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8 12:28:19

바다 행성

태양계 천문학·행성과학
Solar System Astronomy · Planetary Scienc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arkOrange><colcolor=#fff> 태양계
태양 햇빛 · 태양상수 · 흑점(밥콕 모형) · 백반 · 프로미넌스 · 플레어 · 코로나 · 태양풍 · 태양권
지구 지구 구형론(지구타원체) · 우주 방사선 · 지구자기장(자극점 · 지자기극점 · 다이나모 이론 · 오로라 · 밴앨런대 · 델린저 현상 · 지자기 역전 · 지자기 폭풍)
달빛 · 만지구 · 지구조 · 슈퍼문 · 블루 문 · 조석(평형조석론 · 균형조석론) · 달의 바다 · 달의 남극 · 달의 뒷면 · 월석 · 후기 대폭격
월식(블러드문 · 슈퍼 블루 블러드문) · 일식(금환일식) · 사로스 주기 · 엄폐
소행성체 소행성(근지구천체 · 토리노 척도 · 트로이군) · 왜행성(플루토이드) · 혜성(크로이츠 혜성군)
별똥별 정점 시율 · 유성우 · 화구 · 운석(크레이터 · 천체 충돌 · 광조)
우주 탐사 심우주 · 우주선(유인우주선 · 탐사선 · 인공위성) · 지구 저궤도 · 정지궤도 · 호만전이궤도 · 라그랑주점 · 스윙바이 · 오베르트 효과 · 솔라 세일 · 테라포밍
천문학 가설 태양계 기원설 · 티티우스-보데 법칙 · 네메시스 가설 · 제9행성(벌칸 · 티케 · 니비루) · 후기 대폭격
음모론 지구 평면설 · 지구공동설
행성과학
기본 개념 행성(행성계) · 이중행성 · 외계 행성 · 지구형 행성(슈퍼지구 · 바다 행성 · 유사 지구 · 무핵 행성) · 목성형 행성 · 위성(규칙 위성 · 준위성 · 외계 위성) · 반사율 · 계절 · 행성정렬 · 극점
우주생물학 골디락스 존(온실효과 폭주) · 외계인 · 드레이크 방정식 · 우주 문명의 척도(카르다쇼프 척도) · 인류 원리 · 페르미 역설 · SETI 프로젝트 · 골든 레코드 · 아레시보 메시지(작성법) · 어둠의 숲 가설 · 대여과기 가설
틀:천문학 · 틀:항성 및 은하천문학·우주론 · 천문학 관련 정보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Oceanplanet_lucianomendez.jpg
바다 행성의 상상도
1. 개요2. 구조3. 생명체 존재의 가능성4. 후보5. 가상의 바다 행성6. 관련 링크

1. 개요

Ocean Planet / 海洋惑星[1] / 海洋行星[2]

바다 행성은 2004년, 천문학자 마크 쿠치너가 주장한 행성 모델로, 슈퍼지구급 행성 중에서 과 암석이 적절한 비율로 섞여 있고, 이 행성이 항성과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며 공전할 경우 생겨나는 행성이다. 행성의 암석 지각 위에 모든 표면이 액체로 뒤덮여 바다를 형성하는 경우이다.

2. 구조


파일:external/msnlv.com/interior-of-the-ocean-planet.jpg
원래 바다 행성은 해왕성이나 천왕성과 같은 거대 얼음 행성 혹은 슈퍼지구로, 이들이 어떠한 이유에서 모항성에 가까워지게 되면 행성의 대기를 차지하던 수소헬륨은 날아가고 얼음층이 녹아 바다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바다 행성의 가장 큰 특징은 일반적인 지구형 행성에 비해 크기가 크다는 것이다. 물은 평균적인 규산암질/철질 암석보다 밀도가 훨씬 낮기 때문에, 지구와 같은 질량을 가진 행성이라도 밀도가 낮아 부피가 클 수밖에 없다. 만일 해당 행성이 수소 대기를 유지하고 있다면 하이션(Hycean)[3] 행성으로 불리게 된다.

