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기 전까지의 독립운동에 대한 내용은 한국 독립운동 문서 참고하십시오.
1. 개요
독립운동(獨立運動)은 다른 국가에 종속된 국가나 민족, 혹은 집단이 종속상태(식민지 상태 등)를 극복하고 독립된 국가로 분리되기 위하여 행하는 일련의 투쟁을 말한다. 대개 무력 투쟁으로 이어지며 이를 위한 전쟁을 독립 전쟁(해방 전쟁)이라고 한다.중국은 자국의 정치적인 상황 때문에 활약 분리주의 운동(活跃分离主义运动)이라는 단어로 사용한다.
2. 역사
과거로부터 수많은 전쟁이 있었고 그 결과에 따라 수많은 나라가 명멸해가고 흡수되거나 분리되었지만, 근현대의 형태의 독립운동의 개념이 나타난 것은 일반적으로 아일랜드 독립운동과 네덜란드 독립운동을 처음으로 본다. 자신이 새로이 점령한 영토를 기존 국가에 편입시키되, 동등하게 대하는 것이 아니라 차별된 '외부의 종속 지역'으로서 대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독립운동의 계기가 된다.역사적으로 피지배인들의 투쟁은 늘 있었지만 오늘날의 형태의 독립운동은 생각보다 적었다. 이는 근대 이전에 다민족 제국이 우세했기 때문이다. 단일민족국가에서 다룬 대로 이는 이는 전근대 군주제의 "왕 앞의 평등"에 의한 면이 있다고도 할 수 있다. 신분제도의 질서에 따라 어떤 민족이든 어차피 왕의 신하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단면은 근대 이전에 민족이나 그 기반이 되는 에스니시티가 아예 존재하지 않은 허구의 개념이라는 '민족 근대론'의 배경이 되기도 한다. 한편 민족이 그 전부터 있었다고 주장하는 측에서는 그러한 다민족 제국 체제에서도 피지배인들의 민족 의식은 단지 지배 민족의 군사적인 우위에 억눌렸을 뿐이며, 전근대 시기에도 각각의 민족이 민족성을 드러내는 사례는 적잖이 있었다고 본다.
3. 목록
- 폴란드 독립운동 - 한국보다도 훨씬 오래 외국에 의해 지배당했다. 독립운동도 폴란드-리투아니아 독립운동, 1833년 봉기, 1848년 대폴란드 봉기, 1863년 1월 봉기, 바르샤바 봉기 등으로 무척 많다.
- 한국 독립운동
- 그리스 독립 전쟁
- 아이슬란드 독립운동
- 남수단 독립운동 - 제1차 수단 내전과 제2차 수단 내전을 거치고 2011년 7월 9일, 투표로 독립이 다수파를 얻어 2010년대에 처음으로 독립했다.
- 네덜란드 독립전쟁
- 동티모르 독립운동 - 1975년 독립선언을 한 직후 인도네시아에 침공당해 또다시 독립운동을 해온 끝에 2002년 인도네시아로부터 독립했다.
