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30 12:35:44

대구 버스 성서3

성서3번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f6af30>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노선
}}}
[[틀:대구광역시 직행버스|{{{#!wiki style="border: 1px solid #d82026; 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3px; color: #d82026"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6af30><colcolor=#fff> 가창
서구
남구
달서
달성
동구
북구
성서
수성
칠곡
팔공
행사
[a] 맞춤버스 (지원)운행 노선
}}}}}}}}} ||
파일:성서3번.jp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팔달시장 방면4.2. 시간표
4.2.1. 팔달시장방면 시간표
4.3. 일평균 승차량
5. 사건사고6. 연계 철도역7. 둘러보기

1. 개요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 매곡공영차고지에서 달서구 장기동 달서아트센터[1]를 거쳐 다시 매곡공영차고지로 순환 운행하는 우진교통 소속의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다사-세천-장기-세천-다사
다사-세천-장기-이천-다사
다사-이천-팔달시장-이천-다사
다사-이천-장기-이천-다사
다사-세천-팔달시장-세천-다사
다사-이천-장기-세천-다사

2. 노선 정보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성서3.png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성서3번(다사-세천-장기)
기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연화리) 종점 대구광역시 달서구 장기동(달서아트센터)
종점행 첫차 05:40 기점행 첫차 05:35
막차 22:21 막차 22:11
배차 35분(공통 구간 23분)[A]
운수사명 우진교통 인가대수 통합 6대[3]
노선 연화리 - 다사고등학교 - 대실역 - 성서5차산업단지(세천리)[단독][5] - 세천초등학교 - 다사읍행정복지센터서재출장소 - 건영캐스빌 - 와룡고등학교 - 성서고등학교 - 용산지하차도 - 대구지방법원서부지원 - (용산역6번출구→장기영남네오빌[단독]→/←학생문화센터←대구전자공고) - 달서아트센터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성서3번(다사-이천-장기)
기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연화리) 종점 대구광역시 달서구 장기동(달서아트센터)
종점행 첫차 07:12 기점행 첫차 08:14
막차 20:45 막차 21:41
배차 136분(일 9회)(공통 구간 23분)[A]
운수사명 우진교통 인가대수 통합 6대
노선 연화리 - 다사역 - 다사주공아파트 - 다사초등학교 - 이천리 - 다사체육공원 - 달천리 - 박곡리[단독] - 서재문화체육센터 - 건영캐스빌 - 와룡고등학교 - 성서고등학교 - 용산지하차도 - 대구지방법원서부지원 - (용산역6번출구→장기영남네오빌[단독]→/←학생문화센터←대구전자공고) - 달서아트센터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성서3번(다사-이천-팔달시장)
기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연화리) 종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매곡정수사업소)
종점행 첫차 05:30 기점행 첫차 -
막차 16:56 막차 -
배차 일 3회
운수사명 우진교통 인가대수 통합 6대
노선 연화리 - 다사역 - 다사주공아파트 - 다사초등학교 - 이천리 - 다사체육공원 - 달천리 - 박곡리[단독] - 방천리 - 서대구역 - 서부소방서[단독][12] - (북부정류장팔달시장 → 원대시장 → 비산5동행정복지센터[단독]) 이하 역순
기울임체 구간은 양방향 모두 동일 정류장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바람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성서3번(다사-세천-팔달시장)
기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연화리) 종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매곡정수사업소)
종점행 첫차 07:46 기점행 첫차 -
막차 18:22 막차 -
배차 일 2회
운수사명 우진교통 인가대수 통합 6대
노선 연화리 - 다사고등학교 - 대실역 - 성서5차산업단지(세천리)[단독][15] - 세천초등학교 - 다사읍행정복지센터서재출장소 - 방천리 - 서대구역 - 서부소방서[단독][17] - (북부정류장팔달시장 → 원대시장 → 비산5동행정복지센터[단독]) 이하역순
기울임체 구간은 양방향 모두 동일 정류장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바람

3. 역사

4. 특징

4.1. 팔달시장 방면

4.2. 시간표

매곡
(출발)
경유지 장기동 경유지 매곡
(도착)
- - 05:30 세천 06:22
- - 05:50 세천 06:47
05:30 세천 06:30 세천 07:35
05:55 세천 06:55 세천 08:00
06:20 세천 07:20 세천 08:25
06:45 세천 07:49 세천 08:55
07:10 이천 08:16 이천 09:20
07:35 세천 08:45 세천 09:48
08:25 세천 09:30 이천 10:35
08:50 세천 09:55 세천 10:58
09:15 이천 10:17 세천 11:20
09:40 세천 10:43 세천 11:45
10:30 세천 11:33 세천 12:35
10:55 세천 11:58 세천 13:00
11:18 이천 12:20 이천 13:20
11:40 세천 12:43 세천 13:45
12:05 세천 13:08 세천 14:10
12:25 세천 13:28 세천 14:30
12:50 세천 13:53 이천 14:55
13:15 세천 14:18 세천 15:20
13:40 세천 14:42 세천 15:45
14:05 세천 15:08 세천 16:10
14:30 이천 15:32 이천 16:36
14:50 세천 15:53 세천 16:55
15:15 세천 16:18 세천 17:21
15:40 이천 16:43 이천 17:50
16:05 세천 17:09 세천 18:15
16:30 세천 17:34 세천 18:40
17:22 세천 18:32 세천 19:35
17:48 세천 18:56 세천 20:00
18:40 세천 19:45 이천 20:45
19:05 세천 20:08 세천 21:10
19:30 세천 20:34 세천 21:35
19:55 이천 20:57 이천 22:00
20:20 세천 21:21 세천 22:20
20:40 이천 21:40 이천 22:40
21:05 세천 22:05 세천 23:05
21:30 세천 22:30 세천 23:25
21:55 세천 22:55 - -
22:20 세천 23:15 - -

