 하조강리, 류천리
후릉리(厚陵里)흥교면 흥천리, 영정리
신흥리(新興里)흥교면 지현리, 조문리
화곡리(禾谷里)흥교면 궁천리, 사곡리, 흥교리
대련리(大蓮里)상도면 풍천리 일부, 양사리 일원, 연동리 일원, 대릉리 일원
평화리(平和里)봉동면 대조족리, 백전리, 발송리
봉동리(鳳東里)봉동면 고두산리 일원, 봉동리 일부, 청교면 탄동리 일부 2019년에 판문1동과 판문2동으로 분동
흥왕리(興旺里)봉동면 도평리 일원, 흥왕리 일부, 지금리 일원, 봉동리 일부
진봉리(進鳳里)개풍군 청교면 배야리 일원, 탄동리 일부
선적리(仙跡里)장단군 진서면 눌목리, 선적리 밀어내며 장단군 진서면 5개리 추가 '해방'
전재리(田齋里)장단군 진서면 전재리 일원, 대원리 일부
동창리(東倉里)개풍군 중면 창내리, 동강리, 천덕리
1읍 16리를 관할하였다. 1953년 12월에 판문읍을 상도리로 개편하고, 봉동리를 판문읍으로 승격시켰다. 1954년 10월 황해북도 판문군으로 되었다가, 1955년 1월에 다시 개성시에 귀속되었다.

1958년 6월 대련리 일부가 상도리와 개풍군 묵송리에, 상도리 일부가 화곡리에 편입되고, 1961년 3월 전재리 일부가 덕암리에 편입되었다. 1967년 10월 월정리 일부가 화곡리에 편입되면서 화곡리가 화곡노동자구로 개편되고 덕수리 일부가 대룡리와 임한리에, 흥왕리 일부가 판문읍에 편입되었으며 평화리 일부가 판문점리로 되었다. 1977년 9월 후릉리가 냉정리로, 1977년 12월 화곡노동자구가 화곡리로, 1981년 10월 흥왕리가 삼봉리로 개편되었다.

1988년 7월 전재리 일부 지역이 개성시 은덕동으로 개편되었다.

2002년 10월 현재 행정구역은 1읍(판문읍), 17리(대련리, 대룡리, 덕수리, 동창리, 영정리, 임한리, 삼봉리, 상도리, 선적리, 신흥리, 월정리, 전재리, 조강리, 진봉리, 판문점리, 평화리, 화곡리)로 구성되어 있다. 군 소재지는 판문읍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황해북도 개성시 역사 (3) # (조선향토대백과, 2008., 평화문제연구소)

3.4. 장풍군

명칭 영역 (개편 직전) 비고
장풍읍(長豊邑)장풍군 소남면 유덕리, 홍화리 일부
덕적리(德積里)강상면 덕적리, 솔랑리, 갈운리 일부
자하리(紫霞里)강상면 자하리, 마성리
구화리(九化里)강상면 구화리, 갈운리 일부
석촌리(石村里)대남면 석촌리, 성곡리 일부, 위천리 일부
장좌리(長佐里)대남면 장좌리, 위천리 일부
가곡리(佳谷里)대남면 가곡리, 성곡리, 위천리 각 일부
십탄리(十灘里)소남면 두곡리, 지금리
월고리(月古里)령북면 월고리, 소남면 홍화리 일부
서암리(四岩里)령남면 경릉리, 대원리 일부, 장도면 중리, 하리
고읍리(古邑里)장도면 고읍리, 상리
사시리(沙是里)장도면 사시리, 석주원리, 매현리
국화리(菊花里)대강면 우근리 독정리 일부
림강리(臨江里)대강면 림강리
사암리(四岩里)대강면 판부리, 청정리 독정리 일부
항동리(項洞里)장도면 항동리, 오음리
라부리(羅浮里)대강면 라부리, 대강면 포춘리
수원리(水源里)령남면 현화리, 소릉리
룡흥리(龍興里)령남면 룡흥리 일부
삼거리(三巨里)령남면 심천리, 반정리
곡령리(鵠嶺里)령남면 곡령리
1954년 10월 황해도가 황해남도와 황해북도로 갈라지면서 황해북도 장풍군으로 되었다. 1956년 9월에 장풍군 곡령리가 개성시 개풍군 해선리(解線里)에 편입되었고, 1958년 6월 서암리 일부가 판문군에 편입되었으며, 1959년 2월 수원리가 용흥리에 넘어갔다. 1960년 3월 개성시 장풍군으로 되면서 황해북도 금천군 일부 리가 편입되었다. 1961년 3월에 강원도 철원군의 석둔리(席屯里), 솔현리(率賢里), 냉정리(冷井里), 가천리(佳川里), 귀존리(貴存里), 장학리(獐鶴里)와 황해북도 금천군 산성리(山城里)가 장풍군에 편입되었고 장풍군의 용흥리, 삼거리, 산성리가 개성시에 넘어갔다.

1967년 10월 가곡리, 십탄리와 장풍읍의 일부 지역을 분리하여 세골리를 신설하였고, 장좌리 일부 지역과 석촌리 일부 지역이 가곡리에, 고읍리 일부 지역이 사시리에, 서암리 일부 지역이 고읍리에 편입되었다. 1983년 2월 서암리를 대덕산리(大德山里)로 개칭하였다.

2002년 10월 현재 행정구역은 1읍(장풍읍), 23리(가곡리, 가천리, 고읍리, 구화리, 국화리, 귀존리, 대덕산리, 덕적리, 나부리, 냉정리, 임강리, 사시리, 사암리, 석둔리, 석촌리, 세골리, 솔현리, 십탄리, 월고리, 자하리, 장좌리, 장학리, 항동리)로 구성되어 있다. 군 소재지는 장풍읍이다.

2003년에 황해북도에 재편입, 2023년에 복구했다.

[네이버 지식백과] 황해북도 장풍군 역사 # (조선향토대백과, 2008., 평화문제연구소)

4. 황해도

명칭 영역(개편 직전) 비고
벽성군 가좌면, 월록면, 검단면, 미률면, 고산면, 서석면 9개 리, 장곡면 8개 리, 운산면 2개 리, 라덕면 4개 리
옹진군 옹진군 옹진면, 동남면, 북면, 서면, 용천면, 교정면 전체 리 가천면 4개 리, 흥미면 2개 리 1951년에 '해방'된 뒤에 1945년 11월에 편입된 벽성군 38선 이남지역인 해남면, 송림면, 동강면이 벽성군으로 환원되었다.
강령군 옹진군 부민면(富民面), 룡연면(龍淵面), 봉구면(鳳邱面), 흥미면(興嵋面) 11개 리 벽성군 해남면, 동강면, 송림면
청단군 남연백군 래성면, 청룡면, 일신면, 추화면 7개 리 및 벽성군 영천면, 동운면, 금산면 6개 리 남연백군은 '해방'된 경기도 연백군 - 1945년 11월에 황해도 벽성군 동부 및 연백군 38선 이남 지역을 통합- 지역에 임시로 편성한 행정구역이다.
연안군 남연백군 남연백군 용도면, 호남면, 봉서면, 해성면, 송봉면 전체 리 호동면 3개 리, 봉북면 7개 리, 연안면 11개 리, 해룡면 6개 리, 연백군 괘궁면 전체 리 목단면 8개 리
배천군 남연백군 남연백군 은천면(銀川面), 해월면(海月面), 유곡면(柳谷面), 석산면(石山面), 도촌면(道村面), 온정면(溫井面)과 호동면(湖東面) 5개 리, 봉북면(鳳北面) 1개 리, 연백군 운산면(雲山面), 화성면(花城面), 금산면(金山面)
평천군 연백군 적암면, 서북면, 산외면 및 평산군 세곡면, 룡산면, 고지면, 마산면 1945년에 연백군 38선 이북 지역에 평산군 적암면(례성강|예성강 지류인 루천\|누천 이남)과 금천군 서북면, 산외면(례성강|예성강 우안-서안)을 편입하여 연백군을 유지, 1990년에 평천군이 평양시 평천구역 때문에 봉천군으로 개칭됨
금천군 금천군 우봉면, 금천면, 고동면, 북면, 웅덕면 전체 리 동화면 1개 리, 장풍군 영북면 3개 리, 소남면 1개 리, 평산군 평산면 2개 리
토산군 금천군 외류면, 합탄면, 구이면, 서천면, 토산면, 좌면
신계군 신계군 고면, 다미면, 다률면, 마서면, 적여면 전체 리 사지면 6개 리
평산군 평산군 안성면, 남천면, 금암면, 서봉면 전체 리 평산면 5개 리, 문무면, 3개 리, 금천군(金川郡) 동화면(冬火面) 5개 리
린산군 황해도 평산군 신암면(新岩面), 린산면(麟山面), 상월면(上月面) 전체 리 문무면(文武面) 13개 리, 서흥군 내덕면(內德面)
서흥군 서흥군 면,
벽성군 벽성군 + 청단군 + 신원군 일부[1] + 강령군 일부
연백군 + 남연백군 연안군 + 배천군 + 평천군 일부, 청단군 일부 평천군은 1990년 봉천군으로 개칭.
금천군 금천군 + 토산군[2]동화면 5개리는 평산군으로 이전.
평산군 평산군 + 린산군 + 평천군 평산면 전도리, 화산리, 장풍군 영북면 3개리, 소남면 박연리는 금천군으로 이전. 1990년 평천군을 봉천군으로 개칭.
장연군 장연군 + 룡연군[3] + 태탄군[4]
송화군 송화군 + 삼천군 일부[5] 다소 차이가 있으나, 삼천군이 구 문화현을 승계하는 것으로 판단 가능. 자세한 사항은 삼천군 문서 참고.
안악군 안악군 + 은천군
신천군 신천군 + 삼천군 일부[6] 안악군과 경계조정도 병행.
재령군 재령군 + 신원군[7]
황주군 황주군 + 연탄군 중화군 한개 리 편입.
봉산군 봉산군[8] + 은파군[9]
서흥군 서흥군[10] + 린산군 일부
수안군 수안군 + 연산군(황해북도) [11]
곡산군 곡산군 일부[12] + 신평군[13]


[1] 라덕면 7개 리, 금산면 3개 리 한정. 나머지는 구 재령군 소속[2] 금천군[3] 해안면, 대구면 전역 및 룡연면 일부 (13개 리)[4]장연군 목감면, 속달면, 후남면과 벽성군 대차면, 운산면 6개 리. 옹진군 가천면부터로도 3개리 합병.[5] 송화군 봉래면, 도원면, 장양면과 련방면 2개 리, 문무면 8개 리. 나머지는 지역은 구 신천군 지역[6] 신천군 궁흥면 12개 리, 초리면 9개 리, 문화면 5개 리. 나머지는 구 송화군 지역[7] 재령군 신원면, 하성면, 상성면, 은률면 3개 리 구 벽성군 라덕면 7개 리, 금산면 3개 리로 구성[8] 서흥군 목감면 4개 리, 황주군 도치면 성동리, 상산리 일부 편입.[9] 서종면, 초면, 덕재면, 쌍산면, 기천면과 령천면 2개리, 문정면 1개 리, 재령군 삼강면 4개 리, 은룡면 4개 리[10] 신막면, 매양면, 룡평면, 률리면, 서흥면과 목감면 6개 리, 구포면 5개 리.[11] 도소면, 수구면, 연암면, 공포면과 대오면 6개 리, 곡산군 서촌면 1개 리 합병[12] 구 곡산군 12개 면 중 4개 면(곡산, 청계, 운중, 도화)과 서촌면 3개리로만 구성. 나머지는 신계군에서 가져왔다.[13] 곡산군 상도면, 하도면, 멱미면, 이령면, 화촌면과 봉명면 동천리, 동촌면 오륜리

4.1. 해주시

개편 전 개편 후 비고
태부동

4.2. 사리원시

개편 전 개편 후 비고

4.3. 송림시

개편 전 개편 후 비고
대동리, 오류리, 연봉리서송리(西松里)
저전리, 란탄리신성리(新成里)
성거리, 신포리, 량진리신량리(新兩里)
송림리, 동송리동송리
룡봉리(龍峯里), 자운리(紫雲里), 대송리(大松里), 월봉리(月峯里), 산서리(山西里), 운곡리(雲谷里), 철산리(鐵山里), 신흥리(新興里), 대흥리(大興里), 운하리(運河里), 인수리(引水里), 강포리(江浦里), 지석리(支石里), 제철리(製鐵里), 송산리(松山里), 오류리(五柳里), 대동리(大同里), 연봉리(嚥峯里), 마산리(馬山里), 송림리(松林里), 저전리(楮田里), 란탄리(蘭灘里), 석탄리(石灘里), 당산리(堂山里), 성거리(聖居里), 량진리(兩津里), 신포리(新浦里), 동송리(東松里)

4.4. 벽성군

명칭 영역(개편 직전) 비고
벽성읍(碧城邑)벽성군 가좌면 취야리, 국봉리, 룡호리
옥정리(玉井里)가좌면 매곡리, 자양리, 옥정리
장현리(長峴里)가좌면 오봉리 장현리
상림리(桑林里)월록면 군만리 일부, 상림리 일부, 사천리
월현리(月峴里)월록면 삼현리, 답동리, 군만리 일부
룡정리(龍井里)월록면 룡정리, 장둔리, 안현리, 상림리 일부
죽천리(竹川里)장곡면 죽천리
쌍암리(雙岩里)장곡면 쌍암리, 동봉리, 청현리
백운리(白雲里)장곡면 백운리, 회산리 일부, 운산면 서동리
대성리(大成里)장곡면 대성리, 죽동리, 국봉리
온천리(溫泉里)검단면 온천리
지남리(指南里)검단면 지남리
도락리(道樂里)검단면 대암리 도락리
랭정리(冷井里)검단면 랭정리
월봉리(月峯里)미률면 석정리, 둔창리 매정리 일부
안곡리(安谷里)미률면 안곡리, 가정리 매정리 일부
내호리(內湖里)미률면 내동리 동호리
도현리(道峴里)미률면 도현리 검단면 가현리
통산리(通山里)라덕면 라치리 일부, 한평리 일부, 일곡리, 통산리
석동리(席洞里)서석면 석동리, 련근리, 백운리
신광리(神光里)서석면 신광리, 문정리, 지동리
서원리(書院里)서석면 서원리, 남파리, 송간리
원평리(原坪里)고산면 립암리 원평리
사현리(士峴里)고산면 석담리, 사현리, 수정리 사현리
1읍 23리를 관할하였다. 1953년 12월에 상림리 일부를 월현리에, 용정리 일부를 상림리에 편입하였고, 1954년 10월에 황해도를 황해남북도로 분리하면서 황해남도 벽성군으로 개편되었다. 1958년 6월에 도락리, 냉정리, 지남리 등 3개 리가 신천군에 이관되었으며, 1959년 2월에 온천리가 신천군에 편입되어 이목리로 개칭되었으며, 1961년 3월에 신광리가 해주시에 편입되었다.

1965년 1월에 원평리 일부가 사현리에 편입되었고, 사현리 일부와 내호리 일부를 병합하여 석담리(石潭里)를 신설하였다. 1967년 10월에 안곡리 일부가 월봉리에, 백운리 일부 · 쌍암리 일부가 안곡리에, 옥정리 일부가 용정리에, 쌍암리 일부가 죽천리에 편입되었고, 1990년 6월에 벽성읍 일부 지역과 새로 개간한 간석지를 통합하여 남창리(南艙里)를, 서원리 일부 지역과 새로 개간한 간석지를 통합하여 장촌리(獐村里)를 각각 신설하였으며, 1999년 6월에 장촌리를 장천리(獐川里)로 개칭하였다.

2003년 현재 행정구역은 1읍(벽성읍), 21리(남창리, 내호리, 대성리, 도현리, 용정리, 백운리, 사현리, 상림리, 서원리, 석담리, 석동리, 쌍암리, 안곡리, 옥정리, 원평리, 월봉리, 월현리, 장천리, 장현리, 죽천리, 통산리)로 구성되어 있다. 군 소재지는 벽성읍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황해남도 벽성군 역사 # (조선향토대백과, 2008., 평화문제연구소)

4.5. 옹진군

명칭 영역(개편 직전) 비고
옹진읍(甕津邑)옹진면 온천일리, 온천이리, 온천삼리, 온천사리, 당현일리, 당현이리
도원리(桃源里)옹진면 도원일리와 도원이리
로호리(蘆湖里)옹진면 단천리와 로호리
랭정리(冷井里)옹진면 송정리, 양암리, 랭정리
수대리(秀垈里)옹진면 수대리, 개평리, 구계리
립석리(立石里)동남면 석교리, 거답리, 당장리
장송리(長松里)동남면 송강리, 장척리, 송현리
룡호도리(龍湖島里)동남면 룡호도리, 무파리
순위리(巡威里)흥미면 창암리, 례진리
어화도리(漁化島里)동남면 어화도리
남해리(南海里)동남면 서장리, 인평리, 전당리, 사곶리
구곡리(九谷里)북면 고안리, 웅현리, 상심적리
삼산리(三山里)북면 삼산리, 하심적리와 가천면 장현리
본영리(本營里)북면 봉소리, 화산중리, 초일리, 화산동리
소강리(蘇江里)서면 읍저리, 동문외리, 연봉리
념불리(念佛里)교정면 건전리, 국봉리와 북면 동오리
전산리(錢山里)서면 내전산리, 외전산리
만진리(萬珍里)서면 서경리, 장포리, 만진리 만진리
창린도리(昌麟島里)서면 창린도리
대기리(大機里)룡천면 마항리, 대기리, 포산외리
룡천리(龍泉里)룡천면 손량리, 용암리, 원산리, 대정리
제작리(諸作里)룡천면 포산내리, 마합리, 룡문리, 제작리
기린도리(麒麟島里)룡천면 기린도리
서해리(西海里)동남면 갈항리, 안산리, 신안리
구랑리(鷗浪里)교정면 구포리, 난천리, 송현리, 암리
송월리(松月里)교정면 판정리, 송림리와 월암리 일부 송월리
진해리(陣海里)가천면 사산리, 삼괴리, 한현리
1읍 27리를 관할하였다.1954년 10월에 황해도가 황해남도와 황해북도로 분리되면서 황해남도 옹진군으로 되었다. 같은 해에 순위리와 어화도리를 강령군에 편입하였다. 1956년에 태탄군 은동리가 이관되었으며, 1961년에 도원리가 옹진읍에 흡수되었다. 1967년 10월에 옹진읍, 은동리, 수대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옹진노동자구(甕津勞動者區)로 개편하고, 1972년에 구곡리를 구곡노동자구(九谷勞動者區)로 승격하였다.

1977년에 염불리를 국봉리(國峯里)로, 소강리를 연봉리(蓮峯里)로 각각 개칭하였다. 1981년 6월에 남해리를 남해노동자구(南海勞動者區)로 승격하였고, 1993년 12월에 노호리를 원사리(院寺里)로 개칭하였으며, 1996년 7월에 삼산리 일부를 분리하여 선풍리(先豊里)를 신설하였다.

2003년 현재 행정구역은 1읍(옹진읍), 3구(구곡노동자구, 남해노동자구, 옹진노동자구), 24리(구랑리, 국봉리, 기린도리, 대기리, 냉정리, 연봉리, 용천리, 용호도리, 입석리, 만진리, 본영리, 삼산리, 서해리, 선풍리, 송월리, 수대리, 원사리, 은동리, 장송리, 전산리, 제작리, 진해리, 창린도리, 해방리)로 구성되어 있다. 옹진군 소재지는 옹진읍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황해남도 옹진군 역사 # (조선향토대백과, 2008., 평화문제연구소)

4.6. 강령군

명칭 영역(개편 직전) 비고
강령읍(康翎邑)옹진군 부민면 강령리, 고동리
광천리(廣泉里)부민면 광평리, 내동리, 천상리
금수리(錦水里)부민면 금병리, 성도리 석계리 일부
오봉리(梧鳳里)룡연면 오산리, 봉황리,수계리
인봉리(印峯里)룡연면 한봉리, 장릉리, 인봉리
향죽리(香竹里)봉구면 옥은리, 향가리, 죽교리
신암리(莘岩里)봉구면 광암리, 도화리, 신평리, 닭섬리
평화리(平和里)봉구면 무도리, 평양리, 건지리, 륙도리
등암리(登岩里)흥미면 괘암리, 봉강리, 등산리, 등암리
쌍교리(雙橋里)흥미면 석포리, 아미리, 월계리, 안락리
부민리(富民里)부민면 부암리, 미산리 석계리 일부
룡연리(龍淵里)룡연면 룡연리, 룡산리, 송학리
부포리(釜浦里)봉구면 부포리, 장수리
식여리(食餘里)흥미면 식여리, 랭정리, 송산리
삼봉리(三峰里)벽성군 해남면 삼봉리, 항현리, 당산리
봉오리(蜂梧里)해남면 봉대리 오남리
사연리(舍鳶里)동강면 사인리, 연봉리
수압리(睡鴨里)송림면 대수압리, 소수압리
동포리(東浦里)동강면 금산리, 덕현리, 석교리
송현리(松峴里)송림면 송현리, 가평리
동강리(東江里)동강면 오금리, 화산리, 동강리
내동리(內洞里)송림면 내동리
1읍 21리를 관할하였다. 1954년 10월에 황해남도 강령군으로 개편되면서 옹진군 어화도리(漁化島里), 순위리(巡威里)가 편입되었고, 부민리 일부와 용연리 일부가 강령읍에 편입되었다. 1972년에 부포리가 부포노동자구로 승격되었고, 1981년에 평화리가 부포노동자구와 향죽리에 편입되면서 폐지되었으며, 1983년에 금수리가 금정리(錦井里)로 개칭되었다. 1991년 9월에 쌍교리 일부로 금동리(金洞里)를 신설하고, 향죽리 일부를 분리하여 평화리를 복귀하였으며, 쌍교리 일부를 식여리에 편입하였다.

