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align=center><table width=600><table bordercolor=transparent><table bgcolor=transparent><table color=#fff,#fff>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width=35%>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 ||
||feat.하츠네 미쿠 ||
{{{#!wiki style="padding: 5px 0 0; margin: 0 0 -7px;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33%); min-height: 2em"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nt-size: 0.95em"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color: #ffffff; border-radius: 12px; background: #444466; padding: 3px 0 2px" {{{#!folding ⠀캐릭터 ▼⠀ {{{#!wiki style="margin: -7px 0 -3px"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fff,#aaa><table bordercolor=#ebebf2,#444466><nopad> | |||||||||
| ||||||||||
| ||||||||||
| ||||||||||
| ||||||||||
| ||||||||||
만우절 한정 유닛 (1차 · 2차 · 3차 · 4차) | 콜라보 한정 유닛 DI:Verse | 기타 등장인물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33%); min-height: 2em"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nt-size: 0.95em"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color: #ffffff; border-radius: 12px; background: #444466; padding: 3px 0 2px" {{{#!folding ⠀게임플레이 ▼⠀ {{{#!wiki style="margin: -7px -0px -3px" | <colbgcolor=#ebebf2,#50545e><colcolor=#444466,#fff> 세계관 | 배경 | 스토리 (메인 스토리 · 이벤트 스토리 · 키 스토리) | ||||
음악 | 수록곡 | 음반 (싱글) | ||||||||
콘텐츠 | 이벤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color: #ffffff; border-radius: 4px; background: #444466; padding: 0px 5px" | |||||||||
뽑기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color: #fff; border-radius: 4px; background: #444466; padding: 0px 5px" | ||||||||||
<rowcolor=#444466,#444466> 랭크 매치 | 마이세카이 (가구) | |||||||||
<rowcolor=#444466,#444466> 시스템 (에어리어 · 라이브 · 멤버 · 미션) | ||||||||||
라이브 | 버추얼 라이브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color: #ffffff; border-radius: 4px; background: #444466; padding: 0px 5px" | |||||||||
커넥트 라이브 | ||||||||||
오프라인 라이브 |
- ⠀관련 문서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fff,#191919><table bordercolor=#ebebf2,#444466><colbgcolor=#ebebf2,#50545e><colcolor=#444466,#fff><width=20%><:> 기타 ||<-6><tablecolor=#444466,#fff> 팁 · 오프라인 이벤트 · 창작 콘테스트(의상) · 난이도 표기 문제(Lv.33 이상) · e스포츠 대회 · 프로세카 아카데미 · 라디오 및 정보 프로그램 · 노래방 수록곡 · 해외 서비스 · 발매 전 정보 ||
사건 사고 일본 서비스 · 한국 서비스
캐릭터 차별 대우 논란미디어 믹스 푸치세카 · Journey to Bloom · 극장판 애니메이션 관련 사이트 디시인사이드 갤러리 · 디시인사이드 한국서버 갤러리
<nopad> 극장판 프로젝트 세카이 부서진 세카이와 전해지지 않는 미쿠의 노래 (2025) 劇場版プロジェクトセカイ壊れたセカイと歌えないミク COLORFUL STAGE! The Movie: A Miku Who Can't Sing | |||
| |||
<nopad> {{{#!wiki style="text-align: center; max-width: 550px; margin: 0px auto; padding: 8px 10px; background-image: radial-gradient(circle at 50% 50%, #fff 0%, transparent 150%), linear-gradient(to top, #d9f2f9, #d9f2f9)" {{{#2c2c2c,#2c2c2c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colbgcolor=#ffffff><colcolor=#2c2c2c> 장르 | 음악 | |
감독 | 하타 히로유키 | ||
각본 | 요나이야마 요코(米内山陽子) | ||
원작 | 세가 / Colorful Palette / 크립톤 퓨처 미디어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 | ||
기획 | 야마우치 타카히로(山內隆裕) 타카하시 토시히로(高橋敏弘) 우츠미 슈지(内海州史) 콘도 유이치로(近藤裕一郎) 이토 히로유키(伊藤博之) 호리카와 켄지 | ||
캐릭터 디자인 | 아키야마 유키총 작화감독 | ||
서브 캐릭터 디자인 | 츠지 마사토시총 작화감독 | ||
프롭 설정 | 마키노 히로미(牧野博美) | ||
미술 감독 | 스즈키 쿠루미(鈴木くるみ) | ||
미술 설정 | 시오자와 요시노리(塩澤良憲) | ||
촬영 감독 | 이와이 카즈야(岩井和也) | ||
색채 설계 | 테시마 아케미(手嶋明美) | ||
CGI 디렉터 | 오가와 쿄스케(小川喬右) 스즈키 하루키(鈴木晴輝) | ||
편집 | 타카하시 아유무(髙橋 歩) | ||
음향 감독 | 아케타가와 진 | ||
음향 효과 | 우에노 레이(上野 励) | ||
음향 제작 | 매직 캡슐(マジックカプセル) | ||
음악 | 호노 사토시(宝野聡史) | ||
음악 제작 | APDREAM(アップドーリム) | ||
음악 프로듀서 | 타노우에 마모루(タノウエ マモル) | ||
프로듀서 | 카바시마 마나미(椛嶋麻菜美) 오쿠나가 요시마사(奥永祥正) 와타나베 하야토(渡辺勇斗) 콘도 유이치로(近藤裕一郎) 사사키 와타루(佐々木 渉) 츠지 미츠히토(辻 充仁) | ||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 야마모토 히카루(山本 輝) | ||
애니메이션 제작 | P.A.WORKS | ||
제작 간사 | CyberAgent | ||
제작 | 「극장판 프로젝트 세카이 부서진 세카이와 전해지지 않는 미쿠의 노래」 제작위원회[1] | ||
수입사 | |||
배급사 | |||
개봉일 | |||
화면비 | 16:9 | ||
상영 타입 | 2D | MX4D | Dolby Cinema | ||
상영 시간 | 105분[4]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 87,081명 |
상영 등급 | ||
공식 홈페이지 | }}}}}}}}}}}}}}} |
1. 개요
| |
일본판 로고 | 한국판 로고 |
私の声は、届かない── 나의 목소리는, 전해지지 않아── 첫 공개 캐치프레이즈 |
2. 개봉 전 정보
- 2024년 7월 29일, 프로세카 방송국에서 극장판 애니메이션 제작이 발표되었다.
- 스토리는 극장판 오리지널 스토리로, 진급 전 시점으로 진행된다고 한다.[6]
3. 포스터
3.1. 일본
<rowcolor=#2c2c2c,#2c2c2c> 메인 비주얼 1탄 | 메인 비주얼 2탄 |
3.2. 대한민국
| |
<rowcolor=#2c2c2c,#2c2c2c> 메인 비주얼 1탄 | 메인 비주얼 2탄 |
===# 해외 #===
<rowcolor=#2c2c2c,#2c2c2c> 홍콩, 마카오 | 대만 |
<rowcolor=#2c2c2c> 북미 | 멕시코 |
<bgcolor=#d9f2f9> | <bgcolor=#d9f2f9> |
4. 예고편
<nopad> 특보 영상 |
<nopad> 예고편 |
<nopad> 해금 PV |
<nopad> 애니플러스 30초 예고편 |
<nopad> 애니플러스 60초 예고편 |
<nopad> 열린 창문의 세카이 하츠네 미쿠 PV |
5. 관련 영상
<nopad> 극장 막간 영상 |
<nopad> 극장 막간 영상 제2탄 |
<nopad> 극장 막간 영상 제3탄 |
==# 유닛별 WEB 예고 #==
Leo/need |
MORE MORE JUMP! |
Vivid BAD SQUAD |
원더랜즈×쇼타임 |
25시, 나이트 코드에서. |
6. 시놉시스
{{{#!wiki style="margin: -5px -10px; word-break: keep-all; padding: 5px 0px; border-radius: 8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ffff, #ffffff, #f0f0f0)" {{{-1 너에 대해서 알려줘. 그렇게 하면, 노래를 알 수 있을지도 몰라. 음반 가게에서 처음 듣는 미쿠의 노래를 듣게 된 호시노 이치카. 그녀는 모니터에서 처음 보는 모습의 "하츠네 미쿠"를 보고, "미쿠?!"라고 소리를 낸다. 그 목소리에 놀란 미쿠는, 이치카와 눈이 마주쳤지만, 금방 사라지고 말았다. 며칠 뒤, 거리 공연을 마친 이치카의 스마트폰에, 저번에 봤던 미쿠의 모습이 나타난다. 쓸쓸한 듯 고개를 떨구고 있는 미쿠에게, 이치카가 조심스레 물어보니, 노래를 전하고 싶은 사람들이 있는데 아무리 노래해도, 그 노래가 전해지지 않는다고 말한다. 미쿠는 많은 사람들의 마음에 노래를 전하는 이치카의 모습을 보고, 이치카에 대해서 알면 자신도 이치카처럼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해서 이치카를 찾아온 것이었다. 미쿠의 부탁에 이치카는 웃으며, "나라도 괜찮다면."이라고 미소 지으며 대답하고, 하츠네 미쿠와 소년소녀들의 새로운 이야기가 시작된다―. | <tablealign=center><tablewidth=80%><table bordercolor=#14b0c1> |
극장판 프로젝트 세카이 부서진 세카이와 전해지지 않는 미쿠의 노래 공식 스토리 링크}}}}}} ||
7. 등장인물
버추얼 싱어의 경우, 위에 적혀있는 닫힌 창문의 세카이 하츠네 미쿠와 각 세카이의 초기 버추얼 싱어만이 주연이며, 나머지는 조연에 해당한다. 따라서 프로필에도 초기 버추얼 싱어에 대한 설정이 적혀있으며 조연으로는 서술되어 있지 않은 나머지 버추얼 싱어 24명 또한 전부 등장한다.
8. 설정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스토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스토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9. 줄거리
분명 전해질 거야
분명 보일 거야
그런 만나 보고 싶은 미래를
나는 혼자뿐인 [ruby(세카이, ruby=세계)]에서
쭉 그렇게 노래 부르고 있었어
일본 곳곳의 전자기기 및 스크린에서, X 모양 액세서리를 달고 어두운 인상의 미쿠가 동시다발적으로 목격된다.분명 보일 거야
그런 만나 보고 싶은 미래를
나는 혼자뿐인 [ruby(세카이, ruby=세계)]에서
쭉 그렇게 노래 부르고 있었어
그 미쿠는 닫힌 창문의 세카이의 미쿠였으며, 그 미쿠는 인생에 고난을 겪으며 절망하고 있는 사람들을 본인의 노래로 위로해주기 위해 문단의 노래를 계속 부르고 있었다.
