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세대 | 초전설 | 준전설 | ||||
1세대 | 뮤츠 | 프리져 | 썬더 | 파이어 | |||
2세대 | 루기아 | 칠색조 | 라이코 | 앤테이 | 스이쿤 | ||
3세대 | 가이오가 | 그란돈 | 레지락 | 레지아이스 | 레지스틸 | ||
레쿠쟈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라티아스 | 라티오스 | }}} | |||
4세대 | 디아루가 | 펄기아 | 유크시 | 엠라이트 | 아그놈 | ||
기라티나 | 히드런 | 레지기가스 | 크레세리아 | ||||
5세대 | 레시라무 | 제크로무 | 코바르온 | 테라키온 | 비리디온 | ||
큐레무 | 토네로스 | 볼트로스 | 랜드로스 | ||||
6세대 | 제르네아스 | 이벨타르 | |||||
지가르데 | |||||||
7세대 | 코스모그 · 코스모움 | 타입:널 · 실버디 | |||||
솔가레오 | 루나아라 | 카푸꼬꼬꼭 | 카푸나비나 | 울트라비스트 | |||
네크로즈마 | 카푸브루루 | 카푸느지느 | |||||
8세대 | |||||||
자시안 | 자마젠타 | 치고마 · 우라오스 | |||||
무한다이노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레지에레키 | 레지드래고 | }}} | |||
버드렉스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블리자포스 | 레이스포스 | }}} | |||
러브로스 | |||||||
9세대 | 코라이돈 | 미라이돈 | 총지엔 | 파오젠 | 일부 패러독스 포켓몬 | ||
딩루 | 위유이 | ||||||
테라파고스 | 조타구 | 이야후 | 기로치 | ||||
오거폰 |
1. 개요
伝説のポケモン / Legendary Pokémon포켓몬스터 시리즈에 등장하는 포켓몬 중에서도 일종의 신이나 영물 취급을 받거나 매우 희귀한 포켓몬의 통칭.
2. 특징
시리즈별 초전설 포켓몬 배틀 테마곡 |
시리즈별 준전설, 환상의 포켓몬 배틀 테마곡 |
2.1. 위상 및 능력
- 일반적으로 보통 포켓몬보다 강력하며 전용 기술이나 전용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 전설의 포켓몬 중에서도 클래스가 나뉘는데, 배틀 시설에 들고 갈 수 있는지 없는지의 여부에 따라 초전설 포켓몬, 준전설 포켓몬으로 나뉜다. 준전설 포켓몬은 설정 상으로 초전설보다는 약하게 묘사되는 것이 보통이며 소유하고 있는 트레이너[1]가 많지만 초전설 포켓몬을 사용하는 NPC는 매우 드물다. 초전설 포켓몬을 소지하는 것은 스토리적으로 큰 의미를 지닌다.
- 해당 지방의 신화나 설정에 밀접한 관계성을 지닌 존재들이며 세계관 내에서 신격화까지 이루어지는 존재들인 만큼 특수한 권능과 힘을 가진 경우가 많다. 3세대의 그란돈-가이오가-레쿠쟈는 대지-바다-하늘이라는 자연계의 큰 부분을, 4세대의 디아루가-펄기아-기라티나는 시간-공간-반물질이라는 전 세대를 통틀어 가장 고차원적인 개념을, 이어 6세대의 제르네아스-이벨타르-지가르데는 생명-죽음-균형을 다룬다.
- 한편으로, 전설이나 설화를 보유하고 있으면서도 초전설/준전설에 포함되지 않는 포켓몬들도 물론 여럿 존재하는데, 초창기에는 이런 경우도 합쳐 '전설의 포켓몬'으로 지칭된 경우가 있다. 이를테면 윈디는 도감 분류가 '전설 포켓몬'인 데 힘입어 애니메이션 무인편의 벽화에서 파이어, 프리져, 썬더와 동일한 반열로(...) 실려 있기까지 했고, 망나뇽도 1세대의 공식 책자에서는 '전설의 포켓몬'으로 지칭되고 있었다.
다만 이러한 구분은 '전설의 포켓몬'이 명확하게 '소프트를 대표하는 포켓몬'을 지칭하게 된 2세대 이후로는 의미가 없어졌고, 동탁군[3]이나 눈여아[4]처럼 도감이나 스토리에 '신/전설'로서 받아들여졌다는 언급이 명확히 존재하는 포켓몬도 한층 급이 낮은 민간설화나 토착신앙, 쿠니츠카미의 일종으로 바라보는 시선이 일반적이게 되었다. - 7세대 이후로는 자연의 일각을 다룬다기보다는 단순히 그 중 하나를 상징 / 표현하는 수준으로 위상이 내려갔다. 예시로 솔가레오-루나아라-네크로즈마는 태양과 달을 모티브로 해-달-식(蝕)의 컨셉을 가져갔지만, 솔가레오와 루나아라가 해와 달 그 자체이거나 해와 달을 관장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대신 제 3의 초전설 포켓몬인 네크로즈마를 시작으로 무한다이노와 테라파고스가 각각 해당 시리즈를 대표하는 배틀 시스템과 관련된 현상(Z기술, 다이맥스, 테라스탈)의 근원이자 주관자 격으로 등장하고 있다.
- 시간, 공간, 반물질, 빛, 생명, 죽음, 육지, 바다, 지식, 의지, 감정 등 파격적인 개념을 주관하는 전설이 내려오는 포켓몬도 있는데, 전부 진실이라기보다는 해당 포켓몬의 엄청난 능력을 보고 인류가 확대해석한 것이 전설, 설화로 남아 전해지는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 그 중 한 예로 육지와 바다를 넓혔으며 깨어날 때마다 사투를 벌인다는 그란돈과 가이오가에 대해, 이 둘이 실제로 싸운 적은 없고 포켓몬 세계 또한 지구처럼 지각 변동을 통해 형성되었다고 마스다 준이치가 공식 OST 책자에서 밝힌 적이 있다. 그러나 이후 리메이크작인 ORAS에서는 이들의 싸움이 정말 일어났던 역사인 것으로 설정이 변경되었으며, 그 증거가 스토리 도중 드러난다.
- 게임 내에서는 관련 설화를 NPC들이나 조연 캐릭터들에게 심심치 않게 들을 수 있으며 관련된 상징들이 벽화나 석상 등등으로 눈에 띄게 전시되어 있다. 신으로 취급받는 전설의 포켓몬의 경우 신오지방과 알로라지방에는 전설의 포켓몬을 섬기는 신전까지 있다.
- 강력한 힘을 가진 몇몇 전설의 포켓몬들은 인간들에게 신이라고 불리며 숭배받기도 한다. 환상의 포켓몬인 창조신 아르세우스를 제외하면 작중 신이라 부를 수 있는 전설의 포켓몬은 하늘의 신 레쿠쟈, 시간의 신 디아루가, 공간의 신 펄기아, 반물질의 신 기라티나, 지식의 신 유크시, 의지의 신 아그놈, 감정의 신 엠라이트, 광명의 신 네크로즈마[5] 정도다. 그 외에 여러 전설의 포켓몬이 신화에 등장하거나 화신으로 취급받는 등 불가사의하거나 두려운 존재로 여겨지기도 한다.
- 한편 레시라무와 제크로무, 성검사, 자시안과 자마젠타, 버드렉스 같이 인간의 역사에 깊이 관여하거나 직접적인 활동이 있는 경우는 신보다는 신화 속의 영웅으로서 추앙받는다. 앞의 전설의 포켓몬과는 달리 인간의 역사에 깊게 개입한 포켓몬인만큼 불가사의한 이미지보다는 영웅적인 이미지가 강한 덕분인 듯하다.
- 이들과 반대로 뮤츠와 실버디의 경우에는 신화에 등장하지도 않고, 인간의 역사에 깊이 개입하기는 커녕 오히려 인간이 만들어낸 인조 포켓몬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8세대까지는 전설의 포켓몬으로 인정받았던 울트라비스트들이 9세대에 와서는 일반 포켓몬이 되었음에도 이들은 그대로 전설의 포켓몬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도 독특한 특징. 공통점이라면 원본 포켓몬[6]들은 환상의 포켓몬이며, 포켓몬의 공통 조상/창조신으로 여겨진다는 점.
2.2. 개체 수
- 보통 한 게임 소프트웨어 내에서 잡을 수 있는 수량이 한정되어 있다. 다만 최근 시리즈로 갈수록 이러한 제약은 조금씩 해제되고 있다.
- 게임판에서는 같은 전설의 포켓몬이 다른 지방마다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 이는 하트골드/소울실버 내의 설명을 보면 아르세우스가 무에서 생명을 창조하는 능력으로 창조했다는 추측이 있다. HG/SS에서 아르세우스를 대동한 심향/금선은 특별한 이벤트를 통해 신도유적에서 새로 디아루가, 펄기아, 기라티나를 직접 창조하는 것을 목격할 수 있다.
- 본래 원래 지역에 존재하지만 후파나 울트라홀 등으로 인해 다른 차원에서 넘어온 경우도 존재한다.
- 몇몇 전설의 포켓몬은 단일 개체인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복수 개체가 존재함이 확정된 전설의 포켓몬도 꽤 많다.
- 원작에서 복수 개체가 존재함이 확정된 전설/환상의 포켓몬
- 애니메이션에서 복수 개체가 존재함이 확정된 전설/환상의 포켓몬 (원작에서도 복수 개체로 나오는 경우 제외)
2.3. 기타
- 최근에는 전용 특성을 가진 개체들이 늘어났지만, 이런 전용 특성이 없는 경우에는 대개 프레셔를 특성으로 가졌다. 일부 전설의 포켓몬끼리만 공유하는 준 전용 특성을 가진 부류나 처음에는 전설의 포켓몬 전용 특성이었으나 이후 세대에서 일반 포켓몬들에게도 해금된 특성도 있다.
