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19 22:28:05

블루 문

Blue Moon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블루문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블루 문(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태양계 천문학·행성과학
Solar System Astronomy · Planetary Scienc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arkOrange><colcolor=#fff> 태양계
태양 햇빛 · 태양상수 · 흑점(밥콕 모형) · 백반 · 프로미넌스 · 플레어 · 코로나 · 태양풍 · 태양권
지구 지구 구형론(지구타원체) · 우주 방사선 · 지구자기장(자극점 · 지자기극점 · 다이나모 이론 · 오로라 · 밴앨런대 · 델린저 현상 · 지자기 역전 · 지자기 폭풍)
달빛 · 만지구 · 지구조 · 슈퍼문 · 블루 문 · 조석(평형조석론 · 균형조석론) · 달의 바다 · 달의 남극 · 달의 뒷면 · 월석 · 후기 대폭격
월식(블러드문 · 슈퍼 블루 블러드문) · 일식(금환일식) · 사로스 주기 · 엄폐
소행성체 소행성(근지구천체 · 토리노 척도 · 트로이군) · 왜행성(플루토이드) · 혜성(크로이츠 혜성군)
별똥별 정점 시율 · 유성우 · 화구 · 운석(크레이터 · 천체 충돌 · 광조)
우주 탐사 심우주 · 우주선(유인우주선 · 탐사선 · 인공위성) · 지구 저궤도 · 정지궤도 · 호만전이궤도 · 라그랑주점 · 스윙바이 · 오베르트 효과 · 솔라 세일 · 테라포밍
천문학 가설 태양계 기원설 · 티티우스-보데 법칙 · 네메시스 가설 · 제9행성(벌칸 · 티케 · 니비루) · 후기 대폭격
음모론 지구 평면설 · 지구공동설
행성과학
기본 개념 행성(행성계) · 이중행성 · 외계 행성 · 지구형 행성(슈퍼지구 · 바다 행성 · 유사 지구 · 무핵 행성) · 목성형 행성 · 위성(규칙 위성 · 준위성 · 외계 위성) · 반사율 · 계절 · 행성정렬 · 극점
우주생물학 골디락스 존(온실효과 폭주) · 외계인 · 드레이크 방정식 · 우주 문명의 척도(카르다쇼프 척도) · 인류 원리 · 페르미 역설 · SETI 프로젝트 · 골든 레코드 · 아레시보 메시지(작성법) · 어둠의 숲 가설 · 대여과기 가설
틀:천문학 · 틀:항성 및 은하천문학·우주론 · 천문학 관련 정보
}}}}}}}}} ||

파일:external/mystic-investigations.w4lizsrnr.netdna-cdn.com/Blue-Moon-Woodland-Springs-Colorado.jpg

1. 개요2. 24절기에 의한 전통적인 의미3. 현재의 의미4. 특별한 블루 문5. 블랙 문6. 진짜로 푸른색을 띠는 달 (청월)

1. 개요

Blue Moon

달빛의 색깔과 관계없이 보름달이 한 달에 2번 뜨는 현상을 일컬으며, 여기서 두 번째로 뜨는 달을 ‘블루 문'이라고 한다. 블루문은 윤달과 깊은 관련이 있다.

일반적으로 보름달은 1년의 각 달마다 뜨기 때문에 총 12번 떠야 마땅하다. 하지만 보름달의 주기는 29.53059일(29일 12시간 4분 3초)이며, 이 주기가 태양력의 한 달(28~31)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보름달이 뜨는 날이 태양력 기준으로 조금씩 밀리다가 윤달과 마찬가지로 19년마다 7번, 5년마다 2번 정도의 주기[1]로 1년에 13번의 보름달이 뜬다.

2. 24절기에 의한 전통적인 의미

수백년 전의 기록에 의하면, 원래 블루문은 동양의 24절기에 의해 사계를 나누고 그 중심인 춘분, 하지, 추분, 동지 사이에 보름달이 4번 뜨면 그 계절의 3번째 뜨는 달을 블루문이라고 했다. 2021년 8월 22일에 진정한 의미의 전통적인 블루문이 떴는데 이것으로 예를 들어보면, 2020년 12월 21일이 동지인데 이를 기준으로 보름달을 세면[2] 총 13번이 나온다. 동지에서 춘분 사이는 총 3번의 보름달이, 춘분에서 하지 사이는 총 3번의 보름달이, 하지에서 추분 사이는 총 4번의 보름달이, 추분에서 동지 사이는 총 3번의 보름달이 뜬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각 계절의 보름달을 셀 때, 그 계절의 첫 절기일부터 다음 절기의 전날까지 계산한다. 쉽게 말해, 2020년 12월 21일 동지 당일을 포함해서 2021년 3월 19일 춘분의 전날[3]까지가 한 계절인 것이다. 그리고 다시 2021년 3월 20일 춘분부터 하지 전날인 6월 20일까지의 보름달을 세면 된다.[4] 이렇게 네 계절 중 하지에서 추분 사이에 뜨는 4번의 보름달 중 3번째 보름달인 8월 22일을 블루문이라고 하는 것이 진짜 전통적인 의미의 블루문이다.
위의 날짜 전부 한국 기준으로 원래 뜻의 블루문이라 칭하는 한 계절의 4개의 보름달 중 3번째 보름달이다.[5]

