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2 01:29:45

Capcom Pro Tour

캡콤컵에서 넘어옴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파일:스트리트 파이터 로고 블랙.png파일:스트리트 파이터 로고 화이트.png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본편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colbgcolor=#eee,#000>
파일:sf1 아이콘.svg파일:sf1 아이콘 블랙.png
파일:sf2 아이콘.svg파일:sf2 아이콘 블랙.png
파일:sf0 아이콘.svg파일:sf0 아이콘 블랙.png
파일:sf4 아이콘.svg파일:sf4 아이콘 블랙.png
파일:sf6 아이콘.png파일:sf6 아이콘 블랙.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기타 작품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min-width: 70px"
<colbgcolor=#eee,#000><colcolor=#000,#fff>합본II 터보 · II 대쉬 플러스 · SFC1 · SFC2 · III 더블 임팩트 · 애니버서리 · ZeroFG · 25th · 30th · CFC1 · CFC2
외전작
파일:sfex 아이콘.svg파일:sfex 아이콘 블랙.png 시리즈:
스트리트 파이터 EX · EX2 · EX3
더 무비 · 리얼 배틀 온 필름
모바일:
SF4 아레나
기타
게임
관련 시리즈 : 파이널 파이트 · 사립 저스티스 학원
자사 크로스오버 : VS. 시리즈(XvSF · MvSF · MvC1 · MvC2 · MvC3 · MvCI · CvS1 · CvS2 · TvsC · SFxTK) · PF · CFG · SFxMM
타사 크로스오버 : SvC MotM · SvC Chaos · SSB4 · SSBU
미디어
믹스
영상물:
실사 · 춘리의 전설 · 전설의 귀환 · 2 극장판 · TV판 · 가두쟁패전 · 거리의 무법자 · 초급학교패왕
만화:
힘내라 사쿠라 · 류 파이널 · 스트리트 화이터 III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등장인물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colbgcolor=#eee,#000>플레이어블 캐릭터만 처음 등장한 시리즈 부분에 나열됨 · 그 외는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등장인물 문서 참조
파일:sf1 아이콘.svg파일:sf1 아이콘 블랙.png
·
파일:sf2 아이콘.svg파일:sf2 아이콘 블랙.png
가일 · 달심 · 블랑카 · E.혼다 · 장기에프 · 춘리 / M.바이슨 · 발로그 · 사가트 · 베가 / 디제이 · 캐미 · 페이롱 · T.호크 / 고우키 · 진 고우키 / 세뇌당한 켄
파일:sf0 아이콘.svg파일:sf0 아이콘 블랙.png
아돈 · 버디 · 가이 · 소돔 · 찰리 내쉬 · 로즈 · / · 롤렌토 · 사쿠라 / 코디 · R.미카 · 카린 · 율리 · 유니 / 살의의 파동에 눈뜬 류 / 이글 · 마키 / 잉그리드
파일:sfex 아이콘.svg파일:sfex 아이콘 블랙.png
독트린 다크 · 스컬로 매니아 · 크래커 잭 · 풀룸 플루나 · 호쿠토 · 다란 마이스터 · 블레어 데임 · 앨런 스나이더 · 카이리 / 가루다 · 사이클로이드 베타/감마 · 피의 봉인을 푼 호쿠토 / 샤론 · 하야테 · 나나세 · 섀도우 가이스트 / 볼케이노 롯소 · 에어리어 · 베가 2 / 에이스
알렉스 · · · · 이부키 · 엘레나 · 더들리 · 오로 · 네크로 · / 휴고 · 유리안 / 마코토 · Q · 트웰브 · 레미
파일:sf4 아이콘.svg파일:sf4 아이콘 블랙.png
크림슨 바이퍼 · 루퍼스 · 엘 포르테 · 아벨 · 세스 · 고우켄 / 하칸 · 한주리 / 광기의 오니 / 포이즌 · 디카프리
네칼리 · 라시드 · 라라 · F.A.N.G / 콜린 · 에드 · 아비게일 · 메나트 · 제쿠 / 팔케 · G / 카게나루모노 · 루시아 / 아키라 · 루크 · 일레븐
파일:sf6 아이콘.png파일:sf6 아이콘 블랙.png
제이미 · 마농 · 킴벌리 · 마리사 · 릴리 · JP / A.K.I. / 테리 (콜라보) · 마이 (콜라보)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min-width: 70px"
<colbgcolor=#eee,#000><colcolor=#000,#fff>관련 문서기술 · 성우 · 월드 투어 · 풍림화산류 (고우테츠 · 살의의 파동) · 사이코 파워 · 무신류 · 샤돌루 · 매드 기어 · 딤프스 · 아리카 · e스포츠(CPT · SFL)
고유 시스템슈퍼콤보 2~ · 오리지널 콤보 · 세이빙 어택 4 · 울트라콤보 4 · V 시스템 5 · 드라이브 시스템 6 · 모던 컨트롤 6
기술표2 시리즈 · 제로 (제로 2 · 제로 3) · 3 시리즈 · 4 시리즈 · 5 시리즈 · 6 시리즈 }}}}}}}}}

