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09 00:36:18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

긴테쓰 버펄로즈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fff>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과거 참가 구단
}}} ||
{{{#!wiki style="color:#ffffff; 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2c292a; margin:-5px -1px -11px"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센트럴 리그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WvmWdeN.png 파일:니시닛폰파이러츠.png }}}
{{{#!wiki style="margin: -16px -11px;" 쇼치쿠 로빈스 니시닛폰 파이러츠 }}}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퍼시픽 리그
파일:다이에이유니온스.png 파일:타카하시유니온스.png 파일: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 심볼.svg
다이에이 유니온스 타카하시 유니온스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퍼시픽 리그 일본프로야구
센트럴 리그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 ||
파일: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 엠블럼.svg
<colbgcolor=#ca252b><colcolor=#ffffff>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
Osaka Kintetsu Buffaloes
大阪近鉄バファローズ
구단 법인명 ㈜오사카 버팔로즈
창단 1949년
해체 2004년 오릭스 블루웨이브에 흡수 합병
연고지 오사카부 (1952~2004)
구단명 변천 킨테츠 펄스 (1949~1958)
킨테츠 버팔로 (1959~1961)
킨테츠 버팔로즈 (1962~1998)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 (1999~2004)
홈구장 변천 후지이데라 구장 (1950, 1984~1996)
오사카 구장 (1950~1957)
일본생명 구장 (1958~1983)
교세라 돔 오사카 (1997~2004)
모기업
(해체 당시)
킨키 일본 철도
영구 결번
(해체 당시)
1 스즈키 케이시
마스코트 파일: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 마스코트.svg
버필리드(バフィリード)
일본시리즈 우승
(0회)
없음
퍼시픽리그 우승
(4회)
1979, 1980, 1989, 2001
퍼시픽리그 전·후기 우승
(3회)
1975 후기, 1979 전기, 1980 후기
플레이오프 우승
(2회)
1979,1980
역대 한국인 선수 김황세[1] (1966~1968)
박덕용[2] (1981~1983)
백인천[3] (1981)
김병수[4] (1983~1989)
황태호[5] (1986~1991)
역대 한국계 선수 이시야마 카즈히데(송일수)[6] (1970~1983)
카네무라 요시아키(김의명)[7] (1982~1994)
코야마 마사오(강창남)[8] (1983~1988)
아라이 히로마사(박종률)[9] (1986~1992)
미츠야마 히데카즈(김영화)[10] (1986~1996)
포스트시즌 진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a252b> 일본시리즈 1979년, 1980년, 1989년, 2001년
퍼시픽 리그 플레이오프 1975년, 1979년, 1980년
}}}}}}}}}}}} ||

1. 개요2. 역사3. 출신 OB
3.1. 영구 결번3.2. 역대 1라운드 지명 선수3.3. 투수3.4. 포수3.5. 내야수3.6. 외야수3.7. 감독3.8. 최후의 멤버
3.8.1. 감독 및 코칭스태프3.8.2. 투수3.8.3. 포수3.8.4. 내야수3.8.5. 외야수
4. 유니폼
4.1. 1966 ~ 1973 전기리그4.2. 1973 후기리그4.3. 1974 ~ 19964.4. 1997 ~ 2004 홈 유니폼4.5. 1997 ~ 1998 원정 유니폼4.6. 1999 ~ 2004 원정 유니폼
5. 응원가6. 구단 출신 메이저리거7. 역대 성적8. 관련 문서9.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일본프로야구 퍼시픽 리그 소속이었으며 2004년 시즌 종료 후 오릭스 블루웨이브와 합병, 해체할 때까지 존재했던 구단. 1950년 양대 리그제 시행과 함께 창단했으며 모기업은 킨키 일본 철도였다. 약칭 킨테츠.

2. 역사

연고지는 오사카였으며 창단 이후 후지이데라 구장, 일본생명 구장, 오사카 구장 등을 홈구장으로 써 왔다가 1997년부터 2004년까지 교세라 돔 오사카를 홈구장으로 사용했었다. 그리고 교세라 돔 오사카에서 교세라 돔 오사카버프는 주지 못할 망정 너프도 모자라, 사망 플래그까지 세울 수도 있음을 보여주며 최후를 맞이했다. 팀명이 몇 차례 바뀐 적이 있는데, 처음엔 킨테츠 철도가 경유하는 이세 만의 특산물인 진주의 영어 명칭을 따서 킨테츠 펄스(1950~1958)이라는 이름으로 참가하다가 치바 시게루 감독이 취임한 이후인 1959년에 치바 감독의 별명을 따 킨테츠 버팔로(1959~1961), 그리고 1962년에 팀명인 버팔로를 바꿔서[11] 킨테츠 버팔로즈(1962~1998)라는 이름으로 사용했다. 이후 팀의 연고지 정체성을 살리고자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1999~2004)로 개명했고 이 이름으로 최후를 맞이했다. 팀 이름과 공격적인 팀 야구 스타일 때문에 이 팀의 별칭은 맹우군단(猛牛軍団)이었다.

55년간의 팀 역사에서 해체할 때까지 일본시리즈 우승을 거둔 적이 없는 비운의 콩라인 팀이었다(...) 게다가 50여년 이상 존재했던 일본 프로야구 12개 구단 중에서 가장 늦은 1979년에서야 리그 우승을 달성하였다.[12][13]. 그나마 과거 킨테츠가 잘 나가던 시기는 니시모토 유키오 감독이 이끌던 1970년대 후반과 오기 아키라 감독 시절인 1980년대 말~1990년대 초반. 니시모토 감독은 1979, 1980년 팀을 2년 연속 퍼시픽리그 우승으로 이끌었지만 일본시리즈에서는 고바 타케시 감독의 히로시마 도요 카프에 패배[14], 오기 감독의 경우 1989년 요미우리 자이언츠와의 일본시리즈에서 먼저 3승을 따 놓고도 4연패로 리버스 스윕 당했다[15] 그나마 위의 3번의 일본시리즈는 그래도 7차전까지 가며 나름 치열한 승부였지만, 마지막 일본시리즈였던 2001년 야쿠르트 스왈로즈와의 일본시리즈는 1승 4패로 일방적으로 패배했다.[16]

