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43d69><tablebgcolor=#143d69>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2025 시즌 코칭스태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000000,#e5e5e5 | 감독 | 74 니시구치 후미야 |
1군 | 91 토리고에 유스케(수석코치) · 81 토요다 키요시(투수치프코치) · 95 오이시 타츠야(투수코치) 78 니시 토시히사(야수종합코치) · 83 타치바나 요시이에(타격코치) · 96 나카타 쇼타(배터리코치) 80 오비키 케이지(내야수비·주루코치) · 84 쿠마시로 마사토(외야수비·주루코치) | |
2군 | 79 오제키 타츠야(2군 감독) · 92 키요카와 에이지(투수종합코치) 88 오오시마 히로유키(타격코치) · 77 츠지 류타로(타격코치) · 85 에노키다 다이키(투수코치) · 93 아오키 하야토(투수코치) 90 오사다 슈이치로(투수코치) · 82 노다 코스케(배터리코치) 87 쿠로다 사토시(내야수비·3루 주루코치) · 86 아카다 쇼고(외야수비·1루 주루코치) | |
3군 | 98 아라카와 유타(배터리코치) · 94 오니자키 유지(내야수비·주루코치) · 97 아오키 토모시(육성코치 겸 인재개발총괄) |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육성선수 | ||
틀: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로 돌아가기 | ||
다른 NPB 팀 명단 보기 |
다치바나 요시이에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다치바나 요시이에의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 ||||||||||||||||||||||||||||||||||||||||||||||||||||||||||||||||||||||||||||||||||||||||||||||||||||||||||||||||||||||||||||||||||||||||||||||||||||||||||||
1982 | 1983 | 1986 | |||||||||||||||||||||||||||||||||||||||||||||||||||||||||||||||||||||||||||||||||||||||||||||||||||||||||||||||||||||||||||||||||||||||||||||||||||||||||||
1987 | 1988 | 1990 |
NPB 일본시리즈 우승코치 | ||||
1999 | 2004 | 2011 | 2017 | |
2018 | 2019 | 2020 |
다치바나 요시이에의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크라운라이터-세이부 라이온즈 등번호 34번 | ||||
코다마 요시히로 (1976) | → | 다치바나 요시이에 (1977~1986) | → | 오가와 무네나오 (1987~1989) | |
세이부 라이온즈 등번호 33번 | |||||
나리타 유키히로 (1983~1986) | → | 다치바나 요시이에 (1987~1991) | → | 카키우치 테츠야 (1992~1994) | |
한신 타이거스 등번호 55번 | |||||
마나베 카츠미 (1989~1991) | → | 다치바나 요시이에 (1992) | → | 요네무라 카즈키 (1993~1997) | |
쥔궈 베어스 등번호 66번 | |||||
팀 창단 | → | 다치바나 요시이에 (1993) | → | 결번 | |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등번호 76번 | |||||
스기모토 타다시 (1995~1997) | → | 다치바나 요시이에 (1998~2001) | → | 카와고에 토루 (2002) | |
오릭스 블루웨이브 등번호 83번 | |||||
이케우치 유타카 (1994~1999) | → | 다치바나 요시이에 (2002~2003) | → | 카와무라 켄이치로 (2004) | |
세이부 라이온즈 등번호 78번 | |||||
히가시오 오사무 (1995~2001) | → | 다치바나 요시이에 (2004~2007) | → | 쿠마자와 토오루 (2008~2011) |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등번호 83번 | |||||
사이토 마나부 (2003~2006) | → | 다치바나 요시이에 (2009~2012) | → | 궈타이위안 (2013~2014) | |
치바 롯데 마린즈 등번호 78번 | |||||
니시무라 노리후미 (1998~2012) | → | 다치바나 요시이에 (2013~2016) | → | 츠루오카 카즈나리 (2018) |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등번호 83번 | |||||
스즈키 야스토모 (2015~2016) | → | 다치바나 요시이에 (2017~2020) | → | 하세가와 유야 (2022~2023) |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등번호 73번 | |||||