파일:capcomprotour.jpg
1. 개요2. 상세3. 대회 방식
3.1. CPT 20163.2. CPT 20173.3. CPT 20183.4. CPT 20193.5. CPT 20203.6. CPT 20213.7. CPT 20223.8. CPT 20233.9. CPT 2024
4. 토너먼트 룰5. 역대 캡콤컵 우승자

1. 개요

공식 링크: 웹사이트, 트위치-영문, 트위치-일본어, 유튜브-영문, 유튜브-일본어, 트위치-국내 중계[1]

캡콤대전 격투 게임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의 전세계적인 규모의 격투 게임 대회.

2. 상세

Capcom Pro Tour(이하 CPT)는 2013년에 열린 캡콤컵을 시작으로 2014년부터 본격적으로 도입되었으며, 스트리트 파이터 4 발매 후부터 꾸준히 발전해온 서양권 FGC의 꾸준한 호응으로 캡콤에서 2023기준 총 200만달러 상당의 상금과 보너스팟을 지원하며 지금의 규모에 이르렀다.

CPT은 현재 매년 6월에 시즌이 시작하며 여기에 등록된 대회에서 우승을 하면 캡콤컵 진출자격을 획득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캡콤의 이름이 들어간 대규모 대회이긴 하지만, 캡콤이 직접 주최하는 대회는 캡콤 주관의 지역별 온라인 랭킹 토너먼트와 일본대회[2] 그리고 캡콤컵 뿐이고, 그 외의 대회는 전세계 각지에서 국지적으로 열리는 로컬 대회들을 CPT에 등록하는 방식이다. 예외로 2016년 아시아 지역 파이널은 G-STAR 2016 행사 기간에 맞춰 캡콤 주최로 부산 BEXCO에서 개최했다.

꾸준하면서도 많은 호응을 받아와 모든 대회의 메인을 주도해온 게임[3]인데다 룰을 확립한 뒤로 대전 격투 게임계의 대회에 모범이 되고 있으며,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의 프로씬은 수많은 게임에서 넘어온 고수들이 언제 떨어져도 이상하지 않을 만큼의 혈전을 벌이는 전쟁터고 대회도 쉴새없이 벌어지기 때문에 격투 게임 대회에서 가장 선구자이고 인기가 많은 대회로 손꼽힌다. 이 캡콤 프로투어의 성공에 힘입어 격투게임 회사들도 대회를 만들어, 반다이 남코에선 자사의 대표 격투 게임인 철권 시리즈를 기반으로 한 철권 월드 투어, 아크 시스템 웍스는 자사 게임들을 통틀어서 아크 월드 투어를 개최하게 됐다.

3. 대회 방식

기본적으로 아시아, 북아메리카, EMEA], 라틴아메리카의 4대륙으로 나뉜다. 단 아시아 지역 중 서아시아 지역은 지리상 유럽에 더 가깝기 때문에 유럽으로 분류되며, 오세아니아 지역은 아시아 쪽으로, 아프리카 지역은 유럽 쪽으로 편입/분류된다.

모든 대회에는 CPT 글로벌 포인트를, 랭킹 대회에는 그 대륙에 해당하는 지역 포인트가 할당된다. 대회의 종류는 크게 슈퍼 프리미어[4], 프리미어, 랭킹 이벤트, 지역 파이널로 나뉘며 각각의 대회들은 매년 CPT가 시작할때 어떤 규모로 열리는지 발표한다. 한 해 동안 진행되는 CPT 대회 일정은 CPT 사이트의 스케쥴 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며, 프리미어급 이상의 대회에서 상위 성적을 거둘 경우 대회 상금 외에도 캡콤측으로부터 별도의 상금이 추가 지급된다.