- 초전설 포켓몬은 보통 드래곤 타입을 가지고 있거나, 거대한 파충류 / 용의 외형을 하고 있는 포켓몬이 많다. 특히 제 3의 전설의 포켓몬의 경우 3세대부터 시작해서 8세대까지 모두 드래곤 타입을 가지고 있다. 다만 9세대의 테라파고스는 노말 타입이라 예외이며 7세대의 네크로즈마는 폼체인지를 해야만 드래곤 타입이 되고 현재는 폼체인지가 불가능하여 이 특징에서 제외된다.
- 6세대 이후로는 이전 세대의 전설의 포켓몬을 대량으로 잡을 수 있는 컨텐츠가 나오는 것이 전통이 되었다. 유저들은 '전설 축제'라고 부르기도 한다. ORAS의 환상의 장소, USUM의 울트라워프라이드, SWSH DLC 왕관의 설원의 다이맥스 어드벤처, BDSP의 해당화파크, SV DLC 남청의 원반의 블루레크가 이에 해당한다. 다만 해당화파크는 4세대 이전의 전설의 포켓몬만 포획 가능하며, 블루레크로는 모든 이전 세대 전설의 포켓몬을 불러낼 수 없다.[31]
3. 호칭
- 일부 전설의 포켓몬은 동세대에 등장하며 위상과 모습, 컨셉 등이 비슷하여 세트로 묶이며 유독 3세트가 하나로 묶이는 경우가 많다. 이들은 간혹 공통 타입을 지니기도 한다.
- 아래는 세트로 묶이는 전설의 포켓몬의 목록이다. 초고대 포켓몬과 성검사(Swords of Justice)를 제외한 나머지는 공식 명칭이 아닌 유저 사이에서 편의로 쓰는 것들이다. 인게임 내에서 쓰인 공식 명칭은 볼드체로 표기한다.
- 프리져, 파이어, 썬더
| | | |||||
프리져 | 썬더 | 파이어 | |||||
{{{-1 {{{#!wiki style="margin:-2px -10px" {{{#!folding [ 표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한국어 전설의 새일본어 三鳥(삼조)영어 Legendary birds(전설의 새들)공통 타입 비행 타입 | }}}}}}}}}}}} |
- 라이코, 앤테이, 스이쿤
| | | ||||
라이코 | 앤테이 | 스이쿤 | ||||
{{{-1 {{{#!wiki style="margin:-2px -10px" {{{#!folding [ 표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한국어 전설의 개일본어 三犬(삼견)영어 Legendary beasts(전설의 맹수들)[41] | }}}}}}}}}}}} |
- 가이오가, 그란돈, 레쿠쟈
| | | ||||
가이오가 | 그란돈 | 레쿠쟈 | ||||
{{{-1 {{{#!wiki style="margin:-2px -10px" {{{#!folding [ 표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한국어 초 고대 포켓몬일본어 超古代ポケモン(초 고대 포켓몬)영어 Super-ancient Pokémon(초 고대 포켓몬) | }}}}}}}}}}}} |
- 레지락, 레지아이스, 레지스틸, 레지에레키, 레지드래고
| | | ||||
레지락 | 레지아이스 | 레지스틸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레지에레키 | 레지드래고 | }}} | ||||
{{{-1 {{{#!wiki style="margin:-2px -10px" {{{#!folding [ 표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한국어 전설의 거인, 레지시리즈, 레지오형제[42]일본어 レジ系(레지계)[43]영어 Legendary titans(전설의 거인들) | }}}}}}}}}}}} |
- 디아루가, 펄기아, 기라티나
| | | |||||
디아루가 | 펄기아 | 기라티나 | |||||
{{{-1 {{{#!wiki style="margin:-2px -10px" {{{#!folding [ 표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한국어 삼룡신[44], 신오 삼룡일본어 シンオウ三龍(신오 삼룡)영어 Creation trio(창조 트리오)공통 타입 드래곤 타입 | }}}}}}}}}}}} |
- 유크시, 엠라이트, 아그놈
| | | ||||
유크시 | 엠라이트 | 아그놈 | ||||
{{{-1 {{{#!wiki style="margin:-2px -10px" {{{#!folding [ 표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한국어 호수의 수호신, 해파리 삼총사일본어 UMA[45], UMAトリオ(UMA 트리오)[46]영어 Lake guardians(호수 수호신) 공통 타입 에스퍼 타입 | }}}}}}}}}}}} |
- 레시라무, 제크로무, 큐레무
| | | ||||
레시라무 | 제크로무 | 큐레무 | ||||
{{{-1 {{{#!wiki style="margin:-2px -10px" {{{#!folding [ 표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한국어 -일본어 イッシュ三龍(하나 삼룡)영어 Tao trio(음양 트리오) 공통 타입 드래곤 타입 | }}}}}}}}}}}} |
- 토네로스, 볼트로스, 랜드로스, 러브로스
| | | | ||||
| | | | ||||
토네로스 | 볼트로스 | 랜드로스 | 러브로스 | ||||
{{{-1 {{{#!wiki style="margin:-2px -10px" {{{#!folding [ 표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한국어 복붙로스, 로스시리즈, 화신&영물 포켓몬일본어 コピペロス(복붙로스)영어 Forces of Nature(자연의 힘)[47] 공통 타입 비행 타입 | }}}}}}}}}}}} |
- 코바르온, 테라키온, 비리디온
| | | ||||
코바르온 | 테라키온 | 비리디온 | ||||
{{{-1 {{{#!wiki style="margin:-2px -10px" {{{#!folding [ 표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한국어 성검사일본어 聖剣士(성검사), 三闘士(삼투사)영어 Sword of Justice(정의의 검) 공통 타입 격투 타입 | }}}}}}}}}}}} |
- 제르네아스, 이벨타르, 지가르데
| | | ||||
제르네아스 | 이벨타르 | 지가르데 | ||||
{{{-1 {{{#!wiki style="margin:-2px -10px" {{{#!folding [ 표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한국어 -일본어 -영어 Aura trio(오라 트리오) | }}}}}}}}}}}} |
- 솔가레오, 루나아라, 네크로즈마
| | | ||||
솔가레오 | 루나아라 | 네크로즈마 | ||||
{{{-1 {{{#!wiki style="margin:-2px -10px" {{{#!folding [ 표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한국어 -일본어 -영어 Light trio(빛 트리오) 공통 타입 에스퍼 타입 | }}}}}}}}}}}} |
- 카푸꼬꼬꼭, 카푸나비나, 카푸브루루, 카푸느지느
| | | | ||||
{{{-1 {{{#!wiki style="margin:-2px -10px" {{{#!folding [ 표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한국어 카푸시리즈, 알로라의 수호신일본어 カプ(카푸) 영어 Guardian deities(수호신) 공통 타입 페어리 타입 | }}}}}}}}}}}} |
- 프리져, 파이어, 썬더 (가라르)
| | | ||||
프리져 | 썬더 | 파이어 | ||||
{{{-1 {{{#!wiki style="margin:-2px -10px" {{{#!folding [ 표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한국어 전설의 새, 가라르 새일본어 ガラル三鳥(가라르 삼조)영어 Galarian Legendary birds(가라르 전설의 새들) 공통 타입 비행 타입 | }}}}}}}}}}}} |
- 딩루, 파오젠, 총지엔, 위유이
| | | | ||||
총지엔 | 파오젠 | 딩루 | 위유이 | ||||
{{{-1 {{{#!wiki style="margin:-2px -10px" {{{#!folding [ 표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한국어 사흉, 재액 포켓몬, 재앙의 보물일본어 四災(사재) 영어 Treasures of Ruin(재앙의 보물) 공통 타입 악 타입 | }}}}}}}}}}}} |
- 조타구, 이야후, 기로치
| | | ||||
조타구 | 이야후 | 기로치 | ||||
{{{-1 {{{#!wiki style="margin:-2px -10px" {{{#!folding [ 표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한국어 세벗님일본어 ともっこさま(동료님)영어 Loyal Three(웅장한 셋) 공통 타입 독 타입 | }}}}}}}}}}}} |
4. 스토리 내 역할
4.1. 1세대~2세대
초기 세대에서 전설의 포켓몬들은 그야말로 '전설'이라는 이름에 어울리는 신비스러운 존재로 만들어졌다. 특히 1세대의 경우에는 2세대와는 달리 어떠한 직접적인 복선도 안 깔아놓아서 우연히 찾아내는 경우를 제외하면 스토리 중에 만날 일도 없었다. 따라서 1~2세대의 전설의 포켓몬은 주인공과 접점이 있는 스이쿤 정도를 제외하면 스토리에 개입하지 않거나 스토리 상의 존재감이 적었고 후반에 잡을 수 있는 히든 보스에 가까운 형태였다.4.2. 3세대~5세대
3세대 루비/사파이어를 기점으로 전설의 포켓몬이 1회차 메인 스토리와 악당 조직에 관련되기 시작하였다. 3세대의 전설의 포켓몬 그란돈과 가이오가는 호연지방을 가뭄/홍수의 재난에 휩싸이게 만들었고, 레쿠쟈는 이들 둘을 잠잠하게 만드는 역할을 맡았다. 4세대의 전설의 포켓몬 디아루가와 펄기아는 조종당하여 직접적으로 시공의 균열을 일으켰고, 기라티나는 천관산에서 갑자기 튀어나와 그렇게 만든 원흉을 자신의 세계로 끌고 갔다. 5세대에선 주인공과 N이 각각 진실과 이상을 상징하는 전설의 포켓몬 레시라무와 제크로무에게 선택을 받아 서로 대립하게 되며, 2년 뒤를 다루는 후속작에서는 큐레무가 레시라무/제크로무와 합쳐져 주인공을 위협하는 무기로 쓰이게 된다.4.3. 6세대
XY의 메인 전설의 포켓몬인 제르네아스와 이벨타르는 플레어단이 어찌어찌하여 확보해서 플레어단 비밀기지에 잡혀서 연료로 사용되고 있는 모습으로 처음 등장한다. 주인공은 제르네아스/이벨타르에 대한 의미 있는 정보를 스토리 후반인 향전시티에 와서 처음 듣게 된다.제3의 전설의 포켓몬인 지가르데의 경우 마이너체인지인 Z버전이 나오지 못하는 바람에 엔딩 후 숨겨진 전설의 포켓몬으로 등장하는 수준에 머물렀다. 이전 세대의 제3의 전설의 포켓몬인 레쿠쟈, 기라티나, 큐레무, 네크로즈마 등은 원래 세대의 첫 작품에선 별 다른 존재감이 없다가 본인이 주역인 확장판이 나오면서 버프를 받는 편인데 하필이면 6세대에서 Z버전이 못 나오는 바람에 지가르데는 억울하게 피해를 본 케이스라고 할 수 있다.[48]
4.4. 7세대
7세대의 메인 전설의 포켓몬들인 솔가레오와 루나아라는 처음에는 릴리에의 코스모그 별구름 상태로 등장하며, 이후 루자미네와 구즈마가 별구름의 힘으로 울트라홀로 넘어간 후 코스모움으로 진화한다. 이후 제단 이벤트를 보고 나면 그제서야 완전히 진화하며 이후 울트라홀로 넘어가 루자미네를 쓰러뜨리면 릴리에로부터 양도받을 수 있다.실버디의 경우엔 전포이긴 하지만 신화에 나오는 포켓몬이 아니라, 뮤츠와 같은 인공 포켓몬이고 글라디오의 파트너 포켓몬이란 이미지가 강해서 일반적인 전포와는 차이가 많다. 카푸시리즈는 준전설 치고는 스토리 개입률이 높은 편이며, 이중 카푸꼬꼬꼭이 가장 많이 개입한다.
