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해의 교역로(日本道)에 대한 내용은 일본도(발해) 문서
, 게임 '폴아웃 시리즈'의 아이템이자 무기에 대한 내용은 일본도(폴아웃 시리즈) 문서
참고하십시오.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우치가타나 | |
[clearfix]
1. 개요
일본도([ruby(日本刀, ruby=にっぽんとう)])는 일본에서 발달한 전통적인 도검 양식을 가리킨다. 타치(太刀)나 우치가타나(打刀) 등을 포함하며, 간단히 '카타나([ruby(刀, ruby=かたな)])'로도 불린다. 한편 양날검은 '츠루기([ruby(剣, ruby=つるぎ)])'라 불린다. 이 밖에 과거 한반도 국가들에서는 '왜도(倭刀)', '왜환도(倭環刀)', '왜검(倭劍)'으로 불리기도 했다.일본도의 장인을 '토코(刀工, 도공)'라고 하며, 카누치(鍛人), 카나치(鍛師), 카타나카지(刀鍛冶), 토쇼(刀匠), 카타나시(刀師) 등으로도 부른다.
2. 역사
일본의 환두대도 유물 |
일본에 있는 당대도 유물과 복원품 |
일본 정창원 소장 흑작대도(黑作大刀)[제원] |
헤이안 시대의 飾太刀 |
일본국보 게누키가타타치(毛拔形太刀) |
7-8세기 때는 도호쿠 지방 국경선 너머로 준동하는 원주민인 에미시들과 조정간의 전쟁이 격화되던 시기로 이 때 에미시들은 말을 타고 활을 쏘며 기동력을 갖춰 전쟁을 했고, 그들이 사용하던 도검을 일본의 무사들이 도입해 마상전투에 걸맞게 휘어진 칼날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헤이안 시대를 거치면서 율령제가 붕괴하고 평민으로 구성된 군단제가 포기되고 지방관아의 자제로 구성된 건아(健兒)제도로 병역제도가 변경되며 자연히 소수정예의 형태로 군사제도가 변화되면서 도검의 형태도 무사들이 사용하는 휘어진 형태로 정착되어간다. 헤이안 말기-겐페이 시대에 이르면 일본도는 18~23cm의 짧은 손잡이를 금속 박판으로 위아래를 덮고 옆에는 어피를 붙이고 80cm 이상의 긴 칼날을 가진 마상용 도검의 형태를 가지게 된다. # ##
이런 타치(大刀)의 발전 과정 중 누락된 부분이 있다고 여겨져, 이를 와라비테타치와 연관지으려는 시각도 있으나, 이미 더 이전 백제, 신라, 가야 등에서 한반도식 환두대도를 가져와 쓰던 일본 직도 대도 단계부터 손잡이가 조금씩 뒤로 꺾인 것들이 발견되고 있기 때문에 환경에 맞게 서서히 형태가 변했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일본도의 시작을 에미시 등 동부 원주민의 칼과 연관지으려는 시도도 활발하지만 애초에 그쪽의 도검류는 손바닥만한 칼날에 앞굽이가 심한 손잡이 등 타치의 원류와는 심하게 동떨어진 외형과 제법을 하고 있다. 제강기술과 강철검 제법이 심각하게 비틀린 다른 루트로 들어왔다는 주장 자체에 무리가 있다.
헤이안 시대 시대의 일본도 도신과 도검 |
가마쿠라 시대의 효고구사리다치(兵庫鎖太刀) |
무로마치 시대의 일본도 외장은 에도 시대 것이다 링크 |
무로마치 말기에 들어 오닌의 난과 같은 내전이 발발하고 나서는 기마무사 소모는 많아지는 데 비해 기존의 기마무사의 공급은 점차 줄어들면서 자연스럽게 말 없이 걸어다니는 하급무사, 뒤이어 아시가루들이 전쟁의 주력을 차지하게 된다. 이때 이들이 사용한 것이 바로 카타나라는 일본도로써 주요 특징은 타치보다 한 단계 낮은 위치의 도검으로써 패용 장치가 없이 허리춤에 끼우고 다녔고 칼날도 2척 1촌(63 cm) 정도로 짧으며 한 손으로 쓰기 적당한 칼이었다. 정확한 것은 우치가타나 문서 참조. 이러한 카타나는 오다 노부나가가 아즈치 성을 건설하여 천하인임을 표명한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 들어서면서 도보전이 일반화된 전쟁 환경을 감안하여 기존의 타치를 대체하여 사용되게 되고 전체적인 스펙도 타치와 큰 차이가 없어졌다. 이 즈음에는 카타나와 와키자시를 장식을 통일해서 한 세트로 차고 다니는 것도 유행하기 시작했으며 이를 다이쇼 코시라에, 또는 니혼자시로 부른다. 또 기존의 타치를 패용 장치를 제거하고 카타나의 쿠리카타를 붙여서 허리에 끼워서 차고 다니는 한다치(半太刀) 양식이 등장하기도 했다. 장식성에서 워낙 우월했기 때문에 카타나라도 한다치의 양식을 모방해서 만들기도 하였다.
에도 시대에 들어서는 지나치게 긴 칼을 금지하고 날 길이의 기준을 정했다. 일단 하바키를 제외한 날 길이 기준으로 1척(30.3 cm) 이하는 단도, 1척 이상~2척 미만은 와키자시, 2척 이상은 카타나로 규정했다. 또 카타나의 날 길이는 2척 3촌(약 69cm)를 넘기지 않도록 규정했다.[3] 그래서 기존의 타치를 갈아내서 날 길이를 맞춰 패용하고 다닌 경우도 존재한다. 이와 동시에 카타나와 와키자시를 신분의 상징으로 무사가 항시 패용하도록 규정하였다. 또 실전이 없어지고 일본도에 대한 관념이 의식화되고 장식적인 것이 호평을 받으면서 일본도의 여러 부품에 화려한 투각이나 문양이 새겨지거나 다양한 디자인들이 선보이게 된다. 현대 일본도 문화에도 큰 영향을 끼쳐서 카타나에 실전용 외장과 보관용 시라사야를 따로 만든다거나 정비할 때 도침(칼베개)를 이용해서 뉘어놓는 등의 문화가 죄다 이 에도 시대에 정립된 것이다. 물론 히고나 사츠마 코시라에처럼 실전적이고 투박한 것도 있었지만 대세는 보다 가볍고 화려하고 장식적인 것이었다.
에도 시대 초기 때는 직도 형태의 일본도가 약 80년간 유행을 한적이 있었다. 전국시대 말기에 태어난 세대들 중에 카부키모노들이란 소위 양아치 집단들을 중심으로 휘어진 형태의 일본도가 아닌 직선 형태의 일본도 및 화려한 장식이 달려있는 일본도가 유행을 하였다고 한다. 이는 실용성은 전혀 없으며 오로지 장식품의 용도로만 쓰였다. 이때 수많은 곡선 형태의 일본도들이 직선 형태로 개조되었고, 이들 중엔 이름있는 명도들도 꽤 있었다고 한다. 그러다가 위에 언급된 것처럼 칼의 규정이 생기면서 직도 및 화려한 장식이 된 검들은 전면 금지되었다.
1860년 에도막부 말기 일본도를 휘두르는 사무라이의 모습 |
무진전쟁 때에는 주로 총포를 이용한 전쟁이 벌어졌지만 간혹 도검을 이용해 돌격하는 경우도 있었다. 총검 사용이 잘 이루어지지 않은 이유는 4~5kg에 달하는 당시의 소총으로 총검술을 하는 것을 일본인들이 상당한 부담을 느껴서라고 한다. 서남전쟁에서는 화력이 딸리고 총탄이 부족한 사츠마 군대의 무사들이 일본도를 이용해 발도 돌격을 수행하는 경우가 자주 있었는데, 평민 장정으로 구성된 당시 일본 정부군이 혼비백산하여 도주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았고 결국 정부군 측에서도 무사들로 구성된 경찰 발도대를 투입해 칼에는 칼로 맞서게 되었다. 서남전쟁은 구시대의 산물로 무시된 일본도가 다시 실전력을 증명한 전쟁으로써 이후 일본은 검도를 제정하고 실전군도를 제정하는 등 백병전을 다시 고려하였다.
청일전쟁과 러일전쟁 때에는 16식 해군장교도, 19식 육군장교도(둘 다 세이버)의 양식을 유지한 채로 일본도 칼날을 끼우고 양손으로 쥐는 손잡이를 장착한 양손세이버가 실전군도로써 사용되었다. 1934년에는 초국가주의 열풍으로 일본도 타치 양식을 갖춘 신군도가 등장한다. 1945년 종전 이후 일본도들은 죄다 회수되어 폐기될 위기에 처했으나 전통 공예품이란 측면을 강조하여 겨우 살아남았다. 일본은 날 길이가 15cm 이상인 날붙이를 무기로 규정하고 소지를 금하지만, 일본도는 전통공예품으로 규정하기 때문에 소지와 거래를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일본 제국 시대에는 총검을 자주 사용하였지만 상하이, 난징과 같은 일본 제국군에 정복된 곳에서는 중국인들을 향한 '100인 베기(100人切り)' 등 일본 제국군의 장난과 놀이로 일본도가 사용되었다. 당시 일본 제국군들이 주둔하던 난징에선 중국인을 놀이로 처형할 때 이 일본도로 목을 잘라 처형하였다.
미국 뉴올리언스 국립 2차 대전 박물관에 전시된 98식 전도와 미군 철모 전후 철모 주인[4]의 증언에 의하면 일본 장교가 일본도로 자신의 철모를 내리쳤지만 사진과 같은 흠집밖에 안 났고, 당황하는 틈을 타 철모 주인은 자신의 총검으로 손쉽게 장교를 물리치고 일본도를 노획했다고 한다. |
한국에서도 일제강점기 해방 전후에 이런저런 경로로 노획하여 사용한 사례가 있는 듯하다. 참고 해방 후 테러, 강도질은 물론 국군이나 빨치산이 사용하기도 했다.
3. 역사상의 평가
일본도에 대한 평가는 중세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중국은 명나라 해안지역에의 연이은 왜구의 약탈로, 한국은 15세기 말 조선 중기부터 시작해 임진왜란을 기점으로 특히나 일본도나 그 검술에 대해 높은 평가를 하게 되었다.3.1. 중국의 왜도
곤이(昆夷)로 가는 길은 멀어서 다시는 통할 수 없으니,
옥도 절단한다는 그 칼을 누가 찾을 수 있으리오?
근래에 보검이 일본국에서 나와,
월(越) 상인이 창해 동쪽에서 그것을 얻었네.
물고기 껍질을 장식해 붙인 향나무 칼집,
노란빛과 흰빛이 섞인 놋쇠와 구리.
백금에 호사가의 손으로 넘어오니
허리에 차면 요괴를 물리칠 수 있단다.
듣기에 그 나라는 큰 섬에 있고,
토양이 비옥하고 풍속이 좋다고 하네.
그 선조인 서복이 진나라 백성을 속여,
약을 캐러 갔다가 동남동녀 그 곳에서 늙어갔고
온갖 장인과 오곡을 그들에게 주어 살게 하니,
지금에 이르도록 공예품 모두 정교하도다.
구양수(歐陽脩, 1007~1072) 일본도가(日本刀歌)
송나라 시절에 일본과의 무역을 통해 타치(太刀)가 수입되긴 했지만 이때는 실전(군사용) 무기가 아니라 독특한 양식의 외국 칼, 수집품 취급을 받았다. 일본도가 실전 무기로 큰 영향을 끼친 것은 명나라 시대에 왜구가 준동하면서부터였다. 당시 명나라는 이른바 해금정책으로 대외무역을 크게 제한하였는데 무역으로 큰 돈을 벌던 중국과 일본의 상인들이 이에 저항하여 용병을 고용하고 밀무역을 하면서 해적 집단으로 변화되었다. 여기에 많은 중국인, 일본인 용병들이 한 몫을 잡기 위해 뛰어들면서 명나라 해안에 대한 노략질이 심해졌다. 특히 저장 성 지방의 피해가 막심했다. 옥도 절단한다는 그 칼을 누가 찾을 수 있으리오?
근래에 보검이 일본국에서 나와,
월(越) 상인이 창해 동쪽에서 그것을 얻었네.
물고기 껍질을 장식해 붙인 향나무 칼집,
노란빛과 흰빛이 섞인 놋쇠와 구리.
백금에 호사가의 손으로 넘어오니
허리에 차면 요괴를 물리칠 수 있단다.
듣기에 그 나라는 큰 섬에 있고,
토양이 비옥하고 풍속이 좋다고 하네.
그 선조인 서복이 진나라 백성을 속여,
약을 캐러 갔다가 동남동녀 그 곳에서 늙어갔고
온갖 장인과 오곡을 그들에게 주어 살게 하니,
지금에 이르도록 공예품 모두 정교하도다.
구양수(歐陽脩, 1007~1072) 일본도가(日本刀歌)
이때 절강성에 부임한 군사령관 척계광은 낭선, 등패를 비롯한 신무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왜구의 주특기인 일본도 검술과 돌격을 저지하는 원앙진을 고안하고 기동력 있는 경량 화포(호준포 등)을 채용하고 화승총도 채용했다. 이 과정에서 일본도의 긴 길이에서 나오는 사거리와 절삭력을 보고 일본도, 특히 오오타치의 영향을 받아 쌍수도라는, 화승총병이 백병전시 사용할 무기를 만들었다. 또 일본 검술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투항 왜구에게 검술을 배우는 동시에 1561년에는 일본에서 카게류(陰流) 검술[5]도 수입하여 기술 목록[6]까지 입수했는데, 신유년에 입수했다 하여 신유도법(辛西刀法)이라고도 부른다.[7] 이후로 명나라에서도 일본도를 이용한 검술 연구가 이루어져서 왜도로 창을 이기는 방법을 담은 정종유(程宗猷)의 단도법선(單刀法選)이 출판되었으며 1621년 모원외가 15년이라는 긴 시간에 걸쳐 2천여 종의 병법서를 참고하여 정리한 병법서 《무비지》에도 '일본음류도법'과 '왜구도법'이 기록되었다.
처음에는 일본도 양식을 그대로 베껴서 생산했다. 이순신 장군이 받은 명조팔사품 중에 대도의 쓰바(鍔)는 일본의 기쿠 양식을 그대로 복제한 것. 하지만 나중에는 명나라 식으로, 중국 양식의 물건으로 대체된다. 이러한 일본도들을 중국에서는 '왜도(倭刀)’[8]라고 불렀으며 청나라 말엽까지 제식병기로도 사용되었다. 화북에서는 양손으로 사용하는 도검이라는 의미로 쌍수대(雙手帶)[9]라고도 불렀는데 박도(朴刀)와 같이 다른 양식의 양손도검도 똑같이 쌍수대라 칭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1627년 정묘호란에서 승리한 후금은 조선과의 교역을 통해 명나라와의 전쟁에 필요한 물자를 조달하기 시작했는데, 그 와중에 조선인 포로 수천 명을 해방하는 조건으로 왜도 500자루를 요구하기도 했다. 청나라가 중원에 입성한 이후에도 섭정왕 도르곤이 조선에 특별히 일본도를 구해다 바치라 요구한 일이 있었고 조공 물품 중 환도를 일본도로 바꾸라고 하기도 했다.###
민국 시대에 들어서면 묘도(苗刀)[10]라 불리는 양손으로 잡는 장도(長刀)가 나타나는데 이전의 왜도 양식과는 대동소이하다. 근대에 들어오면서 '왜'라는 명칭이 꺼려지게 되자 칼날이 풀의 새싹처럼 가늘고 예리하다는 뜻으로 묘도라 불리게 된 듯 하다. 중국 무술 중에 묘도를 사용하는 무술도 있긴 한데 묘도조차 현대 우슈에서 사용하는 무기들처럼 지나치게 경량화 시켜 잘 휘게 만들어 사용하기도 한다. 묘도가 최소 130cm가 넘어가는 장도이기에 본래의 방식으로 만들 경우 무게중심이 쓰바와 멀어져 우슈 검술처럼 막 휘두르지 못해 구사 가능한 동작이 제한되기에 이런식의 경량화를 시키는 것인데 당연히 다른 우슈 무기술과 마찬가지로 실전성은 무척 떨어진 체조 동작이 되어버린다. 반면에 무게를 제대로 만든 묘도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당히 위력적인 모습이 연출되기도 한다.
중국 배경인 무협소설에서도 종종 언급되기도 한다. 보통 중국 배경의 무협물에서는 도는 두껍고 검은 가는 경우가 많은데 일본도는 검처럼 가느다란 도로 찌르기에도 큰 문제가 없어 검과 도의 장점을 고루 가진 무기로 평가하는 경우가 자주 있었다.
3.2. 조선의 왜도
조선에서는 왜검(倭劍)이나 왜도(倭刀)라고 불렀다.[11]한국은 11세기 고려 시대부터 일본과 물물교환을 통해 도검을 수입한 기록이 발견된다. 다만 왜구들이 창이나 칼을 사용하는 단병접전을 잘한다는 인식 정도는 있었던 것으로 보이지만[12] 일본도를 군사적으로 특별시한 기록은 눈에 띄지 않으며 실제로 세종 대까지도 일본도를 그냥 진상받거나, 하사하는 전리품 내지는 이국의 특산품 정도로 인식한 것으로 보인다.[13]
그러나 조선 중기인 15세기말에 들어서면서부터 점점 그 시각이 달라지기 시작했다. 특히 임진왜란을 겪고 나서는 아래의 관련 기록 항목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일본도와 일본 검술에 대한 평가가 매우 높아졌다. 다만 그 사이에 딱히 일본도의 제법이나 재료 혹은 검술 등이 딱히 달라진 것은 아니었다. 그럼에도 이렇게 반응이 달라진 것은 당시 조선과 일본 두 나라의 상황과 환경을 비교해 보면 유추할 수 있다.
사실 동북아시아에서 일본도가 도검 중에선 가장 백병전에 위력적인 무기였단 것 자체는 사실이다. 물론 이것이 기술력이나 재료의 차이로 인한 것은 아니며[14] 이는 당시에 선호했던 도검의 스타일 차이로 인한 것이 크다. 일단 조선의 경우 선호하는 검의 길이가 그렇게 긴 편이 아니었다. 기본적으로 궁병이나 기병, 그마저도 궁기병이 중심이 되었던 만큼 도검이 짧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도검의 길이가 길어지면 시위를 당길 시 걸리적거리는 데다가 무게 또한 만만치 않게 늘어난다. 거기다 도검을 주무장으로 사용하는 팽배수, 등패수는 방패를 함께 들었다. 왜 로마의 군단병이 장검보다 글라디우스를 제식무장으로 삼았는지 생각해 보자. 물론 고려도경 등에서 긴 칼을 찼다는 묘사가 있고 조선 초에는 칼의 길이가 다양했단 기록이 있지만, 위의 이유로 무예도보통지에서 제시된 제식 환도의 길이와 크게 다르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일본의 사무라이는 여러모로 기마궁수에서 그 기원이 시작됐지만 전국시대까지 오랜 기간 전란이 이어지면서 군마 수급 문제, 전술의 변화 등으로 인해 단병접전에서 위력적인 중후장대한 도검을 선호하는 보병 무사의 모습으로 바뀌게 된다.[15] 날길이 80cm 이상의 타치, 심지어는 3척(90cm) 이상으로 오오타치처럼 아예 규격이 다른 대검까지 활용되었으며[16] 도신 자체도 두꺼운 편이라 베는 힘이 강해 백병전에서 일본도는 확실히 타 도검에 비해 이점을 가졌다고 볼 수 있다. 요컨대 일본도에 적용된 기술이나 재료가 특별한 것은 아니지만, 길고 육중한 칼이 많았기 때문에 전투 시의 성능만 따지자면 일본도가 평균적으로 가장 뛰어난 편이었다.
그러나 엄청난 규모의 왜구와 싸우던 여말선초까지도 단순하게 왜적은 창칼을 사용한다던가, 단병에 능하다 이상의 기록은 나타나지 않는다. 이때까지는 그냥 왜인들 중에 칼을 잘 쓰는 사람이 많다일 뿐, 칼 자체가 특별하게 인상을 남길 정도로 고평가를 받은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아래에서 서술하는 내용들은 여말선초 시기와 달리 일본도나 일본 검술 자체가 신격화될 정도로 조선이 왜란에서 일본도에 크게 피해를 입은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해 고찰한 것이라고 보면 된다.
물론 대부분은 당시의 조선이 전국시대의 일본과 다르게 기껏해야 국경에서의 분쟁 정도만 있던 태평성대가 거의 200년 가까이 이어지면서 군사 관련 전반에 여러 문제가 생겼기 때문으로 귀결된다.
먼저 군사들의 훈련도와 수준이 크게 낮아졌다. 특히 단병접전의 관점에서 보자면, 조선 보병의 상당수는 궁병 이기 때문에 팽배수와 창병의 역할이 제대로 돼 있어야 했다. 무난하게 왜구에게 대응했던 고려 시대에도 궁병의 비율이 높았던 건 마찬가지였고, 궁병들 역시 단병접전에 대비하는 것이 기본이긴 하지만 후술 할 훈련도 문제 및 병장기의 질적 저하 등으로 당시 조선군은 이를 제대로 대비할 수 없었다.[17] 거기에 실록을 보면 시간이 지나면서 군사들이 창검술 익히기를 소홀히 한다는 기록들이 나타나며 왜란 당시에는 검술을 아는 자가 없다고 표현할 정도로 훈련도가 크게 떨어졌다.[18] 그나마 정예병이라 평가받는 훈련도 높은 군인들과 수준 높은 장교들은 당시 최전방이던 북방 국경에 배치되었고, 남쪽은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여겨 더더욱 훈련도가 떨어졌다. 어찌 됐든 이로 인해 왜적들이 조총을 쏘고, 큰 칼을 휘두르며 달려오면 병사들이 사기가 무너져 전열이 와해돼 큰 피해를 당했다는 식의 기술 또한 자주 나타난다. 1605년의 실록에서도 이시언이라는 무신이 왜인이 칼을 잘 쓰긴 하나, 우리도 칼을 뽑으면 대적할 수 있는데 병사들이 도망쳐서 문제가 컸다는 식의 이야기를 한 기록이 남아있다.
물론 병장기의 생산, 관리 수준 역시 저하되었다. 왜란 이전 조선 중기에는 군기시의 무기 관리 상태가 박살이 나 있다는 기록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비단 칼뿐만이 아니라 창, 심지어는 가장 중요시했던 무기인 활과 화살까지 습기에 차 썩었다는 식의 기록들을 찾아볼 수 있다. 한편 오랜 태평으로 조선 도검의 평균적인 성능 자체도 떨어졌을 가능성도 높다.[19] 실제로 당장 일본조차도 에도 시대에 들어서면서 실전의 급격한 감소 및 제법의 변화, 예술품화 등이 일어나면서 질적 저하가 눈에 띄게 늘어난 것을 알 수 있다.[20]
또 조선 중기에는 환도의 길이 자체가 너무 짧아지는 문제가 생기기도 했다. 문종 1년 실록[21]에 따르면 조선 초에는 개인에 따라 검의 길이가 다양했었지만, 북방의 여진족을 토벌할 때 짧고 곧은 것이 급할 때 쓰기 좋다는 의견으로 기병이 쓰는 환도는 길이 1척 6촌, 보병이 쓰는 환도는 1척 7촌 3푼의 짧은 길이를 향식으로 한다는 기사를 볼 수 있다.[22] 거의 마체테 수준으로 짧은 길이로 삼국시대의 환두대도들보다 더 짧은 편이다.