각각의 대회 등에서 시드를 받거나 포인트를 얻어 캡콤컵 출전권을 얻게된 선수들은 연말에 열리는 캡콤컵 본선에 참가할 자격을 얻게 된다. 캡콤컵 본선은 총 32명을 뽑으며 뽑는 방식은 매년 조금씩 달라진다.

3.1. CPT 2016

CPT 2016에서는 EVO 2016 우승자는 Capcom Cup 2016 진출권을 얻으며, 프리미어/지역 파이널 등을 통해 직행 시드가 배정되고, 프로투어 일정이 끝난 후 각 지역 및 글로벌 포인트 상위권 선수들에게 진출권을 부여한다.

3.2. CPT 2017

CPT 2017에서는 캡콤컵 2016의 우승자인 너클두, 지역 파이널 우승자 4인, 그리고 본선 전날에 열리는 당일 예선인 캡콤컵 라스트 찬스 퀄리파이어의 우승자 1인, 총 6인에게만 직행 시드가 주어진다. 그 외의 출전 자격은 시드를 받지 않은 선수들 중 글로벌 포인트를 높게 쌓은 26인에게 돌아간다. 전년도에 시드권을 부여했던 EVO는 이번 투어부터 프리미어 대회보다 더 높은 글로벌 포인트를 지급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그러나 작년 캡콤컵 우승으로 시드를 받은 너클두가 2017년 11월 27일 본인 트위터를 통해 개인적인 사정으로 불참을 선언했고, 이에 캡콤 측에서는 CPT 규정에 따라 작년 캡콤컵 2016의 준우승자인 리키 오티즈가 대신 참가하게 되었다.

3.3. CPT 2018

CPT 2018에서는 CPT 2017와 같은 방식으로 진행된다. 즉 캡콤컵 2017의 우승자인 메나 RD, 지역 파이널 우승 4인, 그리고 본선 전날에 열리는 당일 예선인 캡콤컵 라스트 찬스 퀄리파이어의 우승자 1인, 총 6인에게만 직행 시드가 주어지고, 그 외의 출전 자격은 시드를 받지 않은 선수들 중 글로벌 포인트를 높게 쌓은 26인에게 돌아간다. 다만 2017년도에 비해 포인트 배정이 달라졌는데, 포인트 지급 대상이 랭킹 대회는 16명에서 8명으로, 프리미어 대회는 64명에서 48명으로, EVO는 256명에서 192명으로 줄어들었다. 우승자가 얻게 되는 점수의 경우 랭킹 대회는 150점인 반면, 프리미어 대회는 700점, EVO는 1750점으로 대폭 상승했다. 이로 인해 프리미어 대회와 EVO의 비중이 매우 높아졌으며 대회 우승의 중요성 또한 더 커졌다. 지역 파이널의 포인트 배정 방식도 변경되어 시드를 받은 우승자에게 글로벌 포인트가 지급됐던 전년도와는 달리 2018년 지역 파이널 우승자는 시드만 받으며 글로벌 포인트는 지급되지 않는다. 2018년 지역 파이널 대회는 지역 파이널 토너먼트 이전에 오픈 토너먼트를 통해 프리미어급 글로벌 포인트 외에 상위 8명에게 랭킹 대회급 지역 포인트를 부여하고(단, 지역 외 선수가 TOP 8에 들 경우 해당 선수에게는 글로벌 포인트만 부여), 오픈 토너먼트가 마무리된 시점의 지역 포인트를 정산하여 최종 지역 포인트 상위 8명을 선발하여 최종 지역 파이널 토너먼트가 진행된다.

3.4. CPT 2019

CPT 2019에서는 캡콤컵 2018 우승자인 가치쿤이 챔피언 자격으로 시드를 부여받는다. 각 지역 파이널의 우승자 4인은 시드를 받아 참가하며, 주요 일정이 마무리되는 2019년 11월 중순 시점에서 글로벌 포인트 상위 26인에게 캡콤컵 진출 자격이 주어진다. 마지막 1명은 캡콤컵 본선 전날에 열리는 라스트 찬스 퀄리파이어의 우승자 1명에게 시드가 주어진다.