이 시기를 제외하면, 50년에 걸친 팀 역사의 대부분은 성적이 저조했다. 1958년에는 29승 97패 4무 승률 .238로 1955년 다이요 웨일즈(31승 99패)와 함께 양대리그 출범 이후의 일본프로야구 사상 최저 승률 타이 기록을 세웠고[17] 심지어 1961년엔 36승 1무 103패의 전적으로 일본프로야구 역사상 유일한 시즌 100패팀이 되었다.[18] 2005년에 전년도 5위인 킨테츠와 6위인 오릭스 소속 선수들 중에서도 질 낮은 선수들 대부분+그나마 에이스인 소수 선수들을 모아서 만든 라쿠텐이 기록을 경신하리라 예상했지만 간신히 97패에서 스톱. 2000년대 후반 센트럴리그요코하마 베이스타즈거의 매년 100패에 근접한 성적을 찍고 있었으나 이쪽도 아직까지 100패를 찍은 적은 없다. 이런 관계로 한때 같은 리그의 한큐 브레이브스회색 구단 이란 별칭 겸 오명(...)으로 명성(?)을 날리던 것과 함께 킨테츠는 지하철 야구단, 퍼시픽리그의 짐짝 이라는 오명을 얻기도(...) 오죽하면 1957년에 홀수 개의 팀으로(당시 7팀이 리그 참가) 리그가 운영되는 걸 못마땅하게 여긴 높으신 분들에 의해 해체 타겟이 되기도 했으며[19], 1979년 킨테츠를 최초로 우승시킨 니시모토 유키오 감독은 만년 하위권 팀을 우승시켰다는 공로로 마찬가지로 팀을 첫 일본시리즈 우승으로 이끈 히로시마 도요 카프고바 타케시[20] 감독을 제치고 NPB에서 야구인에게 주는 최고의 상인 쇼리키 마쓰타로상을 수상했다.[21] 그리고 한큐와 킨테츠는 후일 같은 팀으로 파이널 퓨전했다[22]

한신 타이거스만큼의 인기는 전혀 아니였지만, 역사적으로 강팀이 아니었던 것에 비해 칸사이 지방에 팬들은 꽤 있었다고 한다.[23] 특히 투수력이나 수비력보다는 공격력, 특히 장타력을 중심으로 하는 화끈한 야구와 한번 분위기를 타면 팀의 상징 그대로 그야말로 초원을 질주하는 들소떼처럼 걷잡을 수 없이 몰아치는 팀 컬러를 특징으로 해서[24] 오사카 현지에 있던 이 팀의 팬들은 이러한 점이 오사카답다면서 좋아했었다. 특히 7월까지 최하위를 기록하다가 7월에서 8월 중순까지 38경기에서 32승 6패를 기록하면서 우승전선에 뛰어든 1994년 시즌[25] 과 딱히 타고투저 시즌도 아니었는데 5점대의 팀 방어율을 기록한 투수진을 화끈한 공격야구로 메워 우승까지 차지했던 2001년 시즌[26][27][28]이 이러한 팀 컬러를 상징적으로 보여준 시즌이었다.

또한 이 팀은 극적인 승부가 많아서 일본 프로야구 역사상 손꼽히는 명승부는 이 팀이 얽혀 있는 경우가 많고, 팀의 인기는 없지만 팬들에게 준 임팩트는 큰 팀이었다. 대표적인 명승부만 해도 1979년 일본시리즈 7차전 9회말의 에나츠의 21구, 1988년 전설의 10월 19일 카와사키 더블헤더[29], 1989년 랄프 브라이언트의 4연타수 홈런[30], 1989년 일본시리즈의 3연승 후 4연패[31], 2001년 시즌 3점차로 뒤진 상황에서 12년 만의 우승을 결정짓는 대타 역전 끝내기 만루 홈런[32][33][34]등등. 문제는 대부분의 경우 킨테츠가 명승부의 희생양이 되는 상황이었다. 이런 이유로 당연히 일본시리즈 우승이 없다.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마저[35] 콩라인의 전설 호시노 센이치 휘하에서 창단 9시즌만에 처음으로 일본시리즈에서 우승하면서 이제 킨테츠는 영원한 콩이 되어버렸다.

이 구단 출신의 유명한 선수로는 1989년 드래프트때 8구단에서 지명을 받은[36] 노모 히데오와 킨테츠 해체 후 4구단을 돌아다닌 저니맨 강타자 나카무라 노리히로 등이 있다.. 그리고 찰리 매뉴얼, 랄프 브라이언트, 터피 로즈 등 수준높은 용병들도 이 팀에서 뛰었다. 60년대 초반부터 활약한 강타자 도이 마사히로는 일본시리즈에 출전하지 못한 선수들 중 최다안타(2,452개)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스즈키 케이시는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 최초의 영구 결번이자 킨테츠, 더불어 퍼시픽리그의 유일한 영구 결번(1번)의 소유자였으나[37] 오릭스와 킨테츠의 합병으로 무효화가 되었다. 그리고 스즈키 케이시 이후로 일본야구에서는 현재까지 300승을 달성한 투수는 나오지 않고 있다.

경영난으로 인한 킨테츠의 해체로 인해 2004년 일본프로야구계는 리그 재편 문제가 불거지게 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당시 선수회 회장이었던 후루타 아츠야, 킨테츠의 주력 선수였던 이와쿠마 히사시 등과 팬들 주도로 거센 반발이 일어나 일본프로야구 사상 초유의 선수회 파업이 일어나는 등 파란이 있었다. 결국 오릭스 블루웨이브와 킨테츠 버팔로즈가 합병된 후 선수들은 분배 드래프트를 통해 오릭스 버팔로즈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로 나눠지게 되었다.

2004년 마지막 경기[38]가 시작하기 전에, 당시 감독이었던 나시다 마사타카[39]가 선수들에게 했던 "모두 당당하게 시합해라. 너희들이 달고 있는 등번호는 모두 킨테츠 버팔로즈의 영구 결번이다."라는 말은 야구계의 명언으로 자리잡았다.

2020년 기준 킨테츠 시절의 소속 경험이 있는 현역 선수는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소속의 사카구치 토모타카와 콘도 카즈키, 요미우리 자이언츠 소속 이와쿠마 히사시로 총 3명밖에 남지 않았다. 공교롭게도 사카구치와 콘도가 2016년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로, 이와쿠마가 2019년 요미우리 자이언츠로 이적하면서 킨테츠 최후의 선수 3인방이 도쿄, 그것도 같은 센트럴리그 팀에서 다시 만나게 되었다.

그리고 2020시즌 말엽 콘도와 이와쿠마도 은퇴를 선택하면서 남은 선수는 사카구치 단 한명. 그 사카구치도 2022년 시즌을 끝으로 은퇴를 선언하면서 킨테츠는 완전히 역사의 영역이 되었다.

2022년 일본시리즈에서 오릭스 버팔로즈가 우승하면서 마침내 킨테츠-오릭스로 이어지는 버팔로즈 팀명을 사용한 팀이 61년[40] 만에 우승에 성공했다. 다만, 2010년대 후반 이후 오릭스는 킨테츠 시절과 다르게 일본프로야구에서 가장 투수 뎁스가 튼튼한 팀이고, 재정도 12구단 중 가장 튼튼하다.