그러나 절망하는 사람들은 마음의 문을 닫았기에 미쿠가 하는 노래가 노이즈가 잔뜩 끼어 잡음으로밖에 들리지 않았으며, 미쿠는 이에 주연 5 유닛들에게 자신의 노래를 닿게하는 방법을 알려달라며 도움을 요청한다.
이치카를 시작으로 모든 유닛들이 각자 닫힌 창문의 세카이의 미쿠를 만나게 되며, 미쿠에게 자신들의 노래와 공연을 보여주며 미쿠는 그것을 열심히 배우며 각오를 다진다.
모든 유닛들의 격려를 받으며 자신의 세카이로 돌아온 미쿠는 다시 한번 절망하는 사람들에게 각각 찾아가 자신의 노래를 부른다. 그러나 그들은 이미 잔혹한 현실에 절망해 미쿠의 노래를 거부하고, 몇몇은 스마트폰까지 집어던져버리며 미쿠에게 사라지라고 윽박지른다.
절망한 미쿠가 흘린 눈물이 세카이의 조각이 되어 메인 유닛들의 세카이에 흩뿌려지고, 이 조각을 만진 주연 등장인물들은 미쿠의 노래를 듣지 못하고 현실에 절망하며 무너져내리는 사람들의 인간군상을 보게 된다.[8] 그리고 모든 등장인물들이 닫힌 창문의 세카이에 모이게 된다.(등장인물들은 자신의 유닛 멤버들끼리만 서로가 보이며, 다른 유닛 맴버는 그림자처럼 보이지 않는다.[9])
닫힌 창문의 세카이의 꼭대기에는 사람들의 절망을 흡수해 성장하는 종양 같은것이 계속 자라나고 있었으며, 종양은 이미 절망한 사람들로 인해 터지기 직전이였다.
모두들... 고마워. 그리고... 안녕!
그러자 미쿠는 이 한 마디를 마지막으로 모든 유닛들을 강제로 원래 세계로 돌려보낸 후, 절망의 종양은 결국 파열해 기분 나쁜 검붉은 액체가 산사태같이 쏟아지며 미쿠는 그것에 파묻혀 버린다.이 검붉은 액체는 다른 세카이에까지 세카이의 시공을 깨고 침투했으며, 세카이의 버추얼 싱어들은 급히 대피한다. 아무도 없는 세카이는 허허벌판이였기에 버추얼 싱어들은 모두 검붉은 액체에 그대로 휩쓸려버리고, 메이코는 그것을 아무 말 없이 체념한 듯 눈을 감으나 검붉은 액체는 모든 세카이 공통으로 하츠네 미쿠만을 노리고 달려들었고, 검붉은 액체에 휩싸인 미쿠들은 폭발하듯 소멸하고 만다.[10]
한편 검붉은 액체가 세카이를 초토화시킬때 현실 세계에선 일본 전토에서 블랙 아웃이 일어나며, 전자 기기들 역시 모두 먹통이 되고 만다. 혼란에 빠진 세상과 방금 전의 일로 인해 주연들은 어찌할 바를 모른다.[11]
모든 미쿠가 소멸하고 블랙 아웃이 끝난다. 주연들은 모두 자신들의 세카이로 오지만 초토화된 자신들의 세카이와 소멸한 미쿠의 흔적만이 기다리고 있었다.
미쿠의 소멸은 세카이뿐만이 아니였다. 현실 세계의 트위터 실트에 하츠네 미쿠의 소실이 나와 내용을 보니, 모든 하츠네 미쿠를 사용한 노래[12]에서 하츠네 미쿠의 목소리가 소멸하여 MR만 남게 되었다.
미쿠를 제외하고 생존한 버추얼 싱어들과 함께 어떻게 해야 할 지를 논의하다가, 문득 닫힌 창문의 세카이의 미쿠가 부른 노래의 후렴구를 버추얼 싱어들이 부르게된다.[13]. 이에 모든 유닛들 공통으로 미쿠의 노래가 닿지 않는다면, 자신들이 미쿠의 노래를 토대로 새로운 노래를 만들어 절망한 사람들에게 전하자는 결론을 내린다.
모든 유닛들이 공휴일 오후 8시에 최대한 많은 불특정 다수가 들을 수 있는 곳에 각자의 공연을 준비하고, 곡을 완성한다.
공휴일 오후 8시가 되자, 모든 유닛이 노래하기 시작한다.[14] 그것을 지나가던 절망한 불특정 다수의 시민들이 듣거나, 스트리밍을 통해 듣게 되며, 그들에게 조금씩 미쿠의 노래가 전달되기 시작한다.
한편 어딘지도 모를 절망의 공허에 떨어져 쓰러져있던 미쿠는 위로받은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의 마음의 조각이 공허로 하나 둘 떨어지는것을 눈치채고, 몸을 일으켜 노래를 부르며 나아가기 시작한다. 불특정 다수 모두를 구원하진 못했으나 분명히 많은 사람들의 마음에 노래가 닿기 시작하고 희망을 품기 시작한다. 이에 미쿠 역시 새로운 모습으로 변해 날아오르기 시작하고, 헬로 세카이를 부르며 현실 세계에 홀로그램으로서 전국의 스크린이나, 전자 기기에서 튀어나와 라이브를 하기 시작한다.
기다릴게.
라이브가 끝낸 미쿠는 누군가에게 기다린다는 말을 하며 돌아간다.
이후 소멸했던 모든 미쿠들도 돌아오며, 모두는 돌아온 미쿠를 보며 자신들의 노래가 전해졌음을 깨닫는다.
다시금 미쿠의 마음의 조각이 뿌려지고, 이것을 만진 유닛 모두가 다시금 닫힌 창문의 세카이에 도달한다. 그러나 그곳은 더 이상 어두운 세카이가 아닌, 밝고 환한 빛이 들어오는 열린 창문의 세카이가 되어 있었다.
열린 세카이의 미쿠가 된 미쿠는 모두에게 감사와 작별인사를 전하고, 주연들 모두는 다시 현실세계로 돌아오며 1년의 시간이 흘러 봄이 찾아온다.
그리고 열린 창문의 세카이에 누군가가 찾아오고, 미쿠가 그를 반기며 영화는 끝난다.[15]
10. 음악
10.1. 주제가
10.1.1. OP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시작의 미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시작의 미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OP はじまりの未来 시작의 미래 | |||
Game size ver. | |||
MV ver. | |||
Full ver. | |||
<colbgcolor=#ffffff><colcolor=#2c2c2c> 노래 | 하츠네 미쿠 | ||
작사 | 40mP × sasakure.UK | ||
작곡 | |||
편곡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ffff><colcolor=#2c2c2c> 콘티 | 하타 히로유키 | |
연출 | |||
작화감독 | - | ||
총 작화감독 | - |
10.1.2. ED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Worlders#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Worlders#|]]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ED Worlders | |
MV ver. | |
Full ver. | |
<colbgcolor=#ffffff><colcolor=#2c2c2c> 노래 | VIRTUAL SINGER Leo/need MORE MORE JUMP! Vivid BAD SQUAD 원더랜즈×쇼타임 25시, 나이트 코드에서. |
작사 | 진 |
작곡 | |
편곡 | TeddyLoid |
10.2. 극장판 오리지널 곡
이번 극장판에서 최초공개된 악곡들이다. 유닛당 하나씩, 그리고 주인공 미쿠의 단독곡을 포함 총 6곡이 출시되었다. 6곡 모두 DECO*27가 작곡했으며, 6명의 프로듀서들이 각자의 방식대로 편곡했다. 또한, 6곡 모두 유사한 멜로디 구성을 가진 부분이 있다.||<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transparent><table bgcolor=transparent><table color=#FFF,#ffffff>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transparent><table bgcolor=transparent><width=35%>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
극장판 프로젝트 세카이 수록곡 목록 ||
||극장판 프로젝트 세카이 수록곡 목록 ||
{{{#!wiki style="margin:-0px -10px; font-size: 0.95em"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color: #ffffff; border-radius: 12px; background: #444466;padding: 2px 0px" {{{#!folding ⠀펼치기 · 접기 ▼⠀ | 오프닝 | 엔딩 | ||||
시작의 미래 40mP × sasakure.UK | Worlders 진 | |||||
| | | ||||
헬로 세카이 DECO*27 tepe | SToRY DECO*27 호리에 쇼타(kemu) | FUN!! DECO*27 이요와 | ||||
| | | ||||
파이어 댄스 DECO*27 Giga | 스마일*심포니 DECO*27 니루 카지츠 | 그곳에 있는, 빛 DECO*27 스리이 | }}}}}}}}} |
ハローセカイ 헬로 세카이 | ||
MV ver. | ||
Full ver. | ||
<colbgcolor=#39c5bb,#39c5bb><colcolor=#ffffff,#ffffff> 노래 | 하츠네 미쿠[영화삽입] VIRTUAL SINGER[음원] | |
작사 | DECO*27 | |
작곡 | ||
편곡 | tepe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SToRY | ||
MV ver. | ||
Full ver. | ||
<colbgcolor=#4455DD,#4455DD><colcolor=#ffffff,#ffffff> 노래 | Leo/need | |
작사 | DECO*27 | |
작곡 | ||
편곡 | 호리에 쇼타(kemu)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FUN!! | ||
MV ver. | ||
Full ver. | ||
<colbgcolor=#88DD44,#88DD44><colcolor=#ffffff,#ffffff> 노래 | MORE MORE JUMP! | |
작사 | DECO*27 | |
작곡 | ||
편곡 | 이요와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ファイアダンス 파이어 댄스 | ||
MV ver. | ||
Full ver. | ||
<colbgcolor=#EE1166,#EE1166><colcolor=#ffffff,#ffffff> 노래 | Vivid BAD SQUAD | |
작사 | DECO*27 | |
작곡 | ||
편곡 | Giga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スマイル*シンフォニー 스마일*심포니 | ||
MV ver. | ||
Full ver. | ||
<colbgcolor=#FF9900,#FF9900><colcolor=#ffffff,#ffffff> 노래 | 원더랜즈×쇼타임 | |
작사 | DECO*27 | |
작곡 | ||
편곡 | 니루 카지츠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そこに在る、光。 그곳에 있는, 빛. | ||
MV ver. | ||
Full ver. | ||
<colbgcolor=#884499,#884499><colcolor=#ffffff,#ffffff> 노래 | 25시, 나이트 코드에서. | |
작사 | DECO*27 | |
작곡 | ||
편곡 | 스리이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0.3. 기타 삽입곡
유닛별 악곡 외에도, 여러 음성 합성 엔진 오리지널 곡들이 영화에 삽입되었다. 일부 곡들은 극장판 전용 버전으로 편곡되기도 하였다.MV ver. | ||
Full ver. | ||
<colbgcolor=#ffffff><colcolor=#2c2c2c> 노래 | 하츠네 미쿠 | |
작사 | irucaice 이치노세 루포 | |
작곡 | ||
