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9f51 {{{#!wiki style="padding: 5px 0 0; margin:-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582d2d, #663334, #663334, #582d2d)"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20세기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word-break:normal" {{{#555,#aaa | <rowcolor=#cd9f51> 1901 | 1902 | 1903 | |
빌헬름 뢴트겐 | 헨드릭 로런츠 | 피터르 제이만 | 앙투안 베크렐 | |
<rowcolor=#cd9f51> 1903 | 1904 | 1905 | ||
피에르 퀴리 | 마리 퀴리 | 존 라일리 | 필리프 레나르트 | |
<rowcolor=#cd9f51> 1906 | 1907 | 1908 | 1909 | |
조지프 톰슨 | 앨버트 마이컬슨 | 가브리엘 리프만 | 굴리엘모 마르코니 | |
<rowcolor=#cd9f51> 1909 | 1910 | 1911 | 1912 | |
카를 브라운 | 요하너스 판데르발스 | 빌헬름 빈 | 닐스 달렌 | |
<rowcolor=#cd9f51> 1913 | 1914 | 1915 | ||
헤이커 오너스 | 막스 폰 라우에 | 헨리 브래그 | 윌리엄 브래그 | |
<rowcolor=#cd9f51> 1917 | 1918 | 1919 | 1920 | |
찰스 바클라 | 막스 플랑크 | 요하네스 슈타르크 | 샤를 기욤 | |
<rowcolor=#cd9f51> 1921 | 1922 | 1923 | 1924 |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닐스 보어 | 로버트 밀리컨 | 만네 시그반 | |
<rowcolor=#cd9f51> 1925 | 1926 | 1927 | ||
제임스 프랑크 | 구스타프 헤르츠 | 장 페랭 | 아서 콤프턴 | |
<rowcolor=#cd9f51> 1927 | 1928 | 1929 | 1930 | |
찰스 윌슨 | 오언 리처드슨 | 루이 드 브로이 | 찬드라세카라 라만 | |
<rowcolor=#cd9f51> 1932 | 1933 | 1935 | ||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 폴 디랙 | 에르빈 슈뢰딩거 | 제임스 채드윅 | |
<rowcolor=#cd9f51> 1936 | 1937 | |||
빅터 헤스 | 칼 앤더슨 | 클린턴 데이비슨 | 조지 톰슨 | |
<rowcolor=#cd9f51> 1938 | 1939 | 1943 | 1944 | |
엔리코 페르미 | 어니스트 로런스 | 오토 슈테른 | 이지도어 라비 | |
<rowcolor=#cd9f51> 1945 | 1946 | 1947 | 1948 | |
볼프강 파울리 | 퍼시 브리지먼 | 에드워드 애플턴 | 패트릭 블래킷 | |
<rowcolor=#cd9f51> 1949 | 1950 | 1951 | ||
유카와 히데키 | 세실 파월 | 존 콕크로프트 | 어니스트 월턴 | |
<rowcolor=#cd9f51> 1952 | 1953 | 1954 | ||
펠릭스 블로흐 | 에드워드 퍼셀 | 프리츠 제르니케 | 막스 보른 | |
<rowcolor=#cd9f51> 1954 | 1955 | 1956 | ||
발터 보테 | 윌리스 램 | 폴리카프 쿠시 | 윌리엄 쇼클리 | |
<rowcolor=#cd9f51> 1956 | 1957 | |||
존 바딘 | 월터 브래튼 | 리정다오 | 양전닝 | |
<rowcolor=#cd9f51> 1958 | 1959 | |||
파벨 체렌코프 | 일리야 프란크 | 이고르 탐 | 오언 체임벌린 | |
<rowcolor=#cd9f51> 1959 | 1960 | 1961 | ||
에밀리오 지노 세그레 | 도널드 글레이저 | 로버트 호프스태터 | 루돌프 뫼스바우어 | |
