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9 17:57:11

국군화생방방호사령부

화방사에서 넘어옴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직할부대 백색.svg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군사학교
파일:국방대학교 엠블럼.svg
국방대학교
파일:합동군사대학교 엠블럼.svg
합동군사대학교
파일:국군간호사관학교 마크.svg
국군간호사관학교
합동부대
파일:사이버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사이버작전사령부
파일:국군지휘통신사령부 부대마크.svg
국군지휘통신사령부
파일:국군수송사령부 부대마크.svg
국군수송사령부
파일:화방사_부대마크.png
국군화생방방호사령부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국군심리전단
파일:드론작전사 부대마크.png
드론작전사령부
파일:대한민국 전략사령부_2.png
전략사령부
군 사법기관
파일:국방부 조사본부 로고_미니.svg
국방부 조사본부
파일:국방부 검찰단 휘장.png
국방부 검찰단
파일:군사법원 심볼마크.png
군사법원
정보기관
파일:국군방첩사령부 부대마크.svg
국군방첩사령부
파일:attachment/국방정보본부/DIA.png
국방정보본부
근무지원단
파일:국방부 근무지원단.svg
국방부 근무지원단
파일:계룡대 근무지원단 로고.png
계룡대 근무지원단
기타 부대
파일:국군의무사령부 부대마크.svg
국군의무사령부
파일:국방시설본부 마크.svg
국방시설본부
파일:fmc_logo.png
국군재정관리단
파일:국군체육부대 부대마크.svg
국군체육부대
파일:국방정신전력원 부대마크.svg
국방정신전력원
파일:국방부 군비통제검증단.png
국방부 군비통제검증단
파일:군사편찬연구소 마크.svg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파일: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마크.svg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군 책임운영기관
파일:국방출판지원단 부대마크.svg
국방출판지원단
파일:DIDC_logo.png
국방통합데이터센터
파일:국군복지단 부대마크.svg
국군복지단
}}}<colbgcolor=#c51426><colcolor=#FFF> ※ 참고 : 국방부 조직 및 소속기관, 직할부대 예하부대
합동참모본부 [[대한민국 육군본부|{{{#!wiki style="background-color: #1e3775; padding: 0px 3px; border-radius: 8px; display: inline-block"
국방부 소속기관 국방홍보원, 국방전산정보원
국방부 산하 공공기관 한국국방연구원, 전쟁기념사업회, 국방전직교육원
국직부대 예하 국방부 조사본부 예하: 국군교도소 | 국군방첩사령부 예하 : 국군방첩학교, 국방보안연구소 | 국방정보본부 예하: 정보사령부, 777사령부 | 계룡대 근무지원단 예하: 자운대 근무지원단 | 국군의무사령부 예하 : 국군의학연구소, 국군의무학교 }}}}}}
국군화생방방호사령부
國軍化生放防護司令部
ROK CBR Defense Command
파일:화방사_부대마크.png
WMD 위협으로부터 대한민국 수호!
창설일 1988년 7월 1일(제1화학단)
1999년(육군화생방방호사령부)
2002년 2월 1일(국군화생방방호사령부)
창설 [age(2002-02-01)]주년
약칭 화생방사, 화방사, 국화사
소속 대한민국 국군
상급 기관 대한민국 국방부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1]
종류 기능사령부
역할 화생방전 업무 지원
사령관[2] 육군 준장 전종율 (학사 25기)
참모장[3] 육군 대령 000 (육사 00기)
위치 서울특별시 서초구 내곡동


1. 개요2. 상세3. 부대 역사4. 임무5. 편제
5.1. 사령부 직할대5.2. 예하부대
5.2.1. 화생방특수임무단5.2.2. 화생방대대
5.2.2.1. 제23화생방대대
6. 과거부대
6.1. 화생방특수임무대대
6.1.1. 제21화생방특수임무대대6.1.2. 제24화생방특수임무대대
7. 출신인물
7.1. 사령관7.2. 장교/부사관7.3. 병
8. 기타
8.1. 부대시설8.2. 근무환경8.3. 부대가8.4. 사령부 복무신조
9. 여담