2003년 현재 행정구역은 1읍(강령읍), 1구(부포노동자구), 23리(광천리, 금동리, 금정리, 내동리, 동강리, 동포리, 등암리, 용연리, 봉오리, 부민리, 사연리, 삼봉리, 송현리, 수압리, 순위리, 식여리, 신암리, 쌍교리, 어화도리, 오봉리, 인봉리, 평화리, 향죽리)로 구성되어 있다. 강령군 소재지는 강령읍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황해남도 강령군 역사 # (조선향토대백과, 2008., 평화문제연구소)

4.7. 청단군

명칭 영역(개편 직전) 비고
청단은 고구려시기에 내미홀군(內米忽郡)이라 불렸고, 고려 때부터는 해주(海州)에 속하여 있었으며, 1938년 후에 벽성군(碧城郡)에 속한 지역이었다. 광복 후 38°선 이남지역은 남연백군(南延白郡)에 속하여 있었다. 6 · 25전쟁시기 남연백군이 북반부에 속하였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벽성군 영천면(泳泉面), 동운면(東雲面)과 금산면(錦山面) 6개 리, 남연백군 내성면(來城面), 청룡면(靑龍面), 일신면(日新面), 추화면(秋花面)을 병합하여 청단군(靑丹郡)을 신설하였다.
청단읍(靑丹邑)남연백군 추화면 약현리, 향산리, 만송리, 학남리, 월학리
갈산리(葛山里)벽성군 영천면 갈산리, 좌랑리
영양리(迎陽里)벽성군 영천면 영양리, 수산리, 한우리
장방리(長芳里)벽성군 영천면 장방리, 공해리, 매산리
화양리(花陽里)남연백군 추화면 오천리, 서덕리, 신왕리
칠봉리(七峯里)벽성군 금산면 감수리, 송전리와 추정리 일부
작천리(鵲川里)벽성군 금산면 작천리, 냉정리, 학현리와 추정리 일부
덕달리(德達里)벽성군 동운면 주산리와 덕달리 일부
동대리(東大里)벽성군 동운면 영정리와 사동리 일부
운곡리(雲谷里)벽성군 동운면 공수리, 운양리와 사동리 일부
삼정리(三井里)벽성군 동운면 삼정리, 두동리와 덕달리 일부
화산리(花山里)남연백군 내성면 화전리, 대산리와 벽성군 영천면 척두리
금학리(錦鶴里)남연백군 내성면 금성리, 팔학리, 오봉리
룡포리(龍浦里)남연백군 추화면 마룡리, 순명리
구월리(龜月里)남연백군 청룡면 덕녕리, 학월리, 구정리
영산리(迎山里)남연백군 청룡면 영양리, 맹해리, 학산리, 용매리
신생리(新生里)남연백군 일신면 법교리, 생왕리, 심해리
남촌리(南村里)남연백군 일신면 광전리, 천석리, 제산리
소정리(蘇井里)남연백군 일신면 무정리, 내동리와 내성면 소호리
1읍 18리를 관할하였다. 1954년 10월에 황해도가 황해남도와 황해북도로 분리되면서 황해남도에 소속되었다. 1961년 3월에 영양리를 해주시에 이관하였고, 1965년 1월에 작천리와 장방리를 해주시에 편입하였으며, 1974년 5월에 연안군의 흥산리(興山里), 청정리(淸井里), 심평리(深坪里)를 흡수하였다. 1990년 6월에 영산리 일부, 구월리 일부 지역과 새로 개간한 간석지를 통합하여 신풍리(新豊里)를 신설하였으며, 1991년 9월에 청단읍 일부를 분리하여 대풍리(大豊里)를, 용포리 일부를 분리하여 마룡리(馬龍里)를, 화산리 일부를 분리하여 양화리(陽和里)를 각각 신설하였다.

1996년에 금학리 일부, 갈산리 일부, 양화리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신흥노동자구(新興勞動者區)를 신설하였다.

2003년 현재 행정구역은 1읍(청단읍), 1구(신흥노동자구), 22리(갈산리, 구월리, 금학리, 남촌리, 대풍리, 덕달리, 동대리, 용포리, 마룡리, 삼정리, 소정리, 신생리, 신풍리, 심평리, 양화리, 영산리, 운곡리, 청정리, 칠봉리, 화산리, 화양리, 흥산리)로 구성되어 있다. 청단군 소재지는 청단읍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황해남도 청단군 역사 # (조선향토대백과, 2008., 평화문제연구소)

4.8. 연안군

명칭 영역(개편 직전) 비고
연안읍(延安邑)남연백군 연안면 연성리, 산양리, 봉남리, 모정리, 관천리
자양리(紫陽里)남연백군 연안면 자양리, 봉무리, 단산리
소정리(素井里)남연백군 송봉면 청송리와 호남면 자봉리, 소정리
호남리(湖南里)남연백군 호남면 석천리, 송야리, 개현리
라진포리(羅津浦里)남연백군 연안면 오주리와 호동면 남당리, 라진포리 일부
개안리(開安里)남연백군 연안면 미산리와 호동면 개안리
장곡리(長谷里)남연백군 연안면 장곡리와 봉북면 풍양리
룡호리(龍虎里)남연백군 봉북면 소성리, 용남리, 원동리
해월리(海月里)남연백군 봉북면 산정리, 오현리, 송전리
소아리(小雅里)남연백군 봉서면 월파리, 명천리, 소아리, 반계리
고포리(古浦里)연백군 괘궁면 고포리, 관동리
봉덕리(鳳德里)연백군 목단면 봉덕리, 덕양리, 동운리
아현리(雅峴里)연백군 목단면 탁영리, 아현리, 현리 아현리
창덕리(彰德里)연백군 괘궁면 한정리와 목단면 창덕리, 정동리
도남리(桃南里)연백군 괘궁면 우번리, 도성리, 갈암리
천태리(天台里)남연백군 용도면 송학리, 옥야리, 천태리
발산리(鉢山里)남연백군 용도면 발산리, 현암리, 난계리
부흥리(富興里)남연백군 해룡면 부토리, 맹산리, 흥운리
풍천리(楓川里)남연백군 해룡면 금산리, 금천리, 용남리 풍천리
정촌리(鼎村里)남연백군 봉서면 현죽리, 봉황리, 오성리, 미산리, 정촌리
와룡리(臥龍里)남연백군 송봉면 노정리, 도룡리, 대룡리
청화리(淸華里)남연백군 송봉면 증산리, 청계리, 운계리
호서리(湖西里)남연백군 송봉면 송현리와 호남면 호서리, 읍동리
화양리(華陽里)남연백군 해성면 화양리, 매정리와 호남면 읍항리
신양리(新陽里)남연백군 해성면 일신리, 초양리
해남리(海南里)남연백군 해성면 무릉리, 해남리, 구룡리
흥산리(興山里)연백군 괘궁면 산두리, 구암리, 봉현리, 생금리, 화천리
청정리(淸井里)연백군 용도면 대평리, 안정리, 심계리, 운중리, 청계리
1954년 10월에 황해도가 황해남도와 황해북도로 분도되면서 황해남도 연안군으로 되었다. 1956년 9월에는 정촌리 일부를 분리하여 오현리(梧玄里)를, 호서리 일부와 호남리 일부를 통합하여 송호리(松湖里)를, 청정리 일부를 분리하여 심평리(深坪里)를 각각 신설하였고, 1958년 6월에 해남리 일부로 염전노동자구(鹽田勞動者區)를 신설하였다.

1974년 5월에 흥산리, 심평리, 청정리가 청단군에 편입되었고, 1991년 11월에 고포리를 동산리(東山里)로 개칭하였다.

2003년 현재 행정구역은 1읍(연안읍), 1구(염전노동자구), 27리(개안리, 도남리, 동산리, 나진포리, 용호리, 발산리, 봉덕리, 부흥리, 소아리, 소정리, 송호리, 신양리, 아현리, 오현리, 와룡리, 자양리, 장곡리, 정촌리, 창덕리, 천태리, 청화리, 풍천리, 해남리, 해월리, 호남리, 호서리, 화양리)로 구성되어 있다. 연안군 소재지는 연안읍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황해남도 연안군 역사 # (조선향토대백과, 2008., 평화문제연구소)

4.9. 배천군

명칭 영역(개편 직전) 비고
배천군은 원래 황해도 연백군(延白郡)과 남연백군(南延白郡)의 지역이었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남연백군 은천면(銀川面), 해월면(海月面), 유곡면(柳谷面), 석산면(石山面), 도촌면(道村面), 온정면(溫井面)과 호동면(湖東面) 5개 리, 봉북면(鳳北面) 1개 리, 연백군 운산면(雲山面), 화성면(花城面), 금산면(金山面)을 병합하여 배천군을 편성하였다.
배천읍(白川邑)남연백군 은천면 영천리, 연남리, 연동리, 옥산리, 구암리
강호리(江湖里)남연백군 은천면 성호리와 연백군 운산면 강서리, 우포리 강호리
정촌리(亭村里)은천면 정촌리, 산음리, 홍곡리, 고읍리
봉량리(鳳兩里)은천면 비봉리, 양청리
홍현리(紅峴里)도촌면 마천리와 유곡면 영성리, 충무리
방현리(放峴里)유곡면 이포리, 식현리
수원리(水源里)도촌면 금산리, 지산리, 괴암리
창포리(昌浦里)석산면 문창리, 포운리, 운곡리, 월암리
문산리(文山里)해월면 벽란리, 문산리, 룡봉리
금산리(金山里)해월면 해월리, 환성리, 금산리
운산리(雲山里)온정면 상운리와 해월면 송계리, 토현리, 운산리
유천리(柳川里)유곡면 유천리, 화성리
금곡리(金谷里)유곡면 금곡리, 계화리, 룡현리
신월리(新月里)석산면 묵화리와 도촌면 신월리, 오산리, 토월리, 무구리
향정리(杏亭里)호동면 봉화리와 온정면 향정리, 낙선리, 창동리, 아양리
금성리(錦城里)호동면 거안리와 온정면 금성리, 모례리
추정리(楸井里)호동면 추정리, 유정리, 용산리와 라진포리 일부
수복리(壽福里)석산면 구산리, 수복리, 용동리와 봉북면 광동리
화산리(花山里)연백군 화성면 산전리, 용전리, 금계리, 화산리, 화장리
오봉리(梧鳳里)화성면 호국리, 송천리, 오봉리
일곡리(日谷里)금산면 선성리, 일곡리, 예의리
대아리(大雅里)금산면 선암리, 은산리, 대아리와 장현리 일부
화양리(花陽里)금산면 화양리, 석천리와 장현리 일부
석산리(石山里)운산면 읍릉리, 석산리 대야리
도태리(都台里)운산면 도태리, 주암리 호산리
1954년 10월에 황해도가 황해남도와 황해북도로 분리되면서 황해남도 배천군으로 되었다. 1956년 9월에 수복리 일부, 창포리 일부, 향정리 일부를 병합하여 용동리(龍東里)를, 향정리 일부, 금산리 일부를 병합하여 봉화리(烽火里)를 다시 설치하였으며, 1967년 10월에 향정리 일부, 추정리 일부를 병합하여 역구도리를 신설하였고, 금산리 일부를 봉화리에, 신월리 일부를 홍현리에 각각 편입하였다.

1981년 6월에 봉량리를 봉량노동자구(鳳兩勞動者區)로 개편하였고, 1991년 11월에 도태리가 물길리로 개칭되었다. 1992년 4월에 대아리를 봉천군에 이관하고 봉천군의 원산리(圓山里)를 흡수하였다.

2003년 현재 행정구역은 1읍(배천읍), 1구(봉량노동자구), 26리(강호리, 금곡리, 금산리, 금성리, 용동리, 유천리, 문산리, 물길리, 방현리, 봉화리, 석산리, 수복리, 수원리, 신월리, 역구도리, 오봉리, 운산리, 원산리, 일곡리, 정촌리, 창포리, 추정리, 향정리, 홍현리, 화산리, 화양리)로 구성되어 있다. 배천군 소재지는 배천읍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황해남도 배천군 역사 # (조선향토대백과, 2008., 평화문제연구소)

4.10. 평천군

명칭 영역(개편 직전) 비고
봉천군은 원래 황해도(黃海道) 연백군(延白郡)과 평산군(平山郡)의 지역이었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황해도 연백군의 적암면(積岩面), 산외면(山外面), 서북면(西北面)과 황해도 평산군의 세곡면(細谷面), 용산면(龍山面), 고지면(古之面), 마산면(馬山面)을 통합하여 황해도 평천군을 구성하였다.
평천읍(平泉邑)적암면 온정리, 온후리
은동리(隱洞里)세곡면 도천리, 수동리
행정리(杏亭里)적암면 행정리, 세동리
한정리(寒井里)적암면 한정리, 위동리, 녹동리
신답리(新畓里)적암면 신답리, 송암리, 갈산리
신명리(新明里)적암면 면곡리와 산외면 오봉리, 신명리
황룡리(黃龍里)산외면 황룡리, 설학리, 영청리
원산리(圓山里)서북면 원산리, 화암리, 용진리와 전포리 일부, 조읍리 일부
백석리(白石里)서북면 백석리와 조읍리 일부, 전포리 일부
송정리(松亭里)고지면 송정리, 달성리, 금릉리
연홍리(鳶紅里)서북면 연홍리, 강음리, 광신리
봉암리(鳳岩里)고지면 봉암리, 완정리, 세관리
대룡리(大龍里)고지면 대룡리, 서오리
군동리(群洞里)세곡면 군동리, 오포리, 진보리
누천리(漏川里)세곡면 누천리, 적성리, 석교리
죽동리(竹洞里)세곡면 죽동리, 운봉리, 생금리
응촌리(鷹村里)세곡면 응촌리, 광평리, 덕촌리
주답리(注畓里)마산면 주답리, 입암리, 당후리
성기리(聖基里)마산면 성기리, 천초리, 대경리
한촌리(漢村里)마산면 한촌리, 은촌리, 서촌리
가동리(稼洞里)마산면 가동리, 도평리
화촌리(花村里)용산면 화촌리, 평촌리, 두동리
석사리(石沙里)용산면 석사리, 석탄리, 미수리
광암리(廣岩里)용산면 광암리, 노동리, 삼봉리
간평리(間坪里)마산면 간평리, 석수리
1읍 24리를 관할하였다. 1954년에 황해도가 황해남도와 황해북도로 분도되면서 황해남도 평천군으로 되는 동시에 연홍리 일부를 백석리에, 은동리의 일부와 간평리의 일부를 분리하여 황해북도 인산군 도천리(道川里)를 복귀하였으며, 연홍리 일부와 평산군 용궁리(龍宮里) 일부를 병합하여 용촌리(龍村里)를 신설하였다.

1961년에 은동리가 군동리, 누천리, 응촌리에 분리 편입되면서 폐지되었고, 1974년에 간평리가 응촌리, 주답리, 가동리에 분리 편입되면서 폐지되었다. 1990년에 평천군이 봉천군(鳳泉郡)으로 개칭되면서 백석리가 연홍리, 원산리에 편입되면서 폐지되었다. 1992년에 원산리가 배천군(白川郡)에 이관되었으며, 배천군 대아리(大雅里)가 봉천군에 소속되었다.

2003년 현재 행정구역은 1읍(봉천읍), 22리(가동리, 광암리, 군동리, 대룡리, 대아리, 용촌리, 누천리, 봉암리, 석사리, 성기리, 송정리, 신답리, 신명리, 연홍리, 응촌리, 주답리, 죽동리, 한정리, 한촌리, 행정리, 화촌리, 황룡리)로 구성되어 있다. 봉천군 소재지는 봉천읍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황해남도 봉천군 역사 # (조선향토대백과, 2008., 평화문제연구소)

4.11. 금천군

명칭 영역(개편 직전) 비고
금천읍(金川邑)금천면 잠성리, 금릉리, 영파리, 고동면 구현리
남정리(南亭里)우봉면 대오리, 남정리
룡성리(龍城里)우봉면 룡성리와 평산군 평산면 전도리, 화산리
백마리(白馬里)우봉면 마산리, 묘암리, 장지리
현내리(縣內里)우봉면 우봉리, 송정리, 삼산리
원명리(圓明里)우봉면 원명리, 장릉리와 금천면 소학리
문명리(文明里)금천면 중산리, 학현리, 마전리, 문명리
월암리(月岩里)금천면 갈현리, 용인리, 월암리
덕산리(德山里)고동면 구성리, 덕산리, 나성리
계정리(鷄井里)고동면 송현리, 지동리, 구읍리, 강정리
강북리(江北里)북면 삼소리, 이소리
려현리(礪峴里)북면 식포리, 가토미리, 려현리
산성리(山城里)장풍군 영북면 길상리와 고덕리 일부
강남리(江南里)금천군 북면 일소리, 용현리
양합리(兩合里)금천면 가덕리와 장풍군 영북면 길수리, 고덕리 일부, 소남면 박연리
백양리(白陽里)웅덕면 백양리, 고릉리, 우성리, 용천리
신강리(新江里)웅덕면 신강리, 벽파리, 동화면 봉탄리
1읍 16리를 관할하였다. 1954년에 황해북도 금천군으로 개편되면서 강남리 일부가 여현리에 편입되었고, 1961년에 여현리가 또 강남리 일부를 흡수하고 개성시 개풍군에, 산성리가 개성시 장풍군에 각각 이관되었다.

2002년 10월 현재 행정구역은 1읍(금천읍), 14리(강남리, 강북리, 계정리, 남정리, 덕산리, 양합리, 용성리, 문명리, 백마리, 백양리, 신강리, 원명리, 월암리, 현내리)로 구성되어 있다. 금천군 소재지는 금천읍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황해북도 금천군 역사 # (조선향토대백과, 2008., 평화문제연구소)

4.12. 토산군

명칭 영역(개편 직전) 비고
토산읍(兎山邑)금천군 서천면 성빈리, 시변리, 이구리
양사리(陽寺里)토산면 양사리, 두모리, 결운리
룡암리(龍岩里)토산면 행정리, 세읍리, 장포리
월성리(月城里)토산면 학산리, 상리, 당관리, 연암리
북포리(北浦里)외류면 대북포리와 소북포리
안봉리(安鳳里)합탄면 구량리와 외류면 안봉리, 마우리
황강리(黃江里)외류면 실어리, 청항리, 문수리, 석두리
홍묘리(洪墓里)서천면 홍묘리, 냉정리, 유정리
하남리(下南里)서천면 하남리와 두석리
봉불리(烽佛里)서천면 상사리, 봉불리, 율동리
수합리(水合里)합탄면 미산리, 수원리, 수합리
합탄리(合灘里)합탄면 매후리, 마전리, 도천리, 송탄리
문성리(文城里)구이면 관문리와 문성리
미당리(美堂里)구이면 월전리와 미당리
송세리(松細里)좌면 송세리, 장현리, 북산리, 고산리
백화리(百花里)좌면 암사리와 백화리
송천리(松川里)구이면 송천리와 좌면 구성리
석봉리(石峯里)구이면 덕안리와 무릉리
1읍 17리를 관할하였다. 1954년 10월 황해도가 황해남도와 황해북도로 분도되면서 황해북도 토산군으로 되었다. 1961년 3월 하남리 일부가 봉불리에, 송세리 일부가 백화리에 각각 편입되었으며, 1977년 9월 홍묘리가 매봉리로 개칭되었다. 1981년 6월 봉불리 일부가 토산읍에 흡수되었다.

2002년 10월 현재 행정구역은 1읍(토산읍), 17리(용암리, 매봉리, 문성리, 미당리, 백화리, 봉불리, 북포리, 석봉리, 송세리, 송천리, 수합리, 안봉리, 양사리, 월성리, 하남리, 합탄리, 황강리)로 구성되어 있다. 토산군 소재지는 토산읍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황해북도 토산군 역사 # (조선향토대백과, 2008., 평화문제연구소)

4.13. 재령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신원면, 하성면, 상성면, 은룡면의 3개 리가 신원군(新院郡)에, 서호면의 3개 리가 신천군(信川郡)에, 삼강면의 4개 리, 은룡면의 4개 리가 은파군(銀波郡)에 편입되고 나머지 북률면, 남률면, 재령면, 청천면, 장수면의 전체 리와 서호면의 7개 리, 삼강면의 7개 리, 은룡면의 5개 리를 병합하여 재령군을 새로 구성하였다.
재령읍(載寧邑)재령면 남정리, 수창리, 석정리, 문창리, 향교리, 국화리, 일신리, 신대리, 유화리
동신흥리(東新興里)북률면 동신흥리, 서신흥리, 강서리
대홍리(大洪里)북률면 대홍리, 석포리, 석해리
굴해리(屈海里)북률면 굴해리, 쌍교리와 무상리 일부
북지리(北芝里)북률면 북지리, 내종리, 장하리
남지리(南芝里)북률면 신지리, 남지리, 진초리
강교리(江橋里)북률면 무상리 일부와 남률면 강교리, 방성리, 신연리
내림리(來臨里)남률면 좌곡리, 진곡리, 내림리
벽산리(碧山里)재령면 부성리, 임천리, 벽산리
고잔리(古棧里)남률면 해창리, 고잔리, 야두리
봉천리(蓬泉里)재령면 봉천리, 내야리, 양산리
신환포리(新換浦里)서호면 작도리, 무덕리, 신탄리, 신환포리와 신천군 로월면 덕성리 일부, 굴산리 일부
재천리(財泉里)서호면 왕현리, 재천리, 신전리와 재령면 신정리
고산리(孤山里)재령면 고산리 일부
금산리(金山里)재령면 한천리와 삼강면 금산리금산리를 금산로동자구(金山勞動者區)로 승격하였다.
청룡리(靑龍里)삼강면 청룡리, 학교리, 은산리
룡교리(龍橋里)삼강면 용소리, 설산리, 용교리
부덕리(富德里)청천면 부천리, 부덕리, 망월리
청천리(淸泉里)청천면 곤산리, 청천리
신곶리(新串里)청천면 원내리, 신곶리, 송암리
석탄리(石灘里)청천면 양대리와 은룡면 신창리, 석탄리
봉오리(鳳梧里)은룡면 신유리, 봉오리, 용지리
서원리(書院里)장수면 동락리, 서원리, 재궁리
서림리(西林里)장수면 동림리, 서림리, 식성리
장국리(墻菊里)장수면 장국리, 용천리
양계리(陽溪里)장수면 양계리, 청천리, 양현리
천마리(天摩里)장수면 천마리, 두목리, 학현리
1읍 1구 26리를 관할하였다. 1953년 12월에 벽산리 일부, 봉천리 일부, 고산리 일부, 재천리 일부를 재령읍에 편입하였다. 1954년 10월에 황해남도 재령군으로 되면서 벽산리 일부가 고산리에, 안악군(安岳郡) 덕성리(德成里) 일부가 신환포리에, 신환포리 일부가 안악군 덕성리에, 은파군 양동리(養洞里) 일부가 용교리에, 용교리 일부가 은파군 유정리(柳亭里)에, 봉오리 일부가 은파군 구련리(龜蓮里)에, 청천리 일부가 신천군 동령리(東嶺里)에 각각 흡수되었으며 은파군 신덕리(新德里) 일부와 신원군 운양리(雲陽里) 일부를 병합하여 신덕리(新德里)로 개편하였다.

1961년 3월에 대홍리를 김제원리(金齊元里)로 개칭하였고, 1967년 10월에 신덕리를 신원군에 이관하였으며, 1979년 12월에 청룡리를 삼지강리(三支江里)로 개칭하였다. 1988년에 고잔리가 내림리에 편입되었다.