<rowcolor=#cd9f51> 1962 | 1963 | |||
레프 란다우 | 유진 위그너 | 마리아 메이어 | 한스 옌젠 | |
<rowcolor=#cd9f51> 1964 | 1965 | |||
찰스 타운스 | 니콜라이 바소프 | 알렉산드르 프로호로프 | 리처드 파인만 | |
<rowcolor=#cd9f51> 1965 | 1966 | 1967 | ||
줄리언 슈윙거 | 도모나가 신이치로 | 알프레드 카스틀레르 | 한스 베테 | |
<rowcolor=#cd9f51> 1968 | 1969 | 1970 | ||
루이스 앨버레즈 | 머리 겔만 | 한네스 알벤 | 루이 네엘 | |
<rowcolor=#cd9f51> 1971 | 1972 | |||
데니스 가보르 | 존 바딘 | 리언 쿠퍼 | 존 슈리퍼 | |
<rowcolor=#cd9f51> 1973 | 1974 | |||
에사키 레오나 | 이바르 예베르 | 브라이언 조지프슨 | 마틴 라일 | |
<rowcolor=#cd9f51> 1974 | 1975 | |||
앤서니 휴이시 | 오게 보어 | 벤 모텔손 | 제임스 레인워터 | |
<rowcolor=#cd9f51> 1976 | 1977 | |||
버턴 릭터 | 새뮤얼 팅 | 필립 앤더슨 | 존 밴블랙 | |
<rowcolor=#cd9f51> 1977 | 1978 | |||
네빌 모트 | 표트르 카피차 | 아노 펜지어스 | 로버트 윌슨 | |
<rowcolor=#cd9f51> 1979 | 1980 | |||
스티븐 와인버그 | 무함마드 살람 | 셸든 글래쇼 | 제임스 크로닌 | |
<rowcolor=#cd9f51> 1980 | 1981 | |||
벨 피치 | 니콜라스 블룸베르헌 | 아서 숄로 | 카이 시그반 | |
<rowcolor=#cd9f51> 1982 | 1983 | 1984 | ||
케네스 윌슨 |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 | 윌리엄 A. 파울러 | 카를로 루비아 | |
<rowcolor=#cd9f51> 1984 | 1985 | 1986 | ||
시몬 판 데르 메이르 | 클라우스 폰 클리칭 | 에른스트 루스카 | 게르트 비니히 | |
<rowcolor=#cd9f51> 1986 | 1987 | 1988 | ||
하인리히 로러 | 요하네스 베드노르츠 | 카를 뮐러 | 리언 레더먼 | |
<rowcolor=#cd9f51> 1988 | 1989 | |||
멜빈 슈워츠 | 잭 스타인버거 | 한스 데멜트 | 볼프강 파울 | |
<rowcolor=#cd9f51> 1990 | 1991 | |||
제롬 프리드먼 | 헨리 켄들 | 리처드 테일러 | 피에르질 드 젠 | |
<rowcolor=#cd9f51> 1992 | 1993 | 1994 | ||
조르주 샤르파크 | 러셀 헐스 | 조지프 테일러 | 버트럼 브록하우스 | |
<rowcolor=#cd9f51> 1994 | 1995 | 1996 | ||
클리퍼드 슐 | 프레더릭 라이네스 | 마틴 펄 | 데이비드 리 | |
<rowcolor=#cd9f51> 1996 | 1997 | |||
더글러스 오셔로프 | 로버트 리처드슨 | 윌리엄 필립스 | 스티븐 추 | |
<rowcolor=#cd9f51> 1997 | 1998 | |||
클로드 코엔타누지 | 대니얼 추이 | 로버트 러플린 | 호르스트 슈퇴르머 | |
<rowcolor=#cd9f51> 1999 | 2000 | |||
헤라르뒤스 엇호프트 | 마르티뉘스 펠트만 | 조레스 알표로프 | 허버트 크뢰머 | |
<rowcolor=#cd9f51> 2000 | ||||
잭 킬비 | ||||
}}}}}}}}}
- [ 21세기 ]
-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3> 2001 || 2002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1px; background: #663334" {{{#!wiki style="margin: -7px" | <tablebordercolor=#663334><tablebgcolor=#663334>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font-size:.96em; letter-spacing:-.2px" | <rowcolor=#fff> 순서 | 이름 | 연도·부문 | 사유 | 비고 |
