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000><colcolor=#fff> 잭 커비 Jack Kirby | |||
| |||
본명 | 제이콥 커츠버그 Jacob Kurtzberg | ||
가명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잭 커티스 Jack Curtiss 커트 데이비스 Curt Davis 랜스 커비 Lance Kirby 테드 그레이 Ted Grey 찰스 니콜라스 Charles Nicholas 프레드 샌드 Fred Sande 테디 Teddy 더 킹 The King | }}}}}} |
출생 | 1917년 8월 28일 | ||
미국 뉴욕주 뉴욕시 | |||
사망 | 1994년 2월 6일 (향년 76세) | ||
미국 캘리포니아주 사우전드오크스 | |||
직업 | 만화가 | ||
배우자 | 로즈 골드스틴 (1942년 결혼) | ||
자녀 | 3명 | ||
종교 | 유신론[1] |
[clearfix]
1. 개요
DC 코믹스와 마블 코믹스에서 활동한 미국의 만화가. 스탠 리처럼 유대인으로, 아내인 로즈 골드스틴(Rose Goldstein)도 유대인이었다.2. 평가
캡틴 아메리카를 스토리 작가 조 사이먼과 창조했으며, 그 유명한 히틀러 면상에 주먹을 날리는 그림을 그린 사람이 바로 잭 커비다. 잭 커비가 유대인이었기에 미국내 친 나치주의자들이 살해협박은 물론이요, 작업실 밖에서 서성거리면서 위협을 하는 판이라 경찰이 그들을 경호하기도 했다. 그런데 뉴욕 시장이 직접 코믹스의 사무실에 전화를 걸어 매우 좋은 일을 하고 있다고 격려해주기도 했다. 사실 이 당시에 미국의 여론은 나치와 전쟁을 하지 말자는 의견이었기에 캡틴 아메리카가 히틀러를 때리는 그림은 보통 깡 가지고 안 되는 그림이었던 것이다. 게다가 캡틴 아메리카가 막 나온 시점은 진주만 공습 이전의 일이었다. 마블의 정치/사회적인 요소는 사실 이때부터 끼가 있었던 것이다.판타스틱 포, 실버 서퍼 등등의 마블 유명작들을 그려오면서, 이전의 답답한 정지화면 같던 코믹스 그림을 탈피해, 대담한 포즈와 움직임을 표현하는 동작선, 입김, 충격파, 바람 효과 등등 여러 특수효과들을 적극적으로 도입해서 만화의 액션이 보다 다이나믹하고 역동적으로 만들었다. 이것은 거의 만화계의 혁명에 가까운 것으로, 이걸 배워 도입한 일본 만화계는 SF나 무협, 액션 만화 등에서 더욱 갈고 닦아 오히려 스승인 미국 만화에 비해 동세나 역동적인 연출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 쩔어주는 위엄 덕분에 어보브 올 아더스의 모습 중 하나로 나오기도 했다. 만난 대상은 판타스틱 포.
1971년에는 마블과 스탠 리와 불화 때문에 라이벌인 DC 코믹스에서 4년동안 이적했다. DC 코믹스에서도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상당수 내세우며 DC의 전설로도 자리를 잡게되었다. 때문에 DC에서도 최근에 잭 커비 탄생 100주년 기념 코믹북을 따로 내놓았을 정도. 이때 <뉴 가즈>, <미스터 미라클>, <포에버 피플>이라는 시리즈들을 연재하여 뉴 가즈라는 신화를 창조하는데, 이 세계관은 "제4의 세계"로 불린다. 참고로 커비의 원래 아이디어는 마블 코믹스의 토르 세계관에서 라그나로크를 통해 북유럽 신들을 모두 죽이고 만들 시리즈였지만, 편집부에서 인기 캐릭터들을 죽이지 말라고 해서 퇴짜를 맞아서, DC로 이적한 후 만든 것이다. 이때 유명한 빌런 다크사이드가 최초로 등장했다. 커비는 뉴 가즈 말고도 에트리간, 오막, 그리고 지구의 마지막 소년 카만디도 만들었다. 즉 잭 커비는 DC 코믹스·마블 코믹스 양 회사를 통틀은 전설 그 자체인 셈이다.
거북이 특공대 Z에서 그를 추모하는 에피소드가 있다.
3. 기타
- 1917년생인데도 인종 문제에선 시대를 앞서갔다. 1966년에 사이드킥도 아닌 주연급 흑인 히어로인 블랙 팬서를 만들어 냈으니 말이다.
- 1939년까진 잠시 플라이셔 스튜디오에 애니메이터로 근무한 적도 있었다.
- 또 다른 거장 만화가 이시노모리 쇼타로와 비교되는 경우가 많다. 두 사람 모두 히어로 만화를 다수 창작했고, 슈퍼히어로 미디어의 역사에서 빠질 수 없는 인물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그리고 각자의 본국에서 "만화의 왕"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고[2] 초창기에는 여성향[3] 만화를 만들었다는 점도 비슷하다.[4]
[1] John Morrow, "Roz Kirby Interview Excerpts", twomorrows.com, 1995.12.18.[2] 이시노모리는 "만화의 제왕", 커비는 "킹 오브 코믹스".[3] 이시노모리는 순정만화, 커비는 로맨스.[4] https://www.polygon.com/22821264/best-comics-2021-marvel-dc-mang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