편곡 | irucaice 이치노세 루포 Tanchiky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始まりなんてちっぽけなキッカケで 目が覚めたらまた君を見失って リセットボタンなんてないけど冒険をリロード (イェイ!) 君のため磨いたティアⅢの光魔法 キラリ弾け飛んでずっと飛んで 振り回されちゃって待って迷子じゃ~ん(TT) もう...なんで...! 最強エンド秘密のワープですぐ RTAまだリセナシいける? ハイ!余裕解禁!ナーフ回避! って描いた恋の宝地図 迷宮ランド予想外世界 OVER LOAD あと少しの距離で 解き方がわかんない 君と未攻略LOVE GAME ヘンテコだらけのワンダーランド またなぜ?なぜ?不意打ち(わぁぁ!)のトラップも 連打でオーバーキル はやくクリアさせてよ! 敵わない相手 氷漬けとぐるぐるパニくちゃって 目覚めた!どこでリスポーン? 全ロスって完全に詰んだ迷子じゃ~ん(><) あ~限界! 何千Days追いかけたってまだ ノーコンでってギリギリLIFEゼロ もう!スキル開放! ハートを射抜く距離って愛じゃ測れない 最新装備 重ねたアップデート OVER RUN 型破り魔法で このチャンス懸けるなら 君に無限大LOVE MAGIC 毒毒(ドキドキ)のダメージで ポーションも効かないや 目の前が暗くなっていく... ここで終わり? まだまだまだ終われない! ハッピーエンドチャンス掴んだなら MVP何回も獲っちゃって 君とお揃いのクラウンだって付けられる この旅が終わるまでたった一つの思いを 何度だって届けよう 君と未攻略LOVE GAME So, that's it for today's journey. I'll never, never give up on my own quest. Yeah! Tell me more about your heart. Let me be next to you at the ending. Still in the love game.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너 사랑 퀘스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너 사랑 퀘스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glow 「극장판 프로젝트 세카이」ver. | |
MV ver. | |
Full ver. | |
<colbgcolor=#ffffff><colcolor=#2c2c2c> 노래 | 호시노 이치카 |
작사 | keeno |
작곡 | |
편곡 | 세노우에 준 츠바키모토 마사시(椿本匡賜)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glow(VOCALOID 오리지널 곡)#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glow(VOCALOID 오리지널 곡)#|]]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쾌청 「극장판 프로젝트 세카이」ver. | |
MV ver. | |
Full ver. | |
<colbgcolor=#ffffff><colcolor=#2c2c2c> 노래 | 호시노 이치카 |
작사 | Orangestar |
작곡 | |
편곡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쾌청(VOCALOID 오리지널 곡)#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쾌청(VOCALOID 오리지널 곡)#|]]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군청찬가 「극장판 프로젝트 세카이」ver. | |
MV ver. | |
Full ver. | |
<colbgcolor=#ffffff><colcolor=#2c2c2c> 노래 | Leo/need MORE MORE JUMP! Vivid BAD SQUAD 원더랜즈×쇼타임 25시, 나이트 코드에서. |
작사 | Eve |
작곡 | |
편곡 | raku(tayori)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군청찬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군청찬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그 외 CD 재킷이나 MV, 악곡명, 가사, 썸네일 등으로 등장한 악곡들.
- 피노키오피 - 흔해빠진 세계정복
- TOKOTOKO - 헝그리 몬스터
- 하치오지P - Glimmer
- Ayase - 유령 도쿄
- MIMI - 이제 됐니
- 카이리키 베어 - 달링 댄스
- 하라구치 사스케 - 인간 마니아
- 모치우츠네 - 약 먹고 자자
- 라마즈P - Be with Master
- Mitchie M - 비바해피
- 진 - NEO
- 나츠야마 요츠기 - 죽여버렸다!
- Shu - 나니모노
- 닛쿠키유 - 고양이한테 얼굴을 밟히고 싶어
- nk - 유령 비트
- r-906 - 뜻대로
- 이요와- 일천광년
- 키사라 - 스타더스트 메들리
- kai - 큐피드
- Kamisama usagi - 부드러운 사람은 어리석은 사람에게 항상 싫어하는 일만 묻는다
- 키무타 - 영합 오케스트
- cosMo@폭주P - 하츠네 미쿠의 소실 -DEAD END-
- samfree - 암색 앨리스
- STEAKA - 전갈 소녀의 귀중한 포식 장면
- 다가시 O가타 - 여기저기 데이트 씨
- D.J.아네이로 - 일약
- DECO*27 - Journey
- 두부멘탈.inc P - 사요나라 교신
- 도파민 - 맹독
- 나미구루 - 즌다 파티 나잇
- 나유탄 성인 - 목성의 비트
- 닛쿠키유 - 닛!
- 하루마키고항 - 약속
- 벌룬 - 파멜라
- 히이라기 마그네타이트 - 종언도피행
- 히후미 - 거센 외로움이 덮쳐와
- blues - 금일광
- Project Lumina - VOCALOID COMMUNICATION!!!
- 마지메 - 약속의 하늘
- 마라시, 진 - 신인류
- 미나미노미나미 - 세카이 쨩과 카후 쨩의 장보기 합소곡
- 모치우츠네 - 마침내 팬들도 없네
- 유노스케 - Black or White
- 유키노 이토 - 공전 라이브러리
- 로ー아루 - 감정 디시브
- 은바지 - 좋아하는 반찬 발표 드래곤
11. 구성
일본판은 1주차만 나오는 미쿠 무대 인사를 제외하면[19], 영화 상영 전 아나운스[20] → 영화 본편 → 애프터 라이브 전 아나운스[21] → 애프터 라이브 2개[22] → 상영 후 아나운스[23]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몇 주 차인지에 따라 같은 유닛이어도 대사가 바뀐다.[24]한국판의 경우, 미쿠 무대인사와 버추얼 싱어 애프터 라이브에 대해서만 예고편 등급심의를 받았으며, 미쿠 무대인사는 선행상영 및 1주차 상영에만 본편 앞에, 버추얼 싱어 애프터 라이브는 모든 회차에 대해 본편 뒤에 붙여 상영하고 있다.[25] 그래서 티켓에 표기된 영화 종영 시각보다 약 5~10분 정도 늦게 끝난다.
아래는 일본 공식 일정표
12. 평가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IMDb=tt33050528, IMDb_user=6.4, ## IMDb_highlight=display,
로튼토마토=colorful_stage_the_movie_a_miku_who_cant_sing, 로튼토마토_tomato=-, 로튼토마토_popcorn=96, ## 로튼토마토_highlight=display,
메타크리틱=colorful-stage!-the-movie-a-miku-who-cant-sing, 메타크리틱_critic=-, 메타크리틱_user=10, ## 메타크리틱_highlight=display,
레터박스=colorful-stage-the-movie-a-miku-who-cant, 레터박스_user=3.4, ## 레터박스_highlight=display,
메타크리틱=colorful-stage!-the-movie-a-miku-who-cant-sing, 메타크리틱_critic=-, 메타크리틱_user=10, ## 메타크리틱_highlight=display,
레터박스=colorful-stage-the-movie-a-miku-who-cant, 레터박스_user=3.4, ## 레터박스_highlight=display,
알로시네=1000013140, 알로시네_presse=-, 알로시네_spectateurs=-, ## 알로시네_highlight=display,
Filmarks=117858, Filmarks_user=3.7, Filmarks_highlight=display,
도우반=36982741, 도우반_user=7.0, ## 도우반_highlight=display,
도우반=36982741, 도우반_user=7.0, ## 도우반_highlight=display,
왓챠=md6lwny, 왓챠_user=3.2, ## 왓챠_highlight=display,
키노라이츠=141401, 키노라이츠_light=-, 키노라이츠_star=-, ## 키노라이츠_highlight=display,
네이버영화=극장판 프로젝트 세카이 부서진 세카이와 전해지지 않는 미쿠의 노래, 네이버영화_audience=7.43, ## 네이버영화_highlight=display,
키노라이츠=141401, 키노라이츠_light=-, 키노라이츠_star=-, ## 키노라이츠_highlight=display,
네이버영화=극장판 프로젝트 세카이 부서진 세카이와 전해지지 않는 미쿠의 노래, 네이버영화_audience=7.43, ## 네이버영화_highlight=display,
메가박스=25019200, 메가박스_user=9.2, 메가박스_highlight=display,
TMDB=1322752, TMDB_user=8.7, ## TMDB_highlight=display,
무비파일럿=colorful-stage-the-movie-a-miku-who-can-t-sing, 무비파일럿_user=-, ## 무비파일럿_highlight=display,
무비파일럿=colorful-stage-the-movie-a-miku-who-can-t-sing, 무비파일럿_user=-, ## 무비파일럿_highlight=display,
MyAnimeList=Project_Sekai_Movie__Kowareta_Sekai_to_Utaenai_Miku, MyAnimeList_분야=anime, MyAnimeList_user=7.66, MyAnimeList_highlight=display,
12.1. 개봉 전
원작 팬들을 중심으로 프로젝트 세카이를 원작으로 하는 첫 애니 제작 소식에 고무적인 반응이 많다. 이후 주요 제작 스태프가 공개된 것을 기점으로 우려의 목소리도 생기게 되었는데, 제작사는 P.A.WORKS라는 애니메이션 팬들에게 잘 알려진 제작사가 담당하지만[26] 감독인 하타 히로유키의 필모가 그리 좋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하타 감독은 최근 여동생의 상태가 조금 이상한데와 라피스 리라이츠에서 대대적인 혹평을 받은 바 있으며, 그나마 잘 만든 유루유리 산☆하이!도 1, 2기에 비하면 부족하다는 혹평을 받았다.일단 캐릭터 디자이너인 아키야마 유키와 츠지 마사토시가 작화감독까지 해준다면 작화는 좋을 것으로 보이지만 하필이면 프로세카 극장판 공개 직전에 방영된 블루 아카이브 애니메이션의 선례[27]가 있다보니까, 우려를 하는 반응이 많다. 일단 9월 27일에 공개된 예고편 영상만 봤을때 작화는 문제 없는 것으로 보인다.
