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4년에 운행을 시작한 한국의 열차 등급에 대한 내용은 새마을호 문서
, 해당 열차의 차량 정보에 대한 내용은 ITX-새마을/차량 문서
참고하십시오.한국철도공사의 여객열차 등급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colbgcolor=#005bac><colcolor=#fff> 고속 | KTX, KTX-산천, KTX-청룡, SRT(SR 운영) |
준고속 | KTX-이음 | |
특급 | ITX-청춘 | |
급행 | 새마을호, ITX-새마을, ITX-마음 | |
무궁화호, 누리로 | ||
특급/급행 광역전철 | ||
보통 | 일반 광역전철 | |
관광 | 틀 참고 | |
폐지 | 관광호, 비둘기호, 통근열차, 통일호 | }}}}}}}}} |
한국철도공사의 연도별 여객열차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colbgcolor=#005bac><colcolor=#fff> -1969 | 특급열차 | 보급열차 | 준급열차 | 보통열차 | |||
1969-1974 | 관광호 | 특급열차 | 보급열차 | |||||
1974-1977 | 새마을호 | |||||||
1977-1982 | 우등열차 | 특급열차 | 보급열차 | |||||
보통열차 | ||||||||
1982-1984 | ||||||||
1984-2000 | 무궁화호 | 통일호 | 비둘기호 | |||||
2000-2004 | - | |||||||
2004-2009 | - | 새마을호 | 무궁화호 | 통근열차 | ||||
2009-2010 | ||||||||
2010-2012 | 무궁화호 | |||||||
2012-2014 | 새마을호 | 무궁화호 | 통근열차 | |||||
2014-2021 | 무궁화호 | |||||||
2021-2023 | 새마을호 | 무궁화호 | 통근열차 | |||||
2023-2024 | 새마을호 | 무궁화호 | ||||||
2024-현재 | 새마을호 | 무궁화호 | ||||||
}}}}}}}}} |
<colbgcolor=#c30e2f><colcolor=#fff> ITX-새마을 ITX-Saemaeul | |
ITX-새마을 로고 | |
운영사 | 한국철도공사 |
개통일 | 2014년 5월 12일 ([dday(2014-05-12)]일, [age(2014-05-12)]주년) |
열차 등급 | 급행열차 |
운행 노선 | |
사용 차량 | 한국철도공사 210000호대 전동차 |
[clearfix]
1. 개요
ITX-새마을 혹은 ITX(intercity train express)-Saemaeul은 새마을호의 후속 열차로, 2013년 9월에 시제차가 출고되었고 2014년 5월 12일부터 운행을 시작했다. 아이티엑스새마을을 다 읽으면 8음절로 길기 때문에[1] 그냥 새마을호라고 많이 불리는데다 이후 별개로 운행되는 객차형 개조 새마을호와, 기존 DHC 새마을호의 파생형 열차인 경복호가 ITX-새마을과 똑같이 도색되는 등 사실상 동일하게 취급 받고 있긴 하지만 일단 약관상으로는 다른 열차다.철도공사에서 ITX-청춘과 동일한 요금을 받으려고 했었지만, 국토부에서 거절당해 새마을호와 동일하게 받는 것으로 결정됐다.[2] 차량은 한국철도공사 210000호대 전동차를 쓴다.
2. 운임
ITX-새마을 운임 및 요금 | |
<rowcolor=#fff> 기본운임(50km 이내) | 이후 1km당 운임 |
4,800원 | 96.36원 |
해당 이용구간에 따라 기본요금 거리가 달라질 수 있음. (기존선-고속선 연계이동 및 다른 특급/급행등급 열차 환승 등) | |
부가운임 징수: 부정한 방법으로 할인요금 지불, 운임 미지불, 정기 승차권 부정 사용, 불법 발권 등 정당하지 못한 승차권 | |
벌칙: 부가운임 수수 혹은 법률조치(구류, 징역, 과료의 형) |
3. 차량
한국철도공사 210000호대 전동차 |
4. 역사
2014년 5월 12일, 경부선, 호남선의 일부 새마을호를 대체하여 운행을 시작하였다. 2015년까지는 기존 새마을호와 병행했으나 현재는 모두 이 열차로 운행 중이다.경부선은 서울 - 부산 5왕복 중 2왕복이, 서울 - 동대구 2왕복 중 1왕복이 서울 - 부산 ITX-새마을로 변경되었고,
호남선은 용산 - 목포 2왕복 중 1왕복이, 용산 - 광주 3왕복은 전량 ITX-새마을로 변경되었다.
2014년 6월 1일부터 경전선 서울 - 진주 새마을호 1왕복(#1031~#1032)을 ITX-새마을 (#1081~#1082)로 대체하였다. 이로써 경전선은 국내 최초로 새마을호를 ITX-새마을로 대체한 노선이 되었다.
