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9 18:14:31

Blu-ray Disc

Blu-ray에서 넘어옴
📼 영상물 저장 매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555>필름형필름 판형 · EVR · Laserfilm(1984)
테이프형2" Quadruplex(1956) · CV-2000(1965) · U-matic(1971) · Cartrivision(1972) · VCR(1972) · V-Cord(1974) · VX(1974) · Betamax(1975) · VHS(1976) · 1" Type-C(1976) · Video 2000(1979) · CVC(1980) · Betacam(1982) · Video 8(1984) · MII(1986) · DV(1995) · Ruvi(1998) · MicroMV(2001)
디스크형Ampex-HS(1967) · TeD(1975) · LD(1978) · CED(1981) · VHD(1983) · CD-V(1987) · VCD(1993) · DVD(1996) · SVCD(1998) · EVD(2003) · UMD(2004) · FVD(2005) · Blu-ray Disc(2006) · HD-DVD(2006) · VMD(2006) · Ultra HD Blu-ray(2016)
데이터형틀:비디오 포맷 참조 }}}}}}}}}

Blu-ray Disc
블루레이 디스크

파일:Blu-ray Disc 로고.svg
파일:external/icons.iconarchive.com/bluray-disc-icon.png

1. 개요2. 설명3. 역사4. 전망
4.1. 2015년 이전4.2. 2015년 이후
5. 상용화
5.1. 블루레이 지원 게임기 목록5.2. BD-R
5.2.1. HTL과 LTH
5.3. BD-RE
6. 일본 애니메이션과 블루레이
6.1. 블루레이 판매량 = 흥행의 척도?
7. 드라마 블루레이8. PC에서의 사용9. 여담10. 관련 문서11.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Blu-ray Disc (블루레이 디스크)

2000년 10월에 일본 소니에서 프로토타입을 발표한 뒤에 2003년 4월 10일부터 시판되어 DVD의 뒤를 이은 고용량 광학식 저장 매체이다. 약자는 CD, DVD의 뒤를 이어 "BD". 그러나 '비디'라고 읽는 사람은 드물고 대부분 블루레이 (Blu-ray)라고 부른다. 이후 2015년에 후속 규격인 Ultra HD Blu-ray가 표준화되었다.

원래는 Blue-ray Disc라는 이름으로 등록하려 했으나, 보통 명사라는 이유로 거절을 당했고, 이후 e를 빼고 등록했다.[1] 이 이름은 디스크 제작에 이용되는 청색 레이저에서 유래되었다. 하지만 레이저 포인터/불빛 색상 문서에서도 나오듯이 이용되는 405nm 레이저 색가 아니라 이런 색상으로 흔히 생각하는 파란색보다는 남보라색에 가깝다.

상업용 Blu-ray 비디오는 대부분 25GB 및 33GB를 저장할 수 있는 싱글 레이어 디스크를 사용하며, 게임에 쓰이는 듀얼 레이어 디스크의 경우 50GB와 66GB, 트리플 레이어 디스크의 경우 75GB와 100GB, 쿼드 레이어 디스크의 경우 128GB의 용량을 저장할 수 있다. 차후에 규격이 완성된 Ultra HD Blu-ray에서는 기본적으로 듀얼 레이어 디스크와 트리플 레이어 디스크를 사용한다.

싱글 레이어 디스크와 듀얼 레이어 디스크 기준으로 경쟁 매체였던 HD-DVD에 비해 저장 가능한 용량이 무려 67%나 더 많기 때문에 대량의 부가 영상 및 고용량 데이터를 담기에 더 유리하다. 다만 파일 백업용으로는 가성비가 영 좋지 않은데, 한때 블루레이 디스크 드라이브 값으로 3TB 하드 디스크를 살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이런 케이스가 흔히 그렇듯이 시간이 지나면서 블루레이 레코더와 블루레이 플레이어, 블루레이 디스크 드라이브 가격도 많이 내려갔다. 무엇보다 엑스박스와 플레이스테이션이 블루레이 비디오 재생을 공식적으로 지원하면서 접근성도 상당히 쉬워진 편이다.

2. 설명

파일:external/www.pioneerelectronics.ca/276367828Why.jpg
우측 이미지는 한눈에 보는 CD, DVD, BD의 차이점, 크기는 전부 120mm이면서 왜 용량 차이가 나는지 알 수 있다. 직접 뒷면을 보면 블루레이는 마치 다마스쿠스 강마냥 잔물결이 보일 정도로 정보의 집적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초기에는 이 때문에 CD와 달리 앞면 흠집보다 뒷면 흠집에 더 취약했다. 얼마나 취약하냐면, CD를 보관하는 용도로 흔히 쓰이는 부직포 재질의 케이스조차 BD에는 치명적일 정도. 물론, 뒤에도 같은 설명이 있지만, 이후 하드 코팅이 개발되어서 지금은 흠집에 어느 정도 강하다.

지역 코드가 6개(+기타 몇 개)인 DVD에 비해 단순하다. A/B/C 3개이다.
2007년 기준으로는 지역 코드가 아예 없는 디스크가 66.7%에 달했다. 따라서 그때까지 외국 DVD를 구입하면서 지역 코드로 불편을 겪었던 대한민국의 소비자들이 블루레이에서는 불편을 그다지 겪지 않는다. 코드가 있다 하더라도 대한민국은 코드 A로, 미국, 일본과 코드가 같다. DVD의 지역 코드가 미국 1, 일본/유럽 2, 한국 3으로 제각각이었던 것을 생각하면 훨씬 나아진 셈이다. 유럽 지역이 원산지인 블루레이일 경우 영상 규격이 PAL 50i일 가능성이 높고 한국에서 감상하려면 어차피 지역 코드와 무관하게 추가 작업이 필요하므로 큰 문제로 보기 어렵다.[2] 기존의 DVD, 비디오와 달리 한반도 전체가 한 지역 코드로 되어 있다. 홈페이지에 들어가도 Korea 전체가 A코드라고 나온다. 대한민국의 재벌 기업에서 블루레이에 모두 참여한 것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VHS북한에선 PAL 방식, 대한민국에선 NTSC 방식이다. DVD 지역코드를 보면 대한민국은 3번(동남아시아, 홍콩, 타이완)[3] 북한은 5번(아프리카, 중앙아시아, 남아시아, 러시아)[4]이다.

2009년 기준으로 블루레이 디스크를 만드는 데 보통 3개월이 소비되는데, 이 기간에 복사 방지 처리, 제작권 판매권 등 각종 권한에 대한 위임, 저작권 각인 과정, 코드 부여, 화질 보정 및 용량 정리 등이 들어간다. 이 과정에서 당연히 영어를 사용하며, 일반 DVD판보다 블루레이판이 비싼 이유가 이 과정에 들어간 비용을 어느 정도 반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블루레이 개발사들의 연합체인 블루레이 디스크 협회(BDA)에는 HD-DVD에 비해 많은 가전 업체들이 참여하고 있다. 주요 업체로는 소니, LG, 삼성전자, 샤프, 파나소닉, 파이오니어, 필립스, 애플, 인텔 등이 있다. 인텔 등 일부 업체에서는 HD-DVD에도 동시에 참여하고 있으며. 블루레이 독점을 선언한 영화사로는 소니, 월트 디즈니 컴퍼니, 20세기 폭스, 라이언스게이트, 후에 워너 브라더스가 추가됐다.

DVD 포럼의 공식 포맷은 아니다. 하지만 하술했듯, 공식 포맷인 HD-DVD가 망했기 때문에 사실상 표준이라 할 수 있다.

3. 역사

블루레이와 HD-DVD의 규격에 물리적인 호환성은 없으나, 둘 다 이용할 수 있는 드라이브 및 플레이어는 소수 나와 있다. 한때 LG전자에서 두 매체를 모두 이용할 수 있는 플레이어를 내놓아 가전 쇼에서 상까지 받았으나 그리 좋지 못한 성능 탓에 묻혔다. 이후 삼성전자에서 내놓으려고 했으나 워너 브라더스 스튜디오에서 블루레이만 사용하겠다고 선언하자 블루레이로 판도가 완전히 기울어짐으로써 무산됐다.