3. 현재의 의미

요즘에 많이 쓰이는 정의인 한 달에 보름달이 두 번 뜰 때, 두 번째 뜨는 달은 1946년 3월호에 실린 Sky & Telescope의 기사의 "Once in a Blue Moon"를 쓴 아마추어 천문학자 James Hugh Pruett가 전통적인 정의를 잘못 해석하여, 계절적 연계가 없는 단일한 태양력 달력의 두 번째 보름달이라고 하여 현대의 구어적 오해를 불러일으킨 것이다. 이렇게 변질된 정의는 1980년 1월 31일 인기 라디오 프로그램인 StarDate에서, 그리고 1986년 상식 문제를 맞춰야 하는 보드게임인 Trivial Pursuit에서 Pruett의 정의를 근거로 해당 용어가 사용된 이후로 사람들이 널리 쓰게 되었다. 링크

블루문이라는 명칭은 서양에서 사용하는 표현이다. 동양에서는 보름달을 풍요의 상징으로 여기며, 보름달이 뜨는 시기에는 각종 기념일 및 전통 풍속을 가졌던 반면에. 서양에서는 보름달이 불운을 가져온다고 믿어 불길한 존재로 인식하고 있었다. 때문에 한 달에 보름달이 2번이나 뜨는 불길한 현상을 블루문이라고 칭하게 되었다. 이 어원은 ‘blue’와 비슷한 옛날 단어인 'belewe‘에는 배신하다(betray)라는 뜻이 있는데, 두 번째 보름달을 ’배신자의 달‘이라고 칭한 것이 블루문의 어원으로 가장 유력한 가설이다. 왕립 그리니치 박물관 (Royal Museums Greenwich)의 게시글 참고.

한편 블루 문의 '블루(blue)'에는 '우울한 / 침울한'이란 뜻도 있어서인지, 블루스 음악이나 재즈에서는 소재로 자주 삼기도 한다. 블루 문 혹은 블루라는 이름을 단 곡도 많고,(ex. 리처드 로저스와 로렌츠 하트의 1934년작 재즈 발라드 곡 "Blue Moon") 실제로 몇몇 블루스나 재즈 곡들은 가사가 시궁창인 경우도 적지 않다.

Once in a blue moon은 극히 드물게라는 뜻이다.

4. 특별한 블루 문

파일:슈퍼블루문.jpg

약 150년 만에 일어나는 슈퍼 블루 블러드문이 존재한다. 슈퍼문 + 블루 문 + 블러드문(개기월식). 2018년 1월 31일에 블루문[6], 슈퍼문까지 합쳐진 희귀한 달이 떠 일반인뿐만 아니라 전문가들까지 전부 들떴다. 링크 원래 의미의 블루문은 2019년 5월 18일에 일어났다.

2020년 10월 31일 할로윈에는 블루문+미니문이 떴다. 시각은 오후 11시.

슈퍼 블루문도 존재한다. 슈퍼문 + 블루 문.

5. 블랙 문

어찌 보면 블루 문의 반대 개념. 달력상의 두 번째 신월이나 한 달에 두 번째 뜨는 신월이다. 하지만 신월은 관측이 불가능하기에 블루 문만큼 큰 주목을 받지는 않는다.

6. 진짜로 푸른색을 띠는 달 (청월)

靑月
Blue Moon

다크 판타지 계열의 창작물에서는 푸른빛으로 빛나는 달이 신비롭게 보이기 때문인지 요기를 품고있어 이 달의 주술이나 저주에 걸린 사람들은 흔히 늑대인간이나 곰인간이라고 불리는 라이칸스로프로 변이시킬수 있다는 설정이 자주 나온다.

하지만 두 번째로 뜨는 보름달이 첫 번째로 뜨는 달보다 더 푸른색을 띠거나 하지는 않으므로, 위의 블루문의 색깔과는 무관한 명칭이다. 실제로 달이 푸른빛을 띠려면 대기 중의 연기나 먼지의 농도가 짙어지는 경우 붉은빛이 산란되어 그렇게 보일 수 있다. 이 경우 보름달이 아니더라도 달이 푸르게 보일 수 있으며, 1950년과 1951년 스웨덴과 캐나다에 산불이 났을 때, 1883년 인도네시아의 크라카타우(krakatau) 화산이 분화했을 때 블루문이 관측되었다고 한다.


[1] 2~3년마다 1회, 더욱 자세하게는 약 2.716년 간격 = 약 2년 8개월 18일 주기이다.[2] 당일부터 태양력의 이듬해 같은 일 전날까지 계산하는 게 아니라, 24절기에 의한 이듬해 전날까지이다. 즉, 동지부터 시작해서 이듬해 동지의 전날까지를 1년으로 취급해서 계산한다. 당해 동지는 2020년 12월 21일, 그리고 이듬해 동지는 2021년 12월 22일이었다. 즉 2020년 12월 21일~2021년 12월 21일(동지 전날)까지가 1년.[3] 2021년 3월 20일이 춘분이다.[4] 기준이 되는 4개의 절기에 보름달이 뜰 수 있기에 이렇게 쳐서 계산해야 정확히 전부 맞아 떨어진다. 예를 들어, 춘분에 보름이 뜨는 날이면 동지-춘분에서는 춘분을 포함 시키지 않고, 춘분-하지에 춘분을 포함 시킨다. 그리고 춘분-하지에는 하지가 보름이든 아니든 무조건 포함 시키지 않는 것이다. 다른 계절도 마찬가지다.[5] 못 믿겠음 직접 위의 방법대로 보름달을 세보면 1년의 총 13번, 그 중 계절별로 셌을 때 4개의 보름달이 있는 계절의 3번째 보름달이 블루문이다. 여기서 계절은 동지-춘분, 춘분-하지, 하지-추분, 추분-동지로 총 4개의 계절이다.[6] 2018년 1월 31일의 블루문은 현재 널리 쓰이는 한 달에 2번 뜨는 보름달 중 두번째 보름달을 뜻한다. 진짜 본래의 블루문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