이와 함께 전라선 용산 - 여수 새마을호 1왕복(#1121, #1124)을 ITX-새마을 (#1081~#1084 / #1191 ~ #1192)로 대체하였다.
2014년 6월 30일부터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의 모든 새마을호 열차를 대체하여 운행하게 되었다. 그와 함께 전철화 구간을 운행하는 새마을호의 야간열차 운행은 완전히 끝나게 되었다.
2014년 11월 1일 중앙선 청량리 - 안동 새마을호 평일 1왕복, 주말 2왕복을 대체하여 청량리 - 영주 구간에 ITX-새마을이 투입되면서 상시 2왕복으로 증편되었다. 당시에는 중앙선 개량이 이루어지지 않아 영주 이남의 중앙선은 비전철 구간이였기 때문에 청량리 - 영주로 단축되었다.
새마을호 병행 시절인 2014년 ITX-새마을의 열차 번호는 새마을호의 뒤쪽인 1050번대(경부선), 1075번대(중앙선), 1130번대(호남선), 1080번대(경전선), 1190번대(전라선)였으나, 이 구간을 운행하던 새마을호가 모두 ITX-새마을로 대체됨에 따라 2015년 4월 2일에 개정된 열차 시각표부터 기존에 새마을호가 사용하던 1001번(경부선), 1101번(호남선 목포행), 1111번(호남선 광주행) 1031번(경전선), 1121번(전라선)부터 순차적으로 재배정받았다. 단, 중앙선은 열차번호가 1075번대로 유지되었다.
2015년 4월 2일 열차번호 재배정과 함께 호남선 용산 - 광주 3왕복이 4왕복(#1111 - #1118)으로 증편되었다.
2016년 12월 9일 경전선 서울 - 진주 1왕복이 2왕복(#1031 - #1034)으로 증편되었다.
2018년 7월 1일자로 서울역과 신해운대역 간을 왕복하는 차량의 열차번호가 1040번대에서 1020번대로 변경되었고, 거의 모든 ITX-새마을의 소요시간이 단축되어 경부선 기준 모든 열차가 4시간 50분 이내로 소요된다.
2021년 1월 5일 중앙선 KTX의 개통으로 기존 ITX-새마을은 소소한 정차역 조정과 함께[3] KTX-이음이 승계하면서 폐지되었고 호남선, 전라선 열차는 1060번대, 1070번대, 1080번대[4]로 변경되었다.
2022년부터는 감축되는 무궁화호를 대신하에 무궁화호 전용역에도 정차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신탄진역에 오랜만에 ITX-새마을이 정차하게 되었다.
2022년 11월 5일 기존 청량리 ~ 안동 구간을 운행하던 누리로 열차가 동대구 - 태화강, 동대구 - 부산 노선으로 이동하면서 해당 시간대에 ITX-새마을이 정차역까지 그대로 이어받으면서 중앙선에서 운행을 재개하였다. #1091 - #1094 열차로 왕복 2회 운행된다.[5] 단, 이 열차는 청량리 - 안동 구간의 모든 무궁화호 정차역에 정차한다.
2023년 9월 1일 ITX-마음의 운행 개시로 인해 무궁화호가 감축되면서 ITX-새마을이 무궁화호를 대신하여 백양사, 임실, 몽탄 등 일부 무궁화호 전용역에 정차하기 시작했다.
2024년 5월 1일 오산역과 서정리역에 정차하던 무궁화호가 사라지면서 용산발 목포행 ITX-새마을 #1061 열차가 오산역과 서정리역에 정차하게 되었다. 이후 8월 15일 개정으로 #1061 열차는 오산역만, #1073 열차가 서정리역에 정차하게 되었다.
홀수는 하행, 짝수는 상행. ITX-새마을 정규 편성의 열차번호는 1000번 대역을 가진다. 권역별로 아래와 같은 대역을 가진다.
