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베리아의 역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rowcolor=#FFF> | 서 시베리아 | 동·중앙 시베리아 | 극동 | ||
<rowcolor=#FFF> 북부 | 남부 | 남부 | 북부 | |||
고대 | 고대 북유라시아인 | |||||
시베리아 원주민 | ||||||
우랄계 제족 | 튀르크 | 퉁구스 | 고시베리아인 | |||||
튀르크 | 퉁구스 | 니브흐 | 축치인 | |||||
중세 | 우랄 | 튀르크 | |||||
{{{#!wiki style="margin: -16px -10px" | 킵차크 칸국 | 원 | ||
}}} |
근세 | 루스 차르국 | 시비르 칸국 | 오이라트 | 타타르 | 사하(야쿠트) 연맹 한갈라스 울루스 | |||||||
루스 차르국| 러시아의 시베리아 정복 약사 | |||||||||||
근현대 | 제정 러시아 | ||||||||||
러시아 공화국 | |||||||||||
러시아 SFSR | 러시아 SFSR | ||||||||||
소련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0.85em; letter-spacing: -1.0px" | }}} | ||||||||||
러시아 연방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0.85em; letter-spacing: -1.0px" | }}} | }}}}}}}}} |
러시아의 시베리아 정복 Покорение Сибири Russian conquest of Siberia | ||
▲ 바실리 수리코프가 그린 "예르마크의 시베리아 정복" | ||
1580년 ~ 1778년 | ||
장소 | ||
시베리아 | ||
교전국 | [[루스 차르국| ]][[틀:국기| ]][[틀:국기| ]] → [[러시아 제국| ]][[틀:국기| ]][[틀:국기| ]] [[틀:깃발| ]][[틀:깃발| ]][[카자크| ]] | [[틀:깃발| 바시키르인 부랴트인 다우르족 사하인 축치인 코랴크인 [[청나라| ]][[틀:국기| ]][[틀:국기| ]](1652~1689) | ]][[틀:깃발| ]][[시비르 칸국| ]](1582~1598)
지휘관 | [[틀:깃발| [[루스 차르국| ]][[틀:국기| ]][[틀:국기| ]]안드레이 보예이코프 [[루스 차르국| ]][[틀:국기| ]][[틀:국기| ]]표트르 베케토프 [[루스 차르국| ]][[틀:국기| ]][[틀:국기| ]]이반 모스크비틴 [[루스 차르국| ]][[틀:국기| ]][[틀:국기| ]]에로페이 하바로프 | ]][[틀:깃발| ]][[예르마크 티모페예비치| ]]쿠춤 칸 트근 다르한 |
결과 | ||
러시아 제국의 시베리아, 북아시아 일대 장악 |
[clearfix]
1. 개요
대략 16세기부터 18~19세기에 걸친 러시아의 시베리아 진출에 대한 문서다. 러시아의 시베리아 정복 이후 러시아 제국과 그 후신인 현대의 러시아 연방은 지구에서 가장 넓은 영토를 가진 국가가 되었다.흔히 혼동되는 사안이지만 러시아의 시베리아 확장에서 카자크들의 시비르 칸국 '정복' 등 현지 국가나 부족에 대한 승리는 특정 기간과 지역에 한정된 지엽적인 사건에 불과했다. 애시당초 정규군도 아니었던 카자크들은 원주민 세력의 정치적 구심점을 격파하더라도 독자적으로 이를 대체할 새로운 시스템을 만들거나, 상주하면서 통치할 수 있을 만한 역량은 없었다. 때문에 러시아의 시베리아 확장은 수 세기에 걸친 러시아 농민들의 개척의 이야기이다.
2. 카자크의 이동
1570년대 루스 차르국의 스트로가노프 가문[1]이 우랄 산맥 서부의 광산을 개발하며 막대한 이익을 얻는 와중에 시비르 칸국이 광산 노동자들이 사는 지역을 습격하여 광산업 운영에 큰 차질이 빚어졌다. 이에 분개한 스트로가노프는 차르 이반 4세에게 시비르 칸국을 토벌할 것을 호소하여 허락을 받고, 카자크 산적 출신의 예르마크 티모페예비치[2]를 아타만[3]으로 삼아 카자크 기병 500여 명에, 리보니아 전쟁[4] 기간 중 포로로 잡은 독일인과 리투아니아인 300여명을 동원하여 1581년에 시비르 칸국과의 전쟁을 개시했다.3. 원주민 정복
16세기 초반 시비르 칸국은 오늘날의 서시베리아와 카자흐스탄 일부 지역를 지배하는 시베리아의 강력한 국가였다. 시비르 칸국은 루스 차르국과 경제적인 유대 관계를 유지했고, 중국과 유럽 사이의 중요한 교역 중심지이기도 했다.하지만 16세기 말에 러시아 카자크들이 이 지역에서 세력을 확장하려고 했다. 예르마크 티모페예비치의 카자크들은 1580년대에 시비르 칸국의 영토를 습격하기 시작했다. 1582년 카자크들은 추바시 전투에서 시비르 칸국의 군대를 무찔렀고, 이로 인해서 동쪽으로 더 확장할 수 있게 되었다. 그 뒤로도 계속 중요한 무역 중심지와 요새를 정복하다가 마지막 거점인 카쉬리크를 점령했다. 결국 사실상 러시아인들에게 합병당한 것이었다. 러시아 카자크의 정복 이후, 중앙아시아와 시베리아에서 튀르크계 칸국들이 쇠퇴하게 되었고 대신 카자크가 강력한 세력으로 부상하기 시작했다. 한마디로 카자크들이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이었다.