이는 당연히 단병접전에서의 불리함을 가져오며 위의 병장기의 상태 불량과 합쳐져 더 비교됐을 것이다. 물론 동래성에서 나름 긴 길이의 환도 역시 출토된 것이나 유물들을 보면 위의 규격은 하나의 기준일 뿐 여전히 다양한 길이의 환도가 사용된 것으로 보이지만 동시에 단검 수준의 아주 짧은 환도들도 출토되었다. 프로이스 등 선교사의 기록에서 조선군들의 칼을 대체로 작다고 언급한 것을 보면 적어도 당대 일본보단 짧은 길이의 칼이 유행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조선의 상황과는 대조적으로, 일본의 경우 전국시대를 치르며 병사들의 전투 경험과 창검의 규격, 관리 상태 등 병장기의 수준에서 우세에 있었다. 결국 위의 조선 내 문제 등과 맞물려 임진왜란을 기점으로 일본도와 일본 검술은 매우 높은 평가를 받게 되었으며, 이후 조선에서 검과 관련된 이야기를 할 때는 일본도나 일본 검술을 언급하는 경우가 많아지게 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3.3. 관련 기록
의령(宜寧)에 거주하는 선군(船軍) 심을(沈乙)이 일찍이 일본에 건너가서 칼 만드는 법을 배워 칼 한 자루를 만들어 올리니, 일본 칼과 다름이 없으매, 명하여 군역(軍役)을 면제시키고 옷 한 벌과 쌀·콩 아울러 10석을 하사하였다.
『세종실록』 1430년 6월 1일
『세종실록』 1430년 6월 1일
"임금이 명하여 종무승(宗茂勝)이 사자(使者)로 보낸 두로가문(豆老可文)에게 칼을 만들도록 하는 일과 관직을 제수(除授)하는 일의 가부(可否)를 영돈녕(領敦寧) 이상의 관원에게 의논하도록 하니, 정창손(鄭昌孫)ㆍ윤필상(尹弼商)ㆍ홍응(洪應)ㆍ노사신(盧思愼)ㆍ윤호(尹壕)는 의논하기를,“두로가문(豆老可文)이 비록 칼을 만드는 일에 교묘(巧妙)하다고 하지마는, 우리 나라에도 또한 훌륭한 공인(工人)이 모자라지 않으니, 그로 하여금 칼을 만들게 할 필요는 없습니다. 더구나 외인(外人)에게 관직을 제수(除授)하는 것은 모두가 공(功)이 있기를 기다리고 있는데, 이 사람은 특별히 공로가 없는데도 칼을 가는 자질구레한 일로써 갑자기 관직을 제수한다면 후에는 반드시 전례(前例)를 원용(援用)하여 관직을 희망하는 사람이 많아질 것입니다.”하고, 한명회(韓明澮)ㆍ심회(沈澮)ㆍ윤사흔(尹士昕)ㆍ이극배(李克培)는 의논하기를,“우리 나라 공인(工人)이 제조한 칼은 저들의 잘 단련(鍛鍊)된 것과 같지 못하니, 저들로 하여금 시험적으로 주조(鑄造)하게 하여 만약 보통 기구(器具)보다 특이하게 된다면 작은 관직을 제수하고 그들이 잇달아 왕래하도록 허가하여 우리 공인(工人)들로 하여금 전습(傳習)하도록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하였다. 또 예조(禮曹)에 물으니, 예조에서 말하기를,“시험하여 만들도록 하는 것은 해로울 것이 없습니다."하자, 전교(傳敎)하기를,“갑오년의 예(例)에 의거하여 그들로 하여금 칼을 만들게 하라.”하였다.
『성종실록』 1482년 9월 24일 왜인 두로가문(豆老可文)에게 관직을 주고 기술을 전습받자는 내용[23]
『성종실록』 1482년 9월 24일 왜인 두로가문(豆老可文)에게 관직을 주고 기술을 전습받자는 내용[23]
"군기시(軍器寺)에 간직한 왜도(倭刀)는 아무리 하품(下品)이더라도 몹시 날카로우니(甚銳利)[24] 진실로 군국(軍國)의 중한 기구인데 가볍게 화매(和賣)하는 것은 미편(未便)합니다"
『성종실록』 1487년 5월 15일
『성종실록』 1487년 5월 15일
신(臣)은 왜의 땅에 와 있은 지 3년 동안 왜놈들이 날마다 군기와 창검을 수련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전후에 항복해 온 왜인 가운데는 반드시 칼을 알아보고, 칼을 만들고, 칼을 갈 줄 아는 자가 있을 것이니, 충신(忠信)으로 대해 주고 녹봉을 후히 주어 날마다 달구어 만들어 내게 하고, 부산에서 만약 전일과 같이 서로 무역하게 될 경우에는 칼을 잘 알아보는 통역을 시켜 귀중한 물품을 많이 싣고 가서 사 들여오게 하여 창졸(倉卒)간의 사용에 대비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간양록』 적중문견록(賊中聞見錄)
『간양록』 적중문견록(賊中聞見錄)
(** 1596년(병신) 1월 1일의 바로 앞에 한 장으로 다섯 줄에 걸쳐 적혀 있는 글이다.)
도양장(고흥군 도양면)의 농사일에 부리는 소가 7 마리인데, 보성 림정로(臨廷老) 1 마리, 박사명(朴士明) 1 마리를 바치지 않았다. 정명열(丁鳴悅)은 바로 길다란 서화첩(長帖)을 받아 갔다. 이는 정 경달(丁景達)의 아들이다. 갑사 송한(宋漢). 1월 3일에 배 위에서 이번에는 환도 4 자루, 왜놈칼 2 자루를 만 들었다. 아들 회가 가지고 가던 중에(이 뒤에 분실)
『난중일기』1596년 1월
도양장(고흥군 도양면)의 농사일에 부리는 소가 7 마리인데, 보성 림정로(臨廷老) 1 마리, 박사명(朴士明) 1 마리를 바치지 않았다. 정명열(丁鳴悅)은 바로 길다란 서화첩(長帖)을 받아 갔다. 이는 정 경달(丁景達)의 아들이다. 갑사 송한(宋漢). 1월 3일에 배 위에서 이번에는 환도 4 자루, 왜놈칼 2 자루를 만 들었다. 아들 회가 가지고 가던 중에(이 뒤에 분실)
『난중일기』1596년 1월
왜경(倭京)에 머물렀다. 군기(軍器)로 소용되는 장검(長劍) 1백 자루를 샀다.
일본에는 다른 나라 사람에게 병기(兵器)를 몰래 파는 일로 금령이 있었다.
타이라노 카게노부([ruby(平, ruby=たひらノ)][ruby(調, ruby=かげ)][ruby(信, ruby=のぶ)])가[25] 생시에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아뢰기를, “조선이 조총과 환도(環刀) 등의 물품을 사고자 하니, 허락해도 될는지 모르겠습니다.”하니,
이에야스가 말하기를, “싸움을 당하면 싸울 것이지, 어찌 병기 없는 나라와 그 승부를 겨뤄서야 되겠느냐? 하물며 이웃 나라가 사고자 한다면 어떻게 금지 하겠는가?”하였다 한다.
그러므로 이번에 사는 병기는 조금도 금지함이 없어 사람들이 앞을 다투어 매매하였던 것이다.
『해사록』 1607년 6월 6일-8일
일본에는 다른 나라 사람에게 병기(兵器)를 몰래 파는 일로 금령이 있었다.
타이라노 카게노부([ruby(平, ruby=たひらノ)][ruby(調, ruby=かげ)][ruby(信, ruby=のぶ)])가[25] 생시에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아뢰기를, “조선이 조총과 환도(環刀) 등의 물품을 사고자 하니, 허락해도 될는지 모르겠습니다.”하니,
이에야스가 말하기를, “싸움을 당하면 싸울 것이지, 어찌 병기 없는 나라와 그 승부를 겨뤄서야 되겠느냐? 하물며 이웃 나라가 사고자 한다면 어떻게 금지 하겠는가?”하였다 한다.
그러므로 이번에 사는 병기는 조금도 금지함이 없어 사람들이 앞을 다투어 매매하였던 것이다.
『해사록』 1607년 6월 6일-8일
상이 김상헌에게 이르기를, "호사(胡使)가 요구한 왜도(倭刀)는 두 자루를 주었을 뿐인데, 부족한 감이 없지 않은가?"하니,
김상헌이 회계하기를, "별단(別單)으로 준 것은 비록 두 자루뿐이지만 무역한 수량은 거의 200자루에 이르니 부족한 것이 아닙니다." 하였다.
부사가 이르기를, "어제 말씀드렸던 국왕께서 보배로 여기시는 왜도를 얻고 싶습니다." 하였다.
『승정원일기』 인조 3년(1625) 6월 12일
김상헌이 회계하기를, "별단(別單)으로 준 것은 비록 두 자루뿐이지만 무역한 수량은 거의 200자루에 이르니 부족한 것이 아닙니다." 하였다.
부사가 이르기를, "어제 말씀드렸던 국왕께서 보배로 여기시는 왜도를 얻고 싶습니다." 하였다.
『승정원일기』 인조 3년(1625) 6월 12일
오랑캐는 호송관(護送官) 이홍망(李弘望)과 함께 상의하고 사로잡혀간 남녀 1만 2천여 명을 돌려보냈는데, 김진(金榗)·박유달(朴惟達) 등의 부부도 아울러 이 속에 끼어 있었다. 오랑캐 차사가 압송해 와서 왜도(倭刀) 5백 자루를 요구했다.
『속잡록』 1627년 3월 10일
『속잡록』 1627년 3월 10일
청나라 장수로서, 우리나라에 관한 일을 맡은 자가 일찍이 일본의 보검을 구하므로, 민간에서 찾아 얻었더니 매우 좋은 칼이 있었다. 공이 이 칼을 받아 감추고, 낭관들을 시켜 다시 다른 칼을 구하게 하였더니, 다시 칼 한 자루를 구하여 올렸다. 공이 말하기를, "비록 처음 칼만을 못하지만 또한 쓸 만하다."하고, 그것을 청장에게 주었다. 얼마 뒤에 청국 황제가 그 장수의 칼을 보고 다시 구하였는데, 공이 즉시 감추어 두었던 것을 내어주며 낭관에게 말하기를, "그때 내가 이미 이럴 것을 예측하고 있었다."하니, 듣는 자가 탄복하였다.
『연려실기술』 29권
『연려실기술』 29권
비변사에서 아뢰기를, "섭정왕이 구하는 특별히 만들어야 할 장검을 일본에서 만들게 하기는 매우 어려운 형편입니다. 지금 후한 값으로써 왜관에 머무르고 있는 왜인 장사꾼에게 몰래 도모한다면 이익을 탐하는 무리인 만큼 설혹 받아 가지고 가시 청국에서 보낸 견본처럼 똑같이 만들 것이나 정교하게 만들지 기필할 수 없습니다."
『비변사등록』 인조 25년(1647) 10월 9일
호조가 아뢰기를, "향장검(鄕長劍) 16병(柄)과 향단검(鄕短劍) 8병은 정축년(1637)의 예(例)대로 모두 왜도(倭刀)로 바꾸어 지급해 달라고 하기에 여러 칙사의 차비 당상 역관들로 하여금 거듭 설명하게 하였지만 끝내 들어주지 않았습니다. 정칙이 곧바로 응판색리(應辦色吏)를 불러 말을 전하기를, ‘앞으로 예단의 환도는 모두 왜도를 쓰는 것으로 사유를 갖추어 입계하고 영원히 등록(謄錄)으로 남기십시오.’라고 하면서 몹시 급히 들여보내라고 하였습니다. 그간의 사세로 볼 때 거절하기 어려울 듯하니, 왜도 가운데 보통의 품질로 가려서 바꾸어 지급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하니,
아뢴 대로 하라고 전교하였다.
『승정원일기』 인조 25년(1647) 10월 16일
상이 희정당(熙政堂)에서 청사(청나라 사신)를 접견하였다.
상이 말하기를, "왜검(倭劍)을 사서 보내라는 분부가 있었는데, 소방(小邦)이 힘을 다하지 않은 것은 아니나 근래 왜인이 병기(兵器) 무역을 전혀 허락하지 않으므로, 지금 10년이 되도록 아직 사지 못하였습니다." 하니,
사신이 말하기를, "그 말씀대로 돌아가 고하겠습니다." 하였다.
『인조실록』 1649년 1월 20일
"신들이 인사하고 나온 뒤에 정사(鄭使)가 이형장을 시켜 신들에게 말을 전하게 하기를, ‘예전에 보낸 환도(環刀)의 견양은 일본에서 제조하기를 도모할 수 없다면 도로 사행 편에 부쳐 보내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번에 사은하는 사행을 다시 보내되 그 견양대로 귀국에서 두 자루를 정밀하게 만들고 말을 잘 만들어 보내기를, 「그 견양을 지금까지 머물러 두었던 것은 반드시 어떻게든 왜국에 시도해 보려는 것이었는데, 어찌할 방도가 없어 부득이 본국에서 만들어 보냅니다. 하지만 품제(品制)가 좋지 못하여 매우 황공합니다.」라고 하십시오.’하였습니다. 해조로 하여금 이대로 거행하게 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승정원일기』 인조 27년(1649) 1월 23일
『비변사등록』 인조 25년(1647) 10월 9일
호조가 아뢰기를, "향장검(鄕長劍) 16병(柄)과 향단검(鄕短劍) 8병은 정축년(1637)의 예(例)대로 모두 왜도(倭刀)로 바꾸어 지급해 달라고 하기에 여러 칙사의 차비 당상 역관들로 하여금 거듭 설명하게 하였지만 끝내 들어주지 않았습니다. 정칙이 곧바로 응판색리(應辦色吏)를 불러 말을 전하기를, ‘앞으로 예단의 환도는 모두 왜도를 쓰는 것으로 사유를 갖추어 입계하고 영원히 등록(謄錄)으로 남기십시오.’라고 하면서 몹시 급히 들여보내라고 하였습니다. 그간의 사세로 볼 때 거절하기 어려울 듯하니, 왜도 가운데 보통의 품질로 가려서 바꾸어 지급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하니,
아뢴 대로 하라고 전교하였다.
『승정원일기』 인조 25년(1647) 10월 16일
상이 희정당(熙政堂)에서 청사(청나라 사신)를 접견하였다.
상이 말하기를, "왜검(倭劍)을 사서 보내라는 분부가 있었는데, 소방(小邦)이 힘을 다하지 않은 것은 아니나 근래 왜인이 병기(兵器) 무역을 전혀 허락하지 않으므로, 지금 10년이 되도록 아직 사지 못하였습니다." 하니,
사신이 말하기를, "그 말씀대로 돌아가 고하겠습니다." 하였다.
『인조실록』 1649년 1월 20일
"신들이 인사하고 나온 뒤에 정사(鄭使)가 이형장을 시켜 신들에게 말을 전하게 하기를, ‘예전에 보낸 환도(環刀)의 견양은 일본에서 제조하기를 도모할 수 없다면 도로 사행 편에 부쳐 보내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번에 사은하는 사행을 다시 보내되 그 견양대로 귀국에서 두 자루를 정밀하게 만들고 말을 잘 만들어 보내기를, 「그 견양을 지금까지 머물러 두었던 것은 반드시 어떻게든 왜국에 시도해 보려는 것이었는데, 어찌할 방도가 없어 부득이 본국에서 만들어 보냅니다. 하지만 품제(品制)가 좋지 못하여 매우 황공합니다.」라고 하십시오.’하였습니다. 해조로 하여금 이대로 거행하게 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승정원일기』 인조 27년(1649) 1월 23일
倭國刀, 背闊不及二分許, 架於手指之上不復欹倒. 不知用何錘法, 中國未得其傳.
왜국의 칼은 칼등 폭이 2푼(6mm)에 못 미치나, (칼등으로 세워서) 손가락 위에 올려도 기울어지지 않는다. 어떻게 두드려 만들었는지 모르겠는데 중국에는 그 방법이 전해지지 않는다.
『천공개물』
왜국의 칼은 칼등 폭이 2푼(6mm)에 못 미치나, (칼등으로 세워서) 손가락 위에 올려도 기울어지지 않는다. 어떻게 두드려 만들었는지 모르겠는데 중국에는 그 방법이 전해지지 않는다.
『천공개물』
옛날 조조(晁錯)가 병법을 논하면서 ‘기계가 예리하지 않으면 자기의 군졸을 적에게 주는 것이다.’라고 하였습니다. 이기고 지는 것이 기계와 관련 있다는 것은 매우 분명한 사실이니, 신중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일본 검이 좋은 이유는 쇠와 관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쇠를 단련하는 기술이 정교하여서입니다. 우리나라도 남쪽에서 양질의 철이 많이 생산되니 백 번 정도 쇠를 담금질하여 두드려 만들기를 일본의 방법대로 한다면 또한 예리한 검을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
『승정원일기』 영조 1년(1725) 9월 24일 전 만호 이태배의 상소
『승정원일기』 영조 1년(1725) 9월 24일 전 만호 이태배의 상소
대개 우리나라 사람들은 글 읽는 자는 공허한 것만 따르고 명물(名物)에는 소략하며, 기계를 만드는 자는 견문(見聞)에만 빠지고 도수(度數)에는 어두워서 백예(百藝)가 폐이(廢弛)되어도 옛것을 본받으려 하지 않으니 비록 충지(忠智)하고 강력한 신하가 있을지라도 빈손을 들고 준마를 달려가본들 무슨 일에 보탬이 되겠습니까?
백공(百工)의 일은 대저 다 성인의 지혜로 나온 것이기 때문에 삼대(三代 하(夏)·은(殷)·주(周))의 기계를 보면 옛것일수록 더욱 교묘합니다. 그리고 옛날의 명장(名將)들은 다 교묘한 생각이 있었으므로 사기(史記)에 일컫기를 ‘제갈양(諸葛亮)의 통수개(筩袖鎧)는 오석뢰(五石弩)로 쏘아도 들어가지 않았다.’ 하였고, 도목(都穆)이 한(漢) 나라 창(槍)의 정교함을 평하여 ‘예나 이제나 한 가지 기계를 만들어도 일찍이 구차한 것이 없다.’고 감탄하였습니다. 우리나라는 지방(地方)이 수천 리에 산과 바다의 이로움을 의지했으니 땅이 부족하지도 않으며, 왜인(倭人)들이 진주(晉州)의 철(鐵)을 사다가 달구어 보도(寶刀)를 만들고 가서(哥舒)의 2년생 나무를 북사(北使)가 얻으매 보배로 삼으니, 병기의 재료도 달리 구할 것이 없습니다.
낙상지(駱尙志)가 말하기를, “한 사람으로 열 사람을 가르치며 열 사람으로 백 사람을 가르치면 수년 안에 정병 수만(數萬)을 얻을 수 있다.” 하였으니, 백성이 옛날의 백성과 다르지 않은데 진실로 백공(百工)을 감독하여 그 병기를 만들고, 좋은 스승을 모집하여 그 기예를 익히게 하고, 무릇 장수(將帥)의 지위에 있는 사람이나 무기를 가진 무리들이 다 도(圖)를 보고 보(譜)를 참고하여 그 방술을 통하고 그 용법을 찾을 수 있게 되면, 전승(全勝)을 싸우기 전에 책정하고 큰 공을 무궁한 데에 드리울 수 있으며, 나라에는 정간(楨幹)의 인재가 풍부할 것이며 가정에는 간성(干城)의 노래가 울려퍼질 것입니다.
저 사자가 공(毬)을 희롱할 때에 이리 뛰고 저리 뛰며 자빠지고 엎어지면서 온종일 쉬지 않습니다. 그 사자가 코끼리를 치고 토끼를 잡을 때에 미쳐 전력(專力)을 쓸 수 있는 것은 공놀이에서 얻어진 기술이며, 왜인(倭人)들이 한가하게 있을 때에 앞에다 짚베개(藁枕)를 만들어 놓고 손에는 나무로 만든 칼(木刀)을 쥐고 한만(閒漫)히 그 짚베개를 치면서 그 자세를 연습하는데 그들의 기예가 어찌 신묘하지 않겠습니까?
『청장관전서』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 부진설(附進說)
백공(百工)의 일은 대저 다 성인의 지혜로 나온 것이기 때문에 삼대(三代 하(夏)·은(殷)·주(周))의 기계를 보면 옛것일수록 더욱 교묘합니다. 그리고 옛날의 명장(名將)들은 다 교묘한 생각이 있었으므로 사기(史記)에 일컫기를 ‘제갈양(諸葛亮)의 통수개(筩袖鎧)는 오석뢰(五石弩)로 쏘아도 들어가지 않았다.’ 하였고, 도목(都穆)이 한(漢) 나라 창(槍)의 정교함을 평하여 ‘예나 이제나 한 가지 기계를 만들어도 일찍이 구차한 것이 없다.’고 감탄하였습니다. 우리나라는 지방(地方)이 수천 리에 산과 바다의 이로움을 의지했으니 땅이 부족하지도 않으며, 왜인(倭人)들이 진주(晉州)의 철(鐵)을 사다가 달구어 보도(寶刀)를 만들고 가서(哥舒)의 2년생 나무를 북사(北使)가 얻으매 보배로 삼으니, 병기의 재료도 달리 구할 것이 없습니다.
낙상지(駱尙志)가 말하기를, “한 사람으로 열 사람을 가르치며 열 사람으로 백 사람을 가르치면 수년 안에 정병 수만(數萬)을 얻을 수 있다.” 하였으니, 백성이 옛날의 백성과 다르지 않은데 진실로 백공(百工)을 감독하여 그 병기를 만들고, 좋은 스승을 모집하여 그 기예를 익히게 하고, 무릇 장수(將帥)의 지위에 있는 사람이나 무기를 가진 무리들이 다 도(圖)를 보고 보(譜)를 참고하여 그 방술을 통하고 그 용법을 찾을 수 있게 되면, 전승(全勝)을 싸우기 전에 책정하고 큰 공을 무궁한 데에 드리울 수 있으며, 나라에는 정간(楨幹)의 인재가 풍부할 것이며 가정에는 간성(干城)의 노래가 울려퍼질 것입니다.
저 사자가 공(毬)을 희롱할 때에 이리 뛰고 저리 뛰며 자빠지고 엎어지면서 온종일 쉬지 않습니다. 그 사자가 코끼리를 치고 토끼를 잡을 때에 미쳐 전력(專力)을 쓸 수 있는 것은 공놀이에서 얻어진 기술이며, 왜인(倭人)들이 한가하게 있을 때에 앞에다 짚베개(藁枕)를 만들어 놓고 손에는 나무로 만든 칼(木刀)을 쥐고 한만(閒漫)히 그 짚베개를 치면서 그 자세를 연습하는데 그들의 기예가 어찌 신묘하지 않겠습니까?