올해에도 포인트 비중이 변경되었는데, 랭킹 대회는 전년도와 마찬가지로 상위 8명에게만 지급되는 대신 우승자에게 지급되는 포인트가 200점으로 늘어났다. 반면 프리미어 대회는 우승자에게는 전년도와 동일한 700점을 부여하고 일부 순위권에만 포인트 비중이 변경됐다. 그리고 이번 CPT에서 가장 중요한 변경점으로 EVO가 포함된 최상위 규모의 CPT 대회 슈퍼 프리미어가 추가됐다. 슈퍼 프리미어는 기존 프리미어 대회에 비해 더 높은 점수를 지급하는 대회로 EVO 2019(8월 2~4일), 도쿄 게임쇼 2019 중에 열리는 프리미어 대회[5](9월 14~15일), 북미 지역 파이널의 오픈 토너먼트[6](11월 중순) 총 3개의 대회가 슈퍼 프리미어 대회로 지정됐다. 포인트 비중은 전년도의 EVO에 비해 크게 줄어들어 우승자에게는 1000점을 부여하며 이후 순위권 입상 선수에게 순위에 따른 글로벌 포인트를 차등 지급한다.

지역 파이널은 전년도와 마찬가지로 글로벌 포인트를 지급하는 오픈 토너먼트가 먼저 개최되는데, 올해에는 랭킹 포인트를 지급하지 않도록 변경되어 지역 파이널의 오픈 토너먼트 결과가 지역 포인트 랭킹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되었다. 따라서 올해 지역 파이널은 해당 지역 파이널 개최 직전의 지역 포인트 랭킹 상위 8명으로 고정된다.

3.5. CPT 2020

CPT 2020에서는 규정이 새로 개정됐다. 우선 캡콤컵 2020에 진출 가능한 참가자의 수가 32명에서 40명으로 늘어났다. 캡콤컵 2019 우승자인 iDom은 챔피언 자격으로 시드를 부여받으며, 라스트 찬스 퀄리파이어 우승자 1명에게 주는 시드는 전년도와 동일, 다만 글로벌 포인트를 통해 진출 가능한 참가자의 수가 26명에서 16명으로 줄어들었다. 나머지 22명은 새로 신설된 월드 워리어를 통해 선발된다. 월드 워리어는 2020년 8월부터 국가/지역별로 개최되며 각 대회에서 우승한 우승자들 22명에게 캡콤컵 2020 참가 자격이 부여된다.

CPT 포인트를 지급하는 프리미어 대회와 랭킹 대회는 분기별로 나뉘게 됐다. 각 분기별로 프리미어 대회 7회, 랭킹 대회 9회 개최되는데, 2020년 7월중 개최 예정인 Game Over 2020을 끝으로 전반기 일정이 마무리되고 후반기로 넘어가며 획득한 포인트가 리셋된다. 또한 전반기/후반기로 나뉨에 따라 진출 자격에도 변화가 있는데, 전반기와 후반기 각각 포인트 상위 8명씩, 총 16명이 캡콤컵 진출 자격을 얻게 된다. 마지막으로 캡콤컵 2019까지 적용됐던 캡콤컵 우승자에게 특전이 다음년도 캡콤컵 진출 시드가 폐지되어 캡콤컵 2020에서 우승한 선수는 캡콤컵 2021 진출 시드권이 부여되지 않는다.

CPT 시스템에 대격변이 일어났고 스트리트 파이터 5 챔피언 에디션 패치로 밸런스적으로도 상당히 호평을 받으면서 기대를 모았던 시즌이었으나 전세계가 코로나 19 사태로 신음하는 가운데 CPT 2020 또한 상반기 대회가 모두 취소 또는 연기되면서 CPT 일정이 완전히 꼬이게 되었다. 결국 현 시국을 타파할 방법을 찾지 못하면서 하반기 오프라인 대회도 모두 취소되고 온라인 대회들을 통해 캡콤컵에 진출할 선수들을 선정하기로 발표됐고 캡콤컵 2020 일정도 2021년 2월 19일 ~ 2월 21일으로 연기되었으며 결승전 장소도 프랑스 파리에서 도미니카 공화국으로 변경되었다.# 하지만 코로나 19 사태가 상당히 심각해진 가운데 결국 캡콤컵 2020 개최가 무산되고 말았다. 대신 2021년 2월 21일 ~ 2월 22일 캡콤 프로 투어 2020 온라인 대회 시즌 파이널을 진행했다.#