4. 극동으로의 확장
1598년 루스 차르국은 중앙아시아에 식민도시인 톰스크를 건설했고, 17세기에는 바이칼호 부근까지 진출했다. 1632년에는 사하인(항갈라스 부족)들을 중심으로 통합된 사하 연맹을 정복했으며, 1647년에는 기어이 북태평양 연안에 도달하여, 이를 오호츠크해라고 이름붙였다. 루스 차르국은 예니세이강에 세운 식민도시와 레나강 중류의 야쿠츠크를 기반으로 1638년 남진하기 시작해, 아무르강 유역에 도달했다. 당시 아무르강에 도달한 탐험대는 포야르코프 원정대였으며, 이후 하바로프[5] 원정대가 1649년, 1651년 두 차례에 걸쳐 강 근처 원주민 부락들을 공격하고 부락의 물품들을 노획했는데, 이때 주로 노획한 물품은 털가죽이었다.1648년 루스 차르국의 탐험가 세묜 데즈뇨프는 베링 해협을 발견하여 러시아가 극동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했다. 17세기 후반에 러시아인 탐험가들과 무역상들은 캄차카반도, 오호츠크 등 태평양까지 진출하여 전초 기지를 세웠다. 이 기간 동안 루스 차르국 정부는 러시아인들에게 동쪽으로의 이주를 장려하여 시베리아 지역을 개발하려고 했다. 하지만 극동으로 확장하는데 있어 청나라와의 분쟁도 있었다.
당시 만주족의 청나라는 만주와 내•외몽골의 영토를 장악했는데 17세기 후반 루스 차르국의 확장으로 인해 양국은 접촉하게 되었다. 서로 영토를 두고 싸우다가 1689년 루스 차르국과 청나라 사이에 네르친스크 조약이 체결되어 양국 사이의 국경을 설정했다.
5. 시베리아 개발
이 과정에서 이반 4세는 시베리아부(Сибириский приказ)라는 부서를 창설했으며, 여러 관리와 군인들을 선발하여 시베리아로 파견해 적극적으로 모피 획득에 나섰다. 이 과정에서 이반 4세는 동방 민족들 사이에서 하얀 차르(혹은 하얀 칸)로 칭송받게 되었고, 이는 19세기에 예카테리나 2세가 캄보 라마로부터 하얀 타라보살의 화신으로 인정받으면서, 러시아 차르들의 통치 이념이 아시아권 및 시베리아권에서 확립되기 시작했다.[6]
그러나 이런 것들은 정립된 시스템 없이 그때그때 다른 케이스 바이 케이스거나 추상적인 이데올로기였고, 19세기에 이르면 광활한 지역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규칙적인 국가체계와 법률을 성문화하고, 이론적인 법의 토대를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1822년 미하일 스페란스키는 《이노로드치 행정 헌장》과 《시베리아 키르기스 헌장》을 채택했다. 이 법령은 원주민의 통치체계를 결정했으며, 그들은 이노로드치(Инородцы)라고 불리기 시작했다. 이 헌장에 따르면 이노로드치는 크게 "정착민"(оседлые)[7], "유목민"(кочевые)[8], "방황민"(бродячие)[9]의 세 범주로 나뉘었고, 이 구분에 따라 그들의 행정적 및 법적 지위가 결정되었다. 1832년에는 《러시아 제국 기본법》이 선포되었고, 캅카스, 시베리아, 중앙아시아 대부분의 현지 법률과 관습은 전 러시아 법과 연결되었다.
정착민 이노로드치는 대충 국가농민과 비슷한 법적 위치를 지녔고[10], 자신들만의 자치정부를 가지는 것이 허용되었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교역을 하면서 방랑하는 이노로드치들은 러시아 시 자치정부에 속했다.