블루레이 비디오 디스크는 4시간 가량의 1080p HD 영상을 보관할 수 있으며, 무압축 PCM 사운드를 포함한 경우가 많아서 음질도 좋다, 그런데 요새는 돌비 트루HD나 DTS-HD를 더 자주 쓴다.[5] 또한 H.264, VC-1 등의 최신 코덱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DVD에 비해 훨씬 나은 화질과 음질을 즐길 수 있다. 대체로 영상은 H.264 20~30 Mbps 정도로 수록하기 때문에 HEVC 16~18Mbps 정도의 한국 UHD 방송이나 UHD 스트리밍보다도 코덱의 차이를 감안하더라도 훨씬 나은 화질을 보여준다.

원래 블루레이의 특성상 디스크 표면이 DVD보다도 극단적으로 얇은 탓에 흠집에 지나치게 약해, 처음에는 UMD처럼 캐디(Caddy) 방식으로 만들어 디스크를 보호했다. 그러나 이후 하드 코팅을 개발해 오히려 CD, DVD보다 흠집에 강해졌다. 하드 코팅 개발사의 하나인 TDK에서는 디스크 샘플을 보내면서 철수세미를 같이 보냈다 한다. 어떤 동영상에서는 블루레이를 못으로 긁고 재생하는 모습을 보인다. 물론 자기 물건을 소중히 하는 사람은 하지 않는 게 좋다. 이에 따라 초기 버전에 있던 캐디가 제거되었다. 실제로 험하게 다루어도 흠집이 거의 없다. 다만 표면이 손상되기 어려운 데 반해 표면 자체의 두께는 여전히 얇기 때문에 만약 손상이 된 경우에는 CD나 DVD처럼 연마해서 복구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초기에는 제품이 HD-DVD에 비해 비교적 늦게 나왔으며, PIP 등의 기능이 없는 채로 출시되어[6] 불리하였으나, 서서히 세력을 확장하여 전체적으로 2/3 정도의 시장을 차지하였다. 사실 이는 예견된 일인데, 블루레이 독점을 선언한 영화사만 해도 소니, 디즈니, 20세기 폭스로 세 곳이나 되었고, 거기에다가 워너, 파라마운트 두 곳은 공동 지원이었다. 사실상 HD-DVD를 독점하는 영화사는 유니버설 단 하나뿐이다. 재미있는 사실이 있다면, 출시사들의 수에도 2007년에 블루레이 타이틀 수와 HD-DVD 타이틀 출시 수는 차이가 별로 나지 않았다. 시장 형성이 별로 되지 않은 이유도 있겠지만, 유니버설이 3개의 출시사를 엿먹였을 정도로 폭주했다. 2007년 말에 파라마운트의 블루레이 진영 탈퇴로 다시 혼전에 빠지는 듯했으나[7], 2008년 1월에 워너 브라더스에서 5월부터 블루레이만 판매할 것이라 발표하여 분위기는 완전히 블루레이 쪽으로 기울어졌다.[8]

그 후 2008년 2월 16일에는 일본 언론에서 HD-DVD 진영의 리더 격이었던 도시바의 사업 철수를 발표하였고, 일단 도시바는 이를 부인하였으나 발표 자료에서 앞으로의 상황을 봐서 결정한다는 말로 철수를 암시하였다. 이후 2월 19일, 마침내 도시바에서 HD-DVD 사업의 중지를 공식 발표함으로써, 차세대 포맷 전쟁의 승자는 사실상 블루레이가 되었다.

4. 전망

2013년에는 4K OLED TV와 4K LCD TV조차 제자리를 잡지 못했고 2015년에 들어서야 주력으로 잡았으며, 한국 지상파 UHD 방송은 2017년에 시작하여 2020년에 전국으로 확대하고 2027년에 완료될 예정으로 잡힌 만큼, 전 세계의 방송국들은 2010년대 후반에 와서야 Full HD 방송 전환이 마무리되었다. 이렇게 2013년은 블루레이가 담고 있는 Full HD 포맷이 본격적으로 보급되는 원년이었는데, 블루레이의 미래는 플래시 메모리와 인터넷 스트리밍 서비스가 폭발적으로 발달하기 전인 2010년대 중반까지는 창창했다.

4.1. 2015년 이전

블루레이의 용량 문제 자체는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대부분의 게임 용량은 100 GB를 하회하며 2017년에 128GB 크기의 블루레이 디스크도 나왔기에 게임을 4K 리마스터 + WAV 초고음질 음악으로 도배하지 않는 이상 128GB를 지금 당장 채운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설령 다 채운다고 해도 그때쯤엔 블루레이 자체의 용량이 상승해있을 것이다. 다만 이 이상으로 집적도를 늘리는 게 문제지.

그런데 어차피 AD, 아카이벌 디스크HVD, 홀로그래피 디스크가 있어서 차세대 포맷에 대해 걱정을 안 해도 될 것 같다. AD의 용량은 300GB~1TB, HVD는 무려 6TB이다. 대역폭만 충분하면 무손실 압축 비디오가 가능할지도 모를 정도로 어마어마한 용량이라는 것. 다만 AD는 대용량이면서 장기 보관이 필요한 기업용에 적합한 매체로 여겨질 뿐이고 일반 가정용 시장으론 진출하지도 않았고, HVD는 어느 시장이든 아직 상용화하지도 못 한 상태라 AD이든 HVD이든 둘다 가정용으로 상용화되기엔 한참 멀었다.

디스크에 쓸 수 있는 BD-R과 BD-RE 규격도 있다. 그러나 PC 환경의 변화로 광 매체를 쓸 이유가 사라지면서 대중화되지 못했다. 매체 사이의 데이터 이동은 USB 메모리클라우드 스토리지(2008)에게 밀렸기 때문이다. 백업 용도도 대용량 외장 하드디스크NAS(2013대중화)의 가격이 대폭 하락하면서, 그리고 상술한 클라우드 스토리지도 쓰이고 있기에 블루레이 디스크가 힘을 못 쓰고 있다. 그런데 BD-R 미디어가 많이 팔리는 일본에서는 50GB BD-R 미디어가 200엔 수준인데 TB당 가격으로 보면 약 1테라에 5만 원 이하이다.[9] 물론 사용 편의성+재기록성+속도+장기 보관 능력[10]에서는 USB나 외장 하드 디스크 같은 다른 저장 매체에 비해 떨어진다. 그리고 블루레이 디스크 드라이브 가격이 2020년대에도 10만 원대다(내장형과 외장형은 최소 1만 원 남짓 가격차이가 난다). 2000년대 중반에 들어 EIDE/SATA 인터페이스의 DVD-멀티 라이터 값이 급격히 떨어진 데 비해 블루레이 디스크 드라이브 값은 10만 원대에서 좀처럼 떨어지지 않는다. 블루레이 공디스크 값도 떨어지고 있는데 블루레이 디스크 드라이브는 요지부동이다.