물론 하타 히로유키 감독이 P.A에서 프로젝트 세카이 단편 애니메이션 Journey to Bloom을 여러 편 제작했으며 그 작품들은 호평을 받기도 했으므로[28] 바닥을 치는 망작이 나올 가능성은 낮다. 무엇보다 하타 감독의 비판은 호흡을 길게 잡아야 하는 TVA에 한정되어 있는지라 2시간 남짓한 줄거리로 끝나는 극장판 연출에서는 또 괜찮게 나올 가능성도 있다.
12.2. 개봉 후
상영 전부터 논란도 많았고 우려도 제법 컸지만, 개봉 후 관람객들의 평가는 호평이 다수이다. 우선 유명 보컬로이드 프로듀서들이 대거 참여한 OST는 당연하게도 호평이 많고,[29] 무난하지만 호불호가 크게 갈리지 않는 데다 원작 게임의 스토리를 몰라도 충분히 즐길 수 있는 가볍고 정석적인 스토리 역시 괜찮은 평가를 받고 있다. 캐릭터와 유닛 별 비중 및 역할 분담 역시 잘됐으며, 주역인 미쿠의 등장 비중이 높아 원작 팬들은 물론이고 보컬로이드 향유 팬들의 수요도 충족시켰다. 무엇보다도 하타 히로유키 감독의 영상 연출력이 뛰어나서 분위기가 고조되는 장면마다 묘사력을 극한으로 끌어올려 스토리에 몰입하기 쉽다는 평이다. 특히 작중 등장하는 닫힌 창문의 세카이의 '마음의 주인'들에게 시청자들이 공감할 수 있게 하여, 위로받았다는 평이 많은 편.다만 단점이 없지는 않은데, 사실상 영화 전체가 후반부 라이브 장면을 위한 발판이다 보니 그전까지는 스토리에 이입하지 못한다면 다소 지루하게 느껴질 수 있다. 그리고 원작 게임의 스토리를 몰라도 충분히 즐길 수 있다지만 기본적인 세계관, 유닛, 캐릭터 설정을 모르면 온전히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대표적인 것이 인물 관계나 세카이 관련 설정.[30] 또 이번 작품의 메인 노래 중 하나인 헬로, 세카이가 그야말로 지겨울 정도로 계속 반복된다는 점이나, 볼 만한 작화는 대부분 후반부 라이브 장면에 몰려 있어서 그 전까지는 정적인 컷이 많다는 점도 아쉬운 점으로 꼽힌다.
그래도 전체적인 퀄리티는 양호한 편이고 특히 후반부의 라이브 씬은 이견없이 호평 받고 있다. 총평하자면 원작 게임을 플레이하거나 해봤던 유저들, 그리고 보컬로이드 문화를 향유하는 팬들에게 충분히 어필하는 영화이다. 원작 게임인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 더 나아가 하츠네 미쿠를 위시한 보컬로이드 팬들을 위한 영화로서는 나름대로 합격점이라는 것.
13. 흥행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전 세계 | 2025년 1월 17일 | $10,527,422 | 2025년 4월 20일 |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
| 2025년 1월 17일 | $7,216,471 | 2025년 4월 20일 |
| 2025년 3월 14일 | $381,232 | 2025년 4월 20일 |
| 2025년 4월 3일 | $162,015 | 2025년 4월 20일 |
북미 | 2025년 4월 18일 | $2,767,704 | 2025년 4월 20일 |
| 미정 | 미개봉 | 미정 |
13.1. 일본
- 극장 입장 특전으로 시리얼 코드가 증정되었다. 해당 코드를 프로세카 공식 스토어에 계정 연동 후 입력하면 전용 스탬프를 획득할 수 있으며, 스탬프 보상은 아래와 같다.
<colbgcolor=#c4c4d7,#505050><rowcolor=#ffffff> 스탬프 보상
극장판 한정 에어리어 해방
극장판 한정 에어리어 대화 (총 37개) 해방
'[극장판] ★2 멤버 티켓' ×6||한정 아이템 '영화관의 순백색 솔트 팝콘' ×1[31]
한정 아이템 '영화관의 상쾌한 톡톡 소다' ×1
한정 아이템 '영화관의 달콤한 멜론 아이스' ×1
한정 아이템 '영화관의 따끈한 열기 핫도그' ×1
한정 아이템 '영화관의 갓 튀긴 원더풀 감자튀김' ×1
한정 아이템 '영화관의 쌉쌀한 다크 츄리토스' ×1||
7개 ~ 26개 | 위 보상 중 ★2 멤버 티켓을 제외한 6가지 아이템 ×1 |
- 【 ★2 멤버 티켓으로 교환 가능한 멤버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c1d1f><rowbgcolor=#c4c4d7,#2d2f34> 속성 || 멤버 ||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미스테리어스]]
[Let's enjoy the movie!] 호시노 이치카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퓨어]]
[Let's enjoy the movie!] 텐마 사키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큐트]]
[Let's enjoy the movie!] 모치즈키 호나미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해피]]
[Let's enjoy the movie!] 히노모리 시호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쿨]]
[Let's enjoy the movie!] 하나사토 미노리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미스테리어스]]
[Let's enjoy the movie!] 키리타니 하루카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퓨어]]
[Let's enjoy the movie!] 모모이 아이리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큐트]]
[Let's enjoy the movie!] 히노모리 시즈쿠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쿨]]
[Let's enjoy the movie!] 아즈사와 코하네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해피]]
[Let's enjoy the movie!] 시라이시 안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큐트]]
[Let's enjoy the movie!] 시노노메 아키토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미스테리어스]]
[Let's enjoy the movie!] 아오야기 토우야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해피]]
[Let's enjoy the movie!] 텐마 츠카사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미스테리어스]]
[Let's enjoy the movie!] 오오토리 에무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퓨어]]
[Let's enjoy the movie!] 쿠사나기 네네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쿨]]
[Let's enjoy the movie!] 카미시로 루이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해피]]
[Let's enjoy the movie!] 요이사키 카나데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큐트]]
[Let's enjoy the movie!] 아사히나 마후유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쿨]]
[Let's enjoy the movie!] 시노노메 에나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퓨어]]
[Let's enjoy the movie!] 아키야마 미즈키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큐트]]
[Let's enjoy the movie!] 하츠네 미쿠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퓨어]]
[Let's enjoy the movie!] 카가미네 린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해피]]
[Let's enjoy the movie!] 카가미네 렌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미스테리어스]]
[Let's enjoy the movie!] 메구리네 루카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쿨]]
[Let's enjoy the movie!] MEIKO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큐트]]
[Let's enjoy the movie!] KAITO
- 1주차 특전으로 극장판 유닛 악곡 & 버추얼 싱어 악곡 CD가 배포되었다.
- 2주차 & 3주차 특전으로 대본집과 원화 카드가 배포되었다.
- 4주차 & 5주차 특전으로 미니 색지가 배포되었다.
- 6주차 특전으로 군청찬가「극장판 프로젝트 세카이」ver.[32]CD가 배포되었다. [33]
- 7주차 & 8주차 특전으로 추억 사진 세트가 배포되었다.
- 9주차 특전으로 후일담 책자가 배포되었다.
- 10주차 & 11주차 특전으로 페이퍼 디오라마가 배포되었다.
- 12주차 특전으로 스페셜 일러스트 화집이 배포되었다.
- 13주차 특전으로 오리지널 캐릭터 스티커가 배포 되었다.
- 14주차 특전으로 A6사이즈 클리어카드가 배포 되었다.
- 15주차 특전으로 1주차때의 극장판 유닛 악곡 & 버추얼 싱어 악곡 CD가 재배포 되었다.
- 16~18주차 특전으로 극장판 미쿠와의 인연 랭크 칭호 키링이 배포되었다.
- 19주차 특전으로 홀로그램 클리어카드가 배포되었다.
- 20주차 특전으로 A5 클리어 파일 3종 세트가 배포되었다.
- 21주차 이후 상영부터는 4,5주차때의 미니 색지[34]를 재배포 한다.
|
1월 27일에 관객수는 39만명, 수익은 5.7억엔을 기록했다.
2월 19일에 10억엔의 수익을 기록하였다.
3월 26일에 관객수는 100만명, 수익은 12.8억엔을 기록했다.
5월 12일에 관객수는 110만명, 수익은 14억엔을 기록했다.
|
|
|
|
|
소규모 개봉이었으나 입소문으로 꾸준히 관객을 들이며 약 4개월 간 14억 엔이라는 상당한 흥행 성적을 올렸다. 2025년 기준 소셜 게임 원작 애니메이션 중 흥행 1위이다.
