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08 03:16:27

베니스 국제 영화제/볼피컵 여우주연상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베니스 국제 영화제
{{{#!wiki style="word-break: keep-all; text-align: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파일:베니스 국제 영화제 로고.svg파일:베니스 영화제 로고 2.png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top: -5px; min-width: 33%"
{{{#!folding [ 역대 영화제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colbgcolor=#fff,#666> 1930년대 1회
1980년대 37회, 38회, 39회, 40회, 41회, 42회, 43회, 44회, 45회, 46회
1990년대 47회, 48회, 49회, 50회, 51회, 52회, 53회, 54회, 55회, 56회
2000년대 57회, 58회, 59회, 60회, 61회, 62회, 63회, 64회, 65회, 66회
2010년대 67회, 68회, 69회, 70회, 71회, 72회, 73회, 74회, 75회, 76회
2020년대 77회, 78회, 79회, 80회, 81회
}}}}}}
[ 경쟁 부문 상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width=10000> 황금사자상 ||<width=25%> 감독상 ||<width=25%> 심사위원대상 ||<width=25%> 심사위원 특별상 ||
볼피컵 남우주연상 볼피컵 여우주연상 골든오셀라상 마르첼로 마스트로얀니상
[ 관련 문서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width=10000> 역대 심사위원 ||<width=25%> 명예 황금사자상 ||<width=25%> ||<width=25%> ||
}}} ||


1. 개요2. 목록3. 관련 문서

1. 개요

베니스 국제 영화제의 경쟁부문 여자연기상을 말한다.

한국에서는 지금까지 배우 강수연이 여우주연상을 탔다. 의외로 아시아 최초 기록인데, 아래를 보면 알겠지만 베니스 영화제 여우주연상은 다른 영화제랑 달리 상당히 불규칙했던 편이고 [1] 1987년에야 정기적인 시상으로 재개했는데 그 해 강수연이 타버리면서 생긴 기록이다.

볼피컵 여우주연상을 2회 수상한 배우는 케이트 블란쳇, 셜리 맥클레인, 이자벨 위페르, 발레리아 골리노가 있다. 이자벨 위페르는 칸 영화제에서도 2번의 상을 탔으며, 셜리 맥클레인베를린 영화제에서도 2번이나 연기자상을 받았다. 이는 베를리날레 역사상 유일한 경우다.[2]