블루레이 듀얼 레이어보다 좀 더 용량을 키운 블루레이 XL이라는 새로운 규격이 나왔다. 블루레이 XL은 기본이 100GB이고, BD-R XL 미디어는 최대 128GB까지 저장할 수 있다. BD-RE처럼 다시 쓸 수 있는 BD-RE XL도 있는데 용량이 100GB까지 나온다. 2014년 9월 시점에 BD-R XL 및 BD-RE XL 한 장 가격이 10만 원 가까이 했지만, 2015년 10월 기준으로 일본에서는 1장에 1만 원 조금 안 되는 가격에 판매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TSST(도시바 삼성 스토리지 테크놀로지)와 HLDS(히타치 LG 데이터 스토리지)에서 컴퓨터용 내/외장 블루레이 드라이브를 생산하는데, 외장형의 경우 TSST 제품은 저전력으로 설계하여 USB 1개만 꽂지만 HLDS는 USB 2개(Y자형 케이블)를 꽂아서 쓴다. USB 플러그의 한쪽은 데이터, 다른 한쪽은 전원용이라고 한다.[11] 사실 TSST에서도 전원 문제 때문에 HLDS의 제품처럼 USB 2개짜리 Y자형 케이블을 사용해도 된다고 명기하고 있으며, 별도로 구매하라고 명기되어 있다. HLDS만 내장식(SATA)과 외장형을 둘 다 생산하고, TSST는 외장형 라이터만 생산한다. BD-RE XL 미디어는 둘 다 읽기/쓰기를 지원하지만 BD-R XL 미디어의 경우 HLDS의 것만 128GB짜리 BD-R XL 미디어의 읽기/쓰기를 모두 지원한다. TSST의 것은 100GB BD-R XL 미디어까지 읽기/쓰기를 지원하고 128GB BD-R XL 미디어는 읽기만 가능하다. 대한민국에서 팔고 있는 블루레이 외장식 드라이브는 USB 2.0으로 둘 다 나온다. HLDS의 제품 중에서는 USB 3.0 인터페이스가 달린 외장 블루레이 라이터도 있는데 USB 3.0 케이블 1개와 별도의 전원 어댑터로 구성되어 있다. Y자형 USB 2개짜리 케이블 대신 별도의 전원 케이블이 나오는 게 특징이지만, 해당 모델은 대한민국에 판매하지 않고 있다.

4.2. 2015년 이후

2015년 들어 HLDS가 자본 잠식 상태인 데다가 ODD의 인기가 갈수록 시들해져서 신 모델이 끊기는가 했지만, HLDS에서 2015년 10월에 신형 외장식 블루레이 라이터를 출시했다. 인터페이스는 USB 2.0을 유지했다. 여전히 USB 2개를 꽂는 방식이지만, 이미 나오고 있는 외장 DVD 멀티 라이터 모델과 비슷한 모양의 슬림형으로 나왔다. 그리고 2016년에야 4K UHD 규격을 완벽 지원하는 블루레이 플레이어와 디스크가 출시되었다.

2020년에 와서도 블루레이는 과거의 DVD가 누렸던 다재다능한 저장 매체로서의 위상은 차지하지 못하고 있다. 다운로드나 스트리밍을 통한 영상물 감상이 대세가 된 후로[12] 비디오 감상 비용도 크게 감소했기 때문에 전용 블루레이 디스크와 플레이어는 매니아층을 제외하면 인기는 바닥을 기고 있다. 게다가 PC용 저장 매체로서도 USB나 외장하드, SSD, 하다못해 ODD가 내장된 컴퓨터나 노트북이라면 DVD나 CD에게 밀려 인지도가 없는 수준이나 마찬가지이다. 이는 영상 매체로서도 저장 매체로서도 이전 세대에 비해 월등히 뛰어난 블루레이의 문제점이 비단 용량 때문이 아니라는 점을 시사한다. HDD플래시 메모리의 발전으로 인해 판세를 뒤집을 가능성은 커녕 현상 유지 가능성이 시간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OEM이 아닌 실제로 블루레이 드라이브를 만드는 회사는 HLDS, 라이트온, 파이오니어, 파나소닉밖에 남지 않았다. 삼성전자와 도시바가 합작 설립한 TSST는 삼성전자와 도시바가 지분을 다 팔고 옵티스가 소유했지만 광스토리지에 대한 연구는 중단됐으며 2016년 파산했다. 라이트온의 경우도 광스토리지보다는 Plextor SSD에 사업을 집중한 상태이다. 거기에 소니는 처음에는 자회사 Optiarc(소니 옵티악)에서 만들었으나 결국 여기도 2013년 OEM으로 전향한 지 오래이다. 그리고 칩 공급 또한 차질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게 현재 블루레이용 칩셋을 만드는 회사는 RenesasMediatek밖에 안 남았으나 Mediatek도 ODD칩에는 신경쓰기가 힘드며 사실상 연구하는 곳은 Renesas뿐이다. 히타치와 LG전자의 합작 회사인 HLDS는 누적 적자로 인해 자본 잠식 상태였다가 2017년에 소폭의 흑자를 낸 정도.

차세대 미디어도 공미디어 제조사 중에는 CMC 마그네틱스[13]와 라이텍(Ritek) 정도(타 회사에서 판매하는 미디어는 대부분 타사 디스크에 자신들의 상표만 붙인 것이다), ODD 제조사로는 HLDS만이 사실상 광학 미디어 사업을 못 버리고 있는 실정이다. 타 저장 매체와 비교해 볼 때 그다지 이점이 없는 가격 대비 용량과 백업 용도 이외로는 써먹기 어려울 정도로 느린 응답 속도, 보관일수에 대한 안정성 보장이 없는 저장 기간 등의 요소로 인해 블루레이 디스크는 데이터 보존용으로도 미래가 어둡다. 그리고 현재 일부 방송국을 제외하면 촬영하는 이미지조차도 블루레이 대신 속도가 빨라 수정하기 쉬운 고용량 SDXC 카드에 저장하는 것이 대세이고, 가정용 영상 감상도 블루레이보단 VOD와 OTT로 보고 있는 실정이다. 프로그램 설치 마스터 이미지 또한 광 매체에서 읽기 전용이나 재사용할 수 있는 USB 플래시 메모리로 넘어가는 추세이다.

다만 VOD의 보급으로 판매 시장이 축소되고 매니아의 영역이 되어가고 있음에도 블루레이 비디오 시장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있는 건 블루레이만의 장점도 분명 있기 때문이다. VOD는 블루레이와 거의 같은 FHD, 4K UHD 해상도로 서비스하지만 그 화질이 블루레이에 비해서는 매우 떨어진다. 많은 사람들이 해상도를 화질과 같은 뜻으로 이해하지만 화질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건 비트레이트이며, 블루레이는 비용 절감을 위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신경써야 하는 VOD에 비해 이런 제약이 없고 더 많은 용량을 담을 수 있어 비트레이트 수치가 높다. VOD에서는 화면이 깨지거나 흐릿하게 나오는 장면도 블루레이로 보면 선명하게 나온다. 비트레이트만 단순히 비교하자면 OTT는 FHD의 경우 15Mbps 이하[14]의 비트레이트로 서비스를 하나 블루레이의 FHD는 15~35Mbps 수준이기 때문에 크게 차이가[15] 나며, 4K UHD 해상도의 경우 OTT에서 10Mbps 이상의 비트레이트로 서비스하긴 하나 울트라 HD 블루레이의 경우는 40~80Mbps이니 차이가 매우 크다.

음향의 경우는 차이가 더 크다. VOD는 트래픽을 절약하기 위해 음향 분야를 최대한 손실 압축해 가장 많이 희생하기 때문이다. 블루레이는 음향에서 무손실 코덱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음질 면에서 월등하다. 아직까지 VOD는 이러한 부분에서 블루레이를 따라잡지 못하며 영상을 최대한 손실 없이 원본 그대로 보려고 하는 매니아들은 여전히 블루레이에 돈을 지불하고 있다. 물론 시간이 흘러 전송 기술과 서버의 성능이 올라가면 이 또한 옛날 이야기가 될 것으로 전망이 되나, OTT 회사들이 비용 문제로 비트레이트를 높이는데 소홀하거나 오히려 낮추기도 하는 등 갈 길은 멀어 보인다. 특히 울트라 HD 블루레이의 정도의 화질이 서비스되기까지는 꽤 오랜 시간이 지나야할 것으로 보인다. 고가의 대형 TV를 보유하고 있다면 블루레이를 시청하는 것이 꽤 신선한 경험이 될 수 있을 정도로 화질의 차원이 다르니 블루레이 시청을 시도해 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

또한 블루레이가 매니아의 영역이 되면서 코멘터리, 메이킹 다큐, 삭제 장면 등 열성 팬들을 사로잡는 영상들을 풍부하게 수록하는 경우가 많은 반면, VOD에서는 이런 것에 소홀해 본편 외에는 아무 것도 없는 경우가 많다. 그렇기에 잘 만든 블루레이 디스크는 팬으로서 즐길 거리가 많으며, 이것 역시 블루레이만의 차별화된 장점이다.