노무라 카츠노리 (2019~2021) | → | 다치바나 요시이에 (2022) | → | 결번 |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76번 | |||||
이영수 (2018~2022) | → | 다치바나 (2023~2024) | → | 손주인 (2025~) |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등번호 83번 | |||||
히라이시 요스케 (2022~2024) | → | 다치바나 요시이에 (2025~) | → | 현역 |
}}} ||
| |
<colbgcolor=#143d69><colcolor=#ffffff>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No.83 | |
다치바나 요시이에 [ruby(立花, ruby=たちばな)] [ruby(義家, ruby=よしいえ)] | Yoshiie Tachibana | |
출생 | 1958년 10월 27일 ([age(1958-10-27)]세) |
후쿠오카현 오무타시 | |
국적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야나가와상업고등학교(柳川商業高等学校)[1] |
포지션 | 외야수, 1루수 |
투타 | 좌투좌타 |
프로 입단 | 1976년 드래프트 1순위 (크라운라이터) |
소속팀 | 크라운라이터-세이부 라이온즈 (1977~1991) 한신 타이거스 (1992) 쥔궈 베어스 (1993) |
지도자 |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2군 타격코치 (1998~2001) 오릭스 블루웨이브 타격코치 (2002~2003) 세이부 라이온즈 1군 타격코치 (2004~2007)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1군 타격코치 (2009~2012) 치바 롯데 마린즈 1군 타격코치 (2013~2016)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1군 타격코치 (2017~2021) 토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1군 타격코치 (2022) 삼성 라이온즈 2군 타격코치 (2023)[2] 삼성 라이온즈 1군 타격코치 (2023)[3] 삼성 라이온즈 잔류군 야수코치 (2024)[4] 삼성 라이온즈 1군 타격코치 (2024)[5]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1군 타격코치 (2025~) |
프런트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편성관리통괄부 (2008) |
|
[clearfix]
1. 개요
前 일본프로야구 선수.2. 선수 경력
2.1. 고교 시절
야나가와 상고 시절 2학년 때인 1975년 춘계 코시엔에 중견수로 출전했지만 첫 경기에서 패퇴하며 바로 짐을 싸야 했고, 같은 해 하계 코시엔 후쿠오카현 예선 결승전까지 진출했으나 아쉽게 패배했다. 3학년 때 다시 코시엔 출장을 이뤄냈지만 3차전에서 오사카부 대표이자 당대 최고의 야구강호로 손꼽히던 PL학원고등학교에 패배하면서 그것을 끝으로 고등학교 생활을 마무리했다.1976년 드래프트에서 당시 고향 후쿠오카현을 연고지로 삼고 있었던 크라운라이터 라이온즈의 1순위 지명을 받았는데, 당시 타치바나 본인은 히로시마 토요 카프에 지명받길 원해서 카프 외의 구단이 지명할 시[6] 마츠시타 전기에 입사할 생각이었으나 주변 사람들이 "고등학생이 1순위 지명을 받는 게 흔한 게 아니다"라고 설득해서 결국 지명을 승낙하고 크라운라이터에 입단했다.
2.2. 프로 경력
크라운라이터 라이온즈 시절.
프로 생활 초기 때만 해도 "좌타 하라 타츠노리"라는 호화스러운 수식어가 붙었는데, 입단 2년차인 1978년 스프링캠프에서 장훈의 스승으로 알려진 마츠키 켄지로 임시 타격에게 "장훈 2세"라는 대호평을 들으면서 네모토 리쿠오 감독의 눈에 들어갔고, 그대로 개막전에서 19세의 나이로 3번 타순으로 1군 데뷔전을 가지면서 화제를 일으켰고 그 해 규정타석까지 채우는 데 성공했다. 다만 역시 고졸 2년차의 벽은 너무 컸는지 시즌 성적은 홈런 없이 .250/.281/.272/.553이란 부족한 스탯에 그쳤다. 시즌 종료 후엔 크라운라이터 라이온즈 쿄진 연합팀과 신시내티 레즈[7] 친선전에서 4번 오 사다하루의 뒤를 잇는 5번 타자로 출장하기도 했다.[8]
1979년에 세이부 그룹이 라이온즈를 인수하면서 팀은 사이타마현 토코로자와시로 연고지를 옮기게 됐고, 당해 프로 데뷔 첫 홈런을 세이부 라이온즈 구장의 개장 첫 홈런으로 장식하면서 지난 해보단 나아진 성적을 올렸다. 1980년엔 타부치 코이치와 용병 온티베로스, 오타 타쿠지 등의 강타자가 즐비한 타선 속에서도 7번 타자를 맡아 데뷔 첫 3할 겸 팀내 타율 1위인 .301과 18홈런을 기록하는 등 단번에 성적이 올라갔고, 그 덕분에 '공포의 7번 타자'라는 소리를 들었다.