- 미국 독립전쟁
- 류큐 독립운동
- 방글라데시 독립전쟁
- 벨기에 혁명
- 부건빌 독립운동 - 2019년 12월에 다수파가 독립에 찬성했다. 하지만 파푸아뉴기니 측이 여전히 거절하고 있어 갈등이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 서사하라 독립운동
- 스코틀랜드 독립운동
- 아라비아 독립운동
- 아일랜드 독립운동
- 부활절 봉기
- 아일랜드 독립 전쟁
- 동튀르키스탄 독립운동
- 인도 독립운동
- 카탈루냐 독립운동
- 타이완 독립운동
문서에서도 보듯 다른 독립운동과는 성격이 다르다. 대만은 이미 별개의 국가이기 때문이다. 문서에서는 '대만의 정체성을 중화민국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다룬다. 현 중국-대만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주로 '두 개의 중국'이라고 표현한다. - 티베트 독립운동
- 포르투갈 독립 전쟁
- 헝가리 독립운동 - 퇴쾨이 임레와 라코치 페렌츠 2세의 반 합스부르크 봉기, 1848년 헝가리 혁명 등
- 홍콩 독립운동
- 팔레스타인 독립운동
4. 독립을 지향하는 정치적 활동이 있는 지역
독립을 지향하는 지역: 소속국 형식으로 서술하며, 마이크로네이션 같이 나라로 보기 어려운 경우나, 팔레스타인, 코소보의 경우처럼 상당한 수의 나라들로부터 독립을 인정받은 지역은 제외한다.4.1. 아메리카
4.2. 아시아
- 남예멘: 예멘
- 나갈랜드: 인도, 미얀마[6]
- 내몽골[A]: 중국
- 대만 섬[8]: 중화민국, 중국[9]
- 로힝야: 미얀마[10], 방글라데시[11]
- 마니푸르: 인도
- 만주[A]: 중국[13]
- 말루쿠 제도: 인도네시아
- 민다나오섬: 필리핀
- 몬족: 태국[A], 미얀마[15]
- 몽족(묘족): 라오스, 중국[A][17], 베트남
- 발루치스탄: 이란, 파키스탄
- 보르네오 섬 북부[18]: 말레이시아
- 빠따니 주: 태국
- 샨족: 미얀마, 태국, 라오스[19]
- 시킴[A]: 인도
- 신장 위구르 자치구(동투르키스탄): 중국[21]
- 아라칸[22]: 인도[A], 미얀마[24], 방글라데시[25]
- 아이누[A]: 일본[27]
- 아체: 인도네시아
- 오키나와[A]: 일본[29]
- 와족: 미얀마, 라오스[30]
- 차크마: 방글라데시[31]
- 카렌: 미얀마[32]
- 카친족(경파족): 미얀마[33]
- 카라칼파크스탄[A]: 우즈베키스탄
- 카슈미르: 인도, 파키스탄[35]
- 코캉: 미얀마[36]
- 펀자브: 인도
- 쿠르드족 자치 정부 지역(쿠르디스탄): 이라크, 시리아[A], 튀르키예
- 티베트 : 중국
- 홍콩[38]: 중국
- 하자라족: 아프가니스탄[39]
4.3. 아프리카
4.4. 오세아니아
- 남섬[A]: 뉴질랜드[42]
- 뉴기니(서파푸아 또는 이리얀자야): 인도네시아
- 누벨칼레도니: 프랑스
- 부건빌: 파푸아뉴기니
- 하와이[A]: 미국
- 라파 누이: 칠레
- 추크 주: 미크로네시아 연방[44]
4.5. 유럽
- 가가우지아[A]: 몰도바
- 그린란드: 덴마크
- 남오세티야: 조지아
- 바스크: 스페인
- 바이에른[A]: 독일
- 발레아레스 제도[A]: 스페인[48]
- 발렌시아[A]: 스페인
- 베네토: 이탈리아
- 벨기에 독일어 공동체: 벨기에[50]
- 북아일랜드[51]: 영국
- 북키프로스:키프로스
- 브르타뉴[A]: 프랑스
- 브뤼셀 수도권: 벨기에
- 스코틀랜드: 영국
- 압하지야: 조지아
- 왈롱: 벨기에
- 웨일스[A]: 영국[54]
- 쥐트티롤: 이탈리아
- 체첸 공화국: 러시아
- 카탈루냐: 스페인
- 코르시카: 프랑스
- 트란스니스트리아[A]: 몰도바
- 파다니아[A][57]: 이탈리아
- 페로 제도: 덴마크
- 플란데런: 벨기에
5. 관련 문서
5.1. 관련 개념
5.2. 관련 집단
5.3. 관련 작품
5.4. 각 국가별 특수 용어
6. 여담
- 유대교의 메시아 사상은 현세에 하느님의 왕국을 건설하는 영도자를 가리킨다. 일단 그러려면 이방인에게 정복되어있어서는 곤란하므로, 정복된 상태에서는 더욱 메시아 사상이 불거지곤 했다.[59]
열심당원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기원, 즉 예수 탄생 즈음에 로마 제국이 이스라엘을 정복한 상황으로부터 독립하고자 결성된 급진주의 단체이다. 결국에 마사다 요새 결사항전 끝에 대다수가 사망하였다. 예수는 열심당원과는 관련이 없었는데, 주변 유대인들이 열심당원으로 몰아 로마법으로 처형당하도록 했다. 예수의 십자고상 위에 "예수 그리스도, 유대인의 왕"(INRI)이라고 써져있는 것이 이 때문이다. 오늘날 식으로 보자면 '이스라엘 독립운동가'라는 팻말을 달고 있는 셈이다. 이에 관해서는 당시 로마법으로 내란죄나 살인죄 외에는 사형이 잘 내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예수를 제거하려던 이들이 내란죄로 모함하는 음모를 꾸민 것이라는 설이 제기된다.
