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8 02:58:23

브로드웨이 멜로디


파일:oscar_logo.svg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틀: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Academy Award for Best Pictur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e5e5e5
제1회
(1929년)
제2회
(1930년)
제3회
(1931년)
제4회
(1932년)
제5회
(1933년)
날개브로드웨이 멜로디서부 전선 이상 없다시마론그랜드 호텔
제6회
(1934년)
제7회
(1935년)
제8회
(1936년)
제9회
(1937년)
제10회
(1938년)
캐벌케이드어느 날 밤에 생긴 일바운티호의 반란위대한 지그펠드에밀 졸라의 생애
제11회
(1939년)
제12회
(1940년)
제13회
(1941년)
제14회
(1942년)
제15회
(1943년)
우리 집의 낙원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레베카나의 계곡은 푸르렀다미니버 부인
제16회
(1944년)
제17회
(1945년)
제18회
(1946년)
제19회
(1947년)
제20회
(1948년)
카사블랑카나의 길을 가련다잃어버린 주말우리 생애 최고의 해신사협정
제21회
(1949년)
제22회
(1950년)
제23회
(1951년)
제24회
(1952년)
제25회
(1953년)
햄릿모두가 왕의 부하들이브의 모든 것파리의 아메리카인지상 최대의 쇼
제26회
(1954년)
제27회
(1955년)
제28회
(1956년)
제29회
(1957년)
제30회
(1958년)
지상에서 영원으로워터프론트마티80일간의 세계일주콰이 강의 다리
제31회
(1959년)
제32회
(1960년)
제33회
(1961년)
제34회
(1962년)
제35회
(1963년)
지지벤허아파트 열쇠를 빌려드립니다웨스트 사이드 스토리아라비아의 로렌스
제36회
(1964년)
제37회
(1965년)
제38회
(1966년)
제39회
(1967년)
제40회
(1968년)
톰 존스의 화려한 모험마이 페어 레이디사운드 오브 뮤직사계절의 사나이밤의 열기 속으로
제41회
(1969년)
제42회
(1970년)
제43회
(1971년)
제44회
(1972년)
제45회
(1973년)
올리버!미드나잇 카우보이패튼 대전차군단프렌치 커넥션대부
제46회
(1974년)
제47회
(1975년)
제48회
(1976년)
제49회
(1977년)
제50회
(1978년)
스팅대부 2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록키애니 홀
제51회
(1979년)
제52회
(1980년)
제53회
(1981년)
제54회
(1982년)
제55회
(1983년)
디어 헌터크레이머 대 크레이머보통 사람들불의 전차간디
제56회
(1984년)
제57회
(1985년)
제58회
(1986년)
제59회
(1987년)
제60회
(1988년)
애정의 조건아마데우스아웃 오브 아프리카플래툰마지막 황제
제61회
(1989년)
제62회
(1990년)
제63회
(1991년)
제64회
(1992년)
제65회
(1993년)
레인 맨드라이빙 미스 데이지늑대와 춤을양들의 침묵용서받지 못한 자
제66회
(1994년)
제67회
(1995년)
제68회
(1996년)
제69회
(1997년)
제70회
(1998년)
쉰들러 리스트포레스트 검프브레이브 하트잉글리쉬 페이션트타이타닉
제71회
(1999년)
제72회
(2000년)
제73회
(2001년)
제74회
(2002년)
제75회
(2003년)
셰익스피어 인 러브아메리칸 뷰티글래디에이터뷰티풀 마인드시카고
제76회
(2004년)
제77회
(2005년)
제78회
(2006년)
제79회
(2007년)
제80회
(2008년)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밀리언 달러 베이비크래쉬디파티드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제81회
(2009년)
제82회
(2010년)
제83회
(2011년)
제84회
(2012년)
제85회
(2013년)
슬럼독 밀리어네어허트 로커킹스 스피치아티스트아르고
제86회
(2014년)
제87회
(2015년)
제88회
(2016년)
제89회
(2017년)
제90회
(2018년)
노예 12년버드맨스포트라이트문라이트셰이프 오브 워터: 사랑의 모양
제91회
(2019년)
제92회
(2020년)
제93회
(2021년)
제94회
(2022년)
제95회
(2023년)
그린 북기생충노매드랜드코다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제96회
(2024년)
제97회
(2025년)
제98회
(2026년)
제99회
(2027년)
제100회
(2028년)
오펜하이머----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roadway_Melody_poster.jpg
장르 드라마, 뮤지컬
상영 시간 100분
개봉일 뉴욕 1929년 2월 8일
미국 전역 1929년 6월 12일
감독 해리 보만트[1]
출연 찰스 킹, 어니터 페이지, 베시 러브 외
1. 개요2. 등장인물
2.1. 에디 컨즈2.2. 마호니 자매
2.2.1. 퀴니 마호니2.2.2. 행크 마호니
2.3. 제드 삼촌2.4. 자크 워리너
3. 줄거리4. 여담

[clearfix]

1. 개요

1929년에 개봉한 뮤지컬 영화로, 해리 보만트가 연출했으며, MGM 영화사가 제작, 배급했다. 당시 30만 달러의 제작비를 투입해 300만 달러의 초대박을 터뜨려 1929년에 가장 많은 수익을 올린 영화가 되었고, 인기에 힘입어 속편에 개작까지 만들어졌다.

