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성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ㄱ | 가 · 간 · 갈 · 감 · 강 · 강전 · 개 · 견 · 경 · 계 · 고 · 곡 · 공 · 곽 · 관 · 교 · 구 · 국 · 군 · 궁 · 궉 · 권 · 근 · 금 · 기 · 길 · 김 |
ㄴ | 나 · 난 · 남 · 남궁 · 낭 · 내 · 노 · 뇌 · 누 | |
ㄷ | 다 · 단 · 담 · 당 · 대 · 도 · 독 · 독고 · 돈 · 동 · 동방 · 두 · 등 · 등정 | |
ㄹ | 라 · 란 · 랑 · 려 · 로 · 뢰 · 류 · 리 · 림 | |
ㅁ | 마 · 만 · 망절 · 매 · 맹 · 명 · 모 · 목 · 묘 · 무 · 무본 · 묵 · 문 · 미 · 민 | |
ㅂ | 박 · 반 · 방 · 배 · 백 · 번 · 범 · 변 · 보 · 복 · 봉 · 부 · 비 · 빈 · 빙 | |
ㅅ | 사 · 사공 · 산 · 삼 · 상 · 서 · 서문 · 석 · 선 · 선우 · 설 · 섭 · 성 · 소 · 소봉 · 손 · 송 · 수 · 순 · 승 · 시 · 신 · 심 · 십 | |
ㅇ | 아 · 안 · 애 · 야 · 양 · 어 · 어금 · 엄 · 여 · 연 · 염 · 엽 · 영 · 예 · 오 · 옥 · 온 · 옹 · 완 · 왕 · 요 · 용 · 우 · 운 · 원 · 위 · 유 · 육 · 윤 · 은 · 음 · 이 · 인 · 임 | |
ㅈ | 자 · 잠 · 장 · 장곡 · 저 · 전 · 점 · 정 · 제 · 제갈 · 조 · 종 · 좌 · 주 · 준 · 즙 · 증 · 지 · 진 | |
ㅊ | 차 · 창 · 채 · 천 · 초 · 총 · 최 · 추 | |
ㅋ | 쾌 | |
ㅌ | 탁 · 탄 · 탕 · 태 | |
ㅍ | 판 · 팽 · 편 · 평 · 포 · 표 · 풍 · 피 · 필 | |
ㅎ | 하 · 학 · 한 · 함 · 해 · 허 · 혁 · 현 · 형 · 호 · 홍 · 화 · 환 · 황 · 황목 · 황보 · 후 · 흥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 |
충선왕 제정 재상지종 15가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 태후 가문 | ||||
경주 김씨 순경태후家 | 정안 임씨 공예태후家 | 경원 이씨 인예태후家 | 안산 김씨 원성태후家 | 당성 홍씨 명덕태후家 | |
재상 가문 | |||||
언양 김씨 김취려家 | 철원 최씨 최유청家 | 해주 최씨 최충家 | 공암 허씨 허재家 | 평강 채씨 채송년家 | |
청주 이씨 이자림家 | 황려 민씨 민영모家 | 횡천 조씨 조영인家 | 파평 윤씨 윤관家 | 평양 조씨 조인규家 |
全州 金氏 (完山 金氏) 전주 김씨 (완산 김씨) | |
<colbgcolor=#fedc89><colcolor=#670000> 관향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
시조 | 김태서(金台瑞)[1] |
중시조 | 김경(金敬), 김달혼(金達渾) |
집성촌 | 충청북도 괴산군 경상북도 의성군 평안남도 평양시[2], 평원군, 영원군 평안북도 희천군, 벽동군, 자성군, 강계군, 후창군 함경남도 문천군, 함주군, 정평군, 영흥군, 고원군, 안변군, 이원군, 신흥군 함경북도 경성군, 명천군, 무산군, 경흥군 |
인구 | 56,989명(2015년) |
[clearfix]
1. 개요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2. 유래
전주 김씨 대동보에 의하면 시조는 문장공(文莊公) 김태서(金台瑞)이다.[3]김태서의 부친은 정평공(靖平公) 김봉모(金鳳毛)이다. 김봉모는 경주 김씨 중시조 경순왕의 후예로 평장사공파의 파조이고 고려조에서 동북면지병마사·추밀원부사·중서문하시랑평장사·태자태부를 지냈다. 완산군(完山君)에 봉해졌다고 하므로 김봉모 대에 이미 전주에 연고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1887년(고종 24) 간행된 《김씨 분관록》 및 《증보문헌비고》·《조선씨족통보》등의 문헌에서는 전주 김씨의 시조를 시랑(侍郞) 김봉모라고 하고 있다.