[A] 활동적으로 주장하지 않음.[2]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후에 캐나다 편입을 요구하는 여론이 압도적이다.[3] 미국의 자치령인 상태이나, 미국으로부터 독립하자는 여론과 미국의 주로 편입하자는 여론이 있다. 전직 메이저리거 카를로스 델가도의 경우, 대표적 분리독립론자라서 자신의 천문학적이던 연봉까지 쏟아부었을 정도.출처[A] [5] 자세한 것은 이 항목 참조[6] 미얀마 사가잉주에 나가 자치부가 있고 미얀마의 나가족 역시 미얀마로부터 독립하려 해서 인도와 미얀마가 합동진압작전을 펼친적도 있기도 해서 미얀마 군부의 행동을 어느 정도 묵인해주는 면이 있다.[A] [8] 이쪽은 애매한 편이다. 형식적으로 분단국가 상태이기 때문에, 범람연맹쪽은 대륙통일을 지향하고 일지만, 범록연맹쪽은 중화민국 통일노선을 버리는 대신 '대만 공화국'을 건설하려하고 있다.[9] 국제 사회에서 대만을 중국령으로 본다는 점에서, 실질적으로 중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지향한다고도 볼 수 있다.[10] 자세한 것은 로힝야 문서의 로힝야 분리주의 문서 참조.[11] 아라칸 로힝야 구원군[60] 본부가 있으며 로힝야 난민촌에서 난민들에게 마약과 인신매매 강매, 보호비 갈취등을 하고 있으며 모히브 울라 같이 이를 거부하는 로힝야족 지도자마저 잔혹한 방법으로 살해하는 등 이미지를 깎아먹고 있으며 방글라데시 정부에서 이들을 동화시켜보려 하지만 이미 자신만의 로힝야 민족주의가 형성된지 오래고 심지어 오랜 탄압으로 교육체계가 붕괴되다보니 이슬람 극단주의의 비중이 높아서 세속주의와 벵골 민족주의를 국시로 삼은 셰이크 하시나 주도의 아와미 연맹 정부에 골칫거리로 작용하고 있다.[A] [13] 매우 약세이긴 하나 일단 존재하기는 한다. 더욱이 하나로 통일된 의견이나 단체가 있는게 아니라서 다소 난잡한 상태에 놓여있다. 만주족의 독립을 바라는 단체도 있고, 과거 일제의 괴뢰국인 만주국의 재건을 바라는 자칭 망명정부도 있다. 물론 그것도 해외에서나 드물게 활동하는 것이며, 실제로 동북지방에서의 활동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 것이나 마찬가지다.[A] 활동적으로 주장하지 않음.[15] 동남아시아의 터줏대감격인 민족이며 몬크메르어족으로 분류되는 것에서 알 수 있듯 크메르인의 먼 친척뻘이며 드바라바티, 따톤 등 동남아시아의 초기 역사를 주도한 민족 중 하나이며 양곤 역시 이들의 영역이었으며 전성기 때에는 한따와디 왕국같은 제국을 세웠으나 끝내 버마족의 지속적인 침략으로 약탈과 학살을 피해 대다수가 태국으로 이주하였으며 이주한 이들은 타이족에 점차 동화되었고 따라서 태국에서는 독립운동이나 자치운동이 활발하지 않고 유명무실하지만 미얀마에 남은 몬족들은 그들의 문화와 언어를 나름대로 잘 보존해 미얀마 독립 이후 지속적인 민족운동이 일어났고 1974년 모울메인을 주도로 하는 몬주가 성립되어 110만 정도의 인구를 가지고 있지만 그와 별개로 미얀마 소수민족이 다 그렇듯 처우가 엉망이라 계속해서 독립운동을 펼쳐왔고 최근에는 세력이 미약하긴 하지만 신몬국당(NMSP, New Mon State Party)이라는 몬족의 독립운동 세력들이 지속적으로 자치나 나아가 몬족의 독립국건설을 지속적으로 주장하고 있다.[A] 활동적으로 주장하지 않음.[17] 자세한 내용은 몽 문서의 베트남전의 종전과 시작된 배신 항목 참조. 여담으로 소오강호 등으로 흔히 알려진 중국의 묘족과 동류 민족이다. 중국 내에서는 묘족 자치구가 따로 있다.