『청장관전서』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 부진설(附進說)
일본 사람은 칼을 만드는데 칼날은 왼쪽으로 비스듬하게 하고 그 끝은 뾰족하게 하였다. 칼날이 무디면 다만 그 비스듬한 한쪽만 갈아도 칼날이 날카로워지는 까닭에 갈기가 쉽고 오래 쓸 수 있다.
그들은 칼을 제조할 때 강한 쇠와 유연한 쇠를 각각 붙여서 만들기 때문에 늘 날카롭고 잘 무디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대개 칼이란 칼날이 너무 얇으면 쉽게 닳고, 등이 너무 두꺼우면 무겁기만 하고 또 쇠만 많이 허비되는 것이다.
그런데 일본 칼은 그 두꺼움과 얇음을 꼭 알맞게 하고 또 칼날도 한쪽으로 비스듬하게 하였으니, 연구해 만든 것이 아주 묘하게 되었다.[26]
『성호사설』 6권. 만물문(萬物門)
그들은 칼을 제조할 때 강한 쇠와 유연한 쇠를 각각 붙여서 만들기 때문에 늘 날카롭고 잘 무디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대개 칼이란 칼날이 너무 얇으면 쉽게 닳고, 등이 너무 두꺼우면 무겁기만 하고 또 쇠만 많이 허비되는 것이다.
그런데 일본 칼은 그 두꺼움과 얇음을 꼭 알맞게 하고 또 칼날도 한쪽으로 비스듬하게 하였으니, 연구해 만든 것이 아주 묘하게 되었다.[26]
『성호사설』 6권. 만물문(萬物門)
"일본도(日本刀)는 크고 작고, 길고 짧은 것이 일정하지 않다. 모든 사람들이 장도(長刀) 하나를 소유하는데 그 칼 위에 또 하나의 작은 칼(小刀)을 꽂아두어 잡무에 쓰기 편하도록 한다. 또 하나 자도(刺刀)로 길이가 한 자인 것을 해수도(解手刀)라 하니 이 세 가지는 몸에 지니고 반드시 쓰는 것이다. 칼이 매우 굳세고 날카로워서(剛利) 중국 칼이 이에 미치지 못한다."
대개 도식(刀式)이 견고하고 예리한 것은 왜인들이 으뜸이다. 그러므로 그 도식을 그림으로 갖추어 싣는다.[27]
『무예도보통지』 왜검
대개 도식(刀式)이 견고하고 예리한 것은 왜인들이 으뜸이다. 그러므로 그 도식을 그림으로 갖추어 싣는다.[27]
『무예도보통지』 왜검
단도(单刀)란 왜노들이 만드는 칼인데 단련이 정교하며 만듦새가 가볍고 예리하니 다른 지방의 칼이 이에 미치지 못한다. 검신의 빛나는 광채가 눈을 쏘아 보는 사람의 간담을 서늘하게 만들며, 그 용법은 좌우로 도약하는데다 기이한 방법으로 의도를 숨기니 인력으로 헤아릴 수 없다. 그러므로 장병기가 항상 짧은 칼에 패배하였다.
『단도법선』 단도설(单刀说)
『단도법선』 단도설(单刀说)
쓸쓸한 등잔불에 굴원의 시를 외다가 / 寒燈誦咽靈均賦
크나큰 숫돌에 일본 칼을 갈아본다 / 大石磨翻日本刀
이 천지에 어찌 밭갈이나 낚시질하다 늙어버리랴 / 天地寧爲耕釣叟
영웅은 본래 개나 닭처럼 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오 / 英雄不願狗鷄曺
『청장관전서』 추야잡감(秋夜雜感)
크나큰 숫돌에 일본 칼을 갈아본다 / 大石磨翻日本刀
이 천지에 어찌 밭갈이나 낚시질하다 늙어버리랴 / 天地寧爲耕釣叟
영웅은 본래 개나 닭처럼 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오 / 英雄不願狗鷄曺
『청장관전서』 추야잡감(秋夜雜感)
구름을 찌르는 보검 기운 아스라이 보였는데 / 遙瞻寶氣上干雲
미장(尾張 오와리)에 이르니 듣던 바와 틀림없네 / 行到尾張愜素聞
일본의 예리한 검이 모두 여기서 나니 / 日本利兵皆出此
곤오검 만드는 신묘한 기술 월등히 빼어나네 / 昆吾妙技逈超群
『용주유고』 길전(吉田)
미장(尾張 오와리)에 이르니 듣던 바와 틀림없네 / 行到尾張愜素聞
일본의 예리한 검이 모두 여기서 나니 / 日本利兵皆出此
곤오검 만드는 신묘한 기술 월등히 빼어나네 / 昆吾妙技逈超群
『용주유고』 길전(吉田)
백 번 담금질은 천하일에게 맡겨 하고 / 付與百鍊天下一
비파의 나라에서 대상인(大商人)이 전해 오니 / 大賈傳自琵琶國
상아 끊고 무소뿔 자르는 것은 말할 것도 없거니와 / 斷象剸犀不足論
용광(龍光)이 하늘 찌르는 절벽을 깨고 나왔도다 / 龍光劈出磨天壁
『성호전집』 일본도가(日本刀歌)
비파의 나라에서 대상인(大商人)이 전해 오니 / 大賈傳自琵琶國
상아 끊고 무소뿔 자르는 것은 말할 것도 없거니와 / 斷象剸犀不足論
용광(龍光)이 하늘 찌르는 절벽을 깨고 나왔도다 / 龍光劈出磨天壁
『성호전집』 일본도가(日本刀歌)
- 왜검술과 검을 이용한 전술에 대한 기록
검술은 유래가 오래되어 수십 번을 안과 밖을 뛰어넘는 것이 마치 금수(禽獸)와 같으며, 더러 늘 경쟁을 시켜 사심(死心)을 앞다투어 발휘케 하는데 칼을 휘둘러 서로 치며 반드시 죽이기를 목표로 합니다. 그러나 칼을 휘두르는 사이에 칼등으로 칼날을 받아쳐서 결국 다치지는 않으니 그 교묘하게 피하는 기술과 능숙하게 부딪치는 기술은 완연히 백원(白猿)의 검법(劍法)이 있습니다. 근기(近技)는 신묘하여 사람마다 검객이 아닌 자가 없고 기계의 정밀함도 다 펼쳤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들이 믿는 것은 장검(長劍)과 철환(鐵丸)인데 철환은 비가 내리듯이 쏟아지고 칼은 숲이 서 있는 것과 같으나, 총을 쓰는 것은 칼을 쓰는 것에 비해 자못 뒤떨어집니다. 그러므로 칼을 가진 자는 천백이고 총을 가진 자는 수십 명이니, 이는 그들의 전술이 근전(近戰)에는 빠르고 원전(遠戰)에는 느립니다. 이런 까닭으로 육전(陸戰)은 좋아하나 수전(水戰)을 싫어합니다.
정탁 『약포집』 1593년 8월 15일 명나라 유생 호환에게 보낸 편지
그들이 믿는 것은 장검(長劍)과 철환(鐵丸)인데 철환은 비가 내리듯이 쏟아지고 칼은 숲이 서 있는 것과 같으나, 총을 쓰는 것은 칼을 쓰는 것에 비해 자못 뒤떨어집니다. 그러므로 칼을 가진 자는 천백이고 총을 가진 자는 수십 명이니, 이는 그들의 전술이 근전(近戰)에는 빠르고 원전(遠戰)에는 느립니다. 이런 까닭으로 육전(陸戰)은 좋아하나 수전(水戰)을 싫어합니다.
정탁 『약포집』 1593년 8월 15일 명나라 유생 호환에게 보낸 편지
오랑캐의 근성은 언행이 경박하고 거칠며, 칼과 창을 잘 쓰고 배에 익숙해 있으므로, 육지에 내려오면, 문득 제 생각에, 칼을 휘두르며 돌진하는데, 우리 군사는 아직 정예롭게 훈련되어 있지 않은 무리이므로 일시에 놀라 무너져 그 능력으로 죽음을 무릅쓰며 항전할 수 있겠습니까?
『난중일기』1593년 9월
『난중일기』1593년 9월
"사고수계(沙古愁戒)·간내비운소(幹乃飛雲所)·간로수계(幹老愁戒)·조음묘우(照音妙牛)는 칼을 잘 써서 우리 나라 살수를 보고 아이들 놀이와 같다고 하였고, 고사로문(古沙老文)은 칼과 총을 주조하는 법을 안다 하는데 이들 왜인을 어찌하여 머물러 두고 전에 내린 전교에 의하여 배우고 익히게 하지 않는가?"
『선조실록』 1594년 8월 2일
『선조실록』 1594년 8월 2일
비망기로 일렀다. "우리 나라 습속은 남의 나라의 기예를 배우기를 좋아하지 않고 더러는 도리어 비굴하게 여긴다. 왜인의 검술은 대적할 자가 없다. 전일 항왜(降倭) 다수가 나왔을 때 그 중에 검술이 극히 묘한 자가 많이 있었으므로 적합한 자를 뽑아 장수로 정하여 교습시키도록 별도로 한 대열을 만들라고 전교를 하기도 하고 친교를 하기도 한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는데 끝내 실시하지 않고 그 항왜들을 모두 흩어 보냈다. 원수의 왜적이 아직 물러가지 않고 있는데 시속의 습관이 이와 같으니 가탄할 일이다. 지금 이판(吏判)이 도감에 있으니 족히 그 일을 할 만하다. 별도로 한 장수를 뽑고 아이들 약간 명을 선택하여 한 대열을 만들어서 왜인의 검술을 익히되 주야로 권장하여 그 묘법을 완전히 터득한다면, 이는 적국의 기예가 바로 우리의 것이 되는 것인데, 어찌 유익하지 않겠는가? 훈련 도감에 이르라."
『선조실록』 1594년 12월 27일
정원에 전교하였다. "아동을 뽑아서 왜인의 검술을 익히게 할 것을 전일에 전교했었다. 경상 감사가 있는 곳에 왜장(倭將)이라고 칭하는 투항 왜인이 있는데, 그 왜인의 능숙한 검술 솜씨는 졸왜(卒倭)에 비할 바가 아니라 한다. 그 왜인을 속히 상경시켜서 직책을 부여하고 후하게 대우하여 그로 하여금 가르치게 하는 것이 어떻겠는가?"
『선조실록』 1595년 1월 24일
『선조실록』 1594년 12월 27일
정원에 전교하였다. "아동을 뽑아서 왜인의 검술을 익히게 할 것을 전일에 전교했었다. 경상 감사가 있는 곳에 왜장(倭將)이라고 칭하는 투항 왜인이 있는데, 그 왜인의 능숙한 검술 솜씨는 졸왜(卒倭)에 비할 바가 아니라 한다. 그 왜인을 속히 상경시켜서 직책을 부여하고 후하게 대우하여 그로 하여금 가르치게 하는 것이 어떻겠는가?"
『선조실록』 1595년 1월 24일
왜노(倭奴)들은 전투시에 멀리 있으면 총을 쏘아 잘 맞히고 가까이 있으면 칼을 뽑아 돌진하니 이 때문에 천하에 그 칼끝을 당할 자가 없었다. (중략) 그래서 척 장군이 왜를 방어함에 있어 총으로 총을 대적하고 검으로 검을 대적하도록 하였으나 여전히 우리의 검이 왜적의 장기(長技)를 대적하기에는 부족함을 걱정하여 반드시 낭선(筅)과 창(槍)으로 방패(牌)와 칼(刀)을 옹호하도록 하였으니 이는 척 장군의 지피지기(知彼知己) 백전백승(百戰百勝)인 것이다. 그러나 왜검도 검이고 우리 검도 검이다. 우리 군사들로 하여금 검법의 묘를 다할 수 있게 한다면 번거롭게 낭선과 창을 쓰지 않더라도 그들의 검을 대적할 수 있을 것이다.
『무예제보번역속집』 발문
『무예제보번역속집』 발문
왜적은 실로 상대하기가 어려우니 그 이유는 무엇이겠는가? 왜적은 철환(鐵丸)을 비 오듯 퍼붓는데 한번 맞기만 하면 곧바로 쓰러지고 근접해서는 칼을 사용하는데 그 검술이 지극히 기이하니 이들은 참으로 상대하기 어려운 적이라고 하겠다.
『포저집』
『포저집』
오랑캐(후금) 군사는 돌격전을 벌여 마구 덤비는(馳突亂戰) 데만 능할 뿐이고 예리한 검을 활용하는(銳利劍之妙用) 데는 도저히 왜놈만 못하다. 더구나 왜놈의 변사(變詐)와 흉계란 실로 추측할 수 없었지만 그 예리한 장검도 우리의 굳센 화살을 못 당했고 그 변사와 흉계도 우리의 임기응변 앞에는 소용이 없었다. 다만 인심이 해이하여 힘껏 싸우지 않았기 때문에 왜놈에게 패하고 말았던 것이다.
『속잡록』
『속잡록』
병조가 아뢰기를, "어느 전투이건 간에 승부는 모두 단병(短兵)으로 육박전을 벌이는 데에서 결판이 납니다. 그래서 사자(射者)·창자(槍者)·총자(銃者)·기자(騎者)가 모두 칼을 차고 있는데, 칼을 차고서도 그 기술을 모른다면 되겠습니까. 절강병(浙江兵), 왜병 그리고 호병을 보면 모두 검법을 알고 있는데, 육박전을 벌일 즈음에 네 가지 기예가 모두 쓸모 없어지게 되면 반드시 차고 있는 칼을 가지고 사생을 결단하려 덤빕니다. 그런데 우리 나라는 군령이 엄하지 못하여 접전해 볼 겨를도 없이 먼저 저절로 무너져버리고 말았으니, 검술이 전진(戰陣)에 그다지 관계가 없다고 여기게 된 것도 진정 당연하다 하겠습니다.
선조(宣祖)께서는 그런 점을 아셨기 때문에 시위(侍衛)하는 장사(將士) 및 선전관들 모두에게 검술을 익히게 하고 그 성적을 고과하여 상과 벌을 내렸으므로 그 당시의 연소한 무인들은 모두 용병(用兵)하는 법을 알았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제군(諸軍)이 검법을 모를 뿐만이 아니라 칼을 차고 다니는 자도 적고, 각 고을에서 군기(軍器)를 월과(月課) 할 때에도 조총만 비치해 놓았을 뿐 창이나 칼은 폐지하고 만들지 않으니, 지극히 애석한 일입니다."
『인조실록』 1628년 9월 29일 병조가 진법과 군졸의 기예에 대해 아뢰다
박정이 병조의 말로 아뢰기를, "용검(用劍:쌍수도)은 짧은 병기를 쓸 때에 요긴하게 쓰이는데, 근일에 내삼청(內三廳)의 금군과 제색군(諸色軍) 및 각 아문의 군관, 어영군에 대해 거듭 명하여 권면하니, 몇 달 내에 입격(入格)한 자가 자못 많았습니다. 도하(都下)가 이와 같으니 지방에서 틀림없이 풍문을 듣고 전하여 배우는 것이 저절로 나라의 습속이 될 것이니, 이보다 중요한 강병(强兵)의 방책은 없을 것입니다. 전 황해 감사 장신(張紳)이 관하(管下)의 군관(軍官) 수백 명에게 용검을 훈련하고 교습하기를 먼저 청하였고, 북병사(北兵使), 공청 수사(公淸水使), 전라 감사, 경상 감사, 안동(安東), 수원(水原), 광주(廣州)가 모두 훈련하기를 자청하여 지금 교습하고 있다고 합니다."
『승정원 일기』 인조 7년(1629) 3월 14일 용검 입격자에게 상을 주어 권장하는 뜻으로 목필을 제급하겠다는 병조의 계
홍명구가 병조의 말로 아뢰기를, "검술(劍術)은 -원문 빠짐- □술(□術)이 전투에 유리하기 때문에 척 장군(戚將軍)이 오히려 한 방면을 지속적으로 교화하는 방법으로 -원문 빠짐- 습속을 이루었는데 능히 약한 것을 강한 것으로 변화시키고 겁 많은 자를 용감하게 변화시켜 마침내 천하의 정병(精兵)이 되어 왜구(倭寇)를 막았습니다. 더군다나 우리는 천승(千乘)의 나라로서 길이가 짧은 병기로 접전(接戰)을 벌이는 기술을 익히지 못하여 그저 적이 보이면 달아나는 것을 능사로 삼고 있으니, 매우 서글픈 일입니다.
고(故) 상신(相臣) 유성룡(柳成龍)은 병사(兵事)에 자못 관심을 두어 증손전수도십칠책(增損戰守圖十七策)을 지어 올렸습니다. 유성룡은 체찰사(體察使)가 되어 오랫동안 절병(浙兵)의 진중(陣中)에 있으면서 박격전을 벌일 때 검술보다 중요한 것이 없음을 익히 보았기 때문에 검술을 긴요하게 사용하는 계책을 선조(宣祖)께 고하였습니다. 그러자 선조께서 매우 옳게 여기시고 금위(禁衛)하는 장사(將士)들에게 모두 검술을 익히게 하고 자주 금중(禁中)에서 친림(親臨)하여 검술을 시험하고 등급을 나누어 시상하여 혹은 작질을 올리기도 하고 혹은 말[馬]을 사급하기도 함으로써 일세(一世)를 고무시켜 국속(國俗)을 절강(浙江)처럼 만들어 복수할 기반을 만들고자 하였습니다. 그러나 불행히도 유성룡이 적신(賊臣) 이이첨(李爾瞻)의 무리에게 배척을 당하여 그가 시행한 검술까지 모두 폐기되었으니, 여기에서도 세도(世道)의 변화를 볼 수 있습니다."
『승정원 일기』 인조 7년(1629) 4월 14일 젊은 무사에게 귀천을 막론하고 검술을 익히게 할 것 등을 청하는 병조의 계
병조가 아뢰기를, "칼을 잘 쓰는 것이 단병전(短兵戰)에서 가장 중요합니다. 일본과 절강(浙江)은 이것으로써 천하의 강병(强兵)을 만들었습니다. 선조조(宣祖朝)에는 당상들도 숙달시켰는데, 이는 참으로 우연한 일이 아니었습니다."
『인조실록』 1630년 1월 6일 병조가 군관들이 칼을 잘 쓰도록 과정을 정해 시험보는 방안을 세울 것을 아뢰다
선조(宣祖)께서는 그런 점을 아셨기 때문에 시위(侍衛)하는 장사(將士) 및 선전관들 모두에게 검술을 익히게 하고 그 성적을 고과하여 상과 벌을 내렸으므로 그 당시의 연소한 무인들은 모두 용병(用兵)하는 법을 알았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제군(諸軍)이 검법을 모를 뿐만이 아니라 칼을 차고 다니는 자도 적고, 각 고을에서 군기(軍器)를 월과(月課) 할 때에도 조총만 비치해 놓았을 뿐 창이나 칼은 폐지하고 만들지 않으니, 지극히 애석한 일입니다."
『인조실록』 1628년 9월 29일 병조가 진법과 군졸의 기예에 대해 아뢰다
박정이 병조의 말로 아뢰기를, "용검(用劍:쌍수도)은 짧은 병기를 쓸 때에 요긴하게 쓰이는데, 근일에 내삼청(內三廳)의 금군과 제색군(諸色軍) 및 각 아문의 군관, 어영군에 대해 거듭 명하여 권면하니, 몇 달 내에 입격(入格)한 자가 자못 많았습니다. 도하(都下)가 이와 같으니 지방에서 틀림없이 풍문을 듣고 전하여 배우는 것이 저절로 나라의 습속이 될 것이니, 이보다 중요한 강병(强兵)의 방책은 없을 것입니다. 전 황해 감사 장신(張紳)이 관하(管下)의 군관(軍官) 수백 명에게 용검을 훈련하고 교습하기를 먼저 청하였고, 북병사(北兵使), 공청 수사(公淸水使), 전라 감사, 경상 감사, 안동(安東), 수원(水原), 광주(廣州)가 모두 훈련하기를 자청하여 지금 교습하고 있다고 합니다."
『승정원 일기』 인조 7년(1629) 3월 14일 용검 입격자에게 상을 주어 권장하는 뜻으로 목필을 제급하겠다는 병조의 계
홍명구가 병조의 말로 아뢰기를, "검술(劍術)은 -원문 빠짐- □술(□術)이 전투에 유리하기 때문에 척 장군(戚將軍)이 오히려 한 방면을 지속적으로 교화하는 방법으로 -원문 빠짐- 습속을 이루었는데 능히 약한 것을 강한 것으로 변화시키고 겁 많은 자를 용감하게 변화시켜 마침내 천하의 정병(精兵)이 되어 왜구(倭寇)를 막았습니다. 더군다나 우리는 천승(千乘)의 나라로서 길이가 짧은 병기로 접전(接戰)을 벌이는 기술을 익히지 못하여 그저 적이 보이면 달아나는 것을 능사로 삼고 있으니, 매우 서글픈 일입니다.
고(故) 상신(相臣) 유성룡(柳成龍)은 병사(兵事)에 자못 관심을 두어 증손전수도십칠책(增損戰守圖十七策)을 지어 올렸습니다. 유성룡은 체찰사(體察使)가 되어 오랫동안 절병(浙兵)의 진중(陣中)에 있으면서 박격전을 벌일 때 검술보다 중요한 것이 없음을 익히 보았기 때문에 검술을 긴요하게 사용하는 계책을 선조(宣祖)께 고하였습니다. 그러자 선조께서 매우 옳게 여기시고 금위(禁衛)하는 장사(將士)들에게 모두 검술을 익히게 하고 자주 금중(禁中)에서 친림(親臨)하여 검술을 시험하고 등급을 나누어 시상하여 혹은 작질을 올리기도 하고 혹은 말[馬]을 사급하기도 함으로써 일세(一世)를 고무시켜 국속(國俗)을 절강(浙江)처럼 만들어 복수할 기반을 만들고자 하였습니다. 그러나 불행히도 유성룡이 적신(賊臣) 이이첨(李爾瞻)의 무리에게 배척을 당하여 그가 시행한 검술까지 모두 폐기되었으니, 여기에서도 세도(世道)의 변화를 볼 수 있습니다."
『승정원 일기』 인조 7년(1629) 4월 14일 젊은 무사에게 귀천을 막론하고 검술을 익히게 할 것 등을 청하는 병조의 계
병조가 아뢰기를, "칼을 잘 쓰는 것이 단병전(短兵戰)에서 가장 중요합니다. 일본과 절강(浙江)은 이것으로써 천하의 강병(强兵)을 만들었습니다. 선조조(宣祖朝)에는 당상들도 숙달시켰는데, 이는 참으로 우연한 일이 아니었습니다."