그러나 1980년의 성적은 플루크였고, 이후 점차 성적이 떨어지면서 팀이 1982년 일본시리즈와 1983년 일본시리즈의 연속 우승으로 황금기를 연 것과 별개로 타치바나 본인은 타오 야스시와 카나모리 에이지 등의 이적으로 점점 주전에서 밀려나기 시작했다. 그래도 대타 자원으로 꾸준히 1군에서 생존하면서 세이부 왕조의 일원으로 계속 남았지만 결국 1991년에 1년차 이후 처음으로 2군에서만 시간을 보내다 시즌 종료 후 한신 타이거스로 현금 트레이드되며 긴 시간을 보낸 라이온즈와 이별하게 된다.
한신에서도 대타 자원으로 출전했지만 뚜렷한 활약은 보여주지 못한 채 1년 만에 방출당했고, 이후 1993년 대만프로야구로 건너가 막 창단한 신생 구단 쥔궈 베어스에 입단해 1년 동안 현역으로 뛴 후 은퇴를 선언했다.
2.3. 지도자 경력
2.3.1. 일본프로야구 1기
은퇴 후 1998년부터 라이온즈를 대신해 큐슈에 새로 자리잡은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의 2군 타격코치를 시작으로 오릭스 블루웨이브와 다이에의 후신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데뷔팀 세이부 라이온즈, 치바 롯데 마린즈, 토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등 여러 팀에서 타격코치를 맡았다. 코치 경력만 20년이 넘는 햇수를 자랑하며 일본프로야구 내에서 지도력이 뛰어난 타격코치 중 하나로 꼽혔다.코칭 스타일은 자신만의 타격 이론을 타자들에게 일방적으로 강요하지 않는 대신, 평소 팀 타자들과 소통을 자주 하면서 그에 맞는 해답을 찾아가는 스타일로 온화한 이미지라고 한다. 또한 타자들에게 볼을 최대한 길게 볼 것을 주문하며, 공에 시선을 오래 두면서 몸이 반응하는 과정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하체 발달 훈련이 필요하다는 지론을 가지고 있다.
특히, 소프트뱅크 1군 타격코치 시절에는 하세가와 유야, 나카무라 아키라, 야나기타 유키 등을 지도한 경험이 있고[9], 쿠리하라 료야나 슈토 우쿄 등에도 성장에 기여했던 바 있다. 소프트뱅크 호크스가 2017~2020년 4시즌 연속 일본시리즈 우승을 이뤄낼 당시에도 메인 타격코치를 역임했다.
2021년 시즌 후 소프트뱅크를 퇴단, 2022년부터 토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타격코치로 자리를 옮겨 1년간 있었다.
2.3.2. 삼성 라이온즈 코치
2023년부터 삼성 라이온즈의 2군 타격코치로 합류하게 되면서 야구 인생 처음으로 한국에서의 지도자 생활을 이어가게 됐다. 한편 다치바나 코치가 삼성으로 오게 된 계기는 한때 삼성에서 몇 년 간 투수코치와 2군 감독으로 있었던 오치아이 에이지의 추천이 있었다고 한다.그러다가 1군 타선의 침체로 인해 코칭스태프 개편이 이뤄지면서[10] 5월 26일부로 1군 타격코치로 합류했다. 일단은 기존 1군 타격코치인 박한이 코치, 그리고 역시 타격코치 경력이 있는 이병규 수석코치와 함께 팀 타격코칭을 담당한다. 막상 다치바나 코치가 맡았던 삼성 2군 타격 지표도 퓨처스 전체 꼴찌라는 게 함정.[11]
6월 9일부로 박한이 타격코치가 2군으로 내려가면서 1군 메인 타격코치를 맡게 됐다.
