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1-23 00:42:31

제척기간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2e0,#333020><tablebgcolor=#fff2e0,#333020>
파일:대한민국 국장.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fff2e0,#333020><tablebgcolor=#fff2e0,#333020> }}}}}}
{{{#fff,#ddd {{{#!wiki style="min-height: 26px;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68808,#331D00> 총칙
總則篇
법원 · 신의성실의 원칙 · · 인격권* · 인격표지영리권* (초상권 · 음성권 · 성명권) · 법인 (이사) · 사단인 법인 · 비법인사단 · 물건 · 법률행위 (의사표시(흠 있는 의사표시) / 대리(표현대리·무권대리) / 무효 / 무효행위의 전환 / 취소 / 부관 / 조건기한) · 기간 · 소멸시효 · 제척기간
물권편
物權篇
물권 · 물권법정주의 · 물권적 청구권 · 변동 (등기 / 인도 / 소멸) · 점유권 (선의취득) · 소유권 (합유 · 총유 · 공유 · 부합 · 취득시효) · 지상권 (법정지상권 / 분묘기지권) · 지역권 · 전세권 · 유치권 · 질권 · 저당권 (근저당권) · 비전형담보물권 (가등기담보 / 양도담보 / 동산담보 / 채권담보)
채권편
債權篇
종류 (특정물채권 / 종류채권 / 선택채권 / 임의채권 / 금전채권 / 이자채권) · 채무불이행 (선관주의의무 / 이행불능(대상청구권) / 이행지체 / 불완전이행) · 채권자지체 · 사해행위 · 효과 (이행청구 / 강제집행 / 손해배상(손해배상액의 예정)) · 보전 (채권자대위(/판례) / 채권자취소) · 다수채권관계 (분할채권 / 불가분채권채무/ 연대채무 / 보증채무) · 채권양도 · 채무인수 · 소멸 (변제(대물변제/변제자대위) / 공탁 / 상계 / 경개 / 면제 / 혼동) · 지시채권 · 무기명채권
계약 (유형: 증여 / 매매 / 교환 / 소비대차 / 사용대차 / 임대차(대항력) / 고용 / 도급 / 여행계약 / 현상광고 / 위임 / 임치 / 조합 / 종신정기금 / 화해 / 디지털제품*) · 담보책임 (학설 / 권리담보책임(타인권리매매) / 하자담보책임 / 기타담보책임) · 동시이행의 항변권 · 위험부담 · 제삼자를 위한 계약 · 해제 · 해지
개별쟁점: 부동산 이중매매 / 명의신탁
사무관리 · 부당이득 ( 삼각관계의 부당이득 / 전용물소권) · 불법행위 ( 위자료 / 감독자책임 / 사용자책임 / 명예훼손) · 과실책임의 원칙 · 과실상계·손익상계
친족편
親族篇
가족 · 혼인 (약혼 / 이혼 / 사실혼 / 혼인무효 / 혼인취소) · 부모와 자 (자의 성과 본 / 친생자 / 양자 / 친양자 / 파양 / 친생추정) · 친권 · 후견 (미성년후견 / 성년후견 / 한정후견 / 특정후견 / 후견계약) · 부양
상속편
相屬篇
상속 (상속회복청구권 / 상속인 / 공동상속 / 분할 / 승인 / 포기 / 재산의 분리) · 유언 (유증) · 유류분
부칙
附則
확정일자
(* 민법 개정안의 내용)
공법민사법형사법행정법현행 법률
[[틀:대한민국 헌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3f7f5; font-size: .9em;"
}}}}}}}}}}}}

1. 개요2. 제척기간의 준수3. 제척기간의 예
3.1. 점유보호청구권
4. 소멸시효와의 차이
4.1. 적용대상으로 삼는 권리4.2. 조문의 해석4.3. 소급효의 인정4.4. 기산시점4.5. 중단/정지제도의 인정4.6. 시효이익의 포기4.7. 주장/증명책임
5. 출소기간(제소기간)

1. 개요

권리의 제척기간이란, 어떠한 권리에 관하여 법률이 예정하는 존속기간이다.[1] 소멸시효와 비슷하게, 이 기간이 지나면 권리는 당연히 소멸하게 된다.[2] 민법에서 이를 직접적으로 규정한 조문은 없지만, 여러 조문에서 그 존재를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권리의 제척기간을 두는 이유는 권리자의 법률관계 및 권리관계를 조속하게 확정지으려는것이다.