[18] 사바 주와 사라왁 일대를 말하며, 이 지역을 따로 동말레이시아라고도 한다.[19] 골든 트라이앵글이라고 부르는 동네의 사실상 킹왕짱이다시피했던 쿤사가 이끄는 군벌세력 몽타이 군에 의해 한동안 독립운동이 주도되었다. 오히려 처음엔 버마 정부군과는 우호관계를 맺은 상태였고, 마약 밀매 문제가 커진 뒤에 미국이 더 적극적으로 타도하려 한 세력. 미국의 요청을 받은 미얀마 정부군과 1993년서 1995년까지 교전이 잦아지며 약화되었다. 미얀마 정부에 사실상 귀부한 쿤사의 은퇴 후, 샨족의 잔여세력은 샨주군 남부(Shan State Army - South)라는 이름의 세력이 가장 거대하며, 와족, 그리고 삼합회와 동맹관계를 유지하며 유지되고 있다. 쿤사, 골든 트라이앵글(마약) 문서 참조. 2021년에는 2021년 미얀마 민주화 운동에서 군부의 민주화 세력 탄압을 비난하며 무력으로 나설 수도 있음을 천명하였다.[A] 활동적으로 주장하지 않음.[21] 다만 중국 내에서의 분리운동은 거의 없고, 오히려 해외망명자, 위구르인 출신의 반중 인사들이 분리독립운동을 주장한다. 물론, 이는 중국 정부의 위구르인 탄압이 너무 극심해서, 국내의 독립운동이 표면화되기가 어려운 탓이 크다.[22] 라카인족으로도 알려져 있지만 버마족들이 부르는 말이라서 해당 민족들은 이 용어를 싫어하며 상술한 로힝야와는 사이가 극악으로 나쁘다.[A] 활동적으로 주장하지 않음.[24] 해당 민족의 본거지이며 다수 거주국이다.[25] 벵골만 일대에 거주하는 버마족의 형제격 민족으로 70년대까지는 버마족의 일부로 취급되었으나 분리독립운동이 활발해지면서 별도의 민족으로 인정받았다. 버마족이 이주해오기 전 몬족, 퓨족[61]과 더불어 미얀마의 초기 역사를 이루기도 하였으며 므락우 유적이 이들의 문화재이고 방글라데시에도 마르마족이라는 이름으로 차크마족과 더불어 줌머족에서 큰 역할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의 반군인 아라칸군은 미얀마 뿐만 아니라 방글라데시에서도 무력투쟁을 하여 방글라데시군과 충돌한 사례도 있다.인도에서도 거주하며 모그족이라고 불리지만 미얀마와 방글라데시보다는 탄압이 덜해서 처우개선 정도를 요구할 뿐 딱히 활동적으로 주장하지는 않는다.[A] 활동적으로 주장하지 않음.[27] 2012년에 아이누 민족당이 창당되었고, 2019년에 일본 지방선거에서 당대표인 가야노 시로(萱野志朗)가 비라토리쵸(平取町)의 정의원이 되면서, 최초 당선자를 배출했다. 직접적 분리독립을 추구하는 오키나와의 가리유시 클럽에 비하면, 표면적으로는 단순히 아이누 민족의 권익을 위한 운동 정도로 보이나, '아이누 민족청·특별 심의회·아이누 민족 공적 대표 기관의 설치'와 같은 공약은 자치권 요구에 해당하므로 이는 독립운동의 맹아로 볼 여지가 있다.[A] 활동적으로 주장하지 않음.[29] 주일미군 주둔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할때마다, 본토에 대한 차별 의식 때문에 자치권을 요구하는 여론이 높아진다. 가리유시 클럽과 같은 직접적 분리 독립을 주장하는 정당도 있다. 류큐 독립 운동 문서 참조.[30] 버마족 우월주의가 강한 미얀마 정부의 방침에 따라, 독립요구가 상당히 크다. 현 시점 골든 트라이앵글에서 와방연합군은 이 지역의 와족 자치주에서 큰 세력을 가지고 있고, 미얀마 정부군은 쉽사리 손대지 못하고 있다.[31] 치타공 구릉지대에 살고 있는 버마계 민족으로 줌머족 중에서 최대민족으로 티베트버마어족을 사용하며 상좌부 불교를 믿고 있어 방글라데시의 벵골인과는 차별점이 두드러진다. 