1 | 유카와 히데키 (湯川 秀樹) | 1949 물리 | 중간자의 존재 예측 | 노벨상/물리학상 최초 수상 | |
2 | 도모나가 신이치로 (朝永 振一郎) | 1965 물리 | 양자 전기역학의 기초 연구 | ||
3 | 가와바타 야스나리 (川端 康成) | 1968 문학 | 소설 《설국》 | 문학상 최초 수상 | |
4 | 에사키 레오나 (江崎 玲於奈) | 1973 물리 | 반도체와 초전도체의 터널효과 발견 | ||
5 | 사토 에이사쿠 (佐藤 榮作) | 1974 평화 | 비핵 3원칙 제창 | 평화상 최초 수상 | |
6 | 후쿠이 겐이치 (福井 謙一) | 1981 화학 | 화학 반응의 궤도함수 대칭 해석 | 화학상 최초 수상 | |
7 | 도네가와 스스무 (利根川 進) | 1987 생리의학 | 항체 다양성의 유전학적 원리 해명 | 생리의학상 최초 수상 | |
8 | 오에 겐자부로 (大江 健三郎) | 1994 문학 | 소설 《개인적인 체험》 | ||
9 | 시라카와 히데키 (白川 英樹) | 2000 화학 | 전도성 고분자 물질 개발 | ||
10 | 노요리 료지 (野依 良治) | 2001 화학 | 키랄 촉매에 의한 비대칭 반응 연구 | ||
11 | 고시바 마사토시 (小柴 昌俊) | 2002 물리 | 우주 중성미자 검출과 관련한 선구자적 연구 | ||
12 | 다나카 고이치 (田中 耕一) | 2002 화학 | 생체고분자의 질량 분석을 위한 연성 탈착 이온화 방법의 개발 | 과학분야 학사 출신 최초 수상 | |
13 | 고바야시 마코토 (小林 誠) | 2008 물리 | CP 대칭깨짐 원리 발견 | ||
14 | 마스카와 도시히데 (益川 敏英) | ||||
15 | 난부 요이치로 (南部 陽一郎) | 일본 출생 미국 국적 | |||
16 | 시모무라 오사무 (下村 脩) | 2008 화학 | 녹색 형광 단백질 GFP 발견 및 개발 | ||
17 | 스즈키 아키라 (鈴木 章) | 2010 화학 | 팔라듐 촉매교차결합법(스즈키 커플링 / 네기시 커플링) 개발 | ||
18 | 네기시 에이이치 (根岸 英一) | 히키아게샤 일본 국적 | |||
19 | 야마나카 신야 (山中 伸弥) | 2012 생리의학 | 유도만능줄기세포(iPS) 개발 | ||
20 | 아카사키 이사무 (赤﨑 勇) | 2014 물리 | 청색 LED 발명 | ||
21 | 아마노 히로시 (天野 浩) | ||||
22 | 나카무라 슈지 (中村 修二) | 일본 출생 미국 국적 | |||
23 | 오무라 사토시 (大村 智) | 2015 생리의학 | 회충 감염의 새로운 치료법 발견 | ||
24 | 가지타 다카아키 (梶田 隆章) | 2015 물리 | 중성미자 진동 관측 | ||
25 | 오스미 요시노리 (大隅 良典) | 2016 생리의학 | 자가포식(오토파지) 매커니즘 연구 | ||
26 | 이시구로 가즈오 (石黒 一雄) | 2017 문학 | 소설 《남아 있는 나날》 | 일본 출생 영국 국적 | |
27 | 혼조 다스쿠 (本庶 佑) | 2018 생리의학 | 음성적 면역 조절 억제를 통한 암 치료법 발견 | ||
28 | 요시노 아키라 (吉野 彰) | 2019 화학 | 리튬 이온 배터리 개발 | ||
29 | 마나베 슈쿠로 (真鍋 淑郎) | 2021 물리 | 기후 변화에 대한 신뢰성 있는 예측 모델 제시 | 일본 출생 미국 국적 | |
30 | 일본 원수폭 피해자 단체 협의회 (日本原水爆被害者団体協議会) | 2024 평화 | 핵무기 없는 세상을 만들기 위한 노력 | 일본 첫 단체 수상 | |
일본 국적을 취득한 적이 없는 일본계 외국인 수상자는 포함하지 않은 집계. 다만, 1986년 노벨화학상 수상자 리위안저(대만일치시기 일본 국적) 및 2000년 노벨평화상 수상자 김대중(일제강점기 일본 국적)은 제외. |
슈쿠로 마나베 Syukuro Manabe | |
<colbgcolor=#000> 성명 | 영어: Syukuro Manabe 한국어: 슈쿠로 마나베 일본어: 真鍋 淑郎 (まなべ しゅくろう) |