김태서는 고려 고종 때 문과에 급제해 한림학사부터 추밀원 부사 · 상장군 등을 지냈고 문하시랑평장사와 보문각대제학을 역임하였다. 1254년 경주가 몽골군의 침입으로 폐허가 되자 가족을 데리고 전주로 이주했고 후에 완산군(完山君)으로 봉해졌다. 후손들이 관향을 전주(全州)로 삼았다.
김태서의 장남 김약선은 최우의 사위이자 심복으로 훗날 그의 딸이 원종의 1비 정순왕후가 된다. 살아 생전 태자비였으나 사후 1262년 정순왕후로 추존되었으며 그녀의 아들이 1274년 드디어 왕위에 오르니 바로 충렬왕으로 아들이 왕위에 오르자 정순왕후는 태후로 추존되니 시호를 순경태후라 하였다. 김태서의 삼남은 대몽항쟁 당시 맹활약한 무인 김경손이다. 1308년 충선왕 복위 교서에서 왕실과 통혼 가능한 재상지종을 언급하면서 "...신라왕손 김혼(金琿)[4]의 가문은 또한 순경태후(順敬太后)[5]와 큰 집, 작은 집 가문이며..."라고 하였다.
김태서의 묘는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구이면 원기리의 모악산에 있다. 육관 손석우라는 사람이 김일성이 사망하기 1년 전 '터'라는 책에서 김태서의 묘에 대해서 "이 묘는 천문을 열고, 지축을 깨는 절대권력의 묘자리"라며 김일성의 사망 시기를 예언한 적이 있는데 이 때문에 세간의 화제가 되기도 했다.
3. 집성촌
상당수가 이북 지방이며 조선 시대에 평안도와 함경도로 대거 이주했다. 집성촌 모두가 평안도와 함경도에 몰려 있고 그나마 있는 곳도 경상북도 의성군, 충청북도 괴산군을 제외하면 없다. 집성촌이 위치했다고 알려진 지역 중 문천이라고 하여 북한에서 강원도로 관리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곳이 있지만 북한 정권이 들어서기 전까지는 조선 왕조부터 8.15 광복 직후까지 함경도 지역이었다. 게다가 남북분단 이후 북한의 집성촌이 어떻게 되었는지 확인이 어렵다.현대에는 집성촌이라기보다는 강원특별자치도[6]와 서울특별시 출신이 많아진 듯하다.
4. 인구
2015년 조사에서 56,989명으로 조사되었고 서울에선 15,094명, 부산 3,376명, 대구 1,545명, 인천 4,171명, 광주 348명, 대전 1,543명, 울산 822명, 세종 191명, 경기 18,664명, 강원 3,408명, 충북 1,471명, 충남 1,538명, 전북 748명, 전남 421명, 경북 1,660명, 경남 1,685명, 제주 304명이다.확실히 강원특별자치도에 많다는 것을 보여준다. 2015년 당시 강원도의 인구가 156만, 서울의 인구가 1022만명으로 거의 5배였는데 비율로는 서울(0.16%)보다 강원(인구의 0.22%)에서 더 많다.
여담으로 2000년 인구총조사 땐 57,979명이였으나 2015년 조사에선 56,989명으로 1000명 정도 줄었다.
