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1 08:55:46

승강혼

상향혼에서 넘어옴
성(性)과 제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colbgcolor=#AEE0F5,#2B383D>가정과 제도<colbgcolor=#eee,#1f2023>결혼귀천상혼 · 중혼 · 난혼 · 동성결혼 · 동질혼 · 만혼 · 부부 · 시민결합 · 생활동반자법 · 이혼 · 일부다처제 · 일부일처제 · 일처다부제 · 승강혼 · 매매혼 · 조혼 · 졸혼 · 파혼 · 혼전임신 · 혼외출산 · 국제결혼
가족가족구성권 · 가족사회학 · 건강가정기본법 · 다문화가정 · 혼전 동거 · 시험관 아기 · 여성폭력방지기본법 · 유사가족 · 이주배경인구 · 임신 · 원하지 않는 임신 · 입양 · 한부모 가족 · 딩크족 · 결손가정 · 청소년 부모
관련 문서틀:성과 범죄 · 간통 · 불륜 · 낙태 · 근친상간 · 혼인빙자간음죄
성 문화성행위 틀:체위와 성교
성인물 틀:성인물
성산업 틀:성산업
성 이념주요 개념몸 긍정 · 상호교차성 · 성교육 · 성별 · 성소수자 · 성소외자 · 성 역할 · 성 정체성 · 성차별 · 성적 지향 · 섹슈얼리티 · 양성평등 · 적극적 우대조치 · 젠더 · 젠더 감수성 · 젠더 권력 · 퀴어 이론
여성주의
(페미니즘)
틀:페미니즘 · 틀:대한민국의 여성정책
대한민국의 여성인권단체 · 여성들의 행진 · 여성주의 치료 · 여성 우월주의 (여존남비) · 자유의 횃불 · Title IX
남성주의
(매스큘리즘)
가부장제 · 남성 우월주의 (남존여비) · 탈갑옷 운동
관련 문서조상 · 남성학 · 여성학 · 퀴어학 · 대한민국의 젠더 분쟁 · 성 관련 비하표현 (성소수자 비하명칭) · 성평등의 역설 · 생리휴가 · 양성평등채용목표제 · 양성평등연대 · 여성 징병제· 이렇게 입으면 기분이 좋거든요 · 자국 이성 혐오 · 펜스 룰 · My Stealthy Freedom · World Hijab Day · Bill C-16 · MGTOW · 레드필 · 성평등주의(나무위키) }}}}}}}}}




👩‍❤️‍👨 사랑연애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솔로 싱글 · 모태솔로 · 모쏠아다 · 도태남녀 · 안 생겨요 · 솔로부대 · 솔로천국 커플지옥 · 0고백 1차임
만남 자만추 · 소개팅 · 헌팅 · 대시(플러팅) · 미팅 · 온라인 데이팅 · 데이팅앱 · 결혼정보회사 · 맞선 · 7의 여자 · 이상형 · 남녀 공학 · 대학 생활 · 동아리 · 소모임 · 선섹후사 · 마담뚜 · 1+1=3
친구 프렌드 존 · 남사친 · 여사친 · 소꿉친구 · 베스트 프렌드 · 지인 · FWB
밀당 · 고백 · 짝사랑 · 망사랑 · 그린라이트 · 러브레터 · 삼각관계 · 라면 먹고 갈래? · 오빠믿지 · 금사빠
연애 애인 · 남자친구 · 여자친구 · 첫사랑 · 사랑 · 플라토닉 러브 · 사내 연애 · 비밀 연애 · 캠퍼스 커플 · 적과의 로맨스 · 곰신 · 꾸나 · 꽃신 · 랜선 연애 · 장거리 연애 · 인종간 연애 · 연상연하 · 스킨십 · 데이트 · 장기연애 · 혼전 동거 · 천생연분 · 소울메이트 · 교제 · 을의 연애 · 가짜 연애 · 연애경험
결혼 프러포즈 · 혼전임신 · 끝사랑 · 부부 · 남편 · 아내 · 배우자 · 유부남 · 유부녀 · 결혼식 · 신혼 · 혼인신고 · 약혼 · 파혼 · 사실혼 · 재혼 · 부부 싸움 · 정략결혼 · 동질혼 · 승강혼 · 귀천상혼 · 동성결혼 · 도둑놈 · 쇼윈도
이별 권태 · 실연 · 전남친 · 전여친 · 미련 · 떡정 · 애증 · 재회 · 사별
이혼 전부 · 전처 · 홀아비 · 과부(미망인) · 돌싱 · 황혼이혼 · 졸혼 · 별거
독신 철벽녀 · 초식남 · 절식남 · 건어물녀 · 무관심 · 비연애 · 비혼모 · 비혼부 · 노총각 · 노처녀 · 골드미스
바람 깻잎 논쟁 · 바람둥이 · 어장관리 · 금단의 사랑 · 불륜 · 간통 · 네토라레 · 네토리 · 양다리 · 문어발 · 환승이별 · 내연남 · 내연녀정부
범죄 집착 · 데이트 폭력 · 데이트 강간 · 준강간 · 스토킹 · 가정폭력 · 강제결혼 · 연애사기 · 로맨스 스캠 · 성인미자
기타 유사연애 · 모성애 · 부성애 · 형제애 · 오피스 스파우스
}}}}}}}}}