파일:육군화생방방호사령부 부대마크.jpg 파일:국군화생방방호사령부0.jpg
육군화생방방호사령부 부대마크 2018년 말까지 쓰인 부대마크
[clearfix]

1. 개요

국군화생방방호사령부 | 대한민국 국방부 (2021)
국군화생방방호사령부령 전문
제1조(설치) 군의 화생방 방호와 관련된 작전 및 그 지원에 관한 업무를 관장하고, 연합 및 합동작전과 대 국민 화생방 방호에 필요한 지원을 위하여 국방부장관소속하에 국군화생방방호사령부를 둔다.
대한민국 국방부 직할부대 국군화생방방호사령부서울특별시 서초구 내곡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군의 화생방 방호와 관련된 작전 및 그 지원에 관한 업무를 관장하고, 연합 및 합동작전과 대 국민 화생방 방호에 필요한 지원을 위하여 창설되었다.

2. 상세

1988년 서울특별시 서초구 내곡동수도방위사령부 22화생방대대를 모체[4]로 수방사 제1화학단이 생겼고, 화생방 위협 대비 태세와 육군 개혁 일환으로 1999년 육군화생방방호사령부가 만들어졌다.[5] 9·11 테러 이후 화생방 대테러 작전, 육·해·공군 합동, 민·관·군 통합 작전 수행을 위해, 2002년 2월 1일 대통령령 제17494호에 따라 국방부 직할부대로 개편되어 국군화생방방호사령부가 창설됐다.

창설 15주년을 맞아 장병들의 의견을 모아 부대 약칭을 화생방사로 선정했다.# 2022년부터는 사령부에서 공식적으로 국화사 또는 화생방사로 사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2022년 11월 1일, 국가중요시설 등에 전문화한 대화생방테러 작전을 지원하고자 예하부대인 21, 24특수임무대대를 통합하고 지역대들을 아래에 두어 전국을 지원하는 화생방특수임무단이 정식으로 창설되었다.#

사령부령 및 명칭에서 나오듯이 어디까지나 화생방 방호, 즉 화생방 공격에 대처하기 위한 부대이다. 화생방 무기의 운용, 즉 적군을 화생방무기로 공격하는 임무는 이 쪽이 아니다. 실제 화생방무기를 사용하는 임무는 직접 그 무기를 투발하는 육군 포병, 공군, 해군 부대 등에서 행한다.

3. 부대 역사

4. 임무

  1. 군 및 대 국민 화생방 방호작전과 그 지원에 관한 업무(관련 기관 및 해당 군과 협조하여 지원한다)
  2. 대 화생방 테러 지원에 관한 업무(관련 기관 및 해당 군과 협조하여 지원한다)
  3. 군의 환경오염분석 및 방사능안전검증에 관한 업무
  4. 화생방 사고 및 재난과 관련된 처리의 지원에 관한 업무
  5. 화생방 방호 장비 및 물자의 성능개량·시험 및 검증에 관한 업무
  6. 화생방 무기의 검증·분석·피사찰 및 폐기지원에 관한 업무
  7. 화생방 합동교육훈련체계의 발전에 관한 업무

5. 편제

5.1. 사령부 직할대

5.2. 예하부대

5.2.1. 화생방특수임무단[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군경의 국가지정 대테러 부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대테러특공대
파일:대한민국 경찰청 문장.svg 경찰청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육군
경찰특공대 특수전사령부
제707특수임무단
파일:해양경찰청 OI.svg 해양경찰청 파일:해군본부 마크(화이트).svg파일:해군본부 마크.svg 해군
해양경찰특공대 특수전전단
특수임무대대
화생방테러 특수임무대
파일:화방사_부대마크.png 국군화생방방호사령부
화생방특수임무단
상기 5개 국가지정 대테러부대 이외의 군 대테러특수임무대 및 대테러 초동조치부대 목록은 문서 참고
※ 관련 틀: 특수작전부대 | 특수임무부대 | 특수첩보부대 }}}}}}}}}


2022년 11월 1일, 예하대대인 제21, 24화생방특수임무대대를 통합해 화생방특수임무단이 정식으로 창설되었다. 급 편제이기에 지휘관육군 화생방 병과 대령이 보임된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화생방특수임무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2. 화생방대대[B]

5.2.2.1. 제23화생방대대
제독병이 주가 되는 부대로 제21화생방특수임무대대, 제24화생방특수임무대대와 다르게 사령부 내곡기지 부지 내가 아닌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에 별도로 주둔해 있는 부대이다. 제독병이 없는 화생방특수임무단을 지원하는 임무가 주임무이다. 국군화생방방호사령부가 소유하고 있는 K-10 제독차량은 모두 제23화생방대대에 있다.