2. 제척기간의 준수

판례는 재판상 또는 재판 외에서 권리를 행사한다면 이를 준수한 것으로 본다. [3] 재판상 권리의 행사는 소의 제기이며, 재판외 권리의 행사는 적당한 방법으로 계약의 해제/ 하자의 보수/ 손해배상을 청구하는것처럼 권리행사를 한다는 뜻을 표시함으로써 충분하다. [4]

3. 제척기간의 예

3.1. 점유보호청구권

민법 제204조(점유의 회수) ①점유자가 점유의 침탈을 당한 때에는 그 물건의 반환 및 손해의 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②전항의 청구권은 침탈자의 특별승계인에 대하여는 행사하지 못한다. 그러나 승계인이 악의인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③제1항의 청구권은 침탈을 당한 날로부터 1년내에 행사하여야 한다. [5]
민법 제205조(점유의 보유) ①점유자가 점유의 방해를 받은 때에는 그 방해의 제거 및 손해의 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②전항의 청구권은 방해가 종료한 날로부터 1년내에 행사하여야 한다.
③공사로 인하여 점유의 방해를 받은 경우에는 공사착수후 1년을 경과하거나 그 공사가 완성한 때에는 방해의 제거를 청구하지 못한다.
민법 제206조(점유의 보전) ①점유자가 점유의 방해를 받을 염려가 있는 때에는 그 방해의 예방 또는 손해배상의 담보를 청구할 수 있다.
②공사로 인하여 점유의 방해를 받을 염려가 있는 경우에는 전조제3항의 규정을 준용한다.

4. 소멸시효와의 차이

<rowcolor=#fff> 구분 제척기간 소멸시효
조문 해석 각 조문에 '~년 내에 행사하여야 한다'로 규정됨 제162조
소급효 없음 있음
기산시점 권리가 발생한 때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때
대상 권리 형성권, 물권적 청구권 채권
중단 없음 가능
정지 학설 대립 가능
시효이익을 포기 불가능 가능
주장 법원 직권조사사항 변론주의(당사자 주장)

4.1. 적용대상으로 삼는 권리

제척기간은 주로 형성권[6] 및 물권적 청구권에서 문제되는 반면 소멸시효는 주로 채권이 대상이다.[7]

4.2. 조문의 해석

소멸시효와의 구분은 그 해석의 문제이며, 이것에 대하여는 학설이 대체로 일치한다. 조문의 구절에 의하여 결정하는것이 옳다고 보는것이 통설이다. 즉 법문에 "시효에 의하여"라고 규정한것은 소멸시효로 보고 이것 외에 대부분은 제척기간으로 본다. [8]

4.3. 소급효의 인정

소멸시효 항목에서 볼수있는 소멸시효의 특성처럼 소멸시효는 그것의 소급효를 인정한다.[9] 허나 제척기간은 그 기간이 충족되어 권리가 소멸하더라도 그것을 추후의 소멸로만 보며, 소급효를 거슬러 인정하지 않는다. 그저 권리의 소멸로만 본다.

4.4. 기산시점

소멸시효는 그 권리를 행사할수 있는 때부터 기산하나 제척기간은 그 권리가 발생한 때부터 기산한다.

4.5. 중단/정지제도의 인정

소멸시효는 전부 인정된다. [10] 그러나 제척기간에서 중단제도는 불인정된다는것이 학계의 통설이며, 정지제도에 관해서는 학설이 대립한다.

4.6. 시효이익의 포기

소멸시효는 시효의 완성으로 이득을 보는자가 시효가 완성되었을때, 이를 포기하는것이 가능하다. 자신의 이익을 포기하는것이기 때문이다. 허나 제척기간은 그 기간의 완성으로 손해를 보는 것이므로, 권리가 소멸하여 포기할 권리가 없으니 포기하는 것이 인정되지 않는다.

4.7. 주장/증명책임

소멸시효의 경우 변론주의의 영향으로 시효이익을 받을 자가 이를 소송에서 적극적으로 주장[11]해야 하며, 그렇지 아니하면 그 이익은 당연 무시된다. 그러나 제척기간은 당사자가 이를 주장하지 않더라도 법원이 당연히 고려해야 하며[12] 이는 법원의 직권조사사항이다.

5. 출소기간(제소기간)

청구를 재판으로만 해야 하는 제척기간을 출소기간 혹은 제소기간이라고 한다.
[1] 이 권리라는 게 간혹 정부나 지자체 등의 권리를 말하기도 한다. 예컨대 세금을 사유발생일로부터 몇 년 이내 부과하지 않으면 국가나 지자체는 세금을 부과할 권리가 사라진다. 이를 부과제척기간이라 하며, 이런 경우 납세자 입장에서는 납세 의무가 없다![2] 둘 모두 이 점에서는 법은 권리위에 잠자는 자를 보호하지 않는다는 말과 일맥상통한다.[3] 대판 92다52795[4] 대판 2003다20190[5] 제3항에서 제척기간임을 알 수 있다. 헷갈리는 사람을 위해 좀더 설명해보자면, 청구권과 청구권을 행사할 권리는 별개의 권리이다. 3항은 후자에 제척기간을 적용한것이라 할 수 있다.[6] 권리자의 일방적 의사표시에 의하여 법률관계의 발생 ·변경 ·소멸 등의 변동을 발생시키는 권리. 임대차 기간 종료에 따른 지상물매수청구권 및 부속물매수청구권이 대표적이다. 실례를 하나 더 들자면 이혼청구도 형성권의 한 예이다.[7] 물권도 소멸시효의 대상이 될 수 있는데 소유권을 제외한 용익권담보권은 20년이고, 채권은 10년이다. 자세한 건 항목 참조.[8] 대판 2018두47264[9] 민법 167조[10] 민법 168조, 182조[11] 원용[12] 대판 96다25371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