2003년 현재 행정구역은 1읍(재령읍), 1구(금산노동자구), 24리(강교리, 고산리, 굴해리, 김제원리, 남지리, 동신흥리, 내림리, 용교리, 벽산리, 봉오리, 봉천리, 부덕리, 북지리, 삼지강리, 서림리, 서원리, 석탄리, 신곶리, 신환포리, 양계리, 장국리, 재천리, 천마리, 청천리)로 구성되어 있다. 재령군 소재지는 재령읍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황해남도 재령군 역사 # (조선향토대백과, 2008., 평화문제연구소)

4.14. 신원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황해도 재령군(載寧郡) 신원면(新院面), 하성면(下聖面), 상성면(上聖面) 전체 리와 은룡면(銀龍面) 3개 리, 벽성군(碧城郡) 나덕면(羅德面) 7개 리, 금산면(錦山面) 3개 리를 신원군을 구성하였다.
신원읍(新院邑)신원면 신원리
무학리(舞鶴里)신원면 무학리, 신대리
화석리(花石里)신원면 계남리, 화석리, 원고리
가려리(佳麗里)신원면 기양리, 송학리, 가려리
백우리(白隅里)신원면 송림리, 가국리, 백우리
염탄리(鹽灘里)신원면 염탄리, 신정리
검촌리(儉村里)하성면 신덕리, 벽화리, 검촌리
대청리(大廳里)하성면 대청리 대청리를 신덕노동자구(新德勞動者區)로 승격하였다.
아양리(峨洋里)하성면 운대리, 아양리
장금리(長錦里)하성면 장금리, 갈산리, 송향리
영월리(靈月里)하성면 입암리, 영월리, 삼학리
덕현리(德峴里)하성면 덕현리와 상성면 관암리
월당리(月堂里)하성면 용호리와 상성면 월당리
신촌리(新村里)상성면 중곡리, 상신리, 신촌리
청석두리(靑石頭里)상성면 청석두리
수원리(水源里)상성면 천정리, 수원리
율라리(栗蘿里)상성면 율라리, 병암리
운양리(雲陽里)재령군 은룡면 수남리, 창전리, 운양리
중덕리(中德里)벽성군 나덕면 통천리, 내곡리, 중덕리와 나치리 일부
자하리(紫霞里)나덕면 한평리 일부와 전산리, 자하리
신창리(新昌里)금산면 선산리, 신창리, 부산리
1읍 20리를 관할하였다. 1953년 12월에 백우리 일부를 신원읍에, 신촌리 일부를 은파군 갈현리에, 운양리 일부를 은파군 기산리에 각각 편입하였다.

1954년 10월에 황해도가 황해남도와 황해북도로 분도될 때 황해남도 신원군으로 되면서 덕현리가 영월리에, 신창리 일부가 율라리에, 신촌리 일부가 청석두리에, 황해북도 인산군 수현리(水峴里) 일부가 수원리에 각각 편입되었으며 화석리 일부와 중덕리 일부, 자하리 일부를 병합하여 계남리(桂南里)를 복귀하였다. 동시에 신촌리 나머지 일부와 운양리 일부를 병합하여 황해북도 은파군 신촌리로, 운양리 일부와 은파군 신덕리 일부를 병합하여 재령군 신덕리로 각각 개편하였다.

1958년 6월에 아양리 일부를 신덕노동자구에 편입하고, 신덕노동자구를 신원읍으로 승격하였으며, 신원읍을 신흥리(新興里)로 강등하였다. 1961년 3월에 중덕리를 계남리에 편입하고, 1967년 10월에 재령군 신덕리(新德里)를 흡수하였으며, 1993년 12월에 신흥리를 무학리에 편입하였다. 1995년 9월에 신원읍의 일부로 하성노동자구(下成勞動者區)를 신설하였다.

2003년 현재 행정구역은 1읍(신원읍), 1구(하성노동자구), 18리(가려리, 검촌리, 계남리, 영월리, 율라리, 무학리, 백우리, 수원리, 신덕리, 신창리, 아양리, 염탄리, 운양리, 월당리, 자하리, 장금리, 청석두리, 화석리)로 구성되어 있다. 신원군 소재지는 신원읍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황해남도 신원군 역사 # (조선향토대백과, 2008., 평화문제연구소)

4.15. 송화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1952년 군면리 대폐합 시에 따라 송화면, 율리면, 상리면, 진풍면, 풍해면, 천동면, 하리면의 전체 리와 연정면의 9개 리, 연방면의 7개 리, 운유면의 10개 리 그리고 삼천군(三泉郡) 초리면(草里面)의 1개 리와 궁흥면(弓興面)의 1개 리로 송화군을 구성하였다.
송화읍(松禾邑)송화면 읍내리
생왕리(生旺里)송화면 선암리, 약산리, 생왕리
홍암리(鴻岩里)송화면 홍암리, 화당리와 연정면 화암리
수증리(壽增里)송화면 무당리, 부왕리와 용정리 일부
용호리(龍虎里)송화면 용호리와 연정면 두죽리, 부산리
명례리(明禮里)송화면 옥현리와 연방면 명례리, 신천군 초리면 수원리
다암리(多岩里)연방면 다암리, 방림리와 신천군 궁흥면 성암리
구탄리(九灘里)연방면 백화리, 구탄리, 마산리
온천리(溫泉里)연방면 연교리와 연정면 운룡리, 온수리, 광대리
관양리(觀陽里)연정면 고양리, 백석리, 관어정리
산수리(山水里)하리면 수사리와 율리면 대촌리, 신촌리
율리(栗里)율리면 대밀리, 월현리, 당잠리, 세진리
운산리(雲山里)율리면 보덕리와 운유면 당관리, 당산리, 조항리
사기리(砂器里)운유면 간촌리, 다천리, 사기리
룡학리(龍鶴里)운유면 용수리, 송학리
송곡리(松谷里)운유면 송곡리, 송현리와 풍해면 천남리
세교리(細橋里)풍해면 성상리, 세교리와 하리면 장천리
장암리(長岩里)하리면 노정리, 안농리와 풍해면 문헌리
풍해리(豊海里)풍해면 성하리, 천북리
오정리(五井里)하리면 청량리, 오정리, 두복리
수풍리(水豊里)상리면 도은리, 철관리와 화천리 일부
신평리(薪坪里)상리면 신풍리, 와룡리
초도리(椒島里)풍해면 소사리, 이현리
포구리(浦口里)천동면 포정리, 석탄리, 유포리
월사리(月沙里)진풍면 동현리, 월사리
덕안리(德安里)진풍면 학계리, 덕안리
신대리(新大里)천동면 우영리, 신촌리, 대야리
염전리(鹽田里)진풍면 수산리, 태을리, 태양리
석도리(席島里)진풍면 석도리
덕정리(德井里)진풍면 내안리, 덕정리
1읍 29리를 관할하였다. 1954년 10월에 황해도가 황해남도와 황해북도로 분도되면서 황해남도 송화군으로 개편되었으며, 1958년에 세교리가 풍해리에 편입되었고, 1963년 3월에 풍해리, 신평리, 수풍리, 신대리, 염전리, 포구리, 덕안리, 월사리, 덕정리, 오정리, 장암리, 송곡리, 용학리, 사기리, 운산리, 율리, 산수리, 초도리, 석도리 등 19개 리를 분리하여 송화과수농장지구를 신설하였다.

1967년 10월에 은률군(殷栗郡) 원당리(院堂里)를 흡수하였고, 송화과수농장지구에 속하였던 19개 리를 분리하여 과일군을 신설하였으며, 1981년 생왕리를 약산리(藥山里)로 개칭하였다.

2003년 현재 행정구역은 1읍(송화읍), 10리(관양리, 구탄리, 다암리, 용호리, 명례리, 수증리, 약산리, 온천리, 원당리, 홍암리)로 구성되어 있다. 송화군 소재지는 송화읍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황해남도 송화군 역사 # (조선향토대백과, 2008., 평화문제연구소)

4.16. 은률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은률면, 일도면, 이도면, 서부면, 남부면, 북부면, 장련면을 병합하여 황해도 은률군을 다시 구성하였다.
은률읍(殷栗邑)은률면 남천리, 홍문리, 조산리
연암리(鳶岩里)서부면 용암리와 은률면 선암리, 무산리
산승리(山勝里)은률면 풍산리, 난문리
낙천리(樂泉里)북부면 가락리, 양정리와 은률면 냉천리
구월리(九月里)일도면 누리, 우산리, 농림리, 신암리
구보리(九寶里)일도면 보림리, 장통리, 구양리
원평리(院坪里)남부면 봉암리, 개원리, 석천리, 계림리
구왕리(救王里)남부면 구왕리, 만화리와 서부면 송림리 일부
산동리(山東里)남부면 정곡리, 산동리, 장암리
원당리(院堂里)남부면 청석리, 청계리, 남창리, 갈산리와 송화군 송화면 용정리 일부, 상리면 화천리 일부
웅도리(熊島里)서부면 웅도리, 청양도리
삼리(三里)서부면 고암리, 석교리, 양정리
운성리(雲城里)서부면 강운리, 운성리, 곡리
가천리(佳泉里)서부면 이문리, 가천리, 신기리
대조리(大棗里)서부면 대조리, 내리, 장암리와 송림리 일부
관산리(冠山里)북부면 운산리, 사이리, 간담리
서곡리(西谷里)북부면 신흥리, 성산리, 동곡리, 서곡리
금산리(金山里)북부면 금산리, 해정리, 와룡리
서해리(西海里)이도면 서해리, 승학리
금천리(金川里)이도면 고정리, 생팔리
송관리(松觀里)이도면 오리포리, 어양리, 지내리
이도포리(二道浦里)이도면 가당리, 감정리
철산리(鐵山里)이도면 문성리, 운전리, 고현리
관해리(觀海里)장련면 관해리, 사리, 용포리, 감적리
장련리(長連里)장련면 동부리, 서부리
율리(栗里)장련면 붕암리, 학리, 율리
금복리(今卜里)장련면 직전리, 화천리, 금복리
1개 읍, 26개 리를 관할하였다. 1954년 10월에 황해도가 황해남도와 황해북도로 분도될 때 황해남도 은률군으로 되면서 웅도리를 삼리에 편입하였다. 1963년 11월에 금산리가 금산포노동자구(金山浦勞動者區)로 승격되고 구보리가 장련리와 관산리에 분리 편입되면서 폐지되어 1개 읍, 1개 구, 23개 리를 관할하였다.

1967년 10월에 원당리가 송화군에 이관되고, 1981년 10월에 구왕리가 은혜리(恩惠里)로 개칭되었으며, 1988년 5월에 송관리가 남포시 와우도구역에 편입되었다.

2003년 현재 행정구역은 1읍(은률읍), 1구(금산포노동자구), 21리(가천리, 관산리, 관해리, 구월리, 금복리, 금천리, 대조리, 낙천리, 율리, 산동리, 산승리, 삼리, 서곡리, 서해리, 연암리, 운성리, 원평리, 은혜리, 이도포리, 장련리, 철산리)로 구성되어 있다. 은률군 소재지는 은률읍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황해남도 은률군 역사 # (조선향토대백과, 2008., 평화문제연구소)

4.17. 장연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해안면, 대구면과 용연면 13개 리가 용연군에 편입되었고, 목감면, 속달면, 후남면이 태탄군에 편입되었으며, 순택면, 신화면, 장연면, 낙도면 전체 리와 용연면 2개 리, 송화군(松禾郡) 연정면(蓮井面) 2개 리, 운유면(雲遊面) 1개 리를 통합하여 황해도 장연군으로 개편되었다.
장연읍(長淵邑)장연면 읍후리, 읍내리, 읍남리, 읍외리, 읍동리, 읍서리
산천리(山川里)낙도면 월장리, 삼천리, 도습리
송경리(松境里)낙도면 송죽리, 지경리, 오응리
명천리(明川里)장연면 칠남리, 칠북리와 송화군 연정면 율사리
청계리(淸溪里)장연면 곡암리, 죽계리
화원리(花園里)장연면 읍전리와 길촌리
산수리(山水里)순택면 상좌리, 승탑리
학림리(鶴林里)순택면 두현리, 학현리, 창현리
창파리(滄波里)순택면 갈사리, 왕제리
태자리(太子里)신화면 군산리, 신령리, 쌍월리
광천리(鑛泉里)신화면 휴동리, 삼은리, 서곶리와 송화군 운유면 서의리
금사리(金沙里)신화면 대사리, 휴서리, 자양리
백촌리(白村里)신화면 효제리, 야랑리, 금산리
추화리(秋花里)용연면 복구리와 서원리
삼산리(三山里)신화면 도산리, 삼현리
박산리(礡山里)순택면 여산리, 박산리와 송화군 연정면 조령리
눌산리(訥山里)순택면 눌산리, 종현리, 비석포리
세마리(細馬里)낙도면 세마리
낙흥리(樂興里)낙도면 낙흥리와 천사리
석장리(石長里)낙도면 석장리
선정리(仙亭里)장연면 선정리
1읍 20리를 관할하였다. 1952년 12월에 송경리가 낙연노동자구(樂淵勞動者區)로 개편되었고, 1954년에 황해도가 황해남도와 황해북도로 분도되면서 황해남도 장연군으로 되었다. 1981년 10월에 태자리가 샘물리로 개칭되었다. 1990년 6월에 산천리 일부가 낙연노동자구에 편입되었고, 같은 해 9월에 백촌리를 해안리(海岸里)로 개칭하였다.

2003년 현재 행정구역은 1읍(장연읍), 1구(낙연노동자구), 19리(광천리, 금사리, 눌산리, 낙흥리, 명천리, 박산리, 산수리, 산천리, 삼산리, 샘물리, 석장리, 선정리, 세마리, 창파리, 청계리, 추화리, 학림리, 해안리, 화원리)로 구성되어 있다. 장연군 소재지는 장연읍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황해남도 장연군 역사 # (조선향토대백과, 2008., 평화문제연구소)

4.18. 태탄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장연군 목감면, 속달면, 후남면과 벽성군 대거면 전체 리, 운산면 6개 리, 장곡면 1개 리, 옹진군(북한) 가천면 3개 리, 송화군 도원면 공세리 일부를 통합하여 황해도 태탄군을 신설하였다.
태탄읍(苔灘邑)장연군 속달면 하태탄리, 상태탄리, 속달리
목감리(牧甘里)목감면 도원리와 지촌리
학천리(鶴踐里)장연군 목감면 노평리, 신문리, 공세리와 송화군 도원면 공세리 일부
삼봉리(三峯里)목감면 용봉리, 극락리, 나당리
광탄리(廣灘里)속달면 용산리, 남교리와 목감면 무산리, 화금리
기암리(基岩里)속달면 호암리와 목감면 기동리, 당안리
성남리(城南里)속달면 영남리, 영서리, 성오리
부양리(釜洋里)후남면 한애리, 부양리, 남호리
향초리(香草里)후남면 반계리, 향초리, 중평리
원촌리(院村里)후남면 원촌리, 도지리
고현리(古縣里)장연군 후남면 삼가리, 고현리, 성저리
지촌리(芝村里)벽성군 운산면 오담리, 황금리, 지촌리
운산리(雲山里)운산면 당동리, 백정리, 관동리
유정리(柳亭里)장곡면 회산리 일부와 운산면 유정리
의거리(義擧里)대거면 갈현리, 도평리, 과산리
대진리(代陣里)대거면 강정리, 숙달리, 종평리
은동리(隱洞里)대거면 수동리, 은동리
옥암리(玉岩里)옹진군 가천면 성변리, 가암리, 옥천리
곡정리(谷井里)장연군 후남면 곡정리, 학포리
1읍 18리를 관할하였다. 1953년 12월에 삼천군 공세리(公稅里)가 이관되었고, 1954년 10월에 황해도가 황해남도와 황해북도로 분도되면서 황해남도 태탄군으로 되었다. 1956년 9월에 옥암리 일부와 은동리 일부 수동리(水洞里)를 복귀하였고 은동리 나머지 일부는 옹진군 은동리로 개편되었다. 1958년에 성남리 일부가 태탄읍에 편입되었고, 1961년 3월에 곡정리, 향초리, 원촌리, 고현리를 용연군에 이관하였으며, 공세리 일부를 학천리에, 학천리 일부를 공세리에 각각 편입하였다.

1981년에 성남리 일부를 태탄읍에 편입하였고, 1991년 11월에 의거리를 과산리(苽山里)로 개칭하였으며, 1992년에 광탄리를 무산리(茂山里)로 개칭하였다.

2003년 현재 행정구역은 1읍(태탄읍), 15리(공세리, 과산리, 기암리, 대진리, 유정리, 목감리, 무산리, 부양리, 삼봉리, 성남리, 수동리, 옥암리, 운산리, 지촌리, 학천리)로 구성되어 있다. 태탄군 소재지는 태탄읍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황해남도 태탄군 역사 # (조선향토대백과, 2008., 평화문제연구소)

4.19. 룡연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1952년 12월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장연군 해안면(海安面), 대구면(大救面) 전체와 용연면 13개 리를 병합하여 황해도 용연군을 신설하였다.
룡연읍(龍淵邑)장연군 해안면 구진리, 병산리와 대구면 룡전리
룡호리(龍湖里)룡연면 제산리, 기남리, 송계리
선포리(船浦里)대구면 선대리, 송탄리
가평리(佳坪里)대구면 가전리, 교평리, 선원리
사원리(寺原里)대구면 두산리, 룡반리
룡정리(龍井里)룡연면 룡정리, 도경리, 룡연리
근록리(芹轆里)룡연면 근록리, 태화리
석교리(石橋里)룡연면 석교리, 길동리, 초동리
평촌리(平村里)룡연면 우평리, 신오리
봉태리(烽台里)해안면 봉태리, 부성리
순계리(蓴溪里)해안면 순계리, 대촌리
몽금포리(夢金浦里)해안면 몽금포리, 신안리
장산리(長山里)해안면 장산리, 선교리
오차진리(吾叉鎭里)해안면 오차진리
구미리(九味里)대구면 구미리, 송천리
금수리(金水里)대구면 금수리
1읍 15리를 관할하였다. 1954년 10월 황해도가 황해남도와 황해북도로 분도되면서 황해남도 용연군으로 되었다. 1961년 3월에 태탄군(苔灘郡)의 원촌리(院村里), 향초리(香草里), 고현리(古縣里), 곡정리(谷井里)가 편입되었으며, 1967년 10월에 원촌리 일부를 분리하여 남창리(南倉里)를 신설하고, 1983년 1월에 금수리(金水里)를 등산리(登山里)로 개칭하였다.

2003년 현재 행정구역은 1읍(용연읍), 20리(가평리, 고현리, 곡정리, 구미리, 근록리, 남창리, 등산리, 용정리, 용호리, 몽금포리, 봉태리, 사원리, 석교리, 선포리, 순계리, 오차진리, 원촌리, 장산리, 평촌리, 향초리)로 구성되어 있다. 용연군 소재지는 용연읍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황해남도 용연군 역사 # (조선향토대백과, 2008., 평화문제연구소)

4.20. 신천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문화면 5개 리, 문무면 8개 리, 초리면 9개 리, 궁흥면 12개 리가 삼천군에, 초리면 1개 리, 궁홍면 1개 리가 송화군에, 노월면 일부와 산천면, 용진면이 안악군에 각각 편입되었고, 나머지 신천면, 용문면, 남부면, 두라면, 가련면, 온천면, 북부면, 가산면 전체와 노월면 일부, 문무면 1개 리, 문화면 6개 리, 재령군 서호면 3개 리를 통합하여 신천군을 구성하였다.
신천읍(信川邑)신천면 사직리, 척서리, 교탑리, 무정리와 양장리 일부, 동양리 일부, 남부면 부정리 일부, 서부리 일부
사창리(司倉里)용문면 성당리, 남산리, 매추리, 사창리
복우리(福隅里)용문면 삼황리, 복우리, 사정리, 냉정리
반정리(泮亭里)신천면 양장리 일부, 용문면 반정리, 청송리
능동리(陵洞里)남부면 천봉리, 비봉리, 능동리
서원리(書院里)남부면 화남리, 청양리, 서원리와 서부리 일부
봉황리(鳳凰里)남부면 한은리, 봉황리와 부정리 일부
석교리(石橋里)두라면 신전리, 쌍천리, 청계리, 청산리, 삼산리
호암리(虎岩里)두라면 간동리, 봉래리, 원동리, 백운리
명사리(明沙里)가련면 명사리, 조우리, 난전리, 지봉리
동령리(東嶺里)가련면 백산리, 동령리, 백련리
발산리(鉢山里)온천면 발산리, 한정리와 송정리 일부, 가련면 미산리
월성리(月城里)남부면 마산리와 가련면 사견리, 월성리
원암리(猿岩里)신천면 동양리 일부, 대관리, 원암리
우룡리(雨龍里)북부면 야죽리, 산죽리, 승도리
석당리(石塘里)북부면 서호리, 석당리, 동창리와 로월면 오국리 일부, 설매리 일부
우산리(牛山里)노월면 둔리 일부와 북부면 구동리, 남천리, 우산리
청산리(靑山里)북부면 청산리, 수철리, 토성리, 신풍리
용당리(龍塘里)온천면 용당리, 산수리, 운봉리와 송정리 일부
송오리(松梧里)신천면 송오리와 온천면 추산리, 고송리, 가산면 룡천리
온천리(溫泉里)온천면 온천리, 장재리, 진우리
석봉리(石峯里)가산면 배촌리, 용두리, 간성리, 은천리
백석리(白石里)가산면 백석리, 송련리, 서정리와 온천면 용구리, 재령군 재령면 고산리 일부
명석리(明石里)재령군 서호면 창석리, 신호리, 석산리
화산리(花産里)문화면 화암리, 화산리
건산리(乾山里)문무면 건산리와 문화면 동각리, 서정리
룡산리(龍山里)문화면 룡산리, 연봉리
1읍 26리를 관할하였다. 1954년 10월에 황해남도 신천군으로 되면서 재령군 청천리 일부가 동령리에 흡수되었다. 1958년 6월에 벽성군 도락리(道樂里), 냉정리(冷井里), 지남리(指南里)가 편입되었고, 1959년 2월에 벽성군 온천리가 편입되면서 이목리(梨木里)로 개칭되었다. 1965년 1월에 원암리 일부가 신천읍에 편입되었으며, 1967년 10월에 온천리 일부를 분리하여 장재리(長財里)를 복귀하고, 송오리 일부와 원암리 일부를 온천리에 편입하였다. 1977년 9월에 석봉리를 새날리로, 봉황리를 새길리로 각각 개칭하였다. 1981년 10월에 능동리를 근로자리(勤勞者里)로 개칭하였다.