울트라썬문의 울트라네크로즈마는 스토리 보스로 등장하며, 난이도가 매우 높다. 어찌어찌하여 쓰러뜨리면 라나키라마운틴으로 날아가는데 그곳에서 포획할 수 있다.
4.4.1. 번외: 울트라비스트
울트라비스트의 경우에는 이계의 침략자 같은 설정이었으며, 7세대 당시와 8세대까지는 전설의 포켓몬으로 인정받았다. 하지만 울트라비스트가 못 들어온 9세대부터는 게임 내적 분류에서는 준전설 포켓몬 카테고리에서 지워졌으므로, 더 이상 전설의 포켓몬으로 취급하지 않는다. 설정상 울트라비스트인 코스모그 계열, 네크로즈마는 당연히 그대로 전설의 포켓몬 취급.4.5. 8세대
8세대 메인 전설의 포켓몬의 이야기는 소니아를 통해 전달된다. 진 최종보스로 등장하는 제 3의 전설의 포켓몬 무한다이노는 흑막 로즈에 의해 모습을 드러내며 그에 대해 저항하는 자시안과 자마젠타는 스토리 초반에 주인공과 만나게 된다. 이후 호브가 녹슨검과 녹슨방패를 들면 폭주하는 무한다이노를 막기 위해 나타나 주인공을 도와주고는 사라진다. 2회차에서는 소도&실디에게 한쪽이 억지로 다이맥스 에너지를 주입당해 폭주하게 되는데 이때 다른 한쪽이 폭주를 막기 위해 나타나며 이후 상황이 종료되면 폭주한 쪽은 호브, 폭주를 막으러 온 쪽은 주인공이 가지게 된다.우라오스는 이전 진화체인 치고마 시절부터 주인공과 함께 지내며 같이 성장해 탑을 돌파하여 우라오스가 되었고 버드렉스의 경우는 비록 자신은 먼 옛날의 동화 속 존재임을 알고 실망하지만 그래도 자신의 처지를 비관만 하지 않고 오히려 주인공과 함께 해쳐나가며 이후 자신의 애마를 찾아내서 이전의 모습을 되찾고 주인공에게 감사를 건넨 뒤에 배틀 이후 주인공의 파트너가 된다.
레전드 아르세우스는 신오신화를 모티브로 한 시리즈인만큼 전설/환상의 포켓몬의 스토리 비중이 그 어떤 시리즈보다 많고 역할도 확고한 편이다. 특히 4세대의 전설/환상의 포켓몬들이 신오신화의 세계관의 근원이라는 설정과 신적인 존재라는 설정을 살려 디아루가/펄기아를 모시는 종교인 금강단과 진주단이 묘사되는 등 단순한 전설 속 존재를 넘어 해당 세계관 내의 실질적인 위상이 묘사된다. 스토리 상에서는 주인공이 아르세우스에 의해 히스이에 도달하는 것으로 시작하며 은하단에서 추방당했을 당시 세 호수의 포켓몬의 시련을 치러서 빨강사슬을 얻고, 디아루가/펄기아의 힘을 빌려 오리진폼 펄기아/디아루가를 상대하고 2회차에선 최종보스와 기라티나로부터 승리해 히스이를 구한 뒤 모든 도감을 모으면 비로소 창조신인 아르세우스에게 도달하는 과정을 묘사한다.
4.6. 9세대
9세대 스칼렛/바이올렛에서는 코라이돈과 미라이돈이 스토리 초반에 힘이 약화된 상태였던데다가 스토리 중에선 탈것 취급이지만, 그만큼 주인공과 스토리 내내 교감하여 비중이 높으며, 코라이돈/미라이돈 역시 주인공 일행과 우정을 쌓으며 서로간의 마음의 상처를 보듬어주면서 트라우마를 극복해 내는 등 이전처럼 전설의 포켓몬 자체의 권능보다는 파트너 내지 친구로서의 모습이 부각된다. 여러모로 스타팅 포켓몬을 연상케 하는 연출. 이후 더 홈웨이 루트에서 주인공의 몬스터볼이 봉인되어 박사 AI를 상대할 수 없었던 위기의 상황 속에서[49] 트라우마를 이겨내고 주인공과 함께 싸워서 승리하는 결정적인 활약을 하였다. 본작에서 등장하는 전설의 포켓몬은 재앙의 보물 포켓몬을 제외하면 단순히 다른 시간선에서 왔을 뿐 원래의 세계에서는 일반적인 야생 포켓몬일 뿐으로, 설정상으론 이전작의 신적인 설정을 가진 전설의 포켓몬과는 근간 자체가 다르며 그에 상응하는 권능을 바라기 힘든 게 당연하다.벽록의 가면의 오거폰과 세벗은 관련 신화가 퍼져있는 북신마을을 배경으로 한다는 점에서 레전드 아르세우스와 비슷한 면이 있는데, 스토리를 거치게 되면서 신화의 진실이 밝혀지게 된다.
남청의 원반의 테라파고스의 경우 블루베리 아카데미에서 1회차 스토리를 마친 뒤 남청의 디스크라는 아이템을 사용해 에리어 제로의 심층부로 들어가면 모습을 드러내며, 이후 카지에 의해 폭주하는 테라파고스를 막아내면 포획할 수 있다.
5. 인게임
대부분의 전설의 포켓몬은 성별이 없으며, 모든 전설의 포켓몬은 알그룹이 미발견이라 교배로 개체수를 늘릴 수 없다. 이건 환상의 포켓몬 대다수도 공유하는 특징인데, 이후 게임프리크 대규모 정보 유출 사건으로 유출된 7세대(정확하게는 썬·문 까지)까지의 전설과 환상의 포켓몬 구분표가 유출되면서 밝혀지기로는 환상의 포켓몬의 경우 엄밀하게는 교배 여부가 환상의 포켓몬이라 분류되는 기준이 아니라서 마나피에서 피오네를 얻을 수 있는 예외사항이 있다. 그래서 피오네는 게임프리크 내부에서만 사용되는[50] 별도 카테고리인 준 환상이라는 비공식 카테고리로 분류된다. 그리고 대부분 그 세대의 도감 넘버 중 최후반부를 장식하는 경우가 많다. 가장 뒷자리는 환상의 포켓몬.[51]또한 성별이 없다는 건 다시 말해서 이 세상의 생물(비전설 포켓몬이나 인간)보다 고차원적인 존재라서 성별의 개념을 따질 수 없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시스템상 무성이지만 솔가레오나 루나아라처럼 설정상 성별이 존재하는 포켓몬도 있다.
공통적으로 경험치 그룹이 125만으로 느림에 속한다. 모든 600족과 대기만성형 포켓몬들의 성장곡선과 같다. 이 점은 환상의 포켓몬도 공유하지만 뮤, 세레비, 쉐이미는 중간 느림으로 예외.
또한 6세대까지는 진화를 절대 하지 않았으나, 7세대에서 실버디[52], 솔가레오와 루나아라가 추가되며 이 규칙이 깨졌다.
대다수가 뛰어난 성능을 자랑하고, 특히 종족치가 높은 경우가 많다. 그러나 교배가 안되니 교배기가 전무하고 대부분 기술폭이 좁아서 일부 종은 보자마자 전략이 대강 파악된다는 단점이 있다. 역으로 전설의 포켓몬임에도 불구하고 보통 포켓몬보다 훨씬 약한 성능을 보여주는 녀석들도 있다. 예를 들면 레지기가스.[53]
각 타입별 전설의 포켓몬(폼체인지, 원시회귀, 메가진화, 미진화체 제외)의 수는 9세대 기준 노말 3마리, 물 7마리, 불꽃 9마리, 풀 8마리, 전기 12마리, 얼음 6마리, 비행 16마리, 바위 6마리, 땅 7마리, 벌레 3마리, 독 7마리, 격투 14마리, 드래곤 20마리, 에스퍼 19마리, 고스트 5마리, 강철 10마리, 악 11마리, 페어리 11마리이다.[54][55]
전설의 포켓몬은 배틀타워로 대표되는 일반적인 룰에 참가할 수 없도록 설정이 되어 있지만, 일부는 예외적으로 출전할 수 있다. 이러한 제한 조건은 대부분 종족치로 나뉘며, 지우개굴닌자같은 부분적인 예외와 배포 아이템없이 게임 내에서 잡을 수 있지만 종족치 600을 초과하는 전설의 포켓몬은 전원 참전이 불가능하다. 단, 레지기가스는 예외적으로 참전 가능하다. 참전 가능한 전설의 포켓몬은 "준전설 포켓몬"[56]으로 부르는 경우가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반대 용어로 "초전설 포켓몬"[57]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스토리에서도 꽤나 후반에 등장하는 편인데, 일반적으로는 해당 세대의 커버인 전설의 포켓몬은 7번째 체육관 관장을 이긴 후, 악의 조직과의 전투에서 승리하고 얻은 다음, 세번째 또는 나머지 초전설을 잡게 된다. 준전설들도 상당수는 후반부, 심지어는 엔딩 이후에 잡을 수 있는 경우도 있다.
