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4 09:12:45

성 모에서 넘어옴
성/보리 모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2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6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ボウ, ム
일본어 훈독
な-く, むさぼ-る
-
표준 중국어
móu, mù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

[clearfix]

1. 개요

牟는 '성/보리 모'라는 한자로, 성씨보리를 뜻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성/보리
중국어 표준어 móu, mù
광동어 mau4
객가어 mèu
민동어 mèu
민남어 bô͘ / biô
오어 meu (T3)
상어 lau2
일본어 음독 ボウ, ム
훈독 な-く, むさぼ-る
베트남어 mâu, mưu
유니코드에는 U+725F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戈竹手(IHQ)로 입력한다.

지사자로, (소 우) 자에 입에서 나오는 기운을 나타내는 기호()을 더해 소가 소리를 내어 우는 모습을 본떴다.

가타카나 mu() 의 유래가 된 한자이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모(성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한국의 성씨 한자 상위 100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9em"
100위까지 성씨는 내국인 인구의 99.16%입니다 (2015년 통계청 자료)
 
인구 비율이나 100위 아래의 성씨 등은 한국의 성씨별 인구 분포 문서 참고
## 🔶🔶 0는 정렬의 위한 배경색의 안보이는 0
}}}}}}}}}

3.4. 지명

牟가 들어가는 지명 (국내)
경기 <colbgcolor=#fff,#191919> 이천시 백사면 모전리(牟)
강원 홍천군 서면 모곡리(牟)
충남 아산시 인주면 모원리(牟)
경북 경주시 건천읍 모량리(牟)
상주시 모동면(牟) · 모서면(牟西)
경남 창원시 의창구 대산면 모산리(牟)
포항시 남구 장기면 모포리(牟)
창녕군 대지면 모산리(牟) · 이방면 모곡리(牟)
전남 화순군 한천면 모산리(牟)
牟가 들어가는 지명 (일본)
칸사이 미에현 키타무로군() · 미나미무로군()
와카야마현 니시무로군(西) · 히가시무로군()
시코쿠 도쿠시마현 카이후군 무기초()
큐슈 후쿠오카현 오무타시()
牟가 들어가는 지명 (중화권)
화둥 옌타이시 무핑구(牟平区)
중난 정저우시 중무현(中牟县)
시난 추슝 이족 자치주 머우딩현(牟定县)
牟가 들어가는 지명 (기타)
<colbgcolor=#fff,#191919> 고모루성() · 동모산() · 모양성(牟) · 모황도(牟)

3.5. 역명

역명에 牟이 들어가는 철도역 (국내)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중앙선, 동해선 모량신호장(牟)
역명에 牟이 들어가는 철도역 (일본)
파일:JRK-SKS.svg 큐슈 신칸센 신오무타역()
파일:JRK-JB.svg 가고시마 본선 니시무타역(西)
오무타역()
파일:JRS-M.svg 무기선 무기역(牟)
카라츠선 혼무타베역()
파일:JRS-T.svg 코토쿠선 사누키무레역()
파일:JRS-M.svg 무기선 무기역(牟)
파일:NT-T.svg 텐진오무타선 오무타역()
핫쵸무타역()
파일:시나노 철도 흰색 심볼.svg 키타시나노선 무레역(牟)
역명에 牟이 들어가는 철도역 (중화권)
칭룽도시간철도 무핑역(牟)
룽하이철도 중무역()

3.6. 창작물

3.7. 기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수레 거/차)의 간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