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현대 유니버스|현대 유니버스]]
#!if this['this'] == null
'''이 문서는'''
#!if this['this'] != null
'''이 문단은'''
#!if 토론주소2 == null
''' [[https://namu.wiki/thread/InexpensiveDamagedEliteLeaf|토론]]을 통해 표제어를 '현대 유니버스 수소전기버스'로 유지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나무위키:기본방침/이용자 관리 방침#편집권 남용|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if 토론주소2 != null
'''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나무위키:기본방침/이용자 관리 방침#편집권 남용|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wiki style="text-align:center;"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px -5px;"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https://namu.wiki/thread/InexpensiveDamagedEliteLeaf|토론]] - 표제어를 '현대 유니버스 수소전기버스'로 유지'''
----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
----
{{{#!if 토론주소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
----
}}}{{{#!if 토론주소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
----
}}}{{{#!if 토론주소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5'''
----
}}}{{{#!if 토론주소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6'''
----
}}}{{{#!if 토론주소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7'''
----
}}}{{{#!if 토론주소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8'''
----
}}}{{{#!if 토론주소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9'''
----
}}}{{{#!if 토론주소1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0'''
----
}}}{{{#!if 토론주소1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1'''
----
}}}{{{#!if 토론주소1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2'''
----
}}}{{{#!if 토론주소1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3'''
----
}}}{{{#!if 토론주소1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4'''
----
}}}{{{#!if 토론주소1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5'''
----
}}}{{{#!if 토론주소1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6'''
----
}}}{{{#!if 토론주소1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7'''
----
}}}{{{#!if 토론주소1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8'''
----
}}}{{{#!if 토론주소1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9'''
----
}}}{{{#!if 토론주소2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0'''
----
}}}{{{#!if 토론주소2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1'''
----
}}}{{{#!if 토론주소2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2'''
----
}}}{{{#!if 토론주소2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3'''
----
}}}{{{#!if 토론주소2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4'''
----
}}}{{{#!if 토론주소2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5'''
----
}}}{{{#!if 토론주소2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6'''
----
}}}{{{#!if 토론주소2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7'''
----
}}}{{{#!if 토론주소2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8'''
----
}}}{{{#!if 토론주소2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9'''
----
}}}{{{#!if 토론주소3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0'''
----
}}}{{{#!if 토론주소3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1'''
----
}}}{{{#!if 토론주소3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2'''
----
}}}{{{#!if 토론주소3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3'''
----
}}}{{{#!if 토론주소3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4'''
----
}}}{{{#!if 토론주소3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5'''
----
}}}{{{#!if 토론주소3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6'''
----
}}}{{{#!if 토론주소3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7'''
----
}}}{{{#!if 토론주소3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8'''
----
}}}{{{#!if 토론주소3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9'''
----
}}}{{{#!if 토론주소4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0'''
----
}}}{{{#!if 토론주소4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1'''
----
}}}{{{#!if 토론주소4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2'''
----
}}}{{{#!if 토론주소4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3'''
----
}}}{{{#!if 토론주소4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4'''
----
}}}{{{#!if 토론주소4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5'''
----
}}}{{{#!if 토론주소4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6'''
----
}}}{{{#!if 토론주소4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7'''
----
}}}{{{#!if 토론주소4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8'''
----
}}}{{{#!if 토론주소4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9'''
----
}}}{{{#!if 토론주소5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50'''
----
}}}||}}}}}}}}}
|
|
UNIVERSE FCEV |
현대 유니버스 수소전기버스 홈페이지 |
1. 개요
현대자동차에서 2023년에 대형버스인 유니버스의 파생형 차종으로 출시한 수소전기버스. 현대자동차의 수소전기버스 중에서는 일렉시티 수소전기버스에 이어서 2번째로 출시한 수소전기버스이자 세계 최초의 고속형 수소전기버스다.2. 역사
2.1. 2018년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당시 유니버스 노블 FCEV 시제차가 운행되었다.
