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1. 달의 빛을 의미한다. 한자로 쓰면 월광(月光), 영어로는 Moonlight, 혹은 Moonbeam.- 성질
문화적으로 달빛은 낮의 햇빛과 대비되곤 했다. 낮의 이성에 대조되어 밤의 낭만, 어둠 등을 상징하는 요소로 꼽힌다. 흡혈귀도 햇빛에는 불타버리지만 달빛으로는 몸을 회복시킨다는 설정이 있다. 연금술에서 달은 종종 은에 대응되었고 오늘날에도 이 대응은 달빛 특유의 밝은 색상, 후술할 낮은 열 등으로 그럭저럭 잘 납득이 되는 편인지라 여러 판타지 매체에서 자주 쓰이는 편이다.
다만 과학적으로는 달빛도 햇빛에서 기원한 것이다. 달은 스스로 빛을 내지 않으며 달빛은 햇빛, 즉 태양광이 달에 반사되어 비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광량은 확연히 약해지며, 태양의 복사열은 빛보다도 더 잘 반사되지 않으므로 달빛은 전혀 뜨겁지 않다.
- 광량
달이 보름달로 차오르면 달빛도 비례해 강해진다. 기상상태와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보름달의 밝기는 수치화할 경우 0.05~0.3럭스에 해당한다. 그리고 반달, 초승달일 때는 그만큼 약하다. 가로등이 가득한 현대 도시에서는 잘 알 수 없지만, 빛공해가 없는 곳에서는 보름달일 때는 그림자가 선명하게 질 정도로 상당히 밝아지는 것이 보일 정도다. 형설지공이라는 말도 있듯이 글을 읽을 정도는 충분히 된다. 도시민은 크게 신경쓸 정도가 아니지만 가령 해안 경계의 경우 야간에 달빛의 유무로 취약시기와 비취약시기가 구분된다.
2. 동음이의어
2.1. 클로드 드뷔시가 작곡한 피아노곡 Clair de Lune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Clair de Lune#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Clair de Lune#|]][[Clair de Lune#|]]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2. 다르빗슈 유의 별명
이란계 일본인[1]이자 현 MLB 투수인 다르빗슈 유의 한국 별명. 이름을 빨리 말하면 '달빛'과 비슷해져 생긴 별명이다.2.3. 달구벌 - 빛고을의 줄임말
대구-광주 간 협력 시 자주 사용되는 단어로, 달빛동맹과 달빛동맹민관협력위, 달빛고속도로, 달빛철도 등으로 사용된다. K리그의 대구 FC와 광주 FC의 더비 경기도 달빛 더비, KBO 리그의 삼성 라이온즈와 KIA 타이거즈의 시리즈 경기도 달빛시리즈라고 불린다.흔히 1번 문단의 달빛(月光)을 번역한 것으로 알고 있는 사람이 몇 있는데 빛고을은 광주(光州)를 순우리말로 현지화한 명칭이라 문제가 없지만 대구의 구 명칭인 달구벌(達句伐)은 명칭에서 보이듯이 순우리말 명칭도 아니고 당연히 '달(達)'자도 지구의 위성 달과는 관계없는 명칭이다. 따라서 달빛동맹은 뜻과는 관계없는 일종의 음차적인 요소가 들어간 명칭인 셈이다.
2.4. 포켓몬스터의 기술 달빛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달빛(포켓몬스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달빛(포켓몬스터)#|]][[달빛(포켓몬스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8세대까지는 달의불빛이었으나 9세대에서 수정되었다.
[1] 아버지는 이란인이며 어머니가 일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