3. 출신 OB

괄호 안은 재적 연도, 굵은 글씨는 오릭스와의 합병 당시에 재적 중이었던 팀 최후의 멤버

3.1. 영구 결번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c2f42> 파일:킨테츠 버팔로즈 화이트 심볼.svg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
영구 결번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No.1
스즈키 케이시
}}}}}}}}} ||

3.2. 역대 1라운드 지명 선수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400><tablebordercolor=#0c2f42><tablebgcolor=#0c2f42> 파일:킨테츠 버팔로즈 화이트 심볼.svg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
역대 1라운드 지명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쇼와 시대 ]
{{{#555555,#aaaaaa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1965년 ~ 1988년
1965년 1966년 1차 1966년 2차 1967년 1968년
타바타 켄지로(2)
(田端謙二郎)
카토 에이지
(加藤英治)
카도노 토시지
(門野利治)
미와타 카츠토시(4)
(三輪田勝利)
미즈타니 히로시
(水谷宏)
1969년 1970년 1971년 1972년 1973년
오오타 코지
(太田幸司)
이치하시 히데히코
(市橋秀彦)
사사키 쿄스케
(佐々木恭介)
나카네 마사히로
(仲根正広)
우카이 카츠오
(鵜飼克雄)
1974년 1975년 1976년 1977년 1978년
후쿠이 야스오
(福井保夫)
나카노 히데아키
(中野英明)
쿠보 야스오
(久保康生)
카네미츠 코지(4)
(金光興二)
토우키 켄야(1)
(登記欣也)
1979년 1980년 1981년 1982년 1983년
후지하라 야스유키(1)
(藤原保行)
이시모토 요시아키(1)
(石本貴昭)
카네시로 노부오(2)
(金城信夫)
카토 테츠로
(加藤哲郎)
오노 카즈요시(2)
(小野和義)
1984년 1985년 1986년 1987년 1988년
사사키 오사무(2)
(佐々木修)
히야마 야스히로(1)
(桧山泰浩)
아와노 히데유키(2)
(阿波野秀幸)
타카야나기 이즈미(1)
(高柳出己)
요네자키 쿤지
(米崎薫臣)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헤이세이 시대 ]
{{{#555555,#aaaaaa
1989년 ~ 2018년
1989년 1990년 1991년 1992년 1993년
노모 히데오(2)
(野茂英雄)
테라마에 마사오(1)
(寺前正雄)
타카무라 히로시
(髙村祐)
코이케 히데오
(小池秀郎)
사카이 히로키(3)
(酒井弘樹)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타나카 히로카즈(1)
(田中宏和)
후쿠도메 코스케(2)(4)
(福留孝介)
마에카와 카츠히코
(前川勝彦)
마키 마사키(1)(3)
(真木将樹)
우다카 신지(3)
(宇高伸次)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미야모토 다이스케(1)
(宮本大輔)
야마모토 쇼고(3)
(山本省吾)
아사이 히데키
(朝井秀樹)
사카구치 토모타카(1)
(坂口智隆)
카츠키 료타(3)
(香月良太)
2004 시즌 이후 오릭스 블루웨이브에 흡수 합병
}}}}}}}}}}}} ||
(1) 하즈레 1라운더: 첫 지명에서 중복 지명된 선수의 교섭권 획득에 실패했을 때 차순위로 선택한 선수.
(2) 중복 지명 추첨 성공.
(3) 역지명, 희망 입단 범위: 1993년부터 2006년까지 존재한 제도로, 선수를 확정적으로 획득할 수 있었다.
(4) 지명 후 미입단,
}}}}}}}}} ||

3.3. 투수

3.4. 포수

3.5. 내야수

3.6. 외야수

3.7. 감독

3.8. 최후의 멤버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의 마지막 해였던 2004년의 멤버들이다.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의 영구 결번

3.8.1. 감독 및 코칭스태프

3.8.2. 투수

3.8.3. 포수

3.8.4. 내야수

3.8.5. 외야수

4. 유니폼

4.1. 1966 ~ 1973 전기리그

파일:buffaloes66u.jpg
LA 다저스의 유니폼에서 모티브로 딴 유니폼. 필기체 로고가 처음으로 도입되었다. 홈/원정 색은 이전과 동일하게 흰색/회색.

모자와 스타킹은 보스턴 레드삭스를 본땄는데, 모자 로고가 K(킨테츠)와 B(버팔로즈)를 합친 형태에서 K를 뗀 보스턴 레드삭스와 비슷한 형태인 B로 바뀌었고, 스타킹은 윗부분이 짙은 남색에 3개의 두꺼운 흰 선이 그려진 형태, 아랫부분이 주황색인 디자인이었다. 왼쪽 어깨엔 킨테츠 버팔로즈를 상징하는 맹우 로고가 그려져 있었다.

중간인 1968년에 홈 유니폼 폰트가 둥글게 바뀌었고, 1972년엔 모자챙이 주황색으로 바뀌었으며, 1969~71년엔 B 로고 대신 맹우 로고를 그려넣은 헬멧을 따로 쓰기도 했다. 참고로 맹우 로고가 그려진 헬멧은 1974년 디자인 변경 후에도 모자챙만 빨간색으로 바뀐 형태로 종종 사용되었다. 얼터 헬멧이라고 봐도 좋을 듯.

4.2. 1973 후기리그

파일:buffaloes73u.jpg
1973년 전기리그를 최하위로 마치자 분위기를 바꿀 겸 칙칙하기만 한 팀 컬러를 바꿔보려 한 건지 목, 어깨 끝부분, 바지 옆면에 남색-빨간색의 이중선을 도입하고, 스타킹을 주황색의 단색 스타킹으로 바꿨다. 그러나 후기리그도 최하위로 마치면서 반년밖에 가질 못했다.

4.3. 1974 ~ 1996

파일:buffaloes74u.jpg
1974 ~ 1976년[60]
파일:buffaloes78u.jpg
1977 ~ 1996년

무려 23년 동안이나 사용한, 킨테츠 버팔로즈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유니폼. 주황색을 버리고 빨간색을 새로이 팀 컬러에 도입했다. 유니폼은 70년대의 애틀란타 브레이브스 유니폼[61]에서 모티브를 따왔다.

유니폼을 단추형에서 라운드넥형 벨트레스 유니폼으로 바꿨으며, 스타킹은 1973년 전기리그 때까지 쓴 디자인을 주황색을 빨간색으로 바꿔 재도입했고 모자 챙과 로고가 주황색에서 빨간색으로 바뀌었다. 어깨 부분은 빨간색을 새로이 넣었고, 그에 맞춰 어깨의 맹우 로고도 애틀란타 브레이브스가 당시 유니폼에 사용한 로고와 엇비슷한 로고로 바뀌었다. 허리 부분은 남색 선에 빨간색 바탕.

후에 1977년부터 새로이 디자인이 바뀌는데, 어깨 부분의 로고가 다시 맹우 로고로 돌아왔고 맹우 로고의 색깔이 남색으로 바뀌었다.(눈 부분은 빨간색) 이듬해인 1978년엔 선수명을 도입하면서 다시 벨트를 도입했고, 이해 후기리그부터 그때까지 쓰던 남색 모자를 버리고 그 유명한 3색 모자를 도입한다. 모자 형태는 챙은 빨간색, 앞부분은 하얀 바탕에 KINTETSU BUFFALOES맹우 로고가 그려져 있고, 앞부분 위쪽과 뒷부분은 남색, 옆부분은 빨간색의 형태로 이뤄져 있었다. 지금도 킨테츠 버팔로즈 하면 떠오르는 가장 유명한 모자. 참고로 이 모자의 모티브를 따온 것은 몬트리올 엑스포스.