『인조실록』 1630년 1월 6일 병조가 군관들이 칼을 잘 쓰도록 과정을 정해 시험보는 방안을 세울 것을 아뢰다
산 위로 올라가 진을 치고 있는 것이 수만 명이 되니, 모든 군사들이 보고는 겁을 냈으나, 이미 칼을 빼들고 접전해 와서 갑자기 헤어날 수가 없었다. 이때 제독이 인솔하던 군사는 모두 북방의 기마병으로 화기가 없고, 짧고 무딘 칼을 가지고 있었다. 적의 보병들은 모두 3, 4척이나 되는 긴 칼을 가졌는데 날카롭기가 비길 데 없었다. 그들과 충돌하여 싸울 적에 좌우로 후려치니 사람과 말이 모두 쓰러져 그들의 예봉을 감당할 자가 없었다.
『서애집』 벽제관 전투
중군(中軍)에서 백고초기(白高招旗)를 세우면 각 도수(刀手)는 모여서 대기하는데, 모두 갑옷을 입는다. 북 소리가 들리면 몸을 날려 왜도(倭刀)의 용법대로 머리를 낮추어 말의 다리를 베고, 몸을 일으켜 말의 머리를 베는 두 가지 도법(刀法) 뿐이다.
『무비지』 比長刀
"고교보(高橋堡)에 이르러 우리 나라에서 잡혀간 사람을 만났는데, 교하(交河)의 사노(私奴) 응상(應祥)이었습니다. 저들의 사정을 자세히 물었더니, 그가 갑군(甲軍)으로서 지난해에 남방의 싸움터에 따라갔는데 남군이 패한 체하고 북군을 유인하여 협격해서 북군이 전멸하고 왕자(王子) 한 사람이 죽었으며, 남군은 태반이 보졸(步卒)인데 철갑으로 머리와 몸을 싸고 손에는 큰 칼을 들고 몸을 굽히고 곧바로 달려가 말의 다리만을 찍으며 선봉에는 코끼리를 탄 자가 많이 있었다 합니다."
『효종실록』 1655년 6월 17일
“신이 경기 지역의 병력을 처음 정비할 때에 선봉(先鋒)을 만들 목적으로 고을마다 2백 근을 들 수 있는 힘을 가진 자를 뽑아 아병(牙兵)[28]이라고 부르면서 항상 보살펴 주었고, 또 지갑(紙甲)과 대검(大劍)을 만들어 돌격할 때 사용하게 하였습니다. 이제 신이 명을 받고 전장에 나가게 되었으니, 그 중에서 1백여 명을 뽑아 데리고 갔으면 합니다.”
『인조실록』 1630년 4월 26일 총융사 이서가 전쟁터에 나아가매 아병(牙兵) 중 1백여 명을 뽑아 데리고 갈 것을 아뢰다
『서애집』 벽제관 전투
중군(中軍)에서 백고초기(白高招旗)를 세우면 각 도수(刀手)는 모여서 대기하는데, 모두 갑옷을 입는다. 북 소리가 들리면 몸을 날려 왜도(倭刀)의 용법대로 머리를 낮추어 말의 다리를 베고, 몸을 일으켜 말의 머리를 베는 두 가지 도법(刀法) 뿐이다.
『무비지』 比長刀
"고교보(高橋堡)에 이르러 우리 나라에서 잡혀간 사람을 만났는데, 교하(交河)의 사노(私奴) 응상(應祥)이었습니다. 저들의 사정을 자세히 물었더니, 그가 갑군(甲軍)으로서 지난해에 남방의 싸움터에 따라갔는데 남군이 패한 체하고 북군을 유인하여 협격해서 북군이 전멸하고 왕자(王子) 한 사람이 죽었으며, 남군은 태반이 보졸(步卒)인데 철갑으로 머리와 몸을 싸고 손에는 큰 칼을 들고 몸을 굽히고 곧바로 달려가 말의 다리만을 찍으며 선봉에는 코끼리를 탄 자가 많이 있었다 합니다."
『효종실록』 1655년 6월 17일
“신이 경기 지역의 병력을 처음 정비할 때에 선봉(先鋒)을 만들 목적으로 고을마다 2백 근을 들 수 있는 힘을 가진 자를 뽑아 아병(牙兵)[28]이라고 부르면서 항상 보살펴 주었고, 또 지갑(紙甲)과 대검(大劍)을 만들어 돌격할 때 사용하게 하였습니다. 이제 신이 명을 받고 전장에 나가게 되었으니, 그 중에서 1백여 명을 뽑아 데리고 갔으면 합니다.”
『인조실록』 1630년 4월 26일 총융사 이서가 전쟁터에 나아가매 아병(牙兵) 중 1백여 명을 뽑아 데리고 갈 것을 아뢰다
그들의 무기는 칼과 총을 제일로 친다. 칼을 찬 자는 반드시 길고 짧은 두 개의 칼을 차서 긴 것은 치거나 찌를 때 사용하고, 짧은 것은 던져서 남이 뜻하지 않는 사이에 맞히면 당장 죽지 않는 자가 없다.
『해유록』
『해유록』
강 위에 왕래하는 자들이 혹 한둘 혹 서넛이 큰 칼을 메고 작은 칼을 끼고 있는데 햇빛이 내리쏘아 빛나는 번개와 같았다. 칼날은 매우 예리하고 알몸으로 나가 싸우며 쌍도(雙刀)를 잘 쓴다. 재빠르게 몸을 날려 적은 수로 많은 수를 이기며 보전(步戰)에 능하고 수전(水戰)에 겁을 먹는다. 칼을 쓰고 총을 쏘는 데는 정밀하나 활과 창을 사용하는 데 서투르며, 진영을 겁박(劫迫)하고 복병을 설치하면 중국인도 그 꾀에 빠진다.
『재조번방지』
『재조번방지』
왜이(倭夷)는 보통 호접진(蝴蝶陣)을 치는데, 전투시에는 부채를 휘두르는 것으로 호령을 삼는다. 한 사람이 부채를 휘두르면 무리들 모두가 칼을 춤추며 일어나 공중으로 칼날을 번뜩이며 재빨리 휘두른다. 우리 병사들이 정신없이 바라보고 있다가는 한 칼에 베여 버린다.
쌍도(雙刀)는 위를 공격하는 척하면서 아래를 공격하기 때문에 막기가 어렵다.
표창과 단도는 자루를 드러내지 않고 갑작스럽게 던지는 까닭에 예측할 수 없다.
『주해도편』 왜국사략(倭国事略)
쌍도(雙刀)는 위를 공격하는 척하면서 아래를 공격하기 때문에 막기가 어렵다.
표창과 단도는 자루를 드러내지 않고 갑작스럽게 던지는 까닭에 예측할 수 없다.
『주해도편』 왜국사략(倭国事略)
赫然曰, 劍術, 天下皆有之, 日本爲最, 我國獨無傳習之人, 心常慨然也。臣欲送一人於東萊, 使之傳習, 府使李瑞雨處, 以劍術可學與否, 觀勢相通之意, 言送矣, 今見其所答, 則以爲似有可傳之路云。臣管下, 有一可學之人, 下送此人, 學劍, 何如? 上曰, 送之, 好矣。
훈련대장 유혁연이 말하기를, "검술은 천하 어디에도 있지만 일본 것이 최고입니다. 우리나라 홀로 전하고 익히는 자가 없어 신의 마음이 항상 분하기 그지없었습니다. 신의 아랫사람 중에 배울 수 있는 사람이 있으니, 이 사람을 보내 검을 배우게 하면 어떠하겠습니까?"하니,
상이 말하기를, "보내라" 하였다.
『승정원일기』 숙종 5년(1679) 7월 27일
(출처에 들어가면 번역되지 않은 많은 한자 기록들이 있는데 일본도에 관한 기록은 그중에서 위에서 63번째 줄에 있다. 정 찾기 귀찮으면 승정원일기 기록 사이트에서 赫然曰, 劍術, 天下皆有之, 日本爲最, 我國獨無傳習之人, 心常慨然也。臣欲送一人於東萊, 使之傳習, 府使李瑞雨處, 以劍術可學與否, 觀勢相通之意, 言送矣, 今見其所答, 則以爲似有可傳之路云。臣管下, 有一可學之人, 下送此人, 學劍, 何如? 上曰, 送之, 好矣이 기록만 붙어넣기 하고 검색하면 이 기록이 따로 빨간줄로 밑줄 쳐저서 나오니 쉽게 찾을수 있다. 그리고 구글 번역기에 이 기록을 중국어 간체로 번역하면 바로 번역돼서 확인 가능하다.)훈련대장 유혁연이 말하기를, "검술은 천하 어디에도 있지만 일본 것이 최고입니다. 우리나라 홀로 전하고 익히는 자가 없어 신의 마음이 항상 분하기 그지없었습니다. 신의 아랫사람 중에 배울 수 있는 사람이 있으니, 이 사람을 보내 검을 배우게 하면 어떠하겠습니까?"하니,
상이 말하기를, "보내라" 하였다.
『승정원일기』 숙종 5년(1679) 7월 27일
칼을 쓰는 묘리는 왜인들이 최고이다. 그러므로 일향수(日向守) 애주이향(愛洲移香)은 "꿈에 신(神)이 원숭이 모양으로 나타나 칼쓰는 비결을 가르쳐 주었는데, 이름을 음류(陰流)라고 한다." 하였다. 우리나라 군교(軍校)인 김체건이 일찍이 사신을 따라 일본에 들어갔다가 그 방법을 배워 와서 지금까지 유전하니, 이른바 왜도(倭刀)라는 검술이다.
『병학지남연의』
단도(单刀)란 왜노들이 만드는 칼인데 단련이 정교하며 만듦새가 가볍고 예리하니 다른 지방의 칼이 이에 미치지 못한다. 검신의 빛나는 광채가 눈을 쏘아 보는 사람의 간담을 서늘하게 만들며, 그 용법은 좌우로 도약하는데다 기이한 방법으로 의도를 숨기니 인력으로 헤아릴 수 없다. 그러므로 장병기가 항상 짧은 칼에 패배하였다.
『단도법선』 단도설(单刀说)
『단도법선』 단도설(单刀说)
游山東韓晶宇中丞聘之教子與浙人劉雲峰同學倭刀, 盡其技。故公言步戰惟長刀最勝, 當馬斃步鬥時, 公仰天嘆曰: 「使吾得長刀一, 賊不足盡耳。」卒以器械不利, 以身與敵, 悲夫。
공이 산동에서 노닐 때 중승 한정우가 부른 무술사범에게서 절강인 유운봉과 더불어서 왜도倭刀를 배워 그 기예를 다하였다. 그래서 공은 보전步戰에서는 장도가 최고로 좋다고 말하며, 말이 죽고, 걸어서 싸우게 되자, 공은 하늘을 우러러 탄식하며 “나에게 장도 한 자루를 달라., 도적놈들은 별거 아니다.”라고 말했으나, 끝내 무기가 이롭지 못해서 맨몸으로 적과 다투었으니 슬프도다, 장부여.
『육부정 문집』 석경암전 원문
공이 산동에서 노닐 때 중승 한정우가 부른 무술사범에게서 절강인 유운봉과 더불어서 왜도倭刀를 배워 그 기예를 다하였다. 그래서 공은 보전步戰에서는 장도가 최고로 좋다고 말하며, 말이 죽고, 걸어서 싸우게 되자, 공은 하늘을 우러러 탄식하며 “나에게 장도 한 자루를 달라., 도적놈들은 별거 아니다.”라고 말했으나, 끝내 무기가 이롭지 못해서 맨몸으로 적과 다투었으니 슬프도다, 장부여.
『육부정 문집』 석경암전 원문
- 근대 서양인들의 기록
무거운 승마 채찍으로 적을 후려치려는 내 시도는 갑작스럽게 저지되었고, 겨냥한 방향에서 이상할 정도로 빗나가는[30] 반격이 계속 이어졌다. 이대로 있다간 죽을지도 모른다는 것이 갑자기 실감이 나면서, 리볼버를 가지고 다니지 않은 것이 후회가 되었다. 반사적으로 왼팔을 들어서 머리를 보호했지만 곧 힘이 빠져 아래로 늘어뜨렸고, 그때 소리를 듣고 달려온 모리슨이 총을 쏴서 내 목숨을 구했다. (중략)
왼팔의 상처는 뼈까지 깊게 베였고, 힘줄이 잘려서 나는 지금도 왼손가락 중 세 개는 움직이지 못한다. 오른쪽 어깨의 상처도 심각한 데다 피를 너무 많이 흘려서 의식이 가물가물했다. (중략) 일본인으로 변장한 맥도날드가 피를 뒤집어쓴 일본 병사들과 함께 나타나서 우리를 구출했을 때는 너무 늦지는 않아서 다행이라고 생각했다.
우리는 습격자들 중 몇 명은 제압당했고, 경비병들이 근처에 남은 잔당들을 수색하고 있다는 보고를 들었다. (중략) 이 사건이 시작됐을 때 나는 잠옷차림에 맨발로 방을 뛰쳐나왔고, 이제는 도살이 일어난 장소를 가로지르고 있었다. 식탁 아래에는 잘린 머리가 굴러다녔고, 머리를 잃은 몸통이 다른 곳에 늘어져 있었다. 발바닥에 굴처럼 물렁한 것이 밟혔을 때 나는 그것이 사람의 눈알이라는 것을 알아차렸다. 시신 중 하나는 끔찍하게도 이마 쪽부터 자귀로 깎은 나무처럼 한 움큼 잘려나가서 그 안의 뇌가 들여다보였다. (중략)
나는 지난밤 습격자를 처음 마주쳤던 좁은 통로를 관찰했다. 그리고 7피트 정도 높이에 가로로 걸쳐져 있는 작은 나무기둥을 발견했다. 거기에는 손질된 청어처럼 깊은 칼자국이 가득했다. 그것 중 하나라도 제대로 맞았으면 내 두개골을 반으로 쪼개기에 충분했겠지만, 그때 내가 당한 검격들은 칼끝이 기둥에 걸쳐서 약해진 것이었다. 나는 우연히 이 나무기둥 아래에 서 있었기 때문에 살아남은 것이다. 습격자들은 희생자를 찾아 어둠 속에서 마구잡이로 칼을 휘둘렀고, 침실의 매트리스에는 일일이 칼로 찔러 확인한 흔적이 있었다. 침대 다리 하나는 깔끔하게 잘려나갔고, 탁자 위에 놓인 성경은 4분의 3쯤 잘려져 있었다.
Laurence Oliphant, "The Attack on the British Legation in Japan in 1861"
왼팔의 상처는 뼈까지 깊게 베였고, 힘줄이 잘려서 나는 지금도 왼손가락 중 세 개는 움직이지 못한다. 오른쪽 어깨의 상처도 심각한 데다 피를 너무 많이 흘려서 의식이 가물가물했다. (중략) 일본인으로 변장한 맥도날드가 피를 뒤집어쓴 일본 병사들과 함께 나타나서 우리를 구출했을 때는 너무 늦지는 않아서 다행이라고 생각했다.
우리는 습격자들 중 몇 명은 제압당했고, 경비병들이 근처에 남은 잔당들을 수색하고 있다는 보고를 들었다. (중략) 이 사건이 시작됐을 때 나는 잠옷차림에 맨발로 방을 뛰쳐나왔고, 이제는 도살이 일어난 장소를 가로지르고 있었다. 식탁 아래에는 잘린 머리가 굴러다녔고, 머리를 잃은 몸통이 다른 곳에 늘어져 있었다. 발바닥에 굴처럼 물렁한 것이 밟혔을 때 나는 그것이 사람의 눈알이라는 것을 알아차렸다. 시신 중 하나는 끔찍하게도 이마 쪽부터 자귀로 깎은 나무처럼 한 움큼 잘려나가서 그 안의 뇌가 들여다보였다. (중략)
나는 지난밤 습격자를 처음 마주쳤던 좁은 통로를 관찰했다. 그리고 7피트 정도 높이에 가로로 걸쳐져 있는 작은 나무기둥을 발견했다. 거기에는 손질된 청어처럼 깊은 칼자국이 가득했다. 그것 중 하나라도 제대로 맞았으면 내 두개골을 반으로 쪼개기에 충분했겠지만, 그때 내가 당한 검격들은 칼끝이 기둥에 걸쳐서 약해진 것이었다. 나는 우연히 이 나무기둥 아래에 서 있었기 때문에 살아남은 것이다. 습격자들은 희생자를 찾아 어둠 속에서 마구잡이로 칼을 휘둘렀고, 침실의 매트리스에는 일일이 칼로 찔러 확인한 흔적이 있었다. 침대 다리 하나는 깔끔하게 잘려나갔고, 탁자 위에 놓인 성경은 4분의 3쯤 잘려져 있었다.
Laurence Oliphant, "The Attack on the British Legation in Japan in 1861"
그들은 칼집에서 칼을 뽑는 동시에 위력적인 공격을 가할 수 있다. 경험이 부족한 사람은 스스로 안전하다고 생각한 거리에서 칼을 맞게 된다.
J. G. wood, 『The Natural History of Man』, 1868
J. G. wood, 『The Natural History of Man』, 1868
Captain Applin, late commanding H.M.S. Legation Guard, Japan, and late Military Train:
"7년 전쯤, 일본에 거주하는 유럽인은 반드시 권총을 소지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권총을 손에 들고 있으면서도 칼을 든 일본인에게 당하는 일이 비일비재했습니다. (중략)
내 생각에 우리 검의 가장 큰 결점은 그걸로 벨 수가 없다는 것입니다. 검을 얼마나 많이 휘두르건, 직전에 공들여서 칼날을 갈아놓지 않았으면 절대 벨 수 없을 것입니다.
실전에서 검으로 베려고 온갖 방식으로 칼을 들어올리다 보면 바로 알 수 있을 겁니다. 크림 전쟁(1853-1856)의 사례에서 알려진 것처럼, 열 번 중 아홉 번은 베기에 실패합니다.
내가 우리 기병대의 검술 훈련에 대해서 늘 하는 말은 베기는 갖다 버리고 찌르기나 해야 된다는 것입니다. 한두 번의 군사작전에 참전해본, 충분히 현실적인 사람이라면 누구나 찌르기가 베기보다 유리하다는 것을 깨달을 것입니다.
일본인들은 양손검을 사용하는데, 만약 우리 육군에서 그걸 쓴다면 저는 반대로 찌르기는 버리고 무조건 베라고 했을 것입니다. 왜냐면 그건 칼을 두 번이나 휘두를 필요가 없으니까요.
콜트 리볼버의 작은 탄환과 지나친 관통력에 관련해서, 한 일본인이 콜트 리볼버로 가슴에 총알 두 방을 맞은채 반격해서 두 사람을 살해한 일이 있었습니다. 희생자 중 한 명은 열여섯 곳에 상처를 입었는데 하나하나가 전부 치명적인 것이었습니다. 이건 내가 직접 본 것입니다."
On Military Equipment, Journal of the Royal United Service Institution. 1878
"7년 전쯤, 일본에 거주하는 유럽인은 반드시 권총을 소지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권총을 손에 들고 있으면서도 칼을 든 일본인에게 당하는 일이 비일비재했습니다. (중략)
내 생각에 우리 검의 가장 큰 결점은 그걸로 벨 수가 없다는 것입니다. 검을 얼마나 많이 휘두르건, 직전에 공들여서 칼날을 갈아놓지 않았으면 절대 벨 수 없을 것입니다.
실전에서 검으로 베려고 온갖 방식으로 칼을 들어올리다 보면 바로 알 수 있을 겁니다. 크림 전쟁(1853-1856)의 사례에서 알려진 것처럼, 열 번 중 아홉 번은 베기에 실패합니다.
내가 우리 기병대의 검술 훈련에 대해서 늘 하는 말은 베기는 갖다 버리고 찌르기나 해야 된다는 것입니다. 한두 번의 군사작전에 참전해본, 충분히 현실적인 사람이라면 누구나 찌르기가 베기보다 유리하다는 것을 깨달을 것입니다.
일본인들은 양손검을 사용하는데, 만약 우리 육군에서 그걸 쓴다면 저는 반대로 찌르기는 버리고 무조건 베라고 했을 것입니다. 왜냐면 그건 칼을 두 번이나 휘두를 필요가 없으니까요.
콜트 리볼버의 작은 탄환과 지나친 관통력에 관련해서, 한 일본인이 콜트 리볼버로 가슴에 총알 두 방을 맞은채 반격해서 두 사람을 살해한 일이 있었습니다. 희생자 중 한 명은 열여섯 곳에 상처를 입었는데 하나하나가 전부 치명적인 것이었습니다. 이건 내가 직접 본 것입니다."
On Military Equipment, Journal of the Royal United Service Institution. 1878
숙련된 일본 검사는 칼을 뽑는 순간 상대에게 치명적인 부상을 입힐 수 있다. 공격자가 실수를 하지 않는다면 방어할 기회는 없다고 보면 된다. 내가 들은 바에 의하면 일본인에게 난도질당한 어떤 해병은 한번 베일 때마다 팔다리가 하나씩 잘려나갔다고 한다.
Alexander Michie, 『The Englishman in China』, 1900
Alexander Michie, 『The Englishman in China』, 1900
올리펀트는 양팔에 붕대를 감고 있었고, 얼굴은 염증으로 잔뜩 부어 있었다. 그는 해군 수병의 도움을 받아서 내게 "손질된 청어처럼 깊은 칼집이 난" 나무 서까래를 보여줬다. 일본인 칼잡이는 적으로 만나기에는 너무 끔찍한 상대다.
William Blakeney, 『On the coasts of Cathay and Cipango forty years ago』, 1902
William Blakeney, 『On the coasts of Cathay and Cipango forty years ago』, 1902
연병장과 연무장에서 오랫동안 검술을 연습한 기병 장교로서, 나는 일본의 검술 교습 방식이 영국 육군의 방식보다 훨씬 낫다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다. 특히 말에서 내린 상태의 실제 전투에 대해서는 일본의 양손검술이 유럽의 모든 검술보다 뛰어나다. 울퉁불퉁한 땅, 언덕 사면, 그밖의 장애물이 많은 지형, 또는 뒤섞여 싸우는 난전에서 일본 검술은 많은 이점을 가진다. 어떠한 조건에서든 원하는 방식으로 적을 빨리 제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중략) 카타나의 검신은 길이가 26인치 전후로 상당히 짧은 편인데, 이는 사용자에게 뛰어난 기동성(freedom of movement)을 가져다준다. 보병전에서 세이버 같은 긴 칼과 칼집을 다루기가 끔찍하게 성가시다는 것은 누구나 인정할 것이다. 키가 작은 사람이라면 특히 더하다.
카타나의 검신은 세이버보다 짧지만 칼자루는 더 길다. 이 검을 제대로 다루기만 한다면 공격거리가 짧다는 약점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우선 긴 칼자루를 양손으로 잡고 내리치는 강한 타격(crushing blow)이 가능하다. 그리고 일본식 검술 훈련은 양손을 모두 단련시키는데[31], 검술을 배운 사람이라면 양손잡이를 상대하기가 얼마나 까다로운지 알 것이다. 여기에 서양식 군도보다 근접전에 특화된 카타나의 특성이 더해지기 때문에 카타나야말로 목숨을 건 실전에서 최고의 칼이라고 단언하는 것이다.
