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4 05:50:54

대원교통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전광역시에 있었던 버스 회사에 대한 내용은 산호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KD 운송그룹 로고.svg
시외버스 노선 · 영업소 · 이야깃거리 · 문제점 및 비판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wiki style="min-width: 100px; 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folding [ 운송 사업 ]
<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8b008b><colcolor=#fff> 고속/시외 <colcolor=#373a3c,#ddd>
시내
전세
터미널
매표소
해체
[a] 터미널 사업부가 아닌 삼흥고속에서 직접 운영
}}}}}}
[ 비운송 사업 ]
||<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8b008b><colcolor=#fff><width=80px> 차량 ||<colcolor=#373a3c,#ddd><width=1000>
이엠코리아 [ b ]
KD 에너지텍
KD 오토리사이클링
KD 오토텍
||
직원복지
KD 김치공장
KD 상조회
KD 어패럴
KD 푸드피아
의료
교육
[b] CHTC의 수입사
}}} ||

파일:성동구 CI.svg 서울특별시 성동구 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시내버스 태진운수 대원교통[a] 대원여객[a]
마을버스 금호교통 낙산운수 동호운수 성수운수
왕금운수 응봉운수 화송옥수운수
없어진 버스 회사
마을버스 성수여객 옥수운수
[a] 주사무소만 성동구에 위치
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 ||
주식회사 대원교통
Daewon Traffic Corp.
파일:KD 운송그룹 로고.svg
핵심인물 허명회 (명예회장)
허상준 (대표이사 회장)
김승한 (부사장)
설립일자 1974년 2월 1일
업종 시내버스 운송업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기업규모 중견기업
지분구조 대원고속 46.84%
권동현 35.44%
허상준 17.72%
슬로건 기다리고 싶은 버스, 타고 싶은 버스
길이 있는 곳에 KD 운송그룹이 있습니다.
홈페이지 홈페이지

1. 개요2. 역사3. 특징
3.1. 대원교통, 대원여객, 메트로버스 3각 트레이드
4. 운행 노선5. 폐선된 노선
5.1. 개편 전 운행노선
6. 면허 체계7. 보유차량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2016_4278.png 파일:241_9117.jpg
지선버스
2016번
간선버스
241번

KD 운송그룹 계열사인 버스 회사. 서울특별시 시내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2. 역사

본래 1974년에 설립된 금성교통[1]이라는 버스회사였으나 1994년 10월 28일 오전 좌석버스 765번 망우리고개 전복 사고 사상자 보험처리문제로 인해 경영상의 문제가 생기게 되어 1996년 3월 4일 KD 운송그룹에 인수된 후 대원교통으로 사명을 바꾸게 되었다. 이 시기에는 남양주시 업체인 삼용버스/서울시내버스 업체인 태화상운 등과의 경쟁을 위해 165, 165-2, 165-3번 모두 구간요금을 받지 않았다.

2001년에는 태화상운의 166번, 166-2번, 400번을 인수했으며[2], 2003년에는 우신운수가 운행을 포기한 568번을 입찰받아 운행하게 되었다.

2004년 서울 시내버스 개편 당시 컨소시엄 중 메트로버스에 출자, 현재 20%의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 때문에 현재 메트로버스에서 운행중인 일부 차량 면허는 대원교통 출신 버스들이다. 동시에 대원여객으로 568번을 이관했다.[3][4]

이후 2005년부터 대대적인 경기도발 노선 개편이 시작되었는데, 구리/남양주권에서 서울로 가던 노선들의 정리를 시작했기 때문이다. 2005년에는 9201번은 폐선, 9203, 9204번을 대원운수로 이관시키고[5] 같은 해 12월에는 2016, 2229번을 정리하면서 240번을 신설하고[6] 2006년 12월에는 2231번은 폐선, 9205번은 중랑공영차고지로 자르고 203번으로 개편했다.[7] 이후 2007년에는 203번을 폐선하면서 241번을 신설하고 240, 2015번을 단독배차하게 되었다.