단, 모든 시리즈가 그런 것은 아니다.
- BW2의 커버는 양쪽 다 세번째 전설의 포켓몬인 큐레무지만, 7번째 체육관 관장을 이긴 후 전투에서는 포획이 불가능하며, 포켓몬리그 재패 후 N의 성에서 N과 배틀한 뒤 제크로무(B2), 레시라무(W2)를 양도받은 후에야 잡을 수 있다.
- ORAS의 라티남매나 썬문의 지가르데는 중반부에 습득이 가능하다.
- 소드/실드에서는 이례적으로 세번째 전설의 포켓몬인 무한다이노를 메인 전설인 자시안/자마젠타보다 먼저 잡게 된다. 무한다이노는 챔피언전 직전. 자시안과 자마젠타는 2회차 후반에 포획 가능하다.
- 스칼렛/바이올렛에서는 놀랍게도 초반부에 라이드 포켓몬으로 코라이돈/미라이돈을 얻게 된다. 다만 라이드 포켓몬으로 사용 가능한 것과 별개로 배틀에서는 초반부터 사용 가능할 수 없다. 배틀에서 사용 가능해지는 건 1회차 최후반부터.
게임 외적으로 보면 헤비 유저들과 라이트 유저들을 가르는 기준이기도 하다. 대전 시 엔트리를 봤을 때 헤비 유저들은 레이팅이나 배틀타워에 나가지 못하는 초전설 포켓몬보다는 준전설 포켓몬이나 일반 포켓몬들을 더 선호하고, 라이트 유저들은 레이팅이나 배틀타워에서 활약할 수 있는 포켓몬보다는 순수히 자기가 마음에 드는 포켓몬을 키우거나, 강한 포켓몬을 잡고 키우는 맛에 하기 때문에 초전설을 엔트리에 넣는 것을 크게 상관하지 않는 편이다. 이 때문에 초전설로 팀을 도배하는 행동은 초보나 하는 짓이라는 인식이 퍼져 있고, 초전설로 도배를 해놓은 팀이 제 힘을 발휘하지 못하고 마이너 내지 예능 포켓몬들에게 지는 영상도 심심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58] 다만 레이팅에서 초전설 제한이 풀리면 헤비 유저들도 초전설 포켓몬을 들고 갈 때도 있고, 프리배틀에서도 초전설 포켓몬을 덕지덕지 달고 나와서 초보겠거니 했다가 초전설전 용도로 제대로 키워놓은 포켓몬인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일반화는 금물이다.
5.1. 포획
대부분의 전설의 포켓몬은 포획률이 3 또는 그 근처로, 게임에서 존재하는 포획률 중 최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포획률이 3보다 낮으면 마스터볼을 던져도 포획되지 않을 가능성이 생기기 때문에 포획률이 3보다 낮은 것은 불가능하다. 예외적으로 포획률이 높은 경우는 대부분 스토리 중에 포획해야 하거나, 포획해야만 스토리가 진행되는 포켓몬들이다. 다만 언제나 그런 건 아니고, Pt의 기라티나, 브다샤펄의 디아루가.펄기아는 포획률이 3이라 스토리 도중의 포획이 매우 힘든 편이다.참고로, Pt부터 대부분의 전설의 포켓몬은 쓰러뜨려도 전당등록을 한 뒤에는 부활한다. 아예 일부 종은 포획할 때까지 그 자리에서 부활한다.
- RSE의 그란돈, 가이오가: XY까지 5, ORAS부터 3이다. 하향된 이유는 아무래도 전당등록 후 부활이 가능해진 점도 있고, O파워 덕분에 포획이 쉬워졌기 때문인 듯 하다. 다만 RSE에서는 무조건 첫 조우 때 잡아야 한다.
- DPPt의 디아루가, 펄기아: XY까지 30, ORAS부터 3이다. 타이틀 포켓몬이나 리메이크작인 BDSP에서도 3으로 유지되었다.
- BW의 레시라무, 제크로무: XY까지 45, ORAS부터 3이다. BW에서는 스토리 진행상 반드시 잡아야 한다. 참고로, BW 한정으로 풀박스+풀멤버 꼼수를 쓰면 잡지 않고 넘어갈 수 있고, 용나선탑에서 부활한다.
- XY의 제르네아스, 이벨타르: 45
- ORAS의 레쿠쟈: XY까지의 모든 이전 시리즈들과 SV에서는 3, ORAS, USUM, BDSP에서는 45
- SM, USUM의 솔가레오, 루나아라: SWSH까지 45, SV부터 3
- USUM의 네크로즈마: SM, SV에서는 3, USUM, SWSH에서는 255
- SWSH의 자시안, 자마젠타: 10[59], 전당등록 이후 2회차 스토리를 끝마친 후 포획이 가능하며 쓰러트릴 경우 바로 다시 전투할 수 있다.
포획률은 포획 확률에 비례하므로, 포획률 45인 포켓몬은 포획률 3인 포켓몬에 비해 무려 15배나 잘 잡힌다는 뜻이다. 45 정도 되면 체력 좀 깎고 포획률 높은 볼 던져 주면 쉽게쉽게 잡힌다. 참고로, 썬문에선 포획률 255인 페로코체와 종이신도는 포획률 보정이 x5인 울트라볼을 던지면 100% 확률로 잡힌다.
잡느라 팔이 빠지도록 몬스터볼을 던져야 하고 기껏 잡아도 배틀 참여는 불가능한 경우가 다수라서 개체치에 신경을 쓰지 않는 경우도 많다. 굳이 맞춰야 할 필요가 있을 때는 포획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는 걸 감안해 그냥 마스터볼을 쓰는 경우가 많다. 다만 XY부터 전설의 포켓몬들은 기본적으로 3V의 개체치를 보장받도록 바뀌었고, 잡기파워로 포획률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노가다가 매우 쉬워졌다. 한술 더 떠서 7세대부터는 대단한 특훈의 추가로 성격과 잠재파워만 맞추면 레벨 노가다 후 바로 실전에 투입할 수 있게 되었다. 여기에 또 한술 더 떠서 8세대부터는 잠재파워가 삭제되어 이쪽도 고려할 필요가 없어졌다.
환상의 포켓몬과는 달리 전국도감 완성을 위해선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몇몇 버전에서는 해당 버전의 스토리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이전 세대 전설의 포켓몬을 바겐세일 수준으로 제공한다. 포켓몬스터 하트골드·소울실버에서는 원작에서는 등장하지 않던 1세대 전설의 포켓몬과 3세대 전설의 포켓몬 일부[60], 포켓몬스터 블랙 2·화이트 2에서는 3, 4세대 준전설 포켓몬들을 잡을 수 있다. 포켓몬스터 X·Y에서는 1세대 전설의 포켓몬을 모두 잡을 수 있으며, 바로 다음작인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에서는 그야말로 뿌려준다. 작품의 무대인 호연지방의 3세대 전설에 더해 2세대, 4세대, 5세대 전설이 모두 등장하여 잡을 수 있다. 그것도 1회차 엔딩 보기 직전부터 가능하다. 하지만 역시 전설은 전설인건지 잡으려면 특정한 조건을 만족해야 하는데 몇몇 포켓몬은 조건을 충족시키기가 꽤나 힘들다. 예를 들면 기라티나, 큐레무, 랜드로스, 전설의 3개는 각각 오메가루비에서 잡을수 있는 펄기아, 레시라무, 토네로스, 칠색조와 알파사파이어에서 잡을수 있는 디아루가, 제크로무, 볼트로스, 루기아가 필요하다. 라이코/앤테이/스이쿤은 칠색조나 루기아 중 한마리만 있으면 된다. 대신 메인 3번째 전설의 포켓몬과 랜드로스는 양쪽에서 끌어와야 잡을 수 있기 때문에 단독 소프트로는 절대 잡을 수 없다.
울트라썬문에서는 울트라워프라이드에서 1~7세대의 모든 전설의 포켓몬을 잡을 수 있고 소드실드에서는 2차 DLC 왕관의 설원의 다이맥스 어드벤처를 통해 1~7세대의 모든 전설의 포켓몬을 포획할 수 있으며[61] 포켓몬스터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샤이닝 펄에서는 전국도감을 받고 해금되는 해당화파크에서 1~3세대 전설의 포켓몬을 모두 잡을 수 있다. 특이한 점으로 숨겨진 특성이 없는 그란돈, 가이오가, 레쿠쟈, 라티아스, 라티오스를 제외하면 모두 숨겨진 특성을 지닌 채로 등장한다.
또한 몇몇 시리즈에선 스타팅 포켓몬에 따라 달라질 때도 있다.