F. J. Norman, 『The Fighting Man of Japan』, 1905
카타나의 검신은 세이버보다 짧지만 칼자루는 더 길다. 이 검을 제대로 다루기만 한다면 공격거리가 짧다는 약점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우선 긴 칼자루를 양손으로 잡고 내리치는 강한 타격(crushing blow)이 가능하다. 그리고 일본식 검술 훈련은 양손을 모두 단련시키는데[31], 검술을 배운 사람이라면 양손잡이를 상대하기가 얼마나 까다로운지 알 것이다. 여기에 서양식 군도보다 근접전에 특화된 카타나의 특성이 더해지기 때문에 카타나야말로 목숨을 건 실전에서 최고의 칼이라고 단언하는 것이다.
F. J. Norman, 『The Fighting Man of Japan』, 1905
노먼 씨와 미야케 씨가 일본의 양손검술, 켄짓수를 시연했고 관중들은 큰 즐거움을 만끽했다. 마치 일본 검객은 공격할 때 개처럼 짖고 맞으면 수탉처럼 울어야 한다고 예법으로 정해진 것 같았기 때문이다.
노먼 씨는 또한 싱글스틱을 든 베츠 중사와 한번 승부를 겨뤘다. 그 결과, 비유적으로 말해서 중사는 한 두 번 정도 몸이 반토막났고, 노먼 씨는 몇 번의 재빠른 타격(some shrewd blows)을 받았다.
하지만 이날의 시연은 켄짓수가 주짓수만큼 중요한 운동은 아니라는 인상을 주었다.[32]
The Times, October 19, 1905
노먼 씨는 또한 싱글스틱을 든 베츠 중사와 한번 승부를 겨뤘다. 그 결과, 비유적으로 말해서 중사는 한 두 번 정도 몸이 반토막났고, 노먼 씨는 몇 번의 재빠른 타격(some shrewd blows)을 받았다.
하지만 이날의 시연은 켄짓수가 주짓수만큼 중요한 운동은 아니라는 인상을 주었다.[32]
The Times, October 19, 1905
4. 전통적 제작 방식
전체적인 과정 |
4.1. 칼날의 제작 과정
제작 과정 |
- 도검을 제작하기 전에 화로에 있던 불씨로 초를 밝힌 뒤 도검 제작 성공을 기원하는 의식을 치른다.
- 사철을 제련하여 덩어리 형태[34]로 만든다(현재는 작가에 따라 직접 만들기도 하나 일반적으로는 일본미술도검보존협회에서 공급받는다).
- 만들어진 철 덩어리를 넓게 펴서 조각[35]을 낸다.
- 쇠의 성질에 따라 연한 쇠와 강한 쇠로 나눈다.[36][37]
- 쇠를 모아 맞춘 다음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전통 종이(和紙)[38]에 싸서 진흙물을 묻힌 뒤 와라바이[39]를 뿌린 다음 870℃ 온도의 가마에 집어넣는다.[40] 경우에 따라서 1200~1300 °C로 열을 먹여 열을 전달한다.
- 쇠를 접어가면서 불순물을 제거한다.[41] 접을 때마다 짚과 재를 이용하여 철 내부의 탄소량을 조절한다.
- 강한 쇠를 u자 형태로 만들고 그 사이에 연한 쇠를 집어넣는다.[42]
- 망치로 두들겨가면서 칼의 형태로 모양을 잡는다. 이 과정에서 곡도로 할지 직도로 할지를 결정한다.
- 야키바츠치(焼刃土)[43]라는 2가지의 특수한 진흙을 바른다. 우선 히키츠치라는 흙을 바르고, 오키츠치를 발라 모양새를 낸다. 칼등 부분은 비교적 느리게 냉각되도록, 칼날 부분은 빠르게 냉각되도록 형태를 잡아 바른다. 부위 별로 다른 진흙을 사용하는 것과 진흙을 바르는 모양에 따라서 일본도의 무늬인 하몬의 형태가 달라진다.[44] 이를 츠치오키라 부른다
- 다시 가마에 넣고 충분한 온도[철과]가 될 때까지 두었다가[46] 물에 넣어 담금질한다. 이때 날 부분은 급격하게 냉각되어서 마르텐사이트라는 견고한 조직이, 다른 부분은 느리게 냉각되어 연한 조직(펄라이트)이 생성된다. 마르텐사이트가 생성될 때 부피가 4.4% 정도 증가하기 때문에 일본도가 뒤로 휘어지게 된다. 급격한 변형이 일어나는 과정이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실패할 확률이 높다. 하몬은 이 과정에서 생겨난 무늬다.
- 적절한 온도에서 뜨임을 해주어 인성을 좋게 한다[47]. 이때 경화된 조직이 연화되어 담금질로 생긴 하몬이 사라지지 않게 주의한다.
- 간단하게 초벌연마를 한다. 칼의 배 부분에 조각을 하고 히(혈조)를 새기기도 한다.
- 손잡이 안에 들어가는 부분(슴베)의 연마를 하고 작가의 이름, 사는 곳 등을 새긴다. 이 부분은 작가에 따른 특징이며 마음 내키는 대로 바꿀 수 없다.
- 전문 연마사에게 넘긴다. 연마사는 여러 숫돌과 연마재를 사용하여 작가가 표현하고자 한 바를 잘 나타나게 한다.
4.1.1. 칼집, 손잡이
칼집의 경우는 아래와 같은 과정을 거친다.- 나무를 고르고[48] 나무를 칼집 모양으로 자른다.
- 반으로 가른다. 그 다음 속을 칼과 끌등을 이용해 파낸 뒤에 찹쌀을 이용하여 접착한다.
- 칼집을 원하는 모양으로 깎아낸 다음 입구 부분이 벌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물소 뿔을 덧대어준다.
- 옻칠을 칠해 마무리한다. 장식성을 더하기 위해 금속 장식을 덧붙이거나 가오리 가죽 등을 위에 덧붙이기도 한다.
손잡이의 경우 깎아내는 과정까지는 칼집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 그 뒤에 손잡이에 우둘투둘한 상어 가죽이나 가오리 가죽을 덧붙여 쉽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장식 부품의 제작 과정은 전문적인 금속 공예 분야이기 때문에 간단히 다루기는 어려우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4.2. 조립과 의장 그리고 수집
일본도의 장점 중 하나라면 비교적 간단하게 분해, 조립이 가능하여 관리 수리가 용이한 점이다.- 어피[49]를 감은 손잡이를 칼몸의 슴베에 끼워서 메쿠기를 박을 구멍을 뚫는다.
- 다시 칼몸을 손잡이에서 빼고 손잡이에 가죽끈이나 면끈 등을 감아준다.[50] 이 과정에서 손잡이의 적당한 위치에 메누키를 얹고 그 위로 손잡이끈을 감아 고정시킨다.
- 하바키[51]를 칼몸에 끼운 뒤에 그림과 같이 셋파와 코등이(츠바;tsuba)를 끼운다.
- 후찌를 손잡이에 끼우고 손잡이에 칼몸을 끼워넣는다.
- 대나무나 뿔 재질의 못(메쿠기)을 박아 칼몸과 손잡이를 고정시킨다.
따라서 일본도에 있어서 도 그 자체인 것은 칼몸이며, 다른 부분은 얼마든지 갈아치울 수 있는 부속에 지나지 않는다. 이는 도검을 많이 쓰지 않는 한국과 중국에서 내구성을 위해 각 부품들을 금속재질의 못 등으로 견고하게 고정시켜 일체화한 점과는 다른 점이다.
이는 취향에 따라 부품을 바꾸어 검을 치장하는 덕질을 가능하게 했으며, 정교하며 다양한 조각이 이루어진 코등이(츠바;tsuba)를 필두로 일본도의 의장을 강화시켰고, 일본도가 미술품 취급을 받으며 수집되는데 일조하였다. 현대에도 이와 같은 부품들을 모으고 거래하는 경우가 많다. 일본도에 있어서 가장 화려하게 치장되는 부분은 코등이로, 이만 다루는 전문적인 서적이나 전시 컬렉션이 있을 정도.
5. 생김새
일본도의 외관은 미술품으로서의 일본도 감상에 있어서 중요한 포인트이다. 일본도/생김새 문서 참고.6. 착용법
착용법 |
- 타치의 패용법
- 의식(儀式)용 매기 - 관청의 의식에서 패용하는 의장용의 시키다치(式太刀) 등을 패용할 때 쓰는 방법. 관복의 허리띠인 관대(官帶)에 패용 끈을 끼워서 패용한다.
- 허리에 둘러매기 - 타치의 가장 기본적인 패용법. 타치의 칼집에는 패용을 위한 가죽이 연결되는 아시(足)라는 패용 부품이 2개 붙어있다. 여기에 붙은 가죽에 2~3m 정도의 끈인 타치오가 연결되어 이것을 풀어서 길게 늘인 다음 와키자시에 걸고 X자로 매듭을 지은 다음 허리에 두세 바퀴 감아서 단단히 묶는다. 단순히 허리에 두르기보다는 단도나 와키자시에 함께 걸리는 방식이다.
- 타치다이(太刀帶)에 끼우기 - 전국시대 후반이 되면 점차 패용장치(아시足)을 사용하여 타치오로 허리에 둘러 고정하는 방식은 잘 사용되지 않게 된다. 그대신 간편한 타치다이가 등장하는데 허리에 두르는 끈과 타치를 고정하는 끈이 따로 있어 허리에 타치다이를 두른 다음 타치를 끼우는 끈 매듭에 끼워주기만 하면 간편하게 고정되는 장점이 있었다.
- 끈 매듭으로 고정하기 - 2~3m의 끈을 준비하고 반으로 접어 칼집에 X자로 묶어 허리에 둘러서 남은 부분을 배꼽 부근에서 매듭을 지어 벨트처럼 착용한다. 칼집이 단단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반면 칼집이 잘 움직이지 않는다는 점이 반대로 불편함을 초래하기도 했다. 타치 뿐만 아니라 카타나까지 이 방식으로 패용할 수 있으며 달리 패용 장치가 없는 한다치(半太刀)나 우치가타나(打刀)를 갑옷 위에 패용할 때에는 이 방식을 많이 사용했다.
- 카타나의 패용법
- 허리띠에 끼우기 - 대표적으로 잘 알려진 방법. 허리띠에 끼우면 칼집 옆에 튀어나온 쿠리카타(栗形)에 걸려 밑으로 빠지지 않게 된다. 평복 뿐만 아니라 갑옷 착용시에도 가능했는데 갑옷 착용시에는 갑옷 위가 아니라 안의 평복 허리띠에 끼웠다. 그래서 갑옷을 착용하고 카타나를 허리띠에 끼우면 칼집 일부 쿠사즈리(草接)에 가려져 있고 자루는 쿠사즈리 사이에서 튀어나와 있는 식. 갑옷 위에 패용할 때에는 끈 매듭으로 고정하기로 고정하였다.
- 등에 둘러메기 - 닌자의 방식으로 알려져 있지만 흔히 알려진 닌자도라는 것 자체가 할리우드의 창작물이나 다름없어 근거가 없다. 일단 닌자도는 80년대의 가짜 닌자의 대표격인 아시다 킴이라는 미국인이 자신의 책에서 등장시킨 것을 시초로 본다. 역사적으로는 오오타치를 등에 둘러메어 운반하는데 쓴 사례가 있고 평범한 카타나를 등에 둘러메고 다닌 것은 메이지 유신 당시의 무진전쟁 때의 사무라이들. 무진전쟁에서는 칼이 아니라 총과 대포가 전쟁의 중심이었기 때문에 칼을 쓸 일이 별로 없어서 발도의 불리함 대신 총기 취급의 용이함을 택해서 이런 방식으로 많이들 차고 다녔다. 별다른 장치나 방식이 있는 건 아니며 넓은 천을 이용해 묶어서 대충 둘러메는 방식. 관동군 항목에서 사진을 볼수있다.
- 허리 옆에 세워서 패용하기 - 마찬가지로 메이지 유신의 무진전쟁에서 사용되던 방식. 넓은 천을 이용해 묶고 핸드백처럼 어깨에 걸어서 메고 다녔는데 이럴 경우 보통 왼쪽 허리에서 수직으로 섰다. 이유는 마찬가지로 총기 사용에 편하다는 점 때문. 보통 무사들은 천을 이용해서 패용했지만 높은 직급의 간부들은 유럽에서 수입한 가죽제 Frog를 사용하기도 했다. 행군하거나 총격전을 벌일 때에는 칼자루를 뒤로 가게 했다고 한다.
7. 작명
일본도의 이름을 지을 때에는 보통 다음과 같은 정보가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 제작지: 비젠 국에서 제작한 경우 '비젠노쿠니'가 앞에 붙는 등. 웬만하면 생략된다.
- 칼의 별칭: 특수한 일화가 얽힌 일본도의 경우 그 일화와 관련된 이름이 붙는다.
- 제작 형식: 흑칠태도, 케누키카타타치 등.
- 도공명 또는 도파명: 보통 제일 뒤에 붙인다. 그 검을 제작한 도공의 이름이나 도파의 이름. 메이(銘)와 일치하는 경우도, 다른 경우도 있다(도공에 따라 새기는 메이의 형식이 다르기 때문).
흔한 조합은 다음과 같다.
- 도공/도파명만으로 부르는 경우: 이즈미노카미 카네사다, 나가소네 코테츠, 후지와라 카네후사 등.
- 별칭만으로 부르는 경우: 네네키리마루 등. 도파나 도공명이 따로 없는 유명도의 경우 이렇게 지어지는 경우가 많다.
- 별칭+도파명으로 부르는 경우: 예시로 미카즈키 무네치카의 경우 '미카즈키'는 검신의 무늬에서 따온 별칭, '무네치카'는 도공인 산죠 무네치카의 이름이다.
8. 강도
일본도는 원본 성능이 어찌 됐든간에 미디어에서의 영향력과 인기, 인지도가 실로 대단한 물건이다. 그 부작용으로 서구권이든 동구권이든 일본에 대한 판타지, 동경심과 과장에 심취해 일본도에 대한 과대평가를 남발하는 부류와, 그에 반발해 마니아들의 일본도 타령에 질려버린 사람들, 일본에 대한 반감을 가진 사람들은 과할 정도로 폄하하고 과소평가하는 괴이한 현상이 생겨 정확한 정보를 따르는 데 혼란이 생긴다.8.1. 전통 일본도의 내구도
일본도는 양손으로 사용하는 데다 날이 곡률을 가진 만도이기에 베는 성능이 뛰어난 검이며 실제로 앞서 문단의 기록에서 본 것처럼 전투에서 높은 살상효과를 보였다.다만 60cm가 넘는 도신에 1kg 남짓의 중량을 가지다 보니 도신의 폭이 좁으며 근대 이전 기술로는 재료의 균일성을 유지하거나 고른 열처리를 하기도 힘들었기에 날을 잘못 부딪히거나 할 경우 도신이 휘기도 했다. 당장 현대의 고성능 도검용 강재를 통열처리해서 만드는 일본도의 경우도 숙련되지 않은 사용자가 다다미 베기 등을 할 때 도신이 휘는 경우가 간혹 발생하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일례로 무로마치 막부 말기 검호 쇼군으로 유명했던 아시카가 요시테루는 미요시 요시츠구가 일으킨 에이로쿠의 변으로 시해당했는데, 이때 명검 여러 자루를 다다미에 꽂아놓고 적을 베다가 날이 무뎌지면 다른 검으로 바꾸어 계속해서 적을 베어 죽였고, 그렇게 수십 명을 죽인 후 본인도 살해당했다고 한다. 요시테루의 뛰어난 무술을 보여주는 사례이지만, 한편으로 나름 명검이라는 검 여러 자루를 파손해 가며 죽인 적이 수십이라는 데서 어지간한 명검도 10명 남짓 베면 파손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일화라고 할 수 있다. 어디까지가 사실인지는 알 수 없지만.
옛날이나 지금이나[52] 일본도를 만들 때 쓰는 재료는 수백 년 전에 쓰이던 질 낮은 철이고, 그걸 다듬는 데 쓰는 기술 역시 수백 년 전에 개발된 것이다. 예를 들어, 일본도의 특징으로 꼽히는 신가네를 하가네로 감싸는 형태의 구조는 중국의 전국 시대부터 명나라 시대까지 일상적으로 활용된 것이고, 철을 여러 번 두들겨 펴서 접고 또다시 두들겨 펴서 접는 접쇠 공정 역시 일본만의 비법이 아니라 세계 곳곳에서 예전에 썼던 기술이었다.
일본의 전통 제철 방식인 타타라 제철 방식은 전형적인 전근대적인 방식으로 앞서 서술한 것처럼 부분적으로 환원된 철괴를 제련하는 방식을 사용하기에 10kg의 광석을 타타라로 제련할 경우, 1kg의 강괴 밖에 나오지 않을 만큼 생산 효율이 나빴다.[53] 불순물이 많이 섞여있으니 기본적으로 재료의 인성이 떨어지는 것은 당연지사. 이조차도 접쇠 공정을 통해 계속 불순물을 제거하고 강재의 순수성을 높여야만 했다.[54]
또한 접쇠 공정을 거치고 난 강재도 강도가 충분하지 못했기 때문에, 부드럽고 유연성이 높은 연철 소재의 심인 '신가네(心鉄, 心鐵)'[55]를 유연성은 낮지만 딱딱하고 단단하며 강도가 높은 고탄소강 소재의 표피인 '하가네(刃鉄, 刃鐵, 刃金)'[56]로 감싸는 꼼수로 최대한의 내구성을 확보한 것이 일본도이다. 하나 이러한 복잡한 제법은 현대 금속공학을 동원해서, 기계로 꼼꼼하게 수행해야 품질이 보장되는데[57], 일본도는 그냥 장인의 감으로 이런 제법을 무리하게 구현하려다 보니 연철과 강철의 구분을 잘못한다던지, 연철 소재의 심인 신가네가 고탄소강 소재의 표피인 하가네로 덮이지 않고 그대로 외부에 노출되어 칼날 전체의 성능과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등 여러모로 칼날의 품질이 제작자의 실력에 의해 극단적으로 좌우될 수 밖에 없었다. 망치로 깨 봐서 입자가 작고 뭉그러지는 것은 '신가네(心鐵)'로 분류하고 입자가 크고 깨지는 것은 '하가네(刃鐵)'로 분류하는 식일 수밖에 없으니 말이다. 일부 장인들이 자신의 최대 명검이라 하며 내놓는 물건들은 정말 운 좋게도 적절한 배율로 구성된 제품일 가능성이 높다. 그러니 수십 년 만에 한 번씩 나올 수밖에 없다. 심재만 단단한 걸로 쓰고 겉에쓰는 철은 싸구려를 의도적으로 해서 제작비용을 줄이는 방식은 현대에서도 일본 식칼 제조업계에서 많이 쓰이고 있다. 글XX 나이프 SAI나 마사XX TX시리즈가 그 예시다.
이 때문에 일본이 서양과 교류하면서 얻은 남만철(서양 용광로식 제련법으로 제련되어 만들어진 유럽제 철강[58])은 전국시대 말부터 도검을 비롯한 일본의 철제 무기와 갑주 제작에 적극적으로 사용되었고, 남만철 무역 역시 꾸준히 지속되었다. 즉 이 시기까지 일본 내의 재료와 기술로는 남만 철과 같은 고탄성강을 제조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이는 19세기(개화기)에 들어와서야 겨우 해소된다.
전투에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칼날을 필요 이상으로 두껍게 만들 수밖에 없으니, 휘두르기 좋게 가볍고 무게 중심이 알맞게 만들기도 힘들다. 일본도는 날 끝으로 가면서 날의 두께가 그리 줄어들지 않는 데다, 중국이나 서양의 검 손잡이 끝부분에 있는 폼멜처럼 자루 쪽에 무게를 실어주는 부분도 없다. 이렇게 무게 중심이 날 쪽으로 쏠리면 휘두를 때 날 끝에 무게가 실려 길이와 무게에 비해 강한 살상력을 얻을 수 있으나, 무게 중심이 칼자루에 가깝고 양손의 간격을 짧게 쥐는 다른 문화권의 검들보다 운용이 불편하다. 또한 습기가 많은 일본 기후 특성상 손잡이를 쉽게 분해할 수 있는 대신 칼날과 손잡이의 고정을 대나무 못으로 하기 때문에 전투 중 충격이 누적되면 대나무 못이 부러지며 칼날이 손잡이에서 빠져버릴 위험성이 있다.(이는 현대처럼 그라인더같은게 없어서 못의 길이를 가공하는게 까다로워서 였기도 하다.)
날의 성능에만 집중하여 기타 도장구에 대한 평가는 잘 이뤄지지 않는데, 우치가타나 양식이 성립된 이후의 일본도는 그 칼자루의 그립감이 가히 예술로, 특유의 천 끈과 매듭법으로 인해 맨손에 착 감겨들고, 무엇을 베었을 때 손에 가해지는 충격도 나무나 가죽만으로 마감한 도검들에 비해 훨씬 부드럽다. 목재에 가죽을 감은 것은 그나마 낫지만, 그도 없이 나무 조각을 나사로 붙여놓은 수준의 물건들은 장갑이 없으면 오래 다루기 힘들 정도로 손에 가해지는 충격이 크다. 그래서 오염이 쉽고 내구도가 떨어지는 문제는 있어서, 아예 마음대로 교체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흔히 돌아다니는 속설처럼 뭐만 하면 휘고 부러지는 그런 무기는 아니었다. 애초에 철의 질과 가공법을 떠나서 당시 타국과 비교해서 그 정도로 질이 떨어지는 무기면 실전용으로 못 쓸 수준이고, 타국의 평가조차 아무리 잘 쳐줘도 장식용 수준을 못 벗어났을 것이다. 이는 지나치게 과하게 깎아내리려는 속설이며, 비슷한 규격으로 제작된 타국의 도검류와 비교해서 큰 차이가 없다고 보면 된다. 칼날이 휘고 부러진다고 하는데, 칼날은 소모품이다. 타국 도검은 물론이고 현대 기술과 철로 만들어진 도검도 충격을 받으면 휘거나 부러지는 것은 마찬가지. 무슨 판타지에 나오는 아이템이 아닌 이상 철이 마찰에 의해 부러지거나 상하는 건 그냥 당연한 거다.