만년 최하위권 지하철 구단이란 오명을 씻고 1975년 후기리그 우승, 1979년 첫 퍼시픽리그 우승, 1980년 리그 연패, 1989년 극적 리그 우승을 달성했지만, 반면 가을야구에선 에나츠의 21구로 유명한 1979년 일본시리즈에서의 통한의 패배, 첫 우승까지 단 1승만 남겨두고 리버스 스윕을 당한 1989년 일본시리즈 등 비운의 콩라인으로 남게 된 유니폼이기도 하다(...)

KBO 리그태평양 돌핀스의 1994~1995년 유니폼이 이 유니폼을 차용한 것으로 보인다.

4.4. 1997 ~ 2004 홈 유니폼

파일: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긴데쓰2.jpg
교세라 돔 오사카로 홈구장을 바꾸면서 유니폼을 새로이 일신했는데, 유니폼에서 빨간색이 사라지고 다시 흰색 단색으로 바뀌었고 어깨 부분의 맹우 로고는 새로 나온 구단 마스코트인 버필리드의 얼굴로 바뀌었다. 단, 목 부분과 어깨, 팔 끝부분, 바지 옆면에 남색 라인을 새로 도입하였다. 구단 로고도 새롭게 디자인되었으며 메인 로고와 등번호 색깔이 주황색으로 바뀌었다.[62] 모자와 스타킹도 다시 남색 단색으로 바뀌었고, 모자에 쓰여 있던 팀명이 사라졌다. 선수명은 푸른색으로, 모자의 맹우 로고는 흰색으로 변경.

4.5. 1997 ~ 1998 원정 유니폼

파일:buffaloes97vu.jpg
1997년 홈 유니폼의 새 디자인 적용과 함께 원정 유니폼도 변경 되었다. 원정 유니폼 로고도 홈 유니폼과 같은 형태로 새롭게 디자인되었으며 빨간색과 짙은 남색의 두 가지 유니폼을 원정 유니폼으로 채택했다. 상의의 어깨, 목 부분의 선은 색 구분을 위해 흰색으로 변경.

빨간색 유니폼은 금요일~일요일 원정경기 때, 짙은 남색 유니폼은 화요일~목요일 원정경기 때[63] 입었다고 한다. 바지와 어깨 부분의 버필리그 얼굴 로고는 홈과 동일했고, 목 부분과 어깨, 팔 끝부분에 흰색 라인을 새로 도입하였다.

등번호와 선수명의 경우, 등번호는 빨간색과 짙은 남색 버전 모두 앞부분은 푸른색으로 동일했지만 뒷부분의 등번호는 빨간색 버전은 똑같이 푸른색으로 한 반면 짙은 남색 버전은 홈과 똑같이 주황색으로 했다.(선은 흰색) 선수명의 경우는 빨간색 버전은 흰색, 짙은 남색 버전은 홈과 똑같이 푸른색.(마찬가지로 선은 흰색) 어깨 부분의 버필리그 얼굴 로고는 홈과 동일.

다만 이 시기의 유니폼은 이전까지의 팀 컬러를 찾기 힘들고, 디자인도 이전에 비해 다소 밋밋해 보였는지 2001년 우승 때까진 별로 좋은 반응을 얻지 못했다고 한다. 특히나 빨간색 유니폼은 팬/선수단 모두에게 심한 반발을 얻었는데, 사실 짙은 남색 유니폼은 본래는 사용할 계획이 없었으나 팬/선수단 모두의 빨간색 유니폼에 대한 반발이 너무 심해서 급하게 도입한 것이었다고 한다.

4.6. 1999 ~ 2004 원정 유니폼

파일:attachment/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긴데쓰3.jpg
1999년에 연고지인 오사카를 팀명에 반영해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가 되면서, 킨테츠(Kintetsu)라 적혀있던 유니폼의 원정 유니폼 로고도 오사카(Osaka)로 바뀌었다.[64] 하지만 빨간색 유니폼은 결국 팬/선수단의 반발을 이기지 못하고 1999년을 끝으로 퇴출당하고 말았다.

5. 응원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응원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구단 출신 메이저리거

7. 역대 성적

­ 리그 우승[65]
­ 2위
­ 3위
B클래스
<rowcolor=#ffffff> 연도 정규시즌 순위 최종순위 팀이름 경기수 승률 포스트시즌
1950 7위/7팀 <colbgcolor=#0066b3><colcolor=#ffffff> 7위 킨테츠 펄스 120 44 72 4 .379
1951 7위/7팀 7위 98 37 56 5 .398
1952 7위/7팀 7위 108 30 78 0 .278
1953 7위/7팀 7위 120 48 69 3 .410
1954 4위/8팀 4위 140 74 63 3 .540
1955 5위/8팀 5위 142 60 80 2 .429
1956 5위/8팀 5위 154 68 82 4 .455
1957 6위/7팀 6위 132 44 82 6 .356
1958 6위/6팀 6위 130 29 97 4 .239
1959 6위/6팀 6위 킨테츠 버팔로 143 39 91 3 .300
1960 6위/6팀 6위 131 43 87 1 .331
1961 6위/6팀 6위 140 36 103 1 .261
1962 6위/6팀 6위 킨테츠 버팔로즈 131 57 73 1 .439
1963 4위/6팀 4위 150 74 73 3 .503
1964 6위/6팀 6위 150 55 91 4 .377
1965 6위/6팀 6위 140 46 92 2 .333
1966 6위/6팀 6위 133 48 82 3 .369
1967 6위/6팀 6위 132 59 71 2 .454
1968 4위/6팀 4위 135 57 73 5 .439
1969 2위/6팀 2위 130 73 51 6 .589
1970 3위/6팀 3위 130 65 59 6 .524
1971 3위/6팀 3위 130 65 60 5 .520
1972 2위/6팀 2위 130 64 60 6 .516
1973 전기 6위/6팀
후기 6위/6팀
6위 130 42 83 5 .336
1974 전기 5위/6팀
후기 4위/6팀
5위 130 56 66 8 .459
1975 전기 3위/6팀
후기 1위/6팀
2위 130 71 50 9 .587 플레이오프 (1-3 vs 한큐)
1976 전기 5위/6팀
후기 4위/6팀
4위 130 57 66 7 .463
1977 전기 3위/6팀
후기 6위/6팀
4위 130 59 61 10 .492
1978 전기 2위/6팀
후기 2위/6팀
2위 130 71 46 13 .607
1979 전기 1위/6팀
후기 2위/6팀
우승 130 74 45 11 .622 플레이오프 (3-0 vs 한큐)
일본시리즈 (3-4 vs 히로시마)
1980 전기 2위/6팀
후기 1위/6팀
우승 130 68 54 8 .557 플레이오프 (3-0 vs 롯데)
일본시리즈 (3-4 vs 히로시마)
1981 전기 2위/6팀
후기 5위/6팀
6위 130 54 72 4 .429
1982 전기 1위/6팀
후기 3위/6팀
3위 130 63 57 10 .525
1983 4위/6팀 4위 130 52 65 13 .444
1984 4위/6팀 4위 130 58 61 11 .487
1985 3위/6팀 3위 130 63 60 7 .512
1986 2위/6팀 2위 130 66 52 12 .559
1987 6위/6팀 6위 130 52 69 9 .430
1988 2위/6팀 2위 130 74 52 4 .587
1989 1위/6팀 우승 130 71 54 5 .568 일본시리즈 (3-4 vs 요미우리)
1990 3위/6팀 3위 130 67 60 3 .528
1991 2위/6팀 2위 130 77 48 5 .616
1992 2위/6팀 2위 130 74 50 6 .597
1993 4위/6팀 4위 130 66 59 5 .528
1994 2위/6팀 2위 130 68 59 3 .535
1995 6위/6팀 6위 130 49 78 3 .386
1996 4위/6팀 4위 130 62 67 1 .481
1997 3위/6팀 3위 135 68 63 4 .519
1998 5위/6팀 5위 135 66 67 2 .496
1999 6위/6팀 6위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
135 54 77 4 .412
2000 6위/6팀 6위 135 58 75 2 .436
2001 1위/6팀 우승 140 78 60 2 .565 일본시리즈 (1-4 vs 야쿠르트)
2002 2위/6팀 2위 140 73 65 2 .529
2003 3위/6팀 3위 140 74 64 2 .536
2004 5위/6팀 5위 133 61 70 2 .466
<rowcolor=#000000> NPB 통산 55시즌 4회 우승 7252 3261 3720 271 .467 일본시리즈 0회 우승