2008년에는 2227번의 서울시내구간을 자르고 2228번을 폐선시키면서 41, 4434번을 신설했으며[8] 2009년에는 9202번을 폐선시키고 2225번을 신설했다.[9] 2011년에는 2225번을 0213번과 통합시켜 2016번으로 만들고 2227번의 경기도구간을 완전히 단축하면서 경기도에서 철수했다.

이후 2014년에는 241번을 단독배차함과 동시에 2227번을 메트로버스로 양도하며, 2015년 2월에 41, 4434번을 통합하여 242번 간선버스를 개통한다.

대개편때에 비하면 노선갯수가 많이 줄어들었고 무엇보다도 연고지인 구리남양주권에서 철수한 점이 눈에 띄는 부분이다. 그리고 대체노선을 대원운수에서 신설하면서 대원운수의 규모도 덩달아 커진 점도 포인트이다.

2019년 2월에 본사(면허지)를 성동구의 KD 운송그룹 신사옥으로 이전했다.

2020년에 자일대우버스 베트남 이전 논란으로 인한 노사갈등으로 울산 공장이 한동안 폐쇄되면서 현대 저상버스를 자체 출고하였다.

2021년부터 신차는 전기버스만 출고중이다. 2021년에는 서울시의 쿼터제 규정 때문에 일렉시티와 아폴로 1100을 균등하게 뽑았으나, 2022년에는 일렉시티만 뽑고 있으며, 12월 팬더가 전멸되고 계열사 중 인수된 삼흥고속을 제외하고 최초로 현대자동차의 댓수가 자일대우버스의 댓수를 역전했다.[10] 2023년에는 아폴로 1100 2대를 다시 뽑았다.

3. 특징

3.1. 대원교통, 대원여객, 메트로버스 3각 트레이드

2014년 1월 16일자로 세 회사간 노선 교환이 있었다. 노선 관리를 중랑공영차고지 한 곳에서 하고 싶던[23] 메트로버스와 근로 환경 문제[24]를 해결하고 싶던 KD 운송그룹 간의 이해관계가 맞아서 세 회사간 노선 교환이 생긴 것으로 보인다.

당시 대원교통이 운행하던 2227번 버스의 차량들이 241번으로 이동하였으며 262, 2016, 241번에 있던 대원여객 차량들이 370번으로 이동하였으며, 370번에 있던 메트로버스 차량들은 262, 2016, 2227번으로 이동하였다.

대원교통이 겪게 된 변화는 다음과 같다.

4. 운행 노선

4.1. 간선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240 중랑공영차고지 봉화초등학교 - 신내6단지 - 서울의료원 - 능산지하차도 - 상봉터미널 - 면목역 - 면목시장 - 중곡역입구 - 세종초등학교 - 광진광장 - 건대입구역 - 영동대교 - 프리마호텔 - 압구정현대아파트 → 압구정역학동역신사역 → 현대고등학교 신사역 8~14
241 신내데시앙포레아파트 - 새우개마을 - 봉화산역 - 신내7단지.홈플러스 - 서울의료원 - 중랑구청사거리 - 망우역 - 중랑역.동부시장 - 청량리역 - 서울시동부병원 - (→ 왕십리도선동주민센터 →/← 상왕십리역 ←) - 신당초등학교 - 행당역 - 응봉동주민센터 - 금남시장 - 한남동 - 신사역 - 논현역학동역언주역신논현역 논현역 7~12
242 능산지하차도 - 면목역 - 면곡시장 - 군자교 - 화양사거리 - 영동대교 - 프리마호텔 - 강남구청.강남세무서 - KT강남지사 - 영동중앙교회 - 한티역 - 중대부고 - 개포현대1차아파트 → 개포래미안포레스트 → 포이초교 → 풍양빌딩 개포동 10~17
262
[공동배차]
양원역 - 망우역 - 면목역 - 면목두산아파트 - 촬영소사거리 - 청량리역 - 신설동역 - 동대문 - 종로2~6가 - 남대문시장 -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 청파동 - 원효로2.3가 - 청암동강변삼성아파트 → 삼부아파트 → 샛강역여의도역여의도환승센터 여의도 6~10