2.2. 2021년
2021년 9월, 신형 유니버스 FCEV 모델이 수소모빌리티쇼에서 최초로 테스트카가 공개됐다. 유니버스 엘레강스 기반이었으며, SD급으로 상부 수소탱크 옵션이 적용된 차량이었다. VIP들을 대상으로 해당 차량의 시승식이 있었으며, 경로는 킨텍스 ~ 대화역 6번 출구 ~ 대화역 인근 ~ 킨텍스로 다시 돌아오는 약 5km 정도의 노선이었다. #
2.3. 2022년
2022년 7월에 열린 부산모터쇼에서 전시차가 공개되었다. 전시차의 주요 사양으로는 직행좌석버스 사양으로 전중문 스윙도어가 아닌 전문 폴딩도어 사양이며, 상부 수소탱크 옵션, 하부개폐창도 대우 FX 시리즈와 같은 세미 플러시 타입 창문을 적용했다. 이후 해당 차량은 마니버스가 가져가서 전국 최초로 1400번에 투입했다가 2024년 2월부로 9500번으로 이동했다.
3. 정식 출시 이후 (2023~현재)
| |
전문형 모델 (인천 마니버스 소속) | 전중문형 모델 (부산 부일여객 소속) |
| |
스윙도어 모델 (서울 서울공항리무진 소속) |
내연기관 유니버스와 달리 수소탱크 크기가 너무 커서 전고가 기존보다 많이 높아지는데 이는 엘레강스 기준으로 전고가 3,740mm다. SD급(엘레강스) 기준인데도 전고가 BX212보다도 높으며 HD급은 더욱 높을 것이라는 건 당연지사. 현재 유니버스의 SD급 모델과 HD급 모델의 전고 차이는 약 150mm인데, 이걸로 가칭 FCEV 버전의 HD급의 전고를 추정해 보면 3,890mm이다. 즉, 거의 3.9m가 된다는 것이다. 이게 어느 정도의 높이냐 하면 일렉시티 2층버스보다 약간 낮은 정도이고 볼보 9800[1] 및 메르세데스-벤츠 투리스모와 비슷한 정도다. 그래서 전고가 낮은 SD급 엘레강스 트림만 출시했다.[2]
한때 수소탱크가 하부에 있는 테스트카도 있었는데 천연가스버스처럼 짐칸에 수소탱크가 위치했다. 하지만 짐칸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고, 그 점이 워낙 치명적이라 정식으로 출시하지 않았다.
내연기관 유니버스와 달리 상용차의 스택 크기 문제로 인해 맨 뒷좌석 일부 공간을 사용할 수 없어,[3] 기존보다 두께가 얇은 승객석 시트를 새로이 개발해 적용했다.[4]
제원으로는 엘레강스 기준 전장 11,780mm, 전폭 2,495mm, 전고 3,740mm이다.
2022년 6월에 배출가스, 소음 인증을 받았다. 파워트레인은 연료전지[5]+48.2kWh의 고출력 리튬이온 배터리를 탑재하며 이튼제 친환경차 전용 4단 AMT를 조합했다.[6] 장거리 주행에 맞게 일렉시티 FCEV와 다르게 210마력을 더 높인 455마력(335kW)으로 출력을 세팅했고 1,200Nm의 안티 저크(Anti jerk) 모터를 탑재하며 1회 충전 주행 거리는 최소 400km 이상으로 두고[7] 충전도 압력에 따라 8~20분 내로 가능하다.
이 외에도 세계 최초로 상용차에 MR(Magneto Rheological fluid·자기 유변 유체) 댐퍼[8]와 차량의 전후좌우 흔들림을 억제하는 제어 로직을 적용했다.
당초 2022년 8월 중 출시 예정이었으나 전장 및 연료전지 스택 공간 대비 좌석 공간이 매우 좁다는 운수업체 관계자들의 피드백을 수용, 상품성 수정에 들어가며 2023년 4월 6일로 연기됐다. 차량 가격은 대당 7억 8천만 원으로, 6억원 가량은 정부와 지자체 보조금이 지원돼 실제 운송업체가 부담해야 하는 구입가격은 1억 7천만 원에서 2억 원 정도다.
출시 초창기에는 전비형 폴딩도어, 전비형 스윙도어, 전중비형 스윙도어(경찰버스 사양) 사양만 출시했지만 2024년 9월에 전중문형 폴딩도어 사양도 출시했다.