2003년 현재 행정구역은 1읍(신천읍), 31리(건산리, 근로자리, 도락리, 동령리, 냉정리, 용당리, 용산리, 이목리, 명사리, 명석리, 반정리, 발산리, 백석리, 복우리, 사창리, 새길리, 새날리, 서원리, 석교리, 석당리, 송오리, 온천리, 우룡리, 우산리, 원암리, 월성리, 장재리, 지남리, 청산리, 호암리, 화산리)로 구성되어 있다. 신천군 소재지는 신천읍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황해남도 신천군 역사 # (조선향토대백과, 2008., 평화문제연구소)

4.21. 삼천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삼천군은 본래 송화군(松禾郡)과 신천군(信川郡)의 일부 지역에 속해 있었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송화군 봉래면(蓬萊面), 장양면(長陽面)과 연방면(蓮芳面) 2개 리, 신천군 궁흥면(弓興面) 12개 리, 문무면(文武面) 8개 리, 초리면(草里面) 9개 리, 문화면(文化面) 5개 리를 통합하여 황해도 삼천군을 신설하였다.
삼천읍(三泉邑)궁흥면 삼천리 문박리 치수리
궁흥리(弓興里)문무면 괴정리 궁흥면 응봉리 초리면 청산리
방남리(芳南里)봉래면 내괴리 앵가리 득성리 석교리
룡천리(龍泉里)봉래면 산천리 능동리, 장양면 효촌리
연평리(蓮坪里)장양면 주련리 평촌리 학령리
괴정리(槐亭里)장양면 전산리 연산리 모정리 괴원리
고현리(古縣里)문무면 고현리 묘각리 축령리
추릉리(楸陵里)문무면 추릉리 동곡리 양암리
달천리(達泉里)문무면 월남리 초리면 흥학리 달천리
도명리(道明里)도명리 백현리 월산리
신명리(新明里)초리면 거문리 신명리 용학리
만궁리(彎弓里)궁흥면 만궁리 룡천리
금천리(金川里)궁흥면 오원리 석정리 금천리
월봉리(月峯里)궁흥면 농사리 월봉리
룡암리(龍岩里)궁흥면 룡암리, 연방면 청사리 관천리
탑평리(塔坪里)도원면 가화리 탑평리
군산리(群山里)도원면 매계리 도암리 군산리
공세리(公稅里)산현리 화계리와 공세리 일부
자양리(紫陽里)장양면 순막리 자양리
도봉리(道峯里)장양면 동자리 애천리 억소리
덕천리(德泉里)문화면 탄현리 천내리 덕천리
수장리(壽長里)용현리 수장리
수교리(水橋里)봉래면 수교리 수이리
1읍 22리를 관할하였다. 1953년에 공세리가 태탄군에 편입되었고, 1954년에 황해도가 황해남도와 황해북도로 분리될 때 황해남도에 소속되면서 만궁리 일부가 삼천읍에, 방남리 일부가 수교리에 편입되었다. 1958년에 만궁리가 삼천읍에, 자양리가 도봉리에 편입되었고, 1967년에 도봉리 일부가 연평리에 편입되었다.

2003년 현재 행정구역은 1읍(삼천읍), 19리(고현리, 괴정리, 군산리, 궁흥리, 금천리, 달천리, 덕천리, 도명리, 도봉리, 연평리, 용암리, 용천리, 방남리, 수교리, 수장리, 신명리, 월봉리, 추릉리, 탑평리)로 구성되어 있다. 삼천군 소재지는 삼천읍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황해남도 삼천군 역사 # (조선향토대백과, 2008., 평화문제연구소)

4.22. 안악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안악군 은홍면, 대행면, 서하면, 안곡면, 용문면이 분리되어 은천군을 신설하였고, 안악군 안악면, 용순면, 대원면, 문산면과 신천군 산천면, 용진면, 노월면 일부로 안악군을 구성하였다.
안악읍(安岳邑)안악군 안악면 비석리, 신장리, 소천리, 판팔리, 유성리, 남암리, 판칠리, 서산리, 훈련리
판륙리(板六里)안악면 판오리, 판륙리, 차신리
남정리(南井里)안악면 남정리, 용석리, 해창리
연등리(燃燈里)안악면 연곡리, 수삼리
평정리(坪井里)안악면 어은리, 평정리, 사현리
구와리(龜臥里)대원면 송산리, 굴륭리, 엄곶일리
대추리(大楸里)대원면 망암리, 상산리, 당오리, 당전리
원룡리(元龍里)대원면 원룡일리, 원룡이리, 하금일리, 하금이리
엄곶리(嚴串里)대원면 엄곶북리, 엄곶동리, 엄곶서리
봉성리(鳳城里)대원면 덕산리, 봉성리, 가양리
복사리(伏獅里)대원면 복사리, 월암리
금강리(金岡里)문산면 금강리, 원성리, 안랑리
신촌리(新村里)문산면 신당리, 상당리, 신촌리
유성리(楡城里)문산면 감문리, 송간리, 유성리
유설리(柳雪里)용순면 유설리, 옥정리, 유순리, 가정리
로암리(路岩里)안악군 용순면 신곡리, 신률리, 노암리, 장산리
오국리(五局里)신천군 노월면 설매리, 쌍교리와 오국리 일부, 둔리 일부
마명리(馬鳴里)노월면 마명리 일부와 성월리, 초당리, 청룡리
굴산리(屈山里)노월면 동성리, 월음리, 구창리와 굴산리 일부
덕성리(德成里)노월면 덕성리 일부와 고초리, 정례리
월산리(月山里)산천면 월송리, 송오리, 사산리
한월리(漢月里)산천면 한양리, 용정리, 용월리
강산리(江山里)산천면 강촌리, 대덕리, 산현리
룡산리(龍山里)동산리, 순흥리, 용동리
경지리(境地里)산천면 경지리, 사읍리, 천내리와 노월면 마명리 일부
월지리(月池里)용진면 유천리, 삼봉리, 현천리, 석성리
월정리(月精里)용진면 운계리, 월정리, 박달리
패엽리(貝葉里)용진면 패엽리, 사문리, 삼성리
1읍 27리를 관할하였다. 1954년 10월에 황해도가 황해남도와 황해북도로 분도될 때 황해남도 안악군으로 되면서 구와리 일부가 복사리에, 금강리 일부가 은천군 매화리에, 남정리 일부가 평정리에, 대추리 일부가 굴산리에, 덕성리 일부가 재령군 신환포리에, 재령군 신환포리 일부가 덕성리에, 노암리 일부가 한월리에 각각 편입되었다. 1974년 5월에 유설리가 덕성리, 오국리, 노암리에 분리 편입되면서 폐지되었다.

2003년 현재 행정구역은 1읍(안악읍), 26리(강산리, 경지리, 구와리, 굴산리, 금강리, 남정리, 대추리, 덕성리, 노암리, 용산리, 마명리, 복사리, 봉성리, 신촌리, 엄곶리, 연등리, 오국리, 원룡리, 월산리, 월정리, 월지리, 유성리, 판륙리, 패엽리, 평정리, 한월리)로 구성되어 있다. 안악군 소재지는 안악읍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황해남도 안악군 역사 # (조선향토대백과, 2008., 평화문제연구소)

4.23. 은천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안악군(安岳郡) 은홍면(銀紅面), 대행면(大杏面), 서하면(西河面), 안곡면(安谷面), 룡문면(龍門面)을 분리하여 황해도에 신설한 군이다.
은천읍(銀泉邑)은홍면 온정리, 광석리, 약봉리
초교리(草郊里)은홍면 원봉리, 보광리, 학산리
신창리(新倉里)은홍면 내평리, 신창리, 상홍리, 운봉리
덕양리(德陽里)은홍면 용덕리, 두양리, 매석리, 청천리
송봉리(松峯里)대행면 월촌리, 한봉리, 송당리
제도리(猪島里)대행면 제도리
남산리(南山里)대행면 적둔리, 석운리, 추산리 남산리
삼산리(三山里)대행면 굴산리, 창운리
양담리(兩潭里)대행면 양담리, 생근리, 광풍리, 풍곡리
마두리(馬頭里)서하면 신장리
복두리(卜頭里)서하면 복두리, 상요리, 중기리
덕천리(德泉里)서하면 상촌리, 덕일리, 매천리
초정리(椒井里)서하면 초정리, 중도리, 상보리
제량리(濟梁里)안곡면 제중리, 동량리, 봉곡리, 상사리
안리(安里)안곡면 중하리, 신덕리, 만월리
학천리(鶴泉里)안곡면 동파리, 용천리, 학포리, 상룡리
학월리(鶴月里)안곡면 학산리, 장월리, 북삼리, 당석리
매화리(玫花里)용문면 매화리, 송곡리, 상무리
동창리(東倉里)안곡면 금정리와 용문면의 동창리, 석양리, 상덕리
정동리(貞洞里)안곡면 낙암리와 용문면의 덕학리, 신오리, 용운리
1읍 19리를 관할하였다. 1954년에 황해도가 황해남도와 황해북도로 분도되면서 황해남도 은천군으로 되었다. 같은 해에 안악군 금강리 일부가 매화리에 편입되었다. 1986년 12월에 제량리를 은혜리(恩惠里)로 개칭하였다. 1991년 5월에 초정리의 일부, 학월리의 일부, 안리의 일부와 새로 개간한 간석지를 통합하여 청대리(靑代里)를, 복두리의 일부와 새로 개간한 간석지를 통합하여 양지리(陽地里)를, 양담리의 일부와 제도리의 일부 그리고 새로 개간한 간석지를 통합하여 남해리(南海里)를 각각 신설하였다.

2003년 현재 행정구역은 1읍(은천읍), 22리(남산리, 남해리, 덕양리, 덕천리, 동창리, 양담리, 마두리, 매화리, 복두리, 삼산리, 송봉리, 신창리, 안리, 양지리, 은혜리, 정동리, 제도리, 청대리, 초교리, 초정리, 학월리, 학천리)로 구성되어 있다. 은천군 소재지는 은천읍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황해남도 은천군 역사 # (조선향토대백과, 2008., 평화문제연구소)

5. 평안남도

명칭 영역(개편직전) 비고
대동군(大同郡)대동군
강서군(江西郡)
룡강군(龍岡郡)룡강군 룡강면,
증산군(甑山郡)강서군 면,
온천군(溫泉郡)룡강군 대대면, 신녕면, 금곡면, 귀성면, 서화면, 룡월면, 해운면
순안군(順安郡)평원군 면,1972년에 평양시에 편입
평원군(平原郡)평원군 면,
숙천군(肅川郡)평원군 면
문덕군(文德郡)안주군 면
안주군(安州郡)안주군 안주면, 신안주면,
개천군(价川郡)개천군 면
강남군(江南郡)
중화군(中和郡)
상원군(祥原郡)
강동군(江南郡)
승호군(勝湖郡)
성천군(成川郡)
회창군(檜倉郡)
신양군(新陽郡)
양덕군(陽德郡)
순천군(順川郡)순천군
은산군(銀山郡)
북창군(北倉郡)
맹산군(孟山郡)
덕천군(德川郡)덕천군
녕원군(寧遠郡)
대흥군(大興郡)
중화군중화군 + 상원군[14] + 강남군중화군과 상원군은 1959년 평양시 거쳐 2010년 황해북도로 편입.
강동군 강동군 + 승호군승호군은 1959년 평양시 승호구역을 거쳐 2010년 황해북도로 편입.
순천군 + 은산군
맹산군 + 덕천군맹산군 + 덕천군 + 북창군[15]
양덕군양덕군 + 신양군[16]
성천군성천군 + 회창군[17]성천군 대구면은 신설된 신양군에 편입.
용강군 용강군 + 온천군
강서군 강서군 + 증산군[18]
평원군 평원군 + 숙천군 + 순안군순안군은 현재 평양에 편입.
안주군 안주군 + 문덕군[19]
녕원군녕원군 + 대흥군[20] 대흥군은 1954년 함경남도로 이관되었다가(이때 구 성룡면과 온화면 지역을 녕원군에 돌려줌) 1972년 다시 평안남도로 복귀함.
개편 전 개편 후 비고
중화군중화군 + 상원군[21] + 강남군중화군과 상원군은 1959년 평양시 거쳐 2010년 황해북도로 편입.
강동군강동군 + 승호군승호군은 1959년 평양시 승호구역을 거쳐 2010년 황해북도로 편입.
순천군순천군 + 은산군
맹산군 + 덕천군맹산군 + 덕천군 + 북창군[22]
양덕군양덕군 + 신양군[23]
성천군성천군 + 회창군[24]성천군 대구면은 신설된 신양군에 편입.
용강군용강군 + 온천군[25]
강서군강서군 + 증산군[26]
평원군평원군 + 숙천군 + 순안군 순안군은 현재 평양에 편입.
안주군안주군 + 문덕군[27]
녕원군녕원군 + 대흥군[28] 대흥군은 1954년 함경남도로 이관되었다가(이때 구 성룡면과 온화면 지역을 녕원군에 돌려줌) 1972년 다시 평안남도로 복귀함.


[14] 상원면, 수산면, 천곡면과 강동군 풍동면 및 강동면 일부. 황주군 천주면 일부 포함.[15] 맹산군 옥천면, 봉인면, 학천면, 덕천군 잠도면, 잠상면[16] 양덕군 쌍룡면, 화촌면, 오강면, 성천군 대구면[17] 성천군 숭인면, 대곡면, 릉중면과 구룡면 일부 황해도 곡산군 봉명면 일부[18] 함종면, 신정면, 증산면, 적송면, 성대면과 반석면 9개 리 합병해 증산군[19] 용화면, 대리면, 입석면, 연호면[20] 성룡면, 대흥면, 소백면, 신창면, 온화면 5개리, 덕화면 3개리[21] 상원면, 수산면, 천곡면과 강동군 풍동면 및 강동면 일부. 황주군 천주면 일부 포함.[22] 맹산군 옥천면, 봉인면, 학천면, 덕천군 잠도면, 잠상면[23] 양덕군 쌍룡면, 화촌면, 오강면, 성천군 대구면[24] 성천군 숭인면, 대곡면, 릉중면과 구룡면 일부 황해도 곡산군 봉명면 일부[25] 대대면, 신녕면, 금곡면, 귀성면, 서화면, 룡월면, 해운면[26] 함종면, 신정면, 증산면, 적송면, 성대면과 반석면 9개 리 합병해 증산군[27] 용화면, 대리면, 입석면, 연호면[28] 성룡면, 대흥면, 소백면, 신창면, 온화면 5개리, 덕화면 3개리

5.1. 남포시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5.2. 대동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순안면(順安面), 동암면(東巖面), 양화면(兩花面), 재경리면(在京里面), 부산면(斧山面), 룡악면(龍岳面)을 순안군(順安郡)에, 림원면(林原面)의 2개 리를 평양시 서구역에 각각 편입하고, 고평면(古平面), 룡산면(龍山面), 김제면(金祭面), 남형제산면(南兄弟山面)의 전체 리와 림원면의 8개 리, 평원군(북한) 덕산면(德山面)의 7개 리를 병합하여 새로 대동군을 구성하였다.
대동읍(大同邑)대동군 용산면 조전리, 초담리, 상리, 하리
룡산리(龍山里)대동군 용산면 소룡리, 전촌리, 상구로리
룡봉리(龍峯里)대동군 용산면 용봉리, 용악리, 오류리
원로리(元魯里)대동군 용산면 원로리, 구촌리, 하구로리
만경대리(萬景臺里)대동군 고평면 내리, 송산리, 남리, 서리
망일리(望日里)대동군 고평면 망일리, 장광리
금천리(金泉里)대동군 고평면 금천리, 신흥리, 시산리
대평리(大平里)대동군 고평면 광탄리, 차리, 일화리
원장리(院場里)대동군 금제면 원장일리, 원장이리, 이인리
순화리(順和里)대동군 금제면 노하리, 은적리
장산리(長山里)대동군 남형제산면 장산리 일부와 금제면 산수리 상지리 가정리
학수리(鶴水里)대동군 금제면 위박리, 학림리, 목당리
금정리(金井里)대동군 금제면 맥산리, 대정리, 정리
서제리(西祭里)대동군 금제면 외제리, 황각리, 부창리
고산리(孤山里)대동군 남형제산면 고산리, 적갈리, 승침리
와우리(臥牛里)대동군 남형제산면 와우리, 학교리, 마흘리, 노포리
시정리(柴井里)대동군 남형제산면 시정리, 작산리와 장산리 일부
고천리(古泉里)대동군 남형제산면 고천리, 내리, 모로리, 사포리
당촌리(棠村里)대동군 남형제산면 당촌리, 자류리, 사리
서포리(西浦里)대동군 임원면 서룡리, 동포리, 상동리
화성리(和盛里)대동군 임원면 화성리, 기암리
청계리(淸溪里)대동군 임원면 청계리, 와산리, 운월리
덕촌리(德村里)평원군 덕산면 유촌리, 덕수리, 귤리
덕화리(德華里)평원군 덕산면 화산리, 검암리, 주촌리, 봉도리
천남리(川南里)대동군 남형제산면 천남리, 이계리, 하당리, 남교리 천남리
1읍 24리를 관할하였다. 1953년에 천남리를 분리하여 하당리(下堂里)를 복귀하였으며, 1954년에 하당리 일부를 당촌리에 넘겼다.

1957년 4월에 청계리 일부를 분리하여 평양시 서구역(西區域)에 와산동(臥山洞)을 신설하였고, 1958년 6월에 화성리 일부가 순안군에 편입되었다. 1959년 2월에 서포리 하당리를 평양시 서성구역에, 화성리와 청계리를 평양시 대성구역(大城區域)에 이관하였으며, 같은 해 9월에 대동읍 만경대리, 용봉리, 용산리, 당촌리, 고천리를 평양시 만경대구역(萬景臺區域)에, 천남리를 평양시 서성구역에 이관하고 증산군(甑山郡)의 마산리(馬山里), 성칠리(星七里), 성삼리(星三里), 연곡리(硯谷里), 가장리(可庄里), 반석리(班石里)와 강서군의 팔청리(八靑里), 대보산리(大寶山里)를 흡수하였다. 동시에 시정리(柴井里)를 대동읍으로 개편하였다.

1960년 10월 금천리 일부가 평양시 만경대구역 만경대리에 편입되었다. 1961년에 대동읍을 시정노동자구(柴井勞動者區)로 개편하고 원장리를 대동읍으로 승격하였으며 성칠리 일부를 마산리에 편입하였다. 1966년에 원로리, 금천리, 망일리, 대평리가 평양시 만경대구역에 이관되었다.

1967년에 장산리 일부와 평양시 만경대구역 원로리 일부 원천리(元川里)를 신설하였으며, 순화리 일부와 금정리 일부를 분리하여 대동읍에 편입하였다. 1972년에 순안군의 상서리(上西里), 판교리(板橋里), 중석화리(中石花里), 오금리(梧琴里)를 흡수하였다. 1986년 12월에 대보산리, 팔청리, 반석리가 남포시(南浦市) 강서구역(江西區域)에 이관되었다가, 다시 대동군에 귀속되었으며, 1987년에 대보산리가 팔청리 일부를 흡수하고 남포시 강서구역에 이관되었다. 동시에 팔청리 일부가 남포시에 편입되었다.

2003년 현재 행정구역은 1읍(대동읍), 1구(시정노동자구), 21리(가장리, 고산리, 금정리, 덕촌리, 덕화리, 마산리, 반석리, 상서리, 서제리, 성삼리, 성칠리, 순화리, 연곡리, 오금리, 와우리, 원천리, 장산리, 중석화리, 판교리, 팔청리, 학수리)로 구성되어 있다. 대동군 소재지는 대동읍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 평안남도 대동군 역사 (조선향토대백과, 2008., 평화문제연구소)

5.3. 강서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5.4. 룡강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5.5. 증산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증산군 지역은 본래 평안남도 강서군의 지역이었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강서군(江西郡) 함종면(咸從面), 신정면(新井面), 증산면(甑山面), 적송면(赤松面), 성태면(星台面), 반석면(班石面), 쌍룡면(雙龍面)을 병합하여 증산군을 다시 구성하였다.
증산읍(甑山邑)증산면 화선리, 영천리, 이안리, 취룡리, 사과리
청산리(淸山里)신정면 후현리, 신리와 증산면 두만리
사천리(沙川里)반석면 상사리와 쌍룡면 운포리, 신경리, 산경리
문동리(文洞里)쌍룡면 다족일리, 다족이리, 기리
림성리(林城里)쌍룡면 림성리, 창포리, 봉오리와 증산면 정양리
반석리(班石里)반석면 반이리, 반오리, 반륙리
광제리(廣濟里)증산면 광제리, 오화리와 적송면 청령리
낙생리(樂生里)증산면 낙생리, 반룡리, 오흥리, 부암리, 미회리
무본리(務本里)증산면 무본리, 승영리, 가풍리, 정실리
신흥리(新興里)신정면 구련리, 진사리, 화산리, 탄현리
이압리(二鴨里)신정면 대흥리, 하청리, 연하리와 증산면 저명리
풍정리(豊井里)신정면 이리, 삼리, 사리와 함종면 일중리
적송리(赤松里)적송면 석일리, 석륙리, 석칠리
룡덕리(龍德里)증산면 자봉리, 룡덕리와 적송면 곡신리, 삼부리
석다리(石多里)적송면 석이리, 석삼리, 석오리, 석사리
가장리(可庄里)반석면 반일리, 반삼리, 반사리, 하사리와 성태면 가장리
성태리(星台里)성태면 성이리, 성삼리, 성륙리, 성칠리
금송리(金宋里)성태면 성사리, 성오리, 금송리
마산리(馬山里)성태면 원당리, 태일리, 태사리
연곡리(硯谷里)성태면 연곡리, 금연리, 대마리, 성일리
발산리(鉢山里)함종면 고경리, 여오개리, 범오리, 발산리
함종리(咸從里)함종면 홍범리, 석교리, 송동리, 함종리
장안리(長安里)함종면 미석리, 달상리, 계양리
안석리(安石里)함종면 계산리, 봉황리, 안석리
1읍 23리를 관할하였다. 1953년에 성태리를 성삼리(星三里)와 성칠리(星七里)로 분리 개편하였고, 1958년에 장안리의 일부 지역과 안석리를 온천군(溫泉郡)에 편입하였다. 1959년에 신흥리 일부를 풍정리에 편입하는 동시에 마산리, 성삼리, 성칠리, 가장리, 반석리, 연곡리를 대동군(大同郡)에 이관하였고, 1962년에 이압리 일부를 풍정리에 넘겼으며, 1981년에 장안리를 만풍리(滿豊里)로 개칭하였다.

2003년 현재 행정구역은 1읍(증산읍), 17리(광제리, 금송리, 낙생리, 용덕리, 임성리, 만풍리, 무본리, 문동리, 발산리, 사천리, 석다리, 신흥리, 이압리, 적송리, 청산리, 풍정리, 함종리)로 구성되어 있다. 증산군 소재지는 증산읍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평안남도 증산군 역사 # (조선향토대백과, 2008., 평화문제연구소)

5.6. 온천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5.7. 순안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5.8. 평원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5.9. 숙천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5.10. 문덕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5.11. 안주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5.12. 개천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개천군 6개 면의 전체 리와 안주군 동면(東面)의 금서리(錦西里) · 금천리(錦川里) 일부와 평안북도 영변군(寧邊郡) 연산면(延山面)의 도화리(島花里)를 병합하여 개천군을 새로 구성하였다.
개천읍(价川邑)개천면 군우일리, 군우이리, 군우삼리와 삼포리
군우리(軍隅里)개천면 용성리, 견룡일리와 북면 용등이리
외서리(外西里)개천면 신송리와 운포리
보부리(寶富里)개천면 견룡이리, 송학리, 마장리
청룡리(靑龍里)중남면 청곡리, 잠계리와 중서면 용흥리
용진리(龍津里)중서면 운룡리와 신현리
대각리(臺閣里)중남면 남양리, 인곡리, 삼소리
서남리(西南里)중서면 용탄리, 부암리와 중남면 용원리
광도리(光島里)중남면 광덕일리와 광덕이리, 답도리
외동리(外東里)봉동면 오봉리, 중리
묵방리(墨坊里)봉동면 봉하리, 기양리
봉창리(鳳倉里)봉동면 금평리, 신흥리, 봉창리, 상리
알일리(戞日里)조양면 운흥리, 용봉리, 신립리
용운리(龍雲里)조양면 용현리, 쌍룡리, 운양리
구읍리(舊邑里)조양면 봉명리, 용복리, 승창리
내동리(內洞里)조양면 동림리, 당아리, 저리
북원리(北院里)북면 원리, 용연리, 인흥리
남전리(藍田里)북면 용담일리와 남전일리
용담리(龍潭里)북면 남전이리와 용담이리용담노동자구(龍潭勞動者區)로 승격되었다.
삼봉리(三峯里)북면 봉천리와 삼봉리
준혁리(俊赫里)개천군 북면 용등일리와 개천면 중흥리
도화리(島花里)평안북도 영변군 연산면 도화리와 평안남도 안주군 동면 금천리 일부· 금서리, 개천군 개천면 연당리
1읍 22리를 관할하였다. 1953년 12월에 순천군 용암리(龍巖里)를 흡수하고 서남리 일부를 안주군 상서리(祥瑞里)에 편입하였다. 1958년 6월 알일리 일부가 조양노동자구(朝陽勞動者區)로 개편되었다. 1961년 3월에 남전리가 노동자구로 승격되었고, 1963년 11월에 삼봉리, 용진리, 묵방리가 각각 노동자구로 승격되었으며, 1967년 10월에 북원리, 군우리, 알일리가 각각 노동자구로 승격되었다. 동시에 남전노동자구 일부가 용담노동자구에, 용담노동자구 일부가 남전노동자구에 각각 편입되었다. 1969년 12월에 서남리가 용원노동자구(龍源勞動者區)로 개편되었으며, 용암리가 용원노동자구에 흡수되었고, 1984년에 봉창리가 북창군(北倉郡)에 이관되었다.

