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6 17:18:52

대구 버스 팔공3

팔공3에서 넘어옴
이 문서는 현재 운행이 중단된 노선을 다룹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도로, 철도, 버스, 항공, 선박 등의 노선은 현재 무기한 또는 특정 기간에 한하여 운행이 중단되었습니다.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f6af30>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노선
}}}
[[틀:대구광역시 직행버스|{{{#!wiki style="border: 1px solid #d82026; 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3px; color: #d82026"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6af30><colcolor=#fff> 가창
서구
남구
달서
달성
동구
북구
성서
수성
칠곡
팔공
행사
[a] 맞춤버스 (지원)운행 노선
}}}}}}}}} ||

파일:팔공3번.jpg
파일:동명팔공3.jpg
영진교통 차량 동명교통 차량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일평균 승차량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개요

칠곡경대병원역에서 출발하여 팔공산순환도로를 따라 갓바위까지 운행하는 맞춤 지선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71.9km. 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팔공3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대구 팔공3 노선도.png
기점 대구광역시 북구 동호동(종점) 종점 대구광역시 동구 진인동(갓바위)
종점행 첫차 05:35 기점행 첫차 05:30
막차 21:39 막차 21:34
평일배차 미운행 주말배차 51분(1일 22회)(3~11월만 운행)
운수사명 동명교통, 영진교통 인가대수 4대
노선 북구 동호동(종점) - 칠곡경대병원역 - (← 칠곡경대병원후문) - 동명교통 - 동명성당 - 송림삼거리 - 가산산성 - 바지마마을(방턱골) - DGB대구은행연수원 - 덕곡동 - 파계사입구(파계삼거리) - 부인사 - 수태골 - 동화사 - 공산초교 - 백안삼거리 - 진인갓바위삼거리 - 갓바위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량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팔공3번
<rowcolor=#fefefe>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254명 -
2015년 163명 ▽ 91
2016년 113명 ▽ 50
2017년 129명 △ 16
2018년 77명 ▽ 52
2019년 74명 ▽ 3
2020년 해당 연도 DB 미집계
2021년 86명 △ 12
2022년 222명 △ 136
2023년 172명 ▽ 50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 - 칠곡간 시내·농어촌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노선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368846> 2권역 250-2
5권역 성서2 7 9 20 27
50 · 50-1 250
7권역 급행3 급행9 급행9-1 급행9-2 급행9-3
527 730 칠곡2 칠곡3 팔공3
38 200 250 250-1 300
군위-용수
龜: 구미시 진입 노선. 軍: 군위군 진입 및 경유 노선. 星: 성주군 진입 노선.
초록색 : 칠곡군 농어촌버스. / 연두색 : 성주군 농어촌버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관련 틀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fff> 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 대구-타 지역 간 시내버스 · 파일:칠곡군 CI.svg 칠곡-타 지역 간 시내버스
}}}}}}}}} ||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 칠곡(지구) 연계 버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급행
간선
지선
출근 7250
칠곡
}}}}}}}}} ||



[1] 그래서인지 653번저상버스를 정식으로 투입하기 전에, 테스트삼아 523번저상버스 1대가 야외음악당로의 경사 커브길을 지나가는 653번에 지원을 나간 일이 한 번 있다. 이후 운행에 문제가 없다는 판단을 받았는지 653번저상버스가 투입되기 시작했는데, 그럼에도 상서고에서 야외음악당 사이로는 상당히 감속운행하는 것을 볼 수 있다.[2] 이것 때문에 급행1번을 수태골까지 연장해 달라는 의견도 있다.[3] 일부 노선들에서 주말, 공휴일 감편분, 예비 차량 4대를 빼오기 때문에 정규노선으로 전환하면 이 4대를 가져오기가 매우 힘들어진다. 정 아니면 평일에는 2대로 운행하다가 주말, 공휴일에는 4대로 운행하는 방법도 있다.[4] 이 곳은 칠곡3번 기성리행을 타고 남원1리나 방턱골 종점에서 내려서 조금 걸어가면 되긴 하다. 방턱골 종점 바로 뒤쪽에 팔공3번의 바지마마을 정류장이 있다.[5] 2019년 가산산성 운행 초기에도 기사님들의 노선 숙지 미숙으로 노선 운행경로를 이탈하거나 정차하지 않는 정류장에서 승객 승하차를 한 적이 있다.[6] 적어도 맨 위 사진의 동명교통 차량를 봐도 급행7번의 휴일 감차분을 그대로 전광판만 팔공3번으로 바꿔놓은 모습이다.[7] 당시 오후 2시에 갓바위를 출발한 차가 6시 20분에 칠곡경대병원에 도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