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국왕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동명성왕 | 유리명왕 | 대무신왕 | 민중왕 | |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모본왕 | 태조대왕 | 차대왕 | 신대왕 | |
<rowcolor=#c5b356>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고국천왕 | 산상왕 | 동천왕 | 중천왕 | |
<rowcolor=#c5b356>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
서천왕 | 봉상왕 | 미천왕 | 고국원왕 | |
<rowcolor=#c5b356>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소수림왕 | 고국양왕 | 광개토대왕 | 장수왕 | |
<rowcolor=#c5b356>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
문자명왕 | 안장왕 | 안원왕 | 양원왕 | |
<rowcolor=#c5b356> 제25대 |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
평원왕 | 영양왕 | 영류왕 | 보장왕 | |
추존왕 및 비정통 | 대리청정 및 섭정 | 상왕 | 왕후 | 태자 | 왕실 계보 고조선 · 부여 · 원삼국 · 백제 · 가야 · 신라 · 탐라 · 발해 · 후고구려 · 후백제 후삼국 · 고려 · 조선 · 대한제국 · 대한민국 임시정부 · 조선건준 · 대한민국 | }}}}}}}}} |
차대왕 관련 틀 | ||||||||||||||||||||||||
|
<colbgcolor=#000,#000><colcolor=#c5b356> 고구려 제7대 국왕 차대왕 | 次大王 | |||
차대왕릉으로 추정되는 마선구 2378호 전경. | |||
출생 (음력) | <colbgcolor=#fff,#1f2023>71년 | ||
고구려 | |||
사망 (음력) | 165년 10월 (향년 94세) | ||
고구려 | |||
능묘 | 마선구 2378호 (추정) | ||
재위기간 (음력) | 고구려 국왕 섭정 | ||
121년 11월[1] ~ 146년 12월 (25년 1개월) | |||
고구려 제7대 국왕 | |||
121년 / 146년 12월[2] ~ 165년 10월 (18년 10개월~44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0,#000><colcolor=#c5b356> 본관 | <colbgcolor=#fff,#1f2023>횡성 고씨 | |
성씨 | 고(高) | ||
휘 | 수성(遂成) | ||
부모 | 부왕 태조대왕? / 고재사? 모후 부여태후? | ||
형제자매 | 3남 혹은 5남 중 차남? 형 고궁? 동생 고막근, 고막덕, 고백고, 고인고? | ||
왕후 | 고추안의 모후 | ||
자녀 | 2남?[3] | ||
시호 | 차대왕(次大王) | }}}}}}}}} |
“나는 너무 늙어 만기(萬機)에 귀찮음을 느낀다. 하늘의 역수가 네 몸에 있다. 게다가 넌 안으로는 국정에 참여하고 밖으로는 군사를 총괄하니 오랫동안 사직에 공을 쌓았다. 신민의 소망을 채웠으니 내가 부탁할 인물을 얻었다고 가히 이를 수 있다. 너로 하여금 즉위하게 하니, 영원히 영광을 누릴 것이다!”
"吾旣老倦於萬機 天之曆數在汝躬 況汝內參國政 外摠軍事 久有社稷之功 允塞臣民之望 吾所付託 可謂得人 作汝其卽位 永孚于休!"
《삼국사기》에서 태조대왕이 고수성에게 전한 양위의 말.[4]#
"吾旣老倦於萬機 天之曆數在汝躬 況汝內參國政 外摠軍事 久有社稷之功 允塞臣民之望 吾所付託 可謂得人 作汝其卽位 永孚于休!"
《삼국사기》에서 태조대왕이 고수성에게 전한 양위의 말.[4]#
[clearfix]
1. 개요
고구려의 제7대 왕.휘는 수성으로, 한국사에 등장한 최초의 역사왜곡 논란이 없는 폭군이라 불리는 인물이다.[5][6] 왕호 자체가 태조대왕 다음(次) 대의 군주이다. 진시황의 다음 황제라는 뜻의 이세황제와 같은 식이다.