1990년 8월 군이 개천시로 승격되면서 개천읍과 준혁리 일부를 병합하여 삼포동(三浦洞)으로, 개천읍 일부와 군우노동자구 일부를 병합하여 천리길동 · 광복동(光復洞) · 군우동(軍隅洞)으로, 개천읍 나머지 일부를 신성동(新成洞)으로, 군우노동자구 일부를 약수동(藥水洞)으로, 군우노동자구 나머지 일부와 보부리 일부를 병합하여 강철동(鋼鐵洞)으로, 보부리 일부와 용진노동자구 일부를 병합하여 건지동(巾之洞)으로, 보부리 나머지 일부를 남천동(南川洞)으로, 용진노동자구 나머지 일부를 용진동(龍津洞)으로, 남전노동자구를 분리하여 자작동(自作洞)과 전진동(前進洞)으로, 용담노동자구를 남전동(藍田洞)으로, 조양노동자구를 조양동(朝陽洞)으로, 삼봉노동자구를 분리하여 봉천동(鳳泉洞) · 삼봉동(三峯洞)으로, 북원노동자구를 분리하여 인흥동(仁興洞)과 북원동(北院洞)으로, 용원노동자구를 분리하여 용원동(龍源洞) · 각암동(閣巖洞) · 용암동(龍巖洞)으로, 알일노동자구를 알일동(戞日洞)으로, 묵방노동자구를 묵방동(墨坊洞)으로, 용운리 일부와 구읍리 일부를 병합하여 승창동(承昌洞)으로, 용운리 일부와 대각리 일부를 병합하여 용대동(龍臺洞)으로 각각 개편하였다.

1993년에 내동리가 동림리(桐林里)로 개칭되었다. 1997년에 용원동이 서남동(西南洞)으로 개칭되었고, 안주시 송암동 일부를 흡수하여 용원동으로 개편하였다.

2003년 현재 행정구역은 26동(각암동, 강철동, 건지동, 광복동, 군우동, 남천동, 남전동, 용대동, 용암동, 용원동, 용진동, 묵방동, 봉천동, 북원동, 삼봉동, 삼포동, 서남동, 승창동, 신성동, 알일동, 약수동, 인흥동, 자작동, 전진동, 조양동, 천리길동), 11리(광도리, 구읍리, 대각리, 도화리, 동림리, 용운리, 보부리, 외동리, 외서리, 준혁리, 청룡리)로 구성되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평안남도 개천시 역사 # (조선향토대백과, 2008., 평화문제연구소)

5.13. 강남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5.14. 중화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5.15. 상원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5.16. 강동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5.17. 승호군

명칭 영역(개편직전) 비고
승호읍(勝湖邑)강동군 승호면 승호일리, 승호이리, 승호삼리, 파릉리, 응암리, 대성리1960년에 평양시에 편입되며 승호동으로 강등
리천리(梨川里)청룡면 리천리, 법수리, 리목리
괴음리(槐陰里)승호면 괴음리, 운학리, 립석리, 광청리
화천리(貨泉里)승호면 화천리
금옥리(金玉里)승호면 금옥리 삼등면 청탄리
리현리(梨峴里)청룡면 리현리, 모운리, 래도리
오류리(五柳里)청룡면 오류리
대원리(大園里)청룡면 대원리, 추미리, 삼합리, 대수리, 회리, 산사리
금탄리(金灘里)청룡면 금탄리, 사도리, 양지리, 기림리, 지탄리
고비리(高飛里)원탄면 고비리 훈암리
봉도리(鳳島里)원탄면 봉도리, 송오리, 마산리
삼청리(三靑里)원탄면 흑룡리, 삼청리, 탑하리
원흥리(圓興里)원탄면 원흥리, 내리, 신룡리, 상리, 하리
원신리(元新里)원탄면 원신리, 문우리, 남경리
성문리(聖文里)시족면 성문리, 련화리, 철봉리
대천리(大泉里)시족면 대천리, 송학리, 지산리, 송화리
로산리(魯山里)시족면 로산리, 삼산리, 내리, 토포리, 성산리
삼석리(三石里)시족면 삼석리, 청운리, 건지리, 석삼리
호남리(湖南里)시족면 호남리, 남경리 원탄면 표대리

5.18. 성천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5.19. 회창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5.20. 신양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5.21. 양덕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5.22. 순천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5.23. 은산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5.24. 북창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5.25. 맹산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5.26. 덕천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5.27. 녕원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5.28. 대흥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6. 평안북도

개편 전 개편 후 비고
의주군 의주군 + 피현군[29]
룡천군 룡천군 + 염주군[30] 동산면은 피현군에 편입.
철산군 철산군 + 염주군 일부 + 동림군 일부 + 피현군 일부
선천군 동림군 동림군 일부 지역은 철산군으로부터 편입.
정주군 정주군 + 곽산군[31]
박천군 박천군[32] + 운전군
녕변군 녕변군 + 구장군[33] + 향산군[34] 향산군은 2023년 자강도로 편입.
운산군 운산군 + 북진군 북진군은 1954년에 폐지돼 운산군에 편입. 불과 2년 뒤
구성군 구성군 + 천마군[35]
창성군 창성군 + 동창군
벽동군 벽동군 + 우시군[36] 1954년 우시군자강도로 편입.
삭주군 삭주군 + 대관군[37] + 청성군[38] 청성군은 1974년에 폐지돼 삭주군에 편입.


[29] 의주군 피현면, 월화면, 위원면 전역과 룡천군 동산면 전역, 고관면 일부, 신주시 일부, 철산군 일부[30] 구 룡천군 외하면, 외상면, 내중면 전역과 부라면 대부분[31] 곽산면, 림포면, 안흥면, 관주면과 옥천면 14리, 남서면 1리[32] 박천군 박천면, 동남면, 덕안면, 양가면 전역, 청룡면, 가산면 일부, 녕변군 독산면, 평안남도 안주군 안주면 일부[33] 녕변군 룡산면, 백령면, 남신현면, 오리면 일부, 고성면 일부[34] 녕변군 북신현면, 태평면, 남송면 일부[35] 일부는 의주군에서 편입.[36] 벽동군 우시면, 오북면, 가별면과 벽동면 일부[37] 삭주군 남서면, 외남면, 량산면 및 수풍면 일부[38] 단, 광평면, 가산면, 옥상면은 본래 의주군 소속

6.1. 신의주시

개편 전 개편 후 비고

6.2. 의주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6.3. 피현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6.4. 천마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6.5. 구성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6.6. 태천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6.7. 운산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6.8. 녕변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6.9. 향산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6.10. 선천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6.11. 철산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6.12. 룡천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6.13. 염주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6.14. 청성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6.15. 동림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6.16. 곽산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6.17. 정주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6.18. 운전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6.19. 박천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박천읍(博川邑)박천군 박천면 동부리, 서부리, 남부리, 북부리, 남호리, 고성리 일부
봉성리(鳳城里)박천면 봉하리, 묵방리, 고성리 일부
석계리(石溪里)박천면 정항리, 장등리, 석화리
중남리(中南里)박천면 남하리, 중남리, 사직리
원남리(元南里)박천면 원남리, 용흥리, 원진리
송석리(松石里)박천면 송사리, 석우리, 병천리, 등산리
덕삼리(德三里)박천면 삼안리, 덕중리, 창덕리
학암리(鶴巖里)박천면 학등리, 동남면 진석리, 진암리
봉흥리(鳳興里)동남면 일원리, 박천면 봉상리, 미력리
상양리(上陽里)동남면 당상리, 대양리, 상강리
맹상리(孟上里)동남면 맹상리, 동남리, 동이리
송도리(松道里)동남면 서송리, 송봉리, 도남리
맹하리(孟下里)동남면 맹중리, 동하리, 남송리
율곡리(栗谷里)덕안면 남오리, 동사리, 서오리
형팔리(亨八里)덕안면 북일리, 이봉리, 북상리, 동봉리
청산리(靑山里)덕안면 사륙리, 하칠리
신평리(新坪里)덕안면 가흥리, 구룡리, 서공리, 유초리
단산리(端山里)덕안면 동팔리, 망우리
보석리(寶石里)양가면 보석리, 어리, 지석리
구련리(九蓮里)양가면 연담리, 연지리, 구정리
영미리(嶺美里)양가면 서동리, 미림리, 영미리, 유동리
서삼리(西三里)양가면 심현리, 덕인리, 심대리
봉덕리(鳳德里)양가면 봉산리, 덕달리
동삼리(東三里)양가면 자하리, 선사리, 동문리
삼봉리(三峯里)청룡면 봉지리, 인덕리, 응봉리
청룡리(靑龍里)청룡면 만수리, 자신리, 대화리
대연리(大淵里)가산면 내리, 대성리 청룡면 소삼리
삼화리(三和里)청룡면 장신리, 일화리, 은룡리
기송리(箕松里)녕변군 독산면 송성리, 송신리, 기성리
룡흥리(龍興里)독산면 용흥리, 용연리, 화죽리
남흥리(南興里)독산면 덕흥리, 남평리
수룡리(水龍里)독산면 용전리, 수우리 수룡리
덕성리(德星里)독산면 성흥리, 덕성리
차장리(差壯里)평안남도 안주군 안주면 차장리, 신성리

6.20. 구장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6.21. 북진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6.22. 대관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6.23. 삭주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6.24. 동창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6.25. 창성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6.26. 벽동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6.27. 우시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7. 자강도

개편 전 개편 후 비고
장강군[39] 장강군 + 시중군 일부[40] 공북면 부지리는 성간군으로 편입.
만포군[41] 만포군 + 시중군 일부[42]
희천군 희천군 + 동신군[43] 명문리(현 송원군 송원읍), 양지리는 1967년 송원군에 편입
자성군 자성군 + 중강군 + 화평군 일부[44]
전천군[45] 전천군 + 룡림군[46] + 성간군[47]
초산군 초산군 + 고풍군[48] + 송원군[49] 위원군 새태면 4개리 편입.
후창군 후창군 + 화평군 일부[50] 후창군은 1954년 량강도에 편입.


[39] 원래 강계군이나 1949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강계군 강계읍이 강계시로 승격해 떨어져 나가고 북부, 남부가 각각 만포군, 전천군으로 떨어져 나간 후 남은 나머지 지역에 함경남도 장진군 동문면을 편입한 후 장강군으로 개명.[40] 장강군 곡하면, 어뢰면.[41] 1949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강계군 만포읍, 고산면, 외귀면, 이서면, 시중면을 분리하여 신설.[42] 만포군 시중면[43] 희천군 신풍면, 동창면, 장동면과 동면 일부[44] 후창군 칠평면, 남신면, 자성군 리평면 12개 리.[45] 1949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강계군 전천면, 화경면, 성간면, 간북면, 입관면, 용림면을 분리하여 신설.[46] 전천군 용림면, 입관면 5개 리.[47] 전천군 성간면, 간북면, 단, 부지리는 구 장강군 소속.[48] 초산군 고면, 풍면, 강면.[49] 초산군 송면, 판면, 도원면.[50] 후창군 칠평면, 남신면, 자성군 리평면 12개리 합병

7.1. 강계시

서산동
류동
고영동
연풍동
신문동
남산동
관정동
만수동

부창동
내룡동
서원동
동문동
구정동
명륜동
외룡동
두흥리

공귀리
공인리
석현리
동부리
남문리
향로리
강서리

7.2. 만포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만포읍
벌오리
연포리
송학리
문악리
미타리
송하리
흥판리

삼강리
포상리
리남리
춘산리
연하리
약수리
함부리
건상리

남상리
둥공리
건중리
오류리
건하리
연상리
해방로동자구

7.3. 희천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희천읍
원명리
평원리
청상리
청운리
향천리
전평리
동문리

마선리
명대리
극성리
송지리
갈현리
지신리
부흥리
류중리

장평리
관대리
양지리
남신리
명문리
상서리
청하리

7.4. 장강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장강읍
향하리
신성리
무덕리
명신리
성장리
황청리
승방리

장항리
장명리
종포리
원평리
랑림로동자구
오일로동자구

7.5. 화평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화평읍
송덕리
대흥리
가산리
부남리
흑수리
가림리
진송리

석막리
양계리
중흥리
소북리
회중리
리평리
장백로동자구

7.6. 시중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시중읍
천성리
풍청리
풍룡리
흥주리
심귀리
진리
천장리

상청리
종인리
쌍부리
로남리
안찬리
연평리
쌍신리

7.7. 자성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자성읍
운봉리
삼거리
화전리
서해리
량덕리
호례리
조아리

귀인리
상평리
법동리
역수리
류삼리
연풍리
대남리
자작리

신풍리
송암리
관평리
수침리
구중영리

7.8. 중강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중강읍
중상리
건하리
련풍리
진평리
덕삼리
초당리
만흥리

장흥리
상장리
중덕리
호남리
조속리
토성리
원동리
호하리

호상리

7.9. 송원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송원읍
송파리
판평리
판삼리
상거리
월숭리
신흥리
중평리

원대리
차평리
월현리
창덕리
회양리
전창리
송관리
송천리

7.10. 고풍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고풍읍
방성리
삼평리
월명리
문덕리
룡당리
룡풍리
룡대리

룡곡리
룡성리
동도리
석상리

7.11. 위원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위원읍
구읍리
월평리
도봉리
락민리
고성리
덕암리
송진리

신연리
고보리
향양리
구암리
룡탄리
개원리
량강리
대야리

어곡리
광천리
창평리
축포리
룡연리
삼각리
지산리
부흥리

7.12. 초산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초산읍
양도리
운평리
련무리
룡상리
장토리
안찬리
수칭리
인리
직리
구룡리
화건리
화신리
신창리
구평리
하창리
송묘리
충상리
리산리
련풍리
신양송리

7.13. 성간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성간읍
백암리
백자리
무채리
무선리
북리
남리
부지리
오보로리
외서리
성하리
외중리
쌍방리
동산리
수침리
중성간리

7.14. 전천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전천읍
화암리
무평리
장림리
창덕리
운리
회덕리
신적리
운송리
창평리
리만리
고인리
신계리
진평리
화룡리
길다리

7.15. 룡림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룡림읍
구룡리
남흥리
광성리
남상리
룡운리
신흥리
후지리
두문리
룡문리
천산리
도양리
화양리

7.16. 동신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동신읍
경흥리
원흥리
룡평리
관리
동흥리
백산리
석포리
서양리
문화리
수전리
금석리
온천리
온사리
아롱성리

7.17. 후창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후창읍
남사리
록림리
련하리
련송리
고읍리
대응리
라죽리
무창리
포삼리
연포리
부전리
죽전리
금창리
로탄리
회양리
운중리
월탄리
령저리
룡출리

8. 함경남도

개편 전 개편 후 비고
함주군 함주군 + 퇴조군[51] + 오로군[52] 1960년 퇴조군은 함흥시 직할시 승격 당시 퇴조구역과 덕산구역으로 분할 편입. 1981년 오로군은 영광군으 1982년 퇴조군은 락원군으로 이름 변경
정평군 정평군 + 신상군 1974년 신상군 폐지 및 정평군에 통합.
영흥군 영흥군 + 인흥군 + 요덕군 인흥군은 1974년 영흥으로 재편입. 이후 영흥군은 금야군으로 명칭을 바꾼다.
고원군 고원군 + 수동군 수동군은 1974년 폐지 후 1990년 수동구로 복구됐다가 2020년 수동군으로 재편됐다가 다시 2023년 폐지.
북청군 북청군 + 신포군 + 덕성군[53] 1995년 일부 지역 금호지구로 독립.
단천군 단천군 + 광천군 일부[54] + 허천군 일부[55] 광천군은 1974년 단천군에 편입.
신흥군 신흥군 + 부전군[56] 1954년 부전령 이남 16개리(구 영고면, 상원천면, 하원천면) 신흥군 환원. 1954년 량강도로 편입되고, 1965년 함남 환원
장진군 장진군 + 부전군 일부[57] + 랑림군[58] 랑림군은 1954년 자강도로 편입.
풍산군 풍산군 + 풍서군[59]+ 허천군 일부 풍산군은 분군 동시에 갑산군 산남면 일부 편입. 풍산군은 1954년 량강도에 편입, 1990년엔 김형권군 으로 개칭.
삼수군 삼수군 + 신파군[60] 신파군은 1981년 김정숙군으로 개칭 당했다.
갑산군 갑산군[61] + 풍서군 일부
혜산군 혜산시[62] + 보천군[63]


[51] 퇴조면, 덕산면, 동천면, 홍원군 삼호면[52] 구 함주군 하조양면, 상기천면, 하기천면, 주북면, 기곡면[53] 구 북청군 덕성면 일부 및 상차서면, 하차서면, 니곡면, 성대면[54] 단천군 이중면, 광천면, 남두일면, 북두일면(8개 리)[55] 구 단천군 수하면[56] 신흥군 영고면, 상원천면, 하원천면, 동상면 및 장진군 동하면[57] 장진군 동하면[58] 장진군 북면, 동하면과 상남면 1개 리, 자강도 장강군 동문면[59] 웅이면 전역과 풍산면 일부.[60] 신파면, 자서면, 삼서면 전체 호인면 일부[61] 갑산면, 회린면, 동인면, 진동면 전역과 산남면 대부분을 통합해 갑산군을 재편성하였다(29리)[62] 운흥면, 별동면 편입.[63] 구 혜산군 보천면, 대진면.

8.1. 함흥시

8.2. 흥남시

9. 함경북도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김책군(金策郡)김책군 학동면, 학중면, 학서면, 학성면 14개리1951년에 학성군(鶴城郡)에서 개칭, 1961년에 김책시(金策市)에 편입
길주군(吉州郡)길주군 길주면, 장백면, 덕산면, 웅평면, 양사면 3개리
화대군(花臺郡)길주군 동해면과 명천군 하고면, 하가면, 상고면 1개리, 상가면 10개리
명천군(明川郡)명천군 아간면, 상고면 8개리, 상가면 4개리
영안군(永安郡)명천군 북면, 하우면, 서면, 동면 11개리, 남면 10개리 경성군 어랑면 3개리1961년에 명간군으로 개칭, 1981년에 화성군(化成郡)으로 재개칭, 2005년에 명간군으로 군명 복구
어랑군(漁郞郡)경성군 주남면, 어랑면 21개리, 주북면 16개리
경성군(鏡城郡)경성군 주을온면, 경성면, 주북면 1개리
삼사군(三社郡)무산군 삼사면(三社面)과 길주군 양사면(陽社面) 3개리1954년에 백암군으로 개칭 및 량강도에 편입
연사군(延社郡)무산군 연사면(延社面) 삼장면(三長面) 5개리1961년에 연사군 5개 로동자구 량강도 보천군 1개 로동자구, 포태리로 량강도 삼지연군을 구성, 1978년에 연사군삼지연군에서 다시 량강도 대홍단군을 분리, 2019년에 삼지연시로 승격
부령군(富寧郡)부령군 청암면, 부령면, 석막면, 수성면 7개리, 서상면 4개리 라진군 련천면, 부거면 4개리
무산군(茂山郡)무산군 동면, 어하면, 연상면, 삼장면(三長面) 2개리, 무산면 9개리 부령군 서상면 2개리
유선군(遊仙郡)회령군 보을면, 영풍면, 벽성면 2개리 무산군 무산면 2개리 1974년에 회령군에 편입되었다.
회령군(會寧郡)회령군 회령군 회령면, 창두면, 화풍면, 팔을면 5개리, 벽성면 4개리 부령군 서상면 1개리, 종성군 남산면 2개리
종성군(鐘城郡)종성군 풍곡면, 룡계면, 행영면, 종성면 4개리, 남산면 4개리1974년에 회령군온성군에 분할 편입되었다.
라진군(羅津郡)라진군 풍해면, 관해면, 라진면 12개리, 삼해면 6개리, 부거면 5개리2001년에 라선시 라진지구로 개편
웅기군(雄基郡)경흥군 웅기면(雄基面), 로서면(蘆西面), 화방면(華方面) 1개리, 경흥면(慶興面) 3개리 라진군 라진면 1개리 1981년에 선봉군으로 개칭, 2001년에 라선시 선봉지구로 개편
경원군(慶源郡)경원군 룡덕면, 안농면, 동원면, 경원면, 아산면 1개리 온성군 훈융면 3개리
경흥군(慶興郡)경흥군 아오지면(阿吾地面), 유덕면, 경흥면 7개리, 화방면 4개리 경원군 아산면(阿山面) 10개리, 회령군 팔을면(八乙面) 1개리
온성군(穩城郡)온성군 남양면, 온성면, 미포면, 영와면, 영충면 1개리 종성군 종성면 1개리

9.1. 청진시

개편 전 개편 후 비고
신진동, 천마동, 관해동, 남강동, 민주동, 인곡동, 수남동, 어항동, 강덕리, 농포리, 월포리, 룡호리, 대서수라리, 동서수라리, 창평리

군면리 대페합에 따라 송흥리가 월포리(月浦里)에, 룡향리가 강덕리(康德里)에 편입되면서 페지되였다.