또한 게임 용량이 어마어마하기 때문에 블루레이는 게임 저장 매체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국 같이 인터넷 환경이 나쁘지 않은 국가라면 인터넷 다운로드만 제공해도 큰 상관이 없겠지만, 그렇지 않은 국가는 게임을 다운로드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고 종량제가 시행되고 있다면 비용도 많이 들기 때문에 이런 국가들에는 여전히 블루레이가 필요하다. 그리고 게임 분야는 구입한 게임을 패키지로 소장하기를 원하는 사용자들도 많으며, 중고로 거래할 수 있는 것을 장점으로 여겨 블루레이를 선호하는 사용자들도 많기 때문에 게임 분야에서 인터넷 다운로드가 블루레이를 완전히 대체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5. 상용화


파일:Blu-ray Disc 로고.svg


파일:Blu-ray 3D 로고.svg


파일:Ultra HD Blu-ray 로고.svg

파일:4K Ultra HD 로고.svg


파일:High Fidelity Pure Audio 로고.svg

Blu-ray 비디오 Blu-ray 3D 비디오 Ultra HD Blu-ray 비디오 [[High Fidelity Pure Audio|{{{#white High Fidelity Pure Audio}}}]] (HFPA)

5.1. 블루레이 지원 게임기 목록

5.2. BD-R

Blu-ray Disc Recordable

CD-R, DVD-R/+R처럼 1회 기록이 가능한 형식.

레이어의 수에 따라 25GB(싱글 레이어), 50GB(듀얼 레이어), 100GB(트리플 레이어), 128GB(쿼드 레이어)를 기록 가능하다. 이 중 100GB와 128GB는 신 규격인 BDXL에서 추가되었다.

Ultra HD Blu-ray에는 66 GB짜리 듀얼 레이어 디스크도 정의되어 있으나, BD-R 디스크 규격에는 정의되어 있지 않다. 또한 Ultra HD Blu-ray와 BDXL는 내부 형식에 차이가 있어서 BDXL 100GB 디스크를 Ultra HD Blu-ray 플레이어에서 그대로 재생할 수는 없다.

5.2.1. HTL과 LTH

High-to-Low / Low-to-High

HTL과 LTH는 BD-R의 데이터 기록 전후에 디스크 기록면의 밝기가 변경되는 방식에 의해 붙여졌다. HTL은 기록 전에는 짙은 갈색 계열이었다가 기록 후에는 좀 더 밝은 색으로 바뀌며, LTH는 기록 전에는 황토색 계열이었다가 기록 후 좀 더 어두운 색으로 바뀐다. 이렇게 특성이 다른 이유는 BD-R의 데이터 기록면에 이용하는 염료가 다르기 때문. HTL은 무기물계 염료를 이용하며, LTH는 유기물계 염료를 이용한다. CD-R/DVD-R이 유기물계 염료를 이용하는 것과 달리 원래 BD-R은 무기물계 염료를 이용하지만, 제조 가격 절감을 위해 기존 CD-R/DVD-R 제조 공정을 활용하고 염료 또한 유기물계 염료를 이용하는 규격이 추가되었다.

가격 면에서는 LTH가 유리하지만, 유기물계 염료를 사용한 이상 장기 보존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당연히 제조사에서는 부인하지만, 여러 시험 결과 HTL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때문인지 BDA(Blu-ray Disk Association)에서는 LTH 디스크 판매 시 LTH임을 명시할 것을 규정했다.

싱글 레이어 BD-R만 LTH 디스크가 있으며, 멀티 레이어 디스크는 모두 HTL로 나온다.

5.3. BD-RE

Blu-ray Disc Recordable Erasable

CD-RW, DVD-+RW처럼 기존에 기록된 데이터를 삭제하고 다시 기록이 가능한 형식.

BD-R과는 달리 트리플 레이어 100GB까지만 있다.

6. 일본 애니메이션과 블루레이

2010년대 중반까지의 일본 애니메이션, 특히 심야 애니메이션은 수익의 대부분을 BD(+DVD) 판매량에 의존하고 있었다.[18] 하지만 DVD의 화질은 대부분 TV 화면에서 송출되는 것보다 좋지 않고, 무엇보다 2010년대 들어서 주력 매체가 DVD에서 블루레이로 바뀌며[19] 그에 따른 DVD의 몰락으로[20] 대부분 DVD와 블루레이는 가격차가 기본으로 1000엔 이상 남에도 불구하고 최근에는 DVD를 고르는 사람은 별로 없다. '비싸더라도 이왕 살 거 제대로 사자'라는 심리 때문.

이런 이유로 DVD는 재고가 남아도는 추세이며 판매 측에서는 DVD에는 별로 신경을 쓰지 않는다. 다만 팬들이 화질을 그다지 신경쓰지 않고 작품을 그저 소유하고 내용을 회상하는 데 중심을 둬서 저렴한 DVD를 많이 구매하며 BD보다 DVD 판매량이 높게 나오는 작품도 적지 않다. 작품의 흥행이 애매하게 됐을 경우 아예 DVD만 나오는 경우도 간혹 있는데 이런 경우 대개 여성향 작품이다.

가격이 많이 비싼 편으로, 보통 1쿨 12화 애니이면 한 권에 2화씩 총 6권 정도에 나눠서 판매한다. 한 권에 대략 7천엔 정도 하므로 애니메이션 1쿨을 전부 BD로 소지하려면 4만2천엔이라는 생각보다 큰 비용이 든다. 판매하는 측에서는 소비자들의 구매욕구를 높이기 위해 BD를 사면 특전으로 OVA나 음반 소설, 설정집 같은 것들을 끼워 넣어준다. 사실상 다 구입하는 사람은 일부고 일종의 후원 개념에 가깝게 1, 2권 정도만 구입하는 사람도 많다.

일본 애니메이션이 국내에 방영될 경우 선정적이거나 유혈이 나오는 장면은 블러 처리를 하거나 모자이크를 하기 때문에, 블러 없는 원본을 보려고 블루레이를 사기도 한다.

6.1. 블루레이 판매량 = 흥행의 척도?

이 때문에 2010년대 중반 즈음까지는 애니메이션의 성공을 평가할 때 블루레이의 판매량이 중요한 참고자료가 되었었다. 하지만 2010년대 후반 이후로는 일본 애니메이션 VOD 시장이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반영구적 수익인 VOD에서의 제작비 회수에 의존하는 경향이 커지는 추세이다.[21] 2017년 이후로 일본은 넷플릭스, 훌루, 아마존 프라임, DTV 4개사가 경쟁적으로 월정액 VOD 서비스를 하고 있으며 가입자도 매우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원래는 부가가치가 더 높은 블루 레이를 팔아먹기 위해 대여용으로는 DVD만 출시하거나 VOD 서비스에선 최대 720P 해상도만 서비스하는 게 관행이었으나 넷플릭스와 아마존 프라임이 본격적으로 들어오면서 각 회사가 1080P로 VOD 서비스를 시작해버린 영향으로 블루레이를 살 이유가 크게 줄어들게 된 것이다.

특히 2020년대부터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사태로 OTT 가입자 및 스트리밍 조회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면서 사실상 블루레이를 제치고 흥행 지표의 기준점으로 쓰이게 되었고, 2021년에는 원작자가 직접 스트리밍만으로도 대흑자를 낼 수 있었다고 언급하는 등# 스트리밍 수익만으로도 애니메이션의 흥행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증거들이 속속 나오고 있다.

