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18 21:24:19

치환적분

삼각치환에서 넘어옴
해석학·미적분학
Analysis · Calculu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26455A>실수와 복소수실수(실직선 · 아르키메데스 성질) · 복소수(복소평면 · 극형식 · 편각) · 근방 · 유계 · 콤팩트성 · 완비성
함수함수 · 조각적 정의 · 항등함수 · 역함수 · 멱함수 · 다변수함수(동차함수 · 음함수) · 다가 함수 · 함수의 그래프 · 좌표계 · 닮은꼴 함수 · 극값 · 볼록/오목 · 증감표
초등함수(대수함수 · 초월함수 · 로그함수 · 지수함수 · 삼각함수) · 특수함수 · 범함수(변분법 · 오일러 방정식) · 병리적 함수
극한·연속 함수의 극한 · 수열의 극한 · 연속함수 · ε-δ 논법 · 수렴(균등수렴) · 발산 · 부정형 · 점근선 · 무한대 · 무한소 · 0.999…=1
중간값 정리 · 최대·최소 정리 · 부동점 정리 · 스털링 근사 · 선형근사(어림)
수열·급수 수열 · 급수(멱급수 · 테일러 급수(일람) · 조화급수 · 그란디 급수(라마누잔합) · 망원급수(부분분수분해)) · 그물
오일러 수열 · 베르누이 수열 · 월리스 곱
단조 수렴 정리 · 슈톨츠-체사로 정리 · 축소구간정리 · 급수의 수렴 판정 · 리만 재배열 정리 · 바젤 문제 · 파울하버의 공식 · 오일러-매클로린 공식 · 콜라츠 추측미해결
미분 미분 · 도함수(이계도함수 · 도함수 일람) · 곱미분 · 몫미분 · 연쇄 법칙 · 임계점(변곡점 · 안장점) · 매끄러움
평균값 정리(롤의 정리) · 테일러 정리 · 역함수 정리 · 다르부 정리 · 로피탈 정리
립시츠 규칙 · 뉴턴-랩슨 방법 · 유율법
적분 적분 · 정적분(예제) · 스틸체스 적분 · 부정적분(부정적분 일람) · 부분적분(LIATE 법칙 · 도표적분법 · 예제) · 치환적분 · 이상적분(코시 주요값)
미적분의 기본정리 · 적분의 평균값 정리
리시 방법 · 2학년의 꿈
다변수·벡터 미적분 편도함수 · 미분형식 · · 중적분(선적분 · 면적분 · 야코비안) ·야코비 공식
라그랑주 승수법 · 오일러 동차함수 정리 · 선적분의 기본정리 · 스토크스 정리(발산 정리 · 그린 정리변분법
미분방정식 미분방정식(풀이) · 라플라스 변환
측도론 측도 · 가측함수 · 곱측도 · 르베그 적분 · 절대 연속 측도 · 라돈-니코딤 도함수
칸토어 집합 · 비탈리 집합
복소해석 코시-리만 방정식 · 로랑 급수 · 유수 · 해석적 연속 · 오일러 공식(오일러 등식 · 드 무아브르 공식) · 리우빌의 정리 · 바이어슈트라스 분해 정리 · 미타그레플레르 정리
함수해석 공간 위상벡터공간 · 노름공간 · 바나흐 공간 · 힐베르트 공간 · 거리공간 · Lp 공간
작용소 수반 작용소 · 에르미트 작용소 · 정규 작용소 · 유니터리 작용소 · 컴팩트 작용소
대수 C*-대수 · 폰 노이만 대수
정리 한-바나흐 정리 · 스펙트럼 정리 · 베르 범주 정리
이론 디랙 델타 함수(분포이론)
조화해석 푸리에 해석(푸리에 변환 · 아다마르 변환)
관련 분야 해석기하학 · 미분기하학 · 해석적 정수론(1의 거듭제곱근 · 가우스 정수 · 아이젠슈타인 정수 · 소수 정리 · 리만 가설미해결) · 확률론(확률변수 · 중심극한정리) · 수치해석학 · 카오스 이론 · 분수계 미적분학 · 수리물리학 · 수리경제학(경제수학) · 공업수학
양-밀스 질량 간극 가설미해결 · 나비에 스토크스 방정식의 해 존재 및 매끄러움미해결
기타 퍼지 논리
}}}}}}}}} ||

