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10 11:52:32

박정희 정부/평가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박정희 정부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박정희
#!if 문서명2 != null
, [[박정희/평가]]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keepall> {{{#!wiki style="min-height: calc(1.5em + 10px); padding-top: 5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835b38 10px, transparent 10px calc(100% - 10px), #835b38 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835b38><colbgcolor=#f5f5f5,#2d2f34> 구성 인사(3공) · 인사(4공) · 통일주체국민회의
여당 민주공화당
연립여당 유신정우회
정책 및 방향 제1~4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 중화학공업화 · 수출주도산업화 · 한강의 기적 · 남동임해공업 벨트 · 녹화사업 · 그린벨트 · 새마을운동 · 관치금융 · 관선임명제 · 국민교육헌장 · 중·고교 평준화 · 특성화 학과 · 국토건설단 ·경부고속도로 · 1기 지하철 계획 · 전원개발계획 · 농어촌 전화 사업 · 고리원자력본부 · 승압 사업 · 한일수교 · 한미행정협정 · 파독 근로자 · 중동 건설 · 베트남 파병 · 혼분식 장려 운동 · 통일미 · 율곡사업 · 핵무장 · 향토예비군 · 주민등록증 · 재형저축 · 한글전용 · 건강보험 당연지정제 · 부가가치세 · 백지계획 · 강남 개발 · 산아제한 · 서산개척단 · 선감학원 · 형제복지원 · 서울시립갱생원 · 대구 희망원 · 덕성원 · 성혜원 · 미군 위안부 · 컬러TV 송출 금지 · 금지곡 · 판금도서 종용제 · 장발, 미니스커트 단속 · 만화 검열제 · 긴급조치 · 군가산점 · 이중배상금지 · 국가모독죄 · 교련 · 방위세 · 방위병
평가 정치 · 경제 · 사회·문화 · 외교 · 안보·국방
타임라인
대한민국 제2공화국: 박정희 군정
1961년 5.16 군사정변 · 국가재건최고회의 설립 · 혁명공약 및 포고령 · 혁명재판 · 반공법 · 전국 18개 학군단 창설 · 수도방위사령부 창설 · 서울시립갱생원 설립 · 농어촌고리채법 · 은행국유화(금융기관에 대한 임시조치법) · 경제기획원 설립 · 중앙정보부 창설 · 한국전력주식회사 창설 · 건설부 산하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시안 발표 · 농업협동조합 창설 · 8.12 성명(박정희 의장 민정이양 계획 발표) · 지방자치에 관한 임시조치법 · 연호에 관한 법률 개정
1962년 서력기원 사용 · 문화재보호법 제정 ·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발표 · 울산공업센터 지정 · 주민등록법 제정 · 화폐개혁 · 4대 의혹 사건 · 마포아파트 준공 · 김종필-오히라 메모 · 대한항공공사 설립 · 5차 개헌 공포 · 제1차 국민투표
1963년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발족 · 민주공화당 창당 · 8.15 계획서 · 3.16 성명(박정희 의장 민정이양 거부 및 군정연장 발표) · 군정연장반대운동 · 감사원 개원 · 박정희 의장 군정연장 철회 · 의정부역-능곡역 구간 교외선 개통 · 서울 대확장 · 부산 직할시 승격 · 박정희 의장 전역 후 민주공화당 입당 및 대선후보 지명수락 · 삼양라면 출시 · 서울가정법원 개원 · 제5대 대통령 선거 · 제6대 국회의원 선거 · 구로공단 조성 · 황태성 사건 · 의료보험법 제정
대한민국 제3공화국: 박정희 정부 제1-3기
1963년 박정희 정부 출범 · 국가안전보장회의 설치 · 파독 근로자 파견