8. 관련 문서

9. 둘러보기

파일:킨테츠 그룹 로고 타입1.png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68b3 0%, #0068b3 20%, #0068b3 80%, #0068b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현행 계열사
지주회사 <colbgcolor=#fff,#1f2023>킨테츠 그룹 홀딩스
철도 사업 킨키 일본 철도 | 나라이코마 고속철도 | 이가 철도 | 요로 철도 | 욧카이치 아스나로 철도
버스 사업 킨테츠 버스 홀딩스 (킨테츠 버스 | 나라 교통 | 엔씨버스 | 나라 관광버스 | 메이코 버스 | 키타닛폰 관광자동차 | 보초 교통 | 보초 관광버스) | 미에 교통그룹 홀딩스 (미에 교통 | 산코 이세시마 교통 | 핫푸 버스 | 미에 급행 자동차 | 메이한 킨테츠 버스)
택시 사업 킨테츠 택시 홀딩스 (킨테츠 택시 | 기후 킨테츠 택시 등) | 나라 킨테츠 택시 | 킨테츠 토비 택시 | 산코 택시
유통 사업 킨테츠백화점 | 킨테츠 리테일 홀딩스 (킨테츠 리테일 | 킨쇼스토어) | 산코 크리에이티브 라이프 | 나코 라이프
운송 사업 킨테츠 익스프레스 | 나라우편운송 | 시마 마린 레저 | 국도 94 페리 | 벳푸 로프웨이 | 나라오쿠야마 자동차도
부동산 사업 킨테츠 부동산 | 산코 부동산
문화 사업 야마토 문화관 | 쇼하쿠 미술관 | 아베노하루카스 미술관 | 하나조노 킨테츠 라이너스
운영 시설 아베노하루카스 | 아베노 and | 아베노 Loop | 아베노아폴로 | 아베노루시아스 | 우에혼마치 YUFURA | 이코마산조 유원지 | 시기이코마 스카이라인 | NIFREL | 텐포잔 하버 빌리지
레저 사업 KNT-CT 홀딩스 (킨키 일본 투어리스트 | 코퍼레이트 | 클럽 투어리즘) | 메이한 킨테츠 여행 | 킨테츠 미야코 호텔 (미야코 호텔&리조트) | 산코 인 | 토바 시사이드 호텔 | 카시코지마 호조엔 | 킨에이 | 시마 스페인무라 | 나코 푸드 | 가이유칸 | 고베 키타노 호텔
기타 사업 킨키차량 | 킨테츠 차량 엔지니어링 | 전일본 컨설턴트 | 대일본토목 | 킨테츠 정보시스템 | 킨테츠 케이블 네트워크 | 코마토리 케이블 | KCN 교토 | 킨테츠 보험서비스 | 나코 자동차정비 | 미에 이스즈자동차
과거 계열사
버스 사업 도쿄 킨테츠 관광버스
유통 사업 킨테츠 마츠시타백화점 | 에이엠피엠 킨테츠
운송 사업 킨테츠 물류 | 후쿠야마 통운
부동산 사업 킨테츠 부동산 | 산코 부동산
문화 사업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 | OSK 일본가극단 | 킨테츠극장
운영 시설 후지이데라 구장 | 히가시오사카 하나조노 럭비장 | 도쿄 킨테츠빌딩 | 킨테츠 아야메이케 유원지 | 후시미모모야마성 캐슬랜드 | 시마 마린랜드
레저 사업 나라호텔
기타 사업 킨테츠모터스
}}}}}}}}}}}} ||