3.6. CPT 2021

CPT 2021 역시 코로나 19 때문에 작년 처럼 권역별 토너먼트로 온라인으로 치러진다. 그 대신 참가자가 32명으로 늘어났고, 그 만큼 권역 역시 세분화가 되었다.[7] 각 권역별 우승자가 캡콤컵에 출전한다. 그리고 캡콤컵이 2022년 3월로 예정 되어 있는 만큼 명칭이 연도제에서 넘버링으로 변경되어 캡콤컵 VIII가 되었다. 2022년 2월 2일 캡콤 프로 투어 공식 홈페이지 등을 통해 계속되는 코로나 19의 여파로 작년과 마찬가지로 CPT 2021 온라인 대회의 시즌 파이널이 진행된다고 발표했고 2022년 2월 18일 ~ 2월 21일까지 개최했다.#, #
CPT 2021 일본 1차 16강(일본어 실황)
CPT 2021 동아시아 1차 그랜드 파이널 정질 VS 잠입

3.7. CPT 2022

CPT 2022에서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대회 지역에서 제외된 러시아벨라루스를 제외한 19개 지역에서 온라인으로 치러지는 권역별 토너먼트와 기존의 FGC 메이저 대회에서 열리는 오프라인 대회로 치러진다. 또한 2019년 12월에 발표되었으나 코로나 19로 인해 연기된 새로운 지역 대회인 월드 워리어를 통해 캡콤컵 IX 진출 자격을 얻게 된다.# 그 대신 캡콤컵 IX에 진출 가능한 참가자의 수가 32명에서 48명으로 늘어났다. 캡콤컵 IX은 현지 시각으로 2023년 2월 14일 ~ 2월 19일까지 오프라인으로 진행되었고 2월 14~16일엔 그룹 스테이지 엘리미네이션, 2월 17~18일엔 일본, 북미, 유럽 지역에서 개최되는 팀리그 대회인 스트리트 파이터 리그의 각 지역 우승팀이 격돌하는 SFL 월드 챔피언십 2022, 2월 19일엔 캡콤컵 IX TOP 16-그랜드 파이널을 진행했다.#, #

캡콤컵 IX[8]에 참가한 선수들은 다음과도 같다.

북미 : Punk[9], iDom[10], Samurai[11], ChrisCCH[12], Joe Umerogan[13], JustaKid[14], Mortsy[15], Magnegro
한국 : NL[16], M. Lizard[17][18]
일본 : Kawano[19], Momochi[20], Pugera
중국 : DCQ[21], VXBao[22], Zhen
오세아니아 : Travis Styles[23], ROF[24]
중남미 : Mena RD[25], Mono[26], Uriel Velorio[27], DoomSnake507[28], RonaldinhoBR, SolVNG, Younghou, Frozen, JUNINHO-RAS, WFalcon
유럽 : Geeck-O[29]. Mister Crimson[30], Kalmal09[31], The4philzz[32], EndingWalker[33][34], Takamura, Veggey, Phenom, Valmaster, VegaPatch, Myrken, Jimmy
중동 : Big Bird[35], AngryBird[36]
아프리카 : Ren[37], JabhiM[38]
동남아시아 : Bravery[39], Brandon
대만 : Oil King

여담으로 스트리트 파이터 5 시리즈 시점부터는 캡콤컵 준우승자들은 이듬해 캡콤컵 진출이 좌절되는 징크스가 있는데 2018년 캡콤컵의 토키도를 제외하면 준우승자들 모두 다음해의 캡콤컵에 진출하지 못하였다. 리키 오티즈 같은 경우는 너클두가 불참하여 준우승자 자격으로 캡콤컵에 진출할수 있었지만 자력으로는 불가능한 상황이었고 2018년 캡콤컵 준우승자인 이타바시 장기에프와 2019년 캡콤컵 준우승자인 펑크는 모두 이듬해 캡콤컵 진출이 좌절되었다. 다만 펑크같은 경우에는 2020-21년 캡콤컵이 코로나 19로 인하여 대회 자체가 무산되고 지역 파이널 대회로 개최돼서 불행 중 다행이었다.

3.8. CPT 2023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Capcom Cup X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스트리트 파이터 6로 진행되는 첫 캡콤 프로 투어이자, 이전 대회에서 줄어들었던 대회 상금이 100만 달러로 크게 오른 첫 대회이다.