4.2.1. 팔달시장방면 시간표

성서3번 팔달시장 시간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iki style="margin:-5px -1px 0"
연화리서재
금봉타운
이천리
(시내방향)
서대구역
(북측)
팔달시장건너서대구역
(북측)
이천리
(시외방향)
에이스이노텍건너매곡
(종점)
105:30-05:4105:5606:0606:1906:35-06:50
207:4508:18-08:3308:4709:02-09:2609:45
310:05-10:1710:3410:4811:0411:20-11:40
416:56-17:1017:2817:4318:0218:18-18:40
518:1418:50-19:0319:1719:32-19:5620:15
실제 운행시간은 현장 여건 및 도로 교통 상황에 따라 다소 차이가 날 수 있다.
}}}}}} ||

4.3. 일평균 승차량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성서3번
<rowcolor=#fefefe>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854명 -
2015년 835명 ▽ 19
2016년 1,073명 △ 238
2017년 1,120명 △ 47
2018년 994명 ▽ 226
2019년 986명 ▽ 8
2020년 해당 연도 DB 미집계
2021년 710명 ▽ 276
2022년 841명 △ 131
2023년 933명 △ 92

5. 사건사고

6. 연계 철도역

7. 둘러보기

파일:노란바탕휠체어빗금.svg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저상버스 예외 승인 노선
2025년 저상버스 예외 승인 노선 없음
저상버스 도입 예정 노선(2024년 이후 순차적 대폐차)
[[좌석버스|
좌석형
]] · · · · · ·
[[입석|
입석형
]] · · · · · · · ·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 성서 연계 버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급행
간선
지선
출근 7250
성주 250
}}}}}}}}} ||


[1]달서구 첨단문화회관, 웃는얼굴아트센터[A] 공통 구간은 건영캐스빌~달서아트센터 구간.[3] 이 6대 중 일부 차량이 특정 시간대 이천리나 팔달시장으로 빠지며 평일 / 토요일 / 공휴일 모두 구분 없이 6대로 운행[단독] 밑줄 친 구간은 이 노선의 단독구간이다.[5] 세천리와 성서5차산단 안쪽[단독] [A] 공통 구간은 건영캐스빌~달서아트센터 구간.[단독] [단독] [단독] [단독] [12] 서대구역(북측)정류장을 단독으로 정차한다.[단독] [단독] [15] 세천리와 성서5차산단 안쪽[단독] [17] 서대구역(북측)정류장을 단독으로 정차한다.[단독] [19] 청남타운 구간은 508번을 거쳐 현재 달서1번이 운행중[20] 202(-1)에서 1대씩 감차했다.[21] 이천-팔달시장 3회, 이천-이천 5회, 세천-이천 4회, 이천-세천 2회[22] 원래는 세천-이천 계통만 있었는데 언젠가부터 이천-세천 계통이 생겼다.[23] 통학 수요는 세천리나 이천리나 꽉꽉채워 다닌다.[24] 용산역6번출구 정류장[25] 비슷한 속성으로, 달서 지선들 중 달서4, 달서4-1이 성서권으로 들어오지 않는다. 감삼동이 있긴 하지만 여긴 성서권과 달서구 북쪽권역의 경계지점이라..[26] 예전 52-2번도 이현고개삼거리에서 매곡리(다사역)로 빠진 후 하빈면사무소로 운행했다.[27] 세천리/이천리/팔달시장 분기하는 곳이 서재였기 때문에 이렇게 표시한 것 같다. 이는 349번의 북침산네거리 표시와 비슷한 의도인 듯 하다.[28] 이후 웃는얼굴아트센터로 변경, 둘 다 現 달서아트센터이다.[29] 북부정류장~염색공단~다사~계명대~(달구벌대로 직통)~동산병원~북구청네거리~팔달시장~북부정류장 구간을 운행했던 노선, 그 전에는 죽전네거리에서 남쪽으로 빠져서 본리네거리,서부정류장, 성당시장을 경유해서 서문시장으로 운행하기도 했다. 이 때의 노선이 대구 버스 202와 유사했다. 더 오래 전에는 205번도 이 구간으로 다녔으나, 1995년에 폐선된 후 전혀 다른 노선으로 신설되었다.[30] 특히 방천리의 경우 234번309번이 매 10~20분 간격으로 방천리공영차고지 - 상리동CNG충전소 - (가르뱅이) - 북부정류장 - 팔달시장으로 다닌다.[31] 위생처리장~비산지하도 구간. 서재로에서 달서천로로 이어지는 곳은 서구1(-1)번, 204번, 234번, 240번, 309번, 급행8번이 모두 상리지하도로 내려가며 비산지하도~원대지하도 구간은 시내버스 노선이 전무하다.[32] 남측에는 무려 9개 노선이 정차하며 2025년 개편 후에는 더 복잡해질 전망이다.[33] 이천리 방면 한정[34] 세천리 방면 한정[35] 다사방면은 우방죽전타운 또는 대구전자공업고등학교 정류장[36] 팔달시장 방면 한정[37] 만평네거리 정류장[38] 팔달시장 방면 한정[39] 팔달시장 방면 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