[1] 일본식 이름은 킨죠 아키요(金城 晃世). 재일교포 2세.[2] 일본식 이름은 키쿠무라 토쿠요(菊村 徳用). 좌투수로 무려 1라운더임에도 1군에 데뷔하지 못했으며, 2군 선수였음에도 롯데, 세이부, 긴테쓰 3팀을 거친 특이한 이력의 투수. 1984년엔 롯데 자이언츠에 입단하여 1년간 뛰었다. KBO 리그 통산 6경기 19이닝 1승2패 ERA 5.21.[3] 킨테츠 소속 한국 국적 선수들 중에서 유일한 한반도 출신 선수.[4] 일본식 이름은 카나자와 노부히코(金澤信彦). 재일교포.[5] 일본식 이름은 히야마 야스히로(檜山泰浩). 재일교포.[6] (石山一秀). 재일교포 출신의 한국계 일본인 일수강점기 시즌 당시 두산베어스 감독이었던분 맞다[7] (金村 義明). 재일교포 출신의 한국계 일본인.[8] (小山昌男). 재일교포 출신의 한국계 일본인.[9] (新井宏昌). 재일교포 3세 출신의 한국계 일본인.[10] (光山 英和). 재일교포 출신의 한국계 일본인.[11] Buffalo의 복수형은 Buffalo 또는 Buffaloes이다. 즉 Buffalo 자체도 복수형이므로 바꾸기 전에도 복수형이었다.[12] 2위는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1978년, 3위는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1975년. 참고로 2위인 야쿠르트와 1위인 킨테츠 이 두 구단에서 우승을 이끈 주역이 있으니 그가 바로 前 만패 필라델피아 필리스 감독인 찰리 매뉴얼. 특히 매뉴얼은 1979년에 양대리그 출범 이후 외국인선수 최초로 MVP를 수상했다.[13] 정확히는 1979년 이전인 1975년 후기리그 우승을 하고 그 해 승률 1위까지 올랐으나, 플레이오프에서 전기리그 우승팀이자 그 해 승률 2위 한큐 브레이브스에게 패배하면서 울분을 삼켜야 했다(...) 근데 4년 뒤인 1979년 첫 우승 땐 오히려 전기리그 우승팀 킨테츠가 승률 2위, 후기리그 우승팀 한큐가 승률 1위였다(...)[14] 특히 1979년 일본시리즈는 7차전 9회말에 벌어진 이른바 에나츠의 21구로 인해 아깝게 놓쳤고, 1980년에도 3승 4패로 히로시마에 우승컵을 내 주었다(...) 심지어 두번 모두 2승을 먼저 따내고 무너졌다(...)[15] 거기다 리버스 스윕이 결정된 7차전이 홈구장이었던 후지이데라 구장에서 열렸다!(...)[16] 야쿠르트도 긴테츠 못지 않은 핵타선을 보유하고 있었다. 페타지니, 라미레스, 이나바, 후루타, 이와무라 등이 대표적이다.[17] 당시 1무를 0.5승 0.5패로 계산했기 때문이다. 현행 규정대로 계산한다면 승률 .230이 되어 아예 단독 최하위가 된다.[18] 참고로 시즌 100승팀은 아직 안 나왔다. 1955년 츠루오카 카즈토 감독이 지휘하던 난카이 호크스가 100승에 단 1승 모자란 99승을 거둔 것이 최고 기록이다. 근데 일본시리즈에서 교진군에 패배[19] 당시 리그 최하위 팀을 해체하기로 결정했으나, 4게임 차이로(근데 6위;;) 어찌저찌 탈꼴찌 하면서 해체는 면했다. 그 대신 최하위로 떨어지며 높으신 분들에게 찍혀버린 다이에이 유니온즈는 마이니치 오리온즈와 합병당하며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나중에 킨테츠도 다이에이 뒤를 따라가지만 그건 먼 훗날 일 근데 이게 자업자득이었던 게, 최하위팀 해체를 제안한게 다름아닌 모기업인 다이에이의 사장이자 유니온스의 구단주였던(...) 나가타 마사이치였기 때문! 그전까지 맨날 최하위였던 킨테츠가 이번시즌도 최하위일 꺼라 생각해서 이걸 노린 발언이었지만 결과는...[20] 대신 고바 감독은 이듬해인 1980년 팀을 2년 연속 일본시리즈 우승으로 이끌며 기어코 쇼리키상을 수상했다.[21] 현재까지 리그 우승만으로 쇼리키상을 수상한 감독은 니시모토와 호시노 센이치(2003년)뿐이다. 다만 호시노는 2013년에 라쿠텐을 이끌고 기어코 일본시리즈 우승을 거두어(쇼리키상도 한 번 더 탄다.) 그 한을 풀었고, 리그 우승을 하지 못하고도 수상한 오 사다하루(2006년)도 있지만, 오는 대표팀을 이끌고 1회 WBC에서 우승하여 수상한 것.[22] 남코의 고전 야구 게임인 패미스타 초기작에서는 용량 문제로 이 두 구단에 난카이 호크스를 합해 '레일웨이즈'라는 철도 구단으로 퉁쳐서 수록되기도 하였다. 식품 회사가 모기업이었던 롯데 오리온즈닛폰햄 파이터즈는 '푸즈푸즈'로 통합.(...) 퍼시픽리그 구단 중 제대로 수록된 팀은 일본시리즈의 단골손님이었던 세이부 라이온즈(라이오넬즈)한 팀 뿐. 당시 퍼시픽리그가 얼마나 인기가 없었는지를 보여주는 일화이다.[23] 하지만 거대하고 비싼 교세라 돔 오사카를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의 인기는 아니었다.[24] 한번 발동이 걸리면 당시 황금시대를 보내고 있던 세이부 라이온즈조차 라이온 킹 초반부에 들소떼에 치어서 사망하는 무파사 꼴이 나곤 했다. 그 예측 불가능성 때문에 당시 세이부가 가장 까다롭게 생각하는 팀이기도 했다.[25] 이해는 결국 오릭스 블루웨이브와 공동 2위를 기록했다. 참고로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는 이해 간만에 A클래스를 유지하며 16년만의 하위권 탈출을 노리고 있었으나 킨테츠가 초월적인 승률을 쌓는 바람에 2위와 승차없이 4위를 기록하게 되었고 A클래스에 입성하는데 4년이나 더 걸렸다(...). 하지만 4년후부터 그 호크스가 파리그를 씹어먹는 강팀이 되었다[26] 이 해가 얼마다 대단했냐하면 팀 ERA가 4.98이었다. 다시 강조하지만 이게 리그 우승팀의 ERA이다. 그것도 거의 시즌 내내 5점대를 유지하다가 시즌 막판 분전으로 간신히 4점대로 끌어내린 ERA이다. 선발로테이션을 담당한 6명의 투수 중에 션 버그만 단 한명을 제외한 5명이 전부 ERA 4.90을 넘어갔으며 로테이션 투수 중 3명이 5점대 ERA을 기록했다.(사실 그 버그만의 ERA도 4.18) 특히 카도쿠라 켄6.48의 ERA로 로테이션의 제3선발 역할을 했다(...) 근데 정작 아이러니하게도 팀방어율 최하위를 찍었으면서 세이브는 38회로 리그 1위를 기록했다(...) 오츠카 아키노리는 방어율이 4점대로 높았지만 클로저 역할을 해줬고, 무엇보다도 셋업맨 오카모토 아키라가 60경기 102.1이닝을 던지며 2.73 ERA를 기록하면서 애니콜로 활약했다. 오카모토는 2003년 이후로 퍼졌지만 아무튼 적어도 구원진은 불질을 막 해대진 않았다는 뜻이니 그놈의 선발진이 문제였다.