당시에는 유성 영화가 막 도입된 시점이라[2] 뮤지컬이 영화로 나온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매우 신선한 일이었다. 당시 최신 기술로 2 스트립 테크니컬러[3][4]를 사용했다. 물론 지금 시점에서 보면 정말 진부하고 재미없는 영화지만[5], 거의 처음으로 만들어진 뮤지컬 영화라는 데에 의의가 있다.

2. 등장인물

2.1. 에디 컨즈

파일:external/farm4.static.flickr.com/3610925300_7c56290260.jpg
Eddie Kearns. 찰스 킹(Charles King)이 분한 역이다.

브로드웨이의 능력 있는 작곡가이자 가수다. 물론 그렇다고 엄청나게 유명한 건 아니라 잰필드나 다른 인물들에게 머리를 조아린다.

여자친구로는 행크 마호니가 있으나, 엄청나게 성장해서 예뻐진 퀴니를 보고 한눈에 반해 바람을 핀다. 그러다 결국 행크와는 헤어지고 퀴니와 결혼해 같이 산다. 퀴니한테 열렬히 고백하는 과정에서 나온 노래가 "You were meant for me"(당신은 내 운명이란 뜻)인데, 이 노래가 나중에 <사랑은 비를 타고>에서 주인공이 여주인공에게 고백하는 장면에 다시 나온다.

여담으로 퀴니를 위해 마지막에 자크 워리너와 주먹다짐을 하는데, 주먹질 한 방에 바로 나가떨어지는 모습을 보인다.

2.2. 마호니 자매

2.2.1. 퀴니 마호니

파일:external/thepracticaldaydreamer.files.wordpress.com/anita-page.jpg
Queenie Mahoney. 어니터 페이지(Anita Page)가 분한 역이다.

서부에서 잘 나가던 마호니 자매 중 동생으로, 다른 사람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려는 언니와는 달리 얌전하고 참한 성격이다. 그리고 언니를 따라 뉴욕으로 올라왔지만 실패할 수도 있다는 두려움 때문에 서부로 다시 내려가려는 걸 보아 겁이 많은 듯.

언니 행크와는 사소한 일로 치고 박고 잘 싸우지만, 에디와의 사이를 정리하기 위해 장난으로 만나려는 걸 알면서도 자크 워리너와 지속적으로 만나는 등 속으로는 언니를 정말 위해준다.

어릴 때는 호리호리한 다리에 주근깨가 있는 외모였으나 2차 성징이 지난 이후 역변한 듯. 주변 사람들로부터 언니보다 예쁘다는 평을 듣는다. 이런 외모로 인해 처음에는 오디션에 퀴니만 합격할 뻔하기도 하고, 숱한 남자들의 대시를 받기도 하고, 배 위의 여신상을 연기하는 단원이 떨어져서 부상을 당하자 대역으로 쓴다.[6]

에디와는 뉴욕에 처음 왔을 때부터 마음이 있던 사이. 하지만 에디는 행크의 남자친구였기 때문에 에디가 몇 번을 대시해도 행크가 상처받을까봐 선뜻 받아들일 수 없었다. 나중에 에디가 자신을 위해 자크 워리너와 주먹다짐하다 한 방에 나가떨어지자 쓰러진 에디를 진심으로 걱정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결국 결혼에 골인한다. 전국 방방곡곡을 돌며 여배우 생활을 계속하는 언니와는 달리, 결혼하자마자 은퇴한 모양이다.

2.2.2. 행크 마호니

파일:external/thepracticaldaydreamer.files.wordpress.com/bessie-love.jpg
Harriet "Hank" Mahoney. 베시 러브(Bessie Love)가 분한 역이다.

서부에서 잘 나가는 스타 마호니 자매 중 언니로, 자신보다 다른 사람을 더 위하며 적극적이고 활발한 성격이다. 자타가 모두 인정하는 미녀 퀴니에 비해 외모로는 딸리지만, 자신의 재능이 언젠가 빛을 발하리라는 걸 굳게 믿는다.