당연히 방글라데시 독립 이후 이주한 벵골인들에게 땅을 빼앗기고 있으며 종교 역시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에게 반달리즘을 당하고 있어 8~90년대에는 무장투쟁까지 펼쳐졌으나 셰이크 하시나 집권 후로는 평화적 투쟁으로 전환하였지만 처우가 크게 개선되었다고 보기는 어려우며 따라서 난민들도 생겨나서 미얀마에는 최근 로힝야들이 쫓겨난 자리에 미얀마군 기지와 더불어 이들의 정착촌인 모텔촌이 형성되어 있으며 희귀한 경우지만 한국에 온 난민들도 있다.[32] 1949년부터 독립운동이 벌어지기도 했으나, 세력내 종교적 내분으로 인해 1995년 독립군 본거지이던 마너플라우(Manerplaw)가 함락되며 힘을 잃었다. 그후 자치권을 가지고 있는 상태로 유지되었다. 산발적인 충돌은 있었고, 폭격 피해나, 지뢰 피해와 같이 국제적 문제로 부각되기도 했다. 2021년 미얀마 민주화 운동의 과정에서, 2021년 3월 17일 카렌족은 카렌 민족해방군 등 소수민족 무장반군 단체들이 아웅산 수치에 대한 지지를 천명했고, 카렌족 마을에 대한 폭격으로 인한 민간인 피해가 커지면서 2018년 평화협상 이후 잠잠했던 내전이 재개되었다.[33] 미얀마의 카친주 거주. 중국의 경파족과 동일민족. 미얀마 독립 후, 정부군의 중요한 일부이기도 했으나, 1962년 네윈의 쿠데타 이후, 버마연방헌법이 폐지되면서, 카친족의 군대는 버마군에서 철수하며 마치 쿠르디스탄처럼 카친주에서 카친독립기구(KIO)를 중심으로 카친독립군(KIA)를 조직한다. 밀수, 중국과의 옥 무역, 마약유통으로 경제가 유지되었으나, 1994년 미얀마군과의 충돌 후, 옥 광산을 잃었다. 이후 카친독립기구의 실효 자치권이 인정되었다. 2011년부터 2013년 정부군과 충돌하기도 하는 등, 살짝 불안한 정세이기도 하다. 미얀마의 다른 소수민족 지역에 비해서는 대체로 안정적인 편.[A] 활동적으로 주장하지 않음.[35] 카슈미르 분쟁을 틈타서 현지인들에 대한 인도 정부와 파키스탄 정부의 박해와 차별이 극심해짐에 따라, 카슈미르인만의 독자 국가를 세우자는 여론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다만, 중국의 불법 점령지역인 아크사이친은 사람이 살고있지않은 무인지대라서, 이 지역에 대한 독립이나 인도, 파키스탄 등으로의 편입 여론은 전무한 상황이다.[36] 미얀마에서 한족이 인구의 절대다수를 차지하는 편이라서, 독립 후에 중국으로의 편입을 지지하는 여론이 크다. 이들은 중국 정부의 물타기 작전으로 인해 최근에 이민온 이들이 아니라, 전근대시대부터 미얀마 등의 동남아시아의 여러 나라에 퍼져서 거주해오던 토착화된 한족이다. 하지만, 2021년 미얀마 민주화 운동을 계기로 미얀마 내에서 반중 여론이 드높아졌기 때문에, 지금 시점에서 독립이나 중국 편입을 추진했다간, 되려 제2의 로힝야 신세가 되어 인구 대부분이 중국으로 추방당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A] 활동적으로 주장하지 않음.[38] 홍콩의 자치권이 보장되어 있으나, 싱가포르가 말레이시아와 다르게 분리독립국가 형태이듯이, 싱가포르와 같은 형태로 중국과의 분리 독립을 원하는 여론이 있기 때문에 우산 혁명이 발생하였다.[39] 아프간의 주류민족인 파슈툰족과 잦은 마찰을 빚어온 역사적 이유로 독립여론이 상당하다.[40] 서사하라의 독립을 지향하는 폴리사리오 전선이 세운 국가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은 현재 UN 회원국 41개국으로부터 인정받은 미승인국이다. 