6. 과거부대

6.1. 화생방특수임무대대[B]

6.1.1. 제21화생방특수임무대대

2016년 4월부터 화생방사 예하 제21화생방대대도 특수임무대대로 변경 되었다. 명칭이 똑같은 특수임무대대이기에 기존 제24대대의 지위를 제21대대가 넘겨받았다고 혼동할 수 있으나 말 그대로 제21대대는 국군화생방방호사령부 내에서 특수한 임무를 가지게 되었기에 특수임무대대가 된 것이다. 다만 둘 다 화생방 병과에 사령부 휘하라는 특성상 제24화생방특수임무대대와 제21화생방특수임무대대는 여러 교류가 있었다.
2020년 3월 대한민국 국방부장관국군화생방방호사령관에게 방역 지원을 지시하였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바이러스 방역을 지원하기 위해 가장 확진자가 많이 발생한 대구 지역으로 신형 제독차를 비롯한 제독장비와 장병들을 투입해 경북대학교, 국군대구병원 등 여러 시설들에 방역작업을 지원하였다. 이후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과 서울시인재개발원 등의 서울 지역 방역 지원도 수행하였다.

2022년 7월 1일, 제21화생방특수임무대대와 제24화생방특수임무대대급으로 확대 개편되었으며, 같은 해 11월 1일 제21화생방특수임무대대와[C], 제24화생방특수임무대대[C]를 통합해 전국을 지원하는 화생방특수임무단이 정식으로 창설되었다.

6.1.2. 제24화생방특수임무대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24화생방특수임무대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출신인물

7.1. 사령관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화방사_부대마크.pn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

{{{#!wiki style="margin: 0"
파일:Brigadier General_white.png
||<tablewidth=100%><width=20%>
초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준장.svg
장성근 ||<width=20%>
제2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준장.svg
홍용출 ||<width=20%>
제3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준장.svg
이권헌 ||<width=20%>
제4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준장.svg
이재호 ||<width=20%>
제5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준장.svg
김찬섭 ||
제6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준장.svg
고운
제7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준장.svg
문성준
제8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준장.svg
허유봉
제9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준장.svg
류동관
제10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준장.svg
이대위
제11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준장.svg
유재훈
제12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준장.svg
전종율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 ||
볼드체대장 진급이 된 사령관.[17]
||<-8><bgcolor=#90A868><tablewidth=100%> 역대 국군화생방방호사령관 ||
역대 사진 이름 계급 임관 재임기간 비고 기타
초대 파일:육군준장 장성근.jpg 장성근 예) 육군 준장 3사 5기 0000.00.00. ~ 0000.00.00. 사령관
2대 파일:육군준장 홍용출.jpg 홍용출 예) 육군 준장 육사 33기 0000.00.00. ~ 0000.00.00. 사령관 [18]
3대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이권헌 예) 육군 준장 3사 12기 2007.01.01. ~ 2008.12.31. 육군화학학교장
4대 파일:육군준장 이재호.jpg 이재호 예) 육군 준장 육사 35기 2009.01.01. ~ 2010.12.31. 사령관
5대 파일:육군준장 김찬섭.jpg 김찬섭 예) 육군 준장 육사 39기 2011.01.01. ~ 2012.12.31. 사령관
6대 파일:육군준장 고운.jpg 고운 예) 육군 준장 육사 41기 2013.01.01. ~ 2014.12.31. 육군화생방학교 [19]
7대 파일:육군준장 문성준.jpg 문성준 예) 육군 준장 육사 42기 2015.01.01. ~ 2016.12.31. 육군화생방학교 [20]
8대 파일:육군준장 허유봉.jpg 허유봉 예) 육군 준장 육사 43기 2017.01.01. ~ 2018.12.31. 육군화생방학교 [21]
9대 파일:육군준장 류동관.jpg 류동관 예) 육군 준장 육사 45기 2019.01.01. ~ 2020.12.31. 육군화생방학교
現 핵안보국민연대(NSNS) 박사
[22]
10대 파일:육군준장 이대위.jpg 이대위 예) 육군 준장 육사 46기 2021.01.01. ~ 2022.12.31. 육군화생방학교 [23]
11대 파일:육군 준장 유재훈.png 유재훈 육군 준장[24] 육사 49기 2023.01.01. ~ 2024.12.31. 육군화생방학교장 [25]
12대 파일:육군준장 전종율.jpg 전종율 육군 준장 학사 25기[26] 2025.01.01. ~ 2026.12.31.(예정) 국군화생방방호사령관 [27]