13.2. 대한민국
누적관객수 87,981명, 누적매출액 833,342,810원[35]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width: 300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주차별 상세 내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 <colbgcolor=#000><colcolor=#fff><rowcolor=#fff>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개봉 이전 (선행시사회) | 2025-04-19. (토) | 5,444명 | 5,444명 | 5위 | 56,777,760원 | 56,777,760원 | |
1주차 | 2025-05-29. 1일차(목) | 7,510명 | 34.366명 | 3위 | 68,246,300원 | 323,438,810원 | |
2025-05-30. 2일차(금) | 3,966명 | 6위 | 39,248,560원 | ||||
2025-05-31. 3일차(토) | 8,932명 | 8위 | 85,116,190원 | ||||
2025-06-01. 4일차(일) | 7,503명 | 6위 | 70,471,360원 | ||||
2025-06-02. 5일차(월) | 1,328명 | 10위 | 12,378,600원 | ||||
2025-06-03. 6일차(화) | 4,361명 | 8위 | 40,814,600원 | ||||
2025-06-04. 7일차(수) | 766명 | 13위 | 7,163,200원 | ||||
2주차 | 2025-06-05. 8일차(목) | 2,746명 | 13,142명 | 7위 | 24,365,800원 | 121,005,980원 | |
2025-06-06. 9일차(금) | 4,486명 | 9위 | 41,166,030원 | ||||
2025-06-07. 10일차(토) | 2,392명 | 10위 | 22,481,040원 | ||||
2025-06-08. 11일차(일) | 2,238명 | 10위 | 21,120,110원 | ||||
2025-06-09. 12일차(월) | 501명 | 15위 | 4,629,500원 | ||||
2025-06-10. 13일차(화) | 413명 | 15위 | 3,813,000원 | ||||
2025-06-11. 14일차(수) | 366명 | 23위 | 3,430,500원 | ||||
3주차 | 2025-06-12. 15일차(목) | 2,302명 | 10,024명 | 7위 | 19,324,560원 | 102,476,010원 | |
2025-06-13. 16일차(금) | 1,158명 | 13위 | 10,648,450원 | ||||
2025-06-14. 17일차(토) | 2,833명 | 10위 | 32,409,500원 | ||||
2025-06-15. 18일차(일) | 2,585명 | 8위 | 29,301,200원 | ||||
2025-06-16. 19일차(월) | 381명 | 17위 | 3,576,200원 | ||||
2025-06-17. 20일차(화) | 403명 | 15위 | 3,702,200원 | ||||
2025-06-18. 21일차(수) | 362명 | 25위 | 3,513,900원 | ||||
4주차 | 2025-06-19. 22일차(목) | 3,757명 | 9,525명 | 7위 | 31,850,500원 | 86,213,750원 | |
2025-06-20. 23일차(금) | 1,131명 | 13위 | 10,584,400원 | ||||
2025-06-21. 24일차(토) | 1,676명 | 12위 | 15,973,300원 | ||||
2025-06-22. 25일차(일) | 1,687명 | 12위 | 16,224,250원 | ||||
2025-06-23. 26일차(월) | 528명 | 14위 | 4,975,400원 | ||||
2025-06-24. 27일차(화) | 458명 | 16위 | 4,199,000원 | ||||
2025-06-25. 28일차(수) | 288명 | 28위 | 2,406,900원 | ||||
5주차 | 2025-06-26. 29일차(목) | 1,785명 | 4,777명 | 11위 | 15,067,400원 | 44,593,500원 | |
2025-06-27. 30일차(금) | 667명 | 20위 | 6,472,700원 | ||||
2025-06-28. 31일차(토) | 822명 | 22위 | 8,064,700원 | ||||
2025-06-29. 32일차(일) | 818명 | 19위 | 8,222,700원 | ||||
2025-06-30. 33일차(월) | 201명 | 29위 | 1,958,500원 | ||||
2025-07-01. 34일차(화) | 197명 | 30위 | 1,896,600원 | ||||
2025-07-02. 35일차(수) | 287명 | 22위 | 2,910,900원 | ||||
6주차 | 2025-07-03. 36일차(목) | 1,733명 | 5,216명 | 10위 | 14,586,600원 | 49,078,400원 | |
2025-07-04. 37일차(금) | 605명 | 16위 | 6,079,700원 | ||||
2025-07-05. 38일차(토) | 1,353명 | 14위 | 13,327,200원 | ||||
2025-07-06. 39일차(일) | 1,004명 | 16위 | 10,073,600원 | ||||
2025-07-07. 40일차(월) | 205명 | 23위 | 1,948,800원 | ||||
2025-07-08. 41일차(화) | 203명 | 30위 | 1,955,200원 | ||||
2025-07-09. 42일차(수) | 113명 | 38위 | 1,107,300원 | ||||
7주차 | 2025-07-10. 43일차(목) | 1,771명 | 4,378명 | 9위 | 14,290,600원 | 38,358,800원 | |
2025-07-11. 44일차(금) | 650명 | 20위 | 5,921,100원 | ||||
2025-07-12. 45일차(토) | 970명 | 23위 | 9,133,300원 | ||||
2025-07-13. 46일차(일) | 498명 | 30위 | 4,576,300원 | ||||
2025-07-14. 47일차(월) | 236명 | 18위 | 2,079,900원 | ||||
2025-07-15. 48일차(화) | 211명 | 30위 | 1,948,600원 | ||||
2025-07-16. 49일차(수) | 42명 | 62위 | 409,000원 | ||||
8주차 | 2025-07-17. 50일차(목) | 24명 | 359명 | 78위 | 235,800원 | 3,743,300원 | |
2025-07-18. 51일차(금) | 58명 | 61위 | 684,900원 | ||||
2025-07-19. 52일차(토) | 53명 | 64위 | 632,000원 | ||||
2025-07-20. 53일차(일) | 74명 | 50위 | 817,000원 | ||||
2025-07-21. 54일차(월) | 35명 | 57위 | 330,800원 | ||||
2025-07-22. 55일차(화) | 58명 | 65위 | 516,000원 | ||||
2025-07-23. 56일차(수) | 57명 | 57위 | 526,800원 | ||||
9주차 | 2025-07-24. 57일차(목) | 23명 | 333명 | 92위 | 224,000원 | 3,323,100원 | |
2025-07-25. 58일차(금) | 35명 | 82위 | 418,000원 | ||||
2025-07-26. 59일차(토) | 52명 | 66위 | 523,000원 | ||||
2025-07-27. 60일차(일) | 48명 | 70위 | 479,600원 | ||||
2025-07-28. 61일차(월) | 46명 | 57위 | 462,500원 | ||||
2025-07-29. 62일차(화) | 71명 | 65위 | 759,000원 | ||||
2025-07-30. 63일차(수) | 58명 | 68위 | 457,000원 | ||||
10주차 | 2025-07-31. 64일차(목) | 17명 | 242명 | 98위 | 173,000원 | 2,468,400원 | |
2025-08-01. 65일차(금) | 16명 | 89위 | 144,600원 | ||||
2025-08-02. 66일차(토) | 52명 | 72위 | 547,600원 | ||||
2025-08-03. 67일차(일) | 66명 | 63위 | 755,600원 | ||||
2025-08-04. 68일차(월) | 47명 | 59위 | 423,100원 | ||||
2025-08-05. 69일차(화) | 28명 | 84위 | 278,500원 | ||||
2025-08-06. 70일차(수) | 16명 | 95위 | 146,000원 | ||||
11주차 | 2025-08-07. 71일차(목) | 11명 | 140명 | 103위 | 133,500원 | 1,463,900원 | |
2025-08-08. 72일차(금) | 25명 | 91위 | 249,000원 | ||||
2025-08-09. 73일차(토) | 15명 | 115위 | 131,500원 | ||||
2025-08-10. 74일차(일) | 45명 | 82위 | 510,300원 | ||||
2025-08-12. 76일차(화) | 44명 | 77위 | 439,600원 | ||||
12주차 | 2025-08-20. 84일차(수) | 18명 | 18명 | 91위 | 186,600원 | 186,600원 | |
13주차 | 2025-08-21. 85일차(목) | 17명 | 17명 | 109위 | 214,500원 | 214,500원 |
- 극장 입장 특전으로 시리얼 코드가 증정되었다. 해당 코드를 프로세카에서 줄 3개 모양을 누른뒤
쿠폰 코드 부분을 클릭하고 시리얼 코드를 입력하면 전용 코인을 획득해 교환소 > 티켓 교환소에서 교환 할수 있으며, 보상은 아래와 같다.<colbgcolor=#c4c4d7,#505050><rowcolor=#ffffff> 보상 목록
보상 ||극장판 한정 스탬프 '[스탬프] 미쿠: 내 마음이 닿으면 좋겠다' ×1
극장판 한정 에어리어 해방
극장판 한정 에어리어 대화 (총 37개) 해방
'[극장판] 코인 x7' [36] ||
극장판 A | ||
코인 1개 | '[극장판] ★2 멤버' [주의사항] | |
코인 2개 | 극장판 한정 멤버 '★4 [창문의 세카이에서] 하츠네 미쿠' | |
극장판 B |
한정 아이템 '영화관의 달콤한 멜론 아이스크림' ×1
한정 아이템 '영화관의 따끈따끈한 핫도그' ×1
한정 아이템 '영화관의 갓 튀긴 원더풀 감자튀김' ×1
한정 아이템 '영화관의 쌉쌀한 다크초콜릿 추로스' ×1||
- 전체관람가로 관람 등급이 책정되었다.
- 4월 19일 토요일 최초 유료 시사회가 열렸는데, 당일 박스오피스 5위를 차지하였고, 평균 좌석판매율 74.7%를 기록했다. 특히 수도권 및 대구권에서는 거의 전 좌석이 매진되었다.
- 한국판에서는 일본과 다르게 하츠네 미쿠 무대인사(5분, 선행시사회 및 1주차 한정)와 버추얼 싱어 애프터 라이브(5분 30초)만 추가되었다.[38] 무대인사 시간 중에 포토 타임을 주며, 이 시간(약 1분) 동안에는 촬영 가능하다.
- 선행 시사회 특전으로 A3 메인 비주얼 포스터가 배포되었다.
- 1주차 일반상영 특전으로 메가박스 오리지널 티켓과 프로세카 게임 시리얼코드가 배포되었다.
- 2~4주차 일반상영 특전으로, 일러스트 9종 랜덤 색지[39]및 프로세카 게임 시리얼코드가 배포될 예정이다.
- 2주차(6/05~11) - 닫혀진 창문의 세카이의 하츠네 미쿠, 스테이지 세카이의 카가미네 린, 스트리트 세카이의 카가미네 렌, 호시노 이치카, 텐마 사키, 하나사토 미노리, 키리타니 하루카, 아즈사와 코하네, 시라이시 안
- 3주차(6/12~18) - 교실 세카이의 메구리네 루카, 모치즈키 호나미, 히노모리 시호, 원더랜드 세카이의 KAITO, 텐마 츠카사, 오오토리 에무, 아무도 없는 세카이의 하츠네 미쿠, 요이사키 카나데, 아사히나 마후유
- 4주차(6/19~25) - 열린 창문의 세카이의 하츠네 미쿠, 모모이 아이리, 히노모리 시즈쿠, 스트리트 세카이의 MEIKO, 시노노메 아키토, 아오야기 토우야, 쿠사나기 네네, 카미시로 루이, 시노노메 에나, 아키야마 미즈키
- 5~6주차 일반상영 특전으로 추억의 사진 카드가 랜덤으로 2종씩 배포된다.
