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명·지명 한자 약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륙 | |||||||
亞 | 歐 | 阿 · 非 | ||||||
아시아 | 유럽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가 | ||||
南 · 韓 | 北 · 朝 | 華 · 臺 · 台 | 中 · 漢 唐 | 日 和 | ||||
대한민국 | 북한 | 대만 중화민국 | 중국 | 일본 | ||||
蒙 | 美 · 米 | 英 | 加 | 濠 · 澳 | ||||
몽골 | 미국 | 영국 | 캐나다 | 호주 | ||||
佛 · 法 | 獨 · 德 | 墺 · 奥 | 伊 | 蘭 | ||||
프랑스 | 독일 | 오스트리아 | 이탈리아 | 네덜란드 | ||||
西 | 葡 | 露 · 俄 | 印 | 印尼 | ||||
스페인 | 포르투갈 | 러시아 | 인도 | 인도네시아 | ||||
末 · 馬 · 馬聯 | 泰 | 比 | 越 | 埃 | ||||
말레이시아 | 태국 | 필리핀 | 베트남 | 이집트 | ||||
波 | 厓 · 愛 | 丁 | 瑞 | 那 · 諾 | ||||
폴란드 | 아일랜드 | 덴마크 | 스웨덴 | 노르웨이 | ||||
希 | 芬 | 南阿共 | 白 | 匈 · 洪 | ||||
그리스 | 핀란드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벨기에 | 헝가리 | ||||
瑞西 | 土 | 墨 | 阿根廷 | 巴西 | ||||
스위스 | 튀르키예 | 멕시코 | 아르헨티나 | 브라질 | ||||
과거의 국가 | ||||||||
伽 | 高 · 麗 | 濟 | 羅 | 朝 | ||||
가야 [A] | 고구려 · 고려 [A] | 백제 [A] | 신라[A] | 조선[A] | ||||
大秦 | 蘇 | 普 | 倭 | 琉 | ||||
로마 제국 | 소련[B] | 프로이센[C] | 왜국 [D] | 류큐 왕국/열도 [D] | ||||
지역 및 도시 | ||||||||
亞太 | 滿 | 加州 | 羅城 | 桑港 | ||||
아시아-태평양 | 만주 지역 | 캘리포니아주 | 로스앤젤레스 | 샌프란시스코 | ||||
華盛頓 | 莫斯科 | 伯林 | 羅馬 | 倫敦 | ||||
워싱턴 D.C. | 모스크바 | 베를린 | 로마 | 런던 |
}}}}}}}}} ||
동서남북 | ||
北 | ||
西 | 東 | |
南 |
北 북녘 북, 달아날 배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匕, 3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5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ホク | ||||||
일본어 훈독 | きた, そむ-く, に-げる | ||||||
- | |||||||
표준 중국어 | běi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北자는 '북녘 북, 달아날 배'라는 한자로, '북(北)녘', '북(北)쪽', '달아나다'를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북녘 | <colbgcolor=#fff,#1f2023>달아나다 |
음 | 북 | 배 | |
중국어 | 표준어 | běi | |
광동어 | bak1 | ||
객가어 | pet | ||
민북어 | bă̤ | ||
민동어 | báe̤k | ||
민남어 | pok[文] / pak[白] | ||
오어 | poq (T4) | ||
일본어 | 음독 | ホク | |
훈독 | きた | そむ-く, に-げる | |
베트남어 | bắc |
'北'은 갑골문 상으로는 두 사람이 등을 맞대고 서 있는 모습을 본 뜬 글자로, '등, 등지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었으나 후에 원래의 뜻에서 파생되어 '북쪽' 이라는 뜻만을 가지게 되었다. 그래서 '등, 등지다'라는 뜻을 명확히 하기 위해 北에 月(고기 육, 肉의 변형된 형태) 자를 덧붙여 만들어진 글자가 背이다.[3]
어떤 이유에선지 유독 '敗北'만은 背로 대체되지 않고 현재도 北를 쓰고 있는데, 한국에서 이때의 北자를 '북'이라고 읽지 않고 '배'라고 읽는다. 한편 중국과 일본에서는 '배' 음에 해당하는 독음이 없으므로 '敗北'를 'bàiběi, ハイボク'라고 읽는다. 한국어로 치면 패북이라고 읽는 격. 광운 상으로도 北의 독음은 博墨切로 단 하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소리가 '북'·'배' 둘이 있게 된 까닭은 윌리엄 백스터와 로랑 사가르의 재구성에 따르면 상고한어에서 [pˤək]였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北자의 이체자로 业자를 쓰는 경우가 있다.# 주로 수기로 작성된 舊 호적등본에서 흔히 볼 수 있고(#) 일본의 호적통일문자에도 동일하게 규정하고 있다(#). 중국에서 业자는 業의 간체자로 쓰고 있다.