1. 부정적분
1.1. 개요
1.1.1. 예제 1
1.1.1.1. 예제 1-1
1.1.2. 치환 적분을 두 번 이상하는 경우
1.1.2.1. 예제 2
1.1.3. 삼각 치환
1.1.3.1. ∫ √(a²-x²) dx 꼴
1.1.4. ∫ f(lnx)/x dx 꼴
1.1.4.1. 예제 4
1.1.5. 탄젠트 반각 치환적분
1.1.5.1. 증명1.1.5.2. 활용
2. 정적분
2.1. 개요
2.1.1. 예제 1

1. 부정적분

1.1. 개요

복잡한 합성함수를 적분할 때 사용되는 방법이다. 보통 합성함수를 적분할 때 먼저 치환적분을 해본 후 치환적분이 먹히지 않으면 부분적분법을 쓴다. 다만, 이 방법을 적용했을 때 초등함수로 결과가 나오지 않는 함수들이 있다. 단적인 예로 [math(\dfrac{\sin x}{x} )]라거나 [math(e^{-x^2} )]이라거나..[1] 만약 초등함수로 나타나지 않는다면 급수로 나타내서 적분하거나 수치해석을 이용할 수 있다.

[math(x=g(t) )] 이고 [math(g(t) )]가 미분 가능할 때, 치환적분법은 다음과 같다.

[math(\displaystyle \int f(x) \,\mathrm{d}x = \int f\{g(t)\} \,g'(t) \,\mathrm{d}t )][2]

대부분의 고등학생이라면 분명 기호에 불과하다고 배웠던 [math(\dfrac{\mathrm{d}y}{\mathrm{d}x} )]를, 마치 분수처럼 계산해서 [math(\mathrm{d}x = g'(t) \,\mathrm{d}t)]와 같은 식으로 [math(\mathrm{d}x)]나 [math(\mathrm{d}y)]라는 단독표현을 써서 치환적분법을 배웠을 것이다. 이것은 사실 [math(\dfrac{\mathrm{d}y}{\mathrm{d}x} )]가 단순한 기호가 아닌 미분형식이라는 엄연한 연산자[3]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미분형식은, 해당 문서를 들어가보면 알겠지만 여러 가지 미분 개념을 미리 마스터한 뒤에 배운다. 즉, 대학교를 가도 미적분학 내지는 공업수학을 배우는 공대생이나, 수학과 신입생까지는 대게 고등학교와 마찬가지로 그냥 그런 게 있다 정도로만 알려준다. 이런 판국이니 고교 교육과정 입장에선 저 기호를 제대로 알려줄 수가 없는 것. 물론 지나치게 어려운 내용은 아니고 맘만 먹으면 고교 수준에서도 충분히 정의할 수 있는 개념이긴 하다. 여튼 교육 과정에는 벗어나는 방법이지만, 위 방법도 수학적으로는 문제가 없다.

추가로 치환적분법이 한 참고서[4]에 따르면 '[math(x=g(t) )]가 일대일 대응이어야 한다'라고 고교과정에서 배운다고 하는데, 이는 잘못된 내용이며 고등학교 교과서에서도 [math(x=g(t) )]라는 말 밖에 없다. Thomas 미적분학 교재에서도 [math(x=g(t) )]가 미분가능해야 한다고 설명하며, 일대일 대응 관련 이야기는 없다. 고교 과정에서 위와 같은 말이 나온 이유는, [math(x=g(t) )]가 일대일대응이 아닐경우, [math(x=g(t) )]의 증감에 따라 구간을 나눠야 하는 경우가 생기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든 경우를 생각하여 오류 없이 구간을 잘 나눌 경우에는 [math(x=g(t) )]의 일대일대응 여부는 치환적분과 상관이 없다. 이는 결과적으로 보았을 때 일대일대응이 성립하는 구간만으로 나눈 것임을 알 수 있는데, 상술된 오류처럼 일대일대응이 아니라면 함수를 치환적분할 수 없다라고 하는 것은 비약이다. 일대일대응이 아닌 함수라도 얼마든지 치환적분을 할 수는 있으나, 치환적분을 할 때에 구간이 일대일대응이 되도록 해야한다가 고교 과정에서의 정확한 설명이다. 이런 이야기가 나온 이유는 미적분을 처음 배우는 학생들에게 치환적분에서 구간을 제대로 나누지 않는 오류가 상당히 빈번히 나타나기 때문인데, 따라서 이러한 내용은 학습에 있어서 유의미한 정보라고 할 수 있다.