9.2. 김책시

개편 전 개편 후
쌍포리,
련호리
성남리,
장현리,
룡소리,
만춘리,
은호리,
달리리,
금천리
김책군 학성면 장현리, 금천리 학남면 룡소리, 만춘리, 은호리, 달리리가 김책시에

9.3. 라남시

개편 전 개편 후 비고
평화리(平和里)
리곡리,신흥리,룡암리,봉암리,어유리
룡천리
회향리
라북리
부윤리
경성군 경성면 룡천리()
경성군 경성면 회양리()
경성군 경성면 라북리()
경성군 경성면 부윤리는 라남시(羅南市)에

9.4. 김책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김책읍(金策邑) 학성면 학성리 1953년에 학성리(鶴城里)로 격하, 1954년에 김책읍으로 재승격, 복귀
탄소리,
송중리,
홍평리,
림명리,
수동리,
방학리(放鶴里) 학중면 송하리, 송상리
옥천리,
호통리,
송흥리,
원평리,
업억리,
덕인리,
덕만리,
세천리,
탑하리,
동흥리,
학동리,
룡호리,
원진리,
춘동리,
수사리,
왕덕리,
성상리

학서면 청학리, 신흥리, 련풍리 덕만리(德滿里)
학동면 석호리, 룡연리, 룡암리 원진리(源津里)
학성면 장평리 탄소리 탄소리(炭素里)
학성면 송중리 농성리 송중리(松中里)
학성면 양호리 흥평리 흥평리(興坪里)
학중면 수동리 학서면 탑평리 일부 수동리(水洞里)
학성면 호양리 호통리 호통리(湖通里)
학성면 송흥리 상평리 송흥리(松興里)
학서면 업억리 탑평리 일부 업억리(業億里)
학서면 세천리 차삼리 세천리(細川里)
학동면 동흥리 하천리 동흥리(東興里)
학동면 한동리 방동리 학동리(鶴東里)
학동면 룡호리 룡호리(龍湖里)
학동면 성상리 성하리 성상리(城上里)
학중면 림명리 김책군 림명리(臨溟里)
학성면 옥천리 김책군 옥천리(玉泉里)
학서면 원평리 김책군 원평리(院坪里)
학서면 덕인리 김책군 덕인리(德仁里)
학동면 탑하리 김책군 탑하리(塔下里)
학상면 수사리 김책군 수사리(水使里)
학성면 왕덕리 김책군 왕덕리(王德里)

1읍 23리 관할하였다.

1953년에 림명리 김책읍으로 승격, 1954년에 김책읍을 림령리로 격하

9.5. 길주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길주읍(吉州邑) 길주면 길남리, 영남리 일원과 영기리, 길북리 일부
길주면 표봉리, 금송리 온천리(溫泉里),
웅평면 룡남리 남양리 일부,
동해면 산성리 일부 룡성리(龍城里),
덕산면 도목리 지산리 청암리(靑岩里),
장백면 신독리 일부 양사면 신풍리, 장흥리 풍계리(豊溪里) 각각 신설하고,
길주면 영기리, 영북리 봉암리 일부,
장백면 주남리 일부 영기리(營基里)
길주면 류천리, 홍수리 길북리 일부 류천리(柳川里)
길주면 쌍룡리 룡천리
쌍룡리(雙龍里) 길주면 봉암리 영북리 일부 봉암리(鳳岩里)
웅평면 탑양리 백원리 탑양리(塔陽里)
웅평면 상하리, 내포리, 백탑리 상하리(上下里)
웅평면 남일리, 남이리 남양리 일부 남양리(南陽里)
덕산면 대동리 일신리 일부 일신리(日新里)
덕산면 덕신리, 위남리 일신리 일부 덕신리(德新里)
덕산면 문암리, 량동리 문암리(門岩里) 덕산면 금천리 신탑리 금천리(錦川里)
장백면 주남리 도화리 일부 주남리(洲南里)
장백면 평륙리 도화리, 룡담리 각 일부 평륙리(坪六里) 장백면 회남리 림동리 림동리(林洞里)
장백면 상팔리 룡담리 일부 룡담리(龍潭里)
장백면 십일리 목성리 일부 십일리(十一里)
장백면 십사리 신동리 일부 신동리(新洞里)
장백면 목성리 일부 영호리 목성리(木城里)
장백면 합포리 길주군 합포리(合浦里)
양사면 춘흥리 길주군 춘흥리(春興里)

1읍 24리 관할하다가

영북로동자구, 류천리, 쌍룡리, 봉암리, 온천리, 룡성리, 탑양리, 상하리, 남양리, 일신리, 덕신리, 문암리, 청암리, 주남리, 평륙리, 림동리, 룡담리, 합포리, 십일리, 신동리, 풍계리, 목성리, 금천리 후에 영기리가 영북로동자구로 승격되였다.

9.6. 화대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화대읍(花臺邑) 명천군 하가면 화대리, 남산리, 지명리 일부
전 길주군 동해면 용동리, 시장리, 용원리 학림리(鶴林里)
전 길주군 동해면 석성리 신호리 일부 철수리(鐵守里)
전 명천군 상가면 연리, 양촌리, 철연리 양촌리(楊村里)
전 명천군 하가면 둔지리 사포리 사포리(泗浦里)
전 명천군 하고면 수용리 정문리 정문리(旌門里)
전 명천군 상가면 자가리, 석현리, 조당리 하가면 지명리 일부 자가리(自佳里)
전 명천군 하가면 천동리, 양상리, 포항리 양상리(梁上里)
전 명천군 하고면 황암리 토원리 토원리(土垣里)
전 명천군 상가면 북간리 용소리 용소리(龍沼里)
전 명천군 상가면 장덕리 수동리 장덕리(長德里)
전 명천군 하고면 창전리 대포리 창전리(倉前里)
전 명천군 하고면 마유리 증산리 증산리(甑山里)
전 명천군 하고면 귀락리 주리 주리(周儀里)
전 길주군 동해면 동호리 명천군 하가면 평촌리, 용포리 용포리(龍浦里)
전 명천군 하가면 둔전리 성구리 둔전리(屯田里) 전 명천군 하고면 암방리 교향리 교향리(橋鄕里)
전 명천군 하고면 이배리 하평리 하평리(荷坪里)
전 길주군 동해면 사계리 불로리 불로리(不老里)
전 길주군 동해면 용산리, 창촌리 신호리 일부 창촌리(倉村里)
전 길주군 동해면 금성리 산성리 일부 금성리(錦城里)
전 명천군 상고면 목진리 화대군 목진리(木津里)
전 명천군 하고면 동호리 화대군 동호리(東湖里)

화대읍, 학림리, 양촌리, 사포리, 정문리, 자가리, 양사리, 토원리, 룡소리, 장덕리, 창전리, 증산리, 주리, , 둔전리, 교향리, 하평리, 철수리, 목진리, 불로리, 창촌리, 금성리, 동호리

9.7. 명천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명천읍(明川邑) 아간면 어전리, 룡암리 일부
상고면 내산리 개심리 개심리(開心里) 상고면 중평리, 보촌리, 황진리 보촌리(寶村里)
상고면 포중리 포상리 포중리(浦中里)
아간면 고참리 신계리 고참리(古站里)
아간면 룡호리 룡암리 일부 지역을 룡암리(龍岩里)
아간면 만호리 배령리 만호리(萬戶里)
아간면 사리 로송리 일부 지역을 사리(沙里)
아간면 황덕리 황곡리 황곡리(黃谷里)
아간면 다호리 로송리 일부 지역 다호리(茶湖里)
아간면 답기리 허리 허리(許儀里)
아간면 양정리 거문리 양정리(楊亭里)
상가면 초장리, 락동리 판령리 일부 락동리(洛東里)
상가면 연덕리 판령리 연덕리(淵德里)
상고면 포하리는 포하리(浦下里) 아간면 독포리는 독포리(讀浦里)

개심리, 보촌리, 포중리, 고참리, 룡암리, 만호리, 사리, 황곡리, 다호리, 허리, 독포리, 양정리, 락동리, 포하리, 연덕리

9.8. 영안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영안읍(永安邑) 명천군 서면 삼향리, 지경리 일부 1967년 10월에 명간읍(明澗邑)으로 1981년 10월에 화성읍(化成邑)으로 2005년에 다시 명간읍으로 개칭
하우리(下雩里) 하우면 로동리 명천리
청룡리(靑龍里) 남면 신설리, 청룡리
부암리(富岩里) 남면 규동리, 부암리, 측삼리
상장리(上場里) 남면 마전리 상장리
하월리(下月里) 하우면 상월리 북면 하월리
룡반리(龍蟠里) 북면 룡반리, 하장리 룡덕리 일부 룡반리
룡덕리(龍德里) 북면 상아리, 세이리 룡덕리 일부
부화리(富禾里) 북면 중항리, 부화리 서면 서남리 일부
웅평리(雄坪里) 북면 웅평리 남면 웅주리
웅점리(熊店里) 북면 장포리, 웅점리 서면 서삼리 일부
하평리(下坪里) 하우면 룡전리 하평리
함진리(咸鎭里) 하우면 석우리 함진리
극동리(極洞里) 동면 장덕리 일부 서면 극동리, 신창리 일부
룡동리(龍洞里) 서면 평기리 룡동리
립석리(立石里) 서면 립석리 산성리
근동리(芹洞里) 하우면 근동리 명간리
광암리(廣岩里) 동면 광암리 수암리
삼포리(三浦里) 동면 다진리 삼포리
량화리(良化里) 서면 우동리 량화리
양천리(楊川里) 동면 학암리 양천리
호남리(湖南里) 동면 호남리 발하리
신양리(新楊里) 동면 신양리, 룡암리 장덕리 일부
화룡리(花龍里) 경성군 어랑면 화룡리, 룡양리, 교향리
고성리(古城里) 남면 내포리 고성리
명남리(明南里) 서면 명남리 고삼리
룡산리(龍山里) 하우면 룡산리 서면 지경리, 신창리 각 일부
백록리(白鹿里) 하우면 백록리
호산리(虎山里) 서면 호산리 화성군 호산리
리평리(梨坪里) 북면 리평리 화성군
청룡리, 부암리, 하월리, 룡반리, 룡덕리, 부화리, 웅평리, 웅점리, 하우리, 하평리, 함진리, 극동리, 백록리, 룡동리, 립석리, 호산리, 근동리, 광암리, 삼포리, 량화리, 양천리, 호남리, 신양리, 화룡리, 고성리, 명남리, 리평리, 룡산리, 상장리

9.9. 어랑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어랑읍()

어랑읍, 삼향구, 수남리, 어엄리, 봉강리, 어대진리, 대흥리, 룡평리, 지방리, 무계리, 회문리, 팔경대리, 룡연리, 운곡리, 두남리, 하고리, 부평리, 룡전리, 소요리, 칠향리, 이향리, 남평리, 삼포리, 엄광리, 량견리, 화룡리, 부암리

9.10. 경성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경성읍(鏡城邑) 주을온면 주을온일리, 주을온이리, 주을온삼리, 주을온사리, 광산리 일부
생기령리(生氣嶺里) 주을온면 직동리, 생기령리, 광산리 일부 1953년에 로동자구로 승격
모래온천리(—溫泉里) 주을온면 모래온천리, 이후 폐합
주을온포리(朱乙溫浦里)주을면
룡산리(龍山里) 주을온면 룡산리, 상칠리, 중칠리
하면리下面里,
화하리,
룡현리,
온대진리,
일향리,
중평리中平里,매향리(梅香里) 주을온면 매향리, 회동리
룡천리(龍川里) 주을온면 룡천리, 영강리, 리암리 일부 1972년에 로동자구로 승격
관모리(冠帽里) 주을온면 보암리, 청암리, 도암리
수성리(壽星里) 1963년에 승암로동자구에 편입승암리(勝岩里) 경성면 승암리, 룡포리 일부 1963년에 로동자구로 승격
독연리() 경성면 독연리, 성북리
구덕리(九德里) 경성면 리 1978년에 청진시 편입오상리(梧上里) 경성면 오상, 봉남리
박충리(朴忠里) 경성면 박충리, 박상리, 소동리 1972년에 로동자구로 승격
장평리(長坪里) 경성면대향리(大鄕里) 주을온면 대향리, 리암리 일부
남석리() 경성면 남석리
보상리() 면 리 1954년에 매향리에 편입

9.11. 삼사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무산군 삼사면 굴송리 연암리 삼사읍(三社邑)
무산군 삼사면 유평리 덕립리 유평리(楡坪里)
무산군 삼사면 상단리 창평리 상담리(上壇里)
무산군 삼사면 동계리 동계리(東溪里)
무산군 삼사면 박천리 박천리(博川里)
무산군 삼사면 산양리 산양리(山羊里)
무산군 삼사면 서두리 서두리(西頭里)
무산군 삼사면 신전리 신전리(新田里)
무산군 삼사면 황토리 황토리(黃土里)
무산군 삼사면 천수리 천수리(千獸里)
길주군 양사면 양흥리 양흥리(陽興里)
길주군 양사면 백암리 백암리(白岩里)
길주군 양사면 양곡리 양곡리(暘谷里)
무산군 삼사면 원봉리 원봉리(圓峯里)

삼사읍, 서두리, 유평리, 황토리, 천수리, 원봉리, 상담리, 동계리, 박천리, 백암리, 양곡리, 양흥리, 신전리, 산양리

1953년에 삼사읍을 연암리(延岩里)로 강등하고, 백암리 삼사읍(三社邑)으 박천리 박천로동자구(博川勞動者區)로 각각 승격하였으며, 유평리 일부 분리하여 덕립로동자구(德立勞動者區) 신설하여 1읍 2구 12리 관할하였다.

1954년에 량강도가 설립되면서 함경북도 삼사군을 량강도 백암군으로 개편하면서 삼사읍을 백암읍(白岩邑)으로 개칭하였고,

9.12. 연사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연사면 사지리 구소리 일부 연사읍(延社邑)
연사면 신흥리 분리하여 신흥일리(新興一里) 신흥이리(新興二里) 각각 신설
연사면 신장리 상포리 신장리(新章里) 연사면 팔소리 구소리 일부 팔소리(八所里)
연사면 남작리 량수리 남작리(南作里) 연사면 신양리 당동리 신양리(新陽里)
연사면 삼포리 서안리 일부 삼포리(三浦里)
연사면 석수리 서안리 일부 석수리(石水里)
삼장면 삼상리 연사군 삼상리(三上里)
삼장면 농사리 연사군 농사리(農事里)
삼장면 신덕리 연사군 신덕리(新德里)
삼장면 유곡리 연사군 유곡리(柳谷里)
연사면 신북리 연사군 신북리(新北里)
연사면 광양리 연사군 광양리(廣陽里)
연사면 로평리 연사군 로평리(蘆坪里)
삼장면 삼하리 연사군 삼하리(三下里)

연사읍, 삼상리, 농사리, 신덕리, 유곡리, 신북리, 신장리, 팔소리, 남작리, 광양리, 신양리, 삼포리, 석수리, 로평리, 신흥일리, 삼하리, 신흥이리

9.13. 부령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수성면 수성리, 송곡리 석막면 송동리 부령읍(富寧邑)
련천면 기승리, 승원리, 창평리 련천리(連川里),
석막면 수원리 옥련리 석막리(石幕里) 각각 신설하고
부령면 백사리 최현리 최현리(最賢里)
부령면 형제리, 다갈리, 허통리 형제리(兄弟里)
석막면 금강리 장흥리 금강리(金降里)
련천면 교원리, 남원리, 불옹리 교원리(橋院里)
부거면 마전리, 쌍포리 마전리(麻田里)
련천면 련진리, 여운리, 안진리 련진리(連津里)
서상면 량현리, 창평리 창평리(倉坪里)
부거면 사구리 청산리 사구리(沙口里)
청암면 도동리 직하리 직하리(稷下里)
석막면 사하리 황만리 사하리(沙河里)
수성면 남석리 송정리 남석리(南夕里)
수성면 근동리, 회암리, 자작리 근동리(芹洞里)
서상면 무수리 차령리 무수리(舞袖里)
서상면 고무산리 부령면 류평리 고무산리(古茂山里)
부령면 부령리 부령군 구읍리(舊邑里)
청암면 토막리 부령군 토막리(土幕里) 1읍 18리 관할하다가, 같은 해에 고무산리 로동자구로 승격하였다.

부령읍, 최현리, 구읍리, 련천리, 형제리, 무수리, 금강리, 교원리, 마전리, 창평리, 고무산구, 토막리, 사구리, 직하리, 사하리, 석막리, 남석리, 근동리, 련진리

9.14. 무산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무산면 성천리 남산리, 칠성리 각 일부 무산읍(茂山邑) || ||
연상면 삼천리 흥암리 흥암리(興岩里)
무산면 량영리 칠소리 량영리(梁永里) || ||
무산면 독소리 남산리 일부 독소리(篤所里) || ||
무산면 창렬리 남산리 일부 창렬리(彰烈里) || ||
무산면 로덕리 칠성리 일부 칠성리(七星里) || ||
동면 강선리 풍산리 일부 강선리(降仙里) || ||
동면 차유리 동사리 차유리(車踰里) || ||
어하면 온천리 광덕리 온천리(溫泉里) || ||
부령군 서상면 천중리 마양리 마양리(馬養里) 각각 신설하고 || ||
연사면 상창리 상창리(上倉里) || ||
연상면 박천리 박천리(朴川里) || ||
연상면 문암리 문암리(文岩里) || ||
삼장면 림강리 림강리(臨江里) || ||
삼장면 삼장리 삼장리(三長里) || ||
동면 풍산리 일부 풍산리(豊山里) || ||
연상면 연수리 연수리(延水里) || ||
어하면 허언리 허언리(虛彦里) || ||
어하면 오봉리 오봉리(五峯里) || ||

무산읍, 상창리, 박천리, 문암리, 연수리, 흥암리, 림강리, 삼장리, 독소리, 창렬리, 칠성리, 강선리, 차유리, 풍산리, 허언리, 온천리, 량영리, 오봉리, 마양리

9.15. 유선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유선읍(遊仙邑) 회령군 보을면 유선리, 계림리 1974년에 로동자구로 격하, 1991년에 회령시 보을동, 계림동, 유선동으로 재분할
영수리(永綏里) 회령군 벽성면 영수리
송학리(松鶴里) 회령군 영풍면 송학리 1947년까지 무산군 소속
성북리(城北里) 회령군 보을면 성북리, 운연리
오류리(五柳里) 회령군 보을면 오류리, 운기리
남산리(南山里) 회령군 보을면 남산리 일부, 연대리
지초리(芝草里) 무산군 무산면 지초리 1954년에 무산군 환원
성동리(城東里) 회령군 보을면 성동리
명신리(明臣里) 무산군 무산면 명신리 1947년에 영풍면에서 무산면으로 이관, 1954년에 무산군 환원
계하리(溪下里) 회령군 영풍면 계하리 1947년까지 무산군 소속
계상리(溪上里) 회령군 영풍면 계상리 1947년까지 무산군 소속
서호리(西湖里) 무산군 무산면 서호리 1947년에 영풍면에서 무산면으로 이관, 1954년에 무산군 환원
벽성리(碧城里) 회령군 벽성면 벽성리
홍산리(鴻山里) 회령군 보을면 남산리 일부
룡천리(龍川里) 회령군 영풍면 룡천리

9.16. 회령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회령읍(會寧邑)회령면 삼일리, 오동리, 성천리, 오산리, 동명리, 팔을면 창효리 일부
덕흥리(德興里)벽성면 덕흥리 서촌리
풍산리(豊山里)창두면 창두리 풍산리
무산리(茂山里)회령군 창두면 무산리, 부령군 서상면 신명리
창태리(蒼苔里)창두면 창태리, 령산리, 종암리
원산리(元山里)팔을면 원산리, 령천리
인계리(仁溪里)화풍면 인계리, 신금생리
학포리(鶴浦里)회령군 화풍면 학포리, 종성군 남산면 방원리 일부
세천리(細川里)종성군 남산면 세천리, 신천리
대덕리(大德里)벽성면 대덕리, 회령면 료동리
창효리(彰孝里)팔을면 창효리 일부 분리
오봉리(五鳳里)벽성면 오봉리
금생리(金生里)팔을면 금생리
궁심리(弓心里)화풍면 궁심리
사을리(沙乙里)화풍면 사을리
신흥리(新興里)팔을면 신흥리
망양로동자구(望陽勞動者區)회령면 망양리
1읍(회령), 1구(망양), 15리(오봉, 덕흥, 풍산, 무산, 창태, 창효, 금생, 원산, 인계, 궁심, 사 학포, 세천, 신흥, 대덕) 관할하였다.
회령읍, 망양구, 오봉리, 덕흥리, 풍산리, 무산리, 창태리, 창효리, 금생리, 원산리, 인계리, 궁심리, 학포리, 세천리, 신흥리, 대덕리, 사을리

9.17. 종성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종성읍(鍾城邑)종성면 주산리, 금산리 일부 1974년에 로동자구로 격하
동관리(潼關里)종성면 동관리
운암리(雲岩里)풍곡면 운봉리, 령암리 일부
산성리(山城里)종성면 산성리 일부 풍곡면 령암리 일부
봉산리(鳳山里)룡계면 봉산리
풍천리(豊川里)풍곡면 풍천리, 관산리
종산리(鐘山里)룡계면 종산리, 림천리 일부
동포리(東浦里)풍곡면 동포리
룡계리(龍溪里)룡계면 부계리, 서원리, 림천리 일부
방원리(防垣里)남산면 간평리, 방원리 일부
중봉리(仲峯里)행영면 중봉리, 용산리
풍계리(豊溪里)풍곡면 풍계리
행영리(行營里)행영면 행영리
락생리(洛生里)행영면 락생리
굴산리(窟山里)행영면 굴산리, 수동리
삼봉리(三峯里)남산면 삼봉리
하삼봉리(下三峯里)남산면 하삼봉리 종성면 금산리 일부
연산리(硯山里)룡계면 연산리

9.18. 라진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라진읍, 락산구, 유현리, 안주리, 신흥리, 후창리, 무창리, 관해리, 서리, 라석리, 로창리, 삼해리, 부기리, 룡제리, 판장리, 방진리, 리진리, 중평리

라진면 안화리ㆍ남산리ㆍ삼보리ㆍ창평리ㆍ중앙리ㆍ동명리ㆍ동원리 라진읍으|| ||
라진면 유현리ㆍ항로리 일부ㆍ풍해면 명호리 일부 유현리 || ||
라진면 안주리ㆍ라진리ㆍ항로리 일부 안주리 || ||
라진면 신흥리ㆍ청계리 일부 신흥리(新興洞) || ||
풍해면 후창리ㆍ명호리 일부 후창리 || ||
풍해면 무창리 라진군 무창리 관해면 락산리ㆍ부광리 부광리(富磺里) || ||
관해면 소청리 일부ㆍ삼해면 내포리 관해리(觀海里) || ||
관해면 관서리ㆍ구룡리 서리(西里) || ||
관해면 라석리ㆍ신흥리 라석리(羅石里) || ||
삼해면 로창리ㆍ사진리ㆍ남광리 로창리(蘆倉里) || ||
삼해면 수평리ㆍ농운리ㆍ가전리 삼해리(三海里) || ||
부거면 부거리ㆍ독동리 부거리(富居里) || ||
부거면 룡제리 라진군 룡제리(龍濟里) || ||
부거면 판장리 라진군 판장리(板長里) || ||
풍해면 방진리 라진군 방진리(芳津里) || ||
관해면 리진리 소청리 일부 리진리(梨津里) || ||
부거면 중평리 라진군 중평리(仲坪里) || ||
경성면 어유리 아양동 일부 어유리(漁游里) || ||
부광리 라진군 락산로동자구(洛山勞動者區)로 각각 개편하였다. || ||

9.19. 웅기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웅기읍(雄基邑)웅기면 상현리, 하현리, 중현리 1981년에 선보읍으로 개칭, 2020년에 분동됨

웅기읍, 백학리, 관곡리, 웅상리, 홍리, 서수라리, 굴포리, 부포리, 조산리, 룡수리, 사회리, 비파리, 적지리, 철주리, 신회리

로서면 홍리 증산리 홍리(洪儀里)
로서면 서수라리 토리 일부 서수라리(西水羅里)
로서면 굴포리ㆍ서포항리ㆍ대암리 포리 일부 굴포리(屈浦里)
웅기면 룡수리 송평리 룡수리(龍水里)
경흥면 사회리 신회리 일부 사회리(四會里)
웅기면 비파리 라진면 신해리 비파리(琵琶里)
웅기면 철주리 화방면 류성리ㆍ라진면 청계리 철주리(鐵柱里)
웅기면 백학리 웅기군 백산리(白山里)
경흥면 적지리 웅기군 적지리(赤池里)
경흥면 신회리 일부 웅기군 신회리(新會里)

9.20. 경원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경원읍(慶源邑)안농면 리동리
금동리(金洞里)안농면 금동리 상동리
안농리(安農里)안농면 김희리 신개리
안원리(安原里)동원면 금월리 안농면 안원리
고성리(古城里)안농면 세동리 고성리
봉운리(峯雲里)경원면 봉운리 관류리 일부
증산리(甑山里)경원면 증산리 심령리, 안농면 석현리
중영리(中榮里)경원면 중영리 송천리
하면리(下面里)경원면 하면리 이도리
사수리(沙水里)훈융면 사수리 풍무리
성내리(城內里)경원면 성내리, 회동리 관류리 일부
동림리(洞林里)동원면 류수리, 중평리, 공자리
룡북리(龍北里)룡덕면 룡북리 동원면 림대리
신건리(新乾里)동원면 신건리 화정리
룡현리(龍峴里)룡덕면 룡서리 룡현리
룡남리(龍南里)룡덕면 룡남리 룡향리
룡신리(龍新里)룡덕면 룡신리 룡평리
승량리(承良里)안농면 승량리 여운리
로관리(魯貫里)아산면 수정리 동원면 로관리

1읍(경원), 21리(금동, 량동, 안농, 안원, 고성, 봉운, 증산, 중영, 하면, 사수, 성내, 금화, 동림, 룡북, 신건, 룡현, 룡문, 룡남, 룡신, 승량, 로관) 관할하였다.