그러나 다치바나 코치 체제 이후 삼성 타선의 팀배팅이 도저히 되지 않으며 다치바나 코치는 상당한 비판을 받고 있다.
7월 들어 이것도 옛말일 뿐 팀 타선이 불을 뿜으며 급격하게 평가가 상승했으며, 앞으로도 1군 코치로 남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현재 삼성 코치진 중 이병규 수석코치, 박한이 공동 타격코치와 더불어 평이 좋은 몇 안되는 코치.
2023년 시즌이 끝난 후 잔류군 야수코치로 보직을 옮겼지만, 2024년 7월 5일 코칭스태프 개편 과정에서 다시 1군 타격코치로 올라왔다.
다만 함께 올라온 정대현 수석 겸 투수코치와 달리 다치바나 타격코치는 1군에 일본인 통역사가 배정되지 않아 사실상 타자들의 정신적 지주 역할만 하고 있으며, 실질적 메인 코치는 아직도 이진영이 맡고 있다고 한다. 즉 이종열 단장이 데려온 이진영/정대현 체제인 셈.[12]
한국시리즈까지 모두 끝난 2024년 10월 29일, 본인의 친정팀인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의 1군 타격코치로 자리를 옮기면서 2년 만에 삼성을 떠났다.#
2.3.3. 일본프로야구 2기
2025년부터 자신의 친정팀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의 1군 타격코치로 합류한다. 이로서 지난 2007년 이후 약 17년 만에 친정팀 코치를 다시 맡게 됐다.특히 세이부가 지난 해인 2024년에 궤멸 그 자체인 타격을 보여줬기 때문에[13] 함께 타격코치로 선임된 니시 토시히사와 타선을 거의 처음부터 다시 만들어야 한다는 무거운 중책을 맡게 됐다.
3. 여담
- 이범호 KIA 타이거즈 감독이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에서 1년간 선수 생활을 했을 때 1군 타격코치로 있었다. 한 기자가 이범호가 일본에서 실패했던 이유를 묻자 이대호와 비교하면서 "이범호는 하체가 굳어있다. 몸이 너무 뻣뻣하다. 반면 이대호는 하반신이 상당히 부드러웠다. 하체의 유연함이 3할을 치는 비밀이다." 라는 평가를 남기기도 했다.[14]
4. 연도별 성적
통산 기록 | ||||||||||||||||
<rowcolor=#ffffff> 연도 | 소속 | 경기 | 타석 | 타점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도루 | 볼넷 | 삼진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colbgcolor=#dcdcdc> 1978 | 크라운 라이터 /세이부 | 124 | 497 | 39 | 34 | 115 | 6 | 2 | 0 | 7 | 17 | 90 | .250 | .281 | .272 | .553 |
1979 | 123 | 435 | 36 | 41 | 100 | 16 | 5 | 6 | 3 | 16 | 70 | .246 | .278 | .355 | .633 | |
1980 | 130 | 537 | 60 | 67 | 144 | 18 | 4 | 18 | 8 | 30 | 74 | .301 | .349 | .469 | .818 | |
1981 | 124 | 484 | 51 | 42 | 117 | 12 | 3 | 6 | 5 | 31 | 62 | .271 | .323 | .355 | .678 | |
1982 | 107 | 307 | 25 | 24 | 69 | 7 | 2 | 1 | 3 | 19 | 30 | .251 | .302 | .302 | .604 | |
1983 | 114 | 359 | 42 | 44 | 98 | 12 | 2 | 8 | 3 | 19 | 25 | .309 | .358 | .435 | .793 | |
1984 | 95 | 263 | 12 | 35 | 54 | 15 | 2 | 3 | 1 | 17 | 34 | .226 | .280 | .343 | .623 | |