1.1.1. 예제 1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시오.

[math(\displaystyle \int \frac{f'(x)}{f(x)} \,\mathrm{d}x )]
  1. 일단 [math(t=f(x) )]로 둔다.
  2. 그러면 [math(f'(x)=\dfrac{\mathrm{d}t}{\mathrm{d}x} )]이다.
  3. 따라서 [math(\displaystyle \int \frac{f'(x)}{f(x)} \,\mathrm{d}x = \int \frac1t \,\mathrm{d}t)]이다.
  4. [math(\displaystyle \int \frac{1}{t}\,\mathrm{d}t=\ln\left| t \right|+ \mathsf{const.})]이다. (단, const.\mathsf{const.}는 적분상수이다.)
  5. 위에서 [math(t=f(x) )]라 하였으므로, 그대로 대입하면 최종적으로 [math(\ln{|f(x)|}+C)]이 된다.

[math(\displaystyle \therefore \int \frac{f'(x)}{f(x)} \,\mathrm{d}x = \ln{|f(x)|}+C )]

1.1.1.1. 예제 1-1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시오.

[math(\displaystyle \int \tan x \,\mathrm{d}x )]

[풀이 1]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int \tan x \,\mathrm{d}x &= \int \frac{\sin x}{\cos x} \,\mathrm{d}x \\
&= -\int \frac{(\cos x)'}{\cos x} \,\mathrm{d}x \\
&= -\ln{\left|\cos x\right|}+C
\end{aligned} )]

[풀이 2]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int \tan x \,\mathrm{d}x &= \int \frac{\sec x \tan x}{\sec x} \,\mathrm{d}x \\
&= \int \frac{(\sec x)'}{\sec x} \,\mathrm{d}x \\
&= \ln{\left|\sec x\right|}+C
\end{aligned} )]

이 때 [math(\displaystyle \ln{\left|\sec x\right|} = \ln{\left|\frac1{\cos x}\right|} = \ln{\left|\cos x\right|^{-1}} = -\ln{\left|\cos x\right|} )]이므로 두 결과는 일치한다.

1.1.2. 치환 적분을 두 번 이상하는 경우

1.1.2.1. 예제 2[5]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시오.

[math(\displaystyle \int \sqrt{1+e^{ax+b}} \,\mathrm{d}x )]

[math(e^{ax+b}=t)]라고 두면 [math(\dfrac{\mathrm{d}t}{\mathrm{d}x} = ae^{ax+b} = at)]이므로 [math(\mathrm{d}x= \dfrac{\mathrm{d}t}{at} )]로 바꾸어 대입하면

[math(\displaystyle \int \sqrt{1+e^{ax+b}} \,\mathrm{d}x = \frac1a \int \frac{\sqrt{1+t}}t \,\mathrm{d}t )]

[math(\displaystyle \sqrt{1+t}=k)]라고 두면, [math(t=k^2-1)]이고 [math(\mathrm{d}t = 2k\,\mathrm{d}k)]이므로 이를 대입하면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int \sqrt{1+e^{ax+b}} \,\mathrm{d}x &= \frac1a \int \frac{\sqrt{1+t}}t \,\mathrm{d}t \\
&= \frac1a \int \frac k{k^2-1} \cdot 2k \,\mathrm{d}k \\
&= \frac1a \int \frac{2k^2}{k^2-1} \,\mathrm{d}k \\
&= \frac1a \int \biggl( 2+\frac1{k-1}-\frac1{k+1} \biggr) \mathrm{d}k \\
&= \frac1a \biggl( 2k + \ln{\biggl| \frac{k-1}{k+1} \biggr|} \biggr) +C \\
&= \frac1a \biggl( 2\sqrt{1+t} - \ln{\biggl| \frac{\sqrt{1+t}-1}{\sqrt{1+t}+1} \biggr|} \biggr) +C \\
&= \frac1a \biggl( 2\sqrt{1+e^{ax+b}} - \ln{\biggl| \frac{\sqrt{1+e^{ax+b}}-1}{\sqrt{1+e^{ax+b}}+1} \biggr|} \biggr) +C
\end{aligned} )]
셋째줄에서 넷째줄로 넘어갈 때 부분분수분해법을 사용했다.