- 5주차(6/26~7/2) - 히나모리 시호, 하나사토 미노리, 아즈사와 코하네 / 시노노메 아키토, 시노노메 에나 / 시라이시 안, 카미시로 루이, 아키야마 미즈키 / 모모이 아이리, 히노모리 시즈쿠, 아사히나 마후유 / 모치즈키 호나미, 시노노메 에나, 오오토리 에무 / 텐마 사키, 아오야기 토우야, 텐마 츠카사 / 키리타니 하루카, 시라이시 안 / 아즈사와 코하네, 텐마 츠카사, 오오토리 에무, 쿠사나기 네네 / 모치즈키 호나미, 요이사키 카나데
- 6주차(7/3~9) - 호시노 이치카, 닫혀진 창문의 세카이 하츠네 미쿠 / 호시노 이치카, 텐마 사키, 모치즈키 호나미, 히노모리 시호, 교실 세카이 메구리네 루카 / 하나사토 미노리, 키리타니 하루카, 모모이 아이리, 히노모리 시즈쿠, 스테이지 세카이 카가미네 린 / 아즈사와 코하네, 시라이시 안, 시노노메 아키토, 아오야기 토우야, 스트리트 세카이 카가미네 렌, 스트리트 세카이 MEIKO / 텐마 츠카사, 오오토리 에무, 쿠사나기 네네, 카미시로 루이, 원더랜드 세카이 KAITO / 요이사키 카나데, 아사히나 마후유, 시노노메 에나, 아키야마 미즈키, 아무도 없는 세카이 하츠네 미쿠
- 7주차 일반상영 특전으로 클리어 카드(A6) 6종이 랜덤으로 1종씩 배포된다.
- 닫혀진 창문의 세카이 하츠네 미쿠, Leo/need & 교실세카이 메구리네 루카, MORE MORE JUMP! & 스테이지 세카이 카가미네 린, Vivid BAD SQUAD & 스트리트 세카이 카가미네 렌, 스트리트 세카이 MEIKO, 원더랜즈x쇼타임 & 원더랜드 세카이 KAITO, 25시, 나이트 코드에서. & 아무도 없는 세카이 하츠네 미쿠
- 매주 주말마다 일부 상영관에서 응원봉 리엑션 상영회(응원상영)가 실시가 확정되었다. 응원상영에서는 일반상영 특전은 배포되지 않는다.
- 1주차 응원상영 특전으로 VIRTUAL SINGER 응원 슬로건이 배포되었다.
- 2주차 응원상영 특전으로 Leo/need 응원 슬로건이 배포되었다.
- 3주차 응원상영 특전으로 MORE MORE JUMP! 응원 슬로건이 배포되었다.
- 4주차 응원상영 특전으로 Vivid BAD SQUAD 응원 슬로건이 배포되었다.
- 5주차 응원상영 특전으로 원더랜즈×쇼타임 응원 슬로건이 배포되었다.
- 6주차 응원상영 특전으로 25시, 나이트 코드에서. 응원 슬로건이 배포되었다.
- 6/14~6/15 진행된 아트그라피 상영회 특전으로 ARTGRAPHY A3 포스터 세트[40][41]와 프로세카 게임 시리얼코드가 배포되었다.
- 6주차(7/3)부터 MX4D 상영이 추가되었다. MX4D 전용 특전으로 2차 메인 비주얼 도안의 클리어 카드가 배포된다.
- 8주차(7/17) 이후에는 별도의 특전 배포는 없다.
- 8월 10일 이후에는 간헐적으로 상영이 진행되는 중이다. 모든 회차는 홍대에서 하루에 1회만 상영된다.
14. 미디어 믹스
14.1. Blu-ray
<rowcolor=#2c2c2c,#2c2c2c> 구분 | 특장한정판 | 통상판 |
<colbgcolor=#ffffff><colcolor=#2c2c2c> 재킷 | ||
발매일 | 2025년 10월 29일 | |
가격 (소비세 포함) | 16,500엔 | 6,600엔 |
카탈로그 번호 | SHBR-0788 | SHBR-0789 |
발매사 | 발매원: CyberAgent 판매원: 쇼치쿠 | |
스펙 | 영상 16:9 풀 사이즈 1080P 음성 일본어 DTS-HD Master Audio™ 5.1ch 서라운드 일본어 DTS-HD Master Audio™ 2.0ch 스테레오(오디오 코멘터리 포함) | |
특전 | 영상 | |
특전 PV 본 예고 논텔롭 OP | ||
주간 애프터 라이브 20주분 극장판 유닛 악곡 2DMV | ||
음성 | ||
오디오 코멘터리[42] | ||
오리지널 사운드트랙 CD 2장[43] | ||
기타 | ||
Blu-ray 전용 일러스트 티켓풍 카드 | ||
게임 시리얼 코드 게임 내 마이세카이에서 사용 가능한 포스터 3종 세트[44] 특제 원화집 Blu-ray 전용 일러스트 BIG 아크릴 스탠드 특제 Blu-ray BOX, 5면 디지팩[45] | ||
매장별 특전들 |
15. 기타
- 7월 22일, 공식 X[46]에 7월 29일 생방송에서 대형 프로젝트를 발표한다는 글을 올렸다.# 초기에는 새로운 버추얼 싱어 추가 또는 신유닛 실장[47]을 가장 유력하게 보게 되면서 여러 우려[48]를 표했는데, 극장판이었음이 밝혀지며 해프닝으로 끝났다.[49]
- 일본어 원제는 <부서진 세카이와 노래할 수 없는 미쿠>에 가깝다. 영문판은 앞쪽 '부서진 세카이'는 떼어낸 채 <노래할 수 없는 미쿠> (A Miku Who Can't Sing)으로 번역했는데, 모종의 사유로 '프로젝트 세카이'라는 이름을 사용하지 못해서 세카이 관련 제목까지 떼버린 것으로 보인다.[50]
- 모든 버추얼 싱어들의 목소리는 미쿠가 애니등에 출연할때 쓰는 방식인 녹음후 보컬로이드 형태로 변조하는 방식이 아닌 풀조교를 하였다.
- 하츠네 미쿠가 주역으로 나오는 최초의 오리지널 상업 애니메이션 영화이다. 미쿠는 그 위상과 다르게 애니메이션, 영화 등의 미디어 매체에서 주연으로 나온 적이 없었다. 이건 다른 크립톤사 보컬로이드도 마찬가지.[51] 하츠네 미쿠 팬들한테는 엄청난 선물인 셈. 해당 작품으로 미쿠도 이제 정식으로 애니 캐릭터가 되었다.
- 한편 해외에서의 개봉일에 대해선 일본에서 극장판이 개봉하기 전까지 알려진 바가 없었지만 개봉 이후 각 서버와 배급사의 SNS 등을 통해 영화 개봉일 및 특전 정보가 공개되고 있다.
- 2025년 1월 20일에 번체 중국어권 서버의 공식 SNS와 배급사의 SNS를 통해 홍콩, 마카오에서의 개봉일이, 바로 다음날인 21일엔 대만에서의 개봉일이 공개되었다. 홍콩, 마카오 대만[52]
- 한국에서는 중국어권과 같이 Nuverse 운영이지만 개봉여부가 발표되지 않았으나 2월 4일 포스터 심의 중 임이 확인되었다. 그 이후로 소식이 없다가 3월 12일 극장판 본편 심의 중 임이 확인되었다. 그 이후 3월 25일에는 극장판 예고편 심의가 전체이용가 등급으로 통과되었다는 것이 먼저 확인되었고 뒤이어 26일에는 극장판 본편심의가 통과 되었다는것이 확인되었다. 한국 수입사는 애니플러스. 4월 3일에는 선행 유료시사회가 4월 19일 메가박스에서 열린다는 정보가 공개되었다. # 4월 4일에는 5월에 메가박스에서 정식으로 개봉한다는 정보가, 시사회가 끝난 4월 19일에는 5월 29일에 개봉한다는 정보가 공개되었다. #
- 2월 13일(PT)에는 일본과 같이 SEGA가 운영중인 글로벌 서버의 SNS와 배급사의 SNS를 통해 북미권 개봉일이 공개되었다. 북미
- 2월 25일(UTC-6)에 Cinépolis에서 멕시코 개봉일을 공개하였다 멕시코
- 작중 주 시점은 진급 이전의 여름 시기가 배경으로 지정되었다. 이로 인해 교복을 입지 않는 카나데를 제외한 평소에 보기 드물었던 오리지널 캐릭터 19명[53]의 하복을 입은 모습을 볼 수 있다.
- 예고편 후반부 마지막 대사는 하츠네 미쿠의 소실의 가사를 인용했다.[54] 본편에서도 2번 등장하며, 모종의 이유로 미쿠가 사라졌을 때 SNS 해시태그로 하츠네 미쿠의 소실이 트렌드에 올라온 장면이 있다.
- 각종 콜라보가 예고되었다.
- HOT PEPPER Beauty와의 콜라보가 공지되었다. # 12월에 닫힌 창문의 세카이 미쿠, 이치카, 미노리, 코하네, 츠카사, 카나데의 헤어스타일을 투표하고, 승리한 쪽의 헤어로 1월 CM에 등장하게 된다.
- 12월 16일 JR 도카이와 콜라보 공지가 올라왔다. # 1월 10일부터 4월 6일까지 미쿠, 사키, 안, 하루카, 에무, 마후유[55]와 성우들이 녹음한 크로스 토크를 비롯한 특전, 열차 내 행사 등이 진행된다.[56] 자세한 내용은 JR 도카이 콜라보 페이지 참고#
- 12월 17일, NEC와의 콜라보가 공지되었다. LAVIE SOL 노트북과 콜라보가 발표되었다.특설 페이지 CM
- 로손과의 콜라보를 진행하였다.[57]
- 타워 레코드에서 콜라보 카페를 진행하였다.[58]
- 극장판의 인기에 힘입어, 원작 게임의 선배 격에 해당하는 오락실 게임 하츠네 미쿠 Project DIVA Arcade Future Tone의 데모 화면에 표시되는 niconico 보컬로이드 랭킹의 하츠네 미쿠 부문에서 시작의 미래, 헬로 세카이는 물론이고 원래는 나오면 안 되는 FUN!!의 세카이 버전[59]까지 랭킹 상위권에 표시되고 있다. (2025년 2월 11일 오전 07시 갱신 기준) 세카이 버전까지 표시되는 이유는 태그에 추가되어 있는 게임명의 feat.하츠네 미쿠 부분이 걸려서 그런 것으로 추정.