반대로 정착민과 방황민들은 이전에 자신들이 가지고 있었던 관습과 규칙을 이어나갈 수 있었고, 최소 15개 가구가 속한 스토이쉐나 울루스는 자체적인 부족 관리가 존재했다. 일부 스타로스타는 해당 부족들이 선출하거나 세습하고 러시아 지방정부의 승인을 받는 식이었다.
어쨌든 전반적으로 케이스 바이 케이스가 심했고, 러시아 제국의 중앙정부는 오히려 각 부족과 민족들 사이의 중재자 및 균형자로서 군림하면서[11] 특정 시기(주로 전쟁기)에는 해당 부족들에게 의무를 강요했다. 그러나 19세기에 이르러 러시아 농민의 인구 과잉으로 인해 새로운 농지를 개척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알렉산드르 2세의 대개혁으로 러시아 제국의 '서구화'와 '근대화'가 시작되면서 시베리아 원주민들에 대한 국가 통제력을 점차 강화하는 방향의 정책이 시작되었다. 당연히 여기에는 시베리아의 소수민족들을 국가 시스템에 통합시키는 것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러한 시베리아 소수민족들의 일상생활은 자본주의화로 인해 전반적인 생활 수준이 개선되었고, 악습들이 종식되어간 반면, 전통사회와 문화가 사라지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이르쿠츠크와 같은 새로운 행정구역 및 기관이 설립되었다. 나중에는 가장 중요한 발전 중 하나인, 모스크바와 러시아 극동을 연결하는 시베리아 횡단철도가 건설되었다. 19세기에는 광산업, 목재 생산과 같은 새로운 산업이 출현하여 러시아 제국의 산업화를 도왔지만 이러한 산업 개발은 원주민들을 희생시키면서 이루어졌다. 그리고 20세기에는 스탈린의 굴라크가 시베리아에 많이 건설되어 이후 수많은 사람들이 그곳에서 트라우마를 얻거나 목숨을 잃었다.
또한 1630년대부터 시베리아 땅에 들어온 천연두는 1650년대에 예니세이강 동쪽에 살고 있었던 사하와 퉁구스 인구의 80%를 감염시켰고, 1690년대에는 유카기르 인구의 44%를 죽여버리는 데 일조했다. 특히 유카기르의 경우는 그 세력이 급격하게 축소되어 오늘날엔 콜리마 일대에서 겨우 연명하고 있는 듣보잡 소수민족으로 전락해버렸다.
전 세계적으로 민족주의가 발흥하던 20세기 초중반에 이 지역은 당연히 소련이었다. 소련은 많은 소수민족 지역에 자치공화국을 형성하며 민족 평등에 신경을 썼다.
이러한 상황들이 겹치면서 오늘날 극동과 시베리아 지역은 사하와 투바 지역을 제외하면 러시아인 인구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상황이고, 독립 여론 역시 없는 편이다.
[1] 비프 스트로가노프의 그 스트로가노프다. 자세한 내용은 비프 스트로가노프 문서 참조.[2] Ермак Тимофеевич[3] 러시아어 표기는 Атаман. 러시아 카자크 부대 내 최고 지휘관에 대한 호칭이었다.[4] 1558년 ~ 1583년. 발트해 진출을 위해 리보니아의 검의 형제기사단을 침략한 루스 차르국을 폴란드-리투아니아와 스웨덴이 가로막은 전쟁이었다.[5] 훗날 이 강변에 세워지는 도시 하바롭스크가 그의 이름을 딴 것이었다.[6] 모스크바 대공국 시절부터 일종의 비공식 칭호로, 러시아 군주들에게 '하얀'(Белый)이라는 형용사가 붙게 되었고, 이는 기독교적인 이념에서 온 것이었다. 즉 재미있게도 기독교적인 이념이 중앙아시아 및 시베리아의 비기독교 민족들의 전통적인 전승과 결합되면서 독특한 관념을 만들어 낸 것이었다.[7] 영구적인 거주지가 있지만 기독교인은 아님[8] 1년에 여러 번 거주지를 변경함[9] 강이나 특정 지대를 따라 이동함[10] 전반적으로 정주민에 가까울수록 러시아 농민들과 비슷해졌다.[11] 예를 들어 러시아 중부 지역에서의 인구 과잉으로 농민-정착민들이 동쪽과 남쪽으로 이주하던 당시 기존 원주민들과 토지 점유를 놓고 갈등이 있었는데, 이 소수민족들의 대응책 중 하나가 러시아 정부에 청원하는 것이었고, 결국 둘 사이의 분쟁은 무력 충돌이 아닌 재판장에서 이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