행성의 질량이 클수록 적은 비율의 물로도 행성 전역이 뒤덮이기 쉬워진다. 행성의 질량이 크면 중력도 커지므로, 지형이 쉽게 평탄해져 고도 차이가 작아지기 때문이다. 지형의 기복이 비교적 큰 지구의 경우 고도가 낮은 부분에 바다가 있고, 고도가 높은 부분에는 육지가 있지만, 지형의 기복이 적은 거대 행성의 경우 전체를 바다가 덮는다. 또한 바다의 무게로 인한 초고압 때문에 거대한 얼음 지각층이 존재하는데, 이 얼음층은 지구에서 일상적으로 볼 수 있는 얼음 동소체인 얼음 Ih[4]이 아닌 또 다른 동소체 얼음이며, 차갑지 않을 것이다.[5] 행성의 대기는 당연히 많은 수증기를 포함할 것이고, 수증기로 인한 온실 효과도 매우 클 것이다.[6]

바다 행성의 중력이 크다면 행성계의 바다는 잔잔하겠지만, 중력이 상대적으로 낮으면 쓰나미가 빈번하게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7]

3. 생명체 존재의 가능성

지구의 생명체도 바다에서 시작되었듯이, 만일 바다 행성이 적당한 거리에서 공전하고 있고 대기 등 환경이 지구와 비슷하다면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은 충분히 높다. 하지만 육지가 전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당연히 육상 생물체는 존재하지 않는다.

지구에도 상어[8]문어, 돌고래[9]처럼 영리한 수중 생물들이 존재하는 것을 보면 바다 행성에서도 지적 생물이 탄생하는 것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그러나 지적인 수중 생물이 과연 인류와 같은 기술 문명을 만들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학자들이 많다. 돌조각을 이용해서 도구를 만들 수는 있다고 쳐도, 불을 발견할 수 없으니 금속을 제련하지 못하고 복잡한 기계 장치를 만들 수 없다. 이에 대해서는 해저 화산 근처의 고온을 이용할 수 있다거나 에어 포켓 또는 선박과 같은 수상 시설을 만들어 불을 피울 수 있다고 주장하기도 하지만, 육상 생물에 비해 어려워 보이는 것은 사실이다. 또한 이러한 난관을 극복하고 산업 혁명까지 가더라도 물이 전기 전도체이기 때문에 전기를 사용하는 것이 매우 어려우므로, 현대 인류와 같은 정보화 시대에 도달하는 것은 산업 혁명보다 더 큰 난제일 것으로 예상된다. 만일 해당 바다 행성의 수심이 너무 깊을 경우 강한 수압과 얼음 동소체 지각으로 인해 암반으로의 접근이 매우 어려울 수 있다. 이 경우 금속을 비롯해 문명 발전에 반드시 필요한 광물들을 얻기 힘들 것이다.

물론 이 점은 지구의 기준에서 보는 것이므로, 외계 행성에 지적 생명체가 탄생한다면 지구의 상식을 완전히 벗어난 방식으로 기술 발전이 이루어질 가능성은 있다. 예를 들어 소설 All Tomorrows에서는 수중 생활에 적합하게 진화된 인류가 금속 제련이 아닌 생물의 선택 교배를 통하여 생체 도구를 만들어 문명을 발전시키는 것으로 나온다.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상상의 영역일 뿐이고, 현재로서 인류가 아는 기술 발전 방향은 인류가 스스로 겪은 것뿐이니 과연 다른 방향으로 문명을 이루는 게 가능할지는 미지수다.

4. 후보

현재 유력한 바다 행성 후보로는 GJ 1214b와 kepler-22b가 있고[10], 나무위키에 상세히 실린 바다 행성으로는 글리제 581d가 있다.

5. 가상의 바다 행성

6. 관련 링크



[1] 일본어.[2] 중국어.[3] 수소(Hydrogen)와 바다(Ocean)의 합성어이다.[4] 온도 약 -100 ~ 0ºC, 약 2100기압 이하에서 만들어지는 H2O 동소체. 우리가 아는 바로 그 얼음이다.[5] 얼음 VI은 0 ~ 100ºC에서 존재한다. 가니메데 상부 맨틀의 얼음층이 이와 같을 것이라고 추측된다. 또 얼음 VII, 얼음 X, 얼음 XI 등 2만 기압 이상의 고압에서 존재하는 동소체들은 100ºC보다 높은 온도에서도 존재할 수 있다.[6] 글리제 581d의 경우, 모항성으로부터 받는 에너지의 양은 지구의 4분의 1 정도이지만 온실 효과가 강하여 온도가 지구와 비슷하다고 한다.[7] 앞서 말한, 중력이 커질수록 지형이 평탄해지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8] 일반적인 인식과 달리 상어는 매우 똑똑한 동물이다.[9] 다만 고래류 및 기각류는 육상 생물이었던 포유류가 다시 수중 생물이 된 것이므로, 순전히 바다에서만 진화해 온 생물은 아니다.[10] kepler-22b의 질량은 아직 측정되지 못했지만 만약에 질량이 매우 무겁게 나올 경우 바다 행성 후보에서 배제된다. kepler-22b의 경우 최대 질량 상한선은 지구 질량의 52.8배[11] 참고로 지구상의 바닷물의 부피는 약 14억 km3, 이해하기 쉽게 리터로 환산하면 14해 리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