1964년 미터법 실시 · 삼분폭리사건 ·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보완계획안 발표 · 부산화력발전소 준공 · 24시간 무제한송전 실시 · 울산정유공장 준공 · 무장군인 법원 난입 사건 · 6.3 항쟁 · 베트남 전쟁 파병안 통과 · 제1차 인민혁명당 사건 · 무즙 파동 · 서독 공식 방문 · 국가기술자격 시행
1965년 한국독립당 내란 음모 사건 · 독도 밀약 · 수출제일주의 표방 · 제2한강교 준공 · 춘천댐 준공 · 광복회 발족 · F-5 20대 도입 · 원충연 반혁명 사건 · 한일기본조약 조인(한일협정 반대투쟁) · 전매청 신탄진공장 준공 · 야당 불참 속 한일협정 비준 및 베트남 전쟁 파병 동의안 가결 · 베트남 전쟁 1개 전투사단 파병 · 이승만 대통령 서거 · 한국해외개발공사 발족 · 농어촌 전화 사업 추진
1966년 KIST 설립 · 국세청 발족 · 장면 총리 별세 · 태릉선수촌 설립 · 한미행정협정 조인 · 제2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수립 · 해병대 공군비행학교 습격사건 · 국회 오물 투척 사건 · 사카린 밀수 사건
1967년 산림청 개청 ·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 한국외환은행 발족 · 대도시 그린벨트 설정 · 짜빈동 전투 · GATT 가입 · 과학기술처 신설 · 제6대 대통령 선거 · 제7대 국회의원 선거 · 제2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발표 · 동백림 사건 · 한국수자원개발공사 설립 · 지리산국립공원 지정 · 정부종합청사 착공
1968년 1.21 사태 · 푸에블로호 피랍사건 · 684부대 창설 · 서울사범대학 독서회 사건 ·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설립 · 향토예비군 창설 · 주민등록법 개정 · 통일혁명당 사건 · 만화 검열제 · 육군3사관학교 창설 ·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 주민등록증 발급 실시 · 국민교육헌장 발표 · 경부고속도로 서울-수원-오산 구간 개통 · 경인고속도로 개통
1969년 교련 과목 개설 · 한국도로공사 발족 · 가정의례준칙 · 서울 중학교 무시험 제도 · 금화시민아파트 준공 · 경부고속도로 오산-천안-대전 구간 개통 · 호남정유 여수공장 준공 · 김영삼 질산 테러 사건 · MBC 개국 · 3선 개헌 · 제2차 국민투표 · 제3한강교 개통 · 울산고속도로 개통 · 경부고속도로 대구-부산 구간 개통
1970년 정인숙 살해사건 · 와우시민아파트 붕괴 사고 · 포항종합제철소 착공 · 새마을운동 제창 · 우편번호제 도입 · 경부고속도로 대전-대구 구간 개통 (완공) · 호남고속도로 대전-전주 구간 개통 · 백원 주화 발행 · 제3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수립 ·국방과학연구소 설립 · 병무청 설립 · 모산 수학여행 참사 · 전태일 분신 사건 · 번개사업 · 남영호 침몰사고 · 4대강 유역 종합개발 계획 확정 · 정부종합청사 개청
1971년 전국 중입시험 폐지 ·대한항공 F27기 납북 미수 사건 · 고리 원자력 발전소 기공 · KAIS 설립 · 주한미군 7사단 철수 · 제7대 대통령 선거 · 진산 파동 · 제8대 국회의원 선거 · 제3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발표 · 무령왕릉 발굴 · 광주대단지 사건 · 브레튼우즈 체제 종료 · 실미도 사건 · 제1차 국토종합계획 발표 · 10.2 항명 파동 · 통일로 개통 · 영동고속도로 신갈-새말 구간 개통 · 대연각호텔 화재
1972년 정병섭 군 자살 사건 · 경주고도개발 10개년 계획 확정 · 7.4 남북 공동 성명 · 통일미 개발 · 8.3 사채 동결 조치 · 제1차 남북 적십자 회담 · 10월 유신 · 박정희 정부의 홀치기 특허 포기 강요 사건 · 울산석유화학단지 준공 · 제3차 국민투표 · 통일주체국민회의 발족 · 제7차 개헌 · 서울시민회관 화재 사고 · 금오공업고등학교 설립
대한민국 제4공화국: 박정희 정부 제4-5기