3.9. CPT 2024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Capcom Pro Tour 2024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캡콤컵11 일본 개최.jpg
대규모 밸런스 패치가 진행된 후 2024년 6월부터 진행될 예정이며, 우승자 상금 또한 CPT 2023과 동일하게 유지된다. 또한 캡콤컵11 본선은 30년 전 스트리트 파이터 2 - 하이퍼 파이팅 챔피언십이 열렸던 일본 도쿄의 료고쿠 국기관에서 열리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진출권 획득 경로가 8개의 오프라인 토너먼트와 24개의 지역별 월드 워리어, 단 2종류로 단순화 되었고, 대신 각각 2개의 슈퍼 토너먼트, 14개의 월드 워리어 슈퍼 리전에서는 2명의 진출자가 결정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전반적으로 온라인 대회가 단순화되고 오프라인 대회의 비중이 늘었으며, 동시에 참가자가 많은 지역과 적은 지역 모두 월드 워리어에 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여담으로 한국은 직전 캡콤컵 대회에서 4,5등을 나란히 배출했음에도 낮은 국내 인기로 인해 슈퍼 리전 배정을 받지 못했다.

4. 토너먼트 룰

5. 역대 캡콤컵 우승자

캡콤컵 역대 우승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6px"
<rowcolor=#ffcb08> 시즌 게임 이름 캐릭터
2013 Sako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살의의 파동에 눈뜬 류|
파일:sf4_evil_ryu.jpg
]]
NYChrisG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모리건 앤슬랜드#s-4.4.3|
파일:mvc3_morrigan(c).png
]][[닥터 둠#s-6.4.1.3|
파일:mvc3_doctor_doom(c).png
]][[버질(데빌 메이 크라이)#s-8|
파일:마대캡3_버질.png
]]
Infiltration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카자마 진#s-7.8|
파일:스대철_진.png
]][[알리사 보스코노비치#s-4.3|
파일:스대철_알리사.png
]]
2014 Momochi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켄 마스터즈|
파일:sf4_ken.jpg
]]
2015 Kazunoko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윤(캡콤)|
파일:sf4_yun.jpg
]]
2016 NuckleDu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가일|
파일:sf5_gul.png
]][[레인보우 미카|
파일:sf5_rmk.png
]]
2017 Mena RD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
[[버디(캡콤)|
파일:sf5_brd.png
]]
2018 Gachikun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라시드(캡콤)|
파일:sf5_rsd.png
]]
2019 iDom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라라 마츠다|
파일:sf5_lar.png
]]
2022 Mena RD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
[[루크 설리반|
파일:sf5_lke.png
]][[버디(캡콤)|
파일:sf5_brd.png
]]
2023 UMA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
파일:주리 outfit03.png
}}}}}}}}} ||
캡콤컵 역대 준우승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6px"
<rowcolor=#ffcb08> 시즌 게임 이름 캐릭터
2013
시안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겐(캡콤)|
파일:울스파4_겐.png
]]
Yipes
파일:미국 국기.svg
[[스펜서|
파일:마대캡3_스펜서.png
]][[버질(데빌 메이 크라이)|
파일:마대캡3_버질.png
]][[호크아이(마블 코믹스)|
파일:마대캡3_호크아이.png
]][[단테(데빌 메이 크라이)|
파일:마대캡3_단테.png
]][[매그니토|
파일:마대캡3_매그니토.png
]][[알버트 웨스커|
파일:마대캡3_웨스커.png
]]
Tampa Bison
파일:미국 국기.svg
[[베가(캡콤)|
파일:스대철_베가.png
]][[롤렌토|
파일:스대철_롤렌토.png
]]
2014
시안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겐(캡콤)|
파일:울스파4_겐.png
]][[달심|
파일:울스파4_달심.png
]][[포이즌(캡콤)|