1. 개요2. 상세3. 종류
3.1. 남고여저3.2. 여고남저

1. 개요

승강혼은 승혼(hypergamy, 상향혼)과 강혼(hypogamy, 하향혼)를 합쳐 일컫는 말로, 부부의 한쪽이 높고 낮음을 뜻하는 말이다. 반대 혼인은 동질혼. 일반적으로 사회적 지위와 경제력을 기준으로 승강혼과 동질혼을 판단한다.

2. 상세

사회적 지위가 낮은 여성과 결혼한다고 해서 남성의 지위가 크게 낮아지지 않았기 때문에 남자가 높은 결혼을 승혼(hypergamy)이라고 하고 여성이 높은 결혼을 강혼(hypogamy)이라고 하기도 한다. 사회적으로 승강혼으로 간주되어 상속권을 비롯한 여러 방면의 불이익을 가했던 사례가 옛 유럽 왕실의 귀천상혼이다.

사회적 지위가 비슷해 동질혼으로 간주될 만한 혼사에서도 양가의 위상 차이나 기타 요소에 따라 상향혼, 하향혼으로 간주하는 인식이 생기는 경우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같은 공무원 사이의 결혼일지라도 한쪽이 더 직급이 낮은 경우가 있다.

3. 종류

3.1. 남고여저

남자 입장에서는 지위가 낮은 여성과 결혼하더라도 자신의 위상에는 별다른 손해가 없는 데 반하여 여성 입장에서는 배우자의 위치에 따라 자신의 지위가 덩달아 오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남고여저 결혼을 승혼(hypergamy)이라고 하기도 한다. 상향혼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생물학적 차이로 인해 여성은 승혼(상향혼)을 추구하는 경향이 남성보다 훨씬 강하다. 일반적으로 성격과 인성을 제외하면 결혼, 연애 시장에서 여성은 본인의 나이와 외모로 평가받고, 남성은 본인의 경제력, 학벌, 직업 등 능력으로 평가받는데, 이로 인해 보통 상향혼은 남고여저 형태가 압도적으로 많은 경향을 보인다.######

실제로 현대 사회에서 2020년대 들어 유행하고 있는 하이엔드 데이팅 앱의 경우, 여성은 본인의 외모가 뛰어나야 우대받거나 가입 가능하고, 남성은 본인의 경제력, 학벌, 직업 등 능력이 뛰어나야 우대받거나 가입 가능하다.## 이는 가입자들의 니즈를 반영한 결과다. 결혼정보회사도 사정은 비슷하다.#

3.2. 여고남저

여성 입장에서 신분이 낮아진다는 생각에 강혼(hypogamy)이라고 하기도 한다. 남고여저에 비하면 드문 혼인 유형이다.

일반적으로 승혼은 남고여저의 경우가 많지만, 특수한 상황일 때는 오히려 여고남저일 때도 있는데, 남성도 본인의 직업과 학력이 매우 뛰어나다면 '부잣집 딸'과 결혼할 수 있고, 결혼정보회사에서도 직업과 학력이 매우 뛰어난 남성과 부잣집 딸을 매칭해 주는 경우가 많다. 서로의 니즈가 일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기본적으로 부잣집 딸도 여자이기에 능력 있는 남자를 선호하지만, 부잣집 아들은 딱히 능력 있는 여자를 선호하지 않으며 오히려 남자는 자기보다 능력이 별로인 여자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최상위권 능력 보유자로 갈수록 남자 비율이 크게 높아지기 때문에 미래 잠재 성공 가능성 측면에서 더 뛰어난 건 통계적으로 여자보다는 남자다. 거기다 현대 전세계 권력가의 절대다수는 남자이기에 축적된 경험상 관성적인 부분이 있을 수밖에 없다. 그렇기에 부잣집이 개인의 뛰어난 능력 면에서는 며느리보다 사위를 훨씬 더 선호하는 것이다. 이와 비슷한 이유로 인해 전근대에는 신부의 집안이 신랑 집안보다 지체가 높은 경우가 꽤 있었다. 예를 들어, 딸을 가진 집안에서 싹수가 보이는 차세대 유망주를 사위로 들여 처가의 힘으로 키워주어 가문의 영달이나 혼인동맹 성격의 야합을 꾀하는 경우다.

남고여저 혼인양상의 대표적인 예가 신데렐라나 심청전, 콩쥐팥쥐전 이야기라면 여고남저의 예시는 바보 온달 이야기를 꼽을 수 있을 것이다. 악을 물리친 용사를 공주와 혼인시키는 흔한 클리셰대로의 이야기도 그 한 예라고 할 수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