6. 목록
9세대 기준으로 총 85종(진화 과정 별개 취급).6.1. 관동지방(RGBY, FRLG, LPLE)
6.2. 성도지방(GSC, HGSS)
6.3. 호연지방(RSE, ORAS)
6.4. 신오지방(DPPt, BDSP)
6.4.1. 히스이지방(LA)
의 히스이지방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5. 하나지방(BW, B2W2)
6.6. 칼로스지방(XY)
6.7. 알로라지방(SM, USUM)
6.8. 가라르지방(SWSH)
6.9. 팔데아지방(SV)
7. 전용 요소
상술했듯 유독 전설/환상의 포켓몬은 자신만의 고유한 무언가를 갖고 있다. 그 종류는 기술, 아이템, 특성 등 다양하다. 이러한 요소는 일부 보통 포켓몬에게도 해당되는 사항이나, 전설/환상의 포켓몬은 유독 그 종류가 많다.7.1. 전용 기술
보통 줄여서 전용기라고 부른다. 현재 메인 전설의 포켓몬은 모두 전용기를 가지고 있다. 현재 전용기를 가장 많이 가지고 있는 포켓몬은 지가르데로 총 4개다.[62]성스러운불꽃, 크로스플레임, 크로스썬더, 하트스왑 등은 일반적으로 배울 수 있는 포켓몬이 2종 이상이 되지만, 편의상 포함한다.[63]
6세대까지의 모든 전설, 환상의 포켓몬 전용기 영상
7.1.1. 목록
- 관동지방
<rowcolor=#ffcc00> 포켓몬 | 타입 | 기술 |
뮤츠 | | 사이코브레이크[64] |
- 성도지방
<rowcolor=#ffcc00> 포켓몬 | 타입 | 기술 |
루기아 | | 에어로블라스트 |
칠색조 | | 성스러운불꽃[65] |
- 호연지방
<rowcolor=#ffcc00> 포켓몬 | 타입 | 기술 |
가이오가 | | 근원의파동[ORAS] |
그란돈 | | 단애의칼[ORAS] |
레쿠쟈 | | 화룡점정[68] |
라티아스 | | 미스트볼 |
라티오스 | | 러스터퍼지 |
- 신오지방
<rowcolor=#ffcc00> 포켓몬 | 타입 | 기술 |
디아루가 | | 시간의포효 |
펄기아 | | 공간절단 |
기라티나 | | 섀도다이브 |
아그놈 | | 신비의힘[PLA] |
유크시 | ||
엠라이트 | ||
히드런 | | 마그마스톰 |
레지기가스 | | 묵사발 |
크레세리아 | | 초승달춤 |
| 초승달의기도[PLA] |
- 하나지방
<rowcolor=#ffcc00> 포켓몬 | 타입 | 기술 |
레시라무 | | 크로스플레임 |
| 푸른불꽃 | |
제크로무 | | 크로스썬더 |
| 뇌격 | |
큐레무 | | 얼어붙은세계 |
큐레무 (화이트큐레무) | | 크로스플레임 |
| 콜드플레어 | |
큐레무 (블랙큐레무) | | 크로스썬더 |
| 프리즈볼트 | |
코바르온 | | |
테라키온 | ||
비리디온 | ||
토네로스 | | 찬바람폭풍[PLA] |
볼트로스 | | 번개폭풍[PLA] |
랜드로스 | | 열사의폭풍[PLA] |
- 칼로스지방
<rowcolor=#ffcc00> 포켓몬 | 타입 | 기술 |
제르네아스 | | 지오컨트롤 |
이벨타르 | | 데스윙 |
지가르데 | | 그라운드포스 |
| 사우전드웨이브 | |
| 사우전드애로 | |
| 코어퍼니셔[75] |
- 알로라지방
<rowcolor=#ffcc00> 포켓몬 | 타입 | 기술 |
솔가레오 네크로즈마 (황혼의 갈기) | | 메테오드라이브 |
| 선샤인스매셔[Z] | |
루나아라 네크로즈마 (새벽의 날개) | | 섀도레이 |
| 문라이트블래스터[Z] | |
네크로즈마 | | 프리즘레이저 |
| 포톤가이저 | |
네크로즈마 (울트라네크로즈마) | | 하늘을태우는멸망의빛[Z] |
실버디 | | 멀티어택 |
카푸 | | 자연의분노 |
| 알로라의수호자[Z] |
- 가라르지방
<rowcolor=#ffcc00> 포켓몬 | 타입 | 기술 |
자시안 (검왕) | | 거수참 |
자마젠타 (방패왕) | | 거수탄 |
무한다이노 | | 다이맥스포 |
| 무한다이빔 | |
우라오스 (일격의 태세) | | 암흑강타 |
| 거다이일격[D] | |
우라오스 (연격의 태세) | | 수류연타 |
| 거다이연격[D] | |
프리져 (가라르의 모습) | | 얼어붙는시선 |
썬더 (가라르의 모습) | | 천둥차기 |
파이어 (가라르의 모습) | | 타오르는분노 |
레지에레키 | | 썬더프리즌 |
레지드래고 | | 드래곤에너지 |
버드렉스 (백마 탄 모습) | | 블리자드랜스 |
버드렉스 (흑마 탄 모습) | | 아스트랄비트 |
- 히스이지방
<rowcolor=#ffcc00> 포켓몬 | 타입 | 기술 |
러브로스 | | 봄의폭풍 |
- 팔데아지방
<rowcolor=#ffcc00> 포켓몬 | 타입 | 기술 |
코라이돈 (완전형태) | | 액셀브레이크 |
미라이돈 (컴플리트모드) | | 라이트닝드라이브 |
재앙의 보물 | | 카타스트로피 |
굽이치는물결 | | 하이드로스팀 |
무쇠잎새 | | 사이코블레이드 |
오거폰 | | 덩굴방망이 |
꿰뚫는화염 | | 화염의수호 |
날뛰는우레 | | 질풍신뢰 |
무쇠암석 | | 파워풀에지 |
무쇠감투 | | 타키온커터 |
테라파고스 (테라스탈폼) | | 테라클러스터 |
테라파고스 (스텔라폼) |
7.2. 전용 특성
일반적인 특성(날씨부정, 틀깨기)을 이름만 멋있게 바꿔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메탈프로텍트, 스펙터가드, 프리즘아머는 "'무시당하지 않는다'"라는 부가효과가 달려 있는 관계로 이런 이름장난에 포함되지 않는다.터보블레이즈와 테라볼티지, 비스트부스트는 굳이 따지면 보유 종이 2종 이상이 되므로 전용 특성이라고 볼 수는 없지만, 편의상 목록에 포함시켰다.
- 호연지방
<rowcolor=#ffcc00> 포켓몬 | 특성 | 효과 |
가이오가 | | 등장했을 때 날씨를 비로 만든다. |
원시가이오가 | 시작의바다 | 불꽃타입의 공격을 받지 않는 날씨로 만든다. |
그란돈 | | 등장했을 때 날씨를 맑음으로 만든다. |
원시그란돈 | 끝의대지 | 물타입의 공격을 받지 않는 날씨로 만든다. |
레쿠쟈 | 에어록 | 모든 날씨의 영향이 없어진다. |
메가레쿠쟈 | 델타스트림 | 비행타입의 약점이 없어지는 날씨로 만든다. |
- 신오지방
<rowcolor=#ffcc00> 포켓몬 | 특성 | 효과 |
레지기가스 | | 5턴 동안 공격과 스피드가 절반이 된다. |
- 하나지방
<rowcolor=#ffcc00> 포켓몬 | 특성 | 효과 |
레시라무 | 터보블레이즈 | 상대 특성에 방해받지 않고 상대에게 기술을 쓸 수 있다. |
화이트큐레무 | ||
제크로무 | 테라볼티지 | 상대 특성에 방해받지 않고 상대에게 기술을 쓸 수 있다. |
블랙큐레무 |
- 칼로스지방
<rowcolor=#ffcc00> 포켓몬 | 특성 | 효과 |
제르네아스 | 페어리오라 | 전원의 페어리타입 기술이 강해진다. |
이벨타르 | 다크오라 | 전원의 악타입 기술이 강해진다. |
지가르데 | 오라브레이크 | 오라의 효과를 역전시켜 위력을 떨어뜨린다. |
스웜체인지 | HP가 절반이 되면 셀들이 응원하러 달려와 퍼펙트폼으로 모습이 변한다. |
- 알로라지방
<rowcolor=#ffcc00> 포켓몬 | 특성 | 효과 |
솔가레오 | 메탈프로텍트 | 상대의 기술이나 특성으로 능력이 떨어지지 않는다. |
루나아라 | 스펙터가드 | HP가 가득 차 있을 때 받는 데미지가 줄어든다. |
네크로즈마 | 프리즘아머 | 자신이 받는 효과가 굉장한 기술의 위력을 약하게 만든다. |
울트라네크로즈마 | 브레인포스 | 효과가 굉장한 공격의 위력이 더욱 올라간다. |
실버디 | AR시스템 | 지니고 있는 메모리로 자신의 타입이 바뀐다. |
카푸꼬꼬꼭 | | 등장했을 때 일렉트릭필드를 사용한다. |
카푸 | | 등장했을 때 사이코필드를 사용한다. |
카푸브루루 | | 등장했을 때 그래스필드를 사용한다. |
카푸나비나 | | 등장했을 때 미스트필드를 사용한다. |
울트라비스트 | 비스트부스트 | 상대를 기절시켰을 때 가장 높은 능력이 올라간다. |
- 가라르지방
<rowcolor=#ffcc00> 포켓몬 | 특성 | 효과 |
자시안 | 불요의검 | 처음 등장했을 때 공격이 올라간다. |
자마젠타 | 불굴의방패 | 처음 등장했을 때 방어가 올라간다. |
우라오스 | 보이지않는주먹 | 상대에게 접촉하는 기술을 사용하면 방어의 효과를 무시하고 공격할 수 있다. |
레지에레키 | 트랜지스터 | 전기 타입 기술의 위력이 올라간다. |
레지드래고 | 용의턱 | 드래곤 타입 기술의 위력이 올라간다. |
블리자포스 | 백의울음 | 적을 쓰러뜨릴 때마다 공격이 1랭크씩 상승한다. |
레이스포스 | 흑의울음 | 적을 쓰러뜨릴 때마다 특수공격이 1랭크 상승한다. |
버드렉스 (백마 탄 모습) | 혼연일체 | 버드렉스의 긴장감과 블리자포스의 백의울음 두 가지 특성을 겸비한다.[89] |
버드렉스 (흑마 탄 모습) | 버드렉스의 긴장감과 레이스포스의 흑의울음 두 가지 특성을 겸비한다.[90] |
- 팔데아지방
<rowcolor=#ffcc00> 포켓몬 | 특성 | 효과 |
코라이돈 | 진홍빛고동 | 등장했을 때 날씨를 맑음으로 만든다. 햇살이 강하면 고대의 고동에 의해 공격이 강화된다. |
미라이돈 | 하드론엔진 | 등장했을 때 일렉트릭필드를 전개한다. 일렉트릭필드일 때 미래 기관에 의해 특수공격이 강화된다. |
고대 포켓몬 | 고대활성 | 부스트에너지를 지니고 있거나 날씨가 맑을 때 가장 높은 능력이 올라간다. |
미래 포켓몬 | 쿼크차지 | 부스트에너지를 지니고 있거나 일렉트릭필드일 때 가장 높은 능력이 올라간다. |
총지엔 | 재앙의목간 | 재앙을 부르는 목간의 힘으로 자신을 제외한 모든 포켓몬의 공격을 약하게 만든다. |
파오젠 | 재앙의검 | 재앙을 부르는 검의 힘으로 자신을 제외한 모든 포켓몬의 방어를 약하게 만든다. |