5. 운행 구간
2024년 5월 1일 기준이다.<rowcolor=#ffffff> 노선 | 기점역 | 종점역 | 운행횟수(왕복) | 운행거리 | 열차번호 |
<colbgcolor=#ffeeee> 경부선 | 서울 | 부산 | 매일 6회 | 441.7 km | <colcolor=#c30e2f> 1001~1002, 1004~1009, 1011~1014 |
신해운대 | 평일 1회 / 주말 2회 | 459.8 km | 1021~1024[6] | ||
동대구 | 매일 1회 | 326.3 km | 1035~1036 | ||
경전선 | 진주 | 매일 2회 | 483.9 km | 1031~1034 | |
호남선 | 용산 | 목포 | 410.9 km | 1061~1064 | |
광주 | 매일 4회 | 355.3 km | 1071~1078 | ||
전라선 | 여수엑스포 | 매일 2회 | 426.7 km | 1081~1084 | |
중앙선 | 청량리 | 안동 | 219.4 km | 1091~1094 |
5.1. 정차역
<colcolor=#000> 연홍색으로 표시되어 있는 역은 모든 열차가 필수 정차하는 역, 흰색으로 표시된 역은 일부 열차만 선택정차하는 역이다. |
5.1.1. 경부선·호남선 계열
경부선·호남선 정차역 구분 | |||||
<rowcolor=#ffffff> 경부선 | 경부·동해선 | 경전선 | 호남선 | 호남·광주선 | 전라선 |
서울 | 용산 | ||||
영등포 | |||||
수원 | |||||
(통과) | 오산 | 서정리 | (통과) | ||
평택 | 평택 | 평택 | |||
천안 | |||||
조치원 | 조치원 | 조치원 | |||
신탄진 | (통과) | 신탄진 | |||
대전 | 서대전 | ||||
옥천 | 계룡 | ||||
영동 | 논산 | ||||
김천 | 강경 | ||||
구미 | 익산 | ||||
왜관 | 김제 | 삼례 | |||
대구 | 신태인 | 신태인 | 전주 | ||
동대구 | 정읍 | ||||
경산 | (통과) | 백양사 | 임실 | ||
청도 | 장성 | 오수 | |||
밀양 | 광주송정 | 광주 | 남원 | ||
삼랑진 | (통과) | 진영 | 나주 | 곡성 | |
물금 | 창원중앙 | 함평 | 구례구 | ||
구포 | 창원 | 몽탄 | 순천 | ||
부산 | 부전 | 마산 | 일로 | 여천 | |
신해운대 | 함안 | 목포 | 여수엑스포 | ||
진주 |
5.1.2. 중앙선 계열
중앙선 정차역 구분 | ||||||||
청량리 | 덕소 | 양평 | 용문 | 지평 | 석불 | 일신 | 매곡 | 양동 |
삼산 | 서원주 | 원주 | 봉양 | 제천 | 단양 | 풍기 | 영주 | 안동 |
6. 안내방송
안내방송/열차 '코레일 일반열차' 문단 참조.LCD 안내기의 정보표출에 관해서는 차내전광판 문서 참조.
7. 문제점
7.1. KTX와 무궁화호 사이의 애매한 위치
KTX는 비싼 가격 대신 빠른 속도를, 무궁화호는 느린 속도 대신 싼 가격으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지만 ITX-새마을은 무궁화호보다 1.5배 비싼 반면 소요시간은 경부선 전 구간 기준 10분~1시간 내외밖에 차이나지 않는 어중간간 위치라는 것이 지적의 요지이다.한국철도공사는 2010년대 초부터 새마을호를 비츠로라고 불리던 장거리 기존선 특급 "EMU-180"으로 대체하고, 무궁화호는 누리로 등의 EMU-150으로 대체하려고 하였으나, 당시 기존선에 180km/h로 주행 가능한 구간이 거의 없다는 감사원의 지적과 DHC 동차의 극심한 노후화로 인해 무궁화호 대체 열차로 계획되던 EMU-150을 새마을호 대체로 변경하면서 ITX-새마을이 EMU-150으로 도입되었고, KTX 개통 이후 새마을호가 감축되며 무궁화호의 운행 비율이 훨씬 높았던 터라 ITX-새마을은 애매한 등급으로 남게 되었다.
2018년 7월부터 경부선 평균 운행 소요시간은 4시간 39분으로, 최속달은 4시간 31분으로 단축되어 KTX 개통 이전 평균 4시간 26분에 근접하면서 무궁화호와 최대 하행 34분, 상행 24분까지 소요시간이 벌어지면서 경부선에서는 경쟁력을 어느 정도 갖추었지만 이외 노선은 큰 변화가 없는 상황이다.
때문에 새마을호 정차역을 KTX 개통 전 수준으로 축소하자는 주장과, 무궁화호와 새마을호를 한 등급으로 통합하자는 주장이 존재하다가, 무궁화호 대체 열차가 새마을호 등급의 ITX-마음으로 정해지며 하나의 등급으로 통합하는 계획으로 잠정 결정되었다. 실제로 무궁화호 선택정차역인 오산, 서정리역 등에 ITX-새마을이 1일 1회 수준으로 정차하거나, 중앙선 전역정차 ITX-새마을이 운행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 경우 운임 문제가 우려되는 단점이 있다.