1.1.3. 삼각 치환

변수를 삼각함수로 치환하여 적분하는 방법이다.
대개 [math(\displaystyle \int \sqrt{a^2-x^2} \,\mathrm{d}x)]는 [math(x = a\sin t)]로, [math(\displaystyle \int \sqrt{a^2+x^2} \,\mathrm{d}x)]는 [math(x = a\tan t)]로 치환하여 적분한다.
[math(\displaystyle \int \sqrt{x^2-a^2} \,\mathrm{d}x)]는 [math(x>0)]일 땐 [math(x = a\sec t)]로, [math(x<0)]일 땐 [math(x = a\csc t)]로 치환하거나 아크시컨트, 아크코시컨트의 도함수를 이용하여 적분한다. 삼각치환을 할 때는 범위를 지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1.1.3.1. ∫ √(a²-x²) dx 꼴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시오.
[math(\displaystyle \int \sqrt{a^2-x^2} \,\mathrm{d}x )]

일단 [math(\displaystyle x = a\sin t)]로 두고, [math(t)]의 범위는 [math(-\dfrac{\pi}2 \le t \le \dfrac{\pi}2)]로 둔다. 양 변을 [math(t)]에 대해서 미분하면 [math(\dfrac{\mathrm{d}x}{\mathrm{d}t} = a\cos t)]이고, 이 식을 [math(\mathrm{d}x = a\cos t \,\mathrm{d}t)]로 바꾸어 본래의 적분에 대입하면 아래처럼 진행할 수 있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int \sqrt{a^2-x^2} \,\mathrm{d}x &= \int \sqrt{a^2-a^2\sin^2t} \cdot a\cos t \,\mathrm{d}t \\
&= \int \sqrt{a^2(1-\sin^2t)} \,a\cos t \,\mathrm{d}t \\
&= \int a\cos t \,\sqrt{a^2\cos^2t} \,\mathrm{d}t \\
&= a \int \cos t \cdot a\cos t \,\mathrm{d}t \qquad \biggl( \because -\frac{\pi}2 \le t \le \frac{\pi}2 \Rightarrow \cos t \ge 0 \biggr) \\
&= a^2 \int \cos^2t \,\mathrm{d}t \\
&= a^2 \int \frac{1+\cos{2t}}2 \,\mathrm{d}t \\
&= \frac{a^2}2 \biggl( t + \frac12\sin{2t} + C \biggr) \\
&= \frac{a^2}2 (t + \sin t\cos t) + C \\
&= \frac{a^2}2 \biggl( \arcsin{\frac xa} + \frac xa\cos\biggl(\arcsin{\frac xa}\biggr) \biggr) + C \\
&\quad \biggl( \because x=a\sin t \Rightarrow \frac xa=\sin t \Rightarrow t=\arcsin{\frac xa}\biggr)
\end{aligned} )]
[math(\cos\biggl( \arcsin \dfrac xa \biggr) )]를 구하기 위해 [math(\sin^2t+\cos^2t=1)]에 [math(t=\arcsin{\dfrac xa} )]를 대입하면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sin^2\biggl(\arcsin{\frac xa}\biggr) + \cos^2\biggl(\arcsin{\frac xa}\biggr) &= 1 \\
\biggl(\frac xa\biggr)^2 + \cos^2\biggl(\arcsin{\frac xa}\biggr) &= 1 \\
\cos^2\biggl(\arcsin{\frac xa}\biggr) &= 1 - \frac{x^2}{a^2} \\
\therefore \cos\biggl(\arcsin{\frac xa}\biggr) &= \sqrt{1-\frac{x^2}{a^2}} \\
\quad \biggl( \because -\frac{\pi}2 \le t=\arcsin{\frac xa} \le \frac{\pi}2 &\Rightarrow \cos\biggl(\arcsin{\frac xa}\biggr) \ge 0 \biggr)
\end{aligned} )]
이 식을 위의 적분 결과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int \sqrt{a^2-x^2} \,\mathrm{d}x &= \frac{a^2}2 \biggl( \arcsin{\frac xa} + \frac xa\cos{\biggl(\arcsin{\frac xa}\biggr)} \biggr) + C \\
&= \frac{a^2}2 \arcsin{\frac xa} + \frac{ax}2 \sqrt{1-\frac{x^2}{a^2}} + C \\
&= \frac{a^2}2 \arcsin{\frac xa} + \frac x2 \sqrt{a^2-x^2} + C
\end{aligned} )]

1.1.4. ∫ f(lnx)/x dx 꼴

1.1.4.1. 예제 4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시오.