"그는 용감하고 체격이 건장하여 위엄이 있었으나, 인자한 마음은 적었다."[7]
고 기록하고 있다.#2. 의문의 가족 관계
《삼국사기》에 따르면 차대왕은 태조대왕의 동복동생[8]이자 신대왕의 형이다.그러나 중국 측 역사서인 범엽의 《후한서》에는 수성(차대왕)이 궁(태조대왕)의 아들이자, 백고(신대왕)의 아버지로 기록되어 있어 국내 기록과 정면으로 충돌하며, 진수의 《삼국지》나 이연수의 《북사》에서는 고수성이 아예 등장하지 않고, 궁이 죽자 아들 백고가 즉위했다고 서술했다. 한편 《삼국지》와 《북사》에서는 제11대 동천왕을 궁의 증손으로 기록해 놨는데, 동천왕은 제8대 신대왕의 손자이므로 신대왕은 태조대왕의 아들이 된다. 이 경우 차대왕의 족보는 미궁에 빠져, 태조대왕의 형제일 수도, 아들일 수도 있게 된다.
단재 신채호는 《후한서》나 《삼국지》가 더 현실적이라 보고, 이를 채택해 차대왕과 신대왕을 태조대왕의 서자로 봤다. 연대상으로 《후한서》나 《삼국지》 측의 의견이 맞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지만 사실 태조대왕의 연대가 불확실해서 차대왕이 태조대왕과 정확히 어떤 관계인지 결론을 내리기가 애매한 상황이다. 일반적으로는 나이 차이가 무지하게 큰 동생임을 인정하거나, 서자로 보는 두 가지 설이 채택된다.
3. 생애
자세한 내용은 차대왕/생애 문서 참고하십시오.4. 기타
"차대(次大)는 총애받던 아우로서, 왕위를 엿보아 온 지 여러 해였는데, 그가 왕위를 이어받게 되었는 데도 마음을 고치지 않고 주살(誅殺)을 자행(恣行)하였으니, 천도(天道)는 되돌려 주기를 좋아하므로, 그에게 화가 미친 것은 당연한 것입니다."
5. 《삼국사기》 기록
삼국사기(三國史紀)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word-break: keep-all; min-height:(25/18*1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4a2d5b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 1권 「신라 1권 (新羅 一)」 | 2권 「신라 2권 (新羅 二)」 | |
혁거세 · 남해 · 유리 · 석탈해 · 파사 · 지마 · 일성 | 아달라 · 벌휴 · 내해 · 조분 · 첨해 · 미추 · 유례 · 기림 · 흘해 | ||
3권 「신라 3권 (新羅 三)」 | 4권 「신라 4권 (新羅 四)」 | 5권 「신라 5권 (新羅 五)」 | |
내물 · 실성 · 눌지 · 자비 · 소지 | 지대로 · 원종 · 김삼맥종 · 김사륜 · 김백정 | 김덕만 · 김승만 · 김춘추 | |
6-7권 「신라 6-7권 (新羅 六-七)」 | 8권 「신라 8권 (新羅 八)」 | 9권 「신라 9권 (新羅 九)」 | |
김법민 | 김정명 · 김이홍 · 김융기 | 김승경 · 김헌영 · 김건영 · 김양상 | |
10권 「신라 10권 (新羅 十)」 | 11권 「신라 11권 (新羅 十一)」 | ||
김경신 · 김준옹 · 김청명 · 김언승 · 김수종 · 김제융 · 김명 · 김우징 | 김경응 · 김의정 · 김응렴 · 김정 · 김황 · 김만 | ||
12권 「신라 12권 (新羅 十二)」 | 13권 「고구려 1권 (高句麗 一)」 | 14권 「고구려 2권 (高句麗 二)」 | |
김요 · 박경휘 · 박승영 · 박위응 · 김부 | 고주몽 · 고유리 | 고무휼 · 고색주 · 고해우 | |
15권 「고구려 3권 (高句麗 三)」 | 16권 「고구려 4권 (高句麗 四)」 | 17권 「고구려 5권 (高句麗 五)」 | |
고궁 · 고수성 | 고백고 · 고남무 · 고연우 | 고우위거 · 고연불 · 고약로 · 고상부 · 고을불 | |
18권 「고구려 6권 (高句麗 六)」 | 19권 「고구려 7권 (高句麗 七)」 | 20권 「고구려 8권 (高句麗 八)」 | |
고사유 · 고구부 · 고이련 · 고담덕 · 고거련 | 고나운 · 고흥안 · 고보연 · 고평성 · 고양성 | 고원 · 고건무 | |