1973년 중화학공업화 선언 · 치산녹화 10개년 계획 추진 · 남서울아파트 분양 · 장발 및 미니스커트 단속 · 승압사업 개시 · 제9대 국회의원 선거 · KBS 설립 · 베트남 전쟁 종전 · 유신정우회 창립 · 윤필용 사건 · 남산 부활절 연합예배 사건 · 서울어린이대공원 개장 · 1973 서울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 · 화전민정리 5개년 계획 수립 · 포항종합제철소 준공 · 대덕연구단지 착공 · 불국사 복원공사 준공 ·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정 · 김대중 납치 사건 · 소양강댐 준공 · 제1차 오일쇼크 · 최종길 교수 의문사 사건 · 낙검자 수용소 설립 · 태백선 고한-황지 구간 개통(완공) · 호남고속도로 전주-순천 구간, 담양지선 개통(완공) · 남해고속도로 개통 · 친아랍 성명 4개 조항 발표
1974년 율곡사업 추진 · 긴급조치 1·2호 선포 · 긴급조치 3호 · 현대울산조선소 제1호선 진수 · YTL30호 침몰 사건 · 창원, 여천, 옥포, 죽도, 통영, 여천 산업기지개발구역 최종선정 및 개발 계획 발표 · 서울/부산 고등학교 평준화 첫 실시 · 창원국가산업단지 조성 · 민청학련 사건 · 긴급조치 4호 선포 · 팔당댐 준공 · 속초해전 · 제2차 인민혁명당 사건 · 박정희 대통령 저격 미수 사건 · 서울 지하철 1호선 개통 ·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 · 새마을호 운행 시작 · 긴급조치 1·4호 해제 · 현대조선폭동사건 · 대왕코너 화재사고 · 주안국가산업단지 준공 · 동아일보 광고탄압사건
1975년 제4차 국민투표 · 한강 이북지역 택지개발금지조치 · 핵확산금지조약 비준 · 민방위 결성 · 긴급조치 7호 선포 · 인민혁명당 재건위 사건 사형 집행 · 김상진 할복 사건 · 종합무역상사 제도 실시 · 여의도 국회의사당 준공 · 영동고속도로 새말-강릉 구간 개통(완공) · 동해고속도로 개통 · 여천석유화학단지 기공 · 학원 침투 간첩단 사건 · 서울고속버스터미널 개장 · 1975 서울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 · 형제복지원 설립 · 장준하 의문사 사건
1976년 포항 석유 발견 사건 · 3.1 민주구국선언 사건 · 한독맥주 사건 ·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 서울 UFO 격추미수 사건 · 신민당 전당대회 각목 난동 사건 · 제4차 경제·사회 개발 5개년 계획 수립 · 한국수출입은행 발족 · 잠수교 개통 · 국산자동차 현대 포니 첫 수출 · 코리아게이트 · 안동댐 준공 · 함평 고구마 사건 · 직업훈련기본법 제정
1977년 제4차 경제·사회 개발 5개년 계획 발표 · 백지계획 발표 · 박흥숙 살인사건 · 월성 원자력 발전소 기공 · 고리 원자력 발전소 1호기 가동 · 의료보험 시행 · 부가가치세 시행 · 남해화학 여수공장 완공 · 반국가행위자의 처벌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정 · 구마고속도로 개통 · 이리역 폭발사고
1978년 한미연합군사령부 발족 · 대한항공 902편 격추 사건 · 여천석유화학단지 준공 · 압구정동 현대아파트 특혜분양 사건 · 제9대 대통령 선거 · 8.8 조치 시행 · 백곰 미사일 발사 성공 · 자연보호헌장 선포 · 안동교구 가톨릭농민회 사건 ·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1979년 국립금오공과대학교 설립인가 · 서울 지하철 2호선 착공 · 정부 제2청사 착공 · 보문관광단지 개장 · 고리 원자력 발전소 3, 4호기 착공 · 2차 오일 쇼크 · YH 사건 · 성수대교 개통 · 김영삼 총재 의원직 제명 파동 · 김형욱 실종 사건 · 부마항쟁 · 삽교천방조제 준공 · 10.26 사건 · 최규하 권한대행 체제 · 서울의 봄 · YWCA 위장결혼식 사건 · 12.12 군사반란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를 참고
박정희 개인과 관련된 문서는 틀:박정희 참고
}}}}}}}}}