8.1.1. 과대평가의 원인
일본도에 대한 환상은 일본도 자체가 단일 무구로는 도검 시장에서 유례없는 성공을 거둔 히트 상품이라는 사실에서 기인한다. 일본도는 그 사회의 지배계급이 항상 차고 다녀야 하는 필수품이었다는 독특한 특징과 배경을 가진 도검 역사상 보기 드문 물건이었으며, 심지어 그 나라가 세계적인 선진국 중 하나로 발전했다는 배경까지 합쳐져 더더욱 상품화되기 좋은 조건을 갖춘 무구였다. 그리고 가십거리에 혈안이 된 매스미디어들은 그 환상을 더욱 부채질했다. 《디스커버리 채널》에 의하면 '베는 것' 에 한정해서 모든 냉병기 중 가장 고성능을 발휘하는 무기로 묘사되며 사람과 같은 밀도를 가진 젤라틴을 베는 실험에서 오직 일본도만이 일도양단에 성공했다고 나왔으나, 이건 일본도 외의 타 문화의 검으로도 얼마든지 할 수 있는 것이다.일본도로 총알을 가르는 시험도 원래 서부시대부터 총을 쏘아 풍선 두 개를 터트리던 식의 유희, 즉 트릭에 지나지 않는다. 권총탄은 납을 구리 외피로 감싼 것이며 열처리된 강철보다 훨씬 무르기 때문에 굳이 일본도 뿐이 아니라 쇠를 갈아서 날을 세운 것이라면 그 무엇도 가능하다. 한국 환도는 물론 심지어 내구도가 한참 떨어지는 저가의 스테인리스스틸로 만든 버터용 나이프로도 자르는 게 가능하다.(#) 워터젯 커터 실험도 비슷한 트릭. 날카롭게 세워진 칼날은 단면적이 현미경으로 봐야 할 만큼 좁으므로 이것을 중심으로 고압 수분이 2갈래로 갈라져 빠져나간 것이다. 게다가 실험에 쓰인 일본도가 진짜 일본도인지도 확실치 않다. 100% 전통 강재로만 제조하면 시참을 할 때 하도 휘므로 수련을 위해 만든 칼은 현대 강재를 쓰는데, 이렇게 만든 칼은 눈으로 봐서는 전통 방식으로 만든 칼과 절대 구별할 수 없다.
납을 구리로 감싼 일반 풀 메탈 자켓 탄환도 권총탄이 아니라 기관총 탄환처럼 강력한 운동에너지가 있으면 칼날도 부러진다.
기관총의 총신을 가르고 박혔다든지, 사람과 갑옷까지 절단한다든지 하는 헛소문들도 이런 환상에 크게 일조한 바 있다. 허나 여러 중세시대 매니아들의 실험 결과 칼로 숭숭 잘 베일 것만 같던 가죽 갑옷조차도 베기에는 굉장한 내성을 지닌다는 것이 확인된 바 있다. 심지어 천으로 만든 갑옷도 베기에 대한 방어력을 어느정도 제공한다.[59] 하물며 금속으로 만든 갑옷은 베는 것이 매우 힘들다. 같은 맥락으로 기관총의 총신을 가르는 것 또한 철 갑옷을 절단하는 것 이상의 헛소리. 애초에 총신은 장약이 폭발하며 일으키는 팽창방향의 변형과 탄두가 총강 내에서 나아가며 일으키는 마찰을 자체 내구성으로 씹어내면서 끝까지 본모양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총기부품 중에서도 가장 공들여서 견고하게 만들어진다.
8.1.2. 과소평가와 진실
이런 지나친 과대평가에 대한 반발심리로 지나치게 과소평가당하기도 한다.- 대나무를 베다가 부러지거나 휘어지는 약한 검이다?
칼은 기본적으로 중량 1~2kg에 두께 3~6mm 전후인 얇은 철판이다. 애초에 금속은 버틸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선 충격량이 가해지면 부러지거나 휘어지는게 당연한 일이고, 제작자나 사용자의 '실수'[60]가 겹친다면 더 작은 충격에도 변형될 수 있다. 이는 비단 일본도뿐만이 아니라 고전~중세 시대에 나온 날붙이들도 그렇고 폭을 넓히면 현대 군용 대검이든 일상생활에 자주보는 수저든간에 다 똑같다.
서양 중기병들이 상대 중갑병들을 제압할 때 쓰던 대갑주용 롱소드인 에스터크가 대표적인 예신데, 갑옷 틈새에 파고들어야 한다는 특징상 매우 얇고 폭이 좁게 설계되었기 때문에 칼날이 붙잡히면 휘어져서 못 쓸 가능성이 높았고 이때문에 당시 기병들은 에스터크가 망가질때를 가정한 대비책을 강구해야했을 정도였다.
일본도가 실전이나 베기 시험 도중 쉽게 망가졌다는 증언의 출처는 대부분 중일전쟁 시기 일본 육군 군도수리반의 기술자였던 나루세 칸지의 <싸우는 일본도: 戦ふ日本刀>와 <실전도론: 実戦刀譚>을 참조한 것인데, 정작 작가인 나루세 칸지 본인은 일본도에 대해 매우 깐깐하고 전문적인 입장을 고수했다. '에도시대의 망나니가 차고다니는 시참용 검'과 '군진에 필요한 탄력 있고 강한 검'은 명백히 다른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고 같은 전통 일본도라도 제작시기에 따라 고도(古刀)와 신도(新刀), 신신도(新々刀)로 크게 3분류로 나눠 구분했으며, 이중 전체적으로 성능이 제일 떨어진다고 평가한 신도조차 일회용이나 다름없는 쓰레기가 있다고 평하는 반면, 날이 깨져도 계속 사용할 순 있는 수준의 검이나 전투에 적합한 일부 좋은 검의 사례도 서술했다. 철제 검 치고는 약하고 무를 지언정 충분히 계속 쓸 만한 수준은 된다는 것이다. 중일전쟁을 비롯한 근대 전쟁사에 등장한 일본 군도 역시 휘어지고 부러지는 등 성능 자체는 좋지 못했으나 철강 기술의 개편으로 제값을 한 경우가 많다.
- 정으로 쪼아서 조각할 수 있을 정도로 검신이 무르다?
이는 강도보다는 경도의 문제로, 무게, 가공 등을 고려한 전투용 도검의 이상적인 경도는 HRC 50[61] 전후다. 잘 만든 칼이라도 단단한 못으로 긁고 쪼면 파인다. 세밀한 조각이 가능하다는 것과 못이나 정으로 찍어 파는 것는 다른말이긴 하나, 못이나 정으로 찍는걸 아주 잘하고 여러번 반복하면 결국 세밀한 조각이 되는것이니, 이건 장인의 손재주에 달린일일 것이다. 그리고 일본도 같은 대형 도검은 강재의 인성 문제 때문에 경도를 지나치게 높일 수 없다. 당장 현대 기술로 제작된 도검만 봐도 스테인리스 재질의 군용 나이프가 HRC 60 정도이나 이건 어디까지나 단검같은 소형 도검에 한한다. 대형 도검이 경도가 너무 높으면 일반적으로 인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쉽게 깨지고 부러지므로, 현대 기술로 만들어지는 대형도검도 보통은 여전히 HRC 50 초중반대를 유지한다. 최고급 공구강과 최첨단 열처리를 도입해 HRC 60대를 유지하면서 인성까지 확보해 잘 안깨지는 대형도검도 극소수 만들어지긴 하지만, 개당 가격이 매우 비싸므로 저렴하게 대량생산해야 하는 군용무기로는 실격이다.
- 강도가 떨어져서 일본 검술에는 검을 부딪히는 기술이 없었다?
신도무념류 카토리신토류
무예제보번역속집 왜검보
'일본도는 약하다. → 약하기 때문에 칼을 부딪히는 검술이 없을 것이다. → 칼을 부딪히는 검술이 없는 것을 보면 역시나 일본도는 약하다.'는 전형적인 논리적 오류에 불과하다. 실제로 고류 검술에도 현대 검도에도 칼을 맞대는 부분은 분명히 있다. 애초에 그렇지 않으면 검술과 검도간의 대련이 성립하지가 않는다. 무엇보다 상대를 죽여서 자신을 '지키기' 위한 것이 무기인데 칼이 부러질까봐 자신을 지키는데 쓰지 않는다라는 상황 자체가 따질 가치도 없는 헛소리인 셈.
또한 막는 기법이 있더라도 모두 날 정면으로 막는게 아니라 면으로 받고 흘리는 동작이라는 오해가 있는데, 상황에 따라 날을 날로 정면으로 받아내는 기법도 얼마든지 유용했다. 날카로운 날끼리 맞물려 미끄러지는것을 방지해주기 때문이다. 당연히 날손상[62]을 동반하지만 손가락이나 손목이 날아가는 것보다 나으니까. 위의 고류 검술 움짤의 동작을 날이 아닌 면으로 받으면 미끄러지면서 손을 다치게 된다. 단적으로 환두대도 등 크로스가드나 코등이 같은 방어기물이 없거나 있어도 그렇게 칭하기 민망할 정도로 작았던 고대의 도검들도 손에 특별한 방어구를 착용하지 않고도 잘만 썼다. 날만을 이용해 방어하는게 가능했기 때문이다.
여담으로, 그렇다고 정면으로 날끼리 받아내는게 주류 방어법이었다는 것은 아니다. 애초에 그렇다면 크로스가드가 아예 필요없이 손 방어는 두꺼운 장갑이나 건틀렛 등의 방어구 정도면 충분했을텐데, 중세에 들어서면서부터 전세계의 대형도검들이 빠르게 크로스가드를 도입해갔기 때문이다. 상술한 환두대도 역시 결국 후대에 가서는 코등이가 있는 환도로 교체되었다. 이는 고대시절보다 발전된 중세부터의 검술에서는 상대방의 칼날을 흘려서 자신의 손잡이까지 미끄러져 내려오는 상황을 필수적으로 상정했다는 뜻이다.
- 두 자루를 차고 다니는건 일본도가 쉽게 부러지기 때문에 예비용으로 차고 다니는 것이다?
일본도의 약함을 언급할 때 높은 확률로 딸려오는 말. 아래 10번 항목에 나오듯이 두 자루 중 길이가 짧은 쪽은 보조용 무장이다. 중세 유럽의 기사들도 메이스나 아밍소드등을 보조무기로 애용했다. 그리고 전근대 방식으로 만들어진 100% 수제작 도검은 현대기술로 만들어진 도검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취약하고 쉽게 부러지는 것이 맞다. 하지만 이것은 일본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전세계가 동일했으므로 일본도만 지목해서 비판할 이유가 되지 못한다. 오히려 일본도는 사철의 취약함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매우 두꺼웠으므로, 동일 강재와 열처리로 만들었다고 가정할시 구조적으로 대부분 타문화권 도검보다 차라리 강성하면 더 강성했지 약할 이유는 전혀 없는 설계이다.
8.1.3. 결론
일본도는 파츠를 분해하여 디자인을 마음대로 바꿀 수 있는 구조와 센고쿠시대의 실전에서 다져진 검술로 나오는 소프트 파워에 강함이 있다.
일본도는 적국인 명나라에서도 고평가한 만큼 좋은 검임에는 틀림없다. 그저 일본을 찬양하는 매체에서 묘사되듯 다른 모든 냉병기보다도 우수한 검까지는 아닐 뿐이다. 내구성보다 절삭력에 포커스가 조금 더 맞추어진 도검이라 할 수 있다.한창 현역으로 사용될 당시 일본도가 동아시아에서 제법 고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그렇다고 근대 이전 일본이 중세 몽골 제국처럼 칼로 전 세계를 제패했던 실적을 낸 것도 아니고, 중세 일본군이 강력한 모습을 보였던 임진왜란에서도 일본도보다는 다른 여러 가지 요소가 선전의 원인으로 대부분 지목된다.[63]
단 오래 두드려서 제대로 만든 칼은 도검의 퍼포먼스는 크게 떨어지지 않는다.[64] 접쇠를 한 이유도 타마하가네 특유의 낮은 내구성 때문에 요컨대 "절약" 목적으로 코어는 고급 철, 나머지는 저렴한 저급 철로 나름 가성비를 위해 설계한 것이다.
완전무장을 하면 안 통하니 쓸모가 없다고 하는 주장도 있지만, 그렇게 따지면 전 세계의 칼은 쓸모없다고 하는 것과 다름없는 소리다. 굳이 일본도뿐만 아니라 동•서양과 한손•양손 무기를 막론하고 날붙이는 판금갑옷은 고사하고 체인메일조차 베어내는 것이 상당히 힘들다. 중갑을 상대할 때는 하프 소딩같은 특화 검법을 써서[65] 투구 사이의 눈구멍, 겨드랑이 같은 갑옷 이음부의 틈새 사이에 찔러 넣는 식으로 운용되었지[66] 단단한 철갑에 대놓고 찌르진 않았다. 제식 무기는 평균적인 병사들의 무장 수준만 제압할 수 있으면 되며, 일본도는 천 갑옷, 가죽 갑옷 등의 경무장은 능히 갈라낼 수 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일본도는 뭔가 신비롭고 대단한 일본만의 하이테크놀로지 기술력으로 만들어진 검이 아니다. 그냥 전근대에 어지간한 금속 문명권들이 보편적으로 쓰던 기법으로 만들어진 약간 덜 튼튼하고, 약간 더 날카로운 무기일 뿐이다. 전근대에는 철의 생산성 정도면 몰라도 도검 제작 기술 같은 면에선 어느 문명권이든 특별히 우월하다 할 정도의 격차는 없었고, 결국 중요한 건 장인의 실력과 재료빨이었다. 일본도 역시 그 범주를 벗어나진 못했다. 그러나 각종 규모의 교전이 잦아 한 시도 숨 돌릴 틈이 없었던 전국시대의 영향으로 그 보편적 기법을 능숙하게 다루는 장인들의 숫자가 상대적으로 평화시대가 길었던 조선과 명나라를 앞지르게 되었고, 무엇보다 이를 다루는 병사들의 높은 기량 때문에 백병전에 취약했던 당시 조선과 명나라 양측으로부터 뛰어난 무기로 고평가 받았던 것이다.
중세검술과 무예도보통지 수련자인 OldSwordplayer의 말에 따르면 일반적인 도검과 동급의 내구성을 갖춘 편에 해당하는 것은 고도에 해당되는 것이고, 조선식 가마를 이용한 이후에 만들어진 신도와 그보다 뒤인 신신도의 경우는 약한 내구성과 바닥을 기는 지속력으로 악명 높은 일본도에 해당한다고 한다. 신도의 품질이 저런 이유는 일본 내 제련법과 괴리가 있던 조선식 가마를 제련에 이용한 것이 원인이다. 조선식 가마의 높은 온도로 인해 타마하가네의 탄소함량과 순도는 높아졌지만 반대로 더 깨지기 쉬운 주철에 가까워졌고, 기존의 산화피막 형성을 막던 탄화티타늄 등의 불순물도 사라지게 된 것이다. 결국 접쇠를 하기 위해 유약을 바른 짚을 태워 표면을 비비는 작업이 도입되었지만 되려 이 작업 자체가 유약이라는 불순물을 추가하게 되는 행동이었고 접쇠를 하면 할수록 불순물을 포함하는 현상이 일어난 것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강과 경강을 이전보다 복잡하게 배치하는 등 갖은 시도가 있었지만 해결은 되지 않았고 이후 칼이 아니라 총과 화기가 주축이 되는 근대에 본격적으로 돌입하면서 다른 문제점 또한 발견될 수 없었다. 이후 연구를 통해 일본도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고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완전히 녹은 쇳물에 석회가루와 모래가루와 사철을 넣어 황과 인을 빼는 즈쿠오로시(銑卸し, ずくおろし) 제련법은 고도 이상의 품질을 만들 수 있음에도 일반적인 제작법보다 고되며 까다로운 작업이었기 때문에 대부분 이전방식을 차용했다. 그러한 이유로 현재 일본도의 약한 내구성은 신도와 신신도로 대표되는 여러 차례에 걸친 개량의 실패로 인해 만들어진 것이다.
8.2. 현대식 일본도의 강도
콜드스틸의 일본도 내구성 테스트 |
디스커버리 채널의 실험으로 현대식 일본도도 별로라는 인식이 있다. 당시 실험에선 현대 공업기술로 만든 일본도와 박도, 유엽도로 충돌 실험을 한 결과 일본도가 파괴되었다. 하지만 박도 문서에서 알 수 있듯이 박도란 크고 두꺼운 중국식 외날 도로, 그 질량은 도끼와 맞먹는다. 현실의 장검은 만화와 달리 금속을 두부 썰듯 베지 못하기 때문에 같은 급의 금속, 제련 방법으로 만들었을 때 도끼급의 질량을 가진 박도와 일반 검의 질량을 가진 일본도가 부딪히면 일본도가 부서지는 게 당연하다. 유엽도의 경우에는 1kg 내외의 한 손 도검이나 무게중심이 칼날의 끝 부분에 몰려있고 칼날 폭도 두껍기에, 칼날 간의 충돌시험에서 일본도가 부러질 수 있다.
이러한 실험에 앞서서, 실전용 일본도는 1.5~2kg 내외의 무게[67]를 갖고 있으며, 날의 훼손을 막기 위하여 날의 엣지 각도도 높여둔다는 것을 염두에 둬야 한다. 즉, 안전을 위해 고류 유파에서도 가끔씩 사용하는 실전용 일본도의 사양을 알리가 만무한 영상 제작자들이 이러한 조건을 맞춰서 실험 할리가 없기에 일본도의 구조적 내구성 평가는 섣부르게 판단할 수 없다. 다큐멘터리나 유튜브에 나오는 일본도들은 거의 전부 일본도 비슷하게 만든 곡도에 불과한 셈이다.
아무튼 일본도도 전통적인 접쇠 단조가 아니라 현대식 제철 기술을 적용하여 현대인의 신장에 맞추어 길게 만들면, 전통 일본도의 단점인 부족한 내구성과 양손도검 치고 짧은 길이 등의 단점들을 극복할 수 있다.
8.2.1. 모조 일본도
미국 Dawson Knives의 '쇼군' 20인치 와키자시로, 최신 MagnaCut 강재를 사용한다. |
대한민국에서 만들어지는 현대식 일본도의 제작과정 |
일본도는 전통방식으로 일본 내에서 장인이 제조한 것만을 일본도로 인정하기 때문에 세계 각국에서 만들어지고 있는 현대 강재, 현대 공법으로 만든 것 혹은 일본의 전통 방식을 모방해서 만드는 모든 일본도형 도검들은 모조 일본도 혹은 모조 도로 분류한다. 진검, 가검 가리지 않는다. 물론 모조 일본도라고 검술에서 차이가 있는 건 아니다. 오히려 전통 방식으로 제작한 일본도가 질적 한계와 더불어 관리하기 더욱 까다롭다는 단점[68]이 있어서 검술 수련에는 모조 일본도가 월등히 낫다. 그럼에도 전통 일본도가 생산되고 사용하는 이유는 일본의 도검법과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아니라 검술을 있는 그대로 보존하고자 하는 고류 유파들의 풍조 때문이다.
일본도에 대한 수요는 세계적으로 막대하지만 이 수요를 감당하기에는 일본도의 생산량은 너무 적고 가격도 상당히 비싸다.[69] 그래서 많은 메이커들이 모조 일본도 생산에 뛰어들었다.
모조 일본도 생산의 최대 거점은 중국이다. 1045탄소강을 이용하고 아연합금 도장 구를 탑재한 일본도 모양의 저질 칼이나 가검류, 1055이나 1060탄소강을 사용하여 상당한 내구성과 절삭력을 갖춘 물건은 물론 일본의 타마하가네를 사용하여 전통 일본도의 하몬까지 자유자재로 재현하는 것까지 다양한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품목을 생산하며 폴첸, 다이너스티 포지, 콜드 스틸, 친니즈 커틀러리 등 이쪽에서 제법 알려진 메이커들의 제품은 물론 이베이에서 장사하는 수많은 중국 군소 유통업체들까지 다 중국에서 만들어 온다. 그중에서도 도검으로 유명한 중국 용천시가 지상 최대의 모조 일본도 생산 거점. 용천시의 물건들은 미국은 물론 일본에도 가검으로 들어가고 있고 한국에도 생각보다 많이 풀렸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일본도형 도검도 물론 모조 일본도에 속한다. 국내 칼의 특징은 베기장에서 주로 사용하고, 전통 있는 일본의 도검 문화가 들어오지 않은 탓에 주로 베기를 위해 칼날이 넓고 국적불명의 도장구를 탑재한 것들이 많이 팔린다. 그 대신 내구성은 평균적으로 매우 뛰어난 수준. 중국제 모조 일본도들은 일본도의 양식을 철저하게 연구하고 재현했기 때문에 국산 칼보다는 훨씬 원래 일본도에 가까운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거합과 고류 유파들이 늘어난 2010년대는 일반인이 일본에서 일본도를 국내로 반입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전통 일본도 형식을 갖춘 모조 일본도 수요가 늘었다.
모조 일본도의 내구성도 천차만별이라 1045탄소강이나 타마하가네를 사용한 물건들은 내구성이 전통 일본도와 다를 바 없거나 더 약하기도 하다. 강재를 속이는 경우도 일부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1055나 1060 탄소강을 사용하고 통 열처리를 한 성능 위주의 제품들은 무시무시한 내구성을 자랑하며 절삭력도 상당히 좋은 편으로 미국 등지에서 소비되는 모조 일본도들 중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부분 열처리를 하는 제품들의 경우 아무래도 통 열처리 제품보다는 내구성이 떨어진다.
반대로 고증을 아예 포기하고 최신식 슈퍼 스틸을 이용해 현대적으로 재해석된 고급 제품을 만드는 업체들도 있다. 위 사진의 Dawson이 대표적으로, 2019년에 개발된 최신식 분말 스테인리스강인 MagnaCut을 사용하며 경도를 HRC 60-61[70]까지 올린다. 이런 고합금강들은 부분열처리니 통열처리니 하는 말이 아무 의미 없으며, 애초에 가공 과정 자체가 전통 강재와 다르기 때문에 열처리 전용 전기로와 액체질소를 이용한 심냉 열처리가 이뤄진다. 가격은 위 사진의 20인치 모델의 경우 3천 달러 정도.
인도 등지에서 수상쩍은 다마스쿠스 칼날 일본도를 판매하고 있으나 장식용 이상의 성능을 기대하기 어려운 물건들이다.
9. 일본도에 대한 세세한 이야기
현대의 군충장 연구를 참고하면 전국시대의 전투에서 무기에 의한 부상률은 각각 활, 조총, 창, 투석, 일본도 순이다. 어딜 가나 활과 투석병기의 위력은 절대적이었다.(#) 용감하게 일본도를 뽑아들고 돌격하는 일은 적어도 전국시대에서는 통용되지 않았다는 것으로, 일본도는 다른 무기를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본래 도검이라는 것이 그러하다. 사람이 상식적이라면 칼보다는 대포를쏘고 대포가 없으면 총이나 화살을쓰고 그것도 없을때 칼을뽑는거지[71], 칼부터뽑고 달려드는 바보는 없다.위의 연구 결과를 보고 무작정 일본도를 까는 사람도 적지 않다. 2000년대 초반까지는 인터넷에서 일본도에 대해 엇나간 환상을 가진 사람이 꽤나 많아 충돌을 빚은 반면 군충장 연구 결과가 인터넷상에도 퍼지기 시작한 근래(2010년도 내외)에 이르러서는[72] 반일감정으로 일본도를 심하게 비하하는 사람들이 늘어난 듯하다. 정확히 말하자면 둘 모두 옳은 이야기는 아니다. 검이 다른 무기의 보조 무기로서 활약한 것은 동시대 유럽도 마찬가지고 단순히 주무장으로 사용하지 않았다고 일본도를 폄하하기엔 무리가 있다.