5. 항렬
12세(火) | 찬(燦), 충(忠), 성(性) |
13세(土) | 재(在), 원(遠), 두(斗) |
14세(金) | 석(錫), 종(鍾), 진(鎭) |
15세(水) | 태(泰), 철(澈), 형(瀅) |
16세(木) | 병(秉), 병(柄), 동(東) |
17세(火) | 환(煥), 희(熙), 연(然) |
18세(土) | 균(均), 효(孝), 시(時) |
19세(金) | 호(鎬), 용(鎔), 현(鉉) |
20세(水) | 한(漢), 윤(潤), 영(泳) |
21세(木) | 낙(樂), 근(根), 모(模) |
22세(火) | 겸(謙), 형(炯), 현(炫) |
23세(土) | 은(垠), 요(堯), 규(圭) |
24세(金) | 연(鍊), 예(銳), 경(鏡) |
25세(水) | 홍(鴻), 연(淵), 식(湜) |
26세(木) | 주(柱), 춘(椿), 상(相) |
27세(火) | 엽(燁), 항(恒), 창(昌) |
28세(土) | 진(珍), 기(基), 재(載) |
29세(金) | 록(錄), 일(鎰), 전(銓) |
30세(水) | 홍(洪), 원(源), 제(濟) |
31세(木) | 화(和), 동(棟), 계(桂) |
32세(火) | 지(志), 경(炅), 병(炳) |
33세(土) | 준(埈), 곤(坤), 기(起) |
34세(金) | 수(銹), 건(鍵), 용(鏞) |
35세(水) | 호(浩), 준(浚), 환(渙) |
36세(木) | 수(秀), 근(槿), 정(楨) |
37세(火) | 훈(勳), 욱(旭), 명(明) |
38세(土) | 치(致), 민(珉), 육(堉) |
39세(金) | 선(鐥), 균(鈞), 철(鐵) |
40세(水) | 치(治), 광(洸), 길(洁) |
[clearfix]
6. 유명 인물
- 김경: 윤필상 경원부 도원수 휘하에서 여진정벌에 큰 공을 세운 인물. 이후 자신의 식솔들을 거느리고 함경도로 이주하였고 이것이 함경도에 뿌리내린 전주 김씨들의 토대가 된다. 북측 전주 김씨 쪽에서는 입북중시조(入北中始祖)로 받들어지고 있다.
- 김경손: 제1차 몽골침입 당시 맹활약한 고려의 명장으로 시조 김태서의 3남이다. 탐욕스러운 아버지와 최고 권력자의 최측근이자 차기 후계자로 인정받았던 형을 두었으나 위기에 빠진 나라를 위해 자신의 목숨을 걸고 최일선에서 세계 최강 몽골군과 맞서 싸운 위인이기도 하다. 이러한 이유 때문인지 그의 아들, 손자도 재상직에 오르면서 고려의 명문가로서 이름을 남긴다.
- 김광민: 피아니스트, MBC 수요예술무대 진행자, 동덕여대 교수, 부모는 평양 출신 실향민이다. 전주 김씨 중에서도 아래에 나오는 백두혈통과 가까운 친척이라고 한다. 그래서 라디오 스타에 출연했을 때 이에 대해 '혹시 월북은 생각해 보시지 않았나요?', '내가 거기 남아 있었으면 문화부 장관 쯤은 했을걸' 이란 드립이 나왔다.
- 김광섭: 8.15 광복 전후 활동한 시인. 주요작으로 '성북동 비둘기', '저녁에'가 있다. 함경북도 경성군 출신.
- 김규동
- 김규원: 정치가. 평안북도 선천군 출신이다.
- 김동원: 정치가, 친일반민족행위자. 평양시 출신.
- 김동인: 일제강점기에 활동한 소설가이자 친일반민족행위자이며 주요 작품으로 감자, 배따라기, 붉은산이 있다. 평양시 출신이다.