그래서 BD 판매량은 망했으나 VOD 수익 등으로 흑자를 보는 애니도 늘어나면서 BD 판매량을 참고 자료로 쓰기 어렵게 되었고[22][23] 그 결과 2018년 기준 작품당 평균 블루레이 판매량은 전성기의 3분의 1밖에 안 나오나 애니메이션 시장 규모나 애니메이션 제작 회사들의 영업 이익은 오히려 커졌다.

또한 대략 이 시기부터 일본 국외로의 영상 판매나 송신, 굿즈 판매 등으로 얻은 이익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이런 현상이 절정에 달했던 2015년 즈음에는 가격에 거품이 끼어 일본에서는 망작 취급받는 작품도 상상도 못 할 만큼의 고가로 거래되기도 했다고. 다만 이도 오래가지는 못해서 2017년부터는 서서히 거품이 빠지기 시작하며 안정화되고 있다.

이전만큼의 지표는 안되지만 블루레이 판매 성적은 당장 빠르게 눈에 보이는 수치로 확인할 수 있고, 제작위원회가 직접 투자해 만든 상품이다 보니 예전만큼 핵심적인 척도는 아니더라도 여전히 애니 흥행 여부를 판가름하는 지표로 종종 거론되고 있다.[24] 그리고 야오요로즈의 대표이사 후쿠하라 PD도 제작위원회의 수익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를, BD 판매량이 1000장 아래로 내려가면 제작위원회로 참가한 각 회사들의 실질적인 수익이 줄어든다고 한다.

무엇보다 블루레이는 대체로 경제력에 여유가 있고, 작품을 매우 좋아하는 코어 팬층들이 주로 구매하기 때문에 BD의 판매 지표는 코어 팬덤의 규모와 이들의 작품 충성도를 가늠하는 지표로는 여전히 유의미하다. 실제로 체인소 맨의 BD 판매량은 1700여장으로 블루레이의 의존도가 낮아진 2020년대에 와서 흥행력에는 전혀 문제가 없었고 대표이사 오오츠카 마나부도 성공했다고 인정했음에도 작품의 인기에 비해 너무 저조하다는 반응이 많았는데, 이런 반응이 나온 이유는 바로 그 두터운 코어 팬층에서 원작과 달라진 연출에 블루레이를 안살 정도로 애니판을 외면해서 판매량이 안나왔다는 결론으로 귀추되기 때문이다. 반면 동 분기에 방영된 봇치 더 록!기동전사 건담 수성의 마녀는 체인소 맨보다 낮은 화제성 속에서 시작했음에도 불구하고 타겟층의 니즈를 확실하게 겨냥함으로써 각각 2만 8천여 장, 8천여 장의 판매량을 기록한 바 있다. 체인소 맨과 비슷하게 MF고스트 1기도 역시 작가의 전작이자 순위권 판매량을 기록한 인기작 이니셜D 시리즈와 비교하면 한참 적은 1400여장을 기록하며 코어 팬층의 외면을 받은 바 있다.

흥행에 성공했는데 블루레이 판매량이 안 나오는 작품도 있는데 이 경우는 둘 중 하나다. 첫 번째는 블루레이를 안 사는 신세대나 라이트 팬층을 타겟으로 성공한 케이스, 두 번째는 일반적인 시청자나 애니로 입문한 사람들에겐 어필했지만 원작의 매력을 못 살려서 원작 충성 팬에게 외면받은 케이스다.

보통 흥행의 최소컷으로 취급받는 1000장도 이젠 기준으로 삼을 수 없어졌는데 예를 들면 닥터 스톤은 600장 남짓의 판매량으로 폭망했지만 작가 말로는 VOD에서 잘 나가서 2기가 나온다고. 그리고 3기에 이어 완결편인 4기까지 나오게 되었다.[25] 닥터 스톤보다 더한 예로는 불꽃 소방대가 있는데, 이 작품은 1기가 교토 애니메이션 제1스튜디오 방화 사건 여파가 겹쳐 BD 판매량이 100장도 안되었지만 2기에 이어 완결편인 3기까지 애니화가 이루어졌다. 요컨대, 2010년대 초반까지는 블루레이 판매량이 흥행성적의 절대지표였지만 2010년대 중~후반에 들어서는 흥행성적 중 비교적 비중이 큰 지표 정도로 참고만 할 수 있는 정도로만 정착되었다는 것.

그런고로 2기가 나왔는지 여부 외에는 일반 시청자가 애니의 흥행을 객관적으로 알 방법이 없어진 셈이다. 심지어 2020년대부터는 BD 판매량이 시원치 않아 흥행이 망한 줄 알았던 애니들 중 5년이 넘게 지난 작품들의 2기가 나오고 있다.[26] 그리고 작화 매수 무제한, 매 화마다 다른 엔딩곡, 도쿄 전역에 광고라는 엄청난 돈을 쏟아부은 체인소 맨이 고작 1700여장의 블루레이를 판매했고 중국 수출도 못 했는데도 흑자였다고 하니 흥행 지표 중 하나로만 참고하기도 더욱 애매한 지경이다.

일이 이렇게 되어서 2020년대까지 와서 일본, 미국, 중국의 OTT 조회수, 해외 인기순위 사이트, 트위터나 관련 사업의 지속 여부 등 여러가지 정보와 지표를 참조하지 않고 블루레이 판매량만 들고 작품의 흥행의 우열을 가르는 사람이 있다면 시대가 변한 것을 잘 모르는 사람이거나, 고의로 갈드컵을 일으키려고 하는 사람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그리고 사실 원래부터 일본 애니메이션의 또다른 수익원 중 하나가 해외 수출 및 재방송 판권 계약이라서 그것 만으로 적자를 만회한 작품도 많았다. 눈에 확 보이는 BD,DVD 판매량를 흥행의 지표로 삼아서 이른 바 패권 애니라는 식으로 몹몰이를 하기 시작한 것은 야라온 등 마토메 블로그가 시조이며 이들은 이런 몹몰이로 조회수를 끌어올리고 자기가 좋아하는 애니를 밀어주는 정치질을 했다. 그래서 BD 판매량만 보고 망했다고 놀렸는데 제작사 입장에선 "전혀 안 망했는데요?" 라고 반응하는 애니메이션도 많았다. BD가 잘 나가던 예전에도 과장이 심했다는 것이다.

2021년에는 타카마츠 신지가 미국에서 일본 애니를 거액에 사가서 직접 비디오 매체의 판매는 출자액의 1할 정도만 벌어도 괜찮다며, 전부 해외에서 회수하면 된다는 식으로 수익 구조의 변화를 언급했다.# 사실상 블루레이 판매량의 부진이 작품 흥행 실패와 연결되지 않는다는 것을 직접적으로 시인한 것이다.

결론은 일단 블루레이 판매량이 해당 분기에서 괄목할 정도로 많이 팔렸다면 코어 팬층의 경제력과 충성도가 두텁다는 증거이며 또 흥행도 선방했다고 볼 수 있지만[27] 블루레이가 안팔려서 흥행에 실패했다고 귀결내리는 건 아닐 수 있다. 블루레이 판매량이 그저 그렇거나 너무 적다고 하더라도 OTT라는 변수가 커지면서 여기서 수익을 메꿀 수 있다는 것이다.

오히려 2010년대부터는 작품의 흥행 여부를 알아보려면 블루레이 판매량보다는 트위터의 팔로워 수나 공식 홈페이지 등의 소식 갱신이 활발한지 여부를 알아보는 것이 더 정확할 수 있는데, 망한 애니는 관련된 일체의 사업이 중단되므로 소식 갱신이 빨리 중단되나 어느 정도 성공한 작품은 몇 년이고 계속해서 활동하며 작품과 상품을 홍보한다. 무엇보다 온라인 게임 또는 모바일 게임을 원작으로 하는 애니메이션의 경우는 더 직접적으로 애니메이션 종영 후 원작이 서비스 종료가 발표되느냐 아니냐로 흥행여부를 알아볼 수 있게 되었다. 혹은 스폰서 측의 발표로 알아보는 방법도 있다. TOHO animation, KADOKAWA는 결산에서 수익이 많이 난 작품을 직접 언급한다.