2022년 8월 부울경 위주로 유니버스 수소전기버스 1대로 1달여간 시외버스 1개 노선, 통근버스 3개 노선, 셔틀버스 1개 노선에 차례로 시범 운행했다. 12일과 16~19일 사이에 경남 진주 - 창원 - 부산 서부 - 울산을 오가는 시외버스 구간(1일 335km)을 운행했다. 같은 달 22~26일에는 울산시청 - 천상리(1일 22km), 29일~9월 2일에는 부산시청 - 낫개역(1일 45km), 9월 5일~7일에는 창원 경남도청 - 진주 경남도청 서부청사(1일 150km)를 통근버스 형태로 왕복했다. 마지막으로 9월 13일~15일 사이 인천 검암역 - 종합환경연구단지(8km 구간 1일 10회) 구간을 셔틀버스로 오갔다. 이렇게 1달여간 총 3,500km를 시험주행했다.
그 이후, 출고 소식이 올라왔다. 전국 최초로 신백승여행사에서 출고했으며, 노선 버스 최초로 마니교통[9]에서 시제차 3대[10]를 출고해 본격적인 운행에 들어갔다. 그 이후 신강교통에서도 출고해 운행에 들어갔다.
2023년 말에 인천 신흥교통에서 공항리무진 용도로 우등형을 출고하여 6777번에 투입했다.
2024년 4월에 서울공항리무진이, 비슷한 시기에 부산 동진여객, 동남여객이 출고하여 2000번에 투입했다.
2024년 7월에 인천 청룡교통 310번에 투입했으며, 호남고속이 전북 최초로 25인승 우등형 수소전기버스를 단거리 노선 위주로 투입했다. 또한, 현대자동차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한 소방관 회복지원 수소전기버스가 제주특별자치도 소방안전본부에 공급되기 시작했다. #
2024년 8월에 부산 동원여객이 추가로 출고하여 2000번에 투입했다.
2024년 12월에 부산 동원여객이 전국 최초로 전중비형 폴딩도어 사양을 출고하여 1000번에 투입했다.
2024년 12월에 이천 이천시내버스에서 5대를 출고하여 G2100번에 투입했다.[11]
2024년 12월에 고양 명성에서 11대를 출고하여 1200번에 투입했다.
2025년 3월에 부산 부일여객이 2대를 출고하여 각각 1001번, 1011번에 투입하고, 4월에 추가로 10대를 출고하여 1001번에 9대, 2029번에 1대를 투입했다.
2025년 4월에 부산 태영버스에서 5대를 출고하여 58-1번에 2대, 1005번에 1대, 2000번에 전비형 2대(예비 포함)를 투입했다. 같은 달 부산여객에서 4대를 출고하여 1003번에 투입했고, 5월에 태영버스에서 추가로 58-1번과 1005번에 각각 1대씩 2대를 출고했다.
4. 운행 노선
- 부산광역시
- 좌석버스: 58-1번
차후에 일반버스로 형간전환할 예정.
(사유는 좌석버스의 기존 금액(2,100원)이었던 것을 1,550원으로 낮춰 이용객들의 비용부담 경감, 교통카드 기준으로 550원 절감)
- 경기도
- 직행좌석버스:
- 일반시내버스:
- 마을버스:
- 파주시: G1번, G2번, G3번, M1번, M2번
- 제주특별자치도
- 순환버스 : 1111번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2c5f><colcolor=#fff>세단 | <colbgcolor=#002c5f><colcolor=#fff>준중형 | 아반떼 (N) |
중형 | 쏘나타 (택시) · 아이오닉 6 (N)예정 | ||
준대형 | 그랜저 | ||
SUV | 경형 | 캐스퍼 | |
소형 | 캐스퍼 일렉트릭 · 베뉴 · 코나 | ||
준중형 | 투싼 · 아이오닉 5 (N) | ||
중형 | 싼타페 · 넥쏘 | ||
준대형 | 팰리세이드 · 아이오닉 9 | ||
MPV | 스타리아 (전기차)예정 | ||
버스 | 소형 | 쏠라티 | |
준중형 | 카운티 (일렉트릭) | ||
중형 | 일렉시티 타운 | ||
준대형 | 슈퍼 에어로시티 · 일렉시티 (수소전기버스) | ||
대형 | 유니버스 (수소전기버스 · 모바일 오피스) · 일렉시티 이층버스 · 일렉시티(굴절형) | ||