무궁화호 대비 유의미한 ITX-새마을의 차별 요소는 '쾌적한 차내 환경\'으로, 최신 객차가 2003년에 생산된 무궁화호와 달리 2013년에 생산된 깔끔한 차체와 비교적 넓은 좌석 간격과 높은 헤드레스트를 가진 시트 등이 주 메리트이다.
7.2. 의미 없는 이름 공모전
2013년 1월 23일부터 28일까지 새마을호 후속열차에 대한 이름 공모전이 시행되었다. 그런데 당첨자가 없었다는 점 때문에 논란이 있었다.기존 가칭인 "비츠로"처럼 순우리말로 충분히 지을 수 있었는데도 굳이 ITX라는 영단어를 붙인 점을 비판하는 의견도 있었다. 향후에는 KTX, ITX 등의 등급 형식으로 불릴 것이고, 등급 뒤에 붙는 호칭은 열차 모습이나 운행계통 등에 따라 붙이는 형식으로 유지될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자세한 것은 열차의 등급 문서를 참조.
이 때문에 후속 열차도 ITX-새마을로 확정될 것이라는 인식이 많았지만 후속 열차의 등급명은 ITX-마음이 되었다. 또한 윗 문단의 시각과 같이 '등급명 + 이름' 체계로 가는 것이 한국철도공사의 입장임을 다시 확인하였다.
8. 여담
- 초기 계획에는 특실과 스낵바, 레그레스트도 있었으나 스낵바는 카페열차의 쇠퇴[7]를, 레그레스트는 좁은 좌석간격을 이유로 최종본에서는 빠졌다. 그 대신 시트에 헤드레스트가 있으며, 차내 와이파이가 지원된다.
- 처음 운행을 개시할 당시 열차에 대한 반응은 'KTX보다 좌석이 넓어서 좋다'와 '기존 새마을호보다 불편하다'로 나뉘었다. 거기에 더해 무궁화호보다 불편하다는 의견까지 있었다. 그러나 현재 한국철도는 안락함보다 소요시간 단축 및 와이파이, 콘센트 등 부가 편의 시설을 제공하는 데 더욱 주력하고 있기 때문에 예전 새마을호 수준의 안락함을 가진 열차는 앞으로 찾아보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 초기에는 승차감 문제로 욕을 잔뜩 먹었으나 현재는 많이 개선되어 승차감만 보면 매우 좋아졌고, 2023년 9월부터 운행 중인 ITX-마음의 승차감 문제가 많이 돋보이다 보니 이와 비교되어 호평을 받고 있다. 실제로 진동이 심하고 의자도 딱딱한 ITX-마음과 달리 ITX-새마을은 편성별로 차이가 있긴 하나 대개 소음이 거의 없으며 매우 부드럽게 주행하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 누리로, ITX-청춘, 개조 새마을호와 마찬가지로 테이블이 너무 작다는 지적이 있다. 실제로 KTX와 ITX-마음의 좌석 테이블보다 절반 정도 크기이다.
- 3호차와 4호차 사이에 자판기가 2대 있으며, 카드만 사용 가능하다.
- 5호차에는 유아동반석이 있고 6호차에는 자유석이 있으나 평일 08:00 ~ 17:00 출발 열차와 주말 열차는 자유석을 운행하지 않는다.
- 2022년 11월 5일부터 중앙선에 다시 투입된 ITX-새마을은 양평군의 모든 무궁화호 정차역에 정차하면서 임피역 이후 14년만에 무배치간이역에 새마을호 등급이 정차하는 일이 일어났다.[8] 때문에 소요시간 면에서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다.
- 좌석 뒤에 KTX 매거진 잡지가 꽂혀 있다.
- 내일로 이용자들은 추가 비용 없이 이용할 수 있으며 입석전용 좌석은 없지만 콘센트도 있고 와이파이도 사용할 수 있어 꽤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 새마을호의 완전 퇴역으로 인해 경복호가 ITX-새마을 도색을 했다.
- 2022년에 전 좌석 창측에 콘센트를 설치하였고, 2023년 목베개를 가죽 재질의 푹신한 목베개로 교체하였다.
9. 관련 문서
10. 둘러보기
한국철도공사의 전동차/현황 보기 (편성번호 · 열차번호 · 차량번호 · 여섯 자리 차량번호)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고속열차 | <colbgcolor=#fff,#1c1d1f> |
간선열차 | ||
관광열차 | 200000호대[a] | |
광역전철 | ||
도입 예정 | [[HSEMU-370|{{{#ffffff EMU-370}}}]] 차번 미정 | |
개번 전 차량번호 | 2030호대(1993~2011) | |
전량 퇴역 | 1000호대(상세)(1974~2020) · 초저항(1974~2014) | |
[a]: 8호기 한정 관광열차 운행중 | ||
한국철도공사 소속 기관차 · 디젤동차 다른 지역 전동차 보기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