다른 속자로는 㐀자가 있다.[4]
대만에서는 왼쪽의 ㅕ 부분이 아래 가로 획 아래쪽으로 삐지지 않게 쓴다.
3. 용례
3.1. 단어
3.1.1. 북
- 관북(關北)
- 남북(南北)
- 납북(拉北)
- 대북방송(對北放送)
- 동서남북(東西南北)
- 방북(訪北)
- 북괴(北傀)
- 북극성(北極星)
- 북두칠성(北斗七星)
- 북반구(北半球)
- 북방(北方)
- 북부(北部)
- 북어(北魚)
- 북위(北緯)
- 북적(北狄)
- 북촌(北村)
- 북학(北學)
- 북한(北韓)
- 북회귀선(北回歸線)
- 월북(越北)
- 이북(以北)
- 탈북(脫北)
3.1.2. 배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 왕베이싱(王北星) - 중국의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 이북만(李北滿) -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원
- 최북(崔北) - 조선의 화가
- 북두(北斗)
- 카미키타 코마리(神北 小毬)
- 카미키타 켄(上北 健)
- 카미키타 후타고(上北 ふたご)
- 키타가와 료하(北川 綾巴)
- 키타가와 케이코(北川 景子)
- 키타노 히나코(北野 日奈子)
- 키타 아스카(北明日香)
- 키타자와 사키(北澤 早紀)
- 키타지마 유키노리(北島行徳)
- 타니키타 아카리(谷北 朱璃)
- 토프 베이퐁(北方拓芙)
- 호조 츠카사(北条 司)
- 호조 히비키(北条 響)
3.4. 지명
방위를 나타내는 한자이므로 지명으로도 많이 쓰인다.- 북한(北韓) - 신문이나 뉴스에선 보통 줄여서 北으로 쓴다.
- 강북구(江北區)[5]
- 경상북도(慶尙北道)
- 도호쿠(東北)
- 베이징(北京)
- 북극(北極)
- 북내동(北內洞)
- 북미(北美)
- 북성로1·2가(北城路)
- 북악산(北嶽山)
- 북청군(北靑郡)
- 북한강(北漢江)
- 북한산(北漢山)
- 성북구(城北區)
- 성북동(城北洞)
- 센보쿠 시(仙北市)
- 시장북로(市場北路) - 믿기지 않겠지만 도로명이 아닌 법정동명이다.
- 입북동(笠北洞)
- 전북특별자치도(全北特別自治道)
- 충청북도(忠淸北道)
- 타이베이(台北)
- 평안북도(平安北道)
- 함경북도(咸鏡北道)
- 홋카이도(北海道)
- 황해북도(黃海北道)
- 기타큐슈시(北九州)
3.5. 기타
4. 지하철역
5. 유의자
6. 상대자
7. 모양이 비슷한 한자
8. 여담
[文] 문독[白] 백독[3] 이와 같이 어떤 글자 A가 인신이나 가차로 인해 본래의 뜻을 잃어 버린 후, 본래의 뜻은 나타내기 위해 A에 뜻을 보충하는 글자를 더하거나 약간의 변형을 가하는 방식으로 만든 글자 B가 있을 때, A와 B의 관계를 고금자(古今字)라고 한다. 이와 같은 사례로는 自(스스로 자)자와 鼻(코 비)자, 酉(닭 유)자와 酒(술 주)자, 云(이를 운)자와 雲(구름 운)자 등이 있다.[4] 业에서 丶 2개가 이어지지 않는 一로 변한 형태이다.[5] 중국 충칭시 장베이구랑 한자까지 같다.[6] 중국어에서 주로 '이기다'로 쓰이는 한자이다. 한국에서는 이 한자 자체가 잘 쓰이지 않으며, 그 중에서도 '이기다'로 쓰이는 표준어로 등록된 단어는 영수(贏輸: 이김과 짐) 하나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