경원읍, 금동리, 량동리, 안농리, 안원리, 고성리, 봉운리, 증산리, 중영리, 하면리, 사수리, 성내리, 금화리, 동림리, 룡북리, 신건리, 룡현리, 룡문리, 룡남리, 룡신리, 승량리, 로관리

9.21. 경흥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경흥읍(慶興邑) 아오지면 신아오지리, 농경리, 신농경리, 회암리 일부
아오지리(阿吾地里) 경흥면 오봉리 일부 아오지면 아오지리, 룡연리 아오지탄광(현 6.18탄광) 소재
송학리(松鶴里)아오지면 송학리, 삼봉리, 명룡리
원정리(元汀里)경흥면 경흥리, 원정리
신아산리(新阿山里)아산면 아산리, 산서리, 백안리, 신아산리
록야리(鹿野里)화방면 화운리, 록야리
귀락리(貴洛里)아오지면 귀락리, 송상리, 회암리 일부
금송리(金松里)화방면 사탄리, 금송리
백동리(栢洞里)아산면 백동리, 하면리, 송동리 일부
장평리(長坪里)아산면 차동리, 장평리, 최치리, 송동리 일부
죽기리(竹基里)유덕면 죽기리, 룡막리, 고사리
하회리(下檜里)경흥면 하회리, 은계리, 청학리
유덕면 가현리, 창평리
오봉리(梧鳳里)아오지면 오봉리
박상리(朴上里)유덕면 박상리, 지경리, 학동리
장안리(莊安里)유덕면 장안리, 대동리, 록야리, 소랑리
태양리(太陽里)아오지면 태양리, 룡성리
하여평리(下汝坪里)경흥면 하여평리 오봉리 일부
동시에 회령군 팔을면 룡성리(龍城里) 흡수하여

경흥읍, 아오지리, 송학리, 하여평리, 원정리, 신아산리, 록야리, 귀락리, 금송리, 백동리, 장평리, 죽기리, 하회리, 오봉리, 박상리, 장안리, 태양리, 룡성리

9.22. 온성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온성읍(穩城邑)온성면 서흥리 동화리 일부
영강리(永江里)종성면 청강리 산성리 일부, 남양면 영달리
풍인리(豊仁里)미포면 풍인리 풍교리 일부 풍인리(豊仁里)
월파리(月波里)미포면 월파리 풍교리 일부, 훈융면 금화리 일부
심청리(深淸里)온성면 심청리 미포면 장덕리
주원리(周原里)온성면 주원리 동화리 일부
룡남리(龍南里)영와면 룡남리 송북리
상화리(上和里)영와면 상화리 석수리
창평리(倉坪里)영와면 창평리 영충면 회덕리
미산리(美山里)미포면 미산리
남양리(南陽里)남양면 남양리
향당리(香棠里)남양면 향당리
세선리(世仙里)남양면 세선리
풍리리(豊利里)남양면 풍리리

온성읍, 남양리, 세선리, 향당리, 영강리, 풍인리, 월파리, 미산리, 심청리, 주원리, 룡남리, 상화리, 창평리, 풍서리, 풍리리 || ||

1954년에 온성읍이 고성리(古城里) 남양리가 온성읍으로 각각 개편되였다. 1975년 11월에 온성읍이 남양로동자구(南陽勞動者區)로 격하되였고, 고성로동자구가 온성읍으로 승격되였으며, || ||

10. 강원도

명칭 영역(개편직전) 비고
문천군 문천군 문천면(文川面), 문성면(文城面), 덕원면(德源面) 전체 리 명구면(明龜面) 일부, 운림면(雲林面) 일부 1972년에 원산시 천내군에 분할 편입해 폐지하였다 1976년에 재설치했고, 1991년에 시로 승격되었다.
천내군 문천군 천내면, 명귀면, 운림면(마쟁리 제외) 전역
법동군 문천군 풍상면, 풍하면 전역과 운림면 마쟁리, 이천군 웅탄면
고산군 안변군 신고산면 41개 리 석왕사면 38개 리
안변군 안변군 안변면, 신모면, 안도면, 배화면, 서곡면, 석왕사면 2개 리 통천군 흡곡면 6개 리, 원산시 3개 리
통천군 통천군 고저면, 통천면, 벽양면, 송전면, 흡곡면 (6개리 제외)
고성군 고성군 잔여 지역(장전면, 외금강면 전역과 고성면 13개리, 서면 12개 리, 수동면 8개 리)과 통천군 림남면 밀어내며 수동면 5개 리 추가 '해방'
금강군 회양군 일부(내금강면 전역과 사동면 11개 리, 안풍면 18개 리) 양구군 수입면 3개 리, 린제군 잔여 지역(서화면 이포리 전역 및 장승리 일부, 서희리 일부) 밀어내며 장승리, 서희리 각 일부 '해방'
회양군 회양군 회양면, 상북면, 하북면, 신안면과 난곡면 18개리, 안풍면 3개리
창도군 김화군 잔여지역(금성면, 원북면, 창도면, 통구면 전역과 임남면 11개 리, 근북면 5개 리, 원동면 1개 리, 근동면 2개 리, 원남면 1개 리) 회양군 사동면 11개 리, 양구군 수입면 13개 리 군면리 대폐합 시행 당시에 김화군 영역 대부분을 한국이 차지하여 폐지했으나, 1953년 금성 전투로 한국이 차지했던 영역 일부를 북측이 다시 장악하면서 1954년에 김화군을 재설치했다. 반대로 한국은 금성 전투 이후에도 김화군을 1963년까지 유지했으나 결국 1963년에 철원군(남한)에 통폐합해 현재에 이른다.
철원군 철원군 잔여지역(마장면, 인목면, 내문면, 북면, 어운면 12개리)과 이천군 동면, 안협면, 서면 2개리, 평강군 서면 1개리, 련천군 잔여지역(서남면, 삭녕면) 밀어내며 서남면 리 '해방', 밀리며 서남면 고사리, 삭녕면 리 상실
평강군 평강군 평강면, 남면, 현내면, 목전면, 서면 12개리 회양군 란곡면 5개리 상실한 남면 정연리 제외
세포군 평강군 세포면, 유진면과 회양군 란곡면 7개 리, 안변군 신고산면 3개 리 신설되며 안변군 신고산면 삼방협 지역을 편입
이천군 이천군 이천면, 학봉면 전체 용포면 일부, 산내면 일부, 서면 일부
판교군 이천군 락양면, 방장면, 판교면 전역과 산내면 4개 리, 룡포면 5개 리, 황해도 곡산군 동촌면 2개 리

10.1. 원산시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중평리중평리, 용주리, 신동리
춘산리춘산리, 춘악리
장흥리장흥리, 세동리
룡천리(龍川里)성라리, 두남리, 룡평리
적천리(赤川里)당상리, 당중리, 당하리, 룡계리
중청리(中淸里)중청일리, 중청이리 1949년 이전으로 복귀
변동 없음: 갈마리, 신두남리, 신성리, 룡평리, 내원산리, 성북리, 장흥리, 방하산리, 송천리, 송하리, 송홍리, 춘성리, 중앙리, 봉수리, 철산리, 양지리, 신풍리, 우리, 평화리, 석우리, 명석리, 상동리, 장덕리, 용주리, 관풍리, 락수리, 견산리, 산제리, 남북리, 신흥리, 상남리, 룡계리, 중리, 신하리, 장촌리, 포하리, 명사리, 무라리, 3태리, 려도리, 성라리, 춘산리

10.2. 문천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문천읍(文川邑)문천면 중앙리, 문평리, 관풍리, 장백리, 해방리
가평리(柯坪里)문천면 염동리, 염중리, 가평리
신안리(新安里)문천면 운성리, 룡진리, 휘후리, 신안리
룡탄리(龍灘里)문천면 송탄리, 룡평리, 옥정리
고암리(庫巖里)문천면 고암리, 황석리, 사흘천리
신송리(新松里)문성면 상평리, 송치리, 포목정리, 릉전리
옥평리(玉坪里)문성면 옥평하리, 옥평상리
부방리(富方里)문성면 부방리, 장선포리
교성리(橋城里)문성면 교성리, 구읍리
삼화리(三和里)문성면 영전리, 문양리
룡정리(龍井里)문성면 룡정리, 룡당리, 석교리
송죽리(松竹里)문성면 송죽리, 원봉리
남창리(南昌里)문성면 성재리, 문봉리, 도창리
덕원리(德源里)덕원면 덕원리, 성하리, 삼월리
부운리(浮雲里)덕원면 문암리, 부운리
석현리(石峴里)덕원면 덕흥리, 석현리
신성리(新城里)덕원면 죽산리 일부, 오목리, 신성리
죽산리(竹山里)덕원면 죽산리 일부, 영평리
영삼리(永三里)덕원면 박천리, 영삼리
장림리(長林里)덕원면 장림리, 삼태리
덕흥리(德興里)명구면 덕흥리, 명신리, 신률리
석전리(石田里)명구면 룡산리, 류당리, 석전리 일부
삼일리(三一里)명구면 삼일리, 추천리
답촌리(畓村里)명구면 풍무리, 팔일오리, 답촌리, 오일리 1946년~ 1949년에 지부구미리, 어은구미리, 방구미리 팔일오리로 통합
삼동리(參洞里)명구면 무우실리, 청어구미리, 류구미리, 석전리 일부
야태로동자구(野汰勞動者區)문천면 석근리, 야태리, 룡성리, 수달리
가은로동자구(佳銀勞動者區)운림면 가은리 일원, 학선리 일부, 직두리 문성면 령상리

10.3. 천내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천내읍(川內邑)문천군 천내면 천내일리, 천내이리, 천내삼리, 룡당리 일부
룡담리(龍潭里)천내면 문왕리, 중덕리, 룡담리
룡루리(龍樓里)천내면 룡루리, 재인리, 룡산리 일부
로운리(蘆雲里)천내면 로운리, 제위리 일부, 롱암리
화라로동자구(禾羅勞動者區)천내면 물방덕리, 화라리
신흥리(新興里)천내면 신포리, 학포리, 천내사리
장풍리(長豊里)천내면 장흥리, 신풍리
풍전리(豊田里)명구면 풍전리, 귀포리, 죽산리
수치리(水峙里)명구면 내양리, 수치리, 구부안리 일부 천내면 관사리
금성리(錦城里)명구면 론산리, 덕호리, 금성리
염전리(鹽田里)명구면 향교판리, 삼포리, 염전리
당치리(堂致里)명구면 당치리, 섬호리, 송동리
구포리(龜浦里)명구면 구포리, 상평리, 당북리, 천내면 룡당리 일부
신암리(新巖里)명구면 삼신리, 장암리
신산리(新山里)운림면 어은리, 신산리
동흥리(東興里)운림면 령평리, 동흥리, 학선리 일부
인흥리(仁興里)운림면 인흥리, 금덕리, 가목정리
승전리(勝戰里)운림면 고룡리, 신창리
구덕리(龜德里)운림면 구덕리, 덕평리
회복리(會福里)운림면 회복리

10.4. 법동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법동읍(法洞邑)문천군 풍하면 법동리, 백암리, 외고읍리, 병암리, 내고읍리
로탄리(蘆灘里)풍하면 로탄리, 청계리
여해리(汝海里)풍하면 여해리 풍상면 내동리, 방하리
률동리(栗洞里)풍하면 원산리, 률동리
백일리(白日里)풍하면 외백일리, 내백일리, 석천리
봉황산리(鳳凰山里)풍하면 엄석리 봉황산리
취암리(鷲巖里)풍하면 하취암리, 상취암리
어유리(漁遊里)풍하면 고련리, 어유리리, 종포리
장안리(長安里)풍하면 장안리
금구리(金龜里)풍하면 금구리
작동리(鵲洞里)풍상면 작동리, 복회리, 억동리, 마식리
도찬리(道贊里)풍상면 도찬리, 풍전리, 구미리
령저리(嶺底里)풍상면 하령저리, 상령저리, 금동리, 수침리
거리(巨里)풍상면 로동리, 거리, 마전리
상서리(上西里)풍상면 서흥리, 상서리, 하서리
상감리(上甘里)풍상면 하감산리, 상감산리
감둔리(甘屯里)풍상면 감둔리
룡포리(龍浦里)운림면 마쟁리, 풍상면
신동리(新洞里)이천군 웅탄면 회전리, 희역리
건자리(乾子里)이천군 웅탄면 왕막리 일부, 건자리
해랑리(海浪里)이천군 웅탄면 해랑일리, 해랑이리
금평리(金坪里)이천군 웅탄면 룡금리, 평리
구룡리(龜龍里)이천군 웅탄면 왕막리 일부, 이락리

10.5. 고산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고산읍(高山邑)안변군 신고산면 신고산리, 세포리, 신대리, 신점리
구읍리(舊邑里)신고산면 고산리, 구미리
위남리(衛南里)신고산면 위북리, 위남리, 상일온리
사현리(沙峴里)신고산면 강성리, 상사현리, 하사현리
부평리(富坪里)신고산면 하부평리, 상부평리, 룡지원리 일부
성북리(城北里)신고산면 성북리, 성남리
혁창리(革昌里)신고산면 종자리, 복곡리, 외평리, 창평리, 내평리
죽근리(竹根里)신고산면 대령리, 대목리, 학소리, 죽근리
산양리(山陽里)신고산면 번지리, 산양리
주천리(舟川里)신고산면 상주천리, 하주천리, 길명리, 서리
금천리(琴川里)신고산면 석교리, 재천리, 금기리
산탄리(山炭里)신고산면 탄부리, 수청리
금리(錦里)석왕사면 금리, 신성리
평화리(平和里)석왕사면 오산리, 중앙리
릉복리(陵福里)석왕사면 로복리, 릉화리
구령리(九嶺里)석왕사면 신양리, 괴항리, 구령리
연호리(演湖里)석왕사면 연호리, 주음리, 송하리
남산리(南山里)석왕사면 남산리, 매화리, 성남리
해방리(解放里)석왕사면 송촌리, 후창리, 통천리
봉련리(峯蓮里)석왕사면 상탑리, 동하리, 옥정리, 동상리
설봉리(雪峯里)석왕사면 궐탑리, 사기리
신현리(新峴里)석왕사면 행현리, 신청리
란정리(蘭庭里)석왕사면 신월리, 인두문리, 상감리, 하감리
룡지원리(龍池院里)신고사면 룡지원리 일부, 석왕사면 구룡지원리, 룡문리, 장평리, 상신흥리
금풍리(錦豊里)석왕사면 풍포리, 교암리, 근외리
량사리(兩寺里)석왕사면 사리 신고산면 하가포리, 상가포리, 사리, 현대리

10.6. 안변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안변읍(安邊邑)안변군 안변면 영춘리, 옥리, 홍문리, 과남리, 석교리, 문외리, 문내리, 학성리, 비운리
미현리(美峴里)안변군 안변면 미현리, 신모면 별하산리
중앙리(中央里)안변군 안변면 탑리, 두득리, 강서리
남계리(南溪里)안변군 안변면 조전리, 송전리
규운리(奎運里)안변군 안변면 상화산리, 규운리, 석왕사면 하룡운리, 상룡운리
학천리(鶴川里)안변군 배화면 신기리, 수항리, 안변면 곽하리, 송학리
천삼리(泉三里)안변군 배화면 룡연리, 수려리, 천양리 천삼리
풍화리(豊花里)안변군 배화면 방교리, 한사리, 방화리, 풍상리, 풍하리
수락동리(秀樂東里)안변군 배화면 동대리, 수악리, 락천리
배화리(培花里)안변군 배화면 송산리, 어은리, 해천리, 문봉리, 내원리
비산리(比山里)안변군 안도면 명곡리, 비산리 각 일부
과평리(果坪里)안변군 안도면 중평리, 장현리, 미득리, 룡운리, 상덕리 일부
오계리(梧溪里)안변군 안도면 오천리, 오계리, 가평리 오계리(梧溪里)
륙화리(六和里)안변군 안도면 어운리, 하리, 대리, 비산리 일부, 명곡리 일부, 상덕리 일부
월랑리(月浪里)안변군 안도면 랑성리, 월포리, 립석리
배양리(培養里)원산시 지경리, 안변군 배화면 신리, 지경리, 송강리, 옥천리
사평리(沙坪里)원산시 사둔리, 포평리, 안변군 배화면 하사고리, 상사고리
룡대리(龍垈里)안변군 서곡면 대대리, 룡상리, 학익리, 룡현리, 계산리
남천리(南川里)안변군 서곡면 중남리, 하남리, 하일리, 한천리
룡성리(龍城里)안변군 서곡면 석방리, 상남리, 성우리, 률리, 룡평리
동포리(東浦里)안변군 서곡면 동산리, 포리
칠봉리(七峯里)안변군 서곡면 후리, 계자리, 사리, 마우리
주암리(珠巖里)안변군 서곡면 보성리, 오리, 주암리, 수암리
상자리(上自里)안변군 서곡면 상리, 중리, 광자리
수상리(水上里)안변군 서곡면 창리, 릉리, 수성리, 상일리
내산리(內山里)안변군 신모면 차산리, 천내리
삼성리(三星里)안변군 신모면 판기리, 상다전리, 하다전리
문수리(文須里)안변군 신모면 공수전리, 금천리, 문곡리, 덕산리
령신리(靈新里)안변군 신모면 하령리, 상령리, 신곤리
신화리(新和里)안변군 신모면 신성리, 석변리, 모창리, 리원리, 룡포리, 양명리
모풍리(茅豊里)안변군 신모면 양지리, 내원산리, 두남리, 효자리, 어지리, 률리
상음리(桑陰里)안변군 안도면 상마리, 통천군 흡곡면 상음리, 신양리, 합진리, 연동리, 신곡리, 하동리

10.7. 통천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통천읍(通川邑)고저면 포항리, 총석리, 전산리, 하고저리, 상고저리, 흥운리
미평리(嵋坪里)고저면 반월리, 신월리, 오류리, 전천리
구읍리(舊邑里)고저면 신리, 통천면 서리, 동리, 중리, 어은리, 송산리
봉호리(峯湖里)고저면 통수리, 사호리, 도일리
화통리(貨通里)흡곡면 사재리, 신흥리, 률동리, 동산리, 화통리, 반계리, 명고리, 신장리, 송현리
하수리(河水里)흡곡면 양지리, 성현리, 풍호리, 하수리, 전당리
군산리(君山里)흡곡면 압룡리, 련화리, 군산리, 내학리, 구계리
자산리(慈山里)흡곡면 서역리, 립석리, 자산리, 화등리
룡천리(龍川里)흡곡면 룡흥리, 상서왕리, 룡천리, 룡연리, 서왕리
장진리(長津里)흡곡면 하장진리, 웅진리, 송양리
풍산리(豊山里)학일면 신탄리, 백산리, 풍패리, 항평리
마전리(麻田里)학일면 마전리, 운수리 마전리
보호리(寶湖里)학일면 련호리, 석대리, 칠보리 보호리
리목리(梨木里)학일면 가산리, 하리목리, 상리목리
대곡리(垈谷里)학일면 대대리, 흥곡리, 황포리
패천리(沛川里)학일면 상화리, 패천리, 하화리
장대리(長臺里)학일면 삼대리, 송전면 장동리, 만양리
송전리(松田里)송전면 오매리, 망월리, 정덕리, 송전리, 황석리, 구읍리, 석도리
거성리(巨城里)송전면 문치리, 거록리, 치궁리, 석성리
로상리(路上里)송전면 신흥리, 포항리, 옥마리, 아산리, 갈평리
강동리(江洞里)송전면 수천리, 산론리, 학일면 마차리, 괴화리, 강동리
룡수리(龍水里)통천면 하방동리, 마암리, 서정리, 방동리, 평리, 동정리
신대리(新垈里)통천면 신평리, 벽양면 신대리, 동대리, 아간리, 계곡리
방포리(芳浦里)벽양면 회산리, 통천면 방포리, 서흥리
가흥리(佳興里)벽양면 신흥리, 가신리
중천리(中泉里)벽양면 중대리, 향천리, 지곡리
벽암리(碧巖里)벽양면 곤암리, 벽산리
신림리(新林里)벽양면 신일리, 만교리, 신점리, 고림리
신흥리(新興里)벽양면 지장리, 통천면 태리, 상태리, 정리 신흥리(新興里)
금란리(金蘭里)벽양면 가평리, 광포리, 통천면 주대리, 후금란리, 전금란리, 금란리

10.8. 고성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외금강면 창대리, 온정리, 양진리 룡계리 일부 고성읍(高城邑)
장전면 남평리, 서성리, 조양리, 경해리 북성리 일부 장전리(長箭里)
외금강면 오리진리 신흥리 종곡리(種谷里)
서면 내침리 외금강면 계월리 봉화리(烽火里)
외금강면 서아리 령진리 해방리(解放里)
외금강면 장도리, 추동리, 포항리 장포리(長浦里)
외금강면 랑정리 사평리 삼일포리(三日浦里)
서면 류성리, 화우리, 간천리 일부 외금강면 룡계리 일부 주둔리(駐屯里)
서면 량송리, 장정리 간천리 일부 금천리(金川里)
수동면 초현리 서면 전성리, 송탄리 순학리(順學里)
수동면 정월리 서면 시랑리, 보현리 일부 월비산리(月飛山里)
수동면 태봉리 서면 금풍리, 백천리, 보현리 일부 유격리(遊擊里)
고성면 동리, 서리, 중리 구읍리(舊邑里)
고성면 봉수리, 립석리, 말무리 해금강리(海金剛里)
통천군 림남면 동자원리, 외렴성리, 내렴성리 렴성리(濂城里)
통천군 림남면 상다전리, 운암리, 예륜리, 두암리 운전리(雲田里)
통천군 림남면 릉월리, 류동리, 다동리 릉동리(陵洞里)
통천군 림남면 두백리 장룡포리 두포리(豆浦里)
통천군 림남면 장림리, 말구리, 복동리, 송방리 복송리(福松里)
통천군 림남면 둔대리, 명문암리, 신남리, 오류리 신봉리(新峯里)
장전면 주험리 북성리 일부 주험리(注驗里)
고성면 하보호리, 상보호리, 대흥리, 고봉리 고봉리(高峯里)
고성면 감월리, 초구리, 대강리, 외진리 초구리(草邱里)
장전면 성북리 고성군 성북리(城北里)
외금강면 운곡리 고성군 운곡리(雲谷里)
장전면 남사리 고성군 남애리(南涯里) 1읍 25리 관할하였다.