[math(\displaystyle \int \frac{\sin{(\ln x)}}x \,\mathrm{d}x )]

[math(\ln x=t)]로 두면 [math(x=e^t)]이고, [math(\dfrac{\mathrm{d}x}{\mathrm{d}t}=e^t)]이므로 [math(\mathrm{d}x=e^t\,\mathrm{d}t)]가 된다. 이를 위의 적분식에 대입하면 아래처럼 진행할 수 있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int \frac{\sin{(\ln x)}}x \,\mathrm{d}x &= \int \frac{\sin{(t)}}{e^t} \cdot e^t\,\mathrm{d}t \\
&= \int \sin t \,\mathrm{d}t \\
&= -\cos t + C
\end{aligned} )]

[math(\ln x=t)]로 치환했었으니 다시 [math(x)]에 관한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 결과를 얻을 수 있다.

[math(\displaystyle \therefore \int \frac{\sin{(\ln x)}}x \,\mathrm{d}x = -\cos{(\ln x)}+C )]

1.1.5. 탄젠트 반각 치환적분

'탄젠트 반각 치환(tangent half angle substitution)'이 올바른 명칭이며, 바이어슈트라스가 살던 시대 이전부터 널리 사용되어 오던 치환법이다. '바이어슈트라스 치환'은 잘못된 명칭이다.[6] 적분하기에 복잡한 삼각함수식을 대수적 변수로 치환해 적분하는 방식이다.

적분이 복잡한 다음 식을 가정하면,

[math(\displaystyle \int f(\sin x , \cos x) dx)]

여기서, [math(t=\tan {x}/{2})]을 적용하면, 임의의 함수는 다음과 같은 대수적 형식으로 치환된다.

[math(\displaystyle \int f\left({\left(\dfrac{2t}{1+t^2}\right), \left(\dfrac{1-t^2}{1+t^2}\right)}\right) \dfrac{2}{1+t^2}dt)]
1.1.5.1. 증명
위의 함수를 상기하면,
[math(\displaystyle \sin\,x=2\sin\left(\dfrac{x}{2}\right)\cos\left(\dfrac{x}{2}\right)=2\dfrac{\sin\left(\dfrac{x}{2}\right)\cos^2\left(\dfrac{x}{2}\right)}{\cos\left(\dfrac{x}{2}\right)})]

[math(\displaystyle =2\dfrac{\tan\left(\dfrac{x}{2}\right)}{\sec^2\left(\dfrac{x}{2}\right)})]

단, [math(\displaystyle \sec^2\left(\dfrac{x}{2}\right)-\tan^2\left(\dfrac{x}{2}\right)=1)]이므로,

[math(\displaystyle \sin\,x=\dfrac{2t}{1+t^2})].

[math(\displaystyle \cos\,x=\cos^2\left(\dfrac{x}{2}\right)-\sin^2\left(\dfrac{x}{2}\right))]

[math(\displaystyle \csc^2\left(\dfrac{x}{2}\right)-\cot^2\left(\dfrac{x}{2}\right)=1)]이므로,

[math(\displaystyle \cos\,x=\dfrac{1}{1+t^2}-\dfrac{t^2}{1+t^2}=\dfrac{1-t^2}{1+t^2})]

삼각함수 치환적분을 사용하면 [math(dx=\dfrac{2}{1+t^2}dt)].

그러므로, [math(\displaystyle \int f\left(\left(\dfrac{2t}{1+t^2}\right), \left(\dfrac{1-t^2}{1+t^2}\right)\right) \dfrac{2}{1+t^2}dt)]가 정의된다.
1.1.5.2. 활용
“[math(\int \frac{n_0}{n_1\cos\,x+n_2\sin\,x} {\rm d}x)]” 꼴 적분에서 유용하게 쓸수 있다. 단, 계산이 많아지는 편.