2. 목록

년도 배우 작품
1934년 캐서린 헵번 파일:미국 국기.svg 작은 아씨들
1937년 베티 데이비스 파일:미국 국기.svg 《마크드 우먼》, 《키드 갈라드》
1938년 노마 시어러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마리 앙투아네트》
1949년 올리비아 드 하빌랜드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스네이크 핏》
1951년 비비안 리 파일:영국 국기.svg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1952년 잉그리드 버그만 파일:스웨덴 국기.svg 《유로파》
1958년 소피아 로렌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검은 난초》
1960년 셜리 맥클레인 파일:미국 국기.svg 아파트 열쇠를 빌려드립니다
1962년 에마뉘엘 리바 파일:프랑스 국기.svg 《테레즈 데케루》
1987년 강수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씨받이
1988년 이자벨 위페르 파일:프랑스 국기.svg[共] 《여자 이야기》
셜리 맥클레인 파일:미국 국기.svg[共] 《마담 소사츠카》
1989년 페기 애시크로프트 파일:영국 국기.svg[共] 《그녀는 멀리 있다》
제럴딘 제임스 파일:영국 국기.svg[共]
1990년 글로리아 뭉크메예르 파일:칠레 국기.svg 《거울의 달》
1991년 틸다 스윈튼 파일:영국 국기.svg[7] 《에드워드 2세》
1992년 공리 파일:중국 국기.svg 귀주 이야기[A]
1993년 줄리엣 비노쉬 파일:프랑스 국기.svg 세 가지 색: 블루[A]
안나 보나이우토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여우조연상)[助] 《어디 있나요? 저는 여기 있어요》
1994년 마리아 드 메데이루스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세 남매》
버네사 레드그레이브 파일:영국 국기.svg (여우조연상)[助] 《비열한 거리》
1995년 이자벨 위페르 파일:프랑스 국기.svg[共] 의식
상드린 보네르 파일:프랑스 국기.svg[共]
이자벨라 페라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여우조연상)[助] 《로만조디언 지오바네 페보》
1996년 빅투아르 티비슬 파일:프랑스 국기.svg 《뽀네트》
1997년 로빈 터니 파일:미국 국기.svg 《나이아가라 나이아가라》
1998년 카트린 드뇌브 파일:프랑스 국기.svg 《방돔 광장》
1999년 나탈리 베어 파일:프랑스 국기.svg 《포르노그래픽 어페어》
2000년 로즈 번 파일:호주 국기.svg 《1967년형 시트로앵》
2001년 산드라 체카렐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내 눈속의 빛》
2002년 줄리앤 무어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 프롬 헤븐
2003년 카차 라만 파일:독일 국기.svg 《로젠스트라시》
2004년 이멜다 스턴톤 파일:영국 국기.svg 베라 드레이크[A]
2005년 조반나 메초조르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마음 속의 야수》
2006년 헬렌 미렌 파일:영국 국기.svg 《더 퀸》
2007년 케이트 블란쳇 파일:호주 국기.svg 《아임 낫 데어》
2008년 도미니크 블랑 파일:프랑스 국기.svg 《로트르》
2009년 크세니야 라포포트 파일:러시아 국기.svg 《더블 아워》
2010년 아리안 라베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아텐버그》
2011년 엽덕한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심플 라이프》
2012년 하다스 야론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필 더 보이드》
2013년 엘레나 코타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팔레르모의 결투》
2014년 알바 로르바케르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헝그리 하츠》[16]
2015년 발레리아 골리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사랑을 위하여》
2016년 엠마 스톤 파일:미국 국기.svg 라라랜드
2017년 샬롯 램플링 파일:영국 국기.svg 《한나》
2018년 올리비아 콜먼 파일:영국 국기.svg 더 페이버릿: 여왕의 여자[17]
2019년 아리안 아스카리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글로리아를 위하여》
2020년 바네사 커비 파일:영국 국기.svg 그녀의 조각들
2021년 페넬로페 크루즈 파일:스페인 국기.svg 패러렐 마더스
2022년 케이트 블란쳇 파일:호주 국기.svg 타르
2023년 케일리 스페이니 파일:미국 국기.svg 프리실라
2024년 니콜 키드먼 파일:호주 국기.svg 베이비걸

3. 관련 문서



[1] 제42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에서 영화 더스트의 제인 버킨방랑자상드린 보네르가 여우주연상 유력 후보로 경합했다가 수상하지 않은 적도 있다.[2] 칸 영화제에서도 여우주연상을 받게 된다면 미국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포함해 세계 4대 영화제의 여우주연상을 받아 배우로써 누릴 수 있는 최고의 명예를 누릴 수 있다고 보면 된다. 이 경우에 해당하는 배우는 줄리앤 무어가 있다. , 베를린, 베네치아를 비롯해, 아카데미영국 아카데미에서도 여우주연상, TV미니시리즈 게임 체인지에서 에미상까지 모두 수상한 기록을 가지고 있을 정도로, 여배우로서 받을 수 있는 상은 모두 받은 셈이다. 프랑스 여배우 줄리엣 비노쉬 또한 미국 아카데미 여우연상이긴 하지만 , 베를린, 베네치아에서 모두 여우주연상을 수상한 대단한 기록을 가진 여배우이다.[共] 공동수상[共] [共] [共] [7] 2020년 제 77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평생공로상 수여[A] 황금사자상 수상작품[A] [助] 1993년~1995년에는 여우조연상이 수여되었다.[助] [共] [共] [助] [A] [16] 같은 영화의 주연이었던 애덤 드라이버도 이 영화로 남우주연상을 탔다.[17] 베니스 영화제 심사위원대상 수상 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