유럽의 롱소드가 갑옷의 발달에 맞춰 그 형상이 적극적으로 변화한 것과 달리 일본도는 용도와 형태가 조금은 바뀌었어도 부드러운 것을 가르는 데에 특화된 디자인이라는 점은 변하지 않았다. 현대 사극 등에서는 병사(아시가루)들도 삿갓(진가사)에 흉갑과 팔보호대를 걸치고 나름대로 중무장한 모습을 보여주지만 실제 일본의 모노가타리 에마키(두루마리 그림)의 삽화들을 보면 갑옷을 입었는데 7부바지에 쓰레빠를 끌고 싸우거나 훈도시만 차고 갑옷을 입고 평상복에 조총과 카타나만 차고 참전한 병사들의 모습이 상당히 많이 나온다. 이는 임진왜란 당시의 조선측 기록화인 동래부사순절도 등에서도 확인된다. 물론 체제가 갖추어지고 상당히 후기인 오사카 전투나 시마바라의 난을 그린 삽화에서는 사극에서 묘사되는 중무장을 갖춘 병사들이 그려져 있으나 긴 시대 동안 일본의 전쟁에서 갑주를 철저하게 갖춘 비율은 그다지 높지 않았으며 또 아시가루들에게 대여되는 갑옷들은 종이로 만들어진 유물도 꽤 남아있다.[73] 어쨌거나 나름대로 잘 무장하였다 해도 갑주의 유형이 통짜 쇠로 만든 플레이트 아머가 아닌 쇠와 가죽을 혼용한 러멜러 아머에 가까운 만큼 휘어져있는 도검이 더 효과를 발휘하며(나기나타의 하반신 베기가 치명타인 점도 같은 맥락) 감싸주지 못하는 부분도 꽤 많이 드러나 있다. 이런 배경 하에서 일본도는 베기에 특화된 디자인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이다. 동양권이 전반적으로 그러하지만 그 중 특히 일본이 도(刀)가 발달한 이유 중 하나가 바로 이것이다. 유럽에서도 크릭메서, 스위스 세이버처럼 일본도와 흡사한 양손 사용의 휘어진 외날 도는 존재했지만 호응을 얻지 못하고 사라진 것은 전장 환경의 근본적인 차이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굳이 플레이트 아머까지 갈 것도 없이, 무려 천년에 가까운 세월 동안 쓰인 사슬 갑옷도 곡도로 관통하는 건 효율성이 떨어진다. 곧게 뻗은 검에 비해 한 점에 압력이 잘 모이지 않기 때문이다. 종합하면, 양날검이 갑옷으로 빈틈없이 중무장한 상대에게 적합한 스타일이라면, 일본도(를 포함한 외날도)는 경장갑 보병(혹은 빈틈이 있는 중장갑 보병)을 상대로 적합한 스타일. 때문에 양날도와 외날도의 실용성을 비교하는건 의미가 없다.
일본도는 얼른 보면 다 같아 보이지만 전술의 변화에 따라 디자인의 개선도 많이 있었다. 처음 등장한 시점에서의 타치는 순수한 마상용으로써 길고 많이 휜 칼날, 18~21cm 정도로 짧은 손잡이를 가져 한손 사용에 적합했다. 가마쿠라 시대에서는 손잡이가 24cm 정도로 길어져 양손 사용도 감안한 스타일이 되었다가 중갑옷이 유행한 남북조 시대에는 타격력을 중시하여 전체적으로 도검이 거대화되고 오오타치라는 장르까지 출현한다. 이후에는 다시 평범한 사이즈로 돌아간다. 카타나는 원래 무로마치 후기에 아시가루 보병집단들이 편하게 쓰기 위해 만든 것이었고 철저한 보조무기였으므로 2척(60.6cm) 정도의 짧은 칼날에 한 손으로 쓰는 손잡이를 가지고 있었다. 전국시대가 되면 보병 전술이 확립되어 점차 주력 도검이 되어 칼날과 자루가 길어지더니 기존의 주력 도검인 타치를 대체하게 된다.
다른 문화권의 도검들이 손잡이를 비롯한 부품까지 완전하게 조립된 것을 완전한 도검으로 보는 것과는 달리 일본도는 칼날만을 완전체로 보고 손잡이나 기타 부품, 즉 도장구(刀裝具)는 하나의 옷처럼 얼마든지 바꿀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문화권의 도검, 일본도의 영향을 받은 조선 후기 환도 조차 손잡이를 분리할 수 없도록 슴베를 길게 빼서 망치질을 하여 리벳처럼 뭉개고 자루 옆에도 금속 파이프(유소)를 끼워 튼튼하고 분리가 불가능하게 만드는 반면 일본도는 대나무 못(메쿠기)을 끼워 고정하기 때문에 필요시 쉽게 빼서 분리할 수 있게 만든다.
도장구를 옷 개념으로 보므로 칼 한 자루라도 여러 개의 도장구가 현존하는 경우도 있다. 또 약간의 가공만으로 자유롭게 도장구 부품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쯔바, 후치, 카시라, 츠카이토, 메누키 등의 다양한 부품을 각양각색으로 만들어 따로 판매하는 시장도 일본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활성화되어 있으며, 주인이 한 가지 칼로 다양한 스타일로 개조하여 즐기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칼날만이 아니라 도장구도 골동품으로써 많은 수가 보존되어 있으며 일본 내외에서도 활발하게 거래되고 있다. 일본도가 세계적으로 인기가 유지되는 데에는 이러한 자유로운 커스텀 문화가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보통 시대극에서 볼 수 있는 무사들이 일본도를 두 자루 차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는데 이것을 니혼자시(二本差し)라고 부른다. 보통 사용하는 일본도를 혼자시라고 부르고 보조용으로 사용하는 작은 일본도를 와키자시라고 부른다. 여기서 혼은 本을 뜻하고 와키는 옆구리이다. 즉 이름부터 보조적인 무장이라는 것을 명확하게 하고 있는 셈. 혹은 다이쇼(大小)라고도 칭했다.
에도 시대에 이르러서는 그런 것을 보다 공고히 하여서 무사는 두 자루의 일본도를 차는 것이 올바른 예법이라고 하였다. 한편으로 무사이면서도 실전에 나갈 염려가 없는 은거자나 관직이 없는 로닌 등은 한 자루만을 찼다. 이렇게 도검 패용이 문화로 완전히 자리잡은 까닭에 메이지 유신 이후 내려진 폐도령은 상당한 사회적인 충격을 불러일으켰다.
일반적으로 칼을 차는 것은 무사계급의 특권이나 무사계급이 아닌 경우에도 와키자시의 휴대는 허락되었기 때문에 호신이나 싸움을 목적으로 농민이나 박도 등이 와키자시를 휴대하였다가 무사계급과 싸움을 벌이는 경우도 있었다. 물론 그렇게 될 경우 일이 어떻게 되더라도 극형을 피할 수는 없었다.
후에는 아무래도 길이가 긴 칼이 싸움에 유리하다는 생각이 퍼져 길이가 와키자시로써 규정된 최대 길이인 2척에 육박하는 소위 오오와키자시라는 물건이 등장하였으며 불량배나 박도가 와키자시를 휴대하는 풍습은 후세까지 이어져서 야쿠자가 휴대하는 도스 등의 유래가 되기도 하였다.
10. 일본도의 종류
10.1. 형태 및 길이에 따른 구분
길이 긴 순서대로 나열하면
노다치(칼날 길이 90cm 이상(3척)급)
타치, 카타나(60cm(2척)~90cm급)[현대]
와키자시, 코다치(30cm(1척)~60cm급)
탄토(30cm 이하급)이 된다.
넓은 의미의 일본도는 다음을 포함한다.
10.2. 시대별 구분
- 고도(古刀): 헤이안 시대 중기 ~ 아즈치 모모야마 시대 말
- 신도(新刀): 케이쵸 원년(1596) ~ 안에이 말년(1781)
- 신신도(新々刀): 텐메이 원년(1782) 이후
- 막말도(幕末刀): 에도 막부 말기에 제작된 일본도
- 현대도(現代刀): 메이지 유신(1867) 이후
10.3. 작풍별 구분
일본도는 그 특징과 작풍에 따라 다음과 같이 크게 다섯가지 부류로 나눌 수 있는데 이를 고카덴(五箇伝)이라고 한다. 고카덴에 속하지 않는 독자적인 작풍은 와키모노(脇物)라고 부른다.10.4. 와자모노
날이 잘 드는 일본도를 와자모노(業物)라고 부른다. 1797년 출간된 야마다 아사에몬(山田浅右衛門)의 저서 〈회보검척〉(懐宝剣尺)은 228명의 도공들이 만든 검들을 평가하여 사이죠오오와자모노(最上大業物), 오오와자모노(大業物), 요키와자모노(良業物), 와자모노(業物), 오오와자모노·요키와자모노·와자모노 혼합의 다섯 종류로 단계를 나누었다. 이후 1830년 간행된 〈고금단야비고〉(古今鍛冶備考)에서 내용을 추가하여 도공 246명을 평가하였다.자세한 내용은 와자모노 참고.
11. 유명한 일본도
일본어 위키백과자세한 것은 일본도/목록 문서 참고.
- 무츠노카미 요시유키: 막부 말 지사인 사카모토 료마의 애검으로 유명하다.
- 천하오검: 정해질 당시의 기준이 꽤 오래전이라 신도(新刀)가 포함되지 않음.
- 나가소네 코테츠
- 마사무네
- 무라마사
- 키쿠이치몬지 노리무네
- 이즈미노카미 카네사다: 신센구미 부장 히지카타 토시조가 사용했던 것으로 유명하다.
12. 창작물에서
일단 '나라 이름+도(刀)'라는 쉬운 명칭이기 때문인지 국내에서도 양판소나 라이트노벨 등에서 현대인 천재론과 도검제일주의에 의거하여 이고깽 주인공들이 철과 망치 등 기본적인 대장 장비 가지고 뚝딱거리면 만들어지는 무기다.그런 주제에 사기템스러운 성능을 자랑하며, 주인공이 직접 안 만들고 드워프 같은 대장장이 종족들에게 의뢰하는 경우엔 "쇠를 접어서 두들기고 이러이러하면 만들어지는 거니까 만들어줘"라고 하면 드워프도 그걸 어떻게 이해한 건지 일본도를 만들어준다. 접쇠 가공 항목이나, 후술할 드리프터즈에도 나오지만 “이런 건 질 낮은 철로 어떻게든 무기를 만들어보겠다고 무식하게 두들겨댄 거지.”라고 경악하는 게 정상 반응이다.
그런 순도 낮은 철을 어떻게든 가공해서 제대로 된 무기를 만들어 내는 장인 정신'에 대해선 같은 대장장이로서 경의를 표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반응일 수 있지만, 흔히 창작물 전반에 깔린 '일본도야말로 최강의 무구'라는 환상과 달리 당시 일본의 지리적 상황에 있어 어쩔 수 없이 택해야만 했던 고육지책에 가깝다.
때문에 광산에서 고순도 철광석을 덩어리째 뽑아내고, 개체 하나하나가 현실 대장장이 명인과 맞먹는 드워프들이 일본도를 보거나, 제작과정을 듣고 "이게 그 일본도..."라며 감탄하거나 자극을 받아 똑같이 무식하게 애꿎은 철만 낭비한다면 그거야말로 한 편의 슬랩스틱 코미디.[77]
심지어는 주인공이 한국인인데도 멀쩡한 환도 내버려 두고 일본도를 들고 다니는 경우도 있다. 뭐, 한국인이라고 일본도 쓰면 안 된다는 법은 없지만 역시 어색하다. 일단 전반적으로 국내에서 일본도의 평판이 많이 깎이고 나서부턴 적어도 국내 작품에서의 등장은 적은 편이다.
일본 쪽에선 사용자인 사무라이 이상으로 거의 안 끼는 데가 없는 소재다. 총과 로봇을 무기로 쓰는 세계관, 서양 중세풍 판타지, 이세계물 등 장르를 불문하고 주인공이 일본인이면 어떻게든 나타난다. 특히 일본산 게임의 경우 최강 장비나 전설의 무기급으로 대우해 준다. 워낙 흔해빠진 클리셰다 보니 이젠 한국에선 일본도가 나왔다 하면 갓본도라고 풍자하곤 한다.
덕중의 덕은 양덕이라는 말답게 서양에서도 와패니즈든 단순한 팬덤이든 일본 팬덤이 많은 만큼 서양의 매체에서 일본 관련이 나오는 경우 야쿠자와 함께 그들의 단골 무기로 나오기도 한다. 다만 명백히 양손검이었던 일본도를 한손검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잦은 편이다.
와패니즈 성향이 강한 사이버펑크 장르에서는 분명히 총이 주력 무기임에도 불구하고 주인공이나 유력한 주변 인물의 무장 중 하나로 끊임없이 등장한다. 미래의 신소재로 다시 만들고 사용자는 근력 강화를 받는다는 설정이 붙어서 인간의 신체보다 튼튼한 개조된 의체도 썰어버리는 위력적인 무장으로 묘사된다.[79]
블리치의 사신들의 무기인 참백도는 각성하기 전의 일반적인 모습이다. 그러나 주연급 일본풍 캐릭터들의 참백도는 각성 시의 모습도 일본도에 가깝다.[80]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에서 주로 취급은 제각각이지만 일단은 강한 무기에 속한다. 일반적으로는 잡이나 캐릭터 중에 사무라이가 있을 경우 그 전용 무장이 되며 파이널 판타지 7의 최종 보스 세피로스의 주무기가 일본도 타입의 마사무네다. 대태도급으로 검신이 매우 긴 검이다.
데빌 메이 크라이 시리즈에서 버질이 염마도라는 카타나를 애용한다. 다만 길이는 대태도급이다.
중세풍이 강한 엘더스크롤 시리즈에서도 아카비르 지방의 대표적인 무기라 하며 역시 강력한 편에 속한다. 모로윈드까지는 탄토(단검), 카타나(한손검), 다이-카타나(양손검) 등 여러 종류가 나오고 철, 강철, 데이드릭 등 다양한 재질로 나온다. 다만 오블리비언에서는 블레이드의 대표 무장이라는 설정이 붙어서 흔히 볼 수 없고 카타나와 다이-카타나로만 나온다. 스카이림에서는 더욱 희귀해져서 에보니 블레이드만 다이-카타나로 나오고 나머지는 다 한 손 카타나로 나온다. 강력한 검 중에서 유독 카타나가 많은데, 대표적으로 골드 브란드와 에보니 블레이드가 있다. 이 둘은 데이드릭 아티팩트로 게임 상에서 준수한 성능을 자랑한다. 그 외에 하콘의 검이나 드래곤에게 추가 대미지를 주는 드래곤베인도 카타나다.
갑옷 및 무기 고증이 비교적 꽤 높은 편이며 중세 분위기를 상당히 잘 재현한 소울 시리즈에서도 매번 등장하며 주로 기량 특화 캐릭터들이 선호하는 무구 중 하나로 가끔 가다 보면 서양 중세풍 세계에 기사갑옷을 입고 무기는 얄팍한 카타나 하나 들고 거대한 괴수들을 상대하는 진풍경을 볼 수 있다. 그래도 제작사 측이 고증을 무시하는 쪽은 아니기 때문에 일본도 특유의 낮은 내구도와 갑옷 상대로 효과가 떨어지는 성능, 그리고 발도술도 구현해 놓았다.[81]
서양 판타지에서 일본도가 등장하는 게임의 원조는 위저드리가 가장 많이 꼽히며 위저드리의 영향으로 많은 서양 판타지를 배경으로 한 RPG게임은 물론이요 RPG 게임이 아니어도 작품이 판타지풍에서도 일본도가 많이 등장하게 된다. 원조 위저드리 시리즈 제작자 중 한 명인 앤드류 그린버그(Andrew C. Greenberg)에 의하면 원래 위저드리 시리즈에 왜색적인 요소를 넣을 계획은 거의 없다시피 했으나 또 다른 제작자인 로버트 우드헤드(Robert Woodhead)가 당시 워낙 사무라이, 닌자물에 열광하고 쟈포네스크 기질이 심한 편이어서 작중 사무라이, 닌자 클래스가 등장하게 되었고 이 두 직업이 상당히 강력하며 무라마사가 끝내주게 강한 아이템이 되었다는 비화가 있다.[82]
현대에 와선 특유의 간지와 일본 만화의 영향으로 동양 판타지의 마스코트 격이 되었으며 아예 일본도는 사무라이, 닌자물에서만 등장하는 무기가 아닌 서양 판타지의 무구에서 대표적인 존재가 되었다는 주장도 상당히 많은 편이다. 동양과는 단 1g의 연관성도 없는 현대 서양 뱀파이어들이 일본도를 제식무기처럼 쓰는 경우도 있으며 미국에서 만들어진 메리 수 테스트를 보면 캐릭터가 메리 수인가 아닌가를 평가하는 기준 중 "일본인이 아니면서 일본도를 사용하는지의 여부"가 있다. 여러모로 와패니즈의 득을 단단히 본 칼이다.
그런데 일본도때문에 닌자나 사무라이를 헷갈리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특유의 날렵한 형상이 일종의 상징이 되어버렸기 때문인지, 온갖 화려한 장식을 붙이기 좋아하는 창작물에서도 일본도 계열 무기는 다른 창작물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은 형상으로 그리는 경우가 많다. 장식이라고 해봐야 화려한 건 칼집이나 손잡이 끝의 술, 코등이의 모양 정도로나 붙고 칼날에는 거의 붙지 않는다.[83]
바스타드 소드와 비슷하게 기본적으로 양손으로 잡지만 한손으로도 쓸 수 있는 길이가 보편적이기 때문에 매체, 특히 게임의 경우 작품에 따라 양손 무기냐 한손 무기냐가 다르게 묘사된다. 대표적으로 리니지에서는 한손 무기로 나오지만 라그나로크 온라인에서는 양손 무기로 나온다.
2000년대 리니지(게임)에서 일본도는 국민 검으로 불렸다. 6검 4셋 중 6검을 맡았다.
엘리시움(영화)에서는 악당 크루거가 일본도를 사용한다.
좀비 아포칼립스에서는 의외로 훌륭한 냉병기로 취급받는 편이다. 좀비 아포칼립스물에서 이만큼 취급이 좋은 근접무기는 전기톱 정도뿐이다. 그도 그럴 법한 게 좀비는 방어구를 착용하는 일이 거의 없기 때문에 뼈와 살점만 잘 베어내면 그만이기 때문이다. 또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통방식으로 만드는 일본도는 일종의 예술품으로 취급받기 때문에 서양의 도검제한에 걸리지 않는다.[84] 그래서 해당 장르의 유명 창작물인 좀비 서바이벌 가이드에서는 적극적으로 상비 무기로 추천하고 있다. 월아산 항목에서 창의 안정성과 일본도의 살상력을 겸비(...)한다고 하며 간접적으로 일본도를 추켜세우거나, 좁은 공간에서 닌자의 검은 강도가 높기 때문에 훌륭한 무기라고 한다.
섀도우런은 칼을 쓴다는 캐릭터가 카타나 대신 서양검을 쓰면 오히러 별종 취급받는다.
가면라이더 제로원에서는 호로비가 일본도를 들고 다닌다.
오버워치에서는 겐지가 튕겨내기(E) 스킬을 사용할 때 일본도의 일종인 와키자시 하나로 온갖 총알과 투사체들을 튕겨낸다. 심지어는 음파나 불덩이, 에너지 구슬도 튕겨낸다. 궁극기 사용 시에는 개조형 카타나로 보이는 용검을 뽑아서 그걸로 막는다.[85]
바키 시리즈에서 최근 새로운 보스 역할로 활약 중인 무사시는 현대 기술로 만들어진 일본도들을 "단련이 덜 된 철로 만든 판떼기" 취급하고 휘두르는 것만으로 부숴버리더니 중국의 병장기들은 그 사용 용도를 자기 힘으로 부숴서 그 파편을 던져 공격한다는 둥 개드립을 늘어놓더니 자기 시대 때 만들어진 일본도 정도는 가져와야 휘두르는 힘을 견딘다고 나온다.
드리프터즈에선 주인공이 칼 수리를 드워프들에게 맡기자 드워프들이 부러진 단면을 들여다보면서 "철을 대체 몇 번 접어 만든 거냐? 이딴 건 변태들이나 만드는 거지."라면서 깠다. 전작인 헬싱에서도 주 무기가 비상식적으로 개조된 총이나 트럼프 카드나 기이하게 꺾인 단검 등 기괴한 병기들을 보면 작가가 여러모로 괴악하게 만들어진 병기에 로망이 있는 듯하다.
Block Strike에서 공격범위가 가장 넓은 근접무기이다.
BLOOD-C에서는 주인공 키사라기 사야는 고신토라는 이름의 일본도로 옛것들을 마구 썰어대며 공격한다.
슈퍼 단간론파 2와 뉴 단간론파 V3 -모두의 살인 신학기-에서는 학급재판 중 반론 쇼다운/반론 쇼다운 진타라는 이벤트가 등장하는데, 상대방의 발언을 반박하는 것을 칼로 상대방의 말을 썰어버리는 것으로 묘사했다.
카타나가타리에서는 시대적 배경이 1700년대이니만큼 카타나가 잔뜩 등장하는데 칼의 범주를 벗어난 카타나가 잔뜩 나온다. 게다가 '일본도=예리함'이라는 환상을 차용한 카타나, 일본도가 잘 부러진다는 사실에 착안해 아예 다수를 제작해 칼을 소모품 격으로 사용하는 카타나, 절대 부러지지 않는다는 카타나도 나온다.
데드풀이 쌍권총과 함께 즐겨 사용하는 무기가 일본도 이도류이다. 엑스맨 탄생: 울버린에서는 이도류로 날아오는 총알을 싹 다 베어버리거나 튕겨내는 신기에 가까운 묘기를 보여주기도 했다. 데드풀 2에서도 이 장면을 오마주한 장면이 나왔는데, 베기는 개뿔, 튕기지도 못하고 다 맞았다. 늙어서 힘들다는 드립은 덤.
마기아 레코드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외전에 등장하는 후미노 사유키의 취미가 바로 일본도 수집이다. 무기로 사용하는 마법소녀는 토키와 나나카, 미즈나 츠유가 있다.
마리킨 온라인 시리즈의 플레이어블 캐릭터,후사킨의 메인기어다.
일본에서 서비스하는 게임 중에는 일본도에 모에선을 맞힌 게임도 여럿 있다. 예를 들어정도.
해황기의 주인공, 판 감마 비젠의 주무기가 일본도이다. 설정상 일본도는 멸망한 문명의 무기이며, 등장하는 날붙이 무기 중에서는 최강이다. 작중 활약을 보면 실제 일본도라 보기는 무리가 있으며, 반쯤은 판타지 무기나 다름 없는 수준이다.
백련의 패왕과 성약의 발키리에서는 주인공이 대장장이 아들이고 약 고대 시대에 소환되어 대장간을 만들고 철을 생산하여 일본도를 제작, 일본도가 철을 베어버리는 묘사로 비판받았다.
던전앤파이터에서는 도가 과거엔 일본도의 형태로 무기로 나왔었다. 참고로 귀검사 전원과 나이트가 사용한다.
카타나 제로에서는 제로와 드래곤이 일본도를 사용한다.