2. 정적분

2.1. 개요

닫힌 구간 [math(\left[a,\,b\right] )]에서 연속인 함수 [math(f(x) )]에 대하여 미분가능한 함수 [math(g(t) )] 의 도함수 [math(g'(t) )]가 닫힌 구간 [math([\alpha,\,\beta] )]에서 연속이고 [math(a=g(\alpha),\,b=g(\beta) )]이면

[math(\displaystyle \int_a^b f(x) \,\mathrm{d}x = \int_{\alpha}^{\beta} f(g(t)) \,g'(t) \,\mathrm{d}t )]

2.1.1. 예제 1

다음 정적분을 구하시오.

[math(\displaystyle \int_0^a \sqrt{a^2-x^2} \,\mathrm{d}x )]

[math(\displaystyle x = a\sin t)]로 두고 [math(t)]의 범위는 [math(-\dfrac{\pi}2 \le t \le \dfrac{\pi}2)]로 두자. 그러면 [math(x=0)]일 때 [math(t=0)]이고, [math(x=a)]일 때 [math(t=\dfrac{\pi}2 )]이다. 또한 [math(\dfrac{\mathrm{d}x}{\mathrm{d}t}=a\cos t)]이므로 위의 정적분은 아래와 같이 진행 가능하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int_0^a \sqrt{a^2-x^2} \,\mathrm{d}x &= \int_0^{\pi/2} \sqrt{a^2-a^2\sin^2t} \cdot a\cos t \,\mathrm{d}t \\
&= \int_0^{\pi/2} \sqrt{a^2(1-\sin^2t)} \,a\cos t \,\mathrm{d}t \\
&= \int_0^{\pi/2} \sqrt{a^2\cos^2t} \,a\cos t \,\mathrm{d}t \\
&= \int_0^{\pi/2} a\cos t \cdot a\cos t \,\mathrm{d}t \\
&= a^2 \int_0^{\pi/2} \cos^2t \,\mathrm{d}t \\
&= a^2 \int_0^{\pi/2} \frac{1+\cos{2t}}2 \,\mathrm{d}t \\
&= \frac{a^2}2 \biggl[ t + \frac12\sin{2t} \biggr]_0^{\pi/2} \\
&= \frac{a^2}2 \biggl[ \biggl( \frac{\pi}2 + \frac12\sin{\pi} \biggr) - (0+0) \biggr] \\
&= \frac{a^2}2 \cdot \frac{\pi}2 \\
&= \frac{\pi a^2}4
\end{aligned} )]
참고로, 이 정적분 값은 반지름이 [math(a)]인 사분원의 넓이와 같으므로[7], 이를 4배하면 반지름이 [math(a)]인 원의 넓이가 [math(\pi a^{2})]이 됨을 알 수 있다.

[1] 이런 함수들은 초등함수 표현이 불가능한 부정적분이 있다고 한다. 전자는 사인 적분 함수, 후자는 오차함수라는 특수함수를 이용해서 적분을 표현해야 한다.[2] 보통 [math(t=)]([math(x)]에 관한 함수)꼴로 두는데, 이럴 때에 다시 양변에 [math(x)]에 관한 함수의 역함수를 먹여도 된다. 그러면 이 꼴이 된다.[3] 쉽게 말하면 함수[4] 숨마쿰라우데 미적분2 4단원 적분법 360쪽[5] 이 예제에서 [math(a=2)], [math(b=0)]이면 [math(e^x)]의 곡선의 길이를 구하는 함수가 된다.[6] 2018년에 개정된 피어슨사의 GCE A Level의 심화수학과목의 심화순수수학 1 교과서에서는 바이어슈트라스 치환이라고 언급되었다. 다만, GCE A Level 심화순수수학 1 시험지나 STEP 2-3에서는 substitution, [math(t=\operatorname{tan}(\frac{1}{2}x))]으로 언급되긴 한다.[7] [math(\displaystyle y=\sqrt{a^2-x^2} )]이라고 두고 양변을 제곱하면 [math(x^2+y^2=a^2 \, (y\ge0) )]이 되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