딩루 | 재앙의그릇 | 재앙을 부르는 그릇의 힘으로 자신을 제외한 모든 포켓몬의 특수공격을 약하게 만든다. |
위유이 | 재앙의구슬 | 재앙을 부르는 곡옥의 힘으로 자신을 제외한 모든 포켓몬의 특수방어를 약하게 만든다. |
세벗 | 독사슬 | 독소를 머금은 사슬의 힘으로 기술에 맞은 상대를 맹독 상태로 만들 때가 있다. |
오거폰 (테라스탈) | 초상투영 | 테라스탈 시 가면이 커지고 포켓몬의 마음이 추억으로 차면서 특정 능력이 상승한다. |
테라파고스 (노말폼) | 테라체인지 | 등장했을 때 주위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테라스탈폼으로 변화한다. |
테라파고스 (테라스탈폼) | 테라셸 | 모든 타입의 힘이 담긴 등껍질이 HP가 꽉 찼을 때 받는 데미지를 모두 효과가 별로이게 만든다. |
테라파고스 (스텔라폼) | 제로포밍 | 테라파고스가 스텔라폼이 되었을 때 숨겨진 힘에 의해 날씨와 필드의 영향을 모두 무효로 만든다. |
7.3. 전용 아이템
해당하는 포켓몬이 착용해야만 효과를 발휘한다. 4세대의 백금옥을 제외하면 다른 포켓몬에게도 건네줄 수는 있다.- 관동지방
<rowcolor=#ffcc00> 포켓몬 | 도구 | 종류 |
뮤츠 | 뮤츠나이트X | 메가스톤 |
뮤츠나이트Y |
- 성도지방
<rowcolor=#ffcc00> 포켓몬 | 도구 | 종류 |
루기아 | 은빛깃털 | 불러내기 위한 도구 |
해명의방울 | ||
칠색조 | 무지갯빛깃털 | 불러내기 위한 도구 |
크리스탈방울 |
- 호연지방
<rowcolor=#ffcc00> 포켓몬 | 도구 | 종류 |
가이오가 | 쪽빛구슬 | 불러내기 위한 도구 폼체인지를 위한 도구 |
그란돈 | 주홍구슬 | 불러내기 위한 도구 폼체인지를 위한 도구 |
라티아스 | 마음의물방울 | 능력치 상승을 위한 도구 |
라티아스나이트 | 메가진화를 위한 도구 | |
라티오스 | 마음의물방울 | 능력치 상승을 위한 도구 |
라티오스나이트 | 메가진화를 위한 도구 |
- 신오지방
<rowcolor=#ffcc00> 포켓몬 | 도구 | 종류 |
디아루가 | 금강옥 | 능력치 상승을 위한 도구 |
큰금강옥 | 폼체인지를 위한 도구 | |
펄기아 | 백옥 | 능력치 상승을 위한 도구 |
큰백옥 | 폼체인지를 위한 도구 | |
기라티나 | 백금옥 | 능력치 상승을 위한 도구 |
큰백금옥 | 폼체인지를 위한 도구 | |
히드런 | 화산의돌 | 불러내기 위한 도구 |
크레세리아 | 초승달깃털 | 불러내기 위한 도구 |
- 하나지방
<rowcolor=#ffcc00> 포켓몬 | 도구 | 종류 |
레시라무 | 라이트스톤 | 불러내기 위한 도구 |
제크로무 | 다크스톤 | 불러내기 위한 도구 |
큐레무 | 유전자쐐기 | 폼체인지를 위한 도구 |
토네로스 | 비추는거울 | 폼체인지를 위한 도구 |
볼트로스 | ||
랜드로스 |
- 칼로스지방
<rowcolor=#ffcc00> 포켓몬 | 도구 | 종류 |
지가르데 | 지가르데큐브 | 폼체인지를 위한 도구 |
- 알로라지방
<rowcolor=#ffcc00> 포켓몬 | 도구 | 종류 |
솔가레오 | 태양의피리 | 불러내기 위한 도구 |
솔가레오Z | Z크리스탈 | |
루나아라 | 달의피리 | 불러내기 위한 도구 |
루나아라Z | Z크리스탈 | |
네크로즈마 | 네크로플러스솔&루나 | 폼체인지를 위한 도구 |
울트라네크로Z | Z크리스탈 폼체인지를 위한 도구 | |
실버디 | 메모리 | 폼체인지를 위한 도구 능력치 강화를 위한 도구 |
카푸꼬꼬꼭 | 카푸Z | Z크리스탈 |
카푸나비나 | ||
카푸브루루 | ||
카푸느지느 |
'이상한장식품'은 카푸 시리즈와 연관이 된다고 생각되지만, 중요한 물건도 아니고 효과가 하나도 없는 장식품이다. 더불어 한 소프트웨어 내에서 무한 구입이 가능하다.
- 가라르지방
<rowcolor=#ffcc00> 포켓몬 | 도구 | 종류 |
자시안 | 녹슨검 | 불러내기 위한 도구 폼체인지를 위한 도구 |
자마젠타 | 녹슨방패 | 불러내기 위한 도구 폼체인지를 위한 도구 |
버드렉스 | 유대의고삐 | 폼체인지를 위한 도구 |
- 히스이지방
<rowcolor=#ffcc00> 포켓몬 | 도구 | 종류 |
러브로스 | 비추는거울 | 불러내기 위한 도구 폼체인지를 위한 도구 |
- 팔데아지방
<rowcolor=#ffcc00> 포켓몬 | 도구 | 종류 |
코라이돈 | 코라이돈의 볼 | 코라이돈을 잡은 몬스터볼(파트너 개체 한정) |
미라이돈 | 미라이돈의 볼 | 미라이돈을 잡은 몬스터볼(파트너 개체 한정) |
패러독스 포켓몬 | 부스트에너지 | 특성 발동을 위한 도구 |
오거폰 | 벽록의가면(지닌 물건 없음) | 폼체인지를 위한 도구 능력치 상승을 위한 도구 |
화덕의가면 | ||
우물의가면 | ||
주춧돌의가면 |
7.4. 폼 체인지
- 관동지방
<rowcolor=#ffcc00> 포켓몬 | 조건 | 폼 체인지 |
뮤츠 | 뮤츠나이트X | 메가뮤츠X |
뮤츠나이트Y | 메가뮤츠Y |
- 호연지방
<rowcolor=#ffcc00> 포켓몬 | 조건 | 폼 체인지 |
가이오가 | 쪽빛구슬 | 원시가이오가 |
그란돈 | 주홍구슬 | 원시그란돈 |
레쿠쟈 | 화룡점정을 배우고 메가진화 | 메가레쿠쟈 |
라티아스 | 라티아스나이트 | 메가라티아스 |
라티오스 | 라티오스나이트 | 메가라티오스 |
- 신오지방
<rowcolor=#ffcc00> 포켓몬 | 조건 | 폼 체인지 |
디아루가 (어나더폼) | 큰금강옥 | 디아루가 (오리진폼) |
펄기아 (어나더폼) | 큰백옥 | 펄기아 (오리진폼) |
기라티나 (어나더폼) | 큰백금옥 | 기라티나 (오리진폼) |
- 하나지방
<rowcolor=#ffcc00> 포켓몬 | 조건 | 폼 체인지 |
큐레무 | 유전자쐐기로 레시라무와 합체 | 화이트큐레무 |
유전자쐐기로 제크로무와 합체 | 블랙큐레무 | |
토네로스 (화신폼) | 비추는거울 | 토네로스 (영물폼) |
볼트로스 (화신폼) | 비추는거울 | 볼트로스 (영물폼) |
랜드로스 (화신폼) | 비추는거울 | 랜드로스 (영물폼) |
- 칼로스지방
<rowcolor=#ffcc00> 포켓몬 | 조건 | 폼 체인지 |
지가르데 (50%폼) | 지가르데큐브로 지가르데 셀 모으기 특성 스웜체인지 발동 | 지가르데 (10%폼) |
지가르데 (퍼펙트폼) |
- 알로라지방
<rowcolor=#ffcc00> 포켓몬 | 조건 | 폼 체인지 |
네크로즈마 | 네크로플러스솔로 솔가레오와 합체 | 네크로즈마 (황혼의 갈기) |
네크로플러스루나로 루나아라와 합체 | 네크로즈마 (새벽의 날개) | |
울트라네크로Z를 지니고 합체상태에서 울트라버스트 | 울트라네크로즈마 | |
실버디 | 메모리 | 메모리의 맞는 타입으로 변화 |
- 가라르지방
<rowcolor=#ffcc00> 포켓몬 | 조건 | 폼 체인지 |
자시안 (역전의 용사) | 녹슨검 | 자시안 (검왕) |
자마젠타 (역전의 용사) | 녹슨방패 | 자마젠타 (방패왕) |
버드렉스 | 유대의고삐로 블리자포스와 합체 | 버드렉스 (백마 탄 모습) |
유대의고삐로 레이스포스와 합체 | 버드렉스 (흑마 탄 모습) |
- 히스이지방
<rowcolor=#ffcc00> 포켓몬 | 조건 | 폼 체인지 |
러브로스 (화신폼) | 비추는거울 | 러브로스 (영물폼) |
- 팔데아지방
<rowcolor=#ffcc00> 포켓몬 | 조건 | 폼 체인지 |
코라이돈 (제한형태) | 지닌 포켓몬에서 선택 후 변경(파트너 개체 한정) | 코라이돈 (완전형태) |
미라이돈 (리미티드모드) | 지닌 포켓몬에서 선택 후 변경(파트너 개체 한정) | 미라이돈 (컴플리트모드) |
오거폰 | 지닌 물건 없음/가면 외의 도구[91] (벽록의가면) | 오거폰 (벽록의가면) |
화덕의가면 | 오거폰 (화덕의가면) | |
우물의가면 | 오거폰 (우물의가면) | |
주춧돌의가면 | 오거폰 (주춧돌의가면) | |
테라파고스 (노말폼) | 특성 테라체인지 발동 | 테라파고스 (테라스탈폼) |
테라파고스 (테라스탈폼) | 스텔라 테라스탈 발동 | 테라파고스 (스텔라폼) |
8. 다른 매체에서의 모습
8.1.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
8.2. Pokémon UNITE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bgcolor=#FFFFFF,#191919> | ||||
백솜모카 | 푸크린 | 마임맨 | 해피너스 | 후파 | |
픽시 | 깜까미 | 큐아링 | 고라파덕 | ||
리자몽 | 괴력몬 | 한카리아스 | 루카리오 | 달코퀸 | |
망나뇽 | 킬가르도 | 마릴리 | 매시붕 | 마기라스 | |
핫삼 | 우라오스 | 자시안 | 뮤츠X | 번치코 | |
따라큐 | 메타그로스 | 갸라도스 | 대여르 | 파라블레이즈 | |
두드리짱 | |||||
이상해꽃 | 피카츄 | 알로라 나인테일 | 윽우지 | 개굴닌자 | |
에이스번 | 가디안 | 님피아 | 모크나이퍼 | 두랄루돈 | |
에브이 | 마폭시 | 글레이시아 | 뮤 | 드래펄트 | |
샹델라 | 인텔리레온 | 뮤츠Y | 미라이돈 | 카디나르마 | |
야도란 | 잠만보 | 암팰리스 | 거북왕 | 맘모꾸리 | |
요씽리스 | 대로트 | 미끄래곤 | 라프라스 | 블래키 | |
칠색조 | |||||
팬텀 | 앱솔 | 파이어로 | 제라오라 | 두트리오 | |
조로아크 | 리피아 | 마스카나 | 다크라이 | 가라르 날쌩마 |
| ||||
매시붕 | 우라오스 | 자시안 | 뮤츠 | 미라이돈 |
칠색조 |
울트라비스트인 매시붕을 최초로 우라오스, 자시안, 뮤츠, 미라이돈, 칠색조가 출시되었다.