4.2. 지선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2015[26] 중랑공영차고지 중랑구청사거리 - 망우역 - 상봉역 - 사가정역 - 장안2동주민센터 - 전농사거리 - (→ 답십리역 →/← 동대문중학교 ←) - 동대문구청.용두역 - 성동구청 - 신당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 6~10
2016 능산지하차도 - 상봉역 - 면목두산1차아파트 - 면곡시장 - 동곡삼거리 - 세종초등학교 - 광진광장 - 건대입구역 - 성수역 - 왕십리역 - 응봉동주민센터 - 금남시장 - 한남역 - 동빙고동 - 서빙고역 - 이촌역 이촌2동 8~13

5. 폐선된 노선

폐선된 노선이 많아 관련 항목이 있는 경우만 표기했다.

5.1. 개편 전 운행노선

6. 면허 체계


===# 타 회사 출신 면허 #===

7. 보유차량

7.1. 현재 보유차량

7.1.1. 현대자동차

7.1.2. 자일대우버스

7.1.3. 우진산전

7.2. 과거 보유차량

7.2.1. 자일대우버스

7.2.2. 현대자동차

7.2.3. 아시아자동차

7.2.4. KG모빌리티

8. 둘러보기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colcolor=#fff> 강남구 도선여객 정평운수
강동구 서울승합
강북구 동아운수 선일교통 삼양교통
영신여객 한성운수
강서구 공항버스 김포교통 다모아자동차
영인운수 정평운수
관악구 관악교통 보성운수 한남여객운수
광진구 신흥운수
구로구 군포교통 보성운수 서울매일버스
금천구 범일운수 보영운수 신인운수
노원구 흥안운수 삼화상운 한성여객
진아교통 태릉교통
도봉구 서울교통네트웍 아진교통
마포구 다모아자동차 유성운수
서대문구 서부운수 신촌교통 원버스
현대교통
서초구 대흥교통 삼성여객 우신운수
우신버스
성동구 태진운수 대원교통 대원여객
성북구 대진여객 도원교통 상진운수
송파구 남성버스 동성교통 대성운수
서울버스 송파상운 진화운수
한국brt 한서교통
양천구 관악교통 도원교통 세풍운수
신길교통 양천운수 중부운수
은평구 보광교통 신수교통 선진운수
원버스 유성운수 제일교통
종로구 동해운수
중랑구 경성여객 대원교통 메트로버스
보광운수 북부운수
시내버스 업체가 없는 자치구의 버스 회사 목록
동대문구 동작구 영등포구 용산구
범례
<rowcolor=#fff,#1f2023> 차파트너스자산운용 계열사 흥안운수 계열사 다모아자동차 계열사 KD 운송그룹 계열사
서울특별시 관외에 차고지를 둔 시내버스 회사 목록
}}}}}}}}} ||

파일:중랑구 CI.svg 서울특별시 중랑구 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시내버스 경성여객 대원교통[a] 메트로버스[b]
보광운수 북부운수
마을버스 중랑운수 금창운수
사라진 버스 회사
시내버스 선진교통 우성버스
마을버스[c] 대중교통 세화마을버스 태릉시장마을버스
[a] 중랑구 이외 지역에 주사무소를 둔 회사 / [b] 주간선버스 회사 / [c] 현 보광운수(舊 용림교통)로 통합된 회사
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 ||