모로코 장벽 동쪽 서사하라 지역을 실효지배하고 있으며 서사하라 전역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A] 활동적으로 주장하지 않음.[42] 경제 중심지인 오클랜드나 행정수도인 웰링턴이 모두 북섬에 몰려있는지라, 남섬의 주민들 사이에서 뉴질랜드로부터 독립하여 별도의 영연방 왕국이 되거나, 연방제로 전환하고 자치권을 획득하자는 여론이 나오고 있다.[A] 활동적으로 주장하지 않음.[44] 미크로네시아 연방으로부터의 독립 여론이 매우 뜨겁고, 때문에 독립을 위한 주민투표도 실시할 예정이다. 하지만, 추크 주가 미크로네시아 내에서 차지하는 인구 수나 경제 규모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커서, 독립 시에 나라가 팥없는 찐빵이 될 공산이 크기 때문에, 중앙 정부 측에서는 주민투표를 갖가지 이유로 미루는 식으로 독립을 막으려고 한다.[A] 활동적으로 주장하지 않음.[A] 활동적으로 주장하지 않음.[A] 활동적으로 주장하지 않음.[48] 발레아레스 제도와 발렌시아 지방은 모두 아래의 카탈루냐와 동일하게 카탈루냐인이 주를 이루는 지역이라는 공통점이 있으므로, 셋이 함께 독립해서 단일 카탈루냐 국가를 이루자는 주장이 있긴 하다. 그러나, 카탈루냐 지방이 바스크 지방과 함께 스페인에서 가장 부유한 지역인데 반해 나머지 둘은 상당히 낙후된 지역이라서, 카탈루냐 측이 자꾸만 이들 둘을 카탈루냐 독립운동에서 배제하려고 들어서, 이들 지역들은 이에 대한 반감때문에 독립 여론이 그다지 높지 않다. 2017년에 카탈루냐가 스페인으로부터 독립 선언을 했을 때도, 발렌시아와 발레아레스 제도 측은 이를 철저히 개무시한 바 있다.[A] 활동적으로 주장하지 않음.[50] 특이하게도, 벨기에는 소속된 자치 지방들마다 전부 독립 여론이 매우 높다. 다만, 왕실에 대한 높은 지지와 더불어, 이로 인해 벨기에 국왕이 상대적으로 강력한 권력을 행사한다는 점, 그리고 이렇게되면 낙동강 오리알 신세가 되는 브뤼셀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 지역의 귀속 문제 때문에, 국가 자체가 해체되는 상황으로 번지지 못할 뿐이다.[51]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후에 아일랜드로 편입하려는 여론이 많다. 일단 1999년의 굿 프라이데이 협정을 통해 북아일랜드의 주민들은 영국 국적과 아일랜드 국적 중에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고, 영국-아일랜드 간의 거주 및 이동의 자유를 보장받으면서 독립여론이 수그러들었다. 허나, 브렉시트 이후로는 유럽 연합으로의 재편입을 위해 아일랜드로 편입하려는 여론에 다시금 불이 붙었다.[A] 활동적으로 주장하지 않음.[A] 활동적으로 주장하지 않음.[54] 브렉시트 이후로 유럽 연합으로의 재합류를 위해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자는 여론이 늘긴 했다.[A] 활동적으로 주장하지 않음.[A] 활동적으로 주장하지 않음.[57] 이탈리아 북부 지역을 가리키는 말이다.[58] 원래 중립적인 단어이다. 항목 참조. 제국주의 국가들 입장에서는 테러리즘이 맞겠지만(...)[59] 단, 문서에서도 보듯 그리스도교에서는 "하느님의 아들", 곧 예수를 가리키는 것으로 의미가 바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