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ae1932><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ae1932> | }}} | ||
{{{#!wiki style="color: #ae1932;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립 | |||
국립중앙박물관 | 국립고궁박물관 | 국립항공박물관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
국립경찰박물관 |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 한국영화박물관 | 국토발전전시관 | |
국립민속박물관 | 국립한글박물관 | 국립기상박물관 | 국립스포츠박물관 | |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 | 국립어린이과학관 | 육군박물관 | |
공립 | ||||
서울역사박물관 | 한양도성박물관 | 청계천박물관 | 동대문역사관 | |
공평도시유적전시관 | 서울생활박물관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돈의문역사관 | |
서울시립미술관 |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 서울시립 남서울미술관 | 서울시립 사진미술관 | |
서울시립과학관 | 서대문자연사박물관 | 서대문형무소역사관 | 강서별빛우주과학관 | |
겸재정선미술관 | 용산역사박물관 | 은평역사한옥박물관 | 서울공예박물관 | |
서울교육박물관 | 한성백제박물관 | 성북구립미술관 | 한국광고박물관 | |
사립 | ||||
간송미술관 | 백범김구기념관 | 배재학당역사박물관 | 신문박물관 | |
리움미술관 | 매헌윤봉길의사기념관 | 뮤지엄 김치간 | 대림미술관 | |
화폐박물관 | 호림박물관 |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國立大韓民國臨時政府紀念館 | National Memorial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 |
| |
| |
<colbgcolor=#003764><colcolor=#fff> 종류 | 국립박물관 |
개관 | 2022년 3월 1일 |
운영주체 | 국가보훈부 |
관장 | 김희곤[1] |
주소 | <nopad>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통일로 279-24 ,(현저동), | |
우편 번호 | 03732 |
연락처 | 02-772-8708 |
|
1. 개요
국가보훈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제2조(소속기관) ① 국가보훈부장관의 관장사무를 지원하기 위하여 국가보훈부장관 소속으로 국립대전현충원, 국립4ㆍ19민주묘지관리소, 국립3ㆍ15민주묘지관리소, 국립5ㆍ18민주묘지관리소, 국립영천호국원, 국립임실호국원, 국립이천호국원, 국립산청호국원, 국립괴산호국원, 국립제주호국원, 국립신암선열공원관리소 및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을 둔다.
제17조의2(직무)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관련 자료의 수집ㆍ보존ㆍ조사ㆍ연구ㆍ전시ㆍ교육 및 교류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위치한 국가보훈부 소속 박물관이다. 기념관은 이전에 서대문구의회 건물[2]이 있었던 부지에 건설됐고, 본래 2021년 11월 23일[3]에 개관할 예정이었으나 추가 공사로 연기되어 2022년 3월 1일에 정식 개관했다.제2조(소속기관) ① 국가보훈부장관의 관장사무를 지원하기 위하여 국가보훈부장관 소속으로 국립대전현충원, 국립4ㆍ19민주묘지관리소, 국립3ㆍ15민주묘지관리소, 국립5ㆍ18민주묘지관리소, 국립영천호국원, 국립임실호국원, 국립이천호국원, 국립산청호국원, 국립괴산호국원, 국립제주호국원, 국립신암선열공원관리소 및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을 둔다.
제17조의2(직무)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관련 자료의 수집ㆍ보존ㆍ조사ㆍ연구ㆍ전시ㆍ교육 및 교류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
지상 4층, 지하 3층 건물로 상설전시실 3개와 특별전시실 1개로 구성되어 있다.
2. 건립 배경
2017년 문재인 대통령이 광복절 경축사에서 임시정부 기념관 건립 의지를 표명했고, 1919년 3.1 운동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본격적으로 계획이 추진됐다.그리고 지금까지의 대한민국 임시정부 관련 기념 시설들이 상하이시, 충칭시 등 중국에 소재하고 있기 때문에 접근성이 떨어졌다. 이에 국내에도 기념관을 건립해 자주독립과 민주공화제의 정신을 후대에 전승하는 것이 기념관 건립의 목적이 됐다.
3. 조직
-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장
- 행정관리과
- 전시운영과
- 연구교육과
4. 관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