퀴니와는 만날 치고 박고 싸우지만, 누구보다 퀴니를 아껴주고 잘 되기를 바라는 좋은 언니로, 퀴니의 외모만 보고 장난으로 접근하는 자크 워리너와 만나는 걸 적극적으로 말리기도 하며, 전 남친 에디와 결혼했을 때도 진심으로 축하해준다.

에디와는 사귀는 사이였다. 하지만 나중에 에디가 퀴니를 좋아한다는 걸 알고 에디를 원망하면서 자크 워리너와 만나는 퀴니를 왜 적극적으로 말리지 못했냐고 한다. 이쯤 되면 그냥 대인배.[7] 이후 결혼하자마자 바로 은퇴한 퀴니와는 달리 제드 삼촌의 제안을 받아들여 여배우의 삶을 살기로 한다.

베시 러브(Bessie Love)는 이 역할을 통해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에 후보 지명되었다.

2.3. 제드 삼촌

Uncle Jed. 제드 프라우티(Jed Prouty)가 분한 역이다.

공연 사업을 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마호니 자매의 친척이다. 뉴욕에 정착해 여배우로 대성하는 걸 꿈꾸는 마호니 자매를 걱정하며, 나중에 일이 잘 안 돌아가면 자신의 30주간 투어 공연에 참여하라는 제안을 한다.

경험이나 연륜이 많아 굵직한 대사를 많이 하지만[8], 말더듬증이 아주 심하다. 아예 말을 못할 때도 있는데, 휘파람을 한 번 불면 해결되는 듯. 주변 사람도 그걸 아는지 말을 제대로 못할 때마다 주변 사람이 휘파람을 불어준다.

2.4. 자크 워리너

Jacque "Jock" Warriner. 케니스 탐슨(Kenneth Thompson)이 분한 역이다.

작중 묘사로 보아 엄청난 갑부인 듯. 처음에는 퀴니에게 장미 꽃바구니를 주더니, 퀴니의 생일 축하를 위해 엄청난 규모의 파티를 열어준다. 선물 역시 만만치 않은데, 다이아몬드가 엄청나게 박힌 팔찌를 선물하며, 나중에는 아파트나 롤스로이스 차도 사 줄 수 있을 정도라고 한다.

하지만 퀴니를 진정으로 사랑해서 만나는 게 아니라 퀴니의 외모 때문에 장난으로 만나는 것. 이것 때문에 퀴니가 자크를 만나는 걸 행크나 에디가 극구 반대를 한 것이다. 캐릭터 이름의 유래가 당시 경쟁사 워너 브라더스의 사장 잭 워너(Jack Warner)니 영화에서 좋게 그렸을리가...

3. 줄거리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주인공 에디 컨즈(Eddie Kearns)는 자신이 작곡한 노래 "브로드웨이 멜로디"가 거물급 인사인 프랜시스 잰필드(Francis Zanfield)[9]한테 팔리는 행운을 얻는다. 에디는 자신의 애인이자 서부에서 잘 나가는 스타 행크 마호니(Hank Mahoney)와 그의 여동생 퀴니 마호니(Queenie Mahoney)를 브로드웨이로 부른다. 거기에 혹한 마호니 자매는 곧장 뉴욕으로 향한다.

뉴욕에 도착한 마호니 자매는 일단 제드 삼촌(Uncle Jed)과 재회한다. 그러나 뉴욕 사정을 잘 아는 제드는 마호니 자매를 걱정해 30주 간의 투어 공연에 참여하지 않겠냐고 제의하지만, 행크는 그걸 거절하고 뉴욕에 정착하겠다고 한다. 그러자 제드는 당분간 받아줄테니 언제든 연락하라고 한다.

에디가 마호니 자매와 재회하자, 서부에서 봤을 때보다 몰라보게 예뻐진 퀴니를 보고 한 눈에 반한다. 그리고 에디는 자신의 노래 "브로드웨이 멜로디"에 대해 자신 있게 소개한다. 마호니 자매는 그 모습을 보고 셋이서 무대에 올라 승승장구할 것을 기대한다.

에디는 마호니 자매를 연습실에 나와 오디션을 보게 한다. 연습실에서 본 에디의 모습은 전에 봤던 모습과 전혀 달랐다. 에디도 다른 사람과 마찬가지로 잰필드한테 머리를 조아리며 겨우 말을 거는 것이었다. 더군다나 기존의 극단 단원들도 마호니 자매에 대해 텃세를 부리고, 그러다 오디션 볼 때 피아노 안에 가방을 넣어 훼방을 놓기까지 한다. 결국 준비한 춤과 연기를 다 보여주지 못한 채 오디션이 끝나고, 행크는 그 모습을 보며 비아냥거리는 단원과 쌈박질을 벌인다. 퀴니의 미모를 눈여겨본 잰필드는 퀴니만을 뽑아가려 했지만 퀴니의 간절한 부탁으로 결국 둘 다 오디션에 합격한다.