파일:울스파4_포이즌.png
]]
2015
다이고
파일:일본 국기.svg
[[살의의 파동에 눈뜬 류|
파일:sf4_evil_ryu.jpg
]]
2016
리키 오티즈
파일:미국 국기.svg
[[춘리|
파일:sf5_cnl.png
]]
2017
토키도
파일:일본 국기.svg
[[고우키|
파일:sf5_gok.png
]]
2018
이타바시 장기에프
파일:일본 국기.svg
[[아비게일(캡콤)|
파일:sf5_abg.png
]]
2019
펑크
파일:미국 국기.svg
[[칸즈키 카린|
파일:sf5_krn.png
]][[춘리|
파일:sf5_cnl.png
]][[캐미 화이트|
파일:sf5_cmy.png
]]
2022
파일:중국 국기.svg
[[베가(캡콤)|
파일:sf5_veg.png
]]
크리스 웡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파일:루크 outfit03.png
}}}}}}}}} ||
[1] Team SPIRITZERO에서 공식적으로 중계권을 얻어 중계중이다.[2] 예외로 2017년 대회는 모모치가 운영하는 시노비즘 주최로 진행했다.[3] 단, 2018년에 들어선 반다이 남코드래곤볼 파이터즈의 대두로 인해 메인을 내주곤 있지만 압도적으로 밀리기보단 양강체제를 확립하고 있다.[4] 2018년까지는 EVO 단독으로 분류됐으나 2019년부터 일본 프리미어와 북미 지역 파이널이 포함된 슈퍼 프리미어로 대체됐다.[5] 스케줄 표에 명시되는 명칭이 일정하지 않다. 2018년의 경우 일본 프리미어로 등재됐고, 2019년의 경우 아시아 프리미어로 등재됐다. 이때문에 그냥 대회가 열리는 행사의 약칭인 TGS로 부르기도 한다.[6]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캡콤컵을 제외한 CPT 대회 중 가장 마지막에 개최된다.[7] 대표적인 예로 작년에 논란이 많았던 동유럽/중동이 각각 동유럽/러시아, 중동, 노르딕/발틱으로 분리 되었으며, 동아시아 지역 역시 일본이 따로 독립되었다. 특히 일본은 그 동안 보여준 강력한 모습 때문에 다른 권역과 달리 4번의 예선을 치른다.[8] 대회가 2023년 2월에 열리면서 해가 바뀐 이듬해로 넘어가면서 표기를 연도에서 넘버링으로 바뀌었다.[9] CPT 2022 North America East 우승[10] CPT 2022 US East World Warrior 우승[11] CPT 2022 North America West 우승[12] CPT 2022 US West World Warrior 우승[13] CPT 2022 Canada East World Warrior 우승[14] CPT 2022 North America MidWest 우승[15] 본래 CeroBlast가 참가 예정이었으나 모종의 사유로 인해 참가가 불발되면서 차등 순위였던 Morsty가 참가했다.[16] CPT 2022 Asia East 우승[17] CPT 2022 South Korea World Warrior 우승[18] 참가한 선수 중에서는 최연장자다.[19] EVO 2022 우승[20] CPT 2022 Japan 우승[21] CPT 2022 Asia 우승[22] CPT 2022 Asia A World Warrior 우승[23] CPT 2022 Australia 우승[24] CPT 2022 World Warrior Oceania 우승[25] CPT 2022 Central America East 우승[26] CPT 2022 Central America East World Warrior 우승[27] CPT 2022 Mexico World Warrior 우승[28] CPT 2022 Central America West World Warrior 우승[29] CPT 2022 World Warrior Europe C 우승[30] CPT 2022 France/Spain/Portugal 우승[31] CPT 2022 Europe D World Warrior 우승[32] CPT 2022 UK Ireland 우승[33] CPT 2022 World Warrior Europe A 우승[34] 무려 2006년생으로 참가한 선수 중에서는 최연소자다.[35] CPT 2022 Middle East World Warrior 우승[36] CPT 2022 Middle East 우승[37] CPT 2022 South Africa World Warrior 준우승[38] CPT 2022 South Africa 우승[39] CPT 2022 Asia C World Warrior 우승[40] The Grid는 초기부터, Kanzuki Beach는 스테이지 우측의 바닷가에 기술 인식이 힘든 파도가 쳐서, Skies of Honor는 스테이지의 배경에 움직이는 비행기가 집중력을 해치는데다 빙글빙글 도는 부분이 있어 멀미를 유발해 배제됐다. 이 부분은 시즌 2 중반에 진행된 시스템 업데이트를 통해 배틀 설정에서 해당 스테이지가 등장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만일 이 설정을 하지 않아 랜덤으로 해당 스테이지가 등장하면 스테이지를 다시 선택한 후 경기를 재개한다.[41] 역대 시리즈를 통틀어서 최초로 캡콤컵 두번 우승을 달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