드디어 오락실까지 진출한 모모점
- 게임내에 나왔던 주인공 유닛들과 관련 있는 조연 인물들이 카메오로 나오며 원작을 해본 사람들이라면 찾아볼수 있는게 백미이다.
- 중반부 정전되었다 다시 불들어온 시부야 시내를 보여줄때 버블티 브랜드인 공차가 간판으로 나오는데 콘티(한글로 콘차)로 변형되어 나오는 대신 공차의 테마인 빨간 간판과 한문이 있는 흰 테두리가 그대로 나온다.
1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2px auto 3px; max-width: 100%; color: #fff;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margin: 0 -11px -1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5%" {{{#!folding ⠀[ No. 1-25 ]⠀ |
No. 1 2019. 7. 4. | No. 2 2019. 7. 19. | No. 3 2019. 7. 24. | No. 4 2019. 9. 11. | No. 5 2019. 9. 25. |
No. 6 2019. 10. 2. | No. 7 2019. 10. 17. | No. 8 2019. 10. 30. | No. 9 2019. 11. 21. | No. 10 2019. 12. 4. |
No. 11 2019. 12. 24. | No. 12 2020. 1. 8. | No. 13 2020. 1. 22. | No. 14 2020. 2. 5. | No. 15 2020. 2. 19. |
No. 16 2020. 6. 17. | No. 17 2020. 7. 15. | No. 18 2020. 8. 5. | No. 19 2020. 8. 26. | No. 20 2020. 9. 17. |
No. 21 2020. 12. 23. | No. 22 2021. 1. 20. | No. 23 2021. 2. 24. | No. 24 2021. 3. 3. | No. 25 2021. 3. 31.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5%" {{{#!folding ⠀[ No. 26-50 ]⠀ |
No. 26 2021. 4. 15. | No. 27 2021. 5. 19. | No. 28 2021. 5. 26. | No. 29 2021. 6. 17. | No. 30 2021. 6. 30. |
No. 31 2021. 7. 14. | No. 32 2021. 7. 28. | No. 33 2021. 8. 4. | No. 34 2021. 8. 11. | No. 35 2021. 9. 1. |
No. 36 2021. 9. 29. | No. 37 2021. 10. 13. | No. 38 2021. 10. 20. | No. 39 2021. 10. 27. | No. 40 2021. 11. 10. |
No. 41 2021. 11. 24. | No. 42 2021. 12. 9. | No. 43 2021. 12. 15. | No. 44 2021. 12. 22. | No. 45 2022. 1. 12. |
No. 46 2022. 1. 26. | No. 47 2022. 2. 9. | No. 48 2022. 3. 1. | No. 49 2022. 3. 30. | No. 50 2022. 4. 13.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5%" {{{#!folding ⠀[ No. 51-75 ]⠀ |
No. 51 2022. 5. 11. | No. 52 2022. 5. 18. | No. 53 2022. 6. 1. | No. 54 2022. 6. 15. | No. 55 2022. 6. 25. |
No. 56 2022. 6. 29. | No. 57 2022. 7. 13. | No. 58 2022. 7. 20. | No. 59 2022. 8. 3. | No. 60 2022. 8. 10. |
파일:OGT62.jpg |
No. 61 2022. 10. 12. | No. 62 2022. 10. 15. | No. 63 2022. 10. 19. | No. 64 2022. 11. 30. | No. 65 2022. 12. 21. |
No. 66 2023. 1. 4. | No. 67 2023. 1. 18. | No. 68 2023. 2. 1. | No. 69 2023. 2. 15. | No. 70 2023. 3. 1. |
No. 71 2023. 3. 8. | No. 72 2023. 3. 15. | No. 73 2023. 4. 5. | No. 74 2023. 4. 12. | No. 75 2023. 4. 26. | }}}}}}}}} {{{#!wiki style="margin: -5px -1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5%" {{{#!folding ⠀[ No. 76-100 ]⠀ |
No. 76 2023. 4. 29. | No. 77 2023. 5. 3. | No. 78 2023. 5. 17. | No. 79 2023. 5. 24. | No. 80 2023. 5. 31. |
No. 81 2023. 6. 14. | No. 82 2023. 6. 21. | No. 83 2023. 7. 5. | No. 84 2023. 7. 19. | No. 85 2023. 7. 26. |
No. 86 2023. 8. 9. | No. 87 2023. 8. 15. | No. 88 2023. 9. 13. | No. 89 2023. 10. 4. | No. 90 2023. 10. 11. |
No. 91 2023. 10. 18. | No. 92 2023. 10. 25. | No. 93 2023. 11. 8. | No. 94 2023. 11. 22. | No. 95 2023. 12. 20. |
No. 96 2023. 12. 23. | No. 97 2023. 12. 27. | No. 98 2024. 1. 3. | No. 99 2024. 1. 24. | No. 100 2024. 1. 31. |
#######################
- ⠀[ No. 101-125 ]⠀
- ###### 5-1행 제목 ######No. 101
2024. 2. 14.No. 102
2024. 2. 22.No. 103
2024. 2. 28.No. 104
2024. 3. 6.No. 105
2024. 3. 13.No. 106
2024. 3. 20.No. 107
2024. 4. 10.No. 108
2024. 4. 13.No. 109
2024. 4. 24.No. 110
2024. 5. 22.No. 111
2024. 5. 29.No. 112
2024. 6. 5.No. 113
2024. 6. 12.No. 114
2024. 6. 26.No. 115
2024. 7. 3.No. 116
2024. 7. 11.No. 117
2024. 7. 24.No. 118
2024. 8. 7.No. 119
2024. 8. 14.No. 120
2024. 9. 4.No. 121
2024. 9. 5.No. 122
2024. 10. 1.No. 123
2024. 10. 4.No. 124
2024. 10. 23.No. 125
2024. 11. 6.
#######################
- ⠀[ No. 126-150 ]⠀
- ###### 6-1행 제목 ######No. 126
2024. 11. 20.No. 127
2024. 11. 27.No. 128
2024. 12. 18.No. 129
2024. 12. 31.No. 130
2025. 1. 24.No. 131
2025. 1. 27.No. 132
2025. 2. 26.No. 133
2025. 2. 28.No. 134
2025. 3. 13.No. 135
2025. 3. 19.No. 136
2025. 4. 10.No. 137
2025. 4. 16.No. 138
2025. 5. 7.No. 139
2025. 5. 17.No. 140
2025. 5. 29.No. 141
2025. 6. 6.No. 142
2025. 7. 2.No. 143
2025. 7. 9.No. 144
2025. 7. 30.No. 145
2025. 8. 6.파일:OGT147.jpg No. 146
2025. 8. 25.No. 147
2025. 9. 12.No. 148
2025. 9. 24.No. 149
2025. 10. 1.
#####################
- ⠀[ Re. ]⠀
- ###### Re-1행 제목 ######Re. 1
2020. 3. 25.Re. 2
2020. 6. 11.Re. 3
2020. 10. 28.Re. 4
2021. 3. 11.Re. 4
2021. 3. 18.Re. 4
2021. 3. 18.Re. 5
2021. 3. 17.Re. 6
2021. 5. 5.Re. 7
2021. 9. 9.Re. 8
2021. 9. 15.Re. 9
2021. 10. 6.Re. 10
2021. 11. 18.Re. 11
2022. 2. 24.Re. 12
2022. 4. 20.Re. 13
2022. 9. 21.파일:OGTR14.jpg Re. 14
2022. 11. 2.Re. 15
2023. 2. 8.Re. 16
2023. 4. 1.Re. 17
2023. 5. 27.Re. 18
2023. 6. 28.Re. 19
2023. 9. 9.Re. 20
2023. 11. 15.Re. 21
2023. 11. 30.Re. 22
2023. 12. 6.Re. 23
2024. 3. 27.Re. 24
2024. 5. 8.Re. 25
2024. 5. 30.Re. 26
2024. 9. 18.Re. 27
2024. 9. 25.Re. 28
2024. 10. 9.파일:OGTR30.jpg Re. 29
2024. 11. 13.Re. 30
2024. 12. 11.Re. 31
2025. 1. 1.Re. 32
2025. 2. 12.Re. 33
2025. 4. 9.Re. 34
2025. 6. 25.Re. 35
2025. 7. 5.Re. 36
2025. 8. 29.Re. 37
2025. 9. 11.Re. 38
2025. 9. 17.
######################
}}}}}} ||- ⠀[ Special ]⠀
- ###### Sp-1행 제목 ######
<nopad> Sp. 1
2019. 8. 7.Sp. 2
2019. 12. 14.Sp. 3
2020. 4. 29.Sp. 4
2020. 7. 23.Sp. 5
2020. 8. 6.Sp. 6
2021. 1. 27.Sp. 6
2021. 6. 16.Sp. 7
2023. 6. 10.Sp. 8
2023. 11. 10.Sp. 9
2023. 12. 24.Sp. 10
2024. 10. 16.Sp. 11
2025. 4. 24.Sp. 12
2025. 5. 16.Sp. 13
2025. 9. 18.Sp. 14
2025. 9. 24.Sp. 14
2025. 9. 24.Sp. 14
2025. 10. 1.Sp. 14
2025. 10. 1.