2010년대 후반부터는 블루레이 예약율이 낮으면 발매를 중단시키는 경우도 많아졌다. 그러나 이 경우는 확실하게 흥행 참패라고 봐도 되는데, 블루레이가 아무리 흥행에 미치는 비중이 적어졌다고 할지라도 제작위원회 측에서 직접 투자를 한 상품의 판매를 중단시킨다는 것 자체가 작품의 흥행이 부진하여 더 이상 기대하지 않는다는 완곡행위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블루레이 발매가 중단된 작품들은 대개 부정적인 평가를 받거나 인지도가 너무 낮아 흥행에 참패해 홍보가 끊겨버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조금이라도 흥행 가능성이 점쳐진다면 블루레이 예약량이 낮더라도 대개 정상적으로 발매한다.[28] 다만 뒤늦게 입소문을 타서 흥행이 이루어지면 다시 발매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간혹 있다.

과거에 DVD나 BD가 전반적으로 잘나가던 시절에는 상품 가치를 높이기 위해 작화 붕괴를 수정해서 영상을 출시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블루레이 판매량이 전반적으로 줄어들고 업계의 인력은 부족한데 제작하는 애니메이션은 늘어나니 작화 수정할 인력을 신작에 돌리는 게 대세가 되었다. 그래서 스트리밍이 보급되어 BD 판매량이 추락한 2010년대 후반부터 BD 예약율이 높은 애니메이션이 아니면 작붕이 있든 말든 그대로 출시하는 경우가 많다.

7. 드라마 블루레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드라마 블루레이·DVD 문서
번 문단을
블루레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PC에서의 사용

일반 상업용 블루레이의 DRM인 AACS 1.0 버전의 자세한 구조에 대한 문서는 AACS LA 홈페이지에서 공개하고 있다.#

상업용 블루레이는 보통 암호화되어 있다. 암호화 키(Volume Unique Key, VUK 및 VUK로 얻어지는 Title Key 묶음)는 디스크마다 전부 다르지만, 일단 얻기만 하면 해당 디스크는 얼마든지 해독이 가능해진다. 하지만 웬만하면 인터넷 연결해서 쓰는 소프트웨어 플레이어면 몰라도, 이 방식으로는 하드웨어 BD 플레이어가 매번 나오는 새로운 디스크의 키를 알아낼 수가 없다. 따라서 이 암호화 키는 BD 플레이어 내부의 호스트 키(Device Key / Host Key 및 Certificate)와 디스크에 같이 실어주는 정보(Media Key Block, MKB와 Volume ID)를 이용해 플레이어에서 계산되는데, 이 MKB는 유출되어 무효화(revoked)된 호스트 키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MKB는 주기적으로 갱신되어 새로 나오는 BD 타이틀에 적용되며, 만약 특정 BD 플레이어 모델의 호스트 키가 유출되어 MKB에 적용되기 시작하면 그 플레이어는 그 시점부터 미래에 나오는 BD 타이틀들을 해독할 수 없게 된다. 이 경우 제조사에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로 키를 바꿔줘야 한다.

따라서 한참 전에 DRM(CSS)이 끝장나서[29] 아무 플레이어로나 재생 가능한 DVD와 다르게 BD는 PC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예를 들어, VLC팟플레이어)으로 바로 재생할 수 없다. 대신 위에서 말한 호스트 키를 내장한 파워DVD 같은 상용 소프트웨어[30]를 구입해야 하며, 모니터와 그래픽 카드가 모두 HDCP[31]를 지원해야 한다. 장착된 PC용 ODD 역시 지원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특히 파워DVD 16 울트라 버전은 15만 원이 넘는 가격이지만, 화질이나 기능 면에서는 블루레이 플레이어에 뒤지지 않으며, ISO 파일 재생까지 완벽 지원한다.

물론 블루레이 역시 오래된 포맷인 만큼 현재는 무료 프로그램으로도 재생할 방법이 있다. 특히 상용 플레이어 바이너리가 제공이 안되는 리눅스에서는 이쪽 방법밖에 없다. 먼저 AACS 호스트 키나 디스크 고유의 VUK를 구해서 libaacs 라이브러리로 직접 암호화를 해제하는 방법이 있다. 리눅스, FreeBSD 기준 VLC에 libaacs와 libbluray를 설치하고, libaacs.so가 생긴 것을 확인한 후에 ~/.config/aacs 디렉터리에 자신이 실기에서 추출한 AACS 호스트 키를 KEYDB.cfg 형식에 맞게 저장한 후 ODD에 디스크를 삽입하고 메뉴-디스크-블루레이를 선택 후 리눅스면 /dev/sr0, FreeBSD면 /dev/cd0으로 지정해주고 재생하면 재생이 된다. 자신이 호스트 키를 어둠의 경로로 구했다면 키가 리보크(무효화)되는 경우가 있어서 재생이 불가능하기도 하고, 법적인 문제가 있을 수 있기에 직접 추출해서 혼자 사용하도록 하자. BD가 BD+를 요구하는 경우 libbdplus를 설치하면 되나 매우 까다로우니 BD+가 적용된 타이틀을 재생하려면 후술할 MakeMKV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편이 좋다.

혹은 MakeMKV라는 프로그램[32] 및 MakeMKV의 라이브러리인 libmmbd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쪽은 디스크에 직접 접근이 가능하도록[33] ODD 펌웨어를 개조해주면 까다롭기로 유명한 울트라 HD 블루레이도 재생 및 백업이 가능하다. 이건 프로그램 내에서 자동으로 키 DB를 구해와서 따로 Keydb 넣을 필요는 없다. Windows에선 MakeMKV의 Integration 옵션에서 MakeMKV를 디코딩 툴로만 설정해주면 VLC 등 플레이어로 직접 재생이 가능하며[34], 잘 모르겠으면 실행 후 백업 버튼만 눌러줘도 알아서 암호화 해제하고 비디오 파일로 저장이 가능하다. 참고로 블루레이 비디오는 압축을 빡세게 하지 않기 때문에 백업 시 상당한 크기의 비디오가 튀어나오니(몇십 GB) 용이한 취급을 위해선 추출 후 추가 인코딩이 필요할 수 있다.

이쪽은 리눅스 역시 GUI가 제공되어 이걸로 백업할 수도 있고, libmmbd는 libaacs와 libbdplus를 자체적으로 에뮬레이트하는 기능이 있어 /usr/lib64에 있는 libmmbd64.so를 심볼릭 링크로 등록해 libaacs.so 및 libbdplus.so(BD+)로 인식되게 하면 VLC에서 바로 재생이 가능하고 직접 호스트 키를 추출하기 귀찮은 사람에게도 추천한다. 하지만 FreeBSD의 경우 MakeMKV 패키지가 GUI를 지원하지 않고 몇가지 트릭을 이용해 사용해야 하므로 불편할 것이다. FreeBSD 기준 바이너리 패키지에 포함된 VLC는 블루레이 관련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으므로 소스 컴파일로 설치하도록 하자. 대부분의 경우 타이틀 메뉴 기능도 정상 작동하지만 일부 마우스 조작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이 때는 키보드를 이용해 BDP의 리모컨을 조정한다는 느낌으로 조작하면 정상 작동한다.