출생 | 1931년 9월 21일 ([age(1931-09-21)]세) |
일본 제국 에히메현 우마군 신리츠정[1] | |
국적 | [[일본| ]][[틀:국기| ]][[틀:국기| ]]1931~1975 [[미국| ]][[틀:국기| ]][[틀:국기| ]]1975~ |
배우자 | 나카무라 노부코(1962년 결혼 ~ 현재) |
자녀 | 장녀 마나베 나기사(1963년 9월생) 차녀 마나베 유카리(1965년 6월생) |
학력 | 도쿄대학 이학부 (물리학[2] / 1953년 학사) 도쿄대학 대학원 (수물계연구과 / 1955년 석사) 도쿄대학 대학원 (수물계연구과 / 1958년 박사)[3] |
직업 | 교수, 기상학자 |
소속 | 프린스턴 대학교 |
수상 | 후지와라상 (1966) 클라렌스 리로이 마이싱거 상 (1967) 미국 상무부 금메달 (1970) 칼구스타프 로스뷔 연구상 (1971) 블루플래닛상 (1992) 로저 리벨 상 (1993) 아사히상(1995) 볼보 환경상 (1997) 밀루틴 밀란코비치 메달 (1998) 윌리엄 보위 메달 (2010) 벤자민 프랭클린 메달 (2015) BBVA 재단 지식의 프론티어 상 (2016) 크라포드상 (2018) 노벨물리학상 (2021) 문화훈장 (2021) 문화공로자 (2021) |
[clearfix]
1. 개요
미국의 기상학자, 프린스턴 대학교 교수. 2021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2. 상세
1931년 일본 에히메현에서 태어나 구제 미시마중학교(旧制三島中学校)를 졸업하였다.도쿄대학 이학부 물리학과 지구물리학 전공을 졸업한 뒤, 도쿄대학 대학원 수물계연구과(数物系研究科)에서 석사 및 박사를 거치며 기상학을 전공하였다.[4] 마나베의 도쿄대학 이학 박사 논문은 응결현상의 종관적 연구(凝結現象の綜観的研究)이며, 지도 교원은 쇼노 시게카타(正野重方)이다. 쇼노 교수는 일본의 기상학의 기초를 다진 선구적인 학자이며 특히 기후역학으로 저명한 교수이다. 쇼노 교수는 일본 기상청의 수치예보기술 도입에도 일조했다.
도쿄대학 졸업 후 1958년, 미국 기상국의 조셉 스마고린스키의 초청으로, 미국으로 건너가 미국 해양대기청(NOAA)에서 기후변화에 대해서 연구했다. 참고로 1950년대 당시 미국의 급료는 무려 일본의 25배였다고 증언했다.
1967년에는 1차원 대기 모델, 1969년에는 대기해양 결합 모델 등, 컴퓨터를 사용한 선구적인 성과를 발표했으며 이러한 밑거름이 노벨상 수상으로 이어지게 된다.
그 후, 1968년부터는 프린스턴 대학교 객원교수를 겸임했고, 1975년에는 미국 시민권을 취득했다. 1983년부터는 도쿄대학 이학부 객원교수를 겸임했으며, 2002년에는 해양연구개발기구(海洋研究開発機構) 고문으로 취임했다. 2005년부터는 프린스턴 대학교 대기해양과학 프로그램의 상급 기상연구자로 취임했으며, 2006년부터는 나고야대학 환경과학연구과(環境科学研究科) 객원교수를 겸임했다.
2021년, 지구 기후의 물리적 모델링에 의한 복잡계에 대한 기여를 한 공로로 독일의 클라우스 하셀만, 이탈리아의 조르조 파리시와 함께 2021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5]
3. 기타
- 기후변화 연구와 관련한 노벨상으로는 2007년의 앨 고어가 수상한 노벨 평화상과 2018년에 윌리엄 노드하우스 예일대 교수가 ‘기후변화가 경제성장에 장기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로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사례가 있었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방계 연구에 해당하는 사례였으며 직접적인 연관성을 토대로 수상한 사례는 처음이다. 특히 기상학에 관련한 물리학상 수상은 최초다.관련 기사 슈쿠로 마나베가 노벨상을 타기까지 이렇게 긴 세월이 걸렸던 것이 바로 기상학이라는 분야의 애매한 포지션(노벨상 기준) 때문이었는데[6] 결국 노벨상을 받으며 최초 사례를 만들어낸 것.