[1] 제작위원회 구성업체: CyberAgent, 쇼치쿠, 세가, Colorful Palette, 크립톤 퓨처 미디어, P.A.WORKS[2] 홍콩, 마카오는 3월 28일, 29일 선행 시사회를 실시하고 4월 2일 정식개봉 하였다[3] 개봉 전 4월 19일에 유료시사회 진행[4] 일본 개봉판은 무대인사와 아나운스, 애프터 라이브까지 합하여 135분, 한국판은 무대인사(5분)와, 애프터 라이브(5분 30초)만 합하여 116분. 2주차 이후에는 애프터 라이브만 합하여 111분.[5] 3주년 기념 다이제스트 애니메이션의 제작을 담당했던 적이 있었다.[6] 영화 최후반부에 레오니가 등장하는 장면은 진급 후 시점이다.[7] 각자의 주 서포트 세카이 모습으로 등장한다.[8] 자신이 만든 예술품을 집어던지고, 권투를 좋아했던 사람은 권투글러브를 쓰레기로 내다버리며, 자취를 포기하고 본가로 돌아가는 사람도 보인다.[9] 어렴풋이 다른 유닛의 존재를 느낄 수는 있었으며, 네네 로봇의 말로는 위상이 어긋나서 확인이 불가능하다고 언급된다.[10] 미쿠를 제외한 나머지 세카이의 버추얼 싱어들은 검붉은 액체에 휩싸이더라도 존재가 소멸하지 않는 등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11] 하지만 안의 아버지가 운영하는 카페와 사키의 집 등 일부 장소는 정전에 괜찮았다고 한다.[12] 3주년 기념 악곡 NEO와 2주년 기념 악곡 Journey가 재생된다.[13] 닫힌 창문의 세카이의 마음들에 닿은 영향으로 가슴 속에 노래가 떠오른다고 한다[14] 라이브 자체는 동시에 진행되지만 영화상으로는 파이어 댄스→스마일*심포니→FUN!!→그곳에 있는, 빛.→SToRY 순으로 진행된다.[15] 작중 이후의 시점임에도 혼자 있는 게임 내 에어리어 스토리로 미루어 보아 수많은 마음들이 모인 열린 창문의 세카이의 특성상 다른 보컬로이드 멤버가 아닌, 우연찮게 세카이를 발견하여 찾아온 사람으로 추측된다. 또는 해당 사람이 영화를 시청하는 관객들을 상징하는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실제로 라이브 이후 미쿠가 "기다릴게."라고 말했는데 아마 이를 가리킨 듯.[영화삽입] 영화에 삽입된 버전.[음원] CD로 발매된 버전.[18] 극장판 오리지널 곡은 아니나, 극장판에서 최초공개되었다. 협업한 프로듀서 두 사람은 최초의 공모전 당선곡들인 Brand New Day와 alive의 프로듀서들이다. 각각 alive는 오픈 직전 악곡 공모전 당선곡, Brand New Day는 프로세카 NEXT 1회차 당선곡이다.[19] 일정표에는 없지만 삿포로역 영화관에서는 4주차때도 나왔다.[20] 오리지널 다섯 유닛 중 하나[21] 여섯 버추얼 싱어 중 한 명[22] 버추얼 싱어를 포함한 여섯 유닛 중 둘[23] 오리지널 다섯 유닛 중 하나[24] 영화 상영 전 아나운스 2종류, 애프터 라이브 버싱 2종류 나머지 5유닛 4종류, 상영 후 아나운스 2종류[25] 대략 일본판에 10~15분 분량 정도 잘렸다고 생각하면 된다.[26] 이미 프로세카 단편 애니메이션을 한차례 담당한 적 있는 제작사이다.[27] 실력 있는 애니메이터들과 연출가를 기용했음에도 감독의 능력 부족으로 인해 혹평을 많이 받았다.[28] 해당 애니메이션이 호평을 받아서 극장판 감독으로 선임된 것으로 보인다.[29] 기존 곡의 편곡 버전을 포함하여 총 12곡이 영화를 통해 최초 공개되었다. 이외에도 보컬로이드 악곡들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30] 세카이는 사전 지식이 없어도 보다 보면 여러 설명이나 정황으로 어렴풋이 대충 어떤 느낌인지 이해는 할 수 있지만, 시작부터 따로 분량을 잡아서 명확하게 설명하지 않기 때문에 불친절하다. 그나마 다행이라면 캐릭터들과 각 세카이에 대한 최소한의 사전 지식만 있어도 영화를 보고 이해하는 데에는 문제가 없다는 것 정도.[31] 한정 아이템은 모두 '라이브 보너스 드링크(대)'와 같은 효과를 적용받는다.[32] 오리지널 캐릭터 20인 버전.[33] 특전 배포 CD지만, 스트리밍 서비스에 제한은 두지 않아 스트리밍으로도 본 곡을 들을 수 있다. 실물 CD는 일종의 서비스격인 셈.[34] 짝수 주차에는 4주차 라인업, 홀수 주차에는 5주차 라인업.[35] ~ 2025/08/21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36] 원래 일본에 경우, 코인 대신 극장판 ★2 멤버 티켓' X6를 지급 받아, 미쿠 까지 포함해 총 7개에 카드를 받을수 있었는데, 한국에 경우 미쿠를 포함해 최대 5개 까지 교환 받을수 있다.[주의사항] 모든 멤버의 카드는 한장만 교환 받을수 있다.[38] 일본판에서 10분 분량 삭제[39] 일러스트는 일본 4~5주차 특전과 같으나 한국판은 원가절감을 위해서인지 재질이 더 얆고 테두리의 금색이 황색에 가까우며 색지라기 보단 살짝 두꺼운 종이에 가깝다[40] 선행 시사회때 제공한 A3 메인 비주얼 포스터는 불특정 다수에게 많은 양을 제공해야 하기에 종이 재질에 별 신경을 안 쓴원가절감 모습을 보였지만 그에 반해 이번엔 재질에 신경 쓴 모습이 보인다. 포스터 후면에 앰보싱 처리가 되어있어 상당히 튼튼한 편.[41] 닫힌 & 열린 세카이의 미쿠로 이루어진 2장 구성이며, 이 중 닫힌 창문의 세카이의 미쿠가 그려진 포스터는 홀로그램 처리가 되어있다.[42] 전반 : 노구치 루리코(호시노 이치카 역), 사토 히나타(아키야마 미즈키 역)
후반 : 후리하타 아이(모모이 아이리 역), 이토 켄토(아오야기 토우야 역)[43] 총 41곡 수록[44] 극장판 키 비주얼 2장, Blu-ray 전용 일러스트 1장[45] 캐릭터 디자인: 아키야마 유키[46] 구 트위터[47] 이미 2주년 직전에 신 유닛을 암시하는 스토리를 내놓으면서 신유닛이 언젠가는 나올 것이란 반응이 많았다. 또한 3주년 Q&A 때 신유닛 관련 Q&A가 나왔는데 지금은 안 나오지만 가능성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라고 답했다.[48] 대표적으로 더 심화되는 특정 캐릭터 푸쉬, 꼬인 가챠 로테이션으로 인한 현질 문제 등[49] 하필 그날 생방송이 평소와 다르게 4명이 아닌 3명이 진행하게 되어 방송 중간에 신유닛 캐릭터 중 한 명 또는 새로운 버추얼 싱어의 담당 성우가 합류해서 신유닛 또는 새로운 버추얼 싱어에 관한 정보를 말할 것이라는 추측도 있었다.[50] 원작 게임 역시 '하츠네 미쿠 : 컬러풀 스테이지'로 프로젝트 세카이 명칭을 쓰지 못했다.[51] 프로세카의 메인스토리를 짧게 애니메이션으로 만든 Journey to Bloom에서도 미쿠는 주연이 아닌 조력자 포지션의 조연으로 나온다.[52] 간체자를 쓰는 중국 대륙의 개봉일은 아직까지 알려진것이 없다.[53] 다만, 이 중에서도 마후유의 하복 모습은 에필로그에서만 잠깐 나온다.[54] 미쿠가 사라지며 말하는 アリガトウ ソシテ(고마워 그리고)와 미쿠가 쓰레기 더미 위로 떨어지며 나오는 자막 さようなら(안녕)[55] =미쿠를 제외한 2라인 캐릭터[56] 도카이도 신칸센에서만 진행하니 헷갈리지 않도록 하자.[57] 닫힌 창문의 세카이 미쿠, 호나미, 아이리, 아키토, 네네, 에나(이하 미쿠를 제외한 3라인)를 대표로 진행.[58] 열린 창문의 세카이 미쿠, 시호, 시즈쿠, 토우야, 루이, 미즈키(이하 미쿠를 제외한 4라인)를 대표로 진행.[59] 정확히는 이 영상.
후반 : 후리하타 아이(모모이 아이리 역), 이토 켄토(아오야기 토우야 역)[43] 총 41곡 수록[44] 극장판 키 비주얼 2장, Blu-ray 전용 일러스트 1장[45] 캐릭터 디자인: 아키야마 유키[46] 구 트위터[47] 이미 2주년 직전에 신 유닛을 암시하는 스토리를 내놓으면서 신유닛이 언젠가는 나올 것이란 반응이 많았다. 또한 3주년 Q&A 때 신유닛 관련 Q&A가 나왔는데 지금은 안 나오지만 가능성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라고 답했다.[48] 대표적으로 더 심화되는 특정 캐릭터 푸쉬, 꼬인 가챠 로테이션으로 인한 현질 문제 등[49] 하필 그날 생방송이 평소와 다르게 4명이 아닌 3명이 진행하게 되어 방송 중간에 신유닛 캐릭터 중 한 명 또는 새로운 버추얼 싱어의 담당 성우가 합류해서 신유닛 또는 새로운 버추얼 싱어에 관한 정보를 말할 것이라는 추측도 있었다.[50] 원작 게임 역시 '하츠네 미쿠 : 컬러풀 스테이지'로 프로젝트 세카이 명칭을 쓰지 못했다.[51] 프로세카의 메인스토리를 짧게 애니메이션으로 만든 Journey to Bloom에서도 미쿠는 주연이 아닌 조력자 포지션의 조연으로 나온다.[52] 간체자를 쓰는 중국 대륙의 개봉일은 아직까지 알려진것이 없다.[53] 다만, 이 중에서도 마후유의 하복 모습은 에필로그에서만 잠깐 나온다.[54] 미쿠가 사라지며 말하는 アリガトウ ソシテ(고마워 그리고)와 미쿠가 쓰레기 더미 위로 떨어지며 나오는 자막 さようなら(안녕)[55] =미쿠를 제외한 2라인 캐릭터[56] 도카이도 신칸센에서만 진행하니 헷갈리지 않도록 하자.[57] 닫힌 창문의 세카이 미쿠, 호나미, 아이리, 아키토, 네네, 에나(이하 미쿠를 제외한 3라인)를 대표로 진행.[58] 열린 창문의 세카이 미쿠, 시호, 시즈쿠, 토우야, 루이, 미즈키(이하 미쿠를 제외한 4라인)를 대표로 진행.[59] 정확히는 이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