9. 여담

10. 관련 문서

11. 둘러보기

💾 컴퓨터 메모리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휘발성 메모리
<colbgcolor=#E0E0E0,#222> RAM DRAM · SRAM · T-RAM · Z-RAM
비휘발성 메모리
ROM Mask ROM · PROM · EPROM · EEPROM
플래시 메모리 USB 드라이브 · SSD · eMMC · UFS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메모리 카드
Secure Digital(miniSD/microSD) · CompactFlash · 메모리 스틱 · UFS 카드 · XQD · CFExpress · xD 픽처카드 · 스마트미디어 }}}
NVRAM nvSRAM · FeRAM · MRAM · PRAM(옵테인 메모리)
기계식 자기테이프 · 플로피 디스크 · ZIP 드라이브 · 슈퍼디스크 · 하드 디스크(Microdrive) · 광학 디스크
개발중 CBRAM · SONOS · RPAM · Racetrack Memory · NRAM · Millipede Memory · FJG}}}}}}}}}

📼 영상물 저장 매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555>필름형필름 판형 · EVR · Laserfilm(1984)
테이프형2" Quadruplex(1956) · CV-2000(1965) · U-matic(1971) · Cartrivision(1972) · VCR(1972) · V-Cord(1974) · VX(1974) · Betamax(1975) · VHS(1976) · 1" Type-C(1976) · Video 2000(1979) · CVC(1980) · Betacam(1982) · Video 8(1984) · MII(1986) · DV(1995) · Ruvi(1998) · MicroMV(2001)
디스크형Ampex-HS(1967) · TeD(1975) · LD(1978) · CED(1981) · VHD(1983) · CD-V(1987) · VCD(1993) · DVD(1996) · SVCD(1998) · EVD(2003) · UMD(2004) · FVD(2005) · Blu-ray Disc(2006) · HD-DVD(2006) · VMD(2006) · Ultra HD Blu-ray(2016)
데이터형틀:비디오 포맷 참조 }}}}}}}}}

💿 음반 매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936>아날로그<colbgcolor=#E0E0E0,#222>레코드실린더 레코드 · 표준시간 음반(SP) · 장시간 음반(LP)[1] · 익스텐디드 플레이(EP)[2]
자기테이프오픈릴 테이프 · 카세트 테이프
디지털ODDCD(CD-i[3] · 미니디스크(MD) · SACD) · DVD-Audio · BD-Audio · UMD[4]
자기테이프디지털 오디오 테이프(DAT) · 디지털 콤팩트 카세트(DCC) · NT
데이터 파일MP3 파일[5] · USB 메모리 · SD카드[6] · 플랫폼 앨범
{{{#!folding [ 각주 펼치기 · 접기 ] }}}}}}}}}

[1] 콜럼비아 개발 규격, 12인치 33.3 RPM.[2] RCA 빅터 개발 규격, 7인치/12인치 45 RPM.[3] 몇몇 음반이 CD-i로 발매되었다.[4] 극소수의 음반이 UMD로 발매되었다.[5] 매체 대신 다운로드 코드만 있는 게 있고 이를 통해 인터넷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뮤직 커넥팅 카드 등이 그 사례. 다만 이는 매체 안에 음원이 없으므로 음반으로 볼 수 없다. 이는 국가, 차트 집계 회사마다 다르며 일본 오리콘 차트는 이를 음반으로 보지 않는다.[6] 24비트 무손실로도 출시될 경우, 거의 이 방식을 이용하는 추세다.