[27] 그에 비해 '이테마에 타선'(いてまえ打線, 오사카 사투리로 '박살내라'라는 뜻의 속어라고 한다)라 불린 타선은 20홈런 이상이 4명, 특히 3번 로즈와 4번 나카무라 단 두명이서 101홈런, 263타점을 합작해냈으며 5번 이소베는 홈런은 17개였지만 95타점을 뽑아냈다. 3번부터 6번까지 모두 타율 .315를 넘겼으며 7번타자인 요시오카가 26홈런을 쳐낼 정도였다. 이 해의 킨테츠의 리그 성적은 78승 60패 2무 승률 .565였지만 피타고리안 승률은 고작 71승 67패 2무 승률 .514에 지나지 않을 정도였다. 참고로 아쉽게 3연패를 놓친 2위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피타고리안 승률75승 64패 1무 승률 .540(실제 성적은 76승 63패 1무 승률 .547)이니 만약 피타고리안 승률대로 순위가 결정되었으면 이 해 다이에가 리그 3연패를 달성했을지도 모른다. 타선이 얼마나 무시무시했는지를 뒷받침하는 증거. 공격으로 우승한 시즌 답게 우승이 확정되는 순간도 끝내기 만루홈런이었다.[28] 다만 이 타선이 완전체였던 것만은 아닌데, 씹사기 파괴력에 걸맞지 않게(?) 기동력이 영 좋지 않았기 때문. 팀타율 2할 8푼에 팀홈런 211홈런이란 역대급 성적에도 불구, 팀 도루가 꼴랑 35개로 당시 도루순위 5위였던 치바 롯데 마린즈와 20개나 차이 날 정도로 리그 단독 꼴찌였다(...) 이 해 팀 최다 도루가 터피 로즈9개였는데 1번 타자였던 오오무라 나오유키가 고작 5개를 기록했다(...) 사실 오오무라는 통산 도루 203개에 시즌 31도루(2005 시즌)까지 기록해본 적이 있을 정도로 꽤 발이 빨랐는데 99~02 시즌 즈음엔 출루율에 문제가 생겨 도루 시도 자체를 못 했다.[29] 더블헤더 전까지 0.5게임차로 세이부에게 뒤져 있었는데 두 경기를 모두 이기면 퍼시픽리그 우승을 차지하게 되는 것이었다. 결국 1차전은 이겼지만 2차전은 4시간을 넘으면 새로운 이닝에 들어갈 수 없다는 당시 규정 때문에 무승부로 우승 실패(...) 게다가 시간 지연의 주된 원인은 경기 중간에 주루사 판정을 놓고 당시 롯데 감독 아리토 미치요가 격하게 항의했기 때문이었다. 참고로 퍼시픽리그만 따져서는 역대 공식전(정규시즌) TV중계 시청률 1위이다(30.9%). 일본시리즈, 플레이오프를 포함하면 1981년 일본시리즈 최종전이었던 6차전 시청률이 1위(41.2%).[30] 일본프로야구 사상 최강의 용병 중 하나로 꼽히는 랄프 브라이언트(도쿄돔에서 천장을 맞춰 그라운드룰로 인정홈런을 날린 일화가 있는 거포.)가 세이부 라이온즈와의 더블헤더 원정경기에서 4연타수 홈런을 날렸다. 이 4연타수 홈런으로 선두경쟁을 벌이던 오릭스와 세이부를 단 1리 차로 따돌리고 선두경쟁에서 이겼다. 왜 4연타수 홈런이냐 하면 중간에 고의사구가 끼어있었기 때문에 4연타석이 아니다. 더블헤더 1경기에서 3개, 2경기에서 하나인데, 1경기에선 0:5로 지고 있다가 브라이언트 홈런 3발(솔로,만루,솔로)로 6:5로 뒤집어서 승리했고, 2경기에선 2:2 동점에서 결승 솔로. 이 경기가 10월 12일에 있었고 이 경기를 제외하곤 잔여경기가 2경기뿐이었다. 그야말로 필요한 순간에 나온 엄청난 임팩트.[31] 시리즈 3연승으로 스윕시리즈 직전까지 갔으나, 3차전 승리 투수였던 카토 테츠로가 경기 후 인터뷰에서 "요미우리 타자들 박력이 모자르네요. 차라리 롯데 타자들이 더 무섭네요."라 조롱해 요미우리 타자들의 기를 되려 살려줬다. 참고로 1989 시즌 파리그 최하위가 롯데 오리온즈(...) 한편 이 인터뷰는 공개된 장소도 아닌 라커룸으로 향하는 통로에서 행해진 인터뷰였고 3연패로 몰리던 요미우리의 기를 살리기 위해 요미우리빠 기자들에 의해 발언의 취지가 왜곡되어 기사화되었다는 진실이 숨어있었다. 가토는 롯데는 언급도 안 했고 기자들이 낚시성으로 "요미우리의 타선이 롯데보다 더 약해보이지 않냐?"는 질문에 "거인은 투수력으로 우승한 팀이라서 그런지 타선은 좀..."이라고 대답했는데, 기자들이 가토의 발언을 멋대로 왜곡해 기사로 쓴 것. 어쨌든 그 때문에 요미우리 선수단이 분개한 것은 사실이고, 이 시리즈 5차전에서 하라 타츠노리가 부진을 씻는 홈런으로 시리즈의 불씨를 다시 되살렸다. 그리고 그 후는...[32] 당시 3년 연속 리그 우승에 도전하던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와 시즌 막판까지 치열한 격전 끝에 2.5게임 차이로 따돌리고 우승을 차지했다. 혹자에 의하면 나온 홈런에 붙일 수 있는 수식어는 다 붙은 홈런이라고도 한다. 투아웃에 볼카운트 2-3가 빠지기는 했지만... 이 때 홈런을 친 선수가 2012년 한때 이대호와 클린업 트리오를 맡기도 했던 키타가와 히로토시 였다(키타가와는 2012년을 끝으로 현역에서 물러나 오릭스 버팔로즈의 2군 타격 코치로 임명되었다). 그리고 동영상을 잘 보면 우승 축하 세레머니에서 카도쿠라 켄, 오츠카 아키노리, 제레미 파웰, 이와쿠마 히사시등도 보인다. 기구하게도, 마지막 리그 우승의 제물이 된 상대는 몇 년 뒤 그 비참하게 제물이 된 곳의 새 주인이 되었다.[33] 리그 우승을 결정짓는 대타 끝내기 만루홈런은 일본에서만 나왔다. 한국에서는 정규시즌 우승을 확정지을 때, 미국에서는 챔피언십 시리즈에서 4승째를 거둘 때, 대만에서는 전기나 후기 리그 우승을 확정지을 때 해야 하는데, 매우 힘들다. 게다가 이 홈런은 만루홈런이 아니면 역전이 불가능한 3점차로 뒤진 상황에서 나왔다. 앞으로도 이정도 조건을 갖춘 상태에서 이런 홈런이 나오는 건 3국리그 통틀어서 거의 불가능할 듯. 일단 그런 상황 자체를 만들기가 힘들다. 한국, 일본, 미국, 대만을 통틀어서 그런 상황을 만들 수 있는 게임 수부터가 1년에 7게임으로 국한되는데다 9회까지 3점차로 뒤지고 있으면 상대팀은 자동으로 자기 팀의 주전 마무리 투수를 투입한다. 그런 투수를 상대로 만루찬스를 만드는 것 자체가 지극히 어려운 일이다. 그렇게 만루찬스를 만들고 나서 대타를 투입해야 하는데 상황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일단 대타라면 적어도 자기 포지션에서 주전자리에서 밀리는 애매한 기량의 선수인 경우가 많다. 그런데 그 선수가 상대팀 마무리 투수의 공을 받아쳐서 담장을 넘겨야 되니...[34] 만일 이 경기에서 오릭스가 이겼으면 오릭스가 3위로 올라가고 세이부가 승차없이 4위로 추락하여 1982년부터 이어져온 세이부의 A클래스 기록이 깨질뻔했는데 기적의 만루홈런이 나옴으로써 세이부의 A클래스의 기록은 2006년까지 이어져 올수 있었다. 세이부: 늬들덕에 살았다.[35] 라쿠텐이 킨테츠의 해산으로 인해 생겨난 팀인걸 생각하면...[36] 아직도 일본 프로야구 기록...마쓰자카도 다르비슈도 8개구단의 지명을 받지는 못했다. 이와쿠마는 드래프트 4순위.