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6 16:21:48

순경태후

정순왕후 김씨(고려)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670000> 태조 후 혜종 후 [ruby(정종, ruby=定宗)] 후 광종 후
1
신혜왕후 류씨
2
장화왕후 오씨
3
신명왕후 유씨
4
신정왕후 황보씨
5
신성왕후 김씨
6
정덕왕후 류씨
1
의화왕후 임씨
1
문공왕후 박씨
2
문성왕후 박씨
1
대목왕후 황보씨
<rowcolor=#670000> 경종 후 성종 후 목종 후 현종 후
1
헌숙왕후 김씨
2
헌의왕후 류씨
3
헌애왕후 황보씨
4
헌정왕후 황보씨
1
문덕왕후 유씨
2
문화왕후 김씨
1
선정왕후 유씨
1
원정왕후 김씨
2
원화왕후 최씨
3
원성왕후 김씨
4
원혜왕후 김씨
5
원용왕후 류씨
6
원목왕후 서씨
7
원평왕후 김씨
<rowcolor=#670000> 덕종 후 [ruby(정종, ruby=靖宗)] 후 문종 후 순종 후
1
경성왕후 김씨
2
경목현비 왕씨
3
효사왕후 김씨
1
용신왕후 한씨
2
용의왕후 한씨
3
용목왕후 이씨
1
인평왕후 김씨
2
인예왕후 이씨
1
정의왕후 왕씨
2
선희왕후 김씨
<rowcolor=#670000> 선종 후 숙종 후 예종 후 인종 후
1
정신현비 이씨
2
사숙왕후 이씨
1
명의왕후 류씨
1
경화왕후 이씨
2
순덕왕후 이씨
3
문정왕후 왕씨
연덕궁주 이씨
복창원주 이씨
1
공예왕후 임씨
2
선평왕후 김씨
<rowcolor=#670000> 의종 후 명종 후 신종 후 희종 후
1
장경왕후 김씨
2
장선왕후 최씨
1
의정왕후 김씨
1
선정왕후 김씨
태자비 왕씨
1
성평왕후 임씨
<rowcolor=#670000> 강종 후 고종 후 원종 후 충렬왕 비
1
사평왕후 이씨
2
원덕태후 류씨
1
안혜왕후 유씨
1
정순왕후 김씨
경창궁주 유씨
1
제국대장공주
<rowcolor=#670000> 충선왕 비 충숙왕 비 충혜왕 비 공민왕 비
1
계국대장공주
1
복국장공주
2
조국장공주
3
경화공주
4
공원왕후 홍씨
1
덕녕공주
2
희비 윤씨
1
노국대장공주
6
순정왕후
<rowcolor=#670000> 우왕 비 공양왕 비
근비 이씨
1
순비 노씨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670000> 추존 왕후
<rowcolor=#670000> 국조 후 의조 후 세조 후 대종 후
1
정화왕후
1
원창왕후
1
위숙왕후 한씨
1
선의왕후 류씨
<rowcolor=#670000> 안종 후 강종 후 원종 후 공민왕
1
효숙왕후 황보씨
1
사평왕후 이씨
1
순경왕후 김씨
4
왕대비 안씨
6
순정왕후 한씨
<rowcolor=#670000> 제후왕비
<rowcolor=#670000> 낙랑군왕비 문원대왕비 정간왕비 조선국왕비
1
죽방부인
2
낙랑공주 유씨
3
왕녀 유씨
1
문혜왕후 류씨
1
정간왕비
1
왕비 이씨
<rowcolor=#670000> 추존 공작비
<rowcolor=#670000> 영헌공 인숙공 인혜공 인효대공
1
순안비 황보씨
1
장경비 박씨
1
명예비 신씨
1
삼한국대비 왕씨
}}}}}}}}}
<colbgcolor=#f9d537><colcolor=#670000>
고려 원종의 제1왕후
순경태후 | 順敬太后
파일:강화가릉.jpg
가릉 전경
출생 1222년
사망 1237년 7월 29일 (향년 15세)
고려 강도 강화군 사당리 사저
(現 인천광역시 강화군)
능묘 가릉(嘉陵)
재위기간 고려 태자비
1235년 7월 10일 ~ 1237년 7월 29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9d537><colcolor=#670000> 성씨 경주 김씨전주 김씨
연(軟)
부친 부친 김약선
모친 우봉 최씨
배우자 원종
작호 경목현비(敬穆賢妃)
태자비(太子妃)
고려왕비(高麗王妃)
시호 정순왕후(靜順王后)
순경태후(順敬太后)
}}}}}}}}}
1. 개요2. 생애3. 시호4. 가릉5. 대중매체

[clearfix]

1. 개요

원종 순효대왕의 제1왕후로 충렬왕의 모후다. 이름은 김연(金軟).