- 김란사(하란사): 구한말의 교육자, 여성운동가, 독립운동가. 평양시 출신.
- 김명순
- 김성규: 인피니트 소속 가수. 전라북도 전주시 출신.
- 김연준: 한양대학교 설립자인 기업인, 교육자 겸 음악가. 함경북도 명천군 출신.
- 김영수
- 김영철: 배우. 예전에는 김해 김씨라는 말도 있었고 광산 김씨라는 말도 있었지만 둘 다 아니라고 밝혔으며 유튜브에서 전주 김씨가 맞다고 확실히 밝혔다. 다만 항렬은 따지지 않고 있다. 대구광역시 출신. 부모는 황해도 출신 실향민이다.
- 김이후: 뮤지컬 배우. 라방에서 전주 김씨라고 밝혔다.
- 김재순: 정치가. 제5, 6, 7, 8, 9, 13, 14대 국회의원이자 제13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이었다. 평안북도 대동군 출신.
- 김풍: 웹툰작가.
- 김허남: 정치가. 함경북도 명천군 출신.
- 김희선 : 독립운동가. 평안남도 강서군 출신.
- 김희철: 슈퍼주니어 소속 가수. 강원도 횡성군 출신이다.
- 원지안(김인선): 대한민국 배우
6.1. 백두혈통
1928년에 간행된 전주 김씨 대종보(무진보라고도 함)에 의하면 첫 장에 시조 묘가 그려져 있는 전주 모악산 일대가 그려져 있고, 시조가 김태서임이 분명히 밝혀져 있다. 그리고 그 32대 손에 김일성의 본명인 김성주(成柱)와 동생 영주(英柱)의 이름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육관은 1978년에 무진보 8권 중 5권을 입수해 직접 확인한 바 있다. 그러나 79년 평소 가깝게 지내던 일본 역사가(歷史家) 단니친에게 전주 김씨 대종보를 잠시 빌려주었는데 유감스럽게도 이 대종보는 그 뒤 조총련계의 모교수의 손에 들어가 김일성에게 전달되어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는 아마도 김일성으로부터 많은 재물과 훈장을 받았을 것이다. 그러니 현재로서는 이를 증빙할 문서는 없다. 다만 방증자료는 만만치 않게 있다.
손석우, 『터: 육관 도사의 풍수·명당 이야기』, 1993
북한의 김일성-김정일-김정은과 그 가족들인 백두혈통이 전주 김씨다. 1915년에 편찬된 전주 김씨 대동보가 6.25 전쟁을 거치면서 소실되어서 (8대조 때부터 김일성 일가가 살았던) 평안남도 대동군 일대가 누락되어 현재는 전주 김씨 족보상 김일성 일가는 드러나지 않는다.손석우, 『터: 육관 도사의 풍수·명당 이야기』, 1993
이를 두고 전주 김씨 가문에서 김일성 일가가 나온 것이 가문의 불명예라고 생각해 의도적으로 삭제하였다고 보는 시각도 있지만, 김일성은 자신의 회고록에 "우리 가문은 17세기 8대조인 김계상 할아버지 대에 살 길을 찾아 전라북도 전주시에서 북으로 들어왔다. 만경대에 뿌리를 내린 것은 증조할아버지 김응우 대부터였다."고 서술한 바 있으며 2000 남북정상회담에서 김정일이 김대중 대통령과 환담하면서 본인이 전주 김씨라는 것을 확인해 주었다. 김일성과 김정일 본인이 인정하기도 했기 때문에 워낙 증거와 증인이 많아서 김일성 일가의 본관이 전주 김씨라는 것을 부정하는 사람은 없다. 이들은 자체적인 돌림자를 사용하지만 전주 김씨 가문의 항렬자와는 관련이 없다.