1. 개요


나는 박정희에 대해서는 평가를 안 합니다. 쿠데타 한 사람이 제일 나쁜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김영삼 前 대통령[1][2]
지지 여부를 떠나 우리나라가 6·25의 폐허에서 허덕일 때 '우리도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국민들에게 불러일으켰다. 정치를 하면서 우리가 최대 정적이었지만 국민들에게 강한 자신감을 심어준 것은 평가할 만하다.

김대중 前 대통령[3][4]

박정희 정부에 대한 평가를 다루는 문서.

박정희는 전임자 이승만, 라이벌 김대중과 함께 한국 현대사에 가장 지대한 영향을 끼친 인물 중 하나로, 긍정적인 면으로나, 부정적인 면으로나 한국 현대사에 있어 결코 건너뛰고 평가할 수 없는 인물로 여겨진다.

일제강점기6.25 전쟁으로 피폐해진 대한민국재건을 이끈 지도자라는 호평과, 민주주의를 후퇴시키고 인권을 억압한 독재자라는 악평이 공존한다. 때문에 한국 현대사에 대해 논할 때 가장 논쟁적인 인물 중 하나로 여겨진다. 다만 박정희의 지지층은 60~70년대의 경제성장을 직접적으로 경험한 노년층에 편중되어 있기에, 시간이 지나며 민주화 이후 태어나는 세대들이 많아질수록 조금씩 평가가 떨어지는 경향성이 지속되고 있다.

제6공화국 출범 이후 보수 정권과 민주당 정권을 오가는 시대상에 따라 박정희 대통령에 대한 대중의 평가 역시 그 영향을 받아 변화하는 경향이 있다. 그럼에도 역대 대한민국 대통령 선호도 여론조사 중에서 꾸준하게 최상위권의 긍정평가를 기록하고 있는 인물이다. 실제로 박정희의 딸 박근혜는 박정희의 후광효과로 대통령이 되었다.

2. 정치에 대한 평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박정희 정부/평가/정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박정희 정부/평가/정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박정희 정부/평가/정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경제에 대한 평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박정희 정부/평가/경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박정희 정부/평가/경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박정희 정부/평가/경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사회·문화에 대한 평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박정희 정부/평가/사회·문화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박정희 정부/평가/사회·문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박정희 정부/평가/사회·문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외교에 대한 평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박정희 정부/평가/외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박정희 정부/평가/외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박정희 정부/평가/외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안보·국방에 대한 평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박정희 정부/평가/안보·국방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박정희 정부/평가/안보·국방#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박정희 정부/평가/안보·국방#|]]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2009년 SBS에서 방영한 육성 회고록 방송 中. YS는 박정희 정권 시절 초산테러, 의원직 제명 등 갖은 정치적 탄압을 받았다. 이 때문에 그는 한평생 박정희를 증오하였으며 3당 합당 이후 보수계열 인사들, 특히 박정희 정부의 고위인사였던 김종필과 한 배를 타게 된 이후에도 박정희에 대한 긍정적인 재평가는 한사코 거부하였다.[2] YS는 김대중 대통령이 재임중 박정희대통령기념관 건립을 추진하자 "박정희는 5.16 쿠데타로 헌정을 파괴하고 수많은 사람을 살상했으며, 영구집권을 꿈꾸면서 18년간 독재하다 부하에게 살해된 사람이다. 인권 탄압으로 냉엄한 역사적 심판을 받아야 할 사람의 기념관을 정부 주도로 짓겠다는 김대중은 정신나간 사람이다. 그런 돈이 있으면 어렵고 가난한 유신 독재의 피해자들에게 돌려줘야 한다."고 비판하기도 했다.#[3] 출처. DJ 또한 YS와 마찬가지로 박정희 시절 갖은 정치적 박해를 받았고, 1973년에는 중앙정보부에 의해 일본에서 납치되어 살해될 뻔하였다. 하지만 김대중 전 대통령은 집권 이후 화해와 용서의 정신을 내세우며 박정희에 대해 높게 평가하는 멘트를 여러 차례 하였고, 집권 기간 박정희대통령기념관의 설립을 추진하고 예산을 지원하였다.[4] 당시의 이런 행보에 대해 DJP연합으로 공동정권을 잡은 김종필, 박태준 등 구 공화계 인사들의 존재 때문에 그런 것 아니겠느냐 하는 의견도 있지만, 이미 그 이전에 서울의 봄 시기인 1980년 4월 26일 관훈클럽 기자회견에서도 김대중은 박정희 정부의 공과 과를 묻는 기자의 질문에 "잘한 점 가운데 가장 큰 것은 국민들이 "우리도 하면 된다. 하니까 되더라"는 자기가능성을 발견토록 한 것이다. 물론 우리 국민의 높은 능력과 본질에서 나온 것이기는 하지만 어쨌든 이 점은 지난 정권의 공이다. 앞으로 나올 정권도 이를 더욱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다."라고 답한 바 있다.#