2. 생애

그녀의 아버지는 김약선이다. 고려사에 이르길, 그녀는 본래 신라 왕족의 후손인 경주 김씨 가문 출신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하지만 그녀 사후, 조부 김태서와 일가들이 1254년 전주로 이주하면서 전주를 비로소 관향으로 삼게 되어 전주 김씨로 분적하게 되었다. 그녀의 어머니 우봉 최씨는 다름아닌 무신집권자 최우의 장녀. 그러니까 그녀는 최우의 외손녀다.

최씨 무신정권의 권력을 고려 황실과 연을 맺어 사돈으로서 입지를 더욱 강화하기 위한 혼인으로 원종이 태자였던 시절에 입궐해 경목현비라 불렸다.
부부의 결혼은 천지양의의 상례(天地兩儀之常)이니, 이보다 중요한 상례는 없을 것이다. 제왕의 자손(帝王垂子孫)이 만세의 통치(萬世之統)를 드리우는 것도 이와 관련되어 있다. (생략)
- 고종의 주례사로 태자 원종과 태자비 순경태후가 결혼할 때 내린 칙서다. 동국이상국집 전집 제33권 기록.

고종 22년(서기 1235년)에 정식으로 원종과 혼례를 올려 태자비에 책봉되었다. 그러나 1236년 아들 충렬왕을 낳고 그 다음 해 공주를 낳은 뒤 병을 얻어 16세의 어린 나이로 승하했다.[1] 이 때 낳은 공주도 이후 기록이 없는 것으로 보아 어려서 죽은 듯. 거기다 충렬왕 때 그녀가 살아있었다면 왕실의 피바람이 그나마 덜 불었을 거라는 점에서 매우 안타깝다.

동국이상국집 제 36권에 이규보가 고종의 명을 받들어 쓴 순경태후의 시책문(諡冊文)과 애책문(哀冊文)이 남아있다.

3. 시호

고려의 시호 전통을 지킨 마지막 왕후다. 고려는 위숙왕후 이래로 국왕의 대표시호와 왕후의 대표시호를 맞췄다. 예를 들어 威숙왕후와 세조 威무대왕, 원종 順효대왕과 順경태후 같이.[2]

원종 3년(서기 1262년)에 죽자 그 시호를 '정순왕후(靜順王后)'라고 하면서 추증했다. 훗날 1274년 아들 충렬왕이 왕위에 오르자 태후에 추존되어 그 시호를 '순경태후(順敬太后)'라 했다. 충렬왕은 자신의 어머니에게 고려의 전통을 지킨 독자적 시호를 바치고 아버지에게 최후의 묘호 및 시호를 바침으로서 고려의 마지막 '전통적' 태후[3]해동천자에게 예우를 바쳤다.

동문선 29권엔 아들 충렬왕이 어머니를 추봉할 때 쓴 옥책문이 남아있다. 근데 여기선 숭崇경왕태후라고 했다.

충선왕 때 원 무종이 충렬왕의 어머니라고 하여 고려왕비라 추봉했다.

4. 가릉

그녀의 능인 가릉(嘉陵)인천광역시 강화군에 위치해 있는데, 희종의 석릉와 시아버지의 홍릉, 시할머니인 원덕왕후 유씨의 곤릉과 더불어 대한민국 내에 위치한 몇 안 되는 고려왕릉 중 하나이다.

5. 대중매체

MBC 사극 무신에서도 잠깐 등장하는데, 아버지와 어머니를 연달아 외조부 최우의 손에 의해 잃자 외조부를 원망하며 시름시름 앓아가다가 갓 태어난 왕손을 남긴 채 거의 화병으로 죽는 것으로 연출되며 나왔다. 이 때문에 남편 원종은 무신정권에 극도로 반감을 가지게 된다.
[1] 동국이상국집에 기록된 애책문에 따르면 16살에 죽었다고 한다.[2] 이 뿐만 아니라 태후 존호를 시호로 사용하는 것도 고려 고유의 시법이다. 원래 태후는 생전의 칭호로 사후엔 붙히지 않는다. 태후 문서의 고려 항목 참조.[3] 마지막 태후는 아니다. 고려 마지막 태후는 명덕태후이며 그외에도 제국대장공주, 노국대장공주와 같이 태후 시호가 올려졌던 왕비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