- 노벨상 수상 소식이 전해진 후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일본의 교도통신 기자의 "미국으로 귀화한 이유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그는 이렇게 답했다.흥미로운 질문이다. 일본에서는 사람들이 항상 서로에게 폐를 끼칠까봐 걱정한다. 그들은 관계에서 조화를 매우 중시한다. 그것이 그들이 서로 잘 지내는 중요한 이유 중 하나다. 그들은 계속해서 남들을 생각하며 폐를 끼치는 일을 하지 않는다. 일본에서 당신이 뭔가를 묻는다면 Yes나 No라는 대답을 듣겠지만 일본인이 Yes라고 한다고해서 반드시 Yes라는 의미는 아니다. 실제 의미는 No일 수도 있다. 왜냐하면 그들은 다른 무엇보다도 남들의 기분을 상하게 만드는걸 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남들에게 폐를 끼칠만한 어떤 것도 하기 싫어한다. 미국에서 나는 내가 원하는 것을 한다. 난 남들의 기분에 대해 지나치게 걱정하지 않는다. 사실 나도 남들의 기분을 상하게 하고 싶지는 않지만 난 다른 사람의 기분을 알아채는 것이 서툴다. 미국에서의 생활은 멋지다고 생각한다. 나 같은 연구자는 좋아하는 연구를 무엇이든지 할 수 있다. 내 상사는 내가 원하는걸 뭐든지 하게 해줬다. 여기서는 내가 쓰고 싶은 컴퓨터 장비들을 가지고 내가 하고 싶은 뭐든지 한다. 그게 내가 일본으로 돌아가고 싶지 않은 이유 중 하나다. 왜냐하면 난 조화롭게 사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7]
- 젊은 과학자에게는 이런 조언을 남겼다.
- 미국 기상학회는 지구 기후시스템에 대해 뛰어난 연구를 한 연구자에게, 슈쿠로 마나베 기상연구상(The Syukuro Manabe Climate Research Award)이라는 상을 수여하고 있다.
4. 관련 자료
[기상인사이드] 46년 만에 노벨상 받은 지구온난화 실험… 과학이 기후 위기 막는다(조선일보)노벨 물리학상 수상 일본 출신 마나베 “호기심 채우는 연구 했을 뿐”(한겨레)
ノーベル賞 真鍋淑郎さん 50年以上前に“温暖化”影響を予測(NHK)
北極温暖化増幅を提唱された真鍋淑郎先生のノーベル物理学賞受賞に寄せて(北極環境統合情報WEB)
[1] 현 시코쿠츄오시[2] 지구물리학 과정, 現 지구행성물리학과[3] 박사학위논문 : On the contribution of heat released by condensation to the change in pressure pattern On the modification of air-mass over the Japan Sea when the outburst of cold air predominates On the estimation of energy exchange between the Japan Sea and the atmosphere during winter based upon the energy budget of both the atmosphere and the sea (1958)[4] 도쿄대학의 축하 메시지 참조.[5] 기상학으로 받는 노벨 과학상으로는 사상 처음이고, 일본 출신의 29번째 노벨상 수상자이다.[6] 노벨상에는 물리학상, 화학상, 생리의학상은 있지만 기상학을 포함한 지구과학이 끼어들기 힘들다. 지구과학은 복합적인 학문이기 때문.[7] That's interesting question. In Japan people always worry about not to disturb each other. They have a very harmonious relationship. And this is one of the important reasons why Japanese people get along so well with each other. They keep thinking about other people and don't do something disturb other people. In Japan, if you ask some questions you get answer "Yes", or "No". However when Japanese say "Yes", it does not necessarily mean "Yes", it could be "No". Because they don't want to hurt other people's feeling much more than anything else. And so, you don't want to do anything which is disturbing to other people. In U.S, I can do things I want. I don't worry too much about what other people feel. As a matter of fact, I don't want to hurt other people's feeling but I'm not observing enough other people to figure out what they think. I found living in the U.S is wonderful! And probably research scientist like me... I can do whatever I please in my research. My boss was generous enough to let me do anything I want. And here I got all the computer expenditure. I got all the computer I want to use and do whatever I please in. That is one reason why I don't want to go back to Japan because I'm not capable of living harmoniously. 51분 9초부터[8] 「今はコンピュータに振り回されている人が多い。」「流行っている研究に走らずに。自分の本当の好奇心です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