[1] 서울승합 금곡영업소에서 분사한 회사였다. 당시 본사는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 153번지. 1990년대 후반 46번 국도 확장으로 본사 차고지가 상당부분 수용되면서 호평동 차고지와 통합, 이전하게 되었다.[2] 400번은 차량만 인수했다.[3] 이 시절 대원여객에서도 2003년말에 시범적으로 도입한 저상버스 2대를 빼서 여기로 보내기도 했다. 대신 위에서 언급한 대원교통차 일부를 빼서 보상차원으로 대원여객 소속으로 다니게했다. 다만 2015, 240 단독배차로 바뀌면서 원대복귀했으며, 5624 소속 일부는 여전히 대원여객 소속으로 다닌다.[4] 이 외에 영인운수, 송파상운이 컨소시엄 탈퇴를 하면서 일부 KD 출신 면허를 가져가기도 했다.[5] 각각 경기고속 1670, 112-3번과 통합되었으며 한동안 공동배차를 하다가 지금은 대원운수에서 1670, 1660번으로 운영하고 있다.[6] 대체노선으로 대원운수가 165-3, 166번 신설.[7] 대체노선으로 대원운수가 765-1 신설 및 165번 증차.[8] 대체노선으로 대원운수가 167번 신설.[9] 대체노선으로 대원운수가 1200번 신설.[10] 대원교통은 일괄적으로 대차를 하는 경우가 잦았고, 행당동 사고 이후 그 점이 더욱 부각되어 차량 교체주기가 일정 시기에 대규모 물량을 처리하게 되었다. 대원여객은 그에 비해 연식 분포도가 다양하고, 상대적으로 구형 가스차량을 오래 사용했기에 아직까진 대우버스의 비율이 많다. 그러나, 초기형 뉴비 차량들이 많기에 이 차량들이 대차되면 대원교통처럼 현대버스의 비율이 급격하게 증가할 예정.[11] 남양주권 광역버스(서울면허)는 대원교통에서 독점했다.[12] 현재 대원교통이 과거 남양주에 존재했었다는 것을 알려주는 흔적은 도곡리 차고지에 있는 충전소로 대원교통 명의로 표기되어 있었다. 물론 철수 이후로도 한동안 41번과 4434번의 가스 충전 또한 이곳에서 했었다.[13] 그 외에 대원교통의 주 사무소 소재지도 아직까지 호평동 165번 종점으로 뜬다. 연락처 또한 경기도 지역번호인 031로 시작.[14] 또 다른 사례인 아진교통의 경우에는 기존 도봉산 본사 차고지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으며, 신인운수는 과거 신인운수의 빗자루질 노선인 옛 150번5528번을 통하여 부분적으로 개승하고 있다. 삼성여객은 개편과 동시에 오랫동안 본사였던 염곡공영차고지에서 한번 나가고 한동안은 보광동에서 영업했다가, 노선 운영 상의 여러 문제점으로 인하여, 자사의 여러 노선들을 통·폐합하는 과정에서 다시 또 염곡동으로 복귀했다. 이 회사들이 개편 이전의 흔적들이 조금이라도 남아있는 반면, 대원교통은 아예 모든걸 다 지우고 새롭게 재시작을 한 것이나 다름없다.[15] 동성교통신길운수, 신성교통이 41번을 운행했을 때 4색 도색을 전부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정작 이 41번을 실제로 운행한 건 한국brt였다. 해서 이 회사들은 무의미하다.[16] 240번 신설 이전에는 2가지 도색이라도 보편적인 파란색/녹색이 아닌 녹색/빨간색으로 다닌 회사 중 하나였다(대원교통 외에는 대성운수랑 동해운수, 서울매일버스가 당시 이 조합이었다.). 반대의 사례는 한국brt로, 여긴 41번(1기)이 폐선된 2006년까지 파란색/노란색으로 다녔다.[17] 반대로 대원여객 노선 중 제대로 성동구를 경유하는 소속 노선은 2021년 11월 29일 기준 2416번 뿐이다. 370번은 천호대로의 경계만 따라가는 것이 전부이기에 실질적인 성동구 본토로는 들어가지 않는다.[18] 165, 165-2번은 가스차가 들어왔다가 일부차량이 여러가지 이유로 대원여객 55번과 이동식 충전소가 있는 사릉 차고지에 있던 동사의 165-3번, 구리 차고지의 동사 568번으로 트레이드 되었다. 다만 전부 넘어간 것은 아니여서 남은 차량은 대개편을 앞둔 시점까지 운행하다가 메트로버스로 이관되었다. 개편 이후에 2227, 2231번은 165-2, 165번으로 다니던 시절에 비해 운행댓수도 줄어들고 타 노선에서 쓰던 디젤차들이 투입되어 다니게 된다.