7.2. 장교/부사관

7.3.

8. 기타

8.1. 부대시설

8.2. 근무환경

8.3. 부대가

8.4. 사령부 복무신조

9. 여담


* 다른 국직부대와 마찬가지로 부대표지(부대마크)가 존재하지 않았지만, 부대 상징물 제작필요성이 커져 2018년 상반기 부터 상징물 공모전 및 부대원 의견 수렴과정 등을 거쳐 삼족오[30]를 형상화 한 부대표지를 제작하였고, 2019년 12월 24일 국방부의 승인을 받았다. 부대 창설 18주년을 맞아 새 부대표지를 공개하였다.

[1] 관련 법령에 규정된 합동부대이므로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도 상급부대에 포함된다.[2] 대한민국 육군준장이 보임되며, 화생방 병과에서 임기제 진급한다. 보통 2년 주기로 교체되며, 사령관 임기가 끝나면 육군 화생방 병과장을 겸하는 육군화생방학교 학교장으로 이동한다. 이후 2년간의 학교장 역임 후 전역하는 것이 일반적이다.[3] 휘하 참모들도 대령인지라 참모장은 통상 고참 대령이다.[4] 같은 이유로 국군화생방방호사령부 예하대대가 21대대에서 22대대를 건너뛰고 23, 24대대가 있는 이유도 동일한 이유이다.[5] 이 영향으로 합동참모본부화생방과가 새로이 개설되었다.[6] 파일:국군화생방방호사령부 20주년 기념 엠블럼.jpg
이대위 사령관 시절, 사령관이 엠블럼 제정에 직접 참여하였다.
[7] 소령급 지휘관 편제.[8] 인사, 병참, 재정, 정작[9] 내곡기지 전체통합 운영[10] 사령부 내 각 처부[A] 대령급 지휘관 편제.[A] 대령급 지휘관 편제.[B] 중령급 지휘관 편제.[B] 중령급 지휘관 편제.[C] 2022년 10월 31일 임무해제 및 해편[C] [17] 화생방 병과에서는 사실상 준장 진급이 상한선이다.[18] 前 사령부 정작처장[19]합동참모본부 화생방과장[20]합동참모본부 화생방과장, 前 2군 화학과장[21]1군 화학과장, 前 사령부 작전처장[22]2군 화학과장[23]합동참모본부 화생방과장 및 작전부 참모, 前 사령부 정작처장[24] 2022년 11월 30일 4차 진급[25] 前 사령부 작전처장, 前 육군 1군 직할부대 화학중대장, 前 육군인사사령부 화학병과보직장교[26] 최초의 학사사관 출신이다.[27]합동참모본부 화생방작전과장, 사령부 정보작전처장, 제1군단 11화생방대대장[28] 육군 대령 장교 편제[29] 실제, 사령관들의 거쳐온 보직을 보면 요직 중의 요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30] 태양에 살며 하늘과 대지를 잇던 길조. 자세한 내용은 삼족오 참고.[31] WMD 훈련장[32] 휴대폰이 금지였던 과거기준의 대표적인 예시[33] 실존하는 부대이기에 명칭을 달리한 것으로 예상된다.[34] 자세한 내용은 OCN 드라마 써치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