8.3. Pokémon GO
전설 레이드라는 기간 한정 레이드를 통해 잡을 수 있고, 몇몇 포켓몬은 EX레이드[92]와 엘리트 레이드를 통해[93] 잡을 수 있다. 색이 다른 모습이 해금된 전설의 포켓몬의 색이 다른 개체가 등장할 확률은 5%. 레이드 난이도는 천차만별로, 뮤츠처럼 방어가 약하거나 칠색조처럼 이중 약점을 가진 포켓몬이라면 2명이서도 수월하게 가능하고 테오키스(노말폼, 어택폼)나 악식킹처럼 방어가 극단적으로 낮은 포켓몬의 경우, 배틀파티만 잘 짜여 있으면 솔플도 가능하며, 방어가 높은 포켓몬 같은 경우 더 많은 인원이 필요하다. 거기다 상당수의 전설의 포켓몬이 상성을 역저격 하는 스킬을 배운다는 점에서 난이도가 오른다. 모든 전설의 포켓몬 포획률은 2%다. Excellent, 상성 메달, 황금 라즈 열매, 커브볼 등으로 조금이라도 확률을 높이는게 좋다. 색이 다른 포켓몬과 비주기 격파 후 포획 기회가 주어지는 그림자 포켓몬의 경우는 볼을 맞추기만 하면 포획률이 99.9%로 고정된다. 색이 다른 개체가 나오면 확정적[94]으로 포획할 수 있게 된 것에 대해선 호평이 많다.전설의 포켓몬들은 공격력과 방어력이 각자의 타입에서 최상치를 자랑하는지라 체육관 방어용 포켓몬으로는 아예 올리지 못하는 페널티가 존재한다. 이러한 이유로 주로 레이드와 체육관 공격용으로만 쓰이기 때문에 전설의 포켓몬 중에서 가장 중요한건 공격 종족치다. 다만 내구수치가 높아 레이드보단 배틀리그에 더 특화되어 있거나 영 좋지 않은 능력치와 기술배치로 인해 대우가 안 좋은 포켓몬에 등극한 전설의 포켓몬도 존재한다.
GO 배틀 리그 업데이트 이후, 레이드와 채육관 도전과는 판이하게 다른 전투 방식과 CP 상한선 내에서만 활동 가능한 슈퍼리그와 하이퍼리그의 규정 덕에 그동안 안 쓰였거나 밀려난 전설의 포켓몬들 중 상당수가 구제받아 여러 리그에서 절찬리에 활약하고 있다.[95] 다만 리그를 통해 구제된 전설의 포켓몬들도 일부에 불과하며, 지금도 자마젠타 등 쓰이지 않는 전설의 포켓몬들은 존재한다.
9. 같이 보기
[1] 대표적으로 레지시리즈를 소유한 기선이나 우라오스를 쓰는 마스터드가 있다. 사실 고난이도 배틀시설에선 일반 트레이너들도 들고 나오는 모습을 많이 볼 수 있다.[2] 태홍은 마스터볼로 잡는 것만으로는 디아루가와 펄기아의 힘을 다룰 수 없음을 깨닫고 빨강쇠사슬을 사용하는 것으로 방향을 바꿨으며, 카지는 테라파고스를 마스터볼로 잡았지만 카지를 인정하지 않은 테라파고스가 볼을 부숴버리고 스스로 탈출했다.[3] 종소리 같은 음색으로 울면 다른 세계로 통하는 구멍이 열린다고 하여 예로부터 신으로 추앙받기도 했다.(PLA)[4] 설산에서 조난당한 여성이 다시 태어난 것이라고 하는 전설이 눈이 많은 토지에 남아있다.(HGSS/Y/알파사파이어)[5] 일단 네크로즈마는 포켓몬이 아닌 울트라비스트이지만, 울트라메가로폴리스 세계에서는 '빛나는 그분'이라고 불리며 신격화되고 있으며 능력 또한 다른 전설의 포켓몬들에 비견될만하다.[6] 뮤와 아르세우스(추정)[7] 원문은 "2がつ6か ミュウが 子供を 産む"이며, 해석하면 "2월 6일 뮤가 아이를 낳다"가 된다. 다만 실제로 육체적인 출산을 했는지, 아니면 뮤의 유전자를 이용한 새 생명을 탄생시킨 것인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 물론 굳이 뮤'가' 낳았다고 적어놓은 걸 보면 전자의 의미로 추정된다.[8] 원작을 따르는 애니메이션에서도 뮤가 뮤츠를 낳았다는 기록을 레드가 읽는 장면이 나온다. 다만 레츠고 북미판에서는 뮤에게서 새로운 포켓몬을 얻었다는 식의 애매한 표현으로 돌려서 말하고 있다.[9] 에메랄드에서 라티아스의 도감 설명에 '무리를 지어 다닌다'는 언급이 있다.[10] 직접적인 언급은 없으나 성별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정황상 복수 개체로 볼 수밖에 없다.[11] 마나피에게서 무한으로 얻을 수 있으며 레전드 아르세우스에서 3마리를 잡을 수 있다.[12] 글라디오의 개체 외에도 2마리가 더 만들어졌다.[13] 7세대의 모든 소프트에서 '별구름' 개체 외에도 코스모그를 한 마리 얻을 수 있다.[14] 성별 구분이 있으며, 작중 2마리 이상의 개체가 등장/언급된다.[15] 도감 설명에 무리를 짓는다는 대목이 있다.[16] 각자 대표 버전에서 총 2개의 개체가 등장한다.[17] '고대의 팔데아에 살았으나 지각 변동에 휩쓸려서 멸종된 것으로 여겨져 왔다.'라고 적혀있다. 참고로 과거 기준이지만, 원작 기준 최초로 여러 마리가 존재한다고 확정된 제 3의 초전설 포켓몬이기도 하다. 최초의 다중 개체인 초전설 포켓몬은 코스모그 계열.[18] 1기의 개체, 16기의 개체 총 2마리가 확인되었다.[19] 본래 색의 개체들 외에도, 13기에서 색이 다른 개체가 각각 한 마리씩 등장한다.[20] 성도편에서 어미 루기아와 새끼 루기아가 동시에 등장한다.[21] 4기에서 수십 마리가 등장하며 그외에도 13기의 개체, SM의 개체, W의 색이 다른 세레비까지 존재한다.[22] 8기에서 각각 한 마리, 기선 소유로 각각 한 마리가 등장한다.[23] 일반 색의 레쿠쟈 외에도 18기 극장판에서 색이 다른 레쿠쟈가 등장한다. 그 외에 레쿠쟈(루시아스)도 있다.[24] 6기의 개체와 베스트위시의 개체가 별개로 등장한다.[25] 7기에서 2마리가 등장한다.[26] 극장판 10기의 개체, 택트가 소지한 개체가 별개로 존재한다. 그 외에도 몇 마리가 더 등장한다.[27] 11기에서 쉐이미 무리가 나온다.[28] 16기에서 5마리가 등장한다.[29] XY 애니메이션에서 Z1, Z2까지 2마리의 코어가 등장한다.[30] 19기의 개체 외에도 색이 다른 마기아나가 썬문 본편에서 등장한다.[31] 대응하는 간식이 없어서 다른 게임에서 데려와야 하는 전설의 포켓몬뿐만 아니라 끝까지 데이터가 누락되어 게임 내에 존재할 수 없는 전설의 포켓몬도 있다.[32] 레지시리즈 한정 5종[환상] 환상의 포켓몬이 리더인 경우[34] 레지기가스는 원래 나머지 레지시리즈의 왕이라는 설정이라 비슷한 컨셉으로 출시되었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35] 원래 3종이었으나, 레지에레키와 레지드래고가 추가되며 이 목록의 유일한 5종이 되었다.[환상] [37] 원작이라 할 수 있는 삼총사에서도 최종적으로 달타냥이 총사대 부대장이 된다. 다만 설정상으론 케르디오가 다른 성검사들의 제자이다.[환상] [39] 폼체인지(흡수합체) 상태 한정이다. 기본 상태에서는 제크로무와 레시라무가 빠져나가 남은 껍데기같은 존재이기 때문에 오히려 더 약하다.[40] 다만 무한다이노는 검과 방패 포켓몬의 숙적이지 리더 급은 아니다.[41] 따지고 보면 이 셋은 개라기보다는 환수 내지 고양잇과 동물이 모티브이므로 이쪽이 가장 정확한 표현이다. 물론 Legendary dogs(전설의 개들)라고 하는 사람들도 있다.