1985 | 37 | 53 | 7 | 4 | 11 | 0 | 0 | 1 | 1 | 5 | 6 | .234 | .321 | .298 | .619 | |
1986 | 36 | 76 | 5 | 4 | 19 | 0 | 1 | 1 | 0 | 5 | 13 | .268 | .316 | .338 | .654 | |
1987 | 40 | 74 | 5 | 8 | 16 | 5 | 0 | 2 | 0 | 4 | 13 | .229 | .270 | .386 | .656 | |
1988 | 67 | 72 | 7 | 1 | 16 | 3 | 0 | 1 | 1 | 6 | 7 | .246 | .319 | .338 | .658 | |
1989 | 53 | 59 | 11 | 1 | 10 | 0 | 0 | 1 | 0 | 7 | 7 | .196 | .288 | .255 | .543 | |
1990 | 40 | 52 | 11 | 3 | 10 | 2 | 0 | 2 | 0 | 2 | 8 | .200 | .231 | .360 | .591 | |
1992 | 한신 | 59 | 101 | 7 | 9 | 22 | 5 | 1 | 1 | 1 | 7 | 36 | .237 | .287 | .244 | .531 |
1993 | 쥔궈 | 71 | 272 | 29 | 23 | 70 | 16 | 2 | 4 | 3 | 31 | 39 | .295 | .380 | .430 | .810 |
NPB 통산 (14시즌) | 1149 | 3369 | 318 | 317 | 801 | 101 | 22 | 51 | 33 | 185 | 475 | .262 | .309 | .360 | .669 | |
CPBL 통산 (1시즌) | 71 | 272 | 29 | 23 | 70 | 16 | 2 | 4 | 3 | 31 | 39 | .295 | .380 | .430 | .810 |
5. 관련 문서
[1] 현재는 야나가와고등학교(柳川高等学校)로 개명.[2] ~6월 8일[3] 6월 9일~[4] ~7월 4일[5] 7월 5일~[6] 1968년부터 1977년까진 드래프트에 경합 제도가 없어서 앞 순번 구단이 지명한 선수를 뒷 순번의 구단이 지명할 수 없게 되어있었다. 당해 드래프트 순번의 경우 크라운라이터는 7번째, 히로시마는 11번째 순서였다.[7] 당시 신시내티는 그 유명한 빅 레드 머신이 최전성기를 맞이했던 시기로, 스파키 앤더슨 감독 휘하에서 자니 벤치, 피트 로즈, 조 모건, 토니 페레즈 등 내로라 하는 강타자들이 타선의 주축으로 맹활약하며 1975년 월드 시리즈, 1976년 월드 시리즈를 연달아 제패하는 최전성기를 맞이하고 있었다. 다만 이 미일야구 종료 후 스파키 감독이 전격 해임되고 최전성기의 주축 멤버들도 노쇠화로 잇달아 팀을 떠나며 1990년 월드 시리즈 전까지 신시내티는 우승과 인연이 멀어지게 된다.[8] 이 경기는 세이부 그룹에 매각되어 사이타마현으로 연고지를 옮기는 것이 결정된 라이온즈가 후쿠오카를 떠나기 전 마지막으로 개최한 대회이기도 했다. 그래서 당시 연고지인 큐슈 팬들이 후쿠오카 팀인 라이온즈의 마지막 모습을 보고자 경기장에 많이들 찾아왔다는 후문이 있다.[9] [10] 코치진 엔트리 확보 차원에서 권오준 불펜코치가 엔트리에서 말소됐다.[11] 다만 삼성의 타자 뎁스가 안좋은 점도 감안해야 된다.[12] 실제로 삼성 중계화면에 이진영, 정대현, 박진만 셋이 함께 있는 장면을 많이 비춘다. 저 둘이 종열픽인 바람에 진만픽인 정민태, 이병규가 2군에 가서 세상에서 가장 어색한 사진을 더그아웃에서 밥 먹듯이 연출하는 건 덤.[13] 팀 타율이 .212로 양대리그 최하위이며 10홈런을 친 타자조차 없었다.[14] 실제로 이대호는 큰 체구에 비해 운동 신경은 꽤나 유연한 편에 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