트럭 | 소형 | 포터 (일렉트릭) · ST1 | |
준중형 | 마이티 | ||
중형 | 파비스 | ||
준대형 | 뉴파워트럭 | ||
대형 | 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0%" {{{#!folding [ 연대별 구분 ] {{{#!wiki style="color: #000; margin:-6px -1px -10px" | 회색 글씨: 단종 차량 | |||||||
<colbgcolor=#002c5f><colcolor=#fff><rowcolor=#fff> | 승용 · SUV · RV · 승합 | 버스 | 트럭 | |||||
1960년대 | 코티나 · 포드 20M | R버스 | 포드 D 시리즈 | |||||
1970년대 | 포니 · 그라나다 · HD1000승합 | 메르세데스-벤츠 O302 · 메르세데스-벤츠 O303 · HD버스 · RB버스 · D버스 · DK버스 | HD1000트럭 · 바이슨 · 대형트럭 | |||||
1980년대 | 프레스토 · 포니엑셀 · 엑셀 · 스텔라 · 쏘나타 · 그랜저 · 그레이스 · 미쓰비시 프레시스 | 코러스 · FB버스 · 에어로버스 | 포터 · 마이티 | |||||
1990년대 | 아토스/쌍트로(1세대) · 아토스 프라임 · 엑센트/베르나 · 엘란트라/아반떼(1세대) · 마르샤 · 다이너스티 · 에쿠스 · 스쿠프 · 티뷰론 · 갤로퍼 · 싼타모 · 트라제 XG · 스타렉스 | 카운티 · 에어로타운 · 에어로시티 | 중형트럭 · 슈퍼트럭 | |||||
2000년대 | i10 · 클릭 · i20 · i30 · 링샹 · 투스카니 · 제네시스 · 제네시스 쿠페 · 라비타 · 투싼(ix35) · 싼타페 · 테라칸 · 베라크루즈 · 앙트라지 · 닷지 브리사 · 기아 천리마 | 슈퍼 에어로시티 · 그린시티(구 글로벌900) · 유니버스 | 리베로 · 메가트럭 · 뉴파워트럭 · 트라고 | |||||
2010년대 | 이온 · 블루온 · HB20 · XCENT · 위에둥 · 아이오닉 · i40 · 미스트라 · 아슬란 · 벨로스터 · ix20 · 크레타 · 맥스크루즈 · 쏠라티 · 코나 · 레이나 · 넥쏘 · 라페스타 · 팰리세이드 · 베뉴 | 블루시티 · 유니시티 · 일렉시티 · H500 버스 | 엑시언트 · H350 · 루이웨/홍투 · 파비스 | |||||
2020년대 | 아우라 · 포레스트 · 쿠스토 · 베이온 · 아이오닉 5 · 스타리아 · 알카자르 · 싼타크루즈 · 캐스퍼/인스터 · 스타게이저 · 아이오닉 6 · 무파사 · 엑스터 · 아이오닉 9 · 일렉시오예정 | 모던 PUV · 일렉시티 이층버스 · 일렉시티 타운 | ST1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0%" {{{#!folding [ 차급별 구분 ] {{{#!wiki style="color: #000; margin:-6px -1px -10px" | <colbgcolor=#002c5f><rowcolor=#fff><colcolor=#fff>차급 |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
승용차 | ||||||||
경차 | i10 · 아우라 | 아토스 · 블루온 · 이온 · 쌍트로 · XCENT | ||||||
소형차 | 엑센트 · i20 · HB20 | 포니 · 엑셀 · 프레스토 · 클릭 · 베르나 · 닷지 브리사/기아 천리마 · 미쓰비시 프레시스 · 레이나 · 닷지 애티튜드 | ||||||
준중형차 | 아반떼 · i30 | 포드 코티나 · 엘란트라 · 아반떼 쿠페 · 벨로스터 · 위에둥/셀레스타 · 라페스타 | ||||||
중형차 | 쏘나타 · 아이오닉 6 | 포드 코티나 · 스텔라 · 마르샤 · i40 · 링샹 · 쏘나타 모인카 · 미스트라 | ||||||
준대형차 | 그랜저 | 포드 20M · 그라나다 · 아슬란 · 다이너스티 · 제네시스 | ||||||
