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10:35:10

1. 한국성씨 김씨로마자 표기2. 이름
2.1. 영미권이름2.2. 러시아이름
2.2.1. 실존 인물
2.3. 가상 인물
3. 소설 눈물을 마시는 새 연작에서 도깨비가 인간을 부르는 말4. 소설 5. 에미넴의 노래6. 김정수의 닉네임7. 외부 링크
7.1. 한국어7.2. 영어
8. 미러 링크

1. 한국성씨 김씨로마자 표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성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한국의 성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 · · · · 강전 · · · · · · · · · · · · · · · · · · · · ·
· · · 남궁 · · · · ·
· · · · · · · 독고 · · · 동방 · · · 등정
· · · · · · · ·
· · 망절 · · · · · · · · 무본 · · · ·
· · · · · · · · · · · · · ·
· 사공 · · · · · 서문 · · · 선우 · · · · · 소봉 · · · · · · · · ·
· · · · · · 어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곡 · · · · · · 제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황목 · 황보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Kim/

한국의 성씨 중 하나인 김씨를 로마자로 표기할 때 가장 보편적으로 쓰는 표기이다.

2. 이름

2.1. 영미권이름

영미권의 이름. 위키백과 문서에도 나와있듯이 이 이름은 남녀 공용 이름이며, 킴벌리(Kimberly)나 요아킴 등 다른 이름의 애칭으로도 쓰이는 이름이다.

보통은 Kim으로 쓰이나 Kym이라는 스펠링으로 쓰이는 경우도 있다.

한국에서는 '김'이 보통 성씨로 인식되는 반면[1], 영미권에서의 '킴'은 (한국계를 제외하고는) 성씨가 아닌 이름이다.

2.2. 러시아이름

러시아에서 사용되는 남성의 이름. 소련의 성립과 함께 공산주의 이념에 맞추어 새로이 만들어진 이름으로 "Коммунистический Интернационал молодёжи"(공산주의적 인터네셔녈 젊은이들)의 앞글자를 따와서 만들어졌다.[2] 1920년대 이후 기존에 사용되던 남성 이름인 요아킴/요아힘(Иоаким/Иоахим)을 킴으로 대체하는 관행이 있었다.

러시아 이름에 대해 잘 모르는 한국인들이 이름에 '킴'이 들어갔다는 이유만으로 순수 러시아인을 고려인으로 생각하는 일이 종종 있는데, 성씨 '킴'은 고려인 혈통일 확률이 매우 높지만 이름 '킴'은 고려인이라고 장담할 수 없다.

이 외 영어권 이름인 킴벌리(Кимберли), 킴볼(Кимбол), 일본계 이름인 키미코(Кимико) 등을 줄여 부를 때 사용하기도 한다.

2.2.1. 실존 인물

2.3. 가상 인물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3. 소설 눈물을 마시는 새 연작에서 도깨비가 인간을 부르는 말

눈물을 마시는 새피를 마시는 새에 나오는 4대 선민종족 중 하나인 도깨비가 인간을 지칭하는 말. 도깨비라는 종족이 한국 설화의 도깨비를 많이 참조했기 때문에, 한국 설화에서 도깨비가 인간을 모두 '김서방'이라고 부르는 걸 적당히 변형한 것으로 보인다.

소설에서 '킴'은 도깨비에게 농사를 가르쳐준 인간의 이름이다. 도깨비는 피를 매우 싫어하기 때문에 사냥이나 목축, 어업으로 식량을 얻는 게 거의 불가능하다.[3] 때문에 농업의 전파는 도깨비에게 있어 굉장히 중요한 사건이었으며, 이를 기리기 위해 인간을 '킴'이라고 지칭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현재는 그냥 인간을 뜻하는 대명사로 사용된다.

4. 소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킴(소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에미넴의 노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Kim(노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김정수의 닉네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정수(e스포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외부 링크

7.1. 한국어

7.2. 영어

8. 미러 링크



[1] 金자는 성씨 혹은 지명에만 김으로 읽힌다. 그러나 연예인 김보성이 자신의 본명을 '허석김보성'으로 개명하면서(본래 이름은 '허석'이며, 개명한 풀네임은 성이 '허', 이름이 '석김보성'이다.) 한국인 이름에도 '김'이 간접적으로나마 포함되게 됐다.[2] 이런 식으로 소련 성립 이후 새로 만들어진 남성/여성 이름이 드물지 않았다. 관련 자료(러시아어 위키피디아)[3] 따라서 고기가 먹고 싶을 때는 인간이나 레콘, 나가에게 도축을 부탁하며, 도깨비들만 있을 경우, 매우 드물게 산 채로 구워 먹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