며칠 뒤 마지막 연습 때 잔뜩 긴장하며 첫 무대에 오르지만, 잰필드에 의해 마호니 자매의 춤이 모두 삭제된다.

4. 여담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을 받은 것은 물론, 감독 해리 보만트는 감독상, 주연 베시 러브는 여우주연상에 후보 지명되었다.




세 편의 속편 영화와 한 편의 개작 영화가 만들어졌다.

속편 영화로는 <브로드웨이 멜로디 오브 1936>, <브로드웨이 멜로디 오브 1938>, <브로드웨이 멜로디 오브 1940>이 있다.

개작 영화는 바로 <투 걸스 온 브로드웨이(Two Girls on Broadway)>로 1940년에 만들어졌다. 말리 마호니(Molly Mahoney, 조운 블란델 분)는 약혼자 에디 컨즈(Eddie Kerns, 조지 머피 분)와 보드빌 공연팀으로 활동하던 중 뉴욕으로 넘어가는데, 에디는 라디오에서 성공적으로 데뷔해 고정이 되지만 에디가 주선한 오디션에선 말리 대신 여동생 팻(라나 터너 분)이 뽑혀 에디와 팻이 팀이 된다. 말리가 담배 파는 처지로까지 전락한 사이 팻은 에디와 사랑에 빠진다. 말리는 둘을 축복해주고 집으로 돌아간다.

비슷한 영화로 1944년에 만들어진 <브로드웨이 리듬>이 있는데, 원래는 <브로드웨이 멜로디>의 속편으로 만들어질 영화였다. 원 제목은 물론 "브로드웨이 멜로디 오브 1944".

당시 유성 영화 기술이 막 도입된 시점이라 이에 해당하는 장비가 없던 시설도 있었다. 그래서 이 영화는 무성 영화 버전도 있다.

게다가 작중 등장하는 노래 "Broadway Melody"와 "You were meant for me"는 나중에 <사랑은 비를 타고>를 통해 다시 불러졌고, 그 외 다른 노래들도 다른 곳에 퍼질 정도로 인기가 많았다. 또한 2010년대에는 "The wedding of the painted doll"이라는 곡이 The CaretakerEverywhere at the end of time에 수많은 곡들과 함께 샘플링 되었고 2020년대에 틱톡을 통해 재발굴되어 화제가 되었다.

[1] Harry Beaumont.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앨리스 역을 맡은 캐스린 보만트(Kathryn Beaumont)와 성이 같으나 이 둘은 사실상 관련이 없다.[2] 스피커 같은 게 아예 없어서 무성 영화 버전을 따로 만들어 상영했다고도 한다.[3] 각각 빨간 염료와 녹색 염료를 입힌 흑백 질산염 필름을 겹쳐 초기 컬러 영상을 만들어냈다.[4] "Wedding of the Painted Doll" 장면에 테크니컬러 필름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나, 지금은 컬러 필름이 유실되어 흑백 영화로밖에 볼 수 없다.[5] 영화 사이트에서도 좋은 평을 못 받는다. 2016년 기준 로튼 토마토만 해도 35%로, 아카데미 작품상을 받은 작품 중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관객 점수는 더 심하다. 21%. 사실 초기 유성 영화들은 마이크 배치 문제 때문에 배우 연기가 되려 갑갑해졌다는 평가가 많고(도러시 아즈너가 붐마이크라는 개념을 제안하기 전까지 이랬다.), 여기다 이 영화는 뮤지컬인지라 그 제약이 잘 드러날 수 밖에 없었다. 그렇다고 스토리나 연출이 특출난 것도 아니니... 감독 해리 보만트도 무색무취한 실력 좋은 스튜디오 고용 감독으로 이 작품과 조운 크로퍼드가 주연을 맡은 <Our Dancing Daughters>가 대표작일 정도로 작가로서는 연구가 되지 않는 감독이다.[6] 그 모습을 본 행크는 살결이 너무 많이 보인다며 못마땅해 했지만.[7] 대인배 칭호를 들을만 한 게, 에디의 제안으로 뉴욕까지 와서 얻은 건 하나도 없이 에디만 동생한테 뺏긴 것이다.[8] 특히 마지막의 대사. "배우는 영원한 방랑자다. 오늘은 머무르지만, 내일은 떠나는..." 행크의 신세를 생각하면 결코 그냥 넘어가기 힘든 말이다.[9] 모티브가 있는 캐릭터로, 당시 브로드웨이의 실제 레전드격 인물인 플로렌즈 지그펠드 주니어(Florenz Ziegfield Jr.)가 모티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