대형차 | - | 에쿠스 | ||||||
스포츠카 | - | 스쿠프 · 티뷰론 · 투스카니 · 제네시스 쿠페 | ||||||
SUV | ||||||||
경형 SUV | 캐스퍼 · 엑스터 | - | ||||||
소형 SUV | 베뉴 · 코나 · 크레타 · 알카자르 · 베이온 · 인스터 | - | ||||||
준중형 SUV | 투싼 · 아이오닉 5 · 무파사 · 일렉시오예정 | - | ||||||
중형 SUV | 싼타페 · 넥쏘 | 갤로퍼 | ||||||
준대형 SUV | 팰리세이드 · 아이오닉 9 | 테라칸 · 베라크루즈 · 맥스크루즈 | ||||||
픽업트럭 | ||||||||
소형 픽업트럭 | 싼타크루즈 | 픽업 · 포드 코티나 픽업 | ||||||
MPV | ||||||||
소형 MPV | - | 라비타 · ix20 | ||||||
준중형 MPV | 스타게이저 | 싼타모 | ||||||
중형 MPV | 쿠스토 | 트라제 XG | ||||||
준대형 MPV | - | 앙트라지 | ||||||
대형 MPV | 스타리아 | 스타렉스 | ||||||
캠핑카 | - | 포레스트 | ||||||
상용차 | ||||||||
소형버스 | 쏠라티 | 그레이스 · HD1000 | ||||||
준중형버스 | 카운티 · 모던 PUV | D버스 · 코러스 | ||||||
중형버스 | 일렉시티 타운 | 에어로타운 · 그린시티 | ||||||
준대형버스 | 슈퍼 에어로시티 · 일렉시티 · H500 버스 | R버스 · DK버스 · RB버스 · HD버스 · FB버스 · 에어로시티 · 블루시티 · 유니시티 | ||||||
대형버스 | 유니버스 · 유니버스 FCEV ·일렉시티 이층버스 | 메르세데스-벤츠 O302 · 메르세데스-벤츠 O303 · 에어로버스 | ||||||
소형트럭 | 포터 · H350 · ST1 | HD1000 · 리베로 | ||||||
준중형트럭 | 마이티 | - | ||||||
중형트럭 | 루이웨/홍투 · 파비스 | 바이슨 · 대형트럭 · 중형트럭 · 슈퍼트럭 · 메가트럭 | ||||||
준대형트럭 | 뉴파워트럭 | - | ||||||
대형트럭 | 엑시언트 | 마루 · 트라고 | }}}}}}}}} }}} | |||||
|
[1] 기존 볼보 9700을 멕시코 사정을 감안해 더 크고 으리으리하게 만든 차량이다.[2] 이로 인해 화물칸 높이는 SD급 차량과 같아서, 볼보 9700, 메르세데스-벤츠 투리스모 등의 차량과는 달리 자전거 등 부피가 큰 짐은 세워서 실을 수 없다는 치명적인 약점이 있다.[3] 맨 뒤의 1열 공간을 희생해야 하며, 3~5석 정도의 공간이 사라진다.[4] 해당 시트는 일렉시티 2층버스 개선형에 먼저 적용되었다.[5] 최고출력 180kW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을 탑재하며 전압은 250~450V, 축전지 용량은 76.6Ah이다.[6] 상용차에 12단 AMT와 10단 자동변속기가 달리는 시대에 웬 시대착오적인 변속기냐 싶겠지만 이 차는 내연기관 차량이 아니라 연료전지를 이용해 움직이는 넓은 의미에서의 전기자동차라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대부분의 전기자동차에는 감속기라는 물건만 들어갈 뿐 변속기 자체가 없거나, 장착되더라도 단수가 많지 않고 스포츠 모드가 없다.[7] 에어컨, 온풍기 등의 공조장치를 끄고 연비 운전을 할 경우 1회 완충시 최대 762km를 주행할 수 있다. (700bar, 탱크 6개 기준이며 700bar, 탱크 5개 기준으로 1회 완충시 최대 635km를 주행할 수 있다.)[8] 승용차에는 이미 랜드로버에서 절찬리 쓰이고 있다.[9] 현재는 마니버스로 넘어갔다.[10] 그 중 1대는 부산국제모터쇼 전시 차량이다.[11] 이 차량은 프리미엄 유로시트를 적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