21-22권 「고구려 9-10권 (高句麗 九-十)」 | 23권 「백제 1권 (百濟 一)」 | ||
고장 | 부여온조 · 부여다루 · 부여기루 · 부여개루 · 부여초고 | ||
24권 「백제 2권 (百濟 二)」 | |||
부여구수 · 부여사반 · 부여고이 · 부여책계 · 부여분서 · 부여비류 · 부여계 · 부여구 · 부여수 · 부여침류 | |||
25권 「백제 3권 (百濟 三)」 | |||
부여진사 · 부여아신 · 부여전지 · 부여구이신 · 부여비유 · 부여경사 | |||
26권 「백제 4권 (百濟 四)」 | 27권 「백제 5권 (百濟 五)」 | 28권 「백제 6권 (百濟 六)」 | |
부여문주 · 부여삼근 · 부여모대 · 부여사마 · 부여명농 | 부여창 · 부여계 · 부여선 · 부여장 | 부여의자 | |
금석문 및 문헌기록상 신라 최초로 성씨를 사용한 왕은 진흥왕임 * 29~31권까지 연표 * 32~40권까지 잡지 |
{{{#!folding [ 열전(列傳) ]
}}} ||《삼국사기》 〈차대왕 본기〉
一年冬十二月 차대왕이 즉위하다
二年春二月 관내부 미유를 좌보에 임명하다
二年春三月 우보 고복장을 죽이다
二年秋七月 어지류를 좌보에 임명하다
二年冬十月 양신을 중외대부에 임명하다
二年冬十一月 지진이 일어나다
三年夏四月 태조왕의 장자를 죽이다
三年秋七月 무당을 죽이다
四年夏四月 일식이 일어나다
四年夏五月 점치는 사람이 점괘를 거짓 보고하다
四年冬十二月 겨울에 얼음이 얼지 않다
八年夏六月 서리가 내리다
八年冬十二月 지진이 일어나다
十三年春二月 혜성이 북쪽에 나타나다
十三年夏五月 일식이 일어나다
二十年春一月 일식이 일어나다
二十年春三月 태조대왕이 붕어하다
二十年冬十月 명림답부가 차대왕을 시해하다
즉위 4년차부터는 전부 자연재해 관련 기록뿐이다(...).
6. 대중매체에서
- 과학소설(SF) 작가 김보영의 《진화신화》에서 대표적인 빌런으로 등장한다. 용불용설을 차용한 작품이다.
- 다음 웹툰 《위나암림》에서는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이 웹툰의 내용은 《맥베스》의 기본 스토리 얼개를 배경만 고구려로 바꾸고, 거의 그대로 차용하고 있는데[10] 그래서인지 차대왕이 태조대왕을 밀어낸 후 왕위를 찬탈한 것으로 나온다. 태조대왕이 너무 오래 살아서 동생인 차대왕이 갈등 끝에 결국 자신의 야심을 참지 못하고, 태조대왕을 손수 찔러죽이는 그러면서도 죄책감에 몸서리치며 더더욱 광기를 내뿜는 등의 장면에서 드러나는 차대왕의 심리 묘사가 인상적이다.[11] 실제 역사에서는 차대왕(수성)이 태조대왕을 살해하고 왕위 찬탈 음모를 꾸미는 것으로 나오기는 하나 실제로 실천에 옮기지는 않는다. 태조대왕이 "내가 나이가 들어서"라는 이유를 들며, 상왕이 되는 것으로 마무리되는데 모르긴 몰라도 안 물러났으면 죽였을 것 같기도 하다. 허나 어째 고구려 왕이 칭제를 한다든지, 고조선 시대부터 내려왔다는 천부인을 고구려 태왕인 차대왕이 즉위식에 건네받는다는지 하는 내용을 보면 뭔가 환빠스럽다.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000> | 차대왕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000000,#2d2f34><colcolor=#fbe673,#f9d537> 생애 및 활동 | <colbgcolor=#fff,#1f2023>생애 | |
관련 문서 | 마선구 2378호 | ||
매체 | 대중매체 |
{{{#!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000> | 태조대왕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000000,#2d2f34><colcolor=#fbe673,#f9d537> 생애 및 활동 | <colbgcolor=#fff,#1f2023>생애 | |
가족 | 부친 고재사 · 모친 부여태후 동생 차대왕? · 신대왕? 왕자 고막근 · 고막덕 · 차대왕? · 신대왕? · 고인고? | ||
관련 문서 | 칠성산 871호 · 계루부 · 소노부 | ||