[19] 55번은 구리차고지에 충전소가 없었고 배차관리가 되지 않아서 그리 오래 운행하지 못 했다. 2003년에 갓 종로5가로 연장되고 민락동에 충전소가 있어서 가스차를 투입하던 12-5번으로 곧 이동했다. 568번은 그래도 운행대수가 적었고 전 차량이 가스차였던 덕분에 그래도 개편 이후까지 덕소로 공차 회송을 해가면서 굴렸다.[20] 특히 2015번이 가장 심한데, 대부분의 차량들이 30점~60점 사이를 오가며 왕십리역에서도 꼬리물기를 하며 좌회전을 하는 등 KD하면 생각나는 운행스타일과 정반대를 보인다.[21] 아직은 262번만 해당하며, 나머지 노선들은 여전히 현금 승차가 가능하다.[22] 원래 KD 운송그룹의 방침이 경기도 면허에는 중국산 전기버스를 다량 투입하면서도 서울특별시 면허에는 중국산 전기버스를 절대 투입하지 않는 원칙을 가지고 있다. 비슷한 케이스로는 태영운송그룹이 있으며, 부산광역시 마을버스김해시 시내버스로 중국산 전기버스를 도입하는 것과 달리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조합 자체가 중국산에 대해 부정적이다 보니 태영버스는 중국산 전기버스를 1대도 운용하지 않는다.[23] 당시 강동공영차고지의 관리비가 인상되어 이로 인하여 중랑공영차고지 단일체제로 전환하고자 시도중이었다.[24] 대원여객도 의정부, 양주 노선 폐선 후 241, 262, 0213번에 차량이 증차되었는데 의정부, 양주로 출퇴근을 하다 중랑공영차고지로 출퇴근하는 기사들의 근무지 이탈 문제가 발생하여 중랑 소속 기사들을 의정부나 양주 지역으로 다시 보내면서 중랑에서 잠시 철수했다(이후 2416번 개통을 통해 다시 중랑구에 영업을 하긴 했지만).[공동배차] 북부운수와 공동배차.[26] 본래 대원여객 노선이었지만, 2006년 이후 대원교통이 대신 맡고 있다.[27] 2015.2.27 서울 버스 개편으로 인해 4434번과 통합되어 242번으로 변경[28] 잉여 노선. 9205번에서 203번으로 바뀐 후 단 1분기만에 241번으로 노선 변경이 이뤄졌다.[29] 정확히 3주동안만 운행하다 2225번으로 변경. 240A번과는 면목천길 경유라는 점만 달랐다. 일부 차량은 240번으로 돌아갔다.[30] 0213번과 통합해 2016번이 되었다.[31] 호평동 - 금곡 - 구리시 - 청량리를 운행하다가 2008년에 신내동으로 1차 단축. 2011년에 신내동 - 상봉동으로 2차 단축을 겪었다. 이후 1213번이 서일대로 잘리면서 2013년에 중곡동으로 연장되었다. 2014년 1월에 메트로버스로 이관되었다.[32]대원운수 167번. 이게 경기면허로 대체되고 남은 차량을 가지고 41번을 개통하게 되었다.[33] 2005년 12월 16일에 2231과 같이 폐선되고, 이후 166번으로 대원운수에서 운행하다 2008년에 경기여객으로 넘어가더니 조용히 폐선.[34] 2005년 7월에 2016번으로 변경.[35] 현재의 2016번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개편 전 165-3번으로 개편 당시 2230번 번호를 부여받았다. 2005년 7월 동대문운동장역으로 연장되면서 2230에서 2016번으로 변경, 2005년 12월 중앙선 개통과 동시에 폐선.[36] 9205가 203으로 형간전환 하던 날 동시에 폐선.[37] 2015.2.27 서울 버스 개편으로 인해 41번과 통합되어 242번으로 변경[38] 대원여객과 공동배차[39] 정규노선인 4434번으로 승격[40]대원운수 65번[41] 이 노선이 폐지되고서, 9205가 대성리에서 마석으로 잘리고, 종로를 따라서 서울역 환승센터로 들어가게 된다.[42] 또 하나의 아웃서울 노선으로는 구 400번이 있었다.[43] 현재는 경기면허 1670번으로 전환되었다.[44] 현재는 경기면허 1660번으로 전환되었다.[45] 현재는 765번도 없어져서 30번이 역할을 대신한다.[46] 폐선 이후 203번 → 241번으로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