[37] 킨테츠 해체 8년 후인 2012년 이나오 카즈히사의 24번이 니시테츠 라이온즈의 후신구단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에서 영구 결번으로 제정되며 다시 퍼시픽리그에 영구 결번이 생겼다. 사실 정확히는 2010년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가 제정한 오오코소 요시노리의 100번이 먼저지만 오오코소는 선수가 아니라 구단 오너 겸 모기업 사장이었던 데다 일본프로야구 규정상 지배하 선수, 코치들은 두자릿 수 번호까지만 사용 가능하고 세자릿 수부터는 육성선수, 구단 스태프들만 사용 가능하게 되어 있어서 제외.[38] 9월 27일 고베구장 원정경기. 하필 마지막 상대가 합병 대상이었던 오릭스 블루웨이브였다. 경기는 2:7로 패배. 승리투수는 구대성, 패전투수는 이와쿠마 히사시.[39] 1970년대~80년대 킨테츠에서 포수로 맹활약한 프랜차이즈 스타. 킨테츠 해체 이후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에서도 리그 우승을 이룩하는 등 감독으로서 상당한 커리어를 쌓는다. 일본시리즈 우승을 못 해서 그렇지.[40] 킨테츠:1962년~2004년, 오릭스:2005년~2022년[41] 여담으로 이 당시 타이요에서는 나가시마 시게오를 차기 감독으로 초청할 계획도 있었기에 감독 취임 조건에 나가시마가 감독직을 수락하면 교대한다는 조건이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그 계획은 끝내 실현되지 않았다.[42] 이 갈등이 노모 히데오가 메이저리그 진출을 결심한 결정적인 계기가 된다.[43] 고교에서의 혹사 여파로 인해 1군에서 패전처리로 연명하던 1970~72년에 3년 연속 올스타전 팬투표 1위를 차지할 정도였다. 당시 킨테츠가 지하철 야구단이라고 야유받던 만년 B클래스 비인기팀인 점을 생각하면 그의 인기가 어느 정도인지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다만 저 3년 연속 팬투표 1위에 뽑힐 당시 킨테츠는 암흑기를 끝내고 4년 연속 A클래스를 찍을 만큼 그럭저럭 잘 나가고 있었다.[44] 1990년 시즌부터 보크 규정이 강화되었는데, 당시 상대팀에서 아와노의 투구폼을 두고 집요하게 항의를 했다. 이로 인해서 투구폼을 바꾸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아와노의 본래 투구폼을 잃게 되고, 이전의 혹사 후유증까지 겹치면서, 1990년 시즌을 기점으로 성적이 내리막길을 걷게 되었다.[45] 짝수 해에 치뤘으니 당연히 7차전 개최 구장은 히로시마 시민 구장이다.[46] 2018년 6월에 사임[47] 나시다에게 출장기회 등이 밀렸지만 정작 선수생명은 나시다보다 더 길었다.[48] 포수마스크는 나카오 다카요시가 거의 혼자서 썼고 본인은 대타로만 출장.[49] 본명은 하루토시다.[50] 그 다음(41번째) 사이클링 히트는 3년 후 헤이세이 시대 원년인 1989년 7월 13일 세이부 라이온즈아키야마 코지가 대 킨테츠 버팔로즈 전에서 달성했다. 참고로 헤이세이 시대 최후의 사이클링 히트 기록은 2019년 4월 9일 한신 타이거스우메노 류타로가 대 요코하마 디엔에이 베이스타즈 전에서 달성한 74번째 사이클링 히트이다.[51] 2020년 시즌 예상을 하라니까 대놓고 오릭스가 우승한다고 찍었다(...) 다른 평론가들은 죄다 오릭스가 꼴등을 하거나 잘 쳐줘도 5위로 예상한 판에...[52] 가장 유명한 논란이 후지나미 신타로가 코로나 19에 걸렸을 때 그룹섹스 찌라시가 일본과 한국에서 돌았고 한국에서는 거의 정설취급을 받았는데, 이 찌라시는 이 사람이 근거도 없이 말한 것으로부터 시작. 주의가 필요하다며 일축되었던 2021년 한신 타이거스 사인 훔치기 논란을 비시즌에 재점화 시킨것도 이 사람이다.[53] 태어날 때부터 그랬다든지, 고등학교 시절 선배에게 구타당한 후유증이 원인이라는 2가지 얘기가 있다. 정확한 사유는 불명.[54] 첫 출장은 1986년으로, 이땐 감독 추천 제도로 출장하였다. 그 해에도 1차전에서 MVP를 수상했다.[55] 이때 홈런을 맞은 투수였던 시노하라 타카유키는 이날 이전까지 14승 무패를 기록해 1981년 닛폰햄 파이터즈마시바 시게쿠니 이래 2번째의 승률 10할 투수를 노리고 있었지만, 이 경기에서 야마모토에게 홈런을 맞고 패전투수가 되어 무패기록이 깨져버렸다.[56] 단수형이다. 이후 치바 감독이 퇴임한 후 명칭을 복수형인 버팔로즈로 바꾼다.[57] 다음날 가와지리가 이종범을 찾아가 사과를 했고, 그 이후 부터 이종범을 상대로 몸쪽 승부를 하지 않았다고 한다.[58] 그것도 선발로 2시합에 출장했는데 그 중 1번은 무려 완봉을 기록했다(...)[59] 이와쿠마 히사시는 2020년을 끝으로 은퇴. 2020년을 끝으로 방출당한 콘도 카즈키 역시 새 팀을 구하지 못하고 독립리그로 떠나면서 사실상 프로 커리어가 끝났다. 때문에 현역 투수는 완전히 사라졌고 타자만 놓고 보면 사카구치가 최후의 현역 선수.[60] 그림에 보면 알겠지만 1977년에 어깨 부분의 맹우 로고를 원상복구했다.[61] 우리가 아는 그 빨간색 위주의 유니폼이 아니며,(한큐 브레이브스가 바로 우리가 아는 그 빨간색 위주 유니폼을 그대로 가져간 사례다) 이 시기엔 파란색 위주의 유니폼을 사용했다. 참고로 행크 애런이 홈런 신기록을 달성할 때 입은 유니폼이기도 하다.[62] 다만 이때의 주황색은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도 쓰던 빨간색에 좀 더 가까운 주황색의 형태였다.[63] 원래는 야간 원정경기 때 빨간색 유니폼을, 낮 원정경기 때 짙은 남색 유니폼을 사용할 계획이었지만 사용도를 양쪽 다 적절히 맞추기 위해 변경되었다고 한다.[64] 이는 한신에게 밀리는 입지를 타파하고자 낸 고육지책에 가까웠으나 당시 한국에서는 일본에서는 기업명이 있더라도 지역명을 우선시 하면서 지역팬들을 생각하는데 한국에서는 기업명을 우선시한다면서 팬들이 비판을 하는 좋은 소재가 되었다. 참고로 2024년 기준 이렇게 하는 팀은 지역명을 모기업명으로 쓰는 한신 타이거스를 빼면 요미우리 자이언츠,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그리고 히로시마 도요 카프이다. 닛폰햄과 세이부는 병기를 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지역명을 아예 넣지 않는다.[65] 볼드체는 일본시리즈 우승. 그런데 알다시피 횟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