WORLD OF HORROR에선 이계로 가는 이벤트에서만 획득할 수 있는 특수 무기로 등장한다. 데미지는 굉장히 치명적이나 민첩 속성의 무기인데도 공속이 매우 느려 민첩 스탯이 어지간히 높지 않은 이상 쓰기 어렵다. 그래도 좋은 무기인건 여전하다.
12.1. 가공의 일본도
가공의 도검 문서의 일본도 목록 문서 참고.13. 사건 사고
- 경기도 광주에서 70대 노년검객으로 알려진 심삼섭이 주차 문제로 다투던 중 일본도 진검을 휘둘러 이웃인 50대 B가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자세한 내용은 경기 광주시 일본도 살인 사건 참고. 기사
- 서울 은평구에서 30대 남성이 아무 이유없이 일본도를 휘둘러 이웃인 40대 남성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자세한 내용은 은평구 일본도 살인사건 참고.
14. 기타
15. 참고 자료/외부 링크
- 참고 서적
- The Craft of the Japanese Sword
- Japanese Sword polishing
[제원] 총길이(全長): 89.1cm, 손잡이길이(柄長): 16.2cm, 칼집길이(鞘長): 69.8cm, 도신의 날길이 (刃長): 65.6cm, 휨(反り): 0.1cm, 자루부분 날폭(元幅): 3.7cm, 도신의 자루길이(莖長): 14.5cm[2] 하지만 쇼토쿠 태자 자체의 그림을 보고 이것이 당시 타치라고 말하는 것은 틀렸다. 왜냐면 백제의 아좌태자가 그렸다는 전승이 있지만 실제론 1069년 하타노치테이가 秦致貞가 그린 것으로 보이는 쇼토쿠 태자의 그림에 쇼토쿠가 쓴 관이나 복장이 아스카 시대가 전혀 아니며 복장과 관이 적어도 8세기 이후의 나라시대(奈良時代)이기 때문에 쇼토쿠 태자의 그림은 헤이안시대 이후 또는 1069년에 그려진 것으로 보고 있다.[3] 단, 이것은 어디까지나 차고 다닐 수 있는 검의 크기에 대한 제한이였고, 공연용 소품이나 신사에 봉납되는 용도 등으로 이후로도 저 규정보다 큰 칼이 제작된 사례가 있다.[4] 월터 스토퍼 매킬헤니 대위, 타바스코 소스를 만든 메킬헤니가 사람으로 3대 사장이다.[5] 일본 고류 검술 3대 원류(나머지는 넨류, 신토류) 중 하나.[6] 모쿠로쿠(目錄). 면허개전자에게 내리는 기술의 비전을 설명한 두루마리. 다만 아주 상세하게 설명한 건 아니고 주로 검술을 끝까지 배운 사람이 까먹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술명과 간단한 묘사를 첨부한 것들이다. 이 시절 무술교육은 문외불출과 구전이 기본이었다.[7] 다만 신유도법이 정말로 카게류를 응용했다면 투로에 그 흔적이 남아 있어야 하는데 카게류의 후대 검술 카타와 비교 검증해본 결과 대부분의 투로가 기존의 명나라 무술 동작을 재정립한 것으로 보인다. 카게류가 신유도법에 끼친 영향은 기세를 몰아 돌격하는 것과 잔심으로 방심하지 않는 것, 노다치를 쓸 때 칼날에 천이나 새끼줄을 감고 쓰는 용법과 엔삐/엔카이 기법을 투로 내부에 반영한 것에 한정되는데 척계광이 입수했던 카게류 전서에서도 엔삐/엔카이 기법 말고는 실려있지 않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8] 중국어 발음은 wōdāo(워다오).[9] 중국어 발음은 shuāngshǒudài(솽서우다이).[10] 중국어 발음은 miáodāo(먀오다오).[11] 본격적으로 왜도라 부르는 것은 조선왕조 초중기 이후이며 초기의 실록 기사를 보면 일본에서 가져온 검 역시 환도(環刀)라고 부르는 내용이 곳곳에 있다.[12] 실제로 일본에서 역사상 가장 뛰어났다고 평가받는 검성 카미이즈미 노부츠나의 스승이자 카게류의 조상이라고 불리는 아이스 히사타다가 왜구로 활동했었으며 중국은 왜구를 통해서 기술 목록을 입수하기도 했다. 애초에 당대 왜구는 갑옷을 입고 군마를 타며 전장을 누비는 등 일반적인 해적 수준이 아니었다.[13] 실제로 세종실록에 일본에서 일본도 제작법을 배워 칼 한 자루를 만들어 진상한 사례가 있었는데, 진품과 다르지 않다며 포상을 내리긴 했지만 그 이상의 서술은 찾을 수 없다.[14] 당장 일본도의 특징으로 알려졌던 강한 철과 무른 철을 합치는 방식, 접쇠, 사철 제련, 부분 열처리 등은 중국, 한국은 물론 세계적으로 다 하는 것이었다. 이를 사용한다고 일본도가 우월한 것도, 역으로 열등한 것도 아니다. 게다가 에도 시대 이전까진 일본은 높은 철의 수요를 중국, 조선, 남만 등 외국에게서 수입, 밀무역, 왜구들의 약탈 같은 식으로 상당수 충당했던 만큼 더 의미가 없어진다.[15] 애초에 사무라이는 말을 탈 수 있는 "신분"을 의미하는 것이지 필요에 의해 징집된 하나의 "병과"는 아니었다. 따라서 역사 속 사무라이를 우리가 알고 있는 일반적인 기병으로 인식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또한 일본은 1862년 서양식 군사 제도가 도입 될 때까지 "기병 부대"란 개념 자체가 없었다.[16] 실제로 명나라에서 일본도의 영향을 받아 만든 검술인 신유도법은 이 오오타치를 사용하는 것에서 따온 검술이었다. 왜란 당시 류성룡 역시 일본군이 3척~4척의 칼을 휘둘러 말까지 함께 벤 것에 대해 적은 기록이 있다.[17] 심지어 그 궁병조차 제대로 활을 당길 줄 아는 자는 1/3밖에 되지 않았다.[18] 실제로는 민간에서 조선세법 같은 검법이 전해지고 있었지만 조정에서는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다.[19] 도검의 제작법 자체는 이전과 딱히 차이가 있진 않았겠지만, 일단 도검을 실전에 쓰는 상황 자체가 극히 드물었으며 군기시의 관리조차 엉망이었던 경우가 많았던 만큼 소위 가라를 치는 경우가 전부는 아니지만 꽤 있었을 거라고 생각해도 이상하진 않다. 게다가 군기시의 무기는 그렇게 대가가 크지 않은 관영수공업 생산이 상당수였기에 이런 면이 더 두드러졌을 여지가 있다.[20] 나루세 칸지의 저서에서 신도(新刀)가 고도(古刀)들보다 쉽게 부러지는 안 좋은 칼들이 확실히 더 많았다는 기록을 볼 수 있다. 흔히 일본도는 잘 부러진다는 편견을 만든 것은 이 에도 시대의 신도들이다. 물론 신도에도 좋은 칼이 있다는 말도 했듯이 모든 칼이 그런 것은 아니지만 말이다.[21] http://sillok.history.go.kr/id/kea_10102025_002[22] 세종 26년에 개정된 주척(20.795cm)을 기준으로 환산하게 되면 기병용 환도는 33cm, 보병용 환도는 36cm.[23] 흥미롭게도 칼을 잘 만드는 일본 장인에게 관직을 주고 그 도검 제작법을 전습하자는 의견과 우리나라에 있는 실력 있는 대장장이들로도 충분하니 그럴 필요는 없다는 의견이 부딪혔다. 이후 딱히 관직을 제수했다는 기록도 없고 해당 시대의 환도 유물도 초기 양식을 그대로 유지한 것으로 보아 두로가문의 도검 제작법을 굳이 전습할 필요는 없다는 방향으로 결론이 난 듯하다. 한편으로는 한명회 등이 조선 공인의 실력을 낮게 평가한 것은 문종 때 이징옥의 건의로 군용 환도의 길이가 와키자시 수준으로 짧아져서 긴 칼 만드는 노하우가 쇠퇴하고 있던 탓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어쨌든 이후 조선에서 일본도의 성능이 높이 평가되는 것의 시발점처럼 보이는 기록이다.[24] 칼이 날카롭다는 당연한 소리가 아니라, 무기가 정(精)하거나 예(銳)하다는 건 그냥 강하고 좋은 무기라는 뜻의 관용표현이다.[25] 아마 야나가와 카게노부인가 보다. 타이라는 우지다. 그러나 일본어판 위키백과에서는 그의 족보를 모른다고 썼으니 조선에서 무슨 근거로 그의 우지를 타이라라고 썼는지 모르겠다.[26] 오늘날 회칼에서 볼수있는 편날에 대해서 서술한듯하다. 조선 환도도 편날로 만들어진것이 많았다. 편날은 칼제작에 품을 상대적으로 적게 들이면서 날카로운 날을 만들기에는 편리하나 그로인해 얻어지는 날카로움이 절대적이진 않았고(일반적인 칼도 그만큼 예각으로 만들면 얼마든지 달성 가능), 그에 비해 내구성은 일반적인 칼날에 비해 떨어졌기 때문에 아이러니하게도 전투용 일본도에서는 일찌감치 사라지게 되었고 일본 식칼들에서나 그 형태가 유지되어 왔다.[27] [28] 대장기를 호위하는 친위부대, 또는 그 정도로 우수한 정예병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 표현[29] 왜검을 모방한 단도법[30] 칼끝이 서까래에 걸쳤기 때문[31] 근대 세이버 검술처럼 몸을 한쪽으로 튼 반신세와 직선적인 스텝 위주가 아닌, 상대적으로 스텐스 변경이 자유롭고 자연체에 가까운 움직임[32] 셜록 홈즈 소설에 홈즈가 주짓수(정확히는 바리츠)를 배웠다는 언급이 나오듯, 당시 영국에서 일본 유술은 호신술로 상당한 관심을 받았다.[33] 아버지가 25대, 아들이 26대이다. 일본의 전통 예술에서는 동일한 이름을 가문 대대로 물려 쓰는 경우가 흔하다. 그렇기 때문에 이름 앞에 몇 대째인지 숫자를 붙여 구분한다.[34] 일본어로 타마하가네, 즉 옥강(玉鋼). 일본의 전통 제철 방식인 타타라 제철법에서는 현재의 고로 제철방식과 달리 철광석을 완전히 녹일 만한 온도를 얻을 수 없기에 높은 온도로 가열된 광석 표면에서 연료로 넣은 숯에서 발생한 일산화탄소가 철의 산소를 떼어 환원시키는 방식의 제철 방식을 사용했으며, 이 방식의 특성상 티타늄, 규소산화물이나 바나듐과 같은 불순물이 제대로 제거되지 않은 채 환원된 철과 불순물이 덩어리져 섞인 철괴 상태의 결과물이 얻어졌다.때문에 이대로는 검을 그대로 만들 수 없었고 철의 탄소 농도를 어느 정도 골고루 맞추며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인 접쇠 가공이 발달하게 된다.[35] 앞서 언급한 것 처럼 환원된 철괴가 균일한 탄소함유량을 가지지 않았기에 조각을 낸 후 도공이 이를 분류하는 과정을 거친다[36] 이 과정에서 전문화된 기기가 없이 장인의 감에 의존해 철의 강도를 분류하는지라 완성된 개개의 도검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게 된다.[37] 여기서 명검과 그냥 잡검이 나뉜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뭐든 잘라내면서도 날이 상하지않는 명검은 숙련된 장인이 수많은 경험을 바탕으로 철을 비교적 정확히 분류할 수 있게되어서 가능한것이다. 한마디로 운과 실력이 결합되어 나온다는것.[38] 일본산 종이인 화지. 일본은 화(和)를 중시하는 문화이기 때문에 이 '화' 로 자신들을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일식이라는 표현도 일본에서는 화식이라 표현한다.[39] 직역하면 잿가루.[40] 종이로 감싼 뒤, 진흙물을 묻히는 이유는 가마에 들어가면 진흙물이 굳어 외부의 산소와 차단되어 내부가 밀폐되기 때문이다. 산소는 철을 산화시키는 것은 물론 포함된 탄소 역시 산화시키는 만큼 접쇠 과정 중 손실을 막기 위해 이러한 과정을 거친다. 또한 뿌린 지푸라기 조각들이 타면서 탄소를 금속에 보강해 주는 역할을 한다. 그렇기에 지푸라기나 잿가루를 많이 뿌리는게 아니라 적정량 뿌리는 편이다.[41] 접쇠. 영어로는 패턴-웰딩. 참조. 쇠를 두드리면 불순물이 빠져나온다. 다만 두드린다고 탄소량이 조절되는 것이 아님에 주의.[42] 이는 코부세(甲伏)라고 하여 강한 쇠와 연한 쇠를 조합시키는 방식이다. 강한 쇠와 연한 쇠를 조합시키는 방법은 맨 아래의 그림과 같이 다양하다.[43] 목탄을 섞은 흙이다.[44] 대개 가공자의 시그니처 하몬 문양으로 진흙을 바르곤 한다.[철과] 탄소(Fe-Fe3C)의 상태평형도를 보면 일반적인 철강의 탄소함유량인 0.3~2wt% 범위내에서 재료의 상이 모두 오스테나이트로 변태할 때의 온도는 최소 738 ℃이며 모든 범위내의 재료가 모두 변태되려면 최소 900℃ 이상의 온도가 필요하다[46] 칼날은 800 ℃, 측면은 750~760 ℃, 칼등은 720~700 ℃ 정도라고 한다.[47] 이 과정이 생략될 경우 지나치게 경도가 높아 칼이 쉽게 부러지게 된다[48] 후박나무(일본목련), (호노키)를 많이 사용한다.[49] 가오리 가죽이 대표적이다.[50] 면끈은 땀에 젖어서 미끄러질 위험이 있고, 가죽끈은 비싸다.[51] 동호인(銅護刃)이라고도 부르는 칼날 뿌리 부분의 황동제 부품. 칼집에 넣을 때 칼집 입구와 꽉 맞물려 칼이 안 빠지게 하며, 이때 칼날은 하바키 덕택에 칼집 중간에서 붕 뜨므로 칼집 어디와도 닿지 않는 최적의 수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52] 일본에서는 일본도를 전통문화유산으로 보며 무기 금지법에 의해 현대 강재를 이용한 생산은 용납하지 않는다. 미군정 GHQ는 전쟁 중 일본군에 학을 뗀 나머지 무도를 전면 금지하고 일본도를 모조리 압수하여 폐기 처분하려고 하였으나 일본 측이 일본도는 전통 예술품임을 강조하며 세세한 구분과 감상 포인트 등 예술품으로써의 특징을 보여주어 겨우 막아낼 수 있었다. 이때 이후로 일본도와 화승총, 창, 나기나타 등은 전통 예술품으로 분류되어 자유롭게 유통과 구입이 가능하지만 같은 도검이라도 현대 강재로 만들어진 총검이나 무라타도, 서양 도검 등은 무기로 분류되어 소지가 까다롭다.[53] 이 역시 원료의 문제가 아니라 타타라 제철 방식의 근본적인 한계이다. 용융을 통해 불순물을 슬래그 형태로 제거할 수 있는 고로 제철 방식에 비해 타타라와 같은 환원방식의 경우 고상의 불순물이 철과 섞여 있기 때문에 불순물 제거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54] 비숙련자가 하면 용접이 제대로 되지 않아 내부에 하기레라고 하는 공간이 생기며 이는 일본도에서는 하품 취급도 못 받게 되는 결함 요소이다. 당연히 내부에 공간이 있는 만큼 내구성도 나쁘다. 미리 만들어져나온 강재 블록이 아니라면 괜히 현대 대장간에서 강제로 꼬아서라도 패턴웰디드 방식으로 칼을 만드는게 아니다.[55] 덧붙여 이 '신가네'라는 말은 연철 소재의 심을 뜻하기도 하고, 그 구성 소재를 뜻하기도 한다.[56] 덧붙여 이 '하가네'라는 말은 고탄소강 소재의 피철(皮鉄, 皮鐵)을 뜻하기도 하고, 그 구성 소재를 뜻하기도 한다. 또한 이 말은 일본어로 강철을 의미하는 단어들 중 하나인 '하가네(鋼)'와는 동음이의어이다.[57] 실제로 일본군도 중 철공소에서 이런 방식으로 만든 만철도는 뛰어난 성능으로 일본 육군 내에서 큰 호평을 받았다.[58] 일본뿐만이 아닌 아시아 대부분이 개화기 전까지 유럽의 스프링강 수준의 철기를 따라 하지 못했다.[59] 종류에 따라서는 천 갑옷이 가죽 갑옷 보다도 방어력이 강했다.[60] 대나무중에 특히 단단한 부위를 베려 했다든가 내려치는 각도가 잘못되었다든가 등등[61] 로크웰 경도. 0.5% 탄소강은 HRc 45 정도, 0.7% 탄소강은 HRc 55 정도 된다.[62] 당연하지만 부러지는 걸 말하는 게 아니다. 이가 나가거나 날이 조금 휘는 정도.[63] 임진왜란 당시 조선에 들어온 일본군들은 전국시대의 내전을 견뎌낸 군대들이다. 장수들부터 말단 병졸들까지 실전을 충분히 쌓은 정예들이었다. 반면 조선은 중앙집권이 성공한 고려시대 이후 내전이란 게 존재하질 않았고, 기껏해야 민란 수준이거나 가끔 들어오는 왜구나 여진족 때문에 골치 아픈 정도였다. 거기다 병사들도 평시에 훈련받던 군인들이라기보단 때에 따라 징집하는 상황이었고, 애당초 국가 전략 자체가 한 곳이 공격받으면 다른 곳에서 병력을 조금씩 모아서 군세를 형성한 다음 방어하러 가는 식이었다. 따라서 초장에 이 병력들이 무력화되자 방어 병력이 사라져 버린 것이다.[64] 현대 일본에서 만드는 식칼에도 단층강과 삼층강 칼이 모두 팔린다.[65] 그렇다고 하프 소딩이 갑주를 상대할 때만 쓰던 기술은 아니었다.[66] 이 때문에 극단적으로 찌르기 성능만을 추구해서 날을 아예 세우지 않은 에스터크라는 검도 있다.[67] 3kg이 넘어가는 검은 빠르게 휘두르기 힘들어 무기로서의 운용성이 크게 떨어진다.[68] 전통 일본도는 마감의 한계가 있어 시참을 하면 할수록 빛이 바래지고 녹까지 쓴다. 칼날에 이라도 빠지면 수리하기가 난감하다.[69] 전통방식으로 제조된 일본도는 도신에 이름을 새기지 않은 무메이(무명)가 기본이 2~300만 원 정도이며 전통 있는 유명 유파의 계승자가 직제조한 제품은 검 하나에 수천만 원 대에 육박한다.[70] MagnaCut은 HRC를 거의 70 가까이까지도 올릴 수 있지만 그러면 인성이 너무 낮아진다. 어차피 MagnaCut 같은 고합금 분말강들은 HRC 60 정도만 돼도 웬만한 탄소강은 범접할 수 없을 정도로 칼날 유지력이 좋기 때문에 별 상관없다.[71] 위 링크의 오다 노부나가의 경우 화승총 특유의 낮은 연사력을 보완하고 화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연구를 많이 한 사람이다.[72] 인식 변화의 시작은 특정 블로거가 센고쿠를 인용한 것이 시초에 가깝다. 이게 다시 출처 불분명한 지식으로 인터넷에 퍼져나가기 시작.[73] 이런 일이 당연하다면 당연한 것이, 상기한 바와 같이 사철을 사용하여 제련하면 칼 한 자루 만드는 데에도 결과물의 10배 이상의 사철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만큼의 숯도 필요해서 일본의 옛 묘사를 보면 창칼을 만드느라 숲이 사라진다고 할 정도. 이런 상황에서 갑주까지 쇠로 만든다는 것은 경제적, 환경적으로 엄청난 부담일 수밖에 없다. 게다가 아시가루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부대의 편제 장비 등을 사무라이의 녹봉에서 구입하였으므로 개인이 남겨먹기 위해서 아시가루들의 무장이 빈약할 여지까지 있다.[74] 카타나보다는 길지만, 오오타치보다는 짧은 길이의 카타나를 칭한다. 현대 검도의 죽도처럼 120cm 내외 길이가 특징이다.[75] 우치카타나와 타치가 합쳐진 모양의 일본도를 의미한다. 사진[현대] 우치카타나는 제일 긴 일본도를 '초장도'라 하며 최대 칼날 길이가 76cm이다.[77] 일본도의 현실적인 부분을 제대로 반영해서 묘사한다면, 일단 제련 과정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저질 철로 어떻게든 무기를 만들어 보겠다고 발악한 것이라는 의견을 내는 것이 맞으며, 이를 듣고 무슨 전설의 칼을 만드는 제조법이라도 알아낸 양 경악과 감탄을 내뱉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다.[78] 다 섞어서 만들거나 엄청나게 압축시켜 만들거나 용린분이라던가 하는 다른 사기템을 넣기도 한다.[79] 사이버펑크 2077에서는 다수의 고성능 유니크 일본도가 등장하고, 섀도우런에서는 오오타치 같은 규격 외의 칼을 제외하면 검 중에서 가장 성능이 좋다. 고스트러너도 주인공이 사이보그 닌자이고 주 무기인 카타나의 종류도 다양하다.[80] 쿠치키 뱌쿠야, 쿠치키 루키아, 쿠로사키 이치고 등. 이치고의 시해는 일본도라기보다는 그냥 전반적으로 확대된 식칼 모양이다.[81] 한편 같은 개발사가 제작한 게임인 블러드본에도 등장하며 이후 출시한 세키로에서는 주인공의 주무장으로 나온다. 갑옷 입은 적은 물론이고 나무 재질의 방패도 제대로 베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물론 경갑이나 천옷, 맨살은 잘만 벤다. 최신작 엘든 링에서는 갑옷과 광석 몬스터 상대로 불리한 점은 유지되었지만 게임 전체적으로 내구도 시스템이 삭제되고 적 방어구의 영향을 적게 받는 전투기술이 대폭 강화되면서 모든 단점이 보완된 우수한 무기군이 되었다.[82] 다만 당시 무라마사 무라사마라고 표기한 오류가 있었다. 이를 패러디한 것이 메탈기어 라이징 리벤전스의 등장인물 사무엘 호드리게스의 무기 무라사마 블레이드.[83] 바람의 검심으로 유명한 와츠키 노부히로는 무장연금에서 일본도 형상의 무장을 구상할 때 장식을 달려고 했으나 주변의 반대로 결국엔 손잡이 끝에 술을 붙이는 것으로 간략화시켰다고 한다.[84] 물론 고증에 맞추려면 그만큼 내구도도 떨어지기 때문에 나중 가면 칼날을 새 걸로 갈거나 처음부터 비슷한 모양의 가검이라는 설정을 넣기도 한다.[85] 한조의 언급이나 시마다 일족의 용의 힘을 보면 어디까지나 검은 매개체일 뿐 진짜 힘은 녹색의 용쪽에 가깝다. 비유하자면 평범한 라이터에 특수한 힘을 주입해서 화염방사기급 화력을 가지게 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