1953년 12월에 고성읍을 온정리(溫井里) 장전리 고성읍(高城邑)으로 개편하였으며 주험리 일부 지역을 고성읍에 편입시켰다. 그 외 금천리 일부 주둔리에, 전 수동면 덕산리 일부 월비산리에, 월비산리 일부 전 수동면 흑연리(黑淵里), 하탄리(下炭里), 고미성리(姑味城里), 원대리, 사비리(沙飛里), 원전리, 신대리(新垈里), 내면리(內沔里) 각 일부 지역을 유격리에 편입시켰다. 6, 25전쟁 이후 일부 지역이 남반부에 넘어갔다.

10.9. 금강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회양군 내금강면 말휘일리, 말휘이리, 류동리 금강읍(金剛邑)
회양군 내금강면 속사동일리 속사동이리 속사리(束沙里)
회양군 내금강면 하현리, 상현리, 하소곤리 현리(縣里)
회양군 내금강면 상회이리, 하회이리 양구군 수입면 분지수리 하회리(下檜里)
회양군 내금강면 병이무지리 중산리 병무리(竝武里)
회양군 내금강면 상소곤일리, 상소곤이리 소곤리(小坤里)
회양군 내금강면 하북점리 일부 상북점리 북점리(北店里)
회양군 내금강면 순갑일리, 순갑이리 하북점리 일부 순갑리(順甲里)
회양군 내금강면 봉현리, 추동리 현동리(縣洞里)
회양군 내금강면 온정동리 일부 신풍일리, 신풍이리 신풍리(新豊里)
회양군 내금강면 온정동리 일부 금강원리 금천리(金泉里)
회양군 내금강면 삼억동리, 정양동리, 장연리 내강리(內剛里)
회양군 내금강면 하신원리 상신원리 신원리(新院里)
회양군 안풍면 가동리, 화천리, 본리 화천리(化川里)
회양군 안풍면 흥인동리, 방목일리, 방목이리 방목리(方目里)
회양군 안풍면 풍미일리, 풍미이리, 성동리, 장치동일리
풍미리(豊美里) 회양군 안풍면 화산리, 안미리, 추동리 안미리(安美里)
회양군 안풍면 룡암리, 신창리 룡암리(龍巖里)
회양군 안풍면 상세동리, 중세동리 세동리(細洞里)
회양군 사동면 니교리, 쌍계평리 신교리(新橋里)
회양군 사동면 마전동리, 신읍리, 광동리 신읍리(新邑里)
회양군 사동면 상구만리, 금곡리 곡산리(曲山里)
회양군 사동면 상점방리, 산월리, 사동리, 간점방리 산월리(山月里)
양구군 수입면 청송리 두포리 청두리(靑杜里)
린제군 서화면 이포리 금강군 이포리(伊布里)로 각각 개편하고
회양군 안풍면 장치동이리 금강군 금풍리(金豊里)로 개칭하여 1읍 25리 관할하였다.

1953년에 린제군 서화면 창송리 일부가 이포리에, 린제군 서화면 서호리 일부가 청두리에 편입되였고,

10.10. 회양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회양읍(淮陽邑) 회양면 읍내리, 하북면 초일리 일부
광전리(廣田里) 회양면 고대리, 갈화리, 광석리, 두전동리
전항리(箭項里) 회양면 마룡리, 전항리
하교리(下橋里) 회양면 하교동일리, 하교동이리, 금교리, 신흥리
소풍리(素豊里) 회양면 대유리, 소풍리
강돈리(江敦里) 회양면 외강돈리, 내강돈리, 상만리
교주리(交州里) 회양면 봉현리, 신안면 지석리, 이동리, 부로지리
전곡리(田谷里) 상북면 하전탄리, 상전탄리, 두허동리, 목곡리
룡포리(龍浦里) 상북면 하진평리, 송포리, 막덕리, 룡연리
오랑리(五郞里) 상북면 신명일리 일부, 오랑일리, 오랑이리
신명리(新明里) 상북면 상신정리 일부, 신명일리 일부, 신명이리
도납리(道納里) 상북면 도납일리, 도납이리 일부, 상신정리 일부
기정리(機正里) 상북면 도납이리 일부, 중신정리, 판기리
금철리(金鐵里) 하북면 지탄일리, 지탄이리, 철령일리, 철령이리
금곡리(金谷里) 하북면 하신정일리, 하신정이리, 금곡일리, 금곡이리, 선암리 일부
선대리(仙臺里) 하북면 대일일리, 대일이리, 선암리 일부
신계리(新溪里) 하북면 문내동리, 마산일리, 상평리, 은계리
마전리(麻田里) 하북면 초일리 일부, 초남리, 마산이리
신안리(新安里) 신안면 관리, 노동리, 신안리
신동리(新洞里) 신안면 오동리, 추방리
추전리(楸田里) 신안면 곡돌리, 난곡면 추전일리, 추전이리
구룡리(九龍里) 신안면 심포리, 고재리
명우리(鳴牛里) 안풍면 명우일리, 명우이리, 백석리
오봉리(梧鳳里) 난곡면 봉일리, 오동일리, 오동이리
귀락리(貴洛里) 난곡면 귀락일리, 귀락이리, 귀락삼리
유읍리(楡邑里) 난곡면 조동일리, 유읍일리, 유읍이리
포천리(浦泉里) 난곡면 이포리, 천읍일리, 천읍이리
봉포리(蜂浦里) 난곡면 수천동일리, 수천동이리, 조동이리, 봉통포리
송포리(松浦里) 김화군 창도면 성현리 일부, 회양군 신안면 연송포리, 포리, 송치리

10.11. 창도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창도읍(昌道邑)김화군 창도면 유창리, 창도리, 득사일리, 득사이리
신창리(新創里)김화군 원북면 고대리, 탄감리
신풍리(新豊里)김화군 원북면 추일리 ,추이리
당현리(堂峴里)김화군 원북면 감천리 일부, 당현일리, 당현이리
법수리(法首里)김화군 원북면 법수현일리, 법수현이리
성도리(城桃里)김화군 창도면 도성리, 성현리 일부
판교리(板橋里)김화군 창도면 대백이리, 방성리
대백리(大白里)김화군 창도면 대백일리, 회현리, 성현리 일부
학방리(鶴芳里)김화군 창도면 학방일리, 학방이리
기성리(岐城里)김화군 창도면 기성일리, 기성이리
두목리(杜木里)김화군 임남면 두목리
임남리(任南里)김화군 임남면 로남일리, 로남이리, 사천리
면천리(綿川里)김화군 임남면 봉잔리, 면천일리, 면천이리
탑거리(塔距里)김화군 금성면 매회리, 탑거리
성산리(城山里)김화군 근북면 산현리, 성암리
장현리(長縣里)김화군 통구면 통현리, 장안리, 화평리 일부
당산리(堂山里)김화군 통구면 당평리, 보막리, 삼태리
도화리(桃花里)김화군 통구면 화사리 일부, 도파리, 화평리 일부
통구리(通口里)김화군 통구면 현리, 화사리 일부, 북둔리
원북리(遠北里)김화군 원북면 고직일리, 고직이리, 감천리 일부
사동리(泗東里)회양군 사동면 하양리, 상사동리, 회동리, 하사동리
신성리(新成里)회양군 사동면 만도리, 릉동리, 량수암리
지석리(支石里)회양군 사동면 상지석리, 하지석리
금산리(金山里)회양군 사동면 속사동리, 하구만리
상판리(上板里)김화군 임남면 달전리, 상판리, 좌패리
대정리(大井里)강원도(남) 양구군 수입면 대정일리, 대정이리
천리(泉里)강원도(남) 양구군 수입면 천리
인패리(印佩里)강원도(남) 양구군 수입면 인패일리, 인패이리
점방리(占方里)강원도(남) 양구군 수입면 점방리
오천리(烏川里)강원도(남) 양구군 수입면 오천리
송거리(松巨里)강원도(남) 양구군 수입면 송거리, 근리, 지혜리
문등리(文登里)강원도(남) 양구군 수입면 문등일리, 문등이리
금성리(金城里)김화군 금성면 경파리, 방충리, 상리, 후천리, 원동리, 장연리 금성리(金城里)
초서리(初西里)김화군 금성면 초서리, 별양리, 어천리
수태리(水泰里)김화군 원남면 백양리, 근동면 수태리, 아침일리, 아침이리
건천리(乾川里)김화군 근북면 건천일리, 건천이리, 두촌리
백현리(栢峴里)강원도(남) 양구군 수입면 백현리
광삼리(光三里)김화군 근동면 광삼리 일부
과호리(科湖里)김화군 임남면 과호리
수동리(水洞里)김화군 임남면 수동리
구룡리(九龍里)김화군 원남면 구룡리
월봉리(月峯里)김화군 원남면 월봉리
진현리(榛峴里)김화군 원남면 진현일리 진현이리
방통리(芳通里)김화군 근동면 방통리
풍동리(楓洞里)김화군 원남면 풍동리
룡연리(龍淵里)김화군 원동면 룡연리
송실리(松室里)김화군 원동면 송실리
근동리(近東里)김화군 근동면 하소일리, 하소이리 교전리, 광삼리 일부
개야리(開野里)김화군 원남면 개야리
경상리(慶祥里)김화군 원남면 경상리
남둔리(南屯里)김화군 원남면 남둔리
률사리(栗沙里)김화군 원동면 률사리
방평리(芳坪里)김화군 원동면 방평리
어운리(漁雲里)김화군 임남면 어운리
1953년에 과호리, 어운리, 수동리 어호리(漁湖里), 구룡리, 월봉리, 풍동리, 진현리, 방통리 구봉리(九峯里), 경상리, 개야리, 남둔리, 로동리 일부, 죽대리 일부 원남리(遠南里), 룡연리, 송실리, 세현리 일부, 등대일리 일부 룡현리(龍峴里), 방평리 률사리 원동리(遠東里) 각각 신설하였다.

1954년에 김화군 을 다시 설치하면서 창도읍을 창도리(昌道里)로 강등하고 기타 신창리, 신풍리, 당현리, 법수리, 학방리, 탑거리, 성산리, 원북리, 상판리, 금성리, 초서리, 수태리, 건천리, 어호리, 근동리, 원남리, 원동리, 룡현리 등 리 함께 재 설치되는 김화군에 편입하였다. 동시에 통구리 창도읍(昌道邑)으로 승격하였다.

1952년 군면리 대페합에 따라 김화군 이 창도군에 편입되면서 페지되였다가, 1954년에 창도군 창도읍(昌道邑), 금성리(金城里), 학방리(鶴芳里), 신창리(新創里), 원북리(遠北里), 당현리(堂峴里), 법수리(法首里), 신풍리(新豊里), 탑거리(塔距里), 성산리(城山里), 건천리(乾川里), 초서리(初西里), 구봉리(九峯里), 수태리(水泰里), 근동리(近東里), 원남리(遠南里), 원동리(遠東里), 룡현리(龍峴里), 상판리(上板里), 어호리(漁湖里) 등을 분리하여 강원도 김화군 을 다시 설치하였는데, 이때 수태리 일부가 구봉리에 편입되였고 창도읍을 창도리(昌道里) 금성리 김화읍으로 개편하여 1읍 19리 관할하였다.

10.12. 철원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마장읍(馬場邑)철원군 마장면 장포일리, 장포이리, 장포삼리, 장포사리
대전리(大田里)철원군 마장면 대전일리, 대전이리
립석리(立石里)철원군 마장면 립석일리, 립석이리 립석리
밀암리(蜜巖里)철원군 마장면 밀암일리, 밀암이리, 밀암삼리
왕피리(往避里)철원군 마장면 남원리, 왕피일리,왕피이리
월암리(月巖里)평강군 서면 정산삼리 이천군 동면 월암리
읍내리(邑內里)이천군 안협면 거성리, 읍내리
상하리(上下里)이천군 안협면 상수회리, 하수회리
저탄리(楮灘里)이천군 안협면 저전리, 퇴탄리
내문리(乃文里)철원군 내문면 창동리, 내문일리, 내문이리
반석리(斑石里)철원군 내문면 반석일리, 반석이리
오동리(梧桐里)철원군 내문면 오동일리, 오동이리
마방리(馬放里)철원군 내문면 마방일리, 마방이리
상마산리(上馬山里)련천군 삭녕면 고마리, 상마산리
부압리(浮鴨里)황해도 금천군 토산면 내리, 외리, 부압리
송현리(松峴里)철원군 인목면 송현리, 내복리
갈현리(葛峴里)철원군 인목면 덕산리, 석현리, 갈현리, 신현리
가승리(佳承里)철원군 인목면 가탑리, 승양리
회산리(回山里)철원군 북면 회산일리, 회산이리
삼사리(三四里)철원군 북면 회산삼리, 회산사리
외학리(外鶴里)철원군 북면 외학일리, 외학이리, 외학삼리
룡학리(龍鶴里)철원군 북면 룡학일리, 룡학이리
유정리(楡井里)철원군 북면 유정일리, 유정이리
보막리(洑幕里)철원군 북면 보막일리, 보막이리, 보막삼리
중강리(中江里)철원군 어운면 중강일리, 중강이리, 중강삼리, 중강사리, 중강오리, 중강륙리
강산리(江山里)철원군 어운면 강산일리, 강산이리, 강산삼리, 강산사리, 강산오리, 강산륙리
류대포리(流大浦里)이천군 서면 류대포리
문암리(文巖里)이천군 서면 문암리(文巖里)
정동리(定洞里)이천군 동면 정동상리 정동하리
하식점리(下食店里)이천군 동면 상식참리 하식참리
여척리(餘尺里)련천군 삭녕면 여척리
삭녕리(朔寧里)련천군 삭녕면 삭녕리 대사리 일부
검사리(檢寺里)철원군 인목면 검사리
독검리(篤儉里)철원군 내문면 독검리
도밀리(道密里)철원군 인목면 도밀리
석둔리(席屯里)련천군 서남면 석둔리
장학리(獐鶴里)련천군 서남면 장학리
솔현리(率賢里)련천군 서남면 솔현리
랭정리(冷井里)련천군 서남면 랭정리
적동리(積洞里)련천군 삭녕면 적동산리, 도연리, 대사리 일부
적산리(積山里)련천군 삭녕면 어적산리, 적음리, 진곡리
1개 읍, 40개 리 관할하였다.

1953년에 련천군 서남면 오탄리(伍炭里), 귀존리(貴存里), 가천리(佳川里)가 편입되였다.

10.13. 평강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평강읍(平康邑)평강군 평강면 복계리, 상갑리, 하갑리, 전중리, 평화리, 복포리
해방리(解放里)평강군 평강면 어룡포리, 해방리
남양리(南陽里)평강군 평강면 간리, 신촌리, 남양리
구읍리(舊邑里)평강군 평강면 서변리, 동변리
압동리(鴨洞里)평강군 평강면 압동리
랑월리(浪越里)평강군 서면 화암삼리 평강면 랑월리
옥동리(玉洞里)평강군 서면 옥동일리, 옥동이리
문봉리(文峯里)평강군 서면 문봉일리, 문봉이리
금곡리(金谷里)평강군 서면 금곡일리, 금곡이리
정산리(定山里)평강군 서면 정산일리, 정산이리
화암리(化巖里)평강군 서면 화암일리, 화암이리
망일리(望日里)평강군 서면 망일리
백룡리(白龍里)평강군 현내면 송우리, 백룡리
문산리(文山里)평강군 현내면 문산리, 갈궁정리 문산리
리수덕리(李壽德里)평강군 현내면 림단리, 북촌리
랑하리(浪下里)평강군 현내면 마장리 랑하리 일부
하복리(下福里)평강군 현내면 하복리, 감둔리
송포리(松浦里)평강군 현내면 신대리, 송포리
축산리(築産里)평강군 현내면 리목리 일부, 백천리
상원리(上元里)평강군 현내면 하원리, 상원리
하주리(下注里)평강군 현내면 하주리, 린각리
적동리(赤洞里)평강군 현내면 리목리 일부 적동리
신정리(新井里)평강군 현내면 신정리
천암리(天巖里)평강군 남면 천마리, 지암리
내천리(內泉里)평강군 남면 지촌리, 달전리
자원리(資源里)평강군 남면 외상리, 신도리, 가곡리, 내상리
전승리(戰勝里)평강군 남면 중동리, 학전리
송현리(松峴里)평강군 남면 상송리, 송현리
복만리(福滿里)평강군 목전면 복만리, 직동리
정동리(鼎洞里)평강군 목전면 정동리, 사흘리
기산리(箕山里)평강군 목전면 기산일리, 기산이리
중삼리(中三里)평강군 목전면 중삼리
장촌리(墻村里)평강군 목전면 장촌리
상송관리(上松館里)회양군 란곡면 상송관리, 공동일리, 공동이리
하송리(下松里)회양군 란곡면 하송관일리, 하송관이리, 평강군 현내면 랑하리 일부

10.14. 세포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세포읍(洗浦邑)평강군 세포면 세포일리, 세포이리, 세포삼리
백산리(栢山里)평강군 세포면 근남일리, 근남이리
서하리(西下里)평강군 세포면 서하일리, 서하이리
약수리(藥水里)평강군 세포면 동산일리, 동산이리
성평리(城坪里)평강군 세포면 북평일리
북평리(北坪里)평강군 세포면 북평이리
원남리(遠南里)평강군 세포면 원남일리
성산리(城山里)평강군 세포면 원남이리
중평리(中坪里)평강군 세포면 중평일리, 중평이리
후평리(後坪里)평강군 유진면 후평리, 사창리, 답전리
내평리(內坪里)평강군 유진면 리구리, 주빈리
천기리(泉岐里)평강군 유진면 천기리, 진동리 일부
대문리(大門里)평강군 유진면 대문리, 진동리 일부
유연리(楡淵里)평강군 유진면 유연리, 롱구리
상술리(上述里)평강군 유진면 상술리, 하술리
금평리(金坪里)평강군 유진면 적전리, 금평리
현리(縣里)회양군 란곡면 직포리, 현일리, 현이리
신평리(新坪里)회양군 란곡면 속사동리, 신평일리, 신평이리, 신평삼리
삼방리(三防里)안변군 신고산면 삼방협리, 삼방리, 청학리
신생리(新生里)평강군 세포면 신생리

10.15. 이천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이천읍(伊川邑)이천면 신흥리, 비석리, 천안리, 향교일리, 향교이리, 향교삼리, 탑리
개천리(開川里)이천면 개상리, 개하리
회산리(回山里)이천면 추목리, 회산리
건설리(建設里)이천면 남좌리, 안양리
신당리(新塘里)이천면 신당리
우미리(友味里)서면 우미일리 일부, 우미이리
산참리(山站里)서면 하화암리 일부, 산참리
축동리(軸洞里)서면 축동리, 하화암리 일부
룡정리(龍亭里)학봉면 장항리 일부, 서면 상화암리, 우미일리 일부
오현리(筽峴里)학봉면 사청리 일부, 오현리
사청리(射廳里)학봉면 대하현리, 사청리 일부, 장항리 일부
은행정리(銀杏亭里)학봉면 은행정리, 묵막리
성북리(城北里)학봉면 회산리, 성북리 일부
학봉리(鶴峯里)학봉면 신파리, 학봉리
장재리(長在里)학봉면 성북리 일부, 산내면 장재리 일부
심동리(深洞里)학봉면 성호리, 노동리, 심동리, 공수탄리
상하리(上下里)산내면 장재리 일부, 상하리
송정리(松亭里)산내면 삼거리 일부, 송정리
장동리(長洞里)산내면 삼거리 일부, 화풍리, 장동리
산지리(山旨里)룡포면 룡홍일리 일부, 산지리
문동리(文童里)룡포면 창전리, 문동리, 호암리
무릉리(武陵里)룡포면 무릉리

10.16. 판교군

명칭 영역 (개편직전) 비고
판교읍(板橋邑)판교면 명덕일리, 명덕이리 1953년에 판교읍을 명덕리(明德里)로 강등하면서 가려주리 판교읍으로 승격
룡당리(龍塘里)판교면 송원리, 룡당일리, 당이리
지상리(支上里)판교면 지상리, 내락리
구봉리(九峯里)판교면 구봉리, 외락리
지하리(支下里)판교면 지하리, 삼포리, 지석리
풍현리(楓峴里)판교면 풍림리, 광현리
군한리(君漢里)판교면 군지리, 한지리
룡포리(龍浦里)산내면 일부, 추동리
개련리(開蓮里)산내면 개련일리, 개련이리 일부
가려주리(佳麗州里)방장면 가하리 가려주리
사동리(寺洞里)방장면 사동일리, 사동이리, 당우리
룡지리(龍池里)방장면 룡지리
구당리(龜塘里)방장면 구당일리 구당이리
하린원리(下麟原里)방장면 인원일리 일부 경도리 일부
상린원리(上麟原里)방장면 인원이리
경도리(京都里)방장면 인원일리 일부 경도리 일부
룡천리(龍川里)룡포면 성거리 일부 판교면 룡천리
상두리(上頭里)룡포면 상두일리 상두이리
룡흥리(龍興里)룡포면 룡흥이리 룡흥일리 일부, 성거리 일부
삼성리(三城里)황해도 곡산군 동촌면 리하리 리상리 1953년에 삼성리 분리하여 리상리(梨上里) 리하리(梨下里) 복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