북한은 이남 출신이거나 월북자, 재일교포 출신 등등이 본인은 물론이고 가족들까지 연좌제로 차별을 받지만 대한민국은 연좌제가 없기 때문에 전주 김씨인 것은 아무런 불이익도 되지 않는다. 물론 본관을 중시하고 연좌제 의식이 심하던 1950~60년대에는 민간에서 은은하게 안 좋게 보는 인식이 있긴 했다. 6.25 전쟁 당시 김일성이 전주 김씨임을 안 피난민들이 가문의 본관인 전주는 안 폭격하겠지 싶어서 전주로 피난갔다가 전주도 폭격했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 김응우(1848 ~ 1878): 김일성의 증조부[7]
- 김보현(1871 ~ 1955): 김일성의 조부
- 김형직(1894 ~ 1926): 김일성의 아버지. 한의사, 반공주의자[8]
- 김형권(1905 ~ 1936): 김일성의 숙부. 독립운동가.
- 김일성(1912 ~ 1994): 북한 초대 국가주석 겸 조선로동당 총비서.
- 김철주(1916 ~ 1935): 김일성의 첫째 남동생.
- 김영주(1920 ~ 2021): 김일성의 둘째 남동생.
- 김정일(1941 ~ 2011): 김일성의 첫째 아들, 북한 5대 국방위원장. 조선로동당 총비서.[9]
- 김만일(1944 ~ 1947): 김일성의 둘째 아들. 김정일의 남동생.
- 김평일(1954 ~ ): 김일성의 셋째 아들. 김정일의 이복 동생.
- 김영일(1955 ~ 2000): 김일성의 넷째 아들. 김정일의 이복 동생.
- 김현(1971 ~ ?): 김일성의 다섯째 아들이자 사생아.
- 김경희(1946 ~ ): 김일성의 딸. 조선인민군 대장.
- 김정남(1971 ~ 2017): 김정일의 첫째 아들. 김정은의 이복 형.
- 김정철(1981 ~ ): 김정일의 둘째 아들.
- 김정은(1984 ~ ): 김정일의 셋째 아들. 북한의 현 통치자. 국무위원회 위원장. 조선로동당 총비서.
- 김설송(1974 ~ ): 김정일의 첫째 딸.
- 김여정(1988 ~ ): 김정일의 셋째 딸. 조선로동당 선전선동부 제1부부장.
- 김한솔(1995 ~ ): 김정일의 손자. 김정남의 아들.
- 김주애(2013 ~ ): 김정일의 손녀. 김정은의 딸.
[1] 부친은 경주 김씨 평장사공파 파조 김봉모(金鳳毛)이다.[2] 북한에서는 도급 행정구역으로 '평양시'를 관할하고 있지만 이런 행정구역은 대한민국의 '평안남도 평양시'의 행정구역의 관할구역과 매우 다르다. 그래서 이름이 같은 북한의 행정구역을 그냥 대입하면 오류가 된다. 강계 같은 경우 더 심하다. 북한에서 행정구역 변동을 일부를 제외하고 2008년 이후 비공개하기 때문에 현재 북한에서 어느 행정구역으로 관할하는지도 불명확하다.[3] 그는 경순왕의 넷째 아들인 대안군 김은열(金殷說)의 9세손이라고 하지만 김은열은 정사에는 기록이 없고 조선 후기 발견되었다는 묘지석을 바탕으로 그의 존재를 추정할 뿐이며 묘지석 진위에 대해서도 논란이 있다.[4] 김태서의 3남 김경손의 3남. 도첨의중찬 역임.[5] 김태서의 장남 김약선의 장녀. 원종의 왕후.[6] 대표적으로 가수이자 방송인인 희철이 있다. 다만 실향민 세대는 이북 출신이 많고 현 세대로 넘어올수록 강원도나 서울특별시 출신이 많아지는 듯하다.[7] 아버지는 김송령(1810~1899)이고, 조부는 김민수라 한다.[8] 아들과는 다르게 말이다, 심지어 공산주의자에게 암살당햇다.[9] 2000 남북정상회담 당시 김대중 대통령에게 자신이 전주 김씨임을 직접 밝힌 바 있다.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