기타 | 해씨 고구려설 |
고구려 왕실의 계보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color: #c5b356;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ccc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0.90em; letter-spacing: -1.2px" | 천제 | 하백 | ||||||||||||||||
| ||||||||||||||||||
해모수 | 유화 | |||||||||||||||||
| ||||||||||||||||||
부여 왕실 | 1대 동명성왕 | |||||||||||||||||
| ||||||||||||||||||
2대 유리명왕 | 비류 | 온조 백제 왕실 | ||||||||||||||||
| ||||||||||||||||||
고도절 | 고해명 | 왕녀 | 3대 대무신왕 | 4대 민중왕 | 고여진 | |||||||||||||
고호동 | 5대 모본왕 | 고재사 | ||||||||||||||||
고익 | 6대 태조대왕 | |||||||||||||||||
7대 차대왕 | 고막근 | 고막덕 | 8대 신대왕 | 고인고 | ||||||||||||||
고추안 | 9대 고국천왕 | 고발기 | 10대 산상왕 | 고계수 | ||||||||||||||
고박위거 | 11대 동천왕 | |||||||||||||||||
12대 중천왕 | 고예물 | 고사구 | ||||||||||||||||
13대 서천왕 | 고달가 | 고일우 | 고소발 | 공주 | ||||||||||||||
| ||||||||||||||||||
14대 봉상왕 | 고돌고 | |||||||||||||||||
15대 미천왕 | ||||||||||||||||||
16대 고국원왕 | 고무 | 고림 | ||||||||||||||||
17대 소수림왕 | 18대 고국양왕 | |||||||||||||||||
고강 | 19대 광개토대왕 | |||||||||||||||||
20대 장수왕 | 고익 | |||||||||||||||||
| ||||||||||||||||||
고조다 | 고승우 | 공주 | 고승천 | |||||||||||||||
21대 문자명왕 | ||||||||||||||||||
22대 안장왕 | 23대 안원왕 | 고안학 | ||||||||||||||||
24대 양원왕 | 왕자 | |||||||||||||||||
25대 평원왕 | ||||||||||||||||||
26대 영양왕 | 27대 영류왕 | 평강공주 | 대양왕 | |||||||||||||||
고환권 | 28대 보장왕 | |||||||||||||||||
고복남 | 고임무 | 고덕남 | 고덕무 | 공주 | ||||||||||||||
부흥 보덕왕 | ||||||||||||||||||
}}}}}}}}}}}} |
[1] 《삼국사기》의 기록이다.[2] 《삼국사기》의 기록이며, 《후한서》에서는 121년으로 기록하고 있다.[3] 태자 고추안, 왕자 신대왕?[4] 이를 시작으로 완전히 고수성의 시대가 열렸다. 사실은 유언이었을 수도 있다.[5] 한국사 연대기 > 고대 > 태조대왕[6] 참고로 기록상 한국사 최초의 폭군은 전전대 왕인 제5대 모본왕이지만, 이에 대해서는 역사왜곡 논란이 있다.[7] '그는 용감하고 굳세며, 위엄이 있었으나 인자한 마음이 적었다.'라고 해석하는 경우도 있다.#[8] 원문은 동모제(同母弟)이다.[9]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890416&cid=62135&categoryId=62281[10] 초반부에 귀신이 왕이 되기 전의 수성(차대왕)에게 예언을 내리는 것도 《맥베스》와 비슷하다.[11] 다만 태조대왕은 완전히 죽지는 않았고, 심한 부상으로 인하여 식물인간 상태가 되었다. 이는 《삼국사기》에서 태조대왕이 차대왕에게 왕위를 물려주고도 몇 년 동안을 더 살았다고 묘사한 점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