[42] 레지기가스가 나오고 나서도 오랫동안 이 셋만을 따로 레지삼형제라고 불렀으나, 소드ㆍ실드 익스펜션 패스에서 새로운 레지가 나와서 오형제가 되었다.[43] 보통 레지계는 레지기가스를 포함한 경우가 많으며 레지기가스를 포함하지 않은 세 마리의 경우 레지 트리오(レジトリオ)로 불리고 있다.[44] 하나지방도 세 마리의 용이지만, 이쪽은 단순히 용을 넘어서 '신'의 위치에 있다.[45] 유마라고 읽음[46] 마스다 준이치는 UMA 콤비라고 언급.[47] 로스들의 모티브가 된 존재인 일본 풍신과 뇌신이 서양에서는 다소 생소하기 때문에 Legendary genies(전설의 지니들)이라고도 불린다.[48] 일단 썬문에서 지가르데셀 수집 컨텐츠가 있으나 그저 지가르데를 완성시키는 노가다성 컨텐츠인지라 좋은 평가를 받지는 못했다. 오히려 전혀 관련없는 타 지방에 이사가더니 셀 형태로 흩뿌려져 있는 것이 어색하다는 반응을 받았다.[49] 코라이돈/미라이돈의 몬스터볼은 박사의 ID로 되어있었기 때문에 몬스터볼 봉인을 피할 수 있었다.[50] 아예 보충설명으로 공식에서 이 용어를 사용하지 말 것이라는 주의사항이 붙어있다.[51] 예외적으로 비크티니는 전국도감에서 하나지방 맨 앞에 있다. 하나도감 내 번호도 000.(그리고 소드 실드(본편 한정)에서도 마지막은 무한다이노이다.)[52] 설정상 구속구를 벗어던지고 본래 힘을 해방하는 것에 가깝기에 진짜 진화를 한다고 보기 애매하지만 게임 시스템상으론 진화가 맞긴 하다.[53] 레지기가스는 사실상 슬로스타트가 끝나면 성능이 상상을 초월하지만 게을킹처럼 특성 하나로 다 말아먹었다. 덕분에 8세대에서 또도가스의 새로운 특성인 화학변화가스가 나오기 전까지 사실상 배틀에 못 썼다. 재밌는 점은 설정상 집단 내에서는 최강자다.[54] 드래곤, 에스퍼 타입이 압도적으로 많은데, 초기부터 메인 전설의 포켓몬, 초전설 포켓몬은 뮤츠, 루기아, 레쿠쟈, 디아루가, 펄기아, 기라티나, 제크로무, 레시라무, 큐레무, 지가르데, 솔가레오, 루나아라, 네크로즈마, 무한다이노, 버드렉스, 코라이돈, 미라이돈까지 대부분 드래곤이나 에스퍼 타입을 가지고 있다.[55] 루기아에게 강하다는 인상을 주기 위해서 에스퍼로 만들었다거나 울트라네크로즈마를 멋진 포켓몬으로 하기 위해 드래곤 타입을 추가했다는 게임 개발자들의 발언을 미루어보아 공식에선 드래곤과 에스퍼를 강하고 멋진 타입으로 생각하는 듯하다. 그 때문에 전설의 포켓몬 타입으로 비중이 높은 것. 사실 전설의 포켓몬들 중에서 드래곤과 에스퍼가 세트가 되는 경우도 꽤 있다. 창조신 아르세우스의 자식들인 3룡신과 호수의 수호자들이 각각 드래곤과 에스퍼이고, 전설의 포켓몬을 베이스로 한 패러독스 포켓몬들 또한 드래곤과 에스퍼가 추가되었다. 그리고 한 세대의 초전설 포켓몬들이 전부 한 타입으로 통일된 것도 드래곤(4세대, 5세대)과 에스퍼(7세대)뿐이다.[56] 600족이나 종족치가 높은 일반 포켓몬을 준전포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으므로, 용어 구분이 어느 정도 필요하다.[57] 공식적으로는 '특별한 포켓몬'이라고 부른다.[58] 물론 실력이 아닌 운 때문에 지는 경우도 있으므로 무조건 초보라고 단정지을 수는 없다.[59] 무한다이노는 스토리 중 레이드를 통해 포획하므로 255이다.[60] 여기서 레지시리즈는 제외되는데, Pt기라티나 에서 배포 레지기가스를 가지고 있으면 레지시리즈를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레지기가스가 없다면 4세대만으로 전국도감 완성이 불가능하고 반드시 3세대 RSE가 있어야 한다.[61] 레지시리즈와 성검사는 다이맥스 어드벤처가 아닌 전용 이벤트로 포획할 수 있다.[62] 큐레무는 총 5개를 쓸 수 있으나 폼 체인지 전 1개(얼어붙은세계), 블/화 폼체인지별 각 2개씩(크로스썬더/크로스플레임, 프리즈볼트/콜드플레어)로, 전용기만으로 기술배치를 채울 수 없다.[63] 그리고 사실 나머지 둘이면 모를까, 크로스플레임과 크로스썬더는 각각 레시라무와 제크로무의 전용기가 맞다. 단순히 레시라무나 제크로무와 합체한 큐레무도 그 둘의 능력을 사용할 수 있다는 설정 때문에 쓸 수 있는 것 뿐.[64] 5세대에서 추가.[65] 6세대 이후부터는 앤테이도 사용 가능[ORAS] 6세대(ORAS)에서 원시회귀 시 추가.[ORAS] [68] 6세대(ORAS)에서 메가진화에 필요한 기술로 추가.[PLA] Pokémon LEGENDS 아르세우스에서 추가.[PLA] [71] 6세대부터 킬가르도 계열 역시 습득하며, 7세대에 종이신도와 대검귀, 8세대에 자시안, 9세대에 엘레이드,파오젠이 배운다.[PLA] [PLA] [PLA] [75] 7세대에 추가.[Z] Z기술[Z] [Z] [Z] [D] 거다이맥스 기술[D] [82] 5세대 이후 왕구리, 패리퍼 등 보유자가 생겼다.[83] 5세대 이후 나인테일, 메가리자몽Y, 코터스 등 보유자가 생겼다.[84] 9세대에서 의미는 없지만 부르롱이 숨겨진 특성으로 슬로스타트를 받았다[85] 8세대 이후 찌르성게가 숨겨진 특성으로 획득[86] 8세대 이후 에써르가 숨겨진 특성으로 획득[87] 8세대 이후 고릴타가 숨겨진 특성으로 획득[88] 8세대 이후 또도가스(가라르의 모습)이 숨겨진 특성으로 획득[89] 상대방이 지닌 열매를 쓸 수 없게 만든다. + 적을 쓰러뜨릴 때마다 공격이 1랭크 상승한다.[90] 상대방이 지닌 열매를 쓸 수 없게 만든다. + 적을 쓰러뜨릴 때마다 특공이 1랭크 상승한다.[91] 오거폰이 도구를 지니지 않았거나, 가면 외의 도구를 착용하면 벽록의가면을 쓰고 있는 모습이 된다.[92] 현재는 코로나 19로 인해 사라졌다.[93] 다만 뮤츠와 테오키스의 경우는 EX레이드와 일반 5성 레이드 양 쪽 다 등장한 적이 있다.[94] 극악의 확률으로 볼에서 튀어나왔다고 해도 볼이 여러 개 주어지기 때문에 사실상 확정적 포획.[95] 이 중 각 리그에서 크게 활약하게 된 대표적인 사례는 레지스틸, 기라티나 어나더폼, 크레세리아. 위의 셋은 리그 업데이트 이전에는 쓸모없다는 평가를 받았으나 리그 업데이트 이후 레지스틸은 슈퍼리그를, 어나더폼 기라티나는 하이퍼리그와 마스터리그를, 크레세리아는 하이퍼리그를 평정하는 강자로 떠올랐고, 2023년 11월이 되어서도 각 리그에서의 셋의 입지는 건재하다. 리그 업데이트 이후에 나온 이벨타르, 자시안 등도 마스터리그에서 활약하고 있으며, 과거에는 쓰이지 않았던 코바르온, 비리디온과 제르네아스는 각각 두번차기와 지오컨트롤을 받은 이후 하이퍼리그(코바르온, 비리디온)와 마스터리그(제르네아스)에서 쓰이고 있다.[96] 당연히 공식 설정이 아니라 현실 대회에서 전설을 남겼기 때문에 팬들 사이에서 붙여진 농담성 호칭이다.[97] 유명세에 비해 실제 합방 사례가 없다시피 해서 전설의 포켓몬에 비유된다. 유명한데 목격사례가 적은 것이 전설의 포켓몬의 특징에 부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