[1] 푸른 빛을 쓰는/쓸 여지가 있는 기기에 "푸른 빛"이라는 이름은 상표 등록이 불가능하다. 푸른 빛을 사용하는데 이를 푸른 빛이라 부르지 못하는 웃긴 상황을 막기 위해서이다. "푸른 빛"을 쓰는 것을 독점하고 싶으면 상표가 아니라 특허로 등록받아야 한다. 먹거리에 "캔디" 역시 상표 등록이 불가하다. 반면 먹거리가 아닌 게임같은 분야에서는 캔디가 상표로 등록 가능하다. 누군가에게 독점권이 있어서 캔디를 못 쓰면 (예시로) 쥬스를 쓰면 되기 때문이다. 애플 역시 사과잼 같은 데에는 상표로 쓰지 못하며, 컴퓨터에는 사용 가능하다.[2] DVD와 달리 블루레이는 PC를 통해 추출하거나 감상할 시 지역 코드가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한 유럽 지역 블루레이 플레이어는 대개 NTSC와 PAL 모두를 지원하기 때문에 리전 프리를 통해 플레이어로 감상할 수도 있다.[3] 한국과 타이완, 필리핀은 NTSC 방식이고, 나머지는 PAL 방식.[4] 이쪽은 전부 PAL 방식이나 SECAM 방식도 사용한다.[5] 둘 다 무손실 압축 포맷. 보통 립을 뜰 때는 코어 부분인 DTSAC3로 변환하는 경우가 많다.[6] 프로파일 문제. 첫 버전이 1.0인데, 여기는 PIP에 필요한 두 번째 영상 동시 디코딩 기능이 필수가 아니었다. 본격적으로 필수가 된 것은 프로파일 1.1. 일부 타이틀은 일반 영상과 PIP 영상을 박아 넣은 코멘터리 영상을 따로 넣는 방식을 쓰기도 했다.[7] 파라마운트는 그해 최고 흥행 영화로 기대되던 트랜스포머의 가정용 시장 판매를 앞두고 있었기에 충격이 컸다. 그래서 HD-DVD 측에서 수억 달러의 보조금을 지원했다는 루머가 돌았다.[8] 사실 이는 친 HD-DVD파이자 전 워너의 부사장인 '스티브 니커슨'이 퇴임함으로써 어느 정도 예상된 일이다.[9] 2014년 7월 한국 가격 기준으로 BD-R 미디어는 멜로디社 제품이 25GB BD-R 싱글 레이어 10장(250GB) 9,000원 50GB 듀얼 레이어(BD-R DL) 10장(500GB) 35,000원, 하드 디스크시게이트 1TB가 70,000원이다. 단순히 1TB까지의 용량만 놓고 보면 하드 디스크보다 그럭저럭 저렴하다. 하지만 이것도 3TB까지 올라가면 하드 디스크의 GB당 단가가 더 내려가기 때문에 하드가 더 저렴해지기도 한다.[10] 컴퓨터에 달아 두지 않은 채 습도 적고 일정 온도를 유지하는 곳에 밀봉, 보관해 두면 10년 넘게도 버티는 게 하드 디스크인 반면, 광 매체는 공장에서 찍어서 나오는 물건이 아니면 매체의 등급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중저가에 판매되는 매체의 경우 길어야 10년 내외이다. 다만 블루레이는 내충격성이 있다.[11] 매뉴얼에는 USB 하나만 꽂아서 써도 관계없다고 언급하지만, 최대한의 성능을 이끌어 내려면 2개 다 꽂아야 한다고 한다. 따라서 USB 2.0 인터페이스여도 노트북에다가 USB 허브를 달아서 쓰려면 USB 3.0 유전원 허브가 필요하며, 허브에다가 전기를 꽂아서 써야 잘 인식한다. 무전원 모드로 돌릴 경우 CD는 괜찮지만 DVD부터는 미디어 인식부터 좀 빡센 편이다.[12] 넷플릭스 같은 형식의 스트리밍 사이트가 대세가 되기 이전에도 한국에서는 DVD 플레이어에서 IPTV로 넘어가는 형국이었기 때문에 블루레이는 일반인들에게 인지도 자체가 없었다.[13] 다이요유덴이 광미디어 사업을 정리할 때 장비와 기술을 인수했다. 또한 버바팀도 인수했다.[14] 15Mbps는 프라임 비디오, 개중에서도 일부 작품으로 한정된다. 반대로 5Mbps 이하로 서비스하는 경우 역시 극단적인 케이스로 간주되므로 통상치는 5~10Mbps 정도로 보면 맞다.[15] 통상 20~30Mbps 정도이지만 20Mbps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도 제법 흔하고 반대로 35Mbps를 초과하는 수치가 상식인 곳도 있다. 간혹 FHD임에도 10Mbps도 안 되는 특이 케이스도 있긴 하나 이는 표준으로 간주되지 않는다.[16] 32비트 규격도 도입을 시도하고 있고 Pure Audio Blu - ray(PABD)와 같은 목표는 동일한 다른 주도권(이니셔티브)도 존재한다.[17] 하드웨어는 3DBD를 지원하나 소프트웨어가 지원하지 않음. 추후 업데이트로 고쳐질 수 있음.[18] 최근 나오고 있는 기본적인 퀄리티있는 심야 애니메이션 기준으로 제작비 1화당 2000만 엔 X 13화(1쿨) = 2억 6천만 엔, 방송 비용+광고비 = 4000만 엔, 총합 3억 엔 정도이다. 단순하게 계산해 볼 경우 1쿨(5권 수록) BD(DVD) 권당 평균 판매량 1만 장, 누적 판매량 5만 장이나 되어도(이 정도면 각 분기에서 최상위권 판매량이다) BD(DVD) 구성품의 원가가 있기 때문에 블루레이만으로 제작비 회수가 어렵다.[19] 2009년 바케모노가타리전체 평균 5만5천장, 초동판매 4만8천장(4권)이라는 괴물같은 판매량을 기록한 것이 기점이었다.[20] 후술되어 있듯 최근에는 VOD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블루레이도 앞으로 얼마나 갈지는 미지수이다.[21] 일본 애니메이션 VOD 매출액: 2010년 149억 엔 / 2011년 160억 엔 / 2012년 272억 엔 / 2013년 340억 엔 / 2014년 408억 엔.[22] 대표적인 예가 카케구루이 시리즈. 카케구루이 1기의 BD 판매량은 1000장도 채 되지 않는 수준이었으나 넷플릭스 독점 스트리밍으로 큰 수익을 내서 후속작 카케구루이 ××도 나왔다.[23] 또 다른 예는 바이올렛 에버가든. 평균판매량이 7,575장으로 쿄애니의 명성에 비하면 높지 않은 수준이지만 넷플릭스에서 독점스트리밍 되었고 이 때문에 투자대비 5배 이상의 수익을 올린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힘입어 외전과 극장판까지 제작되었다. 또한 이것을 입증하기에 가장 적합한 예를 들자면 BD는 400장밖에 팔리지 못했으나 스트리밍만으로 크게 흑자를 본 전투원, 파견합니다!가 있다.[24] 일례로, 5등분의 신부는 처참한 애니 퀄리티에 온갖 비판이 쏟아졌지만 정작 BD판매량이 호조를 보이면서 빠르게 2기 제작이 확정되었다.[25] 닥터 스톤은 일본 OTT 서비스인 D스토어에서도 상위권 인기를 자랑하고 있고, 원작도 연재지인 주간 소년 점프에서 상위권이다.[26] 대표적으로 어서 오세요 실력 지상주의 교실에 2nd Season, 마사무네의 리벤지 R, 이세계는 스마트폰과 함께. 2 등이 있다. 대부분 1기의 BD 판매량이 종래의 2기가 나오기에는 역부족이라고 간주되던 작품들이다.[27] 다만 애니의 원작이 게임일 경우에는 보통 게임 홍보 차원에서 게임 내의 레어 아이템을 주는 특전을 넣어주기 때문에 이를 노리고 사는 사람들이 많아 이조차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러브 라이브! 같은 아이돌물도 블루레이에 오프라인 이벤트 신청권이 추가되어 어느 정도는 부풀려진다.[28] 실제 블루레이 판매가 중단당한 작품의 사례로는 Phantom in the Twilight, 킹스레이드: 의지를 잇는 자들, BLUE REFLECTION RAY, 불길한 바르하이트 -ZUERST-가 있으며, 이들 작품 모두 시청자들에게 혹평과 무관심 속에 흥행에 참패한 작품들이다.[29] 사실 DVD CSS도 어쨌든 암호화는 암호화라 리눅스 쪽에선 별도로 libdvdcss 패키지를 깔아야 할 수 있다.[30] 토탈미디어 씨어터가 판매 중단된 지금 PC용 블루레이 재생 프로그램은 사실상 파워DVD가 유일하다.[31] 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 고대역 디지털 컨텐츠 보호기술.[32] 유료 프로그램이긴 한데, 거의 10년 넘게 베타 동안엔 무료라면서 포럼에서 달마다 갱신되는 무료 인증키를 제공중이다. 매달 갱신하기 귀찮으면 구매하라는 식.[33] LibreDrive 모드라고 부른다. 드라이브 제조사 측에서 펌웨어로 디스크 직접 접근을 막고 DRM 해제 절차를 강제하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MakeMKV 포럼의 관련 설명지원되는 드라이브 목록과 펌웨어 교체 관련 정보[34] 메뉴 재생을 위해선 Java가 필요한데, 만약 Java 런타임(JRE) 설치 후에도 안 된다면 윈도우 환경 변수에서 JAVA_HOME 및 JRE_HOME를 JRE 폴더로(보통 C:\\Program Files\\Java 내에 JRE 버전명으로 설치된다.) 설정해 줄 필요가 있다.[35] 다만 4K 블루레이의 스펙에는 50p59.94p HFR도 있음에 유의. 이 둘은 각기 PAL HFR과 NTSC HFR에 해당한다.[36] RadioShack의 어댑터는 별도의 전원이 필요없다.[37] 사실 PS3는 기본적으로 게임기이기 때문에 이는 당연한 것이다.[38] 물론 PS1, 2의 완벽 하위 호환이 되는 초창기 모델의 중고 가격은 이후 개선판 모델들보다 훨씬 더 비싸다.[39] 필름을 HD화 하려면 필름을 스캔해서 복원 작업을 거쳐야하는데 복원 작업도 매우 손이 많이 가지만 스캔 과정이 엄청난 시간이 걸린다. 수십 년이 지난 필름을 스캔하면 필름이 삭아 자주 끊어져 사람이 관리해줘야 하며 필름을 빨리 돌릴 수도 없어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리기로 악명이 높다. 거기다 이걸 할 수 있는 장비를 갖춘 업체는 세계에 몇 없다.[40] 마신영웅전 와타루나 미소녀전사 세일러문, 기동전사 건담의 역습의 샤아, 절대무적 라이징오처럼 BD로 발매하면서 화질 개선 등 리마스터링이 잘된 작품들도 있긴 하다. 이런 작품들은 지금도 상업성이 있기 때문에 화질 복원이란 특권을 누릴 수 있는 것이다.[41] 라스트 엑자일, 안녕 절망선생, 식령 -제로-[45], 비탄의 아리아, 이리야의 하늘, UFO의 여름, 크로노 크루세이드(독일판 독점 출시), 성계 시리즈[42] 카우보이 비밥, 마리아 홀릭, 참 안녕 절망선생, 스크라이드, 절대가련 칠드런, CANAAN 등. 이런 작품들은 작중 프레임레이트가 23.98fps를 유지하지 않는, 즉 장면에 따라 29.97fps나 59.94fps를 자유로이 오가는 가변 프레임레이트 영상일 가능성이 높다.[43] 신비한 바다의 나디아, 천공의 에스카플로네, 기동전함 나데시코, 강철의 연금술사, serial experiments lain 등. 본편은 1080p이지만 일부 특전 영상들은 1080i 혹은 그보다 낮은 해상도로 수록되었다.[44] 물론 이는 필름 상태에 따라 다르고, 아무리 16mm더라도 그레인은 단순 노이즈가 아니라 필름 자체를 구성하는 요소인 만큼 여건만 된다면 2K뿐만이 아니라 4K, 6K 이상으로 복원하는 경우도 많다. 반면 애니메이션의 경우 기본적으로 실사 영상에 비해 정보량이 적기도 하고, 화질에 크게 신경쓰지 않은 제작사가 세일러 문 블루레이와 같이 필름 재스캔을 일체 하지 않고 DVD 출시